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88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888A
KR20180034888A KR1020160124649A KR20160124649A KR20180034888A KR 20180034888 A KR20180034888 A KR 20180034888A KR 1020160124649 A KR1020160124649 A KR 1020160124649A KR 20160124649 A KR20160124649 A KR 20160124649A KR 20180034888 A KR20180034888 A KR 2018003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isplay device
unit
clos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091B1 (ko
Inventor
이동일
최상호
한성욱
박정규
장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091B1/ko
Priority to PCT/KR2017/010839 priority patent/WO2018062900A1/en
Priority to US15/719,374 priority patent/US10180591B2/en
Priority to EP17856786.3A priority patent/EP3519885A4/en
Publication of KR2018003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8Illuminating devices with 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Air circulating in closed loop within enclosure wherein heat is removed through heat-exchang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02F2001/13362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열을 수행하고 실링 구조를 단순화 하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결합한 백라이트 유닛부, 상기 백라이트 유닛부의 배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하고, 부품을 실장하는 미들 프레임, 상기 미들 프레임의 배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3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여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 공간의 일측에 전면이 향하는 폐쇄 쿨링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쿨링부의 후면까지 닫힌 유로를 형성하는 폐쇄 열교환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외부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폐쇄 열교환부와 열 교환하는 개방 열교환부 및 상기 개방 열교환부와 외부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형성하는 개방 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조립 및 생산 공정의 효율화 및 사용자의 사용성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식에는 크게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패널 소자가 직접 발광하는 방식과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 에 빛을 주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별도로 구비되어 구비되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후자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양자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시 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방열 구조를 필요로 한다. 열은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뿐만 아니라 이미지 출력을 구동하는 전자적 부품 등이 실장되는 기판에도 발생한다. 따라서 열이 발생하는 각 구성에 대한 방열을 필요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은 외기가 직접적으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나뉠 수 있다.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방식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실내에서 사용되는 TV, 모니터 등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방수 또는 방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경우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장치 외부의 외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장치 외부로 다시 나가 방열을 수행한다.
반면 실외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공기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특히 고려된다.
특히 실외에서 사용되는 중형 및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야외 시인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아야 한다. 또한 외부의 높은 온도에 그대로 방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치의 발열 문제가 큰 이슈가 된다.
이러한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열 구조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공랭식 및 수냉식이 있으며, 부수적인 형태로 히트 파이프 등을 이용한 접촉식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열 냉각 방식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형 및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냉각 시키기 위한 방식 중 공랭식의 경우, 외부의 공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그대로 유입되되 필터를 이용하여 먼지 및 유입물을 걸러내는 직접 냉각 방식이 있고, 또는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장치 외부 공기와 장치 내부 공기를 원칙적으로 차단하여 서로 열 교환만 발생시키는 간접 냉각 방식이 있다.
간접 냉각 방식의 경우 외부와 공기가 섞이지 않는 다는 점에서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외부와의 실링을 위한 추가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을 공급받아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립 및 생산하는 공급자 입장에서는 공급받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다시 재가공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실링 구조가 매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실링 구조를 단순화 하고 공급받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최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생산하는 구조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잡한 실링 구조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공급받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최대한 변형 없이 가공하여 최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생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결합한 백라이트 유닛부, 상기 백라이트 유닛부의 배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하고, 부품을 실장하는 미들 프레임, 상기 미들 프레임의 배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3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여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 공간의 일측에 전면이 향하는 폐쇄 쿨링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쿨링부의 후면까지 닫힌 유로를 형성하는 폐쇄 열교환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외부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폐쇄 열교환부와 열 교환하는 개방 열교환부 및 상기 개방 열교환부와 외부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형성하는 개방 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폐쇄 쿨링부의 유입 공기를 나누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각각 유입시키는 가이드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챔버는 상기 폐쇄 쿨링부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가는 방향에 대해 유로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어 케이스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리어 케이스를 체결하는 힌지부 및 일측이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측에, 타측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결합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는 