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674A - 카테터용 벌룬, 벌룬 카테터 및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카테터용 벌룬, 벌룬 카테터 및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674A
KR20180030674A KR1020187004750A KR20187004750A KR20180030674A KR 20180030674 A KR20180030674 A KR 20180030674A KR 1020187004750 A KR1020187004750 A KR 1020187004750A KR 20187004750 A KR20187004750 A KR 20187004750A KR 20180030674 A KR20180030674 A KR 2018003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point
angle
end si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나카가와
다쿠마 미야무라
고지 가메오카
지로 하라
세이이치로 무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Publication of KR2018003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5Connections between catheter tubes and inflatio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6Balloons formed between concentric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29Production methods of the balloon members, e.g. blow-moulding, extruding, deposition or by wrapping a plurality of layers of balloon material around a mand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4Joining of shaft and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61M2025/1004Balloons with folds, e.g. folded or multifol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different inflatable sections mainly depending on the response to the inflation pressure, e.g. due to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61M2207/10Device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42Cath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42Catheters
    • B29L2031/7543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벌룬(3)은, 팽창부(33), 팽창부(33)에 접속하는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큰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 및 기단측 레그부(31) 및 선단측 레그부를 구비한다. 기단측 콘부(32)는, 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를 갖는다. 제1 점(P21)과 제3 점(P23)을 연결하는 제1 선분(L21)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1 각도(θ21), 및 제2 점(P22)과 제4 점(P24)을 연결하는 제2 선분(L22)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2 각도(θ22)는, 제3 점(P23)과 제4 점(P24)을 연결하는 제3 선분(L23)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3 각도(θ23)보다 크다.

Description

카테터용 벌룬, 벌룬 카테터 및 성형 금형
본 발명은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에 접합되는 카테터용 벌룬,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에 카테터용 벌룬이 접합된 벌룬 카테터, 및 카테터용 벌룬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혈관 내의 협착된 개소를 확장하는 치료에 사용되는 벌룬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은, 샤프트 본체부 및 벌룬을 구비한 생체 기관 확장 기구를 개시한다. 벌룬은, 내압의 변화에 따라 절첩 및 확장 가능하다. 벌룬은, 샤프트 본체부의 선단에 설치된다. 벌룬은, 확장 가능부, 선단측 이행부, 선단측 접합부, 기단측 이행부 및 기단측 접합부를 갖는다. 확장 가능부는, 벌룬의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거의 동일 직경의 통형으로 확장된다. 선단측 접합부는, 샤프트 본체부의 내관에 접합된다. 선단측 이행부는, 선단측 접합부와 확장 가능부의 사이에 설치된다. 기단측 접합부는, 샤프트 본체부의 외관에 접합된다. 기단측 이행부는, 기단측 접합부와 확장 가능부의 사이에 설치된다. 선단측 이행부 및 기단측 이행부는, 각각 확장 가능부측에 고경사부를 구비하고, 확장 가능부측과 반대측에 저경사부를 구비한다. 벌룬의 긴 변 방향에 대한 고경사부의 경사 각도는, 벌룬의 긴 변 방향에 대한 저경사부의 경사 각도보다 크다. 이하, 확장 가능부를 「팽창부」라고 한다. 선단측 이행부 및 기단측 이행부를 「연결부」라고 한다. 선단측 접합부 및 기단측 접합부를 「접합부」라고 한다.
일본 특허 제4955162호
통상, 벌룬이 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 중 팽창부와 근접하는 부분의, 카테터 샤프트의 연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큰 편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경사 각도가 클수록, 팽창부와 연결부의 경계를 유저가 특정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벌룬이 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 중 접합부와 근접하는 부분의, 카테터 샤프트의 연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큰 편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경사 각도가 클수록, 벌룬을 적절하게 절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생체 기관 확장 기구에서는, 연결부 중 접합부와 근접하는 부분의, 샤프트 본체부의 연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작다. 이 때문에, 벌룬을 적절하게 절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부와 연결부의 경계가 특정되기 쉽고, 또한 절첩성이 양호한 카테터용 벌룬,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에 카테터용 벌룬이 접합된 벌룬 카테터, 및 카테터용 벌룬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카테터용 벌룬은, 내압의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카테터용 벌룬이며, 팽창한 상태에서,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으로 되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의 적어도 한쪽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며, 상기 팽창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팽창부에 접속하는 단부인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타단부의 직경보다 큰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팽창부와 제1 점에서 접속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접합부와 제2 점에서 접속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3 점에서 접속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제4 점에서 접속하는 제3 연결부를 갖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1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1 각도, 및 상기 제2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2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2 각도는, 모두, 상기 제3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3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3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에 따르면, 카테터용 벌룬은, 팽창한 상태에서, 연결부 중 팽창부와 근접하는 제1 연결부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용 벌룬은, 팽창부와 연결부의 경계를 유저가 특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용 벌룬은, 팽창한 상태에서, 연결부 중 접합부와 근접하는 제2 연결부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테터용 벌룬을 적절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이 경우, 카테터용 벌룬은, 수축된 상태에서, 제3 연결부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연신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용 벌룬은, 수축된 상태에서 혈관 내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가 동일해도 된다. 