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284A - 신발류 물품 및 그 니팅된 요소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 및 그 니팅된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284A
KR20180034284A KR1020170124388A KR20170124388A KR20180034284A KR 20180034284 A KR20180034284 A KR 20180034284A KR 1020170124388 A KR1020170124388 A KR 1020170124388A KR 20170124388 A KR20170124388 A KR 20170124388A KR 20180034284 A KR20180034284 A KR 20180034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egion
yarn
foot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핑 루
Original Assignee
칭위안 글로벌 테크놀러지 서비시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위안 글로벌 테크놀러지 서비시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칭위안 글로벌 테크놀러지 서비시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3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2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2Flat fabric of variable width, e.g. including one or more fashioned pane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류 및 그 직물 부품에 관한 것으로, 신발류는 어퍼 및 어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를 포함한다. 어퍼는 캐비티를 정의하여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도록 한다. 어퍼는 직물 부품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어퍼영역을 포함한다. 직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된 2차원 구조로서, 복수개의 직물영역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복수개의 어퍼영역에 대응되고, 복수개의 어퍼영역과 복수개의 직물영역 사이는 각각 대응되는 인장비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직물영역 중의 각 직물영역의 바늘수는 그가 대응하는 인장비에 비례되어 발이 캐비티 내에 들어갈 때 복수개의 어퍼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실로 형성한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신발류 및 그 직물 부품 {Article of Footwear and Knitted Component Thereof}
본 발명은 신발류 및 그 직물 부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발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는 신발류 및 그 직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어퍼 및 밑창으로 구성된다. 어퍼는 통상 사용자의 발에 직접 접촉하여 피복 및 보호작용을 제공하며, 밑창은 어퍼 밑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발과 지면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고 나아가 발에 대한 반작용력의 스트레스 작용을 감소시킨다. 어퍼는 통상 천연가죽, 합성가죽, 폴리머 시트, 직물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할 수 있는데, 직물 어퍼는 통기성 및 편안감이 우수하고 제조 원가가 낮은 장점이 있어 직물 신발의 발전이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직물 어퍼는 일반적으로 매우 유연하여 정형이 쉽지 않아 통상 별도의 지지체를 이용하여 지지하거나 또는 별도의 정형기술을 통해 어퍼를 성형시킨다. 별도의 지지체를 사용하여 직물 어퍼를 지지하는 것은 제조 공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재료 원가가 높아지며, 외관 설계에 제한이 있는 문제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정형기술은 통상 어퍼를 편직할 때 열가소성 실을 사용하며, 열가소성 재료가 고온에서 용해되고 저온에서 경화되는 특성에 의해 어퍼 전체를 응고시키고 정형하는데, 이것은 직물 어퍼의 유연도 및 편안감의 저하를 초래한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2차원 구조가 3차원 구조로 인장되는 각 영역의 인장비에 따라 대응되는 바늘수로 직물 부품의 서로 다른 영역을 형성하여 2차원 직물 부품이 3차원 직물 어퍼로 형성될 때 자연스러운 입체 상태를 구현하도록 하며, 발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직물 신발류에 들어갈 때 직물 어퍼의 서로 다른 영역의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되어 직물 어퍼가 발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도록 하고 신발의 편안감 및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류 및 그 직물 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퍼 및 어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를 포함하는 신발류를 제공한다. 어퍼는 캐비티를 정의하여 발이 들어가도록 하며, 어퍼는 직물 부품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어퍼영역을 포함하며, 직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된 2차원 구조로서 복수개의 직물영역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복수개의 어퍼영역에 대응되며, 복수개의 어퍼영역과 복수개의 직물영역 사이는 각각 대응되는 인장비를 가지고 있고, 복수개의 직물영역 중의 각 직물영역의 바늘수는 그가 대응하는 인장비에 비례되어 발이 캐비티 내에 들어갈 때 복수개의 어퍼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실로 형성된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장비는 발이 캐비티 내에 들어갈 때 어퍼영역과 그에 대응되는 직물영역의 길이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물영역이 인장비에 대응되는 바늘수를 가짐으로써 직물 어퍼가 자연스러운 입체 부착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한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물영역이 탄성계수, 구조 요구, 내마모 특성 등의 요구에 대응하는 실 특성을 사용함으로써 직물 어퍼가 자연스러운 입체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퍼 및 어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를 포함하는 신발류를 제공한다. 