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805A -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0805A KR20180030805A KR1020180029505A KR20180029505A KR20180030805A KR 20180030805 A KR20180030805 A KR 20180030805A KR 1020180029505 A KR1020180029505 A KR 1020180029505A KR 20180029505 A KR20180029505 A KR 20180029505A KR 20180030805 A KR20180030805 A KR 201800308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cushion
- spread
- airbag
- present
- membra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쿠션이 올려지는 작업대, 에어백 쿠션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왕복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작업대에 올려진 에어백 쿠션을 눌러 펴는 스프레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가장자리가 박음질 처리된 후 뒤집혀진 상태의 에어백 쿠션을 설비를 통해 박음질 부위까지 최대한 펼쳐 평면적을 극대화하고 나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가장자리가 박음질 처리된 후 뒤집혀진 상태의 에어백 쿠션을 설비를 통해 박음질 부위까지 최대한 펼쳐 평면적을 극대화하고 나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장자리가 박음질 처리된 후 뒤집혀진 상태의 에어백 쿠션을 설비를 통해 박음질 부위까지 최대한 펼쳐 평면적을 극대화하고 나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던 중에 정면 또는 측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면서 탑승자가 차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막아 인명 피해를 최소화한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백은 전자제어유닛(ECU)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발생기와, 하부에는 가스발생기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커버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가스발생기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백 쿠션과 쿠션커버는 볼트나 나사와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서 하우징에 고정된다. 아울러, 쿠션커버의 일단은 에어백 쿠션의 외주면에 열융착되고 타단은 체결나사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에는 에어백 팽창 직후에 에어백 내부 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가스 배출용 배기홀(vent hole)이 구비되어 있다.
에어백에 관해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6468호(공개일: 2003.04.03.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테더 및 배기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에어백의 에어백 쿠션은 2장의 멤브레인을 겹친 후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 처리하고 나서, 뒤집음에 따라 제작이 완료되는데, 뒤집은 후에 박음질 부위가 제대로 펼쳐지지 않아 작업자가 일일이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멤브레인끼리 가장자리가 박음질 처리된 후 뒤집혀진 상태의 에어백 쿠션을 설비로써 박음질 부위까지 최대한 펼쳐 평면적을 극대화하고 나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에어백 쿠션 제작을 위한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는: 에어백 쿠션이 올려지는 작업대; 상기 에어백 쿠션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왕복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에 올려진 상기 에어백 쿠션을 눌러 펴는 스프레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레드유닛은,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으로, 상기 작업대에 놓여진 상기 에어백 쿠션을 펼치기 위해 가압하는 프레스부재; 및 상기 프레스부재가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가압시 상기 에어백 쿠션이 내부의 잔류 공기에 의해 박음질 부위까지 펼쳐지며 평면적을 증가시킨 후 배기홀로 배기 안내하도록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프레스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와이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부재는 무게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박음질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배기홀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스부재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시간 차이를 두고 접하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거치대를 연결하고, 상기 작업대와 상기 거치대는 상기 프레스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멤브레인은 전개를 위해 가스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유입홀과, 유입된 가스의 배기를 위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배기홀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스부재가 상기 작업대의 상기 제 2멤브레인을 서서히 가압시,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와 상기 유입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홀로 이동되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기 박음질 부위까지 전체적으로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2개의 멤브레인끼리 가장자리가 박음질 처리된 후 뒤집혀진 상태의 에어백 쿠션을 설비로써 박음질 부위까지 최대한 펼쳐 평면적을 극대화하고 나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에어백 쿠션 제작을 위한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에어백 쿠션 펼침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뒤집혀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에어백 쿠션 펼침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에어백 쿠션 펼침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뒤집혀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에어백 쿠션 펼침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에어백 쿠션 펼침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뒤집혀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에어백 쿠션 펼침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10)의 스프레드 장치(100)는 작업대(110), 작동부재(120) 및 스프레드유닛(130)을 포함한다.
작업대(110)는 에어백 쿠션(10)이 올려 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작동부재(120)와 스프레드유닛(130)을 연결하거나 지지한다.
특히, 에어백 쿠션(10)은 제 1멤브레인(20)과 제 2멤브레인(30)이 포개지고 나서, 가장자리끼리 박음질(40) 처리한 후, 뒤집혀짐으로써, 박음질(40)이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제 1멤브레인(20)은 에어백 쿠션(10)의 장착시 하측에 배치되고, 제 2멤브레인(30)은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2멤브레인(30)은 전개를 위해 가스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홀(32)을 통공하고, 유입된 가스의 배기를 위해 배기홀(34)을 통공한다.
