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443A -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443A
KR20180031443A KR1020160120073A KR20160120073A KR20180031443A KR 20180031443 A KR20180031443 A KR 20180031443A KR 1020160120073 A KR1020160120073 A KR 1020160120073A KR 20160120073 A KR20160120073 A KR 20160120073A KR 20180031443 A KR20180031443 A KR 2018003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fixing portion
collecting tab
curren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835B1 (ko
Inventor
김강욱
김백건
김중헌
이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835B1/ko
Priority to EP17853271.9A priority patent/EP3518332A4/en
Priority to US16/335,118 priority patent/US11637309B2/en
Priority to CN201780057584.8A priority patent/CN109716573B/zh
Priority to PCT/KR2017/006968 priority patent/WO2018056557A1/ko
Publication of KR2018003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01M2/1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6U-shaped, bag-shaped or fo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전극 조립체는, 일측 가장자리가 제1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 전극과, 일측 가장자리가 제2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되며, 제1 전극의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 부분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 전극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삽입되는 세퍼레이터와,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집전 탭과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집전 탭을 포함하는 리드 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이차 전지에는 니켈 카드뮴(Ni Cd)전지와 니켈 수소(Ni 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 ion) 이차 전지 등이 있다. 특히,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 카드뮴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보다 작동 전압이 약 3배나 높다. 또한,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적층 타입으로 구현하는 경우, 적층 과정에서 다단 적층되는 양극과 음극의 적층 과정이 엇갈리는 경우 또는 뒤틀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과 음극의 적층 위치의 변형에 따른 뒤틀림으로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고 내구성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극 조립체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 가장자리가 제1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 전극과, 일측 가장자리가 제2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되며, 제1 전극의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 부분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 전극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삽입되는 세퍼레이터와,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집전 탭과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집전 탭을 포함하는 리드 탭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복수개가 적층되며, 적층된 일측의 가장자리들이 제1 고정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부는 복수개의 제1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될 수 있다.
제2 전극은 복수개가 적층되며, 적층된 일측의 가장자리들이 제2 고정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부는 복수개의 제2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 위치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 부분에 연속된 지그재그(zigzag) 타입으로 형성되어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사이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단자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제1 집전탭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와 제2 집전탭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는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복수개의 제1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1 고정부에 의해 가접합하는 단계와, (b) 복수개의 제2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2 고정부에 의해 가접합하는 단계와, (c) 상기 (a) 단계의 제1 전극의 사이 부분에 (b) 단계의 제2 전극을 각각 위치시키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의 제1 고정부는 복수개의 제1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할 수 있다.
(b) 단계의 제2 고정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2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할 수 있다.
(d) 단계의 세퍼레이터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 위치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d) 단계의 세퍼레이터는 연속된 지그재그(zigzag) 타입으로 형성되어,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사이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과 음극의 각각의 무지부들이 가접합된 상태에서 적층되어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 전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음극의 무지부가 가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양극의 무지부가 가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접합된 양극과 가접합된 음극이 서로간에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극과 양극이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세퍼레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극과 음극이 적층된 상태에서 양극 접전탭과 음극 집전탭이 무지부에 각각 용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양극 집전탭과 음극 집전탭이 연결된 부분이 벤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집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집전체의 세퍼레이터와 양극 및 전극이 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10)와, 전극 조립체(10)를 내장하는 케이스(15)와, 케이스(15)의 개구에 결합되며 단자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20)와, 캡 플레이트(20)에 설치되며 제1 전극 단자(21)와 제2 전극 단자(22)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21, 22)와, 전극 조립체(10)를 제1 전극 단자(21)에 연결하는 제1 집전 탭(51)과 전극 조립체(10)를 제2 전극 단자(22)에 연결하는 제2 집전 탭(52)을 포함하는 리드 탭(51, 52)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는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의 양면에 제1 전극(이하, "음극"이라 한다)(11)과 제2 전극(이하, "양극"이라 한다)(12)을 배치하고, 음극(11), 세퍼레이터(13) 및 양극(12)을 적층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음극(11) 및 양극(12)은, 각각 금속판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11a, 12a)를 포함한다.