어퍼는 캐비티를 정의하여 발이 들어가도록 하고, 어퍼는 직물 부품으로 형성되며, 직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되고 복수개의 직물영역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발의 서로 다른 부분에 대응되고,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발의 발꿈치와 발등에 대응되는 뒤축영역 및 뱀프영역을 포함하며, 뒤축영역 및 뱀프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탄성 실을 포함하여 뒤축영역 및 뱀프영역의 탄성계수가 실제로 다른 직물영역보다 크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측면영역을 더 포함하며, 측면영역은 발의 측면에 대응되고, 탄성 실은 뱀프영역으로부터 측면영역까지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뒤축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더 포함하고, 구조성 실은 탄성 실보다 굵거나 또는 강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입구를 정의하여 발이 캐비티에 들어가도록 하는 입구영역과, 발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앞코영역을 포함하며, 입구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탄성 실을 포함하고, 앞코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발류는 직물 부품의 서로 다른 영역의 바늘수 및/또는 실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직물 어퍼가 자연스러운 입체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어퍼가 발에 자연스럽게 부착되어 편안감 및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의 모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부품의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일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부품의 복수개의 영역의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부품의 복수개의 영역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부품의 모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의 모식도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고 구현하도록 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에에 결부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류(1)는 어퍼(10) 및 어퍼(10)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20)를 포함한다. 어퍼(10)는 캐비티(12)를 정의하여 사용자의 발이 들어가도록 한다. 밑창 구조(20)는 어퍼(10)의 밑부분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라이너 및 아웃솔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발이 캐비티(12)에 들어가 지면과 접촉할 때의 착지성 및 행보 시의 편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퍼(10)는 직물 부품(예를 들어, 도 2의 100)으로 형성되고, 어퍼(10)는 복수개의 어퍼영역(예를 들어 10a, 10b, 10c)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부품(100)은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된 2차원 구조로서 복수개의 직물영역(예를 들어 100a, 100b, 100c)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직물영역(100a, 100b, 100c)은 각각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에 대응되고,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과 복수개의 직물영역(100a, 100b, 100c) 사이는 각각 대응되는 인장비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직물영역(100a, 100b, 100c) 중의 각 직물영역의 바늘수는 그가 대응하는 인장비에 비례되어 발이 캐비티(12) 내에 들어갈 때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 중 적어도 하나의 실로 형성된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1)의 형태에 따라 발(예를 들어, 신발 제조시 사용하는 신발 골 또는 사용자의 발)이 캐비티(12)에 들어간 후의 3차원 입체 어퍼(10)를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으로 구획하는데,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은 발의 모양에 대응되므로 통상 곡면을 이룬다. 3차원 입체 어퍼(10)의 곡면 형상의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을 2차원 직물 부품(100)에 투영하여 직물 부품(100)이 대응되는 복수개의 2차원 직물영역(100a, 100b, 100c)을 가지도록 한다. 각 직물영역(100a, 100b, 100c)에 대해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과의 인장비를 얻는다. 일 실시예에서, 인장비는 발이 캐비티(12) 내에 들어갈 때 어퍼영역(10a, 10b, 10c)과 그에 대응되는 직물영역(100a, 100b, 100c)의 길이비이다. 예를 들어, 어퍼영역(10a, 10b, 10c)의 길이가 각각 L1, L2, L3이고 직물영역(100a, 100b, 100c)의 길이가 각각 L1’, L2’, L3’일 때, 어퍼영역(10a)의 인장비는 L1/L1’이고, 어퍼영역(10b)의 인장비는 L2/L2’이며, 어퍼영역(10c)의 인장비는 L3/L3’이다.