이 경우, 카테터용 벌룬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제1 연결부를 향하여 증가해도 된다. 이 경우, 카테터용 벌룬은, 수축된 상태에서, 제3 연결부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접합부측으로부터 팽창부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용 벌룬은, 수축된 상태에서 혈관 내로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벌룬 카테터는,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카테터용 벌룬과, 기단과 선단의 사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용 벌룬의 상기 접합부가 상기 선단에 접합하는 카테터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형태에 따르면, 벌룬 카테터는, 카테터용 벌룬이 팽창한 상태에서, 연결부 중 팽창부와 근접하는 제1 연결부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는, 카테터용 벌룬의 팽창부와 연결부의 경계를 유저가 특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벌룬 카테터는, 카테터용 벌룬이 팽창한 상태에서, 연결부 중 접합부와 근접하는 제2 연결부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는, 카테터용 벌룬을 적절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관한 성형 금형은, 블로우 성형에 의해 카테터용 벌룬을 작성하기 위한 성형 금형이며, 연신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갖고, 상기 내벽은, 상기 연신 방향에 걸쳐 직경이 대략 동일하게 되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의 적어도 한쪽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며, 상기 팽창부에 접속하는 단부인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타단부의 직경보다 큰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팽창부와 제1 점에서 접속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접합부와 제2 점에서 접속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3 점에서 접속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제4 점에서 접속하는 제3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1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1 각도, 및 상기 제2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2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2 각도는, 모두, 상기 제3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3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3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형태에 따르면, 팽창한 상태에서 연결부 중 팽창부와 근접하는 제1 연결부의 경사 각도가 상대적으로 큰 카테터용 벌룬을, 성형 금형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성된 카테터용 벌룬은, 팽창부와 연결부의 경계를 유저가 특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팽창한 상태에서 연결부 중 접합부와 근접하는 제2 연결부의 경사 각도가 상대적으로 큰 카테터용 벌룬을, 성형 금형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성된 카테터용 벌룬을 적절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벌룬 카테터(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수축한 상태의 벌룬(3)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의 기단측 콘(32)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의 선단측 콘(34)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성형 금형(6)에 의한 벌룬(3)의 작성 공정(제1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성형 금형(6)에 의한 벌룬(3)의 작성 공정(제2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성형 금형(6)에 의한 벌룬(3)의 작성 공정(제2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성형 금형(6)에 의한 벌룬(3)의 작성 공정(제3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팽창한 상태의 벌룬(7)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 카테터(10)는 카테터 샤프트(2), 벌룬(3) 및 허브(4)를 갖는다. 벌룬(3)은, 카테터 샤프트(2)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된다. 허브(4)는, 카테터 샤프트(2)의 타방측의 단부에 접속된다. 이하, 카테터 샤프트(2)의 양단 중 한쪽측의 단부를 「선단」이라고 한다. 카테터 샤프트(2)의 양단 중 타방측의 단부를 「기단」이라고 한다. 카테터 샤프트(2)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연신 방향」이라고 한다.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카테터 샤프트(2)의 단면 중심에 근접하는 측을 「내측」이라고 하고, 카테터 샤프트(2)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외측」이라고 한다.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제1 평면」이라고 한다. 연신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제2 평면」이라고 한다.
<카테터 샤프트(2), 허브(4)>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2)는, 외측 튜브(21) 및 내측 튜브(22)를 갖는다. 외측 튜브(21) 및 내측 튜브(22)는, 각각 가요성을 갖는 관형이다. 외측 튜브(21)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내측 튜브(22)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내측 튜브(22)는, 선단측의 소정 부분을 제외하고, 외측 튜브(21) 내에 배치된다. 내측 튜브(22)의 선단측의 소정 부분은, 외측 튜브(21)의 선단(211)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 때문에, 내측 튜브(22)의 선단(221)은, 외측 튜브(21)의 선단(211)보다 선단측에 배치된다. 이하, 내측 튜브(22)의 선단측의 소정 부분을 「돌출 부분(225)」이라고 한다. 내측 튜브(22)에는, 가이드 와이어(미도시)가 삽입 관통된다.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에, 방사선 불투과 마커(이하, 간단히 「마커」라고 함)(22A, 22B)가 장착된다. 마커(22A, 22B)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방사선 불투과재가 혼합된 수지가 사용된다. 마커(22A, 22B)는 방사선을 투과시키지 않는다. 마커(22B)는 마커(22A)보다 선단측에 배치된다. 마커(22A, 22B)는 연신 방향으로 이격된다.
허브(4)는, 외측 튜브(21)를 통하여 벌룬(3)에 압축 유체를 공급한다. 벌룬(3)은, 압축 유체의 공급에 따라 팽창한다(도 3 내지 도 7 참조).
<벌룬(3)>
벌룬(3)은, 내압의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3)은, 압축 유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측으로 수축한다. 벌룬(3)은, 수축한 상태에서 3매의 날개(3A)가 형성되는, 3매 날개식 벌룬이다. 3매의 날개(3A)의 각각은,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도 1 참조)의 주위에 감긴다. 3매의 날개(3A)는 「플랩」 「윙」이라고도 불린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3)은, 압축 유체가 공급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팽창한다. 이하에서는, 팽창한 상태의 벌룬(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3)은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부(32), 팽창부(33), 선단측 콘부(34) 및 선단측 레그부(35)를 갖는다.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부(32), 팽창부(33), 선단측 콘부(34) 및 선단측 레그부(35)는, 연신 방향을 따라 벌룬(3)을 5 분할한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부(32), 팽창부(33), 선단측 콘부(34) 및 선단측 레그부(35)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차례로 배열된다.
