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592A - 교반 부재,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부재 장치를 가진 액체용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교반 부재,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부재 장치를 가진 액체용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592A
KR20180034592A KR1020187005682A KR20187005682A KR20180034592A KR 20180034592 A KR20180034592 A KR 20180034592A KR 1020187005682 A KR1020187005682 A KR 1020187005682A KR 20187005682 A KR20187005682 A KR 20187005682A KR 20180034592 A KR20180034592 A KR 2018003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tirring member
circular ring
secto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블뢰머
카르스텐 뷔쉬
Original Assignee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3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7Stirrers provided with conical-shaped elements, e.g. funnel-shaped
    • B01F7/00541
    • B01F15/006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5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elements, materials or mechanical properties
    • B01F27/054Deformable stirrers, e.g. deformed by a centrifugal force applied during operation
    • B01F27/0542Deformable stirrers, e.g. deformed by a centrifugal force applied during operation deformable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6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having stirr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stirrer shaft each by a single radial rod, other than open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a separate receptacle-stirrer unit that is adapted to be coupled to a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01F35/41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by supporting only one extremity of the shaft
    • B01F35/411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by supporting only one extremity of the shaft at the top of the receptacle
    • B01F7/00066
    • B01F7/001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215/00Auxiliary or complementary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Technical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13Numerical information
    • B01F2215/0418Geometrical information
    • B01F2215/0422Numerical values of angles

Abstract

교반기 특히,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에 결합될 수 있는 교반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교반 봉 장치용 교반 부재(90)가 개시된다. 컨테이너는 리드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고 상부 바닥벽에서 그 내부를 채우기 위한 채움 구멍을 포함한다. 교반 부재는 교반 봉 장치의 봉-형상의 교반 부재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다. 교반 부재는 베어링 끝단(91), 링크(92)를 통해 베어링 끝단(91)에 연결된 교반 부재 끝단(94), 및 튜브 벽을 가진 유동 튜브(93)를 구비한다. 유동 튜브는 그 유동 입구 단면에서 환형으로 형성된 누적면(95)을 구비한다. 누적면은 유동 입구 단면의 유입 평면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원형 링 섹터(9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반 부재,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부재 장치를 가진 액체용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본 발명은 산업용 교반기를 위한 교반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와 결합될 수 있는 교반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교반 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는 상부 바닥 벽에서 컨테이너를 채우기 위해 닫을 수 있는 리드를 가진 채움 구멍을 구비하고, 교반 부재는 교반 봉 장치의 봉-형상의 교반 부재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고, 교반 부재는 각각 유동 튜브를 구비하고, 베어링 끝단과, 링크 또는 가로대(crosspiece)를 통해 베어링 끝단에 연결된 교반 부재 끝단을 구비하고, 유동 튜브는 튜브 벽을 구비한다.
전술한 교반 봉 장치 내의 교반 부재는 DE 20 2014 002 901 U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교반 봉 장치의 알려진 교반 부재들은 마운팅 구성에서 교반 부재 캐리어에 맞대어 회동되고, 교반 봉 장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이러한 위치에서 록킹 연결을 통해 교반 봉 캐리어에 고정된다. 그러한 교반 부재들은 베어링 끝단에서 교반 부재 캐리어에 회동되게 장착되고 베어링 끝단으로부터 시작하는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의 끝단에는 유동 튜브가 부착되어 있다. 유동 튜브는 원뿔 형상이고 유동 출구 단면보다 더 큰 유동 입구 단면을 구비한다.
교반 부재는 환형의 누적면(accumulating surface)을 구비하는 DE 10 2008 063 393 B3로부터 알려져 있다. 누적면은 교반 부재의 구멍의 유동 입구 단면의 유입 평면 내에 배치된다. 유동 튜브는 누적면 즉, 구멍에서 플랜지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알려진 교반 부재들의 단점은 점성과 유동 거동에 따라 혼합될 액체의 만족스러운 혼합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동시에, 교반 봉 장치의 회전 경로 상에 교반 부재들의 안정된 중심 조정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혼합 특성을 가진 교반 부재 및 교반 봉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색들을 가진 교반 부재, 청구항 11의 특색들을 가진 교반 봉 부재, 및 청구항 15의 특색들을 가진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교반기를 위한 교반 부재 특히, 상부 바닥 벽에 형성되고 리드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는 채움 구멍을 구비하고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와 결합할 수 있는 교반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교반 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반 봉 장치의 봉-형상의 교반 부재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고, 교반 부재는 베어링 끝단과 링크 또는 가로대를 통해 베어링 끝단에 연결된 교반 부재 끝단을 구비하고, 유동 튜브를 구비하고, 유동 튜브는 튜브 벽을 구비하고, 유동 튜브는 그 유동 입구 단면에서 원형으로 형성된 누적면을 구비하고, 누적면은 유동 입구 단면의 유입 평면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원형 링 섹터를 구비한다.
유동 입구 단면의 유입 평면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원형 링 섹터를 구비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누적면의 도움으로, 교반 부재들에 작용하는 추가적인 힘이 소정의 위치에 생성될 수 있고, 상기 힘은 유동 환경 내에서 교반 부재 끝단의 상대적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원형으로 형성된 누적면은 액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혼합될 액체의 매우 양호한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누적면을 통해 생성되는 혼합될 액체의 소용돌이에도 불구하고, 안정되고 진동이 낮은 교반 봉 장치의 회전이 회전 경로 상에서 가능한 한, 경사진 원형 링 섹터를 통해 교반 부재에 생성되는 힘은, 교반 부재를 안정화시키거나 중심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교반 부재의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진 원형 링 섹터는 원형 링 센터에 기반하여 누적면의 적어도 90°,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특히 바람직하게 270°까지 연장할 수 있다. 혼합될 액체의 점도와 유동 거동에 의존하여, 경사진 원형 링 섹터는 혼합 작업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경사진 원형 링 섹터는, 원형 링 센터에 상대적으로 기반하여, 링크의 접촉면 또는 레벨 부분면 맞은편에 배열될 수 있다.