즉, 본 발명은 신발류(1)의 결정적인 형태실과 사이즈 제어실(즉 인장이 상대적으로 긴 실, 예를 들어 어퍼영역(10a, 10b, 10c) 둘레의 3개 실(L1, L2, L3) 등)을 찾아내 특징실로 한 후, 특징실을 2차원 직물 부품(100)의 어퍼 전개도에 투영하여 대응되는 직물영역(100a, 100b, 100c) 및 그 대응선(L1’, L2’, L3’)을 얻는다. 그 후, 3차원 특징실(L1, L2, L3)의 실제 사이즈를 측정하고 2차원 직물 부품의 어퍼 전개도의 대응선(L1’, L2’, L3’)의 길이와 비교하여 각 영역의 인장비를 계산한다. 그 후, 각 직물영역(100a, 100b, 100c)에 대해 계산한 인장비에 따라 각 직물영역(100a, 100b, 100c)의 직물공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일반 어퍼가 1cm/14바늘로 직물되는 경우 각 직물영역(100a, 100b, 100c)의 바늘수는 인장비에 비례되는데, 즉 각 직물영역(100a, 100b, 100c)의 바늘수는 인장비에 14를 곱한 것이다(예를 들어, 바늘수=14*L1/L1’, 14*L2/L2’ 또는 14*L3/L3’).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10)를 유사한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격자로 구획하여 2개의 차원에서 계산함으로써 직물 부품(100)이 복수개의 격자 형상의 직물영역(101)을 포함하는 전개도를 얻을 수 있는데, 즉 2차원 직물 부품(100)의 전개도를 바늘수 분포도(즉, 직물 밀도 조합도)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간법을 통해 각 격자(101)의 4개 각의 대응 바늘수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물 부품(100)은 상기 방식으로 계산한 실 분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실로 서로 다른 영역을 편직하여 2차원 직물 부품(100)으로 형성한 3차원 어퍼(10)가 사용자의 발 또는 신발 골에 끼운 후 복수개의 어퍼영역(10a, 10b, 10c) 중 적어도 하나의 실로 형성한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되도록 하며, 어퍼(10)가 자연스럽게 인장된 입체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발 또는 신발 골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도록 하여 신발류(1)의 편안감 및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에 기재된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함”이란 외관에서 위사와 경사가 시각적으로 직교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방식을 통해 각 격자(101)의 4개 각에 대해 대응되는 바늘수를 산출한 후, 바늘수 차이에 대해 스트레스와 스트레인 계산을 더 수행하여 어느 격자가 큰 바늘수 차이로 인해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변환 시 큰 변형이 일어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격자의 4개 각의 바늘수 차이에 대해 유한 요소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즉, 스트레스 및 스트레인 계산)함으로써, 어느 격자가 큰 바늘수 차이로 인해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전환 시 큰 변형이 일어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102)의 바늘수 차이가 크므로, 변형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격자(102)의 실은 탄성 실(예를 들어, 라이크라 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부품(100)의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뱀프영역(103), 뒤축영역(104), 입구영역(105), 앞코영역(106) 및 측면영역(107)을 포함할 수 있다. 뱀프영역(103)은 발의 발등에 대응되고, 뒤축영역(104)은 발의 발꿈치에 대응되며, 입구영역(105)은 입구를 정의하여 발이 어퍼(10)의 캐비티(12)에 들어가도록 하고, 앞코영역(106)은 발의 발가락에 대응되며, 측면영역(107)은 발의 측면에 대응된다. 측면영역(107)은 내측면 영역 및 외측면 영역을 포함하는데, 그 중 내측면 영역은 발의 내측(즉, 다른 하나의 발과 마주하는 측)에 대응되고, 외측면 영역은 발의 외측(즉, 다른 하나의 발과 마주하지 않는 측)에 대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간공학에 의해 어퍼영역에서 필요하는 탄성사 계수를 정의하여 직물 부품(100’)의 탄성계수 분포를 결정할 수 있다. 인간공학은 발의 어느 부분이 어퍼에 쉽게 접촉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접촉 부분들은 큰 지지가 필요하다. 탄성계수가 크거나 쿠션감이 큰 부분은 강한 지지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전체 직물 부품(100’) 표면의 탄성계수는 실의 탄성계수와 실의 밀도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인간공학에 따라 표준 표면 탄성계수를 설정함으로써, 각 직물영역(예를 들어 격자(101))에서 선택한 실의 탄성계수를 역추정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101a, 101b, 101c, 101d, 101e, 101f)에 대해 계산한 탄성계수는 각각 10, 0.5, 7, 0.5, 9, 1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실의 조합, 연사 기술, 서로 다른 굵기와 성분의 실을 사용하여 편직함으로써, 각 직물영역이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의 선택을 제외하고는 직물 두께, 편직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탄성계수를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직물영역의 탄성계수는 소정 방향에서 높게 요구되고 다른 방향에서 낮게 요구될 수 있는데, 경사 또는 위사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발생하여 요구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직물 밀도와 탄성계수가 높은 수직방향의 실은 굵거나 강직한 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탄성이 없는 강성 실을 선택하여 구조의 지지체(구조성 실이라고 함)로 사용할 수 있다. 