음극(11)의 무지부(11a)는 음극(11)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양극(12)의 무지부(12a)는 양극(12)을 따라 양극(12)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무지부들(11a, 12a)은 전극 조립체(1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15)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1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설정하도록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를 직육면체의 일면에 형성한다. 개구는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15)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캡 플레이트(20)는 케이스(15)의 개구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스(15)를 밀폐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15)와 캡 플레이트(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서로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20)는 전해액 주입구(29)와 벤트홀(24) 및 단자홀을 구비한다. 전해액 주입구(29)는 케이스(15)에 캡 플레이트(20)를 결합한 후, 케이스(15)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29)는 밀봉 마개(27)로 밀봉된다. 벤트홀(24)은 이차 전지(100)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극 단자(21, 22)는 제1 전극 단자(21)와 제2 전극 단자(2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캡 플레이트(20)에 설치되고 전극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전극 단자(21)는 음극 단자 이고, 제2 전극 단자(22)는 양극 단자로 구성된다.
음극 단자(21)는 전극 조립체(10)의 음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20)에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에 제2 집전 탭(52)을 통해 연결된다.
음극 단자(2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극 단자(21)는 단자홀을 통과하며 일단은 제1 집전 탭(51)에 연결되고 타단은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양극 단자(22)는 단자홀을 통과하여 일단은 제2 집전 탭(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전극 조립체(10)는, 복수개의 양극(12)과 복수개의 음극(11)들의 가장자리 부분이 가접합된 상태에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음극의 무지부가 가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음극(11)은 일측 가장자리가 제1 고정부(11b)에 의해 서로 간에 가접합 상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고정부(11b)는 음극(11)의 무지부(11a)에서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즉, 복수개의 음극(11)은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의 무지부(11a)가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미접합 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음극(11)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무지부들이 가접합되는 것은, 음극(11)의 사이 부분으로 양극(12)이 삽입되어 적층되는 작업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양극의 무지부가 가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2)은 일측 가장자리가 제2 고정부(12b)에 의해 서로 간에 가접합 상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고정부(12b)는 양극(12)의 무지부(12a)에서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즉, 복수개의 양극(12)은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의 무지부(12a)가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미접합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접합된 양극과 가접합된 음극이 서로간에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11)과 양극(12)의 각각의 무지부(11a, 12a)가 가접합된 상태에서 서로간에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음극(11)과 양극(12)의 각각은 가접합된 무지부(11a, 12a)를 양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미접합된 부분을 서로간에 엇갈리게 배치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극과 양극이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세퍼레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극(12)과 음극(11)의 엇갈려 배치된 사이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는 양극(12)과 음극(11)의 무지부(11a, 12a)들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용접 등에 의해 가접합되어 서로간에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음극(11)과 양극(12)의 사이 부분으로 세퍼레이터(13)가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는 양극(12)과 음극(11)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제1 고정부(11b) 및 제2 고정부(12b)의 가접합 상태에 의해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의 뒤틀림에 의한 셀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 전지의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음극 개스킷(23)은 음극 단자(21)가 설치되는 캡 플레이트(20)의 단자홀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음극 단자(21)와 캡 플레이트(20)의 사이를 실링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양극 개스킷(25)은 양극 단자(21)가 설치되는 캡 플레이트(20)의 단자홀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양극 단자(21)와 캡 플레이트(20)의 사이를 실링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리드 탭(51, 52)은 전극 조립체(10)를 전극 단자(21, 22)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 집전 탭(51)과 제2 집전 탭(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집전 탭(51)은 음극 집전 탭이며, 제2 집전 탭(52)은 양극 집전 탭을 말한다.