기단측 레그부(31)는, 기단측 콘부(32)의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측 레그부(31)는, 외측 튜브(21) 중, 선단(211)(도 5 참조)보다 기단측의 부분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기단측 레그부(31)는, 열용착에 의해 외측 튜브(21)에 접속된다. 기단측 레그부(31)의 형상은,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이다. 기단측 레그부(31)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연신 방향의 전역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기단측 콘부(32)는, 기단측 레그부(31)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기단측 콘부(32)는, 3개의 연결부(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 후술함)를 갖는다. 기단측 콘부(32)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커진다. 기단측 콘부(32)의 상세는 후술한다. 팽창부(33)는, 기단측 콘부(32)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팽창부(33)의 형상은,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이다. 팽창부(33)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연신 방향의 전역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팽창부(33)의 외경은, 벌룬(3)에 있어서 최대이다.
선단측 콘부(34)는, 팽창부(33)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선단측 콘부(34)는, 3개의 연결부(제1 연결부(341), 제2 연결부(342) 및 제3 연결부(343), 후술함)를 갖는다. 선단측 콘부(34)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작아진다. 선단측 콘부(34)의 상세는 후술한다. 선단측 레그부(35)는, 선단측 콘부(34)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선단측 레그부(35)는, 선단측 콘부(34)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선단측 레그부(35)는,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도 5 참조) 중, 선단(221)보다 기단측의 부분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선단측 레그부(35)는, 열용착에 의해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에 접속된다. 선단측 레그부(35)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연신 방향의 전역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기단측 콘부(32), 팽창부(33), 선단측 콘부(34) 및 선단측 레그부(35)는,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을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팽창부(33)의 연신 방향의 길이는,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부(32), 선단측 콘부(34) 및 선단측 레그부(35)의 각각의 연신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팽창부(33)의 기단측의 단부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A)의 기단측의 단부의 위치와 일치한다. 팽창부(33)의 선단측의 단부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B)의 선단측의 단부의 위치와 일치한다.
기단측 레그부(31) 및 선단측 레그부(35)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동일하다.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각각의 3개의 연결부마다 상이하지만, 모두, 기단측 레그부(31) 및 선단측 레그부(35)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직경보다 크다. 팽창부(33)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직경보다 크다.
벌룬(3)의 각 부위의 두께는,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이 커질수록 얇아진다. 이 때문에, 기단측 레그부(31) 및 선단측 레그부(35)의 두께는, 벌룬(3)의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두껍다. 팽창부(33)의 두께는, 벌룬(3)의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얇다.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의 두께는, 각각의 3개의 연결부마다 상이하지만, 모두, 기단측 레그부(31) 및 선단측 레그부(35)의 두께보다 얇고, 팽창부(33)의 두께보다 두껍다.
벌룬(3)의 재료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이다. 또한, 벌룬(3)의 재료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가요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벌룬(3)의 재료로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기단측 콘부(32)>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측 콘부(32)의 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의 각각의 형상은,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직경이 선단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원뿔대이다. 제1 연결부(321)는, 팽창부(33)의 기단측의 단부와 접속한다. 제1 연결부(321)는, 팽창부(33)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연결부(322)는, 기단측 레그부(31)의 선단측의 단부와 접속한다. 제2 연결부(322)는, 기단측 레그부(31)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3 연결부(323)는, 제1 연결부(321)의 기단측의 단부 및 제2 연결부(322)의 선단측의 단부와 접속한다. 제3 연결부(323)는, 제1 연결부(321) 및 제2 연결부(322)의 각각의, 제3 연결부(323)와의 접속 부분의 사이에 걸쳐 연장된다.
제1 연결부(321)의 선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제1 연결부(321)의 기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제3 연결부(323)의 선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제3 연결부(323)의 기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제2 연결부(322)의 선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제2 연결부(322)의 기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의 각각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모두,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증가한다. 이 때문에, 기단측 콘부(32)의 선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기단측 콘부(32)의 기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기단측 콘부(32)의 두께는,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이 커질수록 얇아지므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얇아진다. 또한, 기단측 콘부(32)의 두께는, 제2 연결부(322), 제3 연결부(323) 및 제1 연결부(321)의 순으로 점차 얇아진다. 또한, 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의 각각의 두께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얇아진다.
벌룬(3)을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의 각각의 단면은, 연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제1 연결부(321)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길이를 「제1 연결 길이(M21)」라고 한다. 제2 연결부(322)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길이를 「제2 연결 길이(M22)」라고 한다. 제3 연결부(323)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길이를 「제3 연결 길이(M23)」라고 한다. 이 경우, 제1 연결 길이(M21)와 제2 연결 길이(M22)는 대략 동일하다. 제3 연결 길이(M23)는, 제1 연결 길이(M21) 및 제2 연결 길이(M22)의 대략 2배로 된다.
벌룬(3)을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 제1 연결부(321)와 팽창부(33)가 연결하는 점을 「제1 점(P21)」이라고 한다. 제2 연결부(322)와 기단측 레그부(31)가 연결하는 점을 「제2 점(P22)」이라고 한다. 제1 연결부(321)와 제3 연결부(323)가 연결하는 점을 「제3 점(P23)」이라고 한다. 제2 연결부(322)와 제3 연결부(323)가 연결하는 점을 「제4 점(P24)」이라고 한다. 제1 점(P21)과 제3 점(P23)을 연결하는 선분을 「제1 선분(L21)」이라고 한다. 제1 선분(L21)은, 제1 연결부(321)를 따라 연장된다. 제2 점(P22)과 제4 점(P24)을 연결하는 선분을 「제2 선분(L22)」이라고 한다. 제2 선분(L22)은, 제2 연결부(322)를 따라 연장된다. 제3 점(P23)과 제4 점(P24)을 연결하는 선분을 「제3 선분(L23)」이라고 한다. 제3 선분(L23)은, 제3 연결부(323)를 따라 연장된다. 제1 선분(L21)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을 「제1 각도(θ21)」라고 한다. 제2 선분(L22)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을 「제2 각도(θ22)」라고 한다. 제3 선분(L23)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을 「제3 각도(θ23)」라고 한다. 제1 각도(θ21), 제2 각도(θ22) 및 제3 각도(θ23)의 구체값은, 각각 45도, 30도 및 10도이다. 제1 각도(θ21) 및 제2 각도(θ22)는, 모두, 제3 각도(θ23)보다 크다. 또한, 제1 각도(θ21)는, 제2 각도(θ22)보다 크다.