직물 밀도가 높은 영역 및 탄성계수가 요구되는 수직 편직 방향의 실은 구조성 실을 선택함으로써, 이 영역이 바람직한 지지력을 가지고 예설된 방향으로 융기되도록 하고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데, 즉 서로 다른 영역의 실 특성의 변화에 의해 자연스러운 입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물영역이 인장비에 대응되는 바늘수를 가짐으로써 직물 어퍼가 자연스러운 입체 부착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직물영역이 탄성계수, 구조 요구, 내마모성 특성 등의 요구에 대응되는 실 특성을 사용함으로써 직물 어퍼가 자연스러운 입체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1’)는 어퍼(10’) 및 어퍼(10’)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20)를 포함한다. 어퍼(10’)는 캐비티(12)를 정의하여 발(2)이 들어가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어퍼(10’)는 직물 부품(예를 들어, 도 2의 100)으로 형성되며, 직물 부품(100)은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되고 복수개의 직물영역(예를 들어 103 ~ 107)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발의 서로 다른 부분(상술한 바와 같음)에 대응되는데, 그 중 뒤축영역(104) 및 뱀프영역(103)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탄성 실을 포함하여 뒤축영역(104) 및 뱀프영역(103)의 탄성계수가 다른 직물영역보다 실질적으로 크도록 한다. 이에 따라, 어퍼(10’)는 경사방향(즉, 발등에서 발꿈치까지의 방향)으로 발(2)을 탄성적으로 감싸 입체 부착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실은 뱀프영역(103)으로부터 측면영역(107)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뱀프영역(103)과 측면영역(107)(내측면 영역, 외측면 영역을 포함)은 환형의 탄성영역을 형성하고 뒤축영역(104)의 탄성영역과 협력하여 어퍼(10’)가 발등, 발의 측면 및 발꿈치에서 바람직한 지지효과 및 부착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뒤축영역(104)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는데, 구조성 실은 탄성 실보다 굵거나 강직하여 뒤축영역(104)이 탄성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및 구조성을 더 가지도록 한다. 입구영역(105)이 신발을 신거가 벗을 때 내마모성 및 탄성을 가지도록 입구영역(105)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탄성 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코영역(105)이 내마모성 및 구조성을 가지도록 앞코영역(106)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 부품(100)은 강한 구조 지지성이 있는 영역(예를 들어 뒤축영역(104), 앞코영역(106))이 구현되도록 국부에서 열가소성 실을 구조성 실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형성한 어퍼(10’)는 국부에서 강화된 지지효과가 있으나, 어퍼 전체는 여전히 상당한 유연성을 유지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신발류 및 그 직물 부품은 직물 부품의 서로 다른 영역의 바늘수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탄성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실 특성을 사용함으로써, 직물 어퍼가 자연스러운 입체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어퍼가 발에 자연스럽게 부착되어 편안감 및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목적을 예시할 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을 진행할 수 있음을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수정을 포함하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것이다.
1, 1’ : 신발류
2 : 발
10, 10’ : 어퍼
10a ~ 10c : 어퍼영역
12 : 캐비티
20 : 밑창 구조
100, 100’ : 직물 부품
100a ~ 100c : 직물영역
101 : 격자
101a ~ 101f : 격자
102 : 격자
103 : 뱀프영역
104 : 뒤축영역
105 : 입구영역
106 : 앞코영역
107 : 측면영역
L1 ~ L3 : 어퍼영역의 길이
L1’ ~ L3’ : 직물영역의 길이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된 2차원 구조로서, 캐비티를 정의하여 발이 들어가도록 하며 복수개의 어퍼영역을 포함하는 어퍼를 형성하기 위한 직물 부품에 있어서,
    각각 상기 복수개의 어퍼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개의 어퍼영역 사이와 각각 대응되는 인장비를 가지고 있는 복수개의 직물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 중의 각 직물영역의 바늘수는 그가 대응하는 상기 인장비에 비례되고, 상기 발이 상기 캐비티 내에 들어갈 때 상기 복수개의 어퍼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실로 형성한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비는 상기 발이 상기 캐비티 내에 들어갈 때 상기 어퍼영역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직물영역의 길이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상기 발의 발꿈치와 발등에 대응되는 뒤축영역 및 뱀프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탄성 실을 포함하여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의 탄성계수가 실질적으로 다른 직물영역보다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부품.
