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759A -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759A
KR20180032759A KR1020160121802A KR20160121802A KR20180032759A KR 20180032759 A KR20180032759 A KR 20180032759A KR 1020160121802 A KR1020160121802 A KR 1020160121802A KR 20160121802 A KR20160121802 A KR 20160121802A KR 20180032759 A KR20180032759 A KR 2018003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residual monomer
polymer
monomer cont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308B1 (ko
Inventor
최용준
박원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2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308B1/ko
Priority to CN201780058703.1A priority patent/CN109790241A/zh
Priority to EP17853472.3A priority patent/EP3517551A4/en
Priority to PCT/KR2017/010490 priority patent/WO2018056758A1/ko
Priority to US16/335,576 priority patent/US11407845B2/en
Publication of KR2018003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08F6/005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F297/0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conjugated dienes and polar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방법은 열풍 온도 및 열풍 속도를 유지한 경우, 열풍 질량비를 조절함으로써 다른 외부 인자의 영향 없이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A residual monomer content cntrolling method of polymer}
본 출원은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 양산되고 있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는 합성, 탈수 등의 공정을 거쳐 유동층 건조기(Fluidized Bed Dryer)에서 건조되며, 열풍 온도 및 열풍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함수율 및 잔류 모노머를 갖는 제품이 생산된다.
다양한 건조 조건에 따라 함수율, 잔류 모노머 농도 등의 최종 제품 물성이 결정되는데, 보통 체류 시간이 길고 열풍 온도가 높을수록 최종 제품에서 낮은 잔류 모노머 함량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원하는 수준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가지는 고분자를 생산하기 위한 건조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체류 시간 및 열풍 온도 이외에도, 베드(Bed)의 크기, 고분자 유입 속도(Feed Rate), 공탑 속도 등의 건조기 인자, 고분자 입자 특성 및 공정의 특성에 따라 잔류 모노머 함량이 변하게 되어, 잔류 모노머를 예측하기 위한 명확한 정량적 지표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ABS 입자 내 잔류 모노머 제어를 위한 건조 조건 인자를 개발하여 원하는 수준의 잔류 모노머를 갖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지표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4742호
본 출원은 잔류 모노머 제어를 위한 건조 조건 인자를 개발하여 원하는 수준의 잔류 모노머를 갖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합성, 탈수 등의 공정을 거쳐 유동층 건조기(Fluidized Bed Dryer)에서 건조하여 잔류 모노머를 제어하였다.
통상적으로, 유동층 건조기(Fluidized Bed Dryer)는,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에 열풍을 공급하여 고분자 입자를 운동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기계이다.
기존에는 이러한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를 제거하기 위하여 체류 시간을 길게하고, 열풍 온도를 높여 최종 제품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낮췄다.
그러나, 상기 유동층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잔류 모노머를 제어하는 공정은, 열풍 온도, 체류 시간 이외에 여러 인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베드(Bed)의 크기, 고분자 유입 속도(Feed Rate), 열풍 유량, 공탑 속도 등의 건조기 인자, 고분자 입자 특성 및 공정의 특성 등의 인자가 잔류 모노머 함량이 함량에 영향을 미쳤다.
이하, 상기 인자들의 의미를 설명하기로 한다.
체류 시간이란,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가 유동층 건조기의 유입구에서 유출구까지 이동하면서 체류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열풍 온도란,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동층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의미한다.
베드의 크기란, 유동층 건조기 내에서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를 열풍 건조할 수 있는 공간의 부피를 의미한다.
고분자 유입 속도는,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의 유입 유량을 의미한다.
열풍 유량이란,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동층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의미한다.