가스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 쿨링부의 후면의 유로를 가이드 하는 팬 브라켓 및 상기 팬 브라켓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팬 브라켓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 쿨링부의 후면의 유로를 가이드 하는 팬 브라켓,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 열교환부와 상기 팬 브라켓의 유로를 가이드 하는 하부 덕트 홀 및 상기 팬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덕트 홀과 접하는 제1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경계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2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부의 배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는 패널 구동부, 상기 미들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패널 구동부와 상기 미들 프레임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부 결합의 일단 모서리에 안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부의 배면 일부에 고정되는 픽셀 브라켓 및 상기 픽셀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 일 영역과 겹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화상 이미지 일부를 센싱하는 픽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픽셀 브라켓은 'ㄷ'형상으로 구비되고, 양 단 사이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부 결합의 두께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냉각된 공기가 독립적으로 발열 공간으로 유입되어 효과적인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열교환기가 미들 프레임이 아닌 리어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어 실링 구조가 단순화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어 케이스를 프론트 케이스에 개폐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어 케이스를 비교적 적은 힘으로 개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의 유동이 의도하지 않은 영역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픽셀 센서를 용이하게 위치 조절하고 결합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열교환부의 일 실시 예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 구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후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후면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폐쇄 쿨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부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리어 케이스가 열린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미들 프레임 분해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센싱 모듈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외선 수신 모듈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모든 장치를 통칭한다.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TV, 아날로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옥외 형 함체에 설치되는 사이니지와 같은 중형 내지 대형 출력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외 광고판 등을 예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옥외 형 함체에 설치되는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초점을 두어 개발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식에는 크게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패널 소자가 직접 발광하는 방식과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 에 빛을 주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별도로 구비되어 구비되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후자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양자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시 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방열 구조를 필요로 한다. 열은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뿐만 아니라 이미지 출력을 구동하는 전자적 부품 등이 실장되는 기판에도 발생한다. 따라서 열이 발생하는 각 구성에 대한 방열을 필요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은 외기가 직접적으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나뉠 수 있다.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방식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실내에서 사용되는 TV, 모니터 등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방수 또는 방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경우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장치 외부의 외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장치 외부로 다시 나가 방열을 수행한다.
반면 실외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공기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특히 고려된다.
특히 실외에서 사용되는 중형 및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야외 시인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아야 한다. 또한 외부의 높은 온도에 그대로 방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치의 발열 문제가 큰 이슈가 된다.
이러한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열 구조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공랭식 및 수냉식이 있으며, 부수적인 형태로 히트 파이프 등을 이용한 접촉식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열 냉각 방식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형 및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냉각 시키기 위한 방식 중 공랭식의 경우, 외부의 공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그대로 유입되되 필터를 이용하여 먼지 및 유입물을 걸러내는 직접 냉각 방식이 있고, 또는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장치 외부 공기와 장치 내부 공기를 원칙적으로 차단하여 서로 열 교환만 발생시키는 간접 냉각 방식이 있다.
간접 냉각 방식의 경우 외부와 공기가 섞이지 않는 다는 점에서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외부와의 실링을 위한 추가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을 공급받아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립 및 생산하는 공급자 입장에서는 공급받은 디스플레이 모듈(201)을 다시 재가공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실링 구조가 매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실링 구조를 단순화 하고 공급받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최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생산하는 구조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열교환부(310)의 일 실시 예이다.
열교환기(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내부가 장치 외부로부터 밀폐된 형태 중 교차 냉각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된다.
열교환기(310)는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가 되는 폐쇄 열교환부(311), 나머지 하나는 외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가 되는 개방 열교환부(312)가 될 수 있다.
폐쇄 열교환부(311)의 입구 및 출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열을 머금은 높은 온도의 공기가 열교환기(310)의 입구로 들어오게 된다. 개방 열교환부(312)의 입구 및 출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공기와 섞이지 않는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개방 열교환부(312)는 폐쇄 열교환부(311)와 열교환을 한다. 폐쇄 열교환부(311)의 입구로 들어온 높은 온도의 공기는 개방 열교환부(312)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에 열을 전달한다.