  4.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되고, 캐비티를 정의하여 발이 들어가도록 하는 어퍼를 형성하기 위한 직물 부품에 있어서,
    각각 상기 발의 서로 다른 부분에 대응되고, 각각 상기 발의 발꿈치와 발등에 대응되는 뒤축영역 및 뱀프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직물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탄성 실을 포함하여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의 탄성계수가 실질적으로 다른 직물영역보다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부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상기 발의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실은 상기 뱀프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면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부품.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뒤축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성 실은 상기 탄성 실보다 굵거나 강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부품.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입구를 정의하여 상기 발이 상기 캐비티에 들어가도록 하는 입구영역과, 상기 발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앞코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구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탄성 실을 포함하고, 상기 앞코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부품.
  8. 캐비티를 정의하여 발이 들어가도록 하는 어퍼; 및
    상기 어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는 직물 부품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어퍼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직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된 2차원 구조로서 복수개의 직물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어퍼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어퍼영역과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 사이는 각각 대응되는 인장비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 중의 각 직물영역의 바늘수는 그가 대응하는 상기 인장비에 비례되어 상기 발이 상기 캐비티 내에 들어갈 때 상기 복수개의 어퍼영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로 형성한 위사와 경사가 실질적으로 직교되도록 하는 신발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비는 상기 발이 상기 캐비티 내에 들어갈 때 상기 어퍼영역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직물영역의 길이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상기 발의 발꿈치와 발등에 대응되는 뒤축영역 및 뱀프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탄성 실을 포함하여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의 탄성계수가 실질적으로 다른 직물영역보다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11. 캐비티를 정의하여 발이 들어가도록 하는 어퍼; 및
    상기 어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는 직물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직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실로 편직되고 복수개의 직물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상기 발의 서로 다른 부분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각각 상기 발의 발꿈치와 발등에 대응되는 뒤축영역 및 뱀프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탄성 실을 포함하여 상기 뒤축영역 및 상기 뱀프영역의 탄성계수가 실질적으로 다른 직물영역보다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상기 발의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실은 상기 뱀프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면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뒤축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성 실은 상기 탄성 실보다 굵거나 강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14.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물영역은 입구를 정의하여 상기 발이 상기 캐비티에 들어가도록 하는 입구영역과, 상기 발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앞코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구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탄성 실을 포함하고, 상기 앞코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은 내마모성 실 및 구조성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KR1020170124388A 2016-09-26 2017-09-26 신발류 물품 및 그 니팅된 요소 KR20180034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54806.6A CN107865481A (zh) 2016-09-26 2016-09-26 鞋类物品及其针织部件
CN201610854806.6 2016-09-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78A Division KR20190126736A (ko) 2016-09-26 2019-08-30 신발류 및 그 편물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284A true KR20180034284A (ko) 2018-04-04

Family

ID=59966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388A KR20180034284A (ko) 2016-09-26 2017-09-26 신발류 물품 및 그 니팅된 요소
