KR20180035134A -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134A
KR20180035134A KR1020170114992A KR20170114992A KR20180035134A KR 20180035134 A KR20180035134 A KR 20180035134A KR 1020170114992 A KR1020170114992 A KR 1020170114992A KR 20170114992 A KR20170114992 A KR 20170114992A KR 20180035134 A KR20180035134 A KR 2018003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ream
information
video clip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978B1 (ko
Inventor
주현선
Original Assignee
(주) 프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람트 filed Critical (주) 프람트
Priority to PCT/KR2017/0105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62795A1/ko
Publication of KR2018003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모바일을 통해 동영상을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보유 및 생성하거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들을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모아 타임라인으로 표시해 주고, 스트림 내의 각 비디오 클립을 재생시간과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확인하도록 함은 물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자신이 원하는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도록 하며, 타임라인 상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A PROVIDING SYSTEM FOR TIMELI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모바일을 통해 동영상을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보유 및 생성하거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들을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모아 타임라인으로 표시해 주고, 스트림 내의 각 비디오 클립을 재생시간과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확인하도록 함은 물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자신이 원하는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도록 하며, 타임라인 상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통계 결과를 보면 전 세계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90프로 이상은 2년 이내에 생성된 것이며, 그 중에서 80프로가 비디오 또는 이미지이다. 또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모바일 환경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트래픽의 많은 부분이 동영상을 소비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동영상콘텐츠의 소비는 주로 원하는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시간에 맞춰서 TV를 시청하거나, 비디오테이프, 동영상 CD 또는 DVD과 같은 동영상이 저장된 매체를 직접 빌려, 빌린 저장 매체를 전용 재생장치를 통해서 감상하는 것이 대부분의 방식이었다. 또한,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동영상콘텐츠를 단말기의 저장장치로 다운받아 시청할 수 있는 방식의 출현으로 동영상콘텐츠를 이용함에 있어 시간과 장소의 제한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워 질 수 있었으나, 동영상콘텐츠와 같이 크기가 큰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다운로드 하는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에 들어서는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통신단말, 플랫폼 기술 등이 급속도로 발전하였으며, 클라우드라는 네트워크상의 가상공간에 동영상콘텐츠를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간, 재생 장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동영상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 파일을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 중 하나인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의 기술이나 청크(chunk) 단위의 동영상 전송기술이 개발되면서 사용자가 동영상콘텐츠를 다운로드함과 동시에 해당 동영상콘텐츠를 재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영상콘텐츠를 이용함에 기다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동영상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크게 늘어났다. 즉 예전처럼 원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에 맞춰서 TV를 시청하거나, 동영상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매체(예를 들어, 비디오테이프, CD, DVD 등)를 따로 구비하여, 구비한 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통해서 시청하는 것이 아닌 PC,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서 유튜브(YouTube), SNS와 같이 수많은 웹상에서 동영상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 기기와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확산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동영상콘텐츠의 소비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동영상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동영상콘텐츠의 제공자들 간의 경쟁은 점점 치열해져 가고 있다.
또한, 동영상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동영상콘텐츠 공급자가 동영상콘텐츠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동영상콘텐츠를 단순히 시청하기 보다는 해당 동영상콘텐츠를 이용함에 있어, 댓글, 멘트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면서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며, 북마크와 같은 기능을 통하여 해당 동영상콘텐츠로부터 새로운 동영상콘텐츠를 재생산하는 것과 같이 동영상콘텐츠 자체에 직접 참여하길 원한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동영상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동영상콘텐츠를 좀 더 쉽게 이용하며, 동영상콘텐츠 내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동영상콘텐츠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동영상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은 언제 어디서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동영상을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동영상의 재생, 일시정지, 정지, 앞으로 또는 뒤로 감기, 재생속도의 배속 등의 기본적이고 단순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일반적으로 타임바 또는 시크바로 일컬어지는 재생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탐색바를 동영상의 재생시간 비율로 축약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시도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동영상의 부분을 탐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동영상콘텐츠가 하나의 스트림 형태로 제작되었을 뿐, 특정 주제에 따라 짧은 동영상을 취합하여 생성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사용자들은 본인이 원하는 주제의 동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 서버나 SNS에 분산되어 있는 동영상을 검색하여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현재 대부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텍스트, 사진, 짧은 영상을 활용하여 상호간에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을 뿐, 동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동영상콘텐츠에 직접 참여하여 댓글, 멘트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면서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목적을 가진 시청이 아닌 킬링 타임을 위한 재미있고 짧은 동영상 위주의 시청으로 바뀌는 사용자들의 동영상콘텐츠 소비 상황에 발맞추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짧은 동영상을 기반으로 검색, 소통, 평가 등을 수행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보유 및 생성하거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들을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모아 타임라인으로 표시해 주고, 스트림 내의 각 비디오 클립을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스크롤하여 원하는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며,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5229호(2005.09.29.)는 인터넷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자와 피강의자 사이의 실시간적 대화가 가능하면서도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진 강의의 철저한 복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강의자와 피강의자 사이의 실시간적 대화를 통하여 교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효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텍스트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소통하던 기존의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로 결합한 스트림을 통해 검색, 소통, 평가 등을 수행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동영상 표시부를 통해 재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정지, 소리크기 등을 피강의자로 하여금 제어하는 소통 방식을 적용한 구성과 비교해 볼 때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9442호(2012.07.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복수의 재생되는 프레임에 기반하여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선행기술은 재생되는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고, 재생되는 복수의 영상 중 선택된 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동일한 영상에서 재생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동시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확대된 화면 또는 전체 화면으로 재생하기를 원하는 하나의 세그먼트를 복수의 세그먼트에서 선택가능 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체 동영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확인하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스크롤하여 원하는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고, 타임라인상에서 스트림 내의 각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형성한 짧은 비디오 클립을 기반으로 검색, 소통, 평가 등을 수행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은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본 발명만의 특징적 구성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50727호(2012.05.22)는 휴대기기에서 재생 중인 동영상 내의 오브젝트 조작에 의한 동영상 제어 방법과 그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 오브젝트가 포함된 동영상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고, 표시부 위에 장착된 터치감지부를 통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을 인식하고, 제어명령 매핑 테이블을 조회하여 특정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고,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 중에서 터치감지부를 통해 특정 제어명령에 대한 선택을 인식하여 그 제어명령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오브젝트 매핑 테이블을 조회하여 특정 오브젝트가 동영상 제어가 가능한지 판단하고, 특정 오브젝트가 동영상 제어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고, 특정 오브젝트와 관련된 장면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특정 오브젝트가 등장하는 장면부터 다시 보기, 특정 오브젝트가 사라진 후의 장면으로 건너뛰기, 특정오브젝트가 나오는 장면만 모아서 보기 등의 기능을 지원하여 휴대기기를 통해 동영상콘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동영상을 좀 더 다양하고 세밀하게 제어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구현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짧은 동영상을 기반으로 검색, 소통, 평가 등을 수행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시하고 있고, 사용자가 스트림 내의 각 비디오 클립을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확인하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스크롤하여 원하는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고, 타임라인상에서 각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므로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적 구성과는 전혀 다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텍스트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소통하던 기존의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모바일을 통해 동영상을 기반으로 검색, 소통, 평가 등을 수행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보유 및 생성하거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들을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모아 타임라인으로 표시해 주도록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각 비디오 클립을 재생시간과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확인하도록 함은 물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자신이 원하는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임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 자신의 반응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별로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여러 개의 비디오 클립 각각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의미 있는 영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은, 플랫폼 서버에서, 회원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스트림 생성을 위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스트림 생성요청 접수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트림 생성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스트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림 제공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스트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스트림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의 회원 접속을 처리하는 로그인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로그인을 수행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그램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설치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다운로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반응정보를 해당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에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정보는,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스트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스트림은,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비디오 