공탑 속도란,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의 유입 유량을 베드의 단면적으로 나눈 겉보기 속도를 의미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고분자의 건조 공정을 통해 잔류 모노머를 제거할 때 다양한 인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최종 제품의 잔류 모노머를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잔류 모노머 제어를 위한 건조 조건 인자를 개발하여 원하는 수준의 잔류 모노머를 갖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예로서, 본원은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 공정에 따른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 인자를 이용하여,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식 1]
A/B
상기 일반식 1에서, A는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열풍의 질량(Kg)이고, B는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고분자의 질량(Kg)이다.
이와 같이, 본원에 따른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 인자를 제어함으로써, 베드의 크기, 공탑 속도, 열풍 유량, 체류 시간 및 고분자의 종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외부 인자에 관계없이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 인자는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고분자의 질량(Kg) 대비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열풍의 질량(Kg)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 또는 비선형 적으로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가 증가한다는 것은,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고분자의 질량과 비교하여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열풍의 질량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은 양의 수분 함유 고분자를 건조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열풍이 공급되므로, 최종 제품의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잔류 모노머의 함량은 열풍 온도 인자를 더 포함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가 일정한 조건에서, 열풍 온도가 증가할수록,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때, 열풍 온도 60 내지 100℃ 및 열풍 질량비 2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4500pp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열풍 온도 60 내지 100℃ 및 열풍 질량비 10 내지 20의 범위 내에서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2500pp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열풍 온도 60 내지 100℃ 및 열풍 질량비 20 내지 30의 범위 내에서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1000pp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온도 조건에서 열풍 질량비에 따른 잔류 모노머 함량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잔류 모노머의 함량은 열풍 속도 인자를 더 포함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 및 열풍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열풍 속도가 증가할수록,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상기 열풍 속도란, 수분을 함유한 고분자 입자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동층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의미한다.
이때, 열풍 온도 70℃로 유지할 경우, 열풍 속도 0.2 내지 0.6m/s의 범위 내에서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4000pp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열풍 온도 70℃로 유지하고, 열풍 속도 0.2 내지 0.6m/s의 범위 내에서 열풍 질량비가 5 내지 10인 경우,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3500pp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열풍 온도 70℃로 유지하고, 열풍 속도 0.2 내지 0.6m/s의 범위 내에서 열풍 질량비가 10 내지 20인 경우,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2500pp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열풍 온도 70℃로 유지하고, 열풍 속도 0.2 내지 0.6m/s의 범위 내에서 열풍 질량비가 20 내지 200인 경우,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100pp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풍 온도와 열풍 속도를 유지할 경우, 열풍 질량비에 따라 잔류 모노머 함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잔류 모노머 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고분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아크로니트릴 부티디엔 스티렌(ABS) 공중합체일 수 있다.
지금까지 유동층 건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설명한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의 제어방법은 열풍건조기 등과 같이 일정 온도 및 일정 풍속을 이용하여 입자계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방법은 열풍 온도 및 열풍 속도를 유지한 경우, 열풍 질량비를 조절함으로써 다른 외부 인자의 영향 없이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특정 열풍 온도 조건에서 열풍 질량비에 따른 잔류 모노머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특정 열풍 온도 내지 열풍 속도 조건에서 열풍 질량비에 따른 잔류 모노머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특정 열풍 온도 조건에서 열풍 질량비에 따른 잔류 모노머 함량 측정
베드의 단면적이 15 cm x 15 cm이고, 높이가 30 cm인 유동층 건조기에서, 열풍 온도를 70℃, 80℃및 90℃로 각각 달리하면서, 현 양산 건조기(Dryer) 기준을 포함한 열풍 질량비(열풍 Mass비)에 따른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열풍 질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특정 열풍 속도 조건에서 열풍 질량비에 따른 잔류 모노머 함량 측정