특히, 유입홀(32)은 제 2멤브레인(3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고, 배기홀(34)은 제 2멤브레인(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통공된다. 이때, 가스의 순간적인 유입량이 확보되도록, 유입홀(32)의 직경은 설정된다. 그리고, 부딪히는 운전자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유입된 가스가 서서히 배기되도록, 배기홀(34)의 직경 및 개수가 설정된다.
제 1멤브레인(20)과 제 2멤브레인(30)이 박음질(40)에 의해 가장자리끼리 연결된 후, 뒤집혀서 박음질(40)이 내측에 배치시, 에어백 쿠션(10)이 완성된다.
완성된 에어백 쿠션(10)이 보관이나 유통시, 제 1멤브레인(20)과 제 2멤브레인(30)은 박음질(40) 부위까지 최대한 펼쳐져서 평면적을 최대로 하면서 전체적으로 펼침에 따라 구김에 의한 전개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작동부재(120)는 작업대(110)에 놓여진 에어백 쿠션(10)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왕복 작동된다.
특히, 작업대(110)는 거치대(112)를 구비하는데, 작업대(110)와 거치대(112)는 가이드부재(114)에 의해 연결된다. 아울러, 작동부재(120)는 거치대(112)에 고정 설치되어 전후진 작동된다. 여기서, 작동부재(120)는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작업대(110)에 올려진 에어백 쿠션(10)의 제 2멤브레인(30)이 상측에 배치됨에 따라, 유입홀(32)과 배기홀(34)이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다.
한편, 스프레드유닛(130)은 작동부재(120)에 연결되어 작업대(110)에 올려진 에어백 쿠션(10)의 제 2멤브레인(30)과 제 1멤브레인(20)을 눌러 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프레드유닛(130)은 프레스부재(132) 및 와이어부재(134)를 포함한다.
프레스부재(132)는 작동부재(120)의 하강 작동시, 작업대(110)에 놓여진 에어백 쿠션(10)을 펼치기 위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에어백 쿠션(10)을 구성하는 제 1멤브레인(20)과 제 2멤브레인(30)은 비교적 굵은 데니어(denier)와 내구성을 갖는 필라멘트 사(絲) 등으로 제직됨에 따라 자연적인 형상 변형의 반응성이 저하된다.
프레스부재(132)가 에어백 쿠션(10)의 제 2멤브레인(30)을 가압하게 될 때, 프레스부재(132)는 에어백 쿠션(10)을 서서히 펼칠 수 있는 자중을 갖는 것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와이어부재(134)는 작동부재(120)와 프레스부재(132)를 연결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프레스부재(132)가 제 2멤브레인(30)에 접한 후, 작동부재(120)가 제 2멤브레인(30)에 접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속 하강 작동하더라도, 프레스부재(132)는 자중에 의해 서서히 에어백 쿠션(10)을 누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프레스부재(132)가 에어백 쿠션(10)을 가압시, 프레스부재(132)의 자연적 가압에 의해 내부의 잔류 공기가 박음질(40) 부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은 내부의 잔류 공기에 의해 박음질(40) 부위까지 펼쳐지며 평면적을 증가시키게 되며, 잔류 공기는 배기홀(34)로 배기 안내된다.
그래서, 에어백 쿠션(10)은 스프레드 장치(100)에 의해 박음질(40) 부위까지 최대한 펴지게 된다.
이때, 작동부재(120)가 프레스부재(132)를 전진 작동시키면서 에어백 쿠션(10)을 순간적을 가압시, 에어백 쿠션(10)은 제 1멤브레인(20)과 제 2멤브레인(30)이 완전히 펴지지 않은 상태로 밀착됨으로써 성형 불량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134)에 의해, 프레스부재(132)는 서서히 에어백 쿠션(10)을 가압하게 된다.
아울러, 프레스부재(132)가 에어백 쿠션(10)을 충분히 가압하지 못할 경우, 프레스부재(132)는 상측에 무게추(140)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에어백 쿠션(10)이 프레스부재(132)에 의해 설정시간에 걸쳐 서서히 팽창 후 배기되도록, 무게추(140)의 무게가 설정된다.
특히, 프레스부재(132)는 다양한 방식으로 무게추(14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10)의 스프레드 장치(100)는 작업대(110), 작동부재(120) 및 스프레드유닛(130)을 포함한다.
작업대(11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작업대(110)는 적어도 양측에서 가이드부재(114)를 연장 형성한다. 편의상, 가이드부재(114)는 4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거치대(112)가 가이드부재(114)에 연결 고정된다. 물론, 거치대(112)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든 가이드부재(114)에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거치대(112)는 작동부재(120)를 고정 설치한다.