클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하여 생성하며, 각각의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별로 사용자가 지정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스트림은,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서비스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한 스트림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회원정보, 인증정보, 시스템 관리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생성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상기 스트림을 토대로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할 때,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비디오 클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하여 생성하며, 각각의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별로 사용자가 지정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할 때,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생성하거나 추출하는 생성 및 추출부; 상기 생성 및 추출부에서 신규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로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생성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검색, 평가, 사회적 관계 형성,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이용되는 각종 스트림의 생성,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상기 스트림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반응정보를 해당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에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정보는,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생성 및 추출부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과, 상기 결합부에서 신규로 생성한 스트림과,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에서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반영한 스트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된 각각의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회원 로그인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인기/추천 스트림, 자주 사용하는 스트림, 관심분야의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검색에 의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상기 스트림의 이용에 따른 사회적 관계 형성, 문자나 대화창을 이용한 일대일 또는 일대다의 실시간 대화, 사용자 프로필 및 평판정보, 소통정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생성된 스트림을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재생할 때,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하되, 타임라인을 통해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의 원하는 부분의 구간을 빠르게 탐색하고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생성하거나 추출하는 생성 및 추출부; 및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를 토대로 신규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비디오 클립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클립은,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영상,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보유한 영상,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영상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하며, 비디오 클립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상기 결합부에서 생성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검색, 평가, 사회적 관계 형성,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결합부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구간별로 정량화하고, 정량화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해당 구간의 비디오 클립에 동기화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는,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대한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생성 및 추출부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과, 상기 결합부에서 신규로 생성한 스트림과,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반영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된 각각의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결합부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하되,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통해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의 원하는 부분의 구간을 빠르게 탐색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는 상태바 영역 표시부; 홈(Home), 검색(Search), 클립생성(Clip Maker), 알림(Notification), 내 정보(M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부;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부; 및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은, 생성 및 추출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신규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비디오 클립 생성 및 추출 단계; 및 결합부에서, 상기 비디오 클립 생성 및 추출 단계를 통해 신규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는 스트림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결합되는 비디오 클립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클립은,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영상,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보유한 영상,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영상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하며, 비디오 클립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상기 스트림을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검색, 평가, 사회적 관계 형성,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은, 상기 결합부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구간별로 정량화하고, 정량화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해당 구간의 비디오 클립에 동기화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는,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대한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은, 상기 비디오 클립 생성 및 추출 단계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과,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신규로 생성한 스트림과,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반영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된 각각의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용방법은,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통해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의 원하는 부분의 구간을 빠르게 탐색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집하도록 하는 스트림 이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이용 단계는,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바 영역 표시 단계; 홈, 검색, 클립생성, 알림, 내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 단계;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 및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부; 및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상기 비디오 클립 및 상기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는 상태바 영역 표시부; 및 홈, 검색, 클립생성, 알림, 내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클립의 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부분 선택,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 스트림에 참여중인 사용자 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 표시부;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재생하고,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스트림 재생부;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스트림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재생위치, 비디오 클립 구분을 위한 구분자 표시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 및 상기 스트림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반응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재생부는, 사용자의 롱 터치 조작을 토대로 현재 재생중인 스트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되, 상기 비디오 클립별 대표 썸네일, 업로더 프로필 정보, 재생시간 정보를 표시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탐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재생부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토대로 업로더 정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클립의 반응 수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플레이(play)/일시정지(pause) 버튼을 포함한 온 스크린 기능을 노출시키며, 상기 온 스크린 기능이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메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메뉴는, 비디오 클립 재생부; 특정 비디오 클립의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현재 재생위치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 상기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반응정보와 관련된 코멘트 리스트, 반응 수를 포함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확장 표시부; 상기 비디오 클립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비디오 클립의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입력부; 및 업로더 정보, 조회 수, 반응 수, 핀 수, 공유 수, 비디오 클립의 태그 정보, 장소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카메라 메뉴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의 선택 및 편집을 토대로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부;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버튼과 상기 촬영버튼의 촬영가이드 및 촬영시간 정보를 나타내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기 저장된 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조작부; 및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상기 조작부에 표시된 영상 리스트 중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플랫폼 서버에서 추천하는 검색어와 사용자들이 입력한 인기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검색어가 선택되면 해당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인기/추천 검색어 표시부; 및 사용자가 북마크한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마크가 선택되면 해당 북마크의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북마크 검색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가 선택되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표시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 입력 과정에서 추가 검색어 입력을 위한 버튼조작이 이루어지면 현재 진행중인 검색어 입력을 완결한 후 추가 검색어 입력을 수행하며, 상기 키 입력부의 키조작을 토대로 입력되는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및 스트림 리스트를 검색결과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의 알림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알림대상 표시부; 및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에게 발생한 알림 리스트를 표시하는 알림 리스트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사용자 본인의 친구 수, 팬 수, 스트림 수를 표시하는 인적정보 표시부; 상기 스트림 구성을 위한 비디오 클립 생성과 새로운 스트림 생성을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및 스트림 생성부; 및 스트림 공유여부, 스트림 타이틀 및 비디오 클립 개수, 참여중인 다른 사용자 정보,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을 포함한 스트림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는 스트림 리스트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 단계는, 상기 비디오 클립 및 상기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는 상태바 영역 표시 단계; 및 홈, 검색, 클립생성, 알림, 내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스트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클립의 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부분 선택,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 스트림에 참여중인 사용자 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 표시 단계;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재생하고,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스트림 재생 단계;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스트림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재생위치, 비디오 클립 구분을 위한 구분자 표시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 단계; 및 상기 스트림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반응정보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기 스트림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비디오 클립을 재생하는 비디오 클립 재생 단계; 상기 비디오 클립의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현재 재생위치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 단계; 상기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 단계에 표시되는 사용자 반응정보와 관련된 코멘트 리스트, 반응 수를 포함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확장 표시 단계; 상기 비디오 클립 재생 단계를 통해 재생되는 비디오 클립의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입력 단계; 및 업로더 정보, 조회 수, 반응 수, 핀 수, 공유 수, 비디오 클립의 태그 정보, 장소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클립생성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카메라 메뉴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의 선택 및 편집을 토대로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메뉴의 선택을 확인하는 메뉴 선택 확인 