음극 집전탭(51)에는 음극 단자(21)에 연결되는 양극 절곡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양극 집전탭(52)에는 양극 단자(22)에 연결되는 양극 절곡부(5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극과 음극이 적층된 상태에서 양극 접전탭과 음극 집전탭이 무지부에 각각 용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양극 집전탭과 음극 집전탭이 연결된 부분이 벤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집전 탭(52)과 음극 집전 탭(51)은 전극 조립체(10)의 측면의 돌출된 무지부(11a, 12a)에 각각 용접된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집전 탭(52)과 음극 집전 탭(51)이 연결된 무지부(11a, 12a)가 벤딩된다. 이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에는 양극 집전 탭(52)과 음극 집전 탭(51)이 용접되어 벤딩된 상태에서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집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집전체(10)는 2개가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양극 집전 탭(52)과 음극 집전 탭(51)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는 케이스(15)의 내부에서 2개로 설치되는 바, 이차 전지(100)의 용량을 더욱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집전체의 세퍼레이터와 양극 및 전극이 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세퍼레이터(13)는,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의 사이 부분에 연속된 지그재그(zigzag) 타입으로 형성되어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의 사이 부분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13)는 지그재그 타입으로 형성되어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의 사이 부분에 삽입되는 바, 전극 조립체(10)에 세퍼레이터(13)가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이차 전지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제1 전극(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1 고정부에 의해 가접합한다(S10). 이하에서 제1 전극(11)은 음극이고 제2 전극(12)은 양극을 말한다. 제1 전극과 음극은 동일 참조 번호 11을 사용하고, 제2 전극과 양극은 동일 참조 번호 12를 사용한다.
(S10) 단계의 제1 고정부(11b)는 음극(11)의 무지부(11a)에서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즉, 복수개의 양극(12)은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의 무지부(11a)가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미접합 상태로 형성된다.
다음, 복수개의 양극(12)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2 고정부에 의해 가접합한다(S20). (S20) 단계의 제2 고정부(12b)는 양극(12)의 무지부(12a)에서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즉, 복수개의 양극(12)은 적층된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의 무지부(12a)가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미접합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S10) 단계의 음극(11)의 사이 부분에 (S20) 단계의 양극(12)을 각각 위치시킨다(S30). 즉, (S30) 단계는 음극(11)과 양극(12) 각각의 가접합된 무지부(11a, 12a)를 양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미접합된 부분을 서로간에 엇갈리게 배치한다.
이어서, (S30) 단계의 음극(11)과 양극(12)의 사이에 세퍼레이터(13)를 삽입한다(S40). (S40) 단계는 양극(12)과 음극(11)의 무지부(11a, 12a)들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용접 등에 의해 가접합되어 서로간에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음극(11)과 양극(12)의 사이 부분으로 세퍼레이터(13)가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는 양극(12)과 음극(11)의 무지부가 용접에 의해 가접합된 상태에서 적층되는 바,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의 뒤틀림에 의한 셀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 전지의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전극 조립체 11...제1 전극
11a..무지부 11b..제1 고정부
12...제2 전극 12a..무지부
12b..제2 고정부 13...세퍼레이터
20...캡 플레이트 21..제1 전극 단자
22...제2 전극 단자 23...음극 개스킷
25...양극 개스킷 51...제1 집전 탭
51a..양극 절곡부 52...제2 집전 탭
52a..음극 절곡부

Claims (14)

  1. 일측 가장자리가 제1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 전극;
    일측 가장자리가 제2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의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 부분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삽입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집전 탭과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집전 탭을 포함하는 리드 탭;
    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복수개가 적층되며, 적층된 일측의 가장자리들이 제1 고정부에 의해 연결되는 전극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는 전극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복수개가 적층되며, 적층된 일측의 가장자리들이 제2 고정부에 의해 연결되는 전극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2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되는 전극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 위치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 부분에 연속된 지그재그(zigzag)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사이 부분에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단자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집전탭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와 상기 제2 집전탭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이차 전지.