더군다나, 누적면은 누적면의 레벨 부분면에 대하여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표면 섹터를 구비할 수 있고, 표면 섹터 각도(ζ)는 바람직하게 10°일 수 있다. 그러면, 표면 섹터는 예를 들어, 안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표면 섹터 각도(ζ)는 예를 들어, 5°일 수 있거나 20°까지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경사진 원형 링 섹터는 원형 링 센터에 상대적으로 기반하여 누적면의 360°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체 누적면은 유동 입구 단면의 유입 평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원형 링 섹터는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질 수 있고, 표면 섹터 각도는 일관성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누적면은 원뿔 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일 수 있고, 누적면은 유동 튜브에 대하여 깔때기 타입으로서 상대적으로 편평한 원뿔을 형성한다. 원뿔의 표면 섹터 각도(ζ)는 5°내지 20°, 바람직하게 10°일 수 있다. 표면 섹터 각도(ζ)는 원형 링 섹터의 에지에서 측정되고 ±1°만큼 변화할 수 있다.
나아가서, 원형 링 섹터는 표면 섹터 각도(ζ) 만큼 경사질 수 있고, 표면 섹터 각도(ζ)는 비-선형 함수, 바람직하게 삼각 함수에 따라 원형 링 섹터를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고, 표면 섹터 각도(ζ)의 섹션들은 적어도 5°내지 20°, 바람직하게 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링 섹터가 방사상으로 연속적으로 파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러한 함수는 사인 함수일 수 있다. 원형 링 섹터의 이러한 파형 설계의 도움으로, 교반 부재의 더 좋은 중심 잡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링 섹터는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질 수 있고, 표면 섹터 각도(ζ)는 누적면의 감소 간격에 따라 원형 링 센터 또는 원형 링 센터 축에 대해 꾸준히 증가할 수 있다. 표면 섹터 각도(ζ)는 결과적으로 안정되게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형 링 센터에 대하여 또는 누적면의 외부 에지에 의해 형성된 외부 에지 평면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유동 튜브 속으로 들어가는 액체의 유입 거동을 개선할 수 있다. 표면 섹터 각도(ζ)는 누적면의 외부 에지에 있는 외부 에지 평면에 대하여 5°내지 20°, 바람직하게 10°일 수 있다.
누적면은 예를 들어, 벨-모양의 구멍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은 트럼펫-모양 또는 나팔 모양의 구멍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유동 튜브 내부에서 대체적으로 층류(laminar flow)를 얻어질 수 있으므로, 교반 부재들의 저-진동 회전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유용한 실시예에서, 원형 링 섹터는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질 수 있고, 표면 섹터 각도(ζ)는 원형 링 센터에 대한 누적면의 간격이 변화할 때 비선형 함수, 바람직하게 삼각 함수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고, 표면 섹터 각도(ζ)의 섹션들은 5°내지 20°, 바람직하게 10°일 수 있다. 그러면, 원형 링 섹터는 원형 링 센터로부터 시작하여 파상 형태로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부응하여, 누적면은 파형의 구멍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링 섹터는 예를 들어, 다수의 사인-모양 파형들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튜브 벽이 튜브 축 위의 링크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되게 파여진 튜브 벽의 길이가 튜브 축 아래보다 더 큰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면, 유동 방향에서 유동 축 아래보다 튜브 축 위에 더 큰 표면 프로파일이 형성되므로, 교반 부재 끝단들에 작용하는 상승력(lift force)이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액체 유동에서 교반 부재 끝단들의 안정화가 구현된다.
또한, 튜브 벽의 상부에 의해 형성된 상승 표면의 표면 베이스가 유입 방향에 대해 받음각(angle of attack)으로 경사지면, 교반 봉 장치의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받음각을 선택함으로써 교반 부재 끝단들에서 소망하는 상승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적절하게 선택된 받음각을 통해 혼합될 액체들의 점도 또는 다른 물질 농도에 대한 교반 봉 장치의 특수한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동 튜브의 유동 입구 단면이 튜브 각도 하에서 유동 튜브의 유동 출구 단면으로 기우는 그러한 방식으로 튜브 벽이 비스듬한 원뿔로서 형성되므로, 상승력의 영향은 여기서도 가능하다.
만약, 유동 튜브가 유동 입구 단면에서 원형으로 형성되고 링크의 링크면에 접하는 누적면을 가진 누적 에지를 구비하면, 교반 부재의 소망하는 유동 저항 역시 누적면의 실시예와 사이즈에 의존하여 조절될 수 있다.
유입 방향에서 누적면이 회전축에 대해 누적면 각도만큼 경사지면 특히 유용하므로, 유동 저항은 누적면의 표면 사이즈와 무관하게 누적면 각도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만약 링크 또는 가로대의 중간 섹션 내에 상승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상승 포켓이 회전축에 대해 유동 방향으로 경사각만큼 경사지고 유입 방향에 대해 받음각만큼 경사진 상승면을 가지면, 교반 부재의 상승 거동 또는 유동 저항 거동은 적절하게 선택된 각도를 통해 링크면의 상응하는 설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산업용 교반기를 위한 특히, 리드을 이용하여 닫을 수 있고 상부 바닥 벽으로 컨테이너를 채우기 위한 채움 구멍을 구비하고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와 결합할 수 있는 교반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교반 봉 장치는,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속이 빈 샤프트로서 형성된 봉-모양의 교반 부재 캐리어를 구비하고, 교반 봉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부재 캐리어에 회동되게 연결된 교반 부재들을 구비한다. 작동 구성에서, 교반 부재들은 교반 부재 캐리어의 회전의 결과로서 회전축에 대한 교반 각도(δ)에서 회동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회동된 위치는 교반 부재 캐리어의 회전 속도에 의존하므로, 자유로운 교반 부재 끝단들은 회전축으로부터 교반 부재 간격(r)에 배열된다.