폐쇄 열교환부(311)는 개방 열교환부(312)에 열전달을 함으로써 다시 식은 공기가 출구로 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공급되고 방열 사이클이 완료된다.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해 개방 열교환부(312)와 폐쇄 열교환부(311)는 넓은 접촉면적을 가져야 하고, 접촉면의 물질 재료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열교환기(310)의 접촉면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개방 열교환부(312) 및 폐쇄 열교환부(311)는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각각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각 홀은 격벽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격벽은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한다.
개방 열교환부(312)의 각 홀이 모여 개방 열교환부(312)는 하나의 레이어 형태를 구성할 수 있고, 폐쇄 열교환부(311)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레이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개방 열교환부(312)와 폐쇄 열교환부(311)는 각 레이어가 교차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개방 열교환부(312)와 폐쇄 열교환부(311)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유로를 가질 수 있다. 개방 열교환부(312)가 폐쇄 열교환부(311)가 수직으로 구비되는 경우 격벽이 서로 수직으로 구비되어 여러 방향으로의 열전달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열전달이 가능하다.
열전달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하나의 조건으로 열교환기(310)를 통과하는 공기의 빠른 유량이다. 공기의 유량을 형성하여 교환된 열이 정체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팬(211)이 구비될 수 있다.
팬(211)은 개방 열교환부(312)의 입구 또는 출구 중 적어도 일측에, 또 폐쇄 열교환부(311)의 입구 또는 출구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은 후술하는 폐쇄 쿨링부(210) 및 개방 쿨링부(230)가 각각 수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방열 구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공기가 내부 순환하는 방향의 일 단면, 도 2(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공기가 외부(413) 순환하는 방향의 일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에도 상기 형태의 개방 열교환부 및 폐쇄 열교환부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액정 패널(4102) 및 백라이트 유닛부(4011) 결합의 디스플레이 모듈(410)이 구비되고, 백라이트 유닛부(4011)의 배면에 일정 갭이 형성되도록 기판이 구비된다. 기판의 배면에는 열교환기(420)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의 내부에 열교환기(420)가 상기 구성들이 모두 실장된다.
열교환기(420)의 폐쇄 열교환부는 기판 배면의 열, 디스플레이 모듈(410) 전면의 열을 전체적으로 순환 시킨다. 개방 열교환부는 폐쇄 열교환부를 통해 유입된 열을 외부(413)로 방출시킨다.
집중적으로 열이 발생하는 영역은 액정 패널의 전면, 백라이트 유닛부(4101)의 배면, 기판(412) 영역이 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분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400) 내부를 전체적으로 순환시키므로 완전히 식지 못한 공기가 다시 방열을 요구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420)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내부에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개방 열교환부가 외부(413)와 열교환을 해야 하므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실링 구조를 장치 내부에서 구현해야 한다.
또한 열교환기(420)가 디스플레이 장치(400) 내부 공간에 실장되며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로 인해 다른 구조 및 부품들이 실장될 공간에 제약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 집중적인 열이 더 발생할 수 있다.
또, 액정 패널(4102), 백라이트 유닛부(4101) 및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부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410)로 공급되어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액정 구동부가 외부(413)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를 분리하여 기판 배면인 디스플레이 장치(400) 내부로 옮겨야 하는 비용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 정보 모듈(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은 내부에 디스플레이 장치(100) 구성들을 실장하기 위한 전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외관 및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장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1)과 백라이트 유닛부(2012)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11)은 액정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부(2012)는 디스플레이 패널(2011) 배면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1) 배면에 빛을 제공한다. 백라이트 유닛부(2012)는 특히 직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202)은 디스플레이 모듈(20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202)은 특히 절연 재질의 기판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필요한 전자적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구비되어 미들 프레임(202)을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리어 케이스(102)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대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부(200)에서의 공기 흐름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11)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 내측과 제1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202)은 백라이트 유닛부(2012)의 배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1) 하단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하단과 제1 거리 떨어져 구비되어 프론트 케이스(101)는 폐쇄 쿨링부(210)가 구비되기 위한 제1 팬(211) 안착부(204)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모듈(201)의 상단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하단과 제2 거리 떨어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거리 이격된 공간은 후술하는 공기의 유로 중 상부 유로(205)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한다.