<선단측 콘부(3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 콘부(34)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기단측 콘부(32)(도 6 참조)와 대칭이다. 선단측 콘부(34)의 제1 연결부(341), 제2 연결부(342) 및 제3 연결부(343)는, 각각 기단측 콘부(32)의 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도 6 참조)에 대응한다. 제1 연결부(341)는, 팽창부(33)의 선단측의 단부와 접속한다. 제1 연결부(341)는, 팽창부(33)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연결부(342)는, 선단측 레그부(35)의 기단측의 단부와 접속한다. 제2 연결부(342)는, 선단측 레그부(35)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3 연결부(343)는, 제1 연결부(341)의 선단측의 단부 및 제2 연결부(342)의 기단측의 단부와 접속한다. 제3 연결부(343)는, 제1 연결부(341) 및 제2 연결부(342)의 각각의, 제3 연결부(343)와의 접속 부분의 사이에 걸쳐 연장된다. 제1 연결부(341), 제2 연결부(342) 및 제3 연결부(343)의 각각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모두,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증가한다. 이 때문에, 선단측 콘부(34)의 기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선단측 콘부(34)의 선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선단측 콘부(34)의 제1 연결 길이(M41), 제2 연결 길이(M42) 및 제3 연결 길이(M43)는, 각각 기단측 콘부(32)의 제1 연결 길이(M21), 제2 연결 길이(M22) 및 제3 연결 길이(M23)(도 6 참조)에 대응한다. 제1 연결 길이(M41)와 제2 연결 길이(M42)는 대략 동일하다. 제3 연결 길이(M43)는, 제1 연결 길이(M41) 및 제2 연결 길이(M42)의 대략 2배로 된다.
선단측 콘부(34)의 제1 점(P41), 제2 점(P42), 제3 점(P43) 및 제4 점(P44)은, 각각 기단측 콘부(32)의 제1 점(P21), 제2 점(P22), 제3 점(P23) 및 제4 점(P24)(도 6 참조)에 대응한다. 선단측 콘부(34)의 제1 선분(L41), 제2 선분(L42) 및 제3 선분(L43)은, 각각 기단측 콘부(32)의 제1 선분(L21), 제2 선분(L22) 및 제3 선분(L23)에 대응한다. 선단측 콘부(34)의 제1 각도(θ41), 제2 각도(θ42) 및 제3 각도(θ43)는, 각각 기단측 콘부(32)의 제1 각도(θ21), 제2 각도(θ22) 및 제3 각도(θ23)에 대응한다. 제1 각도(θ41) 및 제2 각도(θ42)는, 모두, 제3 각도(θ43)보다 크다. 또한, 제1 각도(θ41)는, 제2 각도(θ42)보다 크다.
<벌룬(3)의 작성 방법>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벌룬(3)의 작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벌룬(3)은, 성형 금형(6)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작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에 있어서의 성형 금형(6)의 좌우 방향을 「연신 방향」이라고 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있어서의 성형 금형(6)의 좌측을 「기단측」이라고 하고, 우측을 「선단측」이라고 한다.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벌룬(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평면」이라고 한다. 연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벌룬(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평면」이라고 한다.
성형 금형(6)은 한 쌍의 맞춤 금형(6A, 6B)을 갖는다. 성형 금형(6)은, 한 쌍의 맞춤 금형(6A, 6B)이 끼워진 상태에서, 내벽(5)을 갖는다. 내벽(5)은, 성형 금형(6)의 내부에, 연신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락 원기둥형의 공간을 형성시킨다. 성형 금형(6)을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내벽(5)의 단면의 형상은,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을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형상(도 5 참조)과 대략 일치한다. 내벽(5)은, 기단측 레그부(51), 기단측 콘부(52), 팽창부(53), 선단측 콘부(54) 및 선단측 레그부(55)를 갖는다. 기단측 콘부(52)는, 제1 연결부(521), 제2 연결부(522) 및 제3 연결부(523)를 갖는다. 선단측 콘부(54)는, 제1 연결부(541), 제2 연결부(542) 및 제3 연결부(543)를 갖는다. 성형 금형(6)의 내벽(5)의 기단측 레그부(51), 기단측 콘부(52), 팽창부(53), 선단측 콘부(54) 및 선단측 레그부(55)는, 벌룬(3)의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부(32), 팽창부(33), 선단측 콘부(34) 및 선단측 레그부(35)(도 5 참조)에 대응한다. 성형 금형(6)의 내벽(5)의 제1 연결부(521), 제2 연결부(522) 및 제3 연결부(523)는, 각각 벌룬(3)의 제1 연결부(321), 제2 연결부(322) 및 제3 연결부(323)에 대응한다. 성형 금형(6)의 내벽(5)의 제1 연결부(541), 제2 연결부(542) 및 제3 연결부(543)는, 각각 벌룬(3)의 제1 연결부(341), 제2 연결부(342) 및 제3 연결부(343)에 대응한다.