교반 봉 장치의 다른 유용한 실시예들은 청구항 1의 종속항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마운팅 구성에서, 교반 부재들의 자유로운 교반 부재 끝단은 교반 부재 캐리어의 회전축에 대항하여 회전될 수 있고, 교반 부재 캐리어의 회전의 결과로서 작동 구성에서 교반 부재들에 원심력이 인가되고 교반 부재들이, 회전축에 대해 형성된 각도(δ)에서 교반 부재 캐리어의 회전 속도에 의존하는, 회동된 위치를 차지하는 방식으로, 교반 부재들과 교반 부재 캐리어 사이에 스프링 디바이스가 배치될 수 있고, 자유로운 교반 부재 끝단들은 회전축으로부터 교반 간격(r) 내에 배열되고 스프링 힘이 원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스프링 힘은 교반 각도가 증가할 때 더 강하게 된다. 따라서, 교반 부재 끝단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결과로서 교반 부재 끝단들이 위쪽을 향해 회동되고 교반 봉 장치들이 작동 중일 때 회전축으로부터 교반 간격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교반 부재들의 위쪽을 향한 자동적인 회동이 일어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수동적 개입 없이 마운팅 구성으로부터 작동 구성까지 교반 부재들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히 선택된 회전 주파수를 통해 교반 부재 캐리어에 대한 교반 부재 끝단들의 필요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스프링 힘은 원심력에 대응하는 회복력으로서 미치고, 회전 속도가 감소할 때 회전축에 대한 교반 부재 끝단들의 회복의 원인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특히, 컨테이너의 좁은 바닥 영역 내에 누적되는 컨테이너 내의 액체의 잔류량이 교반 부재 끝단들이 컨테이너 벽에 충돌하는 위험없이 교반될 수 있다. 회복하는 스프링 동작은 심지어 저-밀도 물질의 교반 부재들이 상당한 밀도의 액체 내에 뜨지 않는 대신에 액체 내의 필요한 교반 깊이에서 활동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교반 부재의 자유로운 교반 부재 끝단들이 마운팅 구성에서 교반 부재 캐리어에 형성된 회동 베어링들 아래에 배열되면, 결과적으로 교반 부재들이 마운팅 구성에서 서로 맞대어 직접적으로 회동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채움 구멍을 통한 컨터이너 속으로 교반 봉 장치의 삽입에 필수적인 단면이 서로에 대해 회동된 교반 부재들의 면적 내에서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은 특히 유용하다.
스프링 디바이스가 레그(leg)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면, 가능한 한 작게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한편 방사상으로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레그 스프링은 교반 부재들 상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전술한 단면 최소화가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그 스프링의 하나의 레그는 교반 부재 캐리어에 있는 회동 베어링 위에 지지되고 레그 스프링의 다른 레그는 교반 부재에서 그 자신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디바이스는 가능한 한 작은 설치 공간이 필요한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의 일단은 회동 베어링의 회동핀에 배열되고 그 타단은 교반 부재에 배열된다.
만약, 스프링 디바이스가 교반 부재 캐리어와 교반 부재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로서 형성되면, 혼합될 액체로부터 교반 부재들을 통하여 교반 부재 캐리어까지 회동 베어링의 형성에 독립된 안전한 정전(electrostatic)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스프링 디바이스가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교반 봉 장치의 모든 요소들이 플라스틱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면 특히 유용하다. 그러므로, 그러한 교반 부재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체로서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만약, 스프링 디바이스가 교반 부재에 형성된 연장 물질 밖으로 형성되면, 예를 들어, 사출 단계와 같은 하나의 공정 단계에서 교반 부재와 함께 스프링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스프링 디바이스와 교반 부재 사이의 일체적 연결이 구현되어, 특수하고, 별개로 형성된 연결 디바이스가 불필요해 진다.
또한, 만약 스프링 디바이스가 자유로운 연결단과 함께 예를 들어, 록킹 연결을 통해, 형태 고정 방식으로 교반 부재 캐리어에 연결되면, 스프링 디바이스를 교반 부재에 대해 연결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교반 봉 장치에 있는 스프링 디바이스의 장치와 별개로, 전술한 교반 봉 장치 내의 교반 부재들이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면 이 역시 유용하다.
바람직하게, 교반 부재 캐리어는 그 상부 축 끝단에 리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연결 디바이스는 드럼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리드 내에 형성된 플러그 함몰부의 바닥 내에 형성된 지지 에지에 맞대어 접촉하기 위한 축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에지는 바닥 내에 형성된 관통 링크 구멍을 제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교반 봉 장치에 결합된 교반 메커니즘과 독립된 리드를 통해 교반 봉 장치가 컨테이너에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반 봉 장치는, 교반 메커니즘이 교반 봉 장치에 결합될 필요 없이 컨테이너에 배열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그 상부 축 끝단에 배열된 연결 디바이스를 가진 교반 봉 장치의 전술한 유용한 실시예는, 특히, 스프링 디바이스가 교반 부재들과 교반 부재 캐리어 사이에 배열되는지 여부와 독립적으로 그리고 특히, 교반 부재들의 설계 방식과 독립적으로, 교반 부재 캐리어의 나머지 디자인과 독립적으로 유용하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상술한 연결 디바이스의 접합부가 연결 디바이스의 서클립 리시버(circlip receiver) 내에 수납된 서클립에 의해 형성되면, 한편으로 서클립은 특히 간단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지지 에지 상에 접촉하는 서클립으로서 접합부의 실시예는 필요한 경우 교반 봉 장치와 리드 사이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서클립은 교반 봉 장치의 멈춤 동안만 지지 에지 상에 접촉하는 반면, 특히 마찰 및 마찰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들 따라서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액체의 가능한 불순물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드에 대해 교반 봉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서클립은 지지 에지로부터 이탈되어 상승된다.
바람직하게, 서클립 리시버는 연결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태-고정 방식으로 교반 부재 캐리어에 연결된 별개의 요소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서클립 리시버와 교반 봉 캐리어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클립 리시버가 교반 부재 캐리어에 형성된 연장 물질에 의해 형성되고, 연장 물질이 예를 들어, 교반 부재 캐리어의 외형의 모양 변경 방식에 의해 생성되면 특히 유용하다.