리어 케이스(102)가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하면 리어 케이스(102)의 전면 플레이트(1021)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구비된 미들 프레임(202)의 배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202)과 리어 케이스(102)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제3 공간으로 정의한다.
제3 공간은 미들 프레임(202)이 구비된 전자 부품(203)의 방열을 위한 공기가 흘러가는 유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11)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열은 제1 공간을 지나는 공기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부(2012)에서 발생한 열은 제2 공간을 지나는 공기에 의해, 그리고 미들 프레임(202)의 전자 부품(203) 등에서 발생한 열은 제3 공간을 지나는 공기에 의해 방열될 수 있다.
폐쇄 쿨링부(210)는 방열을 위한 내부 공기 순환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구성을 가리킨다.
폐쇄 쿨링부(210)는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패널(2011) 및 백라이트 유닛부(2012) 결합의 하단, 즉 제1 팬(211) 안착부(204)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폐쇄 쿨링부(2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하단에 구비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 상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폐쇄 쿨링부(210)는 폐쇄 쿨링부(210)의 팬(211) 회전을 통해 팬(211) 전면과 후면의 압력 차이를 발생시켜 제1 공간,제2 공간 및 제3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때 폐쇄 쿨링부(210)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는 상술한 열교환기(310)를 지난 식은 공기이다. 즉, 종래와 달리 제1 공간 내지 제3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모두 폐쇄 쿨링부(210)를 지난 공기에 해당하므로 다른 영역에서 가열된 공기가 들어오지 않아 높은 방열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에 각각 유입된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곳곳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어 상부 유로(205)로 흘러간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후면부(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후면부(3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부(300)에서의 공기 흐름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후면부(300)는 리어 케이스(102) 및 리어 케이스(102)에 실장되는 구성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리어 케이스(102)가 결합한다.
리어 케이스(102)는 전면 플레이트(1021) 및 후면 플레이트(1022)가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리어 케이스(102)가 만든 내부 공간의 중앙 부근에는 열교환기(310)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310)의 상하 양측에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 브라켓(331) 및 하부 브라켓(3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331) 및 하부 브라켓(332)은 전면부(200)로부터 나온 공기 또는 전면부(200)로 들어가는 공기가 의도하지 않은 곳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한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실장되는 열교환기(310)를 경계로 열교환기(3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을 제4 공간, 열교환기(3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간을 제5 공간으로 정의한다. 즉, 하부 브라켓(332)이 형성하는 공간을 제4 공간, 상부 브라켓(331)이 형성하는 공간을 제5 공간이 된다.
열교환기(310), 특히 폐쇄 열교환부(311)를 통해 식어진 공기는 제4 공간에서 폐쇄 쿨링부(210)로 유입되는 공기는 하부 덕트 홀(321)을 통해 폐쇄 쿨링부(210)로 들어간다.
폐쇄 쿨링부(210)를 지나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5 내지 도 7에서 한 바와 같다.
제1 공간 내지 제3 공간을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는 전면부(200)의 상부 유로(205)를 지나 상부 덕트 홀(322)을 통해 후면부(300)로 유입된다.
상부 덕트 홀(322)을 지난 공기는 제5 공간을 지나 열교환기(310), 특히 폐쇄 열교환부(311)로 들어간다.
폐쇄 열교환부(311)를 지나는 공기는 개방 열교환부(312)를 지나는 공기에 열을 전달하여 식어서 다시 제4 공간으로 유입된다.
즉 폐쇄 열교환부(311)는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타측으로부터 폐쇄 쿨링부(210)의 후면까지 닫힌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의 흐름이 반복, 유지 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한다. 제1 공간은 제2 공간에 비해 전후 폭이 좁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충분한 공기가 유입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폐쇄 쿨링부(210)는 가이드 챔버(21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챔버(212)는 팬(211)의 전면 일 지점에 시작하여 제1 공간과 제2 공간의 경계를 나누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11)과 백라이트 유닛부(2012)의 하단 경계 부근 일 지점까지 이어질 수 있다.
가이드 챔버(212)는 폐쇄 쿨링부(21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1 공간에 비해 제2 공간으로 쏠려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가이드 챔버(212)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비를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챔버(212)의 팬(211) 측 시작점은 디스플레이 패널(2011) 측 도달점보다 후방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챔버(212)는 폐쇄 쿨링부(210)에서 제1 공간으로 가는 방향에 대해 유로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폐쇄 쿨링부(210)의 사시도이다.