실시예 1과 동일한 유동층 건조기에서, 열풍 온도를 70℃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열풍 속도를 0.3 m/s 및 0.55 m/s로 각각 달리하면서, 열풍 질량비(열풍 Mass비)에 따른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풍 질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건조 조건에 따른 잔류 모노머 함량 측정
유동층 건조기에서, 단면적이 1 m x 1 m이고, 높이가 1 m인 베드에서, 3 m/s의 공탑 속도 조건으로, 체류 시간 및 열풍 온도를 70℃/5min 및 90℃/10min로 각각 달리하면서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열풍 온도/체류 시간 잔류 모노머(ppm)
- 4,200
70℃/5min 420
90℃/10min 70
그러나, 표 1의 결과는, 1 m x 1 m이고, 높이가 1 m인 베드에서 매우 높은 공탑 속도 조건에서만 나타나는 결과로, 다른 조건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분자 유입 속도, 베드의 크기 및 고분자의 물성 차이에 따라 체류 시간 및 공탑 속도 등이 변화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체류 시간 및 열풍 온도에 관계 없이, 매우 높은 속도로 열풍을 공급할 경우, 매우 낮은 잔류 모노머 함량의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는 잔류 모노머 함량의 예측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 공정에 따른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 인자를 이용하여,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일반식 1]
    A/B
    상기 일반식 1에서, A는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열풍의 질량(Kg)이고, B는 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고분자의 질량(Kg)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베드의 크기, 공탑 속도, 열풍 유량, 체류 시간 및 고분자의 종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외부 인자에 관계없이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 1로 표현되는 열풍 질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 또는 비선형 적으로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감소하는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잔류 모노머의 함량은 열풍 온도 인자를 더 포함하여 제어되는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열풍 온도 60 내지 100℃ 및 열풍 질량비 2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4500ppm 이하로 제어하는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잔류 모노머의 함량은 열풍 속도 인자를 더 포함하여 제어되는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열풍 온도 70℃, 열풍 속도 0.2 내지 0.6m/s의 범위 내에서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4000ppm 이하로 제어하는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자는 아크로니트릴 부티디엔 스티렌(ABS) 공중합체 입자인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KR1020160121802A 2016-09-23 2016-09-23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KR10206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02A KR102068308B1 (ko) 2016-09-23 2016-09-23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CN201780058703.1A CN109790241A (zh) 2016-09-23 2017-09-22 聚合物的残留单体含量控制方法
EP17853472.3A EP3517551A4 (en) 2016-09-23 2017-09-22 METHOD FOR REGULATING THE CONTENT OF A RESIDUAL MONOMER POLYMER
PCT/KR2017/010490 WO2018056758A1 (ko) 2016-09-23 2017-09-22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US16/335,576 US11407845B2 (en) 2016-09-23 2017-09-22 Residual monomer content controlling method of 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02A KR102068308B1 (ko) 2016-09-23 2016-09-23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759A true KR20180032759A (ko) 2018-04-02
KR102068308B1 KR102068308B1 (ko) 2020-01-20

Family

ID=6169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802A KR102068308B1 (ko) 2016-09-23 2016-09-23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07845B2 (ko)
EP (1) EP3517551A4 (ko)
KR (1) KR102068308B1 (ko)
CN (1) CN109790241A (ko)
WO (1) WO2018056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587A (ko) 2021-02-16 2023-10-17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그룹 게엠베하 열가소성 코폴리머 a 및 그라프트 코폴리머 b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몰딩 컴파운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332A (en) * 1972-06-06 1975-02-18 Crompton & Knowles Corp Fluidized bed dryer
US3954910A (en) * 1974-04-12 1976-05-04 The Standard Oil Company Process for removal and recovery of unreacted monomers from resinous polymers
US6365710B1 (en) * 2001-08-29 2002-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moving volatile components from solid polymeric materials
KR20160054742A (ko)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2494A (en) * 1993-12-27 1996-09-03 Mitsui Toatsu Chemicals, Inc. Quality control method for ABS-based resin and molding of the ABS-based resin