교반 부재 캐리어는 교반 부재들과 연결하기 위해, 샤프트 허브로서 하부 축 끝단에 형성된 연결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연결 디바이스는 교반 부재 캐리어에 형태-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고, 교반 부재들에 연결하고 회동 베어링들을 형성하기 위한 베어링 핀들을 구비하고, 교반 부재 캐리어는 특히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고, 비교적 복잡하게 형성된 연결 디바이스는 별개로 제조될 수 있다. 교반 부재 캐리어에서, 연결 디바이스의 형성은 연결 디바이스와 교반 부재 캐리어 사이의 형태-고정 연결의 간단한 생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연결 디바이스가 동시에 교반 메커니즘의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를 연결하는데 기여하면 특히 유용하다.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에 대한 연결 디바이스의 연결이 형태-고정 방식으로 형성되면, 이러한 연결은 도구들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디바이스는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의 회전 모멘트를 교반 부재들 상으로 전달하기 위한 형태-고정 방식의 제1 링크 디바이스 및 연결 디바이스를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 링크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형태-고정 방식의 제1 링크 디바이스에 의해 교반 봉 장치 상으로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로부터의 회전 모멘트의 안전한 전달이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태-고정 방식의 제2 링크 디바이스를 통해 교반 봉 샤프트와 교반 봉 장치 사이의 소정의 축방향의 상대적 위치의 축방향 고정 역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교반 봉 장치는 그것이 리드에 연결되고 마운팅 유니트로서 리드와 함께 컨테이너의 채움 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컨테이너의 채움 구멍에 대한 리드의 연결의 도움으로 컨테이너에 연결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교반 봉 장치와 컨테이너는, 마운팅 유니트로서 리드가 교반 봉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채움 구멍 상에 표준 방식으로 배열된 리드를 단순히 교체함으로써 조합이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서클립이 마운팅 유니트로서 형성된 교반 봉 장치의 양측 상에 축방향의 소정의 서클립 리스버 공간 내에 수납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교반 봉 장치에 대한 리드의 연결을 고정하고 교반 봉 장치에 대한 리드의 포획식(captive)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리드의 플러그 함몰부 내에 배열된 드럼 플러그가 리드에 마련된다.
본 발명은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내부 컨테이너로서 형성된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액체를 위한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는 리드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고 상부 바닥 벽에 형성된 컨테이너를 채우기 위한 채움 구멍, 및 출구 피팅(fitting)을 연결하기 위해 전방 사이드에 배열된 출구 연결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수납용 외부 재킷을 구비하는 운송 파레트의 파레트 플로어 상에서 컨테이너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2개 측벽들을 연결하는 하부 바닥 벽, 후방 벽 및 전방 벽을 구비하고, 컨테이너의 리드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들에 따른 교반 봉 장치가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마운팅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봉 장치를 구비하고, 액체를 위한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를 위한 산업용 컨테이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삽입된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를 구비하는 도 1의 교반 봉 장치의 상부 축 끝단의 일부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축방향으로 상승된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를 구비하는 도 2에 도시된 교반 봉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전송 상태의 교반 봉 장치의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봉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반 봉 장치의 마운팅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교반 봉 장치의 상부 축 끝단에 형성된 연결 디바이스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교반 봉 장치의 상부 축 끝단에 형성된 연결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수의 교반 부재들을 구비하는 도 1의 교반 봉 장치의 하부 축 끝단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IX-IX을 따른 교반 부재들의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교반 부재들의 작동 구성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교반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교반 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 선을 따른 교반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의 XIV-XIV 선을 따른 교반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교반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 선을 따른 교반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7의 교반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교반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의 XXI-XXI 선을 따른 교반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별 교반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의 교반 부재의 교반 부재 끝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의 교반 부재의 교반 부재 끝단은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의 교반 부재 끝단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교반 부재 끝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별 교반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미도시)를 위한 산업용 컨테이너로서 형성되고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20)를 도시한다. 컨테이너(20)는 컨테이너를 수납하기 위해 그리드 재킷(미도시)이 마련된 운송 파레트의 파레트 플로어(미도시) 상의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하부 바닥 벽(21)에 연결된 전방 벽(22), 마주보는 2개의 측벽들(23, 24), 후방 벽(25), 하부 바닥 벽(21)에 대향되는 상부 바닥 벽(2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바닥 벽(26)에는 나사 체결 리드로서 형성된 리드(28)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는 채움 연결(27)이 마련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리드(28)는 교반 봉 장치(29)의 요소를 형성한다. 교반 봉 장치(29)는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속이 빈 샤프트로서 형성된 교반 부재 캐리어(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교반 봉 장치(31)는 필수 요소로서 3개의 교반 부재들(32)을 구비한다. 교반 부재들은 샤프트 허브(33)의 도움으로 교반 부재 캐리어(30)에 연결된다.
특히, 도 1, 도 8 및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스프링들(34)로서 형성된 스프링 디바이스들은 교반 부재들(32)과 교반 부재 캐리어(30) 사이에 마련된다. 스프링 디바이스들은 샤프트 허브(33)를 통해 교반 부재 캐리어(30)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샤프트 허브(33)는 레그 스프링들(34)의 레그의 자유단들(35)에 형태-고정되기 위한 록킹 리시버들(36), 및 록킹 리시버들(36)에 록킹되어 있는 레그의 자유단들(35)에 형성되는 록킹 연장부들(37)을 구비한다. 레그 스프링들(34)은 교반 부재들(32)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레그 스프링들(34)과 함께 교반 부재들(32)이 생성되는 점에서, 교반 부재들(32)에는 물질-고정 연결에 의해 레그 스프링들(34)이 형성된다. 미리-인장된 상태에서, 레그 스프링들은 S-형상이다.
레그 스프링들(34)은 교반 부재들(32) 및 샤프트 허브(33)와 마찬가지로, 교반 부재 캐리어(30)와 유사한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도 1 및 도 8에 있어서, 교반 봉 장치는 마운팅 구성에서 도시된다. 샤프트 허브(33)를 통해 교반 부재 캐리어(30)에 회전되게 단단하게 연결된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에 의해 교반 부재 캐리어(30)의 회전이 수행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는 꼭대기로부터 교반 부재 캐리어(30) 속으로 삽입되어 있고,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의 하부 축 끝단에 형성된 샤프트 핀(39)(도 5)을 가진 샤프트 허브(33) 내에 형성된 샤프트 핀 리시버(40)(도 9) 속으로 삽입된다.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와 샤프트 허브(33) 사이의 회전-모멘트 전달 연결을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샤프트 핀(39)에 있는 록킹 리세스들(미도시)에 록킹되는 록킹 레그들(41)이 샤프트 핀 리시버(40)에 마련된다.
특히, 도 9 및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들(32)은 회동 베어링(43)을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 아이(eye)로서 형성된 베어링 끝단들(42)을 구비한다. 교반 부재들(32)은 샤프트 허브(33)에 형성된 회동 핀(44) 상에 각각 배열된다. 교반 부재들(32)이 위치 결정된 후 베어링 끝단들(42)에 형성된 록킹 칼라(45)가 회동 핀들의 록킹 칼라(46) 뒤에서 회동 핀들(44) 상에 결합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동 핀들(44) 상에서 베어링 끝단들(42)의 축방향 고정은 형태-고정 연결을 통해 수행된다.