폐쇄 쿨링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1) 및 백라이트 유닛부(2012)의 결합 모서리 일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폐쇄 쿨링부(210)는 양 측에 고정 브라켓(216)을 구비하여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16)과 프론트 케이스(101)는 스크류 결합할 수 있다.
팬(211)은 폐쇄 쿨링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막고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각각으로 고르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방열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도면은 여섯 개의 팬(211)이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더 많거나 적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팬 브라켓(213)은 프론트 케이스(101)에 구비되어 폐쇄 쿨링부(210) 후면의 유로를 가이드 하고 팬(211)을 고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팬 브라켓(213)은 지지 격벽(215)에 의해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지지 격벽(215)은 팬 브라켓(213)의 폭방향으로 세워져 다른 부재들의 하중으로 인해 팬 브라켓(213)이 형상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개스킷(214)은 팬 브라켓(213)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부 덕트 홀(321)과 접할 수 있다. 제1 개스킷(214)은 팬 브라켓(213)의 경계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하부 덕트 홀(32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충분한 압력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개스킷(214)은 탄성을 갖는 압축 가능한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부(200)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개스킷(214)뿐만 아니라 공기의 유로가 의도하지 않은 곳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추가적인 개스킷들이 필요하다.
제2 개스킷(223)은 프론트 케이스(101) 배면 경계를 따라 구비되어 닫힌 상태의 리어 케이스(102) 내측면과 밀착하게 된다. 닫힌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개스킷(223)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방 쿨링부(230)는 개방 열교환부(312)의 일측에 구비되어 개방 열교환부(312)의 공기가 외부와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공기 유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개방 쿨링부(230)의 팬(23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개방 열교환부(312)는 외부와 유로를 형성하고, 개방 열교환부(312) 내의 공기는 폐쇄 열교환부(311)로부터 열을 전달받으며, 개방 쿨링부(230)는 개방 열교환부(312)에 유량을 형성시켜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개방 쿨링부(230)는 리어 케이스(102)가 닫혔을 때 개방 열교환부(31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미들 프레임(202) 후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프론트 케이스(101)를 닫았을 때 개방 쿨링부(230)가 개방 열교환부(31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개방 쿨링부(2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팬 안착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도 8 또는 도 9 참조).
개방 쿨링부(230)는 미들 프레임(202)에 결합하면서도 외부에 노출되므로 제3 공간과 격리될 필요가 있다.
제3 개스킷(233)은 개방 쿨링부(230)를 제3 공간과 구분한다. 제3 개스킷(233)은 특히 개방 쿨링부(230)가 결합한 팬 안착 브라켓(232)의 경계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스킷(223) 및 제3 개스킷(233)은 탄성을 갖는 압축 가능한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리어 케이스(102)가 열린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실시 예이다.
리어 케이스(102)는 프론트 케이스(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열린 경우 미들 프레임(202)은 외부로 노출된다.
힌지부(221)는 리어 케이스(102)와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에 구비된다.
리어 케이스(102)는 힌지부(221)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가 개방되면 미들 프레임(202)의 전자 부품(203)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다만 이 때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은 외부에 노출이 되므로 사용시에는 다시 리어 케이스(102)를 닫아야 할 것이다.
가스 스프링부(222)는 일측이 리어 케이스(102)의 내측 전면에, 타측이 상기 미들 프레임(202)에 결합하여 내부 가스에 의한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스 스프링에 의해 리어 케이스(102)를 적은 힘으로 개폐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 전체가 프론트 케이스(101)를 개폐하는 방식 이외에, 리어 케이스(102)에 형성된 별도의 추가 개폐부(324)를 통해 일 부분만을 개폐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개폐부(324)는 하부 덕트 홀(321) 및 상부 덕트 홀(32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의 백 커버 및 추가 개폐부(324)를 열어 미들 프레임(202)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추가 개폐부(324)는 리어 케이스(102)와 실링되어 제3 공간과 리어 케이스(102) 내부를 차단하고, 백 커버는 리어 케이스(102)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의도하지 않은 공기 유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1) 및 미들 프레임(202) 분해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패널 구동부(2031)는 디스플레이 패널(2011) 및 백라이트 유닛부(2012)를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전자 부품(203)을 가리킨다. 패널 구동부(2031)는 백라이트 유닛부(2012)의 배면에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이 세 가지 구성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01)로서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패널 구동부(2031)를 그대로 백라이트 유닛부(2012)에 결합하는 것이 비용절감이 될 수 있다.