단계;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버튼과 상기 촬영버튼의 촬영가이드 및 촬영시간 정보를 나타내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기 저장된 영상 리스트를 조작부에 표시하는 조작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상기 조작부에 표시된 영상 리스트 중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검색 메뉴 선택을 토대로, 플랫폼 서버에서 추천하는 검색어와 사용자들이 입력한 인기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검색어가 선택되면 해당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인기/추천 검색어 표시 단계; 및 사용자가 북마크한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마크가 선택되면 해당 북마크의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북마크 검색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알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의 알림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알림대상 표시 단계; 및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에게 발생한 알림 리스트를 표시하는 알림 리스트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내 정보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 본인의 친구 수, 팬 수, 스트림 수를 표시하는 인적정보 표시 단계; 상기 스트림 구성을 위한 비디오 클립 생성과 새로운 스트림 생성을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및 스트림 생성 단계; 및 스트림 공유여부, 스트림 타이틀 및 비디오 클립 개수, 참여중인 다른 사용자 정보,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을 포함한 스트림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는 스트림 리스트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따르면, 텍스트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소통하던 기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벗어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용자들 간에 개개인의 작은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모은 비디오 클립들이 타임라인으로 끊임없이 스트림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능동적으로 영상을 찾아보고 즐기고 소통하고 직접 만들어 업로드할 수 있으며,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혀 새로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짧은 동영상을 기반으로 검색, 소통, 평가 등을 수행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서 특정 목적을 가진 시청이 아닌 킬링 타임을 위한 재미있고 짧은 동영상 위주의 시청으로 바뀌는 사용자들의 동영상콘텐츠 소비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미지와 동영상 위주의 비주얼적인 소통 형태의 맞춤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보유 및 생성하거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들을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모아 타임라인으로 표시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의미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로 결합된 스트림 내의 각 비디오 클립을 재생시간과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확인할 수 있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자신이 원하는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으며, 타임라인 상에서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동영상을 기반으로 소통할 수 있는 구조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별적인 비디오 클립들을 마치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하여 타임라인으로 구분하여 출력함은 물론, 타임라인으로 구분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거나 수집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동영상 재생 방식과는 전혀 다른 영상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운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이 모여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할 때의 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특정 비디오 클립에서 태그 클릭에 의해 다른 스트림으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결합된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서 뷰타입 선택으로 원하는 구간만 골라보는 타임라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의 특정 구간별 사용자 반응정보를 통한 소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의 각 구간별 연관정보 연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타임라인을 이용한 탐색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트림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스트림 재생부의 롱터치에 의해 표시되는 스트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스트림 재생부의 터치에 의해 표시되는 온 스크린 기능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의 온 스크린 상의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비디오 클립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클립생성 UI부의 카메라 메뉴 선택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클립생성 UI부의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과 도 22의 클립생성 UI부의 대표영상(썸네일) 설정 및 업로드 정보 입력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검색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검색 UI부에서 검색어 직접 입력에 따른 검색결과화면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알림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 정보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과 도 29는 도 27의 내 정보 UI부에 표시되는 스트림 생성 선택에 따른 개인 스트림과 그룹 스트림을 각각 생성하기 위한 화면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적용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운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적용된 타임라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생성되는 비디오 클립의 결합, 이용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른 여러 개의 비디오 클립들의 결합, 이용 및 관리를 수행하는 플랫폼 서버에서는 각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①). 즉 플랫폼 서버에서는 SNS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특정 주제를 가진 짧은 영상들을 생성, 수집 및 관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랫폼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네트워크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숏컷 영상(비디오 클립) 등을 활용하여 상호간에 다양한 의견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폼 서버는 기존의 텍스트, 이미지, 숏컷 영상(비디오 클립)에 국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종 비디오 클립들을 기반으로 기록하거나 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확대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사용자들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플랫폼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여러 개의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하고, 스트림의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어,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편집프로그램)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존의 일반적인 재생프로그램처럼 전체 동영상 내에서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단순한 정보 제공 이외에,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전후 혹은 상하에 위치하고 있는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정보를 타임라인상에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에 각 사용자들이 직접 생성하거나 보유한 비디오 클립 및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들을 저장, 관리하고 있는 플랫폼 서버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디오 클립들의 결합을 위해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②).
판단결과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가 선택되면, 플랫폼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직접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③). 즉 각각의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영상,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보유한 영상,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영상인 비디오 클립을 생성하거나 추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거나 보유한 비디오 클립 및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하고(④),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이 결합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로 모아 타임라인 상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른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모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할 때, 플랫폼 서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른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모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별, 장소별로 묶어 결합하거나, 다른 사람의 영상에서 스크랩한 영상 구간을 주제별로 결합하여 관리하거나, 나와 친구만 만들 수 있는 제한적인 타임라인 스트림 영상을 결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른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모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할 때,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른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모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할 때, 사용자의 선택을 토대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에는 타임라인 정보가 포함된다. 즉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을 SNS를 통해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재생시간과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원하는 동영상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정보를 타임라인상에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텍스트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던 기존의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비디오 클립과 같은 영상을 통해 기록하고 대화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기존의 동영상 재생 방식과는 전혀 다른 개별적인 비디오 클립들을 마치 하나의 스트림처럼 타임라인으로 구분하여 출력함은 물론, 타임라인으로 구분된 각 구간별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제, SNS를 이용하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를 가진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하고, 비디오 클립들이 결합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과정에서, 플랫폼 서버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스트림의 재생 및 이용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특정 스트림의 재생 및 이용이 선택되면,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이 결합된 특정 스트림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 및 이용(즉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의 재생,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클립의 탐색, 사용자 반응정보의 표시 및 수집,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연관정보 제공 등)할 수 있도록 한다(⑥). 이때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은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해당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다운로드한 후 이용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사용자 #1)가 본인이 관심 있는 주제에 따라 결합한 비디오 클립들을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한 이후,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1과 관련된 다른 사용자(즉 사용자 #1의 아는 친구) 또는 사용자 #1과 관련없는 사용자(즉 사용자 #1과 모르는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사용자 #1이 업로드한 특정 주제에 따라 결합한 비디오 클립들을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 검색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재생하거나, 타임라인 정보를 토대로 전후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검색하거나,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관련된 사용자 반응정보를 확인하거나 직접 의견을 제시하거나,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연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의 각 구간에 대한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연관정보는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의 각 구간별 영역과 관련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URL, 이벤트, 게시판, 투표, 구매링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이다.
한편, 플랫폼 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반응정보가 변동되는 경우, 사용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구간별로 정량화하고, 정량화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해당 구간의 비디오 클립에 동기화시킨다.
이처럼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한 비디오 클립들의 상세한 이용과정을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NS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 서버에 접속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SNS 계정에 올라와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올린 '사이판'주제에 대한 비디오 클립들이 결합된 스트림을 선택(또는 검색창을 통해 본인이 관심 있는 주제로 사이판을 입력할 수도 있음)하면, 플랫폼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이판 주제에 대한 비디오 클립들이 결합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이판 주제와 관련된 날씨, 맛집, 의류나 축제에 대한 비디오 클립들을 재생하여 확인한다. 이때 상기 '사이판'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은 재생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제한없이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 기능이 제공된다.