  10. (a) 복수개의 제1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1 고정부에 의해 가접합하는 단계;
    (b) 복수개의 제2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2 고정부에 의해 가접합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의 상기 제1 전극의 사이 부분에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2 전극을 각각 위치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제1 고정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하는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2 고정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2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접에 의해 가접합하는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 위치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세퍼레이터는 연속된 지그재그(zigzag)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사이 부분에 삽입되는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KR1020160120073A 2016-09-20 2016-09-20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KR10226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73A KR102260835B1 (ko) 2016-09-20 2016-09-20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EP17853271.9A EP3518332A4 (en) 2016-09-20 2017-06-30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ARRANGEMENT
US16/335,118 US11637309B2 (en) 2016-09-20 2017-06-30 Rechargeable battery, electrode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CN201780057584.8A CN109716573B (zh) 2016-09-20 2017-06-30 可再充电电池、电极组件和用于制造电极组件的方法
PCT/KR2017/006968 WO2018056557A1 (ko) 2016-09-20 2017-06-30 이차 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73A KR102260835B1 (ko) 2016-09-20 2016-09-20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43A true KR20180031443A (ko) 2018-03-28
KR102260835B1 KR102260835B1 (ko) 2021-06-03

Family

ID=6168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073A KR102260835B1 (ko) 2016-09-20 2016-09-20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37309B2 (ko)
EP (1) EP3518332A4 (ko)
KR (1) KR102260835B1 (ko)
CN (1) CN109716573B (ko)
WO (1) WO2018056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6408A (zh) * 2020-05-14 2020-07-24 中航锂电(洛阳)有限公司 电芯、电池及电池制造方法
KR20230132286A (ko) * 2022-03-08 2023-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344B1 (ko) * 2009-12-07 201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22602A (ja) * 2012-04-17 2013-10-28 Denso Corp 積層型電池および積層電極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3182A (ja) 2006-03-30 2007-10-18 Sony Corp 集電体、負極及び電池
JP4580949B2 (ja) * 2006-06-02 2010-11-17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電池パック及び充電式掃除機
JP4811767B2 (ja) * 2007-12-06 2011-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8926715B2 (en) 2007-12-06 2015-01-06 Eliiy Powe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for rectangular battery
US8163421B2 (en) 2009-03-09 2012-04-24 Tsun-Yu Chang High durability lithium-ion cells
KR101084075B1 (ko) 2009-11-03 2011-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8802283B2 (en) * 2012-01-19 2014-08-12 Samsung Sdi Co., Ltd. Fabricat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EP2808933B1 (en) 2012-05-23 2019-02-20 LG Chem, Ltd. Fabricat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KR101651712B1 (ko) 2012-07-26 2016-08-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TWI520402B (zh) 2013-02-15 2016-02-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電極組及其製造方法
US9246185B2 (en) * 2013-03-14 2016-01-26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folded electrode and separato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same
CN103236564B (zh) * 2013-04-17 2015-07-22 河北工业大学 一种具有250Wh/Kg比能量的锂离子动力电池制造方法
US9991498B2 (en) * 2013-09-09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675623B1 (ko) * 2013-10-17 2016-1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5727B1 (ko) * 2014-01-06 2020-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636282B1 (ko) * 2014-09-19 2024-02-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이차 전지
US10312547B2 (en) * 2015-11-25 2019-06-04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Llc Cross-woven electrode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344B1 (ko) * 2009-12-07 201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22602A (ja) * 2012-04-17 2013-10-28 Denso Corp 積層型電池および積層電極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8332A1 (en) 2019-07-31
US11637309B2 (en) 2023-04-25
KR102260835B1 (ko) 2021-06-03
CN109716573A (zh) 2019-05-03
WO2018056557A1 (ko) 2018-03-29
CN109716573B (zh) 2023-03-10
US20190214670A1 (en) 2019-07-11
EP3518332A4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31B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102629053B1 (ko) 집전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101254886B1 (ko) 이차 전지
KR102571487B1 (ko) 이차 전지 및 그 조립 방법
KR102201306B1 (ko) 이차 전지
KR102444273B1 (ko) 이차 전지
KR20160042243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1406A (ko) 이차 전지
KR102391252B1 (ko) 이차 전지
KR102306448B1 (ko) 이차전지
KR20170009132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20130049535A (ko) 이차 전지
KR101711984B1 (ko) 이차전지
KR102361705B1 (ko)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60062625A (ko) 보호 테이프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340114B1 (ko) 이차 전지
KR20160059370A (ko) 단자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60104381A (ko) 이차 전지
KR20120113556A (ko) 이차 전지
KR102284570B1 (ko) 이차 전지
KR102172843B1 (ko) 이차 전지
KR102260835B1 (ko) 이차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KR20160036912A (ko) 이차 전지
KR102281736B1 (ko) 이차 전지
KR102213663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