기단측 콘부(52)의 제1 연결부(521), 제2 연결부(522) 및 제3 연결부(523)의 각각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모두,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증가한다. 이 때문에, 기단측 콘부(52)의 선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기단측 콘부(52)의 기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선단측 콘부(54)의 제1 연결부(541), 제2 연결부(542) 및 제3 연결부(543)의 각각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모두,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증가한다. 이 때문에, 선단측 콘부(54)의 기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선단측 콘부(54)의 선단측의 단부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벽(5)의 기단측 콘부(52)의 제1 점(S21), 제2 점(S22), 제3 점(S23) 및 제4 점(S24)은, 각각 벌룬(3)의 기단측 콘부(32)의 제1 점(P21), 제2 점(P22), 제3 점(P23) 및 제4 점(P24)(도 6 참조)에 대응한다. 도 8의 제1 선분(T21), 제2 선분(T22) 및 제3 선분(T23)은, 각각 도 6의 제1 선분(L21), 제2 선분(L22) 및 제3 선분(L23)에 대응한다. 도 8의 제1 각도(U21), 제2 각도(U22) 및 제3 각도(U23)는, 각각 도 6의 제1 각도(θ21), 제2 각도(θ22) 및 제3 각도(θ23)에 대응한다. 제1 각도(U21) 및 제2 각도(U22)는, 모두, 제3 각도(U23)보다 크다. 또한, 제1 각도(U21)는, 제2 각도(U22)보다 크다.
내벽(5)의 선단측 콘부(54)의 제1 점(S41), 제2 점(S42), 제3 점(S43) 및 제4 점(S44)은, 각각 벌룬(3)의 선단측 콘부(34)의 제1 점(P41), 제2 점(P42), 제3 점(P43) 및 제4 점(P44)(도 7 참조)에 대응한다. 도 8의 제1 선분(T41), 제2 선분(T42) 및 제3 선분(T43)은, 각각 도 7의 제1 선분(L41), 제2 선분(L42) 및 제3 선분(L43)에 대응한다. 도 8의 제1 각도(U41), 제2 각도(U42) 및 제3 각도(U43)는, 각각 도 7의 제1 각도(θ41), 제2 각도(θ42) 및 제3 각도(θ43)에 대응한다. 제1 각도(U41) 및 제2 각도(U42)는, 모두, 제3 각도(U43)보다 크다. 또한, 제1 각도(U41)는, 제2 각도(U42)보다 크다.
성형 금형(6)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은, 다음의 제1 공정 내지 제3 공정을 거쳐 실행된다. 제1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형 금형(6)의 한 쌍의 맞춤 금형(6A, 6B)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가소화된 탄성체 재료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패리슨(61)이, 압출기(미도시)로부터, 맞춤 금형(6A, 6B)의 사이로 압출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맞춤 금형(6A, 6B)이 끼워진다. 패리슨(61)은, 한 쌍의 맞춤 금형(6A, 6B)에 의해 물린다. 패리슨(61)의 선단측의 단부가 폐쇄된다.
제2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의 흡입 바늘(미도시)이, 패리슨(61)의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패리슨(61) 내로 삽입된다. 흡입 바늘로부터 패리슨(61) 내로 공기가 봉입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리슨(61)은, 봉입된 공기에 의해, 연신 방향의 중앙 부분(61A)으로부터 부풀어 오르기 시작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입되는 공기가 증가함에 따라, 팽창 부분(61B)은 커지고, 성형 금형(6)의 내벽(5)에 밀어붙여진다. 최종적으로, 패리슨(61) 중 성형 금형(6)의 내부에 배치된 모든 부분은, 내벽(5)에 밀어붙여진다.
제3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리슨(61) 중 성형 금형(6)의 내부에 배치된 모든 부분인 팽창 부분(61C)이 내벽(5)에 밀어붙여진 상태로 된 경우, 흡입 바늘로부터의 공기의 봉입이 정지된다. 패리슨(61)의 팽창 부분(61C)은, 냉각에 의해 고화된다. 냉각 후, 팽창 부분(61C)으로부터 공기가 빠진다. 성형 금형(6)의 한 쌍의 맞춤 금형(6A, 6B)은 이격되고, 팽창 부분(61C)이 취출된다. 팽창 부분(61C)으로부터 버 등이 제거된다. 또한, 성형 금형(6)을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내벽(5)의 형상은, 팽창한 상태의 벌룬(3)(도 5 참조)을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형상과 대략 일치한다. 이 때문에, 성형 금형(6)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제1 공정 내지 제3 공정)에 의해, 벌룬(3)이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주된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한 벌룬(3) 중 기단측 콘부(32)의 제1 연결부(321)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선분(L21)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1 각도(θ21)는, 제3 연결부(323)를 따라 연장되는 제3 선분(L23)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3 각도(θ23)보다 크다. 이 때문에, 기단측 콘부(32)의 3개의 연결부 중 팽창부(33)와 접속하는 제1 연결부(321)의 팽창부(33)에 대한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 콘부(34)의 제1 연결부(341)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선분(L41)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1 각도(θ41)는, 제3 연결부(343)를 따라 연장되는 제3 선분(L43)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3 각도(θ43)보다 크다. 이 때문에, 선단측 콘부(34)의 3개의 연결부 중 팽창부(33)와 접속하는 제1 연결부(341)의 팽창부(33)에 대한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팽창한 상태에서 연신 방향으로 연장되는 팽창부(33)와, 제1 연결부(321, 341)의 각각의 경계는, 경사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짐에 따라 특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벌룬(3)의 유저는, 팽창부(33)와 기단측 콘부(32), 및 팽창부(33)와 선단측 콘부(34)의 각각의 경계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통상, 벌룬(3)은, 두께가 얇을수록 절곡되기 쉽고, 압축 유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적절하게 수축되기 쉽다. 여기서, 벌룬(3)의 두께는,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이 커질수록 얇아진다. 이 이유는, 블로우 성형에서는, 패리슨(61)이 공기에 의해 부풀어 오름으로써 벌룬(3)이 작성되므로,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클수록, 패리슨(61)이 신장되어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벌룬(3)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클수록, 단면의 직경의 변화는 급준하게 된다. 이 때문에,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증가가 급준할수록, 두께는 급격히 얇아진다.