그리고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비디오 클립에 포함된 태그가 클릭되면, 해당 태그와 관련된 내용을 토대로 생성한 스트림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이판'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꽃원피스'에 대한 특정 태그를 클릭하면, 해당 '꽃원피스'태그 주제를 토대로 결합된 다른 스트림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결합된 비디오 클립에서 전체보기, 업로더 설정구간, 사용자 인기구간 등의 뷰타입 선택을 통해 원하는 구간만 골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보기는 사용자들이 올린 영상을 풀타임 영상으로 보는 것이고, 업로더 설정구간 보기는 업로더가 비디오 클립을 업로드할 때 설정한 특정 구간만 보는 것이며, 사용자 인기 보기는 전체 사용자의 호응, 반응이 높은 인기 구간(예를 들어, 좋아요 클릭 수, 스크랩, 댓글이 많은 구간 등)만 보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의 특정 구간별 사용자 반응정보를 통한 소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의 특정 구간별로 사용자 반응(예를 들어, 좋아요 클릭, 스크랩, 댓글 등)을 등록하여 소통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디오 클립을 보는 과정에서 상세 보기를 선택하면 비디오 클립을 업로드한 사용자의 홈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올린 비디오 클립을 보는 과정에서 좋아요를 클릭하면 비디오 클립의 해당 구간의 좋아요 수치가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업로더가 비디오 클립의 특정 구간을 선택하여 메인에서 검색 시 보여질 핵심 구간을 설정할 수 있고, 비디오 클립의 전체 구간 및 현재의 구간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예를 들어, 좋아요 클릭 수, 댓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금 보고 있는 구간에서 댓글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와 도 10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의 구간별 연관정보 연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9는 특정 구간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 하부에 해당 구간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은 구간별 참여를 통하여 시청 집중도 향상, 호응도 확인이 가능하고, 즉시적인 피드백 제공으로 리얼타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실현이 가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타임라인을 이용한 탐색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이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받지 않고 스크롤하여 원하는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탐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타임라인 표시부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의 전체 탐색구간을 나타내는 탐색바, 탐색바에서 특정 비디오 클립의 탐색을 위한 탐색버튼, 하나의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구간정보를 표시하는 구간표시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100), 사용자 단말기(200), 플랫폼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등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100)는 유/무선 인터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등을 포함한 현재 공지되어 있는 각종 통신망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0)와 플랫폼 서버(3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SNS 사용자들과 플랫폼 서버(300) 간에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 PC 등의 기기로서, 플랫폼 서버(3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짧은 비디오 클립들을 복수 개 결합한 스트림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재생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은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의 재생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제한없이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타임라인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스트림에서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고,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300)는 SNS를 제공하는 사업자 측에서 운영하는 컴퓨터로서, 데이터베이스(4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 및 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비디오 클립 중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적합한 비디오 클립들을 추출하고,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를 토대로 추출된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결합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에는 타임라인 정보가 포함된다. 즉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들을 SNS를 통해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각 비디오 클립을 재생시간과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원하는 동영상 위치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것이다. 그리고 각 사용자들은 타임라인상에서 비디오 클립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300)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숏컷 영상(비디오 클립) 등을 활용하여 상호간에 다양한 의견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기존의 텍스트, 이미지, 숏컷 영상(비디오 클립)에 국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던 기존의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한 비디오 클립들을 기반으로 기록하고 대화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기존의 동영상 재생 방식과는 전혀 다른 개별적인 비디오 클립들을 마치 하나의 스트림처럼 타임라인으로 구분하여 출력함은 물론, 타임라인으로 구분된 각 비디오 클립별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자신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랫폼 서버(300)는 각각의 개인별 관심사나 주제별 비디오 클립들을 모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할 때, 각각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스트림을 생성할 때 태그별, 장소별로 묶어 결합하거나, 다른 사람의 스트림에서 스크랩한 비디오 클립을 개인별 관심사나 주제별로 결합하여 관리하거나, 나와 친구만 만들 수 있는 제한적인 타임라인 스트림을 결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300)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각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플랫폼 서버(30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정보(예를 들어, 회원 개인 정보, 로그인 정보, SNS 이용 데이터 등)를 저장, 관리하며, 플랫폼 서버(300)의 제어를 토대로 각각의 사용자들 및 이들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들을 저장, 관리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0)는 SNS 사용자들이 각종 관심사나 주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들을 저장, 관리한다.
한편, 각 사용자들은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여러 개의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거나, 또는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어,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편집프로그램)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10)는, 기존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재생프로그램처럼 전체 동영상 내에서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단순한 정보 제공 이외에, 플랫폼 서버(300)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한 비디오 클립들을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하거나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되,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전후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자신이 원하는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하고, 타임라인상에서 특정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 본인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10)는 상태바 영역 표시부(211),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 메뉴 영역 표시부(214) 등으로 구성된다.
상태바 영역 표시부(211)는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 사업자 명칭 등을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최상부에 위치한다.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는 사용자의 메뉴 영역 표시부(214)에 표시된 특정 메뉴의 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를 표시하거나, 각 메뉴별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는 메뉴 영역 표시부(214)의 메뉴 선택에 따른 각각의 메뉴별 화면 타이틀 표시, 사용자 프로필 정보 표시, 텍스트 입력 필드 표시, 각각의 메뉴별 서브메뉴 이동 버튼,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의 주제와 관련된 태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각종 액션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는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 주제에 따라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는 상기 비디오 클립 및 상기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메뉴별 기능 및 정보 표시,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된 비디오 클립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위치 표시, 스트림의 재생과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 리스트 표시 및 검색,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포함하는 스트림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이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정보 표시와 입력(즉 각 비디오 클립별로 좋아요, 추천, 댓글 등의 정량화된 사용자 반응정보의 표시나 사용자에 의한 반응정보 입력), 각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URL, 이벤트, 게시판, 투표, 구매링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연관정보 표시 등과 관련된 각종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거나 재생하는 것이다.
메뉴 영역 표시부(214)는 홈, 검색, 클립생성, 알림, 내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0), 데이터 관리부(320), 생성 및 추출부(330), 결합부(340),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35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360), 제어부(370)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이용되는 각종 스트림의 생성,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상기 스트림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즉 통신부(31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통신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스트림 생성에 관련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스트림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변화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350)를 통해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스트림에 반영하도록 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를 통해 관리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이 결합된 스트림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320)는 생성 및 추출부(330)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 결합부(340)에서 신규로 생성한 스트림과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350)에서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반영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함은 물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요청한 특정 스트림의 제공을 처리(즉 플랫폼 관리)하고, 회원으로 가입된 각각의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즉 사용자 관리)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즉 SNS 관리)한다.
생성 및 추출부(330)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직접 생성하도록 하거나, 또는 데이터 관리부(3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 중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추출하며, 신규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을 결합부(34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비디오 클립은,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영상,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보유한 영상,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영상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부(340)는 생성 및 추출부(3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를 토대로 신규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스트림을 생성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하여 생성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결합부(340)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하며, 비디오 클립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여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스트림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재생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들을 재생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특정 주제에 따른 비디오 클립들을 제한 없이 탐색할 수 있도록 타임라인이 제공된다.