도 8과 도 10을 비교하면, 교반 부재들(32)은 레그 스프링들(34)의 재설정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교반 부재 캐리어(30)의 회전 속도에 의존하여 회전축(47)에 대하여 교반 각도(δ)를 형성하면서 회동된 위치로 이송됨으로써, 회전축(47)에 대해 교반 간격(r) 만큼 교반 부재 끝단들(48)이 배치된다. 교반 봉 장치(29)가 작동 구성일 때 즉, 속이 빈 샤프트(33)를 통해 교반 부재 캐리어(30)에 결합된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의 회전 구동의 결과로서 교반 부재 캐리어(30)가 회전축(47)에 대하여 회전하는 구성일 때, 상기 교반 간격(r)은 교반 각도(δ)와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의 회전 속도에 각각 비례한다.
도 9, 도 11 및 도 13에 특히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 끝단(48)은 유동 입구 단면(53), 따라서 교반 공정에서 유입 방향(50)을 향해 위치되는 사이드에 있는 환형 누적면(51)이 마련된 유동 튜브와 함께 형성된다. 누적면(51)은 유입 방향(50)에서 회전축(47)에 대해 누적면 각도(β)로 경사진다. 유동 입구 단면(53)이 유동 튜브(49)의 유동 출구 단면(54)을 향해 튜브 각도(γ) 만큼 경사지는 방식으로 유동 튜브(49)는 경사진 원뿔로서 형성된 튜브 벽(52)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32)의 베어링 끝단(42)을 튜브 축(57) 위의 교반 부재 끝단(48)에 연결하는 링크(56)의 길이방향 축(55)(도 11)에 수직으로 파인 유동 방향(50)의 튜브 벽의 길이(L1)는 유동 축(57) 아래의 튜브 벽(52)의 길이(L2)보다 더 크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벽(52)의 상부분(59)에 의해 형성된 오목 상승면(60)의 표면 베이스(58)는 유입 방향(50)을 향해 받음각(α) 만큼 경사진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교반 부재(32)와 비교하여,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교반 부재(82)는, 교반 부재(32)의 교반 부재 끝단(48)과 비교하여 교반 부재 끝단(83)을 구비하고, 누적면(84)의 테두리 에지에 형성된 표면 세그먼트들(86, 87)을 가진 레벨 부분면(85)으로부터 조립된 누적면(84)이 마련되고, 표면 세그먼트들(86, 87)은 본 실 시예의 경우, 레벨 부분면(85)에 대하여 각각 유입 방향(50)에 대하여 표면 세그먼트 각도(β1 또는 β2) 만큼 경사진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세그먼트들(86, 87)은 원형 링 세그먼트들로서 형성되고, 표면 세그먼트들(86, 87)의 외부 에지(88)는 각각 누적면(84)의 테두리 에지와 교반 부재 끝단(83)의 유동 튜브(49)의 유동 입구 단면(53)에 접선으로 연장하는 부분면(85)으로 이행하는 표면 세그먼트들(86, 87)의 연결 에지(89)를 접선으로 통과하고, 연결 에지(89)는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2개의 표면 세그먼트들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균등하게 형성되고 상응하는 사이즈를 구비한다.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교반 부재(82)는, 누적면(51) 대신에 누적면(84)을 구비하는 교반 부재 끝단(83)을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교반 부재(32)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교반 부재(82)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교반 부재(32)의 구성요소들과 상응하게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가진다.
도 11 및 도 14에 특히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56)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유입 에지(62)로부터 시작하여 회전축(47)에 대해 경사 각도(ε)만큼 경사진 상승면(63)과 유입 방향(50)에 대해 받음각(α2)이 형성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승 포켓(61)은 링크(56)의 중간 링크 섹션 내에 형성되고, 상승면(63)은 상승면(63)에 대해 경사진 경사 플랭크들(64, 65)을 통해 인접한 링크면(66)에 대해 하강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특히 예시된 바와 같이, 교반 봉 장치(29)의 교반 부재 캐리어(30)의 상부 축 끝단에는 상이한 실시예들에 예시된 3개의 연결 디바이스들(67, 68, 69)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디바이스들(67, 68, 69)은 상이하게 형성된 서클립 리시버들(70, 71, 72) 내에서 상응하게 형성된 서클립(73)을 수납한다. 도 4 및 도 6은 교반 봉 장치(29)의 운송 상태에서 연결 디바이스들(67, 68)을 도시한다. 도 5의 부분 단면도에 예시된 연결 디바이스(68)로부터 특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디바이스(68)는 교반 봉 장치(29)의 교반 부재 캐리어(30)를 리드(28)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교반 부재 캐리어(30)는 소켓으로서 형성되고 교반 부재 캐리어(30)의 상부 축 끝단에 용접된 서클립 리시버(71)를 구비한다. 마운팅을 위해, 교반 부재 캐리어(30)의 상부 축 끝단은 리드(28) 내에 형성된 삽입 구멍(74)을 관통하는 바닥으로부터 그 위에 형성된 서클립 리시버(71)와 함께 삽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서클립(73)은 꼭대기로부터 드럼 플러그(75)를 수납하기 위해 리드 내에 형성된 플러그 함몰부(76)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2개의 칼라 링크들(77)에 의해 한정되는 수납 그루브(78)를 구비하는 서클립 리시버(71)에 록킹될 수 있다. 이것은 리드(28)와 연결 디바이스(68) 사이의 상대적인 배치의 결과를 초래하고 서클립(73)이 지지 에지(79)에 접촉하여 리드(28)의 바닥 내의 삽입 구멍을 한정함으로써, 서클립(73)이 지지 에지(79)에 대항하는 축 접합을 형성한다.