이에 비해, 팽창한 벌룬(3) 중 기단측 콘부(32)의 제2 연결부(322)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선분(L22)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2 각도(θ22)는, 제3 연결부(343)를 따라 연장되는 제3 선분(L23)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3 각도(θ23)보다 크다. 이 때문에, 기단측 콘부(32) 중 기단측 레그부(31)와 접속하는 제2 연결부(322)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이 부분에서 벌룬(3)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 콘부(34)의 제2 연결부(342)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선분(L42)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2 각도(θ42)는, 제3 연결부(343)를 따라 연장되는 제3 선분(L43)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제3 각도(θ43)보다 크다. 이 때문에, 선단측 콘부(34)의 3개의 연결부 중 선단측 레그부(35)와 접속하는 제2 연결부(342)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이 부분에서 벌룬(3)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부분에서 벌룬(3)을 적절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
한편,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의 각각의 연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벌룬(3)의 이동성의 관점에서,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경사 각도가 작을수록, 벌룬(3)이 수축된 상태에 있어서의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의 각각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연신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벌룬(3)을 혈관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비해, 벌룬(3)의 기단측 콘부(32)가 제3 연결부(323)를 갖고, 선단측 콘부(34)가 제3 연결부(343)를 갖는다. 제3 연결부(323)를 따라 연장되는 제3 선분(L23)과 연신 방향의 사이가 이루는 제3 각도(θ23)는, 제1 각도(θ21) 및 제2 각도(θ22)보다 작다. 또한, 제3 연결부(343)를 따라 연장되는 제3 선분(L43)과 연신 방향의 사이가 이루는 제3 각도(θ43)는, 제1 각도(θ41) 및 제2 각도(θ42)보다 작다. 이 때문에, 벌룬(3)은, 이들 부분에 의해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의 각각의 연신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3)은, 제1 연결부(321, 341)에 의해 팽창부(33)의 경계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고, 또한 제2 연결부(322, 342)에 의해 적절한 수축성을 실현함과 동시에, 제3 연결부(323, 343)에 의해 벌룬(3)을 혈관 내에서 양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기단측 콘부(32)의 제3 연결부(323)의 길이인 제3 연결 길이(M23)는, 제1 연결부(321)의 길이인 제1 연결 길이(M21), 및 제2 연결부(322)의 길이인 제2 연결 길이(M22)보다 길다. 선단측 콘부(34)의 제3 연결부(343)의 길이인 제3 연결 길이(M43)는, 제1 연결부(341)의 길이인 제1 연결 길이(M41), 및 제2 연결부(342)의 길이인 제2 연결 길이(M42)보다 길다. 이 경우, 수축된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의 제3 연결부(323, 343)의 각각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연신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카테터용 벌룬은, 혈관 내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기단측 콘부(32)의 제1 연결부(321)의 제1 연결 길이(M21)와 제2 연결 길이(M22)는 대략 동일하다. 또한, 선단측 콘부(34)의 제1 연결부(341)의 제1 연결 길이(M41)와 제2 연결 길이(M42)는 대략 동일하다. 이 경우, 성형 금형(6)에 있어서의 제1 연결부(521)와 제2 연결부(522), 및 제1 연결부(541)와 제2 연결부(542)의 각각의 형상을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성형 금형(6)의 제조가 용이해지므로, 벌룬(3)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기단측 콘부(32)의 선단측의 단부의 직경은, 기단측 콘부(32)의 기단측의 단부의 직경보다 크다. 이 경우, 벌룬(3)은, 수축된 상태에 있어서의 기단측 콘부(32)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선단측 콘부(34)의 기단측의 단부의 직경은, 선단측 콘부(34)의 선단측의 단부의 직경보다 크다. 이 경우, 벌룬(3)은, 수축된 상태에 있어서의 선단측 콘부(34)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혈관 내에 벌룬(3)이 기단측 및 선단측의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걸리기 어려워지므로, 벌룬(3)을 혈관 내에서 더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벌룬(3)은, 성형 금형(6)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작성된다. 성형 금형(6)의 내벽(5)의 단면의 형상은, 벌룬(3)의 단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성형 금형(6)을 사용함으로써 벌룬(3)을 고정밀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변형예에 있어서의 벌룬(7)에 대하여 설명한다. 벌룬(7)은, 기단측 레그부(71), 기단측 콘부(72), 팽창부(73), 선단측 콘부(74) 및 선단측 레그부(75)를 갖는다. 기단측 콘부(72)는, 3개의 연결부(제1 연결부(721), 제2 연결부(722) 및 제3 연결부(723))를 갖는다. 선단측 콘부(74)는, 3개의 연결부(제1 연결부(741), 제2 연결부(742) 및 제3 연결부(743))를 갖는다. 기단측 레그부(71), 기단측 콘부(72), 팽창부(73), 선단측 콘부(74) 및 선단측 레그부(75)는, 벌룬(3)(도 5 참조)에 있어서의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부(32), 팽창부(33), 선단측 콘부(34) 및 선단측 레그부(35)에 대응한다. 제1 연결부(721, 741), 제2 연결부(722, 742) 및 제3 연결부(723, 743)는, 벌룬(3)에 있어서의 제1 연결부(321, 341), 제2 연결부(322, 342) 및 제3 연결부(323, 343)에 대응한다. 제1 연결부(721, 741)의 각각의 길이는, 제1 연결 길이(M21, M41)와 동등하다. 