또한, 결합부(340)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340)에서 생성되는 상기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350)는 상기 결합부(34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결합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구간별로 정량화하고, 정량화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해당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동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른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대한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36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요청을 토대로 상기 결합부(340)에서 생성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검색, 평가, 사회적 관계 형성,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370)는 통신부(310)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통신, 데이터 관리부(320)에서의 다양한 비디오 클립 및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다양한 비디오 클립들이 결합된 스트림의 데이터베이스(400) 저장 및 관리, 사용자의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 선택에 따른 생성 및 추출부(330)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 신규생성 및 추출된 비디오 클립의 결합부(340)에서의 결합,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로 결합한 스트림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반응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350)에서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정량화 및 동기화 처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360)에서의 각 사용자들 간의 SNS 제공 서비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각 메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을 도 1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트림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도 18의 온 스크린 상의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선택에 의해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비디오 클립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 내지 도 23은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클립생성 UI부의 카메라 메뉴 선택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와 도 25는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검색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알림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27 내지 도 29는 도 15의 콘텐츠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 정보 UI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스트림 UI부(220)는, 메뉴 영역 표시부(214)에 표시된 메뉴 중 사용자가 홈 메뉴의 스트림 상세를 선택함에 따라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스트림 정보 표시부(221), 스트림 재생부(222),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223), 반응정보 입력부(22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트림 UI부(22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본인이 직접 제작한 개인 또는 그룹 스트림의 경우, 타이틀, 공유 타입, 클립 구성, 친구 초대, 스트림 삭제, 등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에는 스트림의 종류(개인 스트림 또는 그룹 스트림) 및 타이틀, 태그목록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며, 닫기 버튼, 목록 버튼(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액션 리스트 확인을 위한 버튼) 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스트림 정보 표시부(22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클립의 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부분 선택,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 스트림에 참여중인 사용자 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스트림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트림 재생부(222)는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재생하고,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트림 재생부(222)는 사용자가 롱 터치 조작을 수행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재생중인 스트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으로 표시되는 비디오 클립 리스트에는 비디오 클립별 대표 썸네일, 업로더 프로필 정보, 재생시간 정보 등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좌우 스크롤을 통해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재생부(222)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수행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클립의 업로더 프로필, 이름, 시간을 포함한 정보와, 반응 수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플레이/일시정지 버튼을 포함한 온 스크린 기능이 노출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온 스크린 기능이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를 터치하면 비디오 클립 UI부(230)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223)는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의 타임라인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누적 반응 수를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각 비디오 클립의 사용자 본인의 반응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223)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각 비디오 클립의 재생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누적된 상태로 표시됨), 스트림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재생위치, 비디오 클립 구분을 위한 구분자 표시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사용자는 좌우 스크롤을 통해 비디오 클립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반응정보 입력부(224)는 사용자가 상기 스트림 재생부(222)를 통해 재생되는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해당 비디오 클립의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좋아요 버튼, 영상 코멘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버튼, 영상 코멘트를 보관하는 레이어의 노출을 위한 라이브러리 버튼 등이 구비된다.
도 20에 도시된 비디오 클립 UI부(230)는, 도 18의 온 스크린 상의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선택에 의해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비디오 클립 재생부(231),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232),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확장 표시부(233),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입력부(234), 비디오 클립 정보 표시부(235)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디오 클립 UI부(23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본인이 직접 제작한 비디오 클립의 경우, 썸네일, 클립 태그, 장소, 공유 타입 등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클립 재생부(231)는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비디오 클립을 재생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플레이/일시정지 버튼, 비디오 클립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지점 정보가 노출되는 온 스크린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232)는 비디오 클립 재생부(231)를 통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클립의 타임라인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현재 재생위치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확장 표시부(233)는 상기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232)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반응정보와 관련된 코멘트 리스트, 반응 수를 포함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로고가 표시되는 영역이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과 같이 시각적인 표시를 수행하는 것이다.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입력부(234)는 상기 비디오 클립 재생부(231)를 통해 재생되는 비디오 클립의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특정 구간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 선택을 통해 반복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핀 버튼,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클립의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좋아요 버튼, 영상 코멘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버튼, 영상 코멘트를 보관하는 레이어의 노출을 위한 라이브러리 버튼 등이 구비된다.
비디오 클립 정보 표시부(235)는 업로더 정보, 조회 수, 반응 수, 핀 수, 공유 수, 비디오 클립의 태그 정보, 장소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클립생성 UI부(240)는, 메뉴 영역 표시부(214)에 표시된 메뉴 중 사용자가 클립생성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도 21은 카메라 메뉴선택시의 화면구성이며, 도 22는 라이브러리 메뉴선택시의 화면구성이다.
상기 클립생성 UI부(240)는 메뉴 선택부(241), 조작부(242), 영상 표시부(243)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에는 사용자가 메뉴 선택부(241)의 카메라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는 클립생성 취소버튼, 카메라 전환버튼, 다음 하위메뉴(예를 들어, 비디오 클립에 관련된 태그정보나 장소 등) 선택버튼 등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메뉴 선택부(241)의 라이브러리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는 클립생성 취소버튼, 라이브러리 폴더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을 여러 가지 폴더에 나누어 분산한 경우 각각의 폴더 목록을 표시), 영상 편집을 위한 하위메뉴 이동버튼 등이 표시된다.
메뉴 선택부(241)는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카메라 메뉴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의 선택 및 편집을 토대로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카메라 버튼과 라이브러리 버튼이 구비된다.
조작부(242)는 사용자에 의한 메뉴 조작부(241)에 구비된 카메라 버튼 선택을 토대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버튼과 촬영버튼을 이용한 촬영가이드 및 촬영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242)는 사용자에 의한 메뉴 조작부(241)에 구비된 라이브러리 버튼 선택을 토대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표시부(243)는 사용자의 카메라 버튼 선택을 토대로 조작부(242)에 표시된 카메라 촬영버튼 및 촬영가이드를 통해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라이브러리 버튼 선택을 토대로 조작부(242)에 표시된 영상 리스트 중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3은 도 21과 도 22의 클립생성 UI부(240)의 대표영상(썸네일) 설정 및 업로드 정보 입력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영상 설정 영역 표시부(244)와 업로드 정보 입력부(245)로 구성된다.
영상 설정 영역 표시부(244)는 비디오 클립의 사운드 온/오프 디폴트 설정, 대표 썸네일 미리보기, 썸네일 변경(썸네일 표시부분에 구비된 버튼을 사용하여 변경)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업로드 정보 입력부(245)는 현재 생성하는 비디오 클립의 태그 정보, 장소, 공개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클립생성 UI부(24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비디오 클립 내의 각 구간을 자르거나, 더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하이라이트 구간을 설정하는 등의 각종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4와 도 25에 도시된 검색 UI부(250)는, 메뉴 영역 표시부(214)에 표시된 메뉴 중 사용자가 검색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도 24는 검색 메뉴 선택시 표시되는 화면구성이며, 도 25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사용자가 검색어를 직접 입력할 때의 화면구성이다.
상기 검색 UI부(250)는 인기/추천 검색어 표시부(251), 북마크 검색어 표시부(252), 키 입력부(253) 등으로 구성된다.
인기/추천 검색어 표시부(251)는 플랫폼 서버(300)에서 추천하는 검색어와 사용자들이 입력한 인기 검색어의 태그 리스트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검색어가 선택되면 해당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여 검색을 진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해당 검색어에 대한 결과 영상이 클립 내에서 재생되는 형태로 제공이 가능하며, 복수 개의 비디오 클립이 노출되는 경우 좌우 스크롤을 통해 탐색이 가능하다.
북마크 검색어 표시부(252)는 사용자가 북마크한 검색어의 태그 리스트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마크가 선택되면 해당 북마크의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여 검색을 진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북마크 검색어는 사용자가 북마크한 순서대로 노출되고, 설정된 북마크 검색어의 수가 많으면 사용자는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여 원하는 북마크 검색어를 탐색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검색어 표시부(252)에 표시되는 각각의 북마크 검색어는 사용자의 해제버튼 선택을 토대로 북마크 해제가 가능하다.