만약 드럼 플러그(75)가 리드(28)의 플러그 함몰부(76)에 스크류 결합되면, 드럼 플러그(75)의 하부 에지(80)는 리드(28)의 지지 에지(79)와 함께 링 수납 공간(81)을 제한하고, 서클립은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거나 축 방향으로 임의의 이동도 허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리드(28)와 교반 부재 캐리어(30) 사이의 고정 연결이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컨테이너(20)는 교반 메커니즘의 설치와 독립적으로 교반 봉 장치(29)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내부에 수납된 액체를 혼합하기 위하여, 교반 메커니즘이 교반 봉 장치(29)에 연결되어야 하면, 리드(28)의 플러그 함몰부(76)로부터 드럼 플러그(75)를 제거하고 위로부터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를 교반 부재 캐리어에 삽입하고 2개를 결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반 메커니즘이 설정되고 컨테이너(20)에 연결될 수 있거나 서포트 구조가 컨테이너(20)의 외부 재킷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3의 예시적 방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의 도움으로 교반 부재 캐리어(30)가 구동되어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서클립(73)과 리드(28)의 지지 에지(79)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는 한편 어쩌면 액체를 오염시킬 수도 있는 접촉 마모들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 부재 캐리어(30)는 컨테이너(20) 밖으로 축방향으로 약간 상승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90)는 베어링 끝단(91)과, 링크(92)를 통해 베어링 끝단(91)에 연결된 교반 부재 끝단(94), 및 유동 튜브(93)를 구비한다. 교반 부재(90)는 미도시된 교반 봉 장치의 봉-형상의 교반 부재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동 튜브(93)는 튜브 벽(128)을 구비하고, 유동 튜브(93)는 유동 입구 단면에서 환형으로 형성된 누적면(95)을 구비하고, 누적면(95)은 유동 입구 단면(98)의 유입 평면(97)에 대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원형 링 섹터(96)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교반 부재들과 비교하여, 교반 부재(90)는 원형 모양의 누적면(95)에 있는 환형 링 섹터(96)를 구비하고, 환형 링 섹터(96)는 유동 입구 단면(98)의 유입 평면(97)에 대하여 환형 링 섹터(96)의 표면 섹터(99)의 영역에서 10°의 일정한 표면 섹터 각도(ζ)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누적면(95)의 표면 섹터(99)는 결과적으로 누적면(95)의 레벨 부분면(100)에 대해 이러한 일정한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진다. 부분면(100)은 링크(92)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표면 섹터(99)는 누적면(95)의 환형 링 센터(101)에 기반하여 180°까지 연장한다. (일정한 표면 섹터 각도(ζ)를 가진) 표면 섹터(99)에 부가하여, 환형 링 섹터(96)는 2개의 중간 섹터들(200, 201)을 구비하고, 표면 경사 각도(ζ)는 중간 섹터들의 각각의 원주 방향에서 0°(부분면(100)에 근접함)부터 10°(표면 섹터(99)에 근접함)까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중간 섹터들(200, 201) 모두는 각각 원주 방향에서 대략 45°따라서, 전체 90°까지 연장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102)를 도시한다. 특히,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교반 부재와 비교하여, 교반 부재(102)는 환형 링 센터(104)에 상대적으로 기반하는 누적면(105)의 360°이상으로 연장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환형 링 섹터(103)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환형 링 섹터(103)는 원뿔(106)을 형성한다. 여기서, 표면 섹터 각도(ζ)는 각각 환형 링 센터(104)에 기반하여 원주 방향과 방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107)를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교반 부재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교반 부재(107)는 트럼펫-모양의 누적면(109)을 가진 교반 부재 끝단(108)을 구비한다. 외부 에지(125)로부터 출발하고 누적면(109)의 외부 에지 평면(126)에 기반하는 표면 섹터 각도(ζ)는 환형 링 센터 축(127) 또는 누적면(109)의 환형 링 센터에 대한 간격이 감소할 때 연속적으로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누적면(109)은 적어도 10°의 표면 섹터 각도(ζ)를 가진 벨-모양의 구멍(110)을 형성한다. 누적면(109)은 유동 튜브(111)에 수렴한다. 누적면(109)의 원형 링(112)은 유동 튜브(111)의 유동 방향(113)에 대하여 각도(Ω) 만큼 경사진다. 따라서, 유동 튜브(111)의 튜브 벽(129)은 유입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거나 상기 각도(Ω) 만큼 유입 방향으로 경사진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115)를 도시한다. 교반 부재(115)는 유동 튜브(116)와 원형으로 형성된 누적면(117) 및 교반 부재 끝단(114)을 구비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교반 부재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115)와 누적면(117)은 각각 사인 함수에 따라 원형 링 센터 축(118) 또는 누적면(117)의 원형 링 센터(118)에 기반하여 연속적으로 파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누적면(117)은 동심원적 파고점들(119)과 파랑골들(120)을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외부 에지(128)로부터 유래하고 누적면(117)의 외부 에지 평면(129)에 기반하는 표면 섹터 각도(ζ)는, 원형 링 센터 축(118)에 대한 간격이 감소할 때, 연속적으로 교대로 증가 및 감소한다. 그러므로, 표면 섹터 각도(ζ)는 비-선형의 삼감 함수에 따라 원형 링 센터(118)에 대한 누적면(117)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부재(121)를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교반 부재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누적면(122)이 경사지고, 누적면(122)이 방사 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경사도,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누적면(122)을 따른 미도시된 10°의 표면 섹터 각도(ζ)는 사인 함수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또한, 누적면(122)은 파고점들(123)과 파랑골들(124)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표면 섹터 각도(ζ)는 누적면(122) 또는 원형 링 섹터를 따라 비-선형의 삼각 함수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20...컨테이너 21...하부 바닥 벽
22...전방 벽 23...측벽
26...상부 바닥 벽 27...채움 연결
28...리드 29...교반 봉 장치
30...교반 부재 캐리어 32...교반 부재
33...샤프트 허브 34...레그 스프링
36...록킹 리시버 37...록킹 연장부
38...교반 메커니즘 샤프트 39...샤프트 핀
40...샤프트 핀 리시버 42...베어링 끝단
43...회동 베어링 48...교반 부재 끝단
49...유동 튜브 50...유입 방향
51...누적면 52...튜브 벽

Claims (15)

  1. 교반 봉 장치의 봉-형상의 교반 부재 캐리어(30)에 연결될 수 있고, 베어링 끝단(91), 링크(92)를 통해 베어링 끝단에 연결된 교반 부재 끝단(94, 108, 114), 및 튜브 벽(128, 129)을 가진 유동 튜브(93, 111, 116)를 구비하는 교반 부재로서,
    리드(28)의 도움으로 막을 수 있고, 내부를 채울 수 있도록 상부 바닥 벽에 있는 채움 구멍을 포함하고, 특히, 액체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20)와 결합할 수 있는 교반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교반 봉 장치(29)를 위한 산업용 교반기용 교반 부재(90, 102, 107, 115, 121)에 있어서,
    상기 유동 튜브는 그 유동 입구 단면(98)에서 환형으로 형성된 누적면(accumulating surface)(95, 105, 109, 117, 122)을 포함하고,
    상기 누적면은 상기 유동 입구 단면의 유입 평면(97)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원형 링 섹터(96, 103)를 포함하는, 교반 부재.