KR1020190107578A KR20190126736A (ko) 2016-09-26 2019-08-30 신발류 및 그 편물 부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78A KR20190126736A (ko) 2016-09-26 2019-08-30 신발류 및 그 편물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16339A1 (ko)
EP (1) EP3298920A1 (ko)
JP (1) JP2018051312A (ko)
KR (2) KR20180034284A (ko)
CN (1) CN107865481A (ko)
SG (1) SG10201707925QA (ko)
TW (1) TWI6923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966A1 (en) 2018-01-26 2019-08-01 Quantum Materials, Llc Shoe components having varying modulus zones
CN112567085B (zh) * 2018-08-08 2022-07-0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轻质针织鞋面以及制造方法
EP4081065A4 (en) * 2019-12-26 2024-01-03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SHOE UPPER WITH STRETCH ZONES
KR102441791B1 (ko) 2020-04-17 2022-09-08 이보나 신발 표면 발색 페인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7011B2 (en) * 2004-03-03 2008-03-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US8839532B2 (en) *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O2012166244A1 (en) * 2011-04-08 2012-12-06 Dashamerica, Inc. D/B/A Pearl Izumi Usa, Inc. Seamless upper for footwea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150986B2 (en) * 2011-05-04 2015-10-06 Nike, Inc. Knit component bonding
US20130260104A1 (en) * 2012-04-03 2013-10-03 Nike, Inc. Yarns, Threads, And Textiles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US9861160B2 (en) * 2012-11-30 2018-0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DE102013207155B4 (de) * 2013-04-19 2020-04-23 Adidas Ag Schuhoberteil
DE102013207153B4 (de) * 2013-04-19 2019-11-07 Adidas Ag An die Fußform angepasster Schuh
US8997529B1 (en) * 2014-02-03 2015-04-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monofilament knit element with peripheral knit portions
US9072335B1 (en) * 2014-02-03 2015-07-07 Nike, Inc. Knitted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full monofilament upper
US10028545B2 (en) * 2014-03-28 2018-07-24 Shima Seiki Mfg., Ltd. Shoe upper, and method for knitting shoe upper
US10194711B2 (en) * 2014-05-06 2019-02-05 Nike, Inc. Packaged dyed knitted component
US9907349B2 (en) * 2014-05-30 2018-03-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of warp knit construction forming a seamless bootie
US9903054B2 (en) * 2014-08-27 2018-02-27 Nike, Inc. Knitted component having tensile strand for adjusting auxetic portion
US9078488B1 (en) * 2014-09-30 2015-07-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lenticular knit structure
TW201636470A (zh) * 2015-01-20 2016-10-16 艾尼特國際有限公司 鞋體結構及其製造方法
US9888742B2 (en) * 2015-09-11 2018-02-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 having plurality of graduated projections
CN206119366U (zh) * 2016-09-26 2017-04-26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鞋类物品及其针织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16339A1 (en) 2018-05-03
KR20190126736A (ko) 2019-11-12
JP2018051312A (ja) 2018-04-05
TW201813532A (zh) 2018-04-16
EP3298920A1 (en) 2018-03-28
TWI692320B (zh) 2020-05-01
CN107865481A (zh) 2018-04-03
SG10201707925QA (en)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083B2 (en) Knitted shoe upper
TWI574642B (zh) 具有設置本體部及跟部之編織組件的鞋類物件
CN110771992B (zh) 三维鞋子
JP5749774B2 (ja) シューズ
JP6245482B2 (ja) 靴下部分およびベロ部分を有するニット部品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CN110074505B (zh)
KR20180034284A (ko) 신발류 물품 및 그 니팅된 요소
CN205913005U (zh) 鞋类物品和鞋面
TWI736836B (zh) 用於鞋類物件之鞋面及鞋類物件
CN114641217A (zh) 鞋类物品
CN104254260A (zh) 具有编织的鞋舌元件的鞋类鞋面
TW201811213A (zh) 具有一彎曲編織繫帶元件之鞋類物件及形成具有一編織組件之一鞋類物件之一鞋面之方法
EP3405056B1 (en) Footwear with embroidery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JP2016529036A (ja) ニット構成要素と一体型ニット足首カフとを組み合わせた履物製品
TWM590881U (zh) 具有鑲嵌緩衝的編織組件
TW201932661A (zh) 以高軔度紗加強的鞋類物件
TW202103597A (zh) 具有多層之物件及其製造方法
CN109430988A (zh) 一种鞋底局部凸起的横编袜子鞋及其制作方法
EP3491957B1 (en) Shoe with shoe eyelet structure
CN206119366U (zh) 鞋类物品及其针织部件
JP2021049202A (ja) シューズのアッパー及びシューズ
KR102338867B1 (ko) 직물조직을 이용하여 부분별 신축성을 달리한 신발갑피 및 그 제직방법
CN220192234U (zh) 一种保护跖骨和趾骨的跑步运动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