패널 구동부(2031)는 미들 프레임(202)의 전면에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미들 프레임(202) 배면의 전자 부품(203)들과 전기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1)과 미들 프레임(20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은 외부로부터 차단되므로 패널 구동부(2031)가 제2 공간에 그대로 구비되더라도 별도의 실링이 필요 없다.
이는 종래의 형태인 제2 공간이 개방되어 추가적인 실링을 필요로 하는 구조와 대비하여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패널 구동부(2031)는 미들 프레임(202)에 형성된 관통홀(206)을 통해 미들 프레임(202)의 배면에 있는 전자 부품(203)들과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홀(206)이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 도선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206) 및 연결 도선의 구비로 인해 제2 공간과 제3 공간의 구분이 없어지지 않도록 추가 실링이 필요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픽셀 센싱 모듈(24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픽셀 센싱 모듈(2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1)이 이미지를 제대로 출력하고 있는지 또는 어떤 이미지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센싱의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픽셀 센서(241)는 픽셀 브라켓(242)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고정된다.
픽셀 센서(241)는 디스플레이 패널(2011) 전면 일 영역과 겹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1) 전면 일 영역을 광학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픽셀 브라켓(242)은 디스플레이 패널(2011) 및 백라이트 유닛부(2012) 결합인 디스플레이 모듈(201) 일단 모서리에 안착할 수 있다.
픽셀 브라켓(242)은 'ㄷ'형상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1) 전면 일부 및 백라이드 유닛부 배면 일부를 집게처럼 잡아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셀 브라켓(242)의 집게 양 단 사이의 폭은 디스플레이 패널(2011) 및 백라이트 유닛부(2012) 결합의 두께와 상응할 수 있다.
픽셀 센서(241)가 디스플레이 모듈(201)의 전면 일 영역에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경우 픽셀 센서(241)를 디스플레이 모듈(201)과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에 구비시키고 결합하는 경우 픽셀 센서(241)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어렵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려면 디스플레이 모듈(201) 및 프론트 케이스(101) 결합을 다시 분해해야만 했다.
픽셀 브라켓(242)을 포함하는 픽셀 센싱 모듈(240)은 디스플레이 모듈(201)과 프론트 케이스(101)를 분리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201) 일단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 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픽셀 브라켓(242)과 픽셀 센서(241)는 픽셀 개스킷(243)에 의해 간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픽셀 개스킷(243)은 디스플레이 패널(2011) 전면 출력 영역에 강성이 큰 픽셀 브라켓(242)이 직접적으로 닿아 손상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외선 수신 모듈(25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적외선 수신 모듈(250)은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적외선 수신 모듈(250)의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브라켓에 결합하여 적외선 센서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적외선 센서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적외선 브라켓은 상기 도 14의 픽셀 센싱 모듈(240)과 마찬가지로 'ㄷ'형상을 가져 디스플레이 모듈(20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21: 리어 케이스 전면 플레이트
1022: 리어 케이스 후면 플레이트 200: 전면부
201: 디스플레이 모듈 2011: 디스플레이 패널
2012: 백라이트 유닛부 202: 미들 프레임
203: 전자 부품 2031: 패널 구동부
204: 제1 팬 안착부 205: 상부 유로
206: 관통홀 210: 폐쇄 쿨링부
211: 폐쇄 쿨링부 팬 212: 가이드 챔버
213: 팬 브라켓 214: 제1 개스킷
215: 지지 격벽 216: 고정 브라켓
221: 힌지부 222: 가스 스프링부
223: 제2 개스킷 230: 개방 쿨링부
231: 개방 쿨링부 팬 232: 팬 안착 브라켓
233: 제3 개스킷 240: 픽셀 센싱 모듈
241: 픽셀 센서 242: 픽셀 브라켓
243: 픽셀 개스킷 250: 적외선 수신 모듈
300: 후면부 310: 열교환기
311: 폐쇄 열교환부 312: 개방 열교환부
321: 하부 덕트 홀 322: 상부 덕트 홀
323: 제2 팬 안착부 324: 추가 개폐부
331: 상부 브라켓 332: 하부 브라켓
400: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 401: 하우징
410: 디스플레이 모듈 4101: 백라이트 유닛부
4102: 액정 패널 411: 갭
412: 기판 413: 외부
420: 열교환기

Claims (10)

  1.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1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결합한 백라이트 유닛부;
    상기 백라이트 유닛부의 배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하고, 부품을 실장하는 미들 프레임;
    상기 미들 프레임의 배면과 이격 구비되어 제3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여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 공간의 일측에 전면이 향하는 폐쇄 쿨링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쿨링부의 후면까지 닫힌 유로를 형성하는 폐쇄 열교환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외부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폐쇄 열교환부와 열 교환하는 개방 열교환부; 및
    상기 개방 열교환부와 외부 사이에 구비되어 유량을 형성하는 개방 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쿨링부의 유입 공기를 나누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각각 유입시키는 가이드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챔버는 상기 폐쇄 쿨링부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가는 방향에 대해 유로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체결하는 힌지부; 및
    일측이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측에, 타측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결합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는 가스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 쿨링부의 후면의 유로를 가이드 하는 팬 브라켓; 및