키 입력부(253)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키보드를 구현한 부분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가 선택되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 하부에 표시된다. 이때 검색결과화면에는 최근에 수행한 검색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253)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추가 검색어 입력을 위한 버튼조작(예를 들어, 검색어 입력 중 스페이스 버튼조작)을 수행하면, 현재 진행중인 검색어 입력을 완결한 후 추가 검색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키 입력부(253)의 키조작을 토대로 입력되는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및 스트림 리스트를 검색결과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한편, 상기 인기/추천 검색어 표시부(251)와 북마크 검색어 표시부(252)를 통해 표시되는 인기/추천 검색어 및 북마크 검색어에 대한 태그 리스트는 사용자가 검색 메뉴를 선택하면 디폴트 상태로 표시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면 해당 태그가 포함된 스트림과 비디오 클립의 검색결과가 화면에 표시된다. 물론, 사용자가 키 입력부(253)를 사용하여 직접 입력한 태그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검색결과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기/추천 검색어, 북마크 검색어, 직접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리스트 및 검색결과를 검색결과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알림 UI부(260)는, 메뉴 영역 표시부(214)에 표시된 메뉴 중 사용자가 알림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알림대상 표시부(261), 알림 리스트 표시부(262) 등으로 구성된다.
알림대상 표시부(261)는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의 알림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부분이다.
알림 리스트 표시부(262)는 알림대상 표시부(261)의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에게 발생한 알림 리스트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에게 발생한 알림 리스트는 알림이 발생한 타입의 대표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함께 표시되고, 알림이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 및 알림 시간이 표시된다.
도 27에 도시된 내 정보 UI부(270)는, 메뉴 영역 표시부(214)에 표시된 메뉴 중 사용자가 내 정보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콘텐츠 영역 표시부(213)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인적정보 표시부(271), 비디오 클립 및 스트림 생성부(272), 스트림 리스트 표시부(273)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본인 및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에는 사용자 본인의 경우 사용자 프로필 정보와 사용자에 관련된 각종 정보나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세팅버튼이 표시된다.
인적정보 표시부(271)는 사용자 본인의 친구 수, 팬 수, 스트림 수 등을 표시한다.
비디오 클립 및 스트림 생성부(272)는 새로운 스트림 구성을 위한 비디오 클립의 생성과 새로운 스트림 생성을 선택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마이클립 버튼과 뉴 스트림 버튼이 구비된다.
이때 사용자가 마이클립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리스트를 확인하는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해당 화면에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 시간 등이 노출되고,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 검색어 입력을 통해 비디오 클립을 찾을 수 있으며, 특정 비디오 클립이 선택되면 도 20의 비디오 클립 UI부(230)로 이동된다.
또한, 사용자가 뉴 스트림 버튼을 누르면 도 28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스트림과 그룹 스트림을 각각 생성하기 위한 화면으로 이동하여 스트림 정보 입력부(274)에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여 스트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개인 스트림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림 타이틀 입력, 공유타입 설정, 선택된 비디오 클립의 개수, 스트림에 태깅할 태그 입력 등을 수행하며, 그룹 스트림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림 타이틀 입력, 공유타입 설정, 친구 추가 및 초대 등을 수행한다.
스트림 리스트 표시부(273)는 스트림 공유여부, 스트림 타이틀 및 비디오 클립 개수, 참여중인 다른 사용자 정보,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을 포함한 스트림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27의 액션바 영역 표시부(212)에 구비된 세팅버튼의 사용자 선택을 토대로 타임라인을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셀룰러 데이터 사용여부 선택, 위치 정보 사용여부 선택, 동영상 갤러리 저장여부 선택 등의 각종 서비스 설정이나, 전자우편주소 입력, 닉네임, 비밀번호 변경, 프로필사진 변경 등을 포함한 프로필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에 라이브러리 폴더 설정 및 관리, 관심 비디오 클립 리스트 관리, 알림과 관련된 푸시 데이터 설정, 연관된 타 서비스(예를 들어, 페이스북) 이용설정, 로그인 및 인증 관리,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관리, 각종 문의사항 관리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30과 도 3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플랫폼 서버(300)에서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 및 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비디오 클립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한다(S100).
이때 상기 비디오 클립은 영상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각종 비디오 클립들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하는 플랫폼 서버(300)에서는 사용자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대한 짧은 비디오 클립들을 다수 개 모아 하나의 스트림형태로 결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스트림의 생성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S200).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스트림의 생성이 요청되면, 플랫폼 서버(3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4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 및 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클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비디오 클립 중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추출한다(S300).
S300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대한 비디오 클립들을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추출한 후, 플랫폼 서버(3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로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고(S400),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하나로 결합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500).
이때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결합한 스트림은, 사용자 본인 또는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재생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들을 재생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여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결합한 비디오 클립을 제한 없이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결합한 스트림은 복수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영상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림을 생성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각 스트림별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림을 생성하는 사용자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상기 S400 및 S500 단계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를 가진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하고, 상기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하는 과정에서, 플랫폼 서버(30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스트림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S600).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스트림이 요청되면,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 스트림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 및 이용(즉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의 재생,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클립의 탐색, 사용자 반응정보의 표시 및 수집,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연관정보 제공 등)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400)에서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S700).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재생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은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해당 구간의 비디오 클립을 우선 다운로드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이후, 플랫폼 서버(300)는 S700 단계를 통해 특정 스트림을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반응정보가 변동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구간별로 정량화하고, 정량화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해당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동기화한다. 이때 사용자 반응정보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른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대한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한편,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적용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사용자 #1이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스트림을 생성하고, 사용자 #1 및/또는 사용자 #2(SNS를 이용하는 다른 모든 사용자들을 의미하며,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2로 정의함)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스트림을 제공받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 #1이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면(1),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 #1에게 SNS 이용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한다(2).
플랫폼 서버로부터 SNS 이용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사용자 #1은 자신이 원하는 분야나 주제에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직접 생성한 후(3), 생성된 비디오 클립을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4).
이후 사용자 #1이 관심 있는 분야나 주제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여 비디오 클립을 하나로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을 요청하면(5),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거나 보유한 비디오 클립, 또는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하나의 스트림을 생성한다(6).
플랫폼 서버는 이렇게 생성된 스트림을 사용자 #1에게 제공하여 스트림 생성여부를 확인을 요청하고(7),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스트림 생성 확인신호가 전송되면(8), (6) 단계에서 생성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9).
이제, 사용자 #1 및/또는 사용자 #2가 플랫폼 서버로 특정 스트림을 요청하면(10), 플랫폼 서버에서는 요청받은 스트림을 검색하고(1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스트림을 로딩한 후(12), 상기 스트림을 사용자 #1 및/또는 사용자 #2에게 제공한다(13).
그러면, 사용자 #1 및/또는 사용자 #2는 (2) 단계에서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설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해당 스트림을 재생하여 이용한다(14). 즉 사용자 #1 및/또는 사용자 #2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특정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재생하고,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클립을 탐색하고, 각각의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연관정보를 제공받는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스트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1 및/또는 사용자 #2가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입력하면(15),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 #1 및/또는 사용자 #2의 반응정보를 해당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에 반영하고(16), 사용자 반응정보가 반영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저장한다(17).