프레스부재(132)는 가이드부재(114)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각 가이드부재(114)를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홈부(160)를 형성한다. 즉, 프레스부재(132)는 가이드부재(114)를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 하강하여 에어백 쿠션(10)을 전체적으로 동시에 가압함에 따라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잔류 공기가 사방으로 퍼지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은 최대한 펴지게 된다.
한편, 프레스부재(132)는 에어백 쿠션(10)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시간 차이를 두고 접하도록 곡면(150)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스부재(132)가 하측 중앙을 기준으로 볼록한 호 궤적의 곡면(150)을 형성함에 따라, 프레스부재(132)가 하강시 에어백 쿠션(10)의 중앙 부위에 먼저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잔류 공기가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가장자리로 유동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은 박음질(40) 부위까지 최대한 펴지게 되고,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공기는 서서히 배기홀(34)을 통해 배기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에어백 쿠션 20: 제 1멤브레인
30: 제 2멤브레인 32: 유입홀
34: 배기홀 40: 박음질
100: 스프레드 장치(spread device)
110: 작업대 120: 작동부재
130: 스프레드유닛 132: 프레스부재
134: 와이어부재 140: 무게추
150: 곡면 160: 가이드홈부
30: 제 2멤브레인 32: 유입홀
34: 배기홀 40: 박음질
100: 스프레드 장치(spread device)
110: 작업대 120: 작동부재
130: 스프레드유닛 132: 프레스부재
134: 와이어부재 140: 무게추
150: 곡면 160: 가이드홈부
Claims (1)
- 제 1멤브레인과 제 2멤브레인이 포개진 후 가장자리끼리 박음질 처리된 에어백 쿠션이 올려지는 작업대;
상기 에어백 쿠션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왕복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에 올려진 상기 에어백 쿠션을 눌러 펴는 스프레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드유닛은,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으로, 상기 작업대에 놓여진 상기 에어백 쿠션을 펼치기 위해 가압하는 프레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멤브레인은 전개를 위해 가스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유입홀과, 유입된 가스의 배기를 위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배기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505A KR101954154B1 (ko) | 2018-03-14 | 2018-03-14 |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505A KR101954154B1 (ko) | 2018-03-14 | 2018-03-14 |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590 Division | 2016-09-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0805A true KR20180030805A (ko) | 2018-03-26 |
KR101954154B1 KR101954154B1 (ko) | 2019-03-05 |
Family
ID=6191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9505A KR101954154B1 (ko) | 2018-03-14 | 2018-03-14 |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15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0700A (ja) * | 1996-04-26 | 1997-11-11 | Denso Corp | エアバッグ用バッグの折り畳み前癖付け装置及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JP2001063508A (ja) * | 1999-08-31 | 2001-03-13 | Toyoda Gosei Co Ltd | 助手席用エアバッグ |
-
2018
- 2018-03-14 KR KR1020180029505A patent/KR101954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0700A (ja) * | 1996-04-26 | 1997-11-11 | Denso Corp | エアバッグ用バッグの折り畳み前癖付け装置及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JP2001063508A (ja) * | 1999-08-31 | 2001-03-13 | Toyoda Gosei Co Ltd | 助手席用エアバッ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4154B1 (ko) | 2019-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3583B1 (ko)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US7407185B2 (en) | Passenger airbag with a diffuser | |
US7264269B2 (en) | Head-protecting airbag an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 |
US7360790B2 (en) | Airbag with tie panel | |
US5584508A (en) | Combination of an air bag device and a vehicle | |
US9376083B2 (en) | Far-side airbag apparatus | |
US6739622B2 (en) | Method of folding air bag | |
US7513523B2 (en) | Inflatable curtain with different size panels | |
US7798523B2 (en) | Side impact airbag apparatus | |
JP4848141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2003335203A5 (ko) | ||
JP2004196162A (ja) | サイドエアバッグ | |
CN109963754B (zh) | 侧气囊装置 | |
JP2007131104A (ja) | 乗員拘束装置 | |
WO2007049537A1 (ja) | 乗員拘束装置 | |
WO2006132266A1 (ja) | エアバッグ装置の組立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 |
EP1772327A3 (en) | Airbag system | |
WO2006132071A1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2022153063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2005238973A (ja) |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 |
KR101954154B1 (ko) |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 |
JP4909556B2 (ja) | エアバッグ | |
JP4894283B2 (ja) | 乗員脚部拘束装置 | |
JP4325444B2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
JP4793123B2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