  2. 청구항 1에서,
    경사진 상기 원형 링 섹터(96, 103)는, 원형 링 센터(101, 104, 118)에 대하여 상기 누적면(95, 105, 109, 117, 122)의 적어도 90°, 바람직하게 180°, 특히 바람직하게 270°까지 연장하는, 교반 부재.
  3. 청구항 2에서,
    상기 누적면(95)은 상기 누적면의 레벨 부분면(100)에 대해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표면 섹터(99)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섹터 각도(ζ)는 5°내지 20°, 바람직하게 10°인, 교반 부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경사진 상기 원형 링 섹터(103)는 원형 링 센터(101, 104, 118, 127)에 각각 기반하여 누적면(105, 109, 117, 122)의 360°이상으로 연장하는, 교반 부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원형 링 섹터(96, 103)는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지고,
    상기 표면 섹터 각도(ζ)가 일정한, 교반 부재.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서,
    상기 원형 링 섹터(96, 103)는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지고,
    상기 표면 섹터 각도(ζ)는 비-선형 함수, 바람직하게 삼각 함수와 관련하여, 상기 원형 링 섹터를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교반 부재.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서,
    상기 원형 링 섹터는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지고,
    상기 표면 섹터 각도(ζ)는 상기 누적면(109)에 대한 간격이 감소할 때 원형 링 센터(127)에 대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교반 부재.
  8. 청구항 7에서,
    상기 누적면(109)은 벨-모양의 구멍(110)으로서 형성된, 교반 부재.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서,
    상기 원형 링 섹터는 표면 섹터 각도(ζ)로 경사지고,
    상기 표면 섹터 각도(ζ)는 비-선형 함수, 바람직하게 삼각 함수와 관련하여 상기 누적면(117)의 간격이 감소할 때 원형 링 센터(118)에 대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교반 부재.
  10. 청구항 9에서,
    상기 누적면(122)은 파형 구멍으로서 형성된, 교반 부재.
  11. 리드(28)의 도움으로 닫을 수 있고 상부 바닥 벽(26)에서 내부를 채우기 위한 채움 구멍을 포함하고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20)와 결합할 수 있는 교반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교반 봉 장치로서, 교반 메커니즘 샤프트(38)를 수납하기 위해 속이 빈 샤프트로서 형성된 봉-형상의 교반 부재 캐리어(30)를 포함하는 산업용 교반기를 위한 교반 봉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반 부재 캐리어에 회동되게 연결된 교반 부재들(32, 82)을 구비하는, 교반 봉 장치.
  12. 청구항 11에서,
    교반 부재들(90, 102, 107, 115, 121)의 자유단(48, 83)은 마운팅 구성에서 교반 부재 캐리어의 회전축(47)에 대하여 회동되고,
    교반 부재 캐리어의 회전 속도에 의존하고, 회전축에 대해 형성된 교반 각도(δ) 만큼 회동된 위치를 취하는 교반 부재 캐리어와 교반 부재들의 회전의 결과로서 작동 구성에서 원심력이 교반 부재들에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교반 부재들(90, 102, 107, 115, 121)과 상기 교반 부재 캐리어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교반 부재의 자유단들은 회전축으로부터 교반 간격(r) 만큼 떨어져서 배치되고, 스프링 힘은 상기 원심력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상기 스프링 힘은 교반 각도가 증가할 때 더 강하게 되는, 교반 봉 장치.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교반 부재들(90, 102, 107, 115, 121)의 자유단들(94, 108, 114)은 마운팅 구성에서 상기 교반 부재 캐리어(30)에 형성된 회동 베어링(43) 아래에 배치된, 교반 봉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서,
    상기 스프링 디바이스는 레그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교반 봉 장치.
  15.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내부 컨테이너로서 형성되고, 리드(28)의 도움으로 닫을 수 있고 상부 바닥 벽(26)에서 내부를 채울 수 있는 채움 구멍, 출구 피팅을 연결하기 위해 전방 사이드에 형성되는 출구 연결부, 및 컨테이너를 수납하기 위한 외부 재킷을 가진 운송 파레트의 파레트 플로어 상에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측벽들(23, 24)을 연결하는 하부 바닥 벽, 후방 벽(25), 전방 벽(22)을 구비하는 컨테이너(20)를 포함하는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리드에는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반 봉 장치가 마련된,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KR1020187005682A 2015-09-18 2016-08-11 교반 부재,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부재 장치를 가진 액체용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KR20180034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11967.2A DE102015011967A1 (de) 2015-09-18 2015-09-18 Rührorgan, Rührstabanordnung sowie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mit einer Rührstabanordnung
DE102015011967.2 2015-09-18
PCT/EP2016/069116 WO2017045846A2 (de) 2015-09-18 2016-08-11 Rührorgan, rührstabanordnung sowie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mit einer rührstab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592A true KR20180034592A (ko) 2018-04-04

Family

ID=5684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682A KR20180034592A (ko) 2015-09-18 2016-08-11 교반 부재,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부재 장치를 가진 액체용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10799840B2 (ko)
EP (1) EP3349889A2 (ko)
JP (1) JP6674017B2 (ko)
KR (1) KR20180034592A (ko)
CN (1) CN108025269A (ko)
AR (1) AR105870A1 (ko)
AU (2) AU2016321714A1 (ko)
BR (1) BR112018004625A2 (ko)
CA (1) CA2997466C (ko)
CL (1) CL2018000468A1 (ko)
CO (1) CO2018003858A2 (ko)
DE (1) DE102015011967A1 (ko)
IL (1) IL257557B (ko)
MX (1) MX2018002273A (ko)
MY (1) MY197019A (ko)
RU (1) RU2697450C1 (ko)
SG (1) SG11201801154SA (ko)
TW (1) TWI671120B (ko)
WO (1) WO2017045846A2 (ko)
ZA (1) ZA2018015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5070A (zh) * 2018-07-09 2021-02-05 24M技术公司 半固体电极和蓄电池制造的连续和半连续方法