이처럼, 본 발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용자들 간에 개개인의 작은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모은 비디오 클립들이 타임라인으로 끊임없이 스트림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능동적으로 영상을 찾아보고 즐기고 소통하고 직접 만들어 업로드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토대로 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텍스트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소통하던 기존 방식을 벗어나 전혀 새로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특정 목적을 가진 시청이 아닌 킬링 타임을 위한 재미있고 짧은 동영상 위주의 시청으로 바뀌는 사용자들의 동영상콘텐츠 소비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미지와 동영상 위주의 비주얼적인 소통 형태의 맞춤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보유 및 생성하거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들을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의 스트림으로 모아 타임라인으로 표시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의미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로 결합된 스트림 내의 각 비디오 클립을 재생시간과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확인할 수 있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여 비디오 클립의 위치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으며, 타임라인 상에서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비디오 클립들을 마치 하나의 스트림으로 결합하여 타임라인으로 구분하여 출력하고, 타임라인으로 구분된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거나 수집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동영상 재생 방식과는 전혀 다른 영상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동영상을 기반으로 소통할 수 있는 구조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네트워크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11 : 상태바 영역 표시부
212 : 액션바 영역 표시부 213 : 콘텐츠 영역 표시부
214 : 메뉴 영역 표시부 220 : 스트림 UI부
230 : 비디오 클립 UI부 240 : 클립생성 UI부
250 : 검색 UI부 260 : 알림 UI부
270 : 내 정보 UI부 300 : 플랫폼 서버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 관리부
330 : 생성 및 추출부 340 : 결합부
350 :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 360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
370 : 제어부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32)

  1. 플랫폼 서버에서, 회원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스트림 생성을 위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스트림 생성요청 접수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트림 생성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스트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림 제공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스트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스트림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의 회원 접속을 처리하는 로그인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로그인을 수행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그램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설치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다운로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반응정보를 해당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에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응정보는,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스트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거나;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비디오 클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하여 생성하며, 각각의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별로 사용자가 지정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서비스를 사용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5.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한 스트림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회원정보, 인증정보, 시스템 관리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생성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상기 스트림을 토대로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고,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할 때,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비디오 클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비디오 클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하여 생성하거나 - 각각의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별로 사용자가 지정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포함;
    사용자가 선택하는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할 때,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상기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생성하거나 추출하는 생성 및 추출부;
    상기 생성 및 추출부에서 신규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로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생성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검색, 평가, 사회적 관계 형성,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이용되는 각종 스트림의 생성,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상기 스트림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반응정보를 해당 스트림 내의 비디오 클립에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
    상기 생성 및 추출부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과, 상기 결합부에서 신규로 생성한 스트림과,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에서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반영한 스트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된 각각의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는,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회원 로그인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인기/추천 스트림, 자주 사용하는 스트림, 관심분야의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검색에 의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상기 스트림의 이용에 따른 사회적 관계 형성, 문자나 대화창을 이용한 일대일 또는 일대다의 실시간 대화, 사용자 프로필 및 평판정보, 소통정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생성된 스트림을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재생할 때,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하되,
    타임라인을 통해 상기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의 원하는 부분의 구간을 빠르게 탐색하고 각각의 비디오 클립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12.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생성하거나 추출하는 생성 및 추출부; 및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를 토대로 신규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비디오 클립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을 제공하거나;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영상,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보유한 영상,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영상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하며, 비디오 클립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거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이 제공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상기 결합부에서 생성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검색, 평가, 사회적 관계 형성,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
    상기 결합부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구간별로 정량화하고, 정량화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해당 구간의 비디오 클립에 동기화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부;
    상기 생성 및 추출부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과, 상기 결합부에서 신규로 생성한 스트림과,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반영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된 각각의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는,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대한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결합부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하되,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통해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의 원하는 부분의 구간을 빠르게 탐색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는 상태바 영역 표시부;
    홈(Home), 검색(Search), 클립생성(Clip Maker), 알림(Notification), 내 정보(M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부;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부;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부;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19. 생성 및 추출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신규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비디오 클립 생성 및 추출 단계; 및
    결합부에서, 상기 비디오 클립 생성 및 추출 단계를 통해 신규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비디오 클립들을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는 스트림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결합되는 비디오 클립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을 제공하거나;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제작한 영상, 각각의 사용자들이 직접 보유한 영상, 상기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보유한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영상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와 관련된 복수의 비디오 클립들을 날짜, 최신, 추천, 인기, 관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정렬하여 결합하며, 비디오 클립의 주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포함하거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로 필터 적용, 음악 삽입, 구간 자르기, 배속 설정, 메타정보 입력, 타서비스 공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아이템을 이용한 꾸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 기능이 제공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대에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최초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비공개로 전환되거나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상기 스트림을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검색, 평가, 사회적 관계 형성,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단계;
    상기 결합부에서 개인별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구간별로 정량화하고, 정량화한 사용자 반응정보를 해당 구간의 비디오 클립에 동기화하는 사용자 반응정보 처리 단계;
    상기 비디오 클립 생성 및 추출 단계에서의 비디오 클립 신규생성 및 추출과,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신규로 생성한 스트림과,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변화되는 정보를 반영한 스트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특정 스트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된 각각의 사용자별 회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단계;
    상기 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통해 각각의 구간별 비디오 클립의 원하는 부분의 구간을 빠르게 탐색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집하도록 하는 스트림 이용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반응정보는,
    각 구간별 비디오 클립에 대한 북마크, 추천, 스티커 및 이모티콘을 포함한 감정표현과, 텍스트 및 동영상 코멘트를 포함하는 댓글과, 다른 사용자들의 재공유 및 재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이용 단계는,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바 영역 표시 단계;
    홈, 검색, 클립생성, 알림, 내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 단계;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운영방법.