    상기 팬 브라켓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팬 브라켓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 쿨링부의 후면의 유로를 가이드 하는 팬 브라켓;
    상기 리어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 열교환부와 상기 팬 브라켓의 유로를 가이드 하는 하부 덕트 홀; 및
    상기 팬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덕트 홀과 접하는 제1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경계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2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부의 배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는 패널 구동부;
    상기 미들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패널 구동부와 상기 미들 프레임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부 결합의 일단 모서리에 안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부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부의 배면 일부에 고정되는 픽셀 브라켓; 및
    상기 픽셀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 일 영역과 겹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화상 이미지 일부를 센싱하는 픽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브라켓은 'ㄷ'형상으로 구비되고, 양 단 사이의 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부 결합의 두께와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24649A 2016-09-28 2016-09-2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49A KR102628091B1 (ko) 2016-09-28 2016-09-28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7/010839 WO2018062900A1 (en) 2016-09-28 2017-09-28 Display device
US15/719,374 US10180591B2 (en) 2016-09-28 2017-09-28 Display device
EP17856786.3A EP3519885A4 (en) 2016-09-28 2017-09-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49A KR102628091B1 (ko) 2016-09-28 2016-09-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88A true KR20180034888A (ko) 2018-04-05
KR102628091B1 KR102628091B1 (ko) 2024-01-23

Family

ID=6168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49A KR102628091B1 (ko) 2016-09-28 2016-09-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80591B2 (ko)
EP (1) EP3519885A4 (ko)
KR (1) KR102628091B1 (ko)
WO (1) WO201806290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766B1 (ko) * 2019-08-01 2019-11-28 네이버시스템(주) 항공 촬영된 지형지물 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 영상 도화 장치
KR20210036645A (ko) * 2019-09-26 2021-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789B1 (ko) * 2022-09-28 2023-02-14 오디하이텍(주)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302B2 (en) 2008-03-03 2014-02-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an electronic display
US10827656B2 (en) 2008-12-18 2020-11-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with circulating gas and ambient gas
AU2015253128B2 (en) 2014-04-30 2017-12-1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 assembly
EP3423886B1 (en) 2016-03-04 2022-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oling system for double sided display assembly
KR102592054B1 (ko) * 2016-12-23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824440B2 (ja) 2017-04-27 2021-02-03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リソーシ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ィスプレイの曲げ変形を防止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485113B2 (en) 2017-04-27 2019-11-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GB2565997B (en) * 2017-04-28 2019-10-16 Amscreen Group Ltd Crossflow heat-exchangers
US10761800B2 (en) * 2017-07-21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display apparatus
KR20190076658A (ko) * 2017-12-22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3561638B1 (en) * 2018-04-23 2021-03-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602626B2 (en) 2018-07-30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ousing assembly for an integrated display unit
KR102575515B1 (ko) * 2018-12-19 2023-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096317B2 (en) 2019-02-26 2021-08-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loopback cooling
US10795413B1 (en) 2019-04-03 2020-10-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ith a channel for ambient air in an access panel
US11477923B2 (en) 2020-10-02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customizable airflow system for a communications box
US11470749B2 (en) 2020-10-23 2022-10-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orced air cooling for display assemblies using centrifugal fans
US11778757B2 (en) 2020-10-23 2023-10-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6263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for providing compressive forces at electronic display layers
US11744054B2 (en) 2021-08-23 2023-08-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an unit for providing improved airflow within display assemblies