GB2580703B (en) * 2019-01-26 2023-09-27 Lovell Tony A lid and container apparatus
JP7336024B2 (ja) * 2020-03-26 2023-08-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
CN113580604B (zh) * 2021-07-28 2023-03-31 浙江隆源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eva片材生产工艺及设备
CN114570273B (zh) * 2022-03-01 2023-06-23 徐刚 一种安全的化工原料搅拌装置
CN116943480B (zh) * 2023-07-31 2024-01-26 安徽嘉宝莉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直涂型水性单组份瓷砖翻新涂料制备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0605A1 (de) 1974-04-27 1975-11-06 Hoess Walter Jauche - ruehrwerk
US4060224A (en) * 1976-03-08 1977-11-29 William Wilson Mixing bar and system
SU1542601A1 (ru) * 1987-09-18 1990-02-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956 Рамна мешалка
CH675215A5 (ko) * 1988-02-08 1990-09-14 Kurt Walter Wyss
DE4343113A1 (de) * 1993-01-27 1994-07-28 Didier Werke Ag Rührer
DE20214291U1 (de) * 2002-09-14 2003-01-02 Romaco Ag Frymakoruma Rheinfel Rühr-Vorrichtung für hochviskose Medien
DE20216809U1 (de) * 2002-10-30 2004-03-11 Benz, Peter Rührwerk
DE102004039963B4 (de) * 2004-08-18 2010-01-28 Protechna 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behältern für Flüssigkeiten
DE102005003528A1 (de) * 2005-01-25 2006-07-27 Wp-Aro Gmbh Rührvorrichtung
DE202005008676U1 (de) * 2005-01-25 2005-10-06 Wp-Aro Gmbh Rührvorrichtung
US7665887B2 (en) * 2006-02-02 2010-02-23 Morris Jr Joseph E Nozzle device with flow restrictors used for multiphase fluid flow simulation i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ized mixing reactors
DE102008005017B3 (de) * 2008-01-17 2009-03-12 INOTEC GmbH Transport- und Fördersysteme Rührorgan und Rührwerk zum Mischen und/oder Homogenisieren strömungsfähiger Medien
CA2644168C (en) * 2008-11-18 2016-01-26 John Sebree Agitator tool for progressive cavity pump
DE102008063393B3 (de) 2008-12-30 2010-06-02 Martin Hirzel Bördelrührer
US8408418B2 (en) * 2010-11-05 2013-04-02 Michael D. Stolzman Drum cover with center support
ES2547084T3 (es) * 2010-11-30 2015-10-01 Miteco Ag Instalación y método de agitación
DE102011051499B4 (de) * 2011-07-01 2014-02-27 Turbo-Misch- und Rühranlagen GmbH & Co. KG Anordnung aus einem Rührwerk und einem Behälter mit einer Wellendichtungsanordnung
US9327256B2 (en) * 2012-01-24 2016-05-03 Spx Corporation Impeller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US8876369B1 (en) * 2014-03-24 2014-11-04 Compatible Components Corporation Apparatus for mixing liquids and/or solids with liquids
DE202014002901U1 (de) 2014-04-04 2014-04-15 Agitec Apparatebau Gmbh Klappmischer
DE102015210904B4 (de) * 2015-03-11 2018-03-15 Protechna S.A. Rührstabanordnung sowie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mit einer Rührstab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1120B (zh) 2019-09-11
AU2016321714A1 (en) 2018-04-12
CA2997466C (en) 2019-12-17
EP3349889A2 (de) 2018-07-25
JP6674017B2 (ja) 2020-04-01
CO2018003858A2 (es) 2018-07-10
CA2997466A1 (en) 2017-03-23
ZA201801539B (en) 2020-09-30
MY197019A (en) 2023-05-21
SG11201801154SA (en) 2018-03-28
CN108025269A (zh) 2018-05-11
AR105870A1 (es) 2017-11-15
CL2018000468A1 (es) 2018-06-01
AU2020200139A1 (en) 2020-01-30
WO2017045846A3 (de) 2017-05-11
RU2697450C1 (ru) 2019-08-14
AU2020200139B2 (en) 2021-06-24
US20180236419A1 (en) 2018-08-23
WO2017045846A2 (de) 2017-03-23
DE102015011967A1 (de) 2017-03-23
US10799840B2 (en) 2020-10-13
JP2018527175A (ja) 2018-09-20
IL257557A (en) 2018-04-30
BR112018004625A2 (pt) 2018-09-25
TW201713406A (zh) 2017-04-16
IL257557B (en) 2021-08-31
MX2018002273A (es)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592A (ko) 교반 부재,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부재 장치를 가진 액체용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CN100545476C (zh) 搅拌器、混合器以及相关的连接机构
KR101904332B1 (ko)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
RU2690341C2 (ru) Узел мешалки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ей,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узлом мешалки
PL204347B1 (pl) Urządzenie do wytłaczania ciasta spożywczego
BE1000248A5 (fr) Regulation du debit de noir de carbone entrant dans un granulateur.
CN102499576A (zh) 一种搅拌式烹调机
KR101633553B1 (ko) 교반 스크류
US20030160048A1 (en) Cooking vessel for use in microwave oven
KR101685920B1 (ko) 모발 염색제 혼합용기
JP4430640B2 (ja) ミキサー装置の攪拌容器保持スタンド
KR102366053B1 (ko) 높은 작동 효율의 허브를 구비한 접이식 교반기
JP2019024729A (ja) 斜軸撹拌釜
CN111201081A (zh) 配备有此类搅拌设备的流体搅拌设备
CN213648217U (zh) 塑胶搅拌装置
US20210394137A1 (en) Stirrer assembly
US20170292535A1 (en) A rotary machine for mixing, pumping or agitating a fluid and a method of mounting
CN110772132A (zh) 具有插入件的搅拌机罐和搅拌机罐插入件
CN104874324A (zh) 一种黄豆烧炒用搅拌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