제2 연결부(722, 742)의 각각의 길이는, 제2 연결 길이(M22, M42)와 동등하다. 제3 연결부(723, 743)의 각각의 길이는, 제3 연결 길이(M23, M43)와 동등하다. 벌룬(7)이 벌룬(3)과 상이한 점은, 벌룬(7)을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제3 연결부(723, 743)의 단면이,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는 점이다. 벌룬(7)의 다른 구성은, 벌룬(3)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벌룬(7)의 경우, 제1 연결부(721, 741)의 연신 방향의 길이, 및 제2 연결부(722, 742)의 연신 방향의 길이를 벌룬(3)과 동일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벌룬(7)의 경우, 제3 연결부(723, 743)의 연신 방향의 길이를, 벌룬(3)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이 이유는, 벌룬(3)에 있어서 제3 연결부(323, 343)가 연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에 비해, 벌룬(7)에 있어서 제3 연결부(723, 743)는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수축된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7)의 제3 연결부(723, 743)의 각각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연신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벌룬(7)은, 제1 연결부(721, 741)에 의해 기단측 콘부(72) 및 선단측 콘부(74)와 팽창부(73)의 경계를 유저가 특정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제3 연결부(723, 743)에 의해, 수축된 상태의 벌룬(7)을 혈관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벌룬(3)의 팽창부(33)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연신 방향의 전역에 걸쳐 대략 동일하다. 이 때문에, 팽창부(33)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은, 연신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비해, 팽창부(33)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은,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팽창부(33)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팽창부(33)의 연신 방향의 양단에서 가장 작고, 연신 방향의 중심에서 가장 커져도 된다.
벌룬(3)의 기단측 콘부(32)는, 제1 연결부(321) 내지 제3 연결부(323)를 갖고 있다. 또한, 선단측 콘부(34)는, 제1 연결부(341) 내지 제3 연결부(343)를 갖고 있다. 이에 비해, 벌룬(3)은,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 중 어느 한쪽이 제1 연결부 내지 제3 연결부를 갖고 있으면 되고, 다른 쪽은 제1 연결부 내지 제3 연결부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기단측 콘부(32)의 제1 연결부(321) 내지 제3 연결부(323)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은, 일직선형이다. 선단측 콘부(34)의 제1 연결부(341) 내지 제3 연결부(343)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은, 일직선형이다. 이에 비해, 제1 연결부(321) 내지 제3 연결부(323), 및 제1 연결부(341) 내지 제3 연결부(343)를 제2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은, 꺾은선형이어도 되고, 곡선이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제1 연결부(321) 내지 제3 연결부(323)는, 제1 선분(L21) 내지 제3 선분(L23) 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제1 연결부(341) 내지 제3 연결부(343)는, 제1 선분(L41) 내지 제3 선분(L43) 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연결부(321) 내지 제3 연결부(323)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의 직경은,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고, 이어서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이어서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커져, 선단측의 단부에 이르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연결부(321) 내지 제3 연결부(323)를 제1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은, 그 직경의 변화율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변화하는 곡선이어도 된다. 또한, 선단측 콘부(34)의 제1 연결부(341) 내지 제3 연결부(343)의 변형예에 대해서도, 기단측 콘부(32)의 제1 연결부(321) 내지 제3 연결부(323)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각도(θ21) 내지 제3 각도(θ23)의 구체값은 일례이며, 다른 값이어도 된다. 제1 각도(θ21)는 제2 각도(θ22)보다 크다. 이에 비해, 제1 각도(θ21)와 제2 각도(θ22)는 동일해도 되고, 제2 각도(θ22) 쪽이 제1 각도(θ21)보다 커도 된다.
기단측 콘부(32)의 제3 연결부(323)의 제3 연결 길이(M23)는, 제1 연결부(321)의 제1 연결 길이(M21) 및 제2 연결 길이(M22)보다 길다. 제1 연결 길이(M21)와 제2 연결 길이(M22)는 대략 동일하다. 이에 비해, 제3 연결 길이(M23)는, 제1 연결 길이(M21) 및 제2 연결 길이(M22)와 대략 동일해도 되고, 제1 연결 길이(M21) 및 제2 연결 길이(M22)보다 짧아도 된다. 제1 연결 길이(M21)와 제2 연결 길이(M22)는 상이해도 된다. 선단측 콘부(34)의 제1 연결 길이(M41), 제2 연결 길이(M42) 및 제3 연결 길이(M43)의 관계에 대해서도, 제1 연결 길이(M21), 제2 연결 길이(M22) 및 제3 연결 길이(M23)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기단측 콘부(32) 중, 제1 점(P21), 제2 점(P22), 제3 점(P23) 및 제4 점(P24)에 대응하는 부분은, 굴곡되지 않고 만곡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점(P21) 내지 제4 점(P24)은, 예를 들어 만곡 부분 중, 연신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평면이 접하는 점으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기단측 레그부(31)는, 외측 튜브(21)에 직접 접속되지 않고, 외측 튜브(21)에 권회된 장착 부재를 통하여 외측 튜브(21)에 접속되어도 된다. 선단측 레그부(35)는, 내측 튜브(22)에 직접 접속되지 않고, 내측 튜브(22)에 권회된 장착 부재를 통하여 내측 튜브(22)에 접속되어도 된다.