  25.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부; 및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상기 비디오 클립 및 상기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는 상태바 영역 표시부; 및
    홈, 검색, 클립생성, 알림, 내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클립의 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부분 선택,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 스트림에 참여중인 사용자 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 표시부;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재생하고,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스트림 재생부;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스트림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재생위치, 비디오 클립 구분을 위한 구분자 표시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
    상기 스트림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반응정보 입력부;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카메라 메뉴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의 선택 및 편집을 토대로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부;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버튼과 상기 촬영버튼의 촬영가이드 및 촬영시간 정보를 나타내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기 저장된 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조작부;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상기 조작부에 표시된 영상 리스트 중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플랫폼 서버에서 추천하는 검색어와 사용자들이 입력한 인기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검색어가 선택되면 해당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인기/추천 검색어 표시부;
    사용자가 북마크한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마크가 선택되면 해당 북마크의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북마크 검색어 표시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가 선택되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표시되는 키 입력부 - 상기 검색어 입력 과정에서 추가 검색어 입력을 위한 버튼조작이 이루어지면 현재 진행중인 검색어 입력을 완결한 후 추가 검색어 입력을 수행하며, 상기 키 입력부의 키조작을 토대로 입력되는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및 스트림 리스트를 검색결과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것;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의 알림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알림대상 표시부;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에게 발생한 알림 리스트를 표시하는 알림 리스트 표시부;
    사용자 본인의 친구 수, 팬 수, 스트림 수를 표시하는 인적정보 표시부;
    상기 스트림 구성을 위한 비디오 클립 생성과 새로운 스트림 생성을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및 스트림 생성부;
    스트림 공유여부, 스트림 타이틀 및 비디오 클립 개수, 참여중인 다른 사용자 정보,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을 포함한 스트림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는 스트림 리스트 표시부;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재생부는,
    사용자의 롱 터치 조작을 토대로 현재 재생중인 스트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되, 상기 비디오 클립별 대표 썸네일, 업로더 프로필 정보, 재생시간 정보를 표시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각각의 비디오 클립을 탐색할 수 있거나;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토대로 업로더 정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클립의 반응 수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플레이(play)/일시정지(pause) 버튼을 포함한 온 스크린 기능을 노출시키며, 상기 온 스크린 기능이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메뉴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메뉴는,
    비디오 클립 재생부;
    특정 비디오 클립의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현재 재생위치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
    상기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반응정보와 관련된 코멘트 리스트, 반응 수를 포함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확장 표시부;
    상기 비디오 클립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비디오 클립의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입력부; 및
    업로더 정보, 조회 수, 반응 수, 핀 수, 공유 수, 비디오 클립의 태그 정보, 장소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토대로 각각의 메뉴별 화면타이틀 정보와 기능이용이나 서브메뉴이동을 위한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비디오 클립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 특정 주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클립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스트림의 생성, 검색,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영역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 단계는,
    상기 비디오 클립 및 상기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미리 지정된 스케일로 표시하며, 화면의 크기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좌우 혹은 상하로 스크롤하여 탐색할 수 있는 타임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중인 서비스나 사업자 명칭을 표시하는 상태바 영역 표시 단계; 및
    홈, 검색, 클립생성, 알림, 내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32.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스트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클립의 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부분 선택,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각의 비디오 클립 리스트, 스트림에 참여중인 사용자 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 표시 단계;
    특정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결합한 스트림을 재생하고,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스트림 재생 단계;
    비디오 클립별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스트림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재생위치, 비디오 클립 구분을 위한 구분자 표시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 단계;
    상기 스트림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스트림 내의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반응정보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기 스트림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비디오 클립 상세정보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비디오 클립을 재생하는 비디오 클립 재생 단계;
    상기 비디오 클립의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사용자의 반응시점에 대한 정보, 다른 사용자들의 누적 반응정보, 현재 재생위치를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며, 좌우 스크롤을 통해 재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 단계;
    상기 비디오 클립 타임라인 및 반응정보 표시 단계에 표시되는 사용자 반응정보와 관련된 코멘트 리스트, 반응 수를 포함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확장 표시 단계;
    상기 비디오 클립 재생 단계를 통해 재생되는 비디오 클립의 반응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반응정보 입력 단계;
    업로더 정보, 조회 수, 반응 수, 핀 수, 공유 수, 비디오 클립의 태그 정보, 장소를 포함한 비디오 클립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비디오 클립 정보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클립생성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카메라 메뉴 또는 기 저장된 영상의 선택 및 편집을 토대로 비디오 클립을 등록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메뉴의 선택을 확인하는 메뉴 선택 확인 단계;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버튼과 상기 촬영버튼의 촬영가이드 및 촬영시간 정보를 나타내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기 저장된 영상 리스트를 조작부에 표시하는 조작 단계;
    사용자의 상기 카메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상기 라이브러리 메뉴 선택을 토대로 상기 조작부에 표시된 영상 리스트 중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검색 메뉴 선택을 토대로, 플랫폼 서버에서 추천하는 검색어와 사용자들이 입력한 인기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검색어가 선택되면 해당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인기/추천 검색어 표시 단계;
    사용자가 북마크한 검색어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마크가 선택되면 해당 북마크의 검색어를 상기 액션바 영역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북마크 검색어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알림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의 알림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알림대상 표시 단계;
    사용자 본인 또는 친구에게 발생한 알림 리스트를 표시하는 알림 리스트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내 정보 메뉴 선택을 토대로, 사용자 본인의 친구 수, 팬 수, 스트림 수를 표시하는 인적정보 표시 단계;
    상기 스트림 구성을 위한 비디오 클립 생성과 새로운 스트림 생성을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클립 및 스트림 생성 단계;
    스트림 공유여부, 스트림 타이틀 및 비디오 클립 개수, 참여중인 다른 사용자 정보, 스트림 내 각각의 비디오 클립별 썸네일을 포함한 스트림 리스트를 타임라인으로 표시하는 스트림 리스트 표시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1020170114992A 2016-09-28 2017-09-08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92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0574 WO2018062795A1 (ko) 2016-09-28 2017-09-26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4849 2016-09-28
KR1020160124849 2016-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34A true KR20180035134A (ko) 2018-04-05
KR101924978B1 KR101924978B1 (ko) 2018-12-04

Family

ID=6197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92A KR101924978B1 (ko) 2016-09-28 2017-09-08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9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09B1 (ko) * 2020-04-14 2021-09-17 이상인 동영상 타임 링크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354593B1 (ko)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머신러닝을 통한 영상 편집 타입 구분 및 편집점 추천 알고리즘 고도화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375534B1 (ko) * 2021-09-14 2022-03-17 주식회사 아우름플래닛 동영상 하이라이팅 장치 및 방법
WO2022255644A1 (ko) * 2021-05-31 2022-12-08 호라이즌 주식회사 해시 태그 기반 생각 정보 정리 장치 및 그의 생각 정보 정리 방법
CN115695910A (zh) * 2022-09-27 2023-02-0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视频编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033526A1 (ko) * 2021-08-30 2023-03-09 올더스트릿(주) 위치 기반 동영상 서비스 서버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002B1 (ko) * 2020-11-25 2023-03-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방법
KR102567051B1 (ko) * 2021-04-21 2023-08-14 주식회사 카카오 단말의 동작 방법 및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6028B2 (en) * 2001-06-15 2005-12-13 Sony Corporation Media content creating and publishing system and process
US20150370474A1 (en) * 2014-06-19 2015-12-24 BrightSky Labs, Inc. Multiple view interface for video edit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09B1 (ko) * 2020-04-14 2021-09-17 이상인 동영상 타임 링크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354593B1 (ko)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머신러닝을 통한 영상 편집 타입 구분 및 편집점 추천 알고리즘 고도화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WO2022255644A1 (ko) * 2021-05-31 2022-12-08 호라이즌 주식회사 해시 태그 기반 생각 정보 정리 장치 및 그의 생각 정보 정리 방법
WO2023033526A1 (ko) * 2021-08-30 2023-03-09 올더스트릿(주) 위치 기반 동영상 서비스 서버 및 시스템
KR102375534B1 (ko) * 2021-09-14 2022-03-17 주식회사 아우름플래닛 동영상 하이라이팅 장치 및 방법
CN115695910A (zh) * 2022-09-27 2023-02-0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视频编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978B1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978B1 (ko)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JP6713571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US20210288932A1 (en) Shared Content Presentation With Integrated Messaging
EP2891032B1 (en) Enhancing video content with extrinsic data
US20140108932A1 (en) Online search, storage, manipulation, and delivery of video content
US10009398B2 (en) System for providing event-related contents to users attending an event and having respective user terminals
US20130198642A1 (en)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WO2017218901A1 (en) Application for enhancing metadata tag uses for social interaction
TW20095040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rolling and/or rendering media in a network
CN101390032A (zh) 用于存储、编辑和共享数字视频的系统和方法
US11277668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JP2021535656A (ja) ビデオ処理方法、装置、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849096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gram recommendation system, program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gram recommendation program
JP201404988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記憶媒体
JPWO2013061497A1 (ja) コンテンツの評価再生システム
US20180048937A1 (en) Enhancing video content with personalized extrinsic data
JP2008312060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管理装置、画像処理装置、これらにおける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087742A1 (ja) 動画再生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201303329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627169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2023026054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525154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
JP6527930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WO2018062795A1 (ko)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JP2008310697A (ja) 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装置、これらにおける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