JP3709568B2 (ja) 1994-02-07 2005-10-26 チッソ株式会社 残留モノマー除去処理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残留モノマー除去処理塔
JPH11147911A (ja) 1997-11-18 1999-06-0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顆粒状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の残存単量体除去方法
US7193006B2 (en) 2002-12-06 2007-03-20 Nippon Shokubai Co., Ltd.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resin product
WO2004101625A1 (ja) * 2003-05-19 2004-11-2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
KR100569758B1 (ko) * 2003-11-28 2006-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내후성 및 성형품의 외관 품질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1942045B (zh) 2009-07-07 2012-08-29 台湾塑胶工业股份有限公司 残留单体含量低的吸水性树脂的制造方法
JP5587348B2 (ja) 2010-01-20 2014-09-10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KR101508038B1 (ko) * 2011-06-01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CN102432905B (zh) * 2011-08-16 2013-05-29 海宁市粤海彩印有限公司 低温等离子体引发聚乙烯薄膜表面气相接枝改性方法
KR101534378B1 (ko) 2012-01-11 2015-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 안정화제 프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0808B1 (ko) 2012-02-17 2019-07-16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폴리아크릴산(염)계 흡수성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11761B1 (ko) 2013-11-22 2020-05-15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유산/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2049013B1 (ko) 2015-10-19 201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자 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332A (en) * 1972-06-06 1975-02-18 Crompton & Knowles Corp Fluidized bed dryer
US3954910A (en) * 1974-04-12 1976-05-04 The Standard Oil Company Process for removal and recovery of unreacted monomers from resinous polymers
US6365710B1 (en) * 2001-08-29 2002-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moving volatile components from solid polymeric materials
KR20160054742A (ko)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308B1 (ko) 2020-01-20
CN109790241A (zh) 2019-05-21
EP3517551A1 (en) 2019-07-31
WO2018056758A1 (ko) 2018-03-29
EP3517551A4 (en) 2019-09-25
US11407845B2 (en) 2022-08-09
US20200017612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2390B (zh) 一种滚筒式烘丝机三级调节的控制方法
Alexy et al. Poly (vinyl alcohol) stabilisation in thermoplastic processing
ES2833547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plásticos de ABS con propiedades mejoradas
KR102068308B1 (ko) 고분자의 잔류 모노머 함량 제어방법
CN110013044B (zh) 一种通过计算kld-2烘丝机脱水量获得筒体温度的方法
Godoi et al. Analysis of the drying process of a biopolymer (poly-hydroxybutyrate) in rotating-pulsed fluidized bed
KITIC et al. Comparison of drying kinetics of soybeans in thin layer and fluidized beds
CN105334752A (zh) 一种组合积分环节与预测pi控制算法结合的控制方法
Acquah et al. Thermogravimetric characterization of ex situ polymethacrylate (EDMA‐co‐GMA) monoliths
Thorpe Moisture diffusion through bulk grain subjected to a temperature gradient
RU2016138817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ых пли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ой плиты
CN106072745B (zh) 卸料罩负压稳定控制方法和系统、滚筒烘丝机
Nodehi et al. Correlations for prediction of specific surface area and bulk and apparent densities of porous styrene‐divinylbenzene copolymers
CN205438961U (zh) 一种泡沫板生产系统
Tacidelli et al. Increasing PVC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ductivity—An industrial application
EP2915821A1 (en) Method of treating a poly(vinyl chloride) composition with dense phase carbon dioxide
CN111072574A (zh) 5,6-二氨基-1,3-二烃取代尿嘧啶及其制备方法
KR101510930B1 (ko) 현탁 중합에 의한 염화비닐 중합체의 건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건조장치
Kim et al. Simulation of wheat circulating cross-flow dryer
Ajala et al. Statistical modeling and simulation of drying cassava chips in tunnel dryer
SU372549A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оотноше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комплекса
US2805190A (en) Method for retarding the premature polymerization of polymerizable vinylidene compounds
KR20100130953A (ko) 열가소성 폴리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7347B1 (ko) 염화비닐 중합체의 제조방법
US2955105A (en) Process for improving polyolef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