US11919393B2 (en) 2021-08-23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relatively turbulent flow and integ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762231B2 (en) 2021-08-23 2023-09-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turbulent flow
US11968813B2 (en) 2021-11-23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divided interior sp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442A1 (ja) * 2008-03-25 2009-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9135308A1 (en) * 2008-05-07 2009-11-12 Venture Dynamics Corporation Video display system
WO2011114660A1 (ja) * 2010-03-17 2011-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の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30098881A (ko) * 2010-05-04 2013-09-05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영상 조립체를 냉각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0607B2 (en) * 2005-10-11 2013-03-19 Barco N.V. Display assemblies and methods of display
US7486517B2 (en) * 2006-12-20 2009-02-03 Nokia Corporation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heat spreader
JP4516582B2 (ja) * 2007-05-15 2010-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1456975B1 (ko) * 2007-09-27 2014-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각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US8654302B2 (en) 2008-03-03 2014-02-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an electronic display
JP5374166B2 (ja) * 2009-01-09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薄型パネル表示装置
US20120236499A1 (en) * 2009-12-03 2012-09-20 Panasonic Corporation Radiation unit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670985B1 (ko) 2010-01-07 2016-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2100B1 (ko) * 2010-01-12 2017-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JP5091984B2 (ja) * 2010-06-18 2012-12-0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1153351B1 (ko) * 2010-09-14 2012-06-05 (주)이성텔레콤 옥외용 광고 디스플레이장치의 함체
KR101960304B1 (ko) * 2012-01-30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WO2013157040A1 (ja) * 2012-04-18 2013-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素子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120763B1 (ko) * 2013-05-0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EP3040766B1 (en) * 2015-01-05 201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KR102132340B1 (ko) * 2015-12-10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442A1 (ja) * 2008-03-25 2009-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9135308A1 (en) * 2008-05-07 2009-11-12 Venture Dynamics Corporation Video display system
WO2011114660A1 (ja) * 2010-03-17 2011-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の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30098881A (ko) * 2010-05-04 2013-09-05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영상 조립체를 냉각하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766B1 (ko) * 2019-08-01 2019-11-28 네이버시스템(주) 항공 촬영된 지형지물 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 영상 도화 장치
KR20210036645A (ko) * 2019-09-26 2021-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789B1 (ko) * 2022-09-28 2023-02-14 오디하이텍(주)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900A1 (en) 2018-04-05
US10180591B2 (en) 2019-01-15
EP3519885A4 (en) 2020-05-06
EP3519885A1 (en) 2019-08-07
US20180088398A1 (en) 2018-03-29
KR102628091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8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544267B1 (en) Mobile terminal
KR20190025382A (ko) 전자장치
KR20190012813A (ko) 이동 단말기
US11101595B2 (en) Mobile terminal
KR20190076658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70976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77343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06359A (ko) 전자장치
KR20190044411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72837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11870924B2 (en) Mobile terminal
KR20190008067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71824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82933A (ko) 전자장치
KR20170142754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28184A (ko) 이동 단말기
KR101958667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3575A (ko)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8002065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81698A (ko) 화이트 밸런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111484A (ko) 이동 단말기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9348A (ko) 글래스형 이동 단말기
KR1022772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