<기타>
벌룬(3, 7)은 본 발명의 「카테터용 벌룬」의 일례이다. 기단측 레그부(31) 및 선단측 레그부(35)는 본 발명의 「접합부」의 일례이다. 기단측 콘부(32) 및 선단측 콘부(34)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일례이다.

Claims (6)

  1. 내압의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카테터용 벌룬이며,
    팽창한 상태에서,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으로 되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의 적어도 한쪽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며, 상기 팽창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팽창부에 접속하는 단부인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타단부의 직경보다 큰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팽창부와 제1 점에서 접속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접합부와 제2 점에서 접속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3 점에서 접속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제4 점에서 접속하는 제3 연결부를 갖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1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1 각도, 및 상기 제2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2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2 각도는, 모두, 상기 제3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3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3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벌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벌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벌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제1 연결부를 향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벌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카테터용 벌룬과,
    기단과 선단의 사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용 벌룬의 상기 접합부가 상기 선단에 접합하는 카테터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6. 블로우 성형에 의해 카테터용 벌룬을 작성하기 위한 성형 금형이며,
    연신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갖고,
    상기 내벽은,
    상기 연신 방향에 걸쳐 직경이 대략 동일하게 되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의 적어도 한쪽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며, 상기 팽창부에 접속하는 단부인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타단부의 직경보다 큰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팽창부와 제1 점에서 접속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접합부와 제2 점에서 접속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3 점에서 접속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제4 점에서 접속하는 제3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3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1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1 각도, 및 상기 제2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2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2 각도는, 모두, 상기 제3 점과 상기 제4 점을 연결하는 선분인 제3 선분과 상기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인 제3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금형.
KR1020187004750A 2015-08-27 2016-08-23 카테터용 벌룬, 벌룬 카테터 및 성형 금형 KR20180030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67584 2015-08-27
JP2015167584 2015-08-27
PCT/JP2016/074429 WO2017033904A1 (ja) 2015-08-27 2016-08-23 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成形金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74A true KR20180030674A (ko) 2018-03-23

Family

ID=5810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750A KR20180030674A (ko) 2015-08-27 2016-08-23 카테터용 벌룬, 벌룬 카테터 및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77985A1 (ko)
EP (1) EP3342446B1 (ko)
JP (1) JPWO2017033904A1 (ko)
KR (1) KR20180030674A (ko)
CN (1) CN107921246A (ko)
WO (1) WO2017033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3712B2 (en) 2015-01-13 2021-06-15 Venturemed Group, Inc.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951A (en) * 1986-09-19 1988-10-18 Mansfield Scientific, Inc. Procedure and catheter instrument for treating patients for aortic stenosis
AU7524391A (en) * 1990-05-15 1991-11-21 C.R. Bard Inc. Multiple layer high strength balloon for dilatation catheter
US5338298A (en) * 1993-06-04 1994-08-16 C. R. Bard, Inc. Double-tapered balloon
US5470313A (en) * 1994-02-24 1995-11-28 Cardiovascular Dynamics, Inc. Variable diameter balloon dilatation catheter
US5843116A (en) * 1996-05-02 1998-12-01 Cardiovascular Dynamics, Inc. Focalized intraluminal balloons
US6200325B1 (en) * 1999-03-31 2001-03-1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and stent deploying catheter system
US20010023335A1 (en) * 1999-08-13 2001-09-20 Fischell Robert E. Stent delivery catheter with enhanced balloon shape
JP2001314512A (ja) * 2000-05-09 2001-11-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均一膜厚バルーンおよ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7226472B2 (en) * 2002-10-15 2007-06-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balloon with advantageous cone design
US20130060234A1 (en) * 2010-01-03 2013-03-07 Doron Besser Intussuscepting balloon catheter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ing thereof
WO2012037162A1 (en) * 2010-09-13 2012-03-22 Intervalve, Inc. Positionable valvuloplasty catheter
JP2012187147A (ja) * 2011-03-08 2012-10-04 Kaneka Corp 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の成形金型及びバルーンの成形方法
US10016579B2 (en) * 2011-06-23 2018-07-10 W.L. Gore & Associates, Inc. Controllable inflation profile balloon cover apparatus
NZ702283A (en) * 2012-06-06 2016-09-30 Loma Vista Medical Inc Inflatable medical devices
CN102793962A (zh) * 2012-07-20 2012-11-28 易生科技(北京)有限公司 球囊扩张导管
US9402983B1 (en) * 2012-10-31 2016-08-02 Sainath Intellectual Properties, Llc Variably expanding balloon catheter
US20140277062A1 (en) * 2013-03-14 2014-09-18 Futurematrix Interventional, Inc. Medical balloon having tapered or stepped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2446A1 (en) 2018-07-04
CN107921246A (zh) 2018-04-17
EP3342446A4 (en) 2019-04-17
EP3342446B1 (en) 2023-01-18
WO2017033904A1 (ja) 2017-03-02
JPWO2017033904A1 (ja) 2018-06-14
US20180177985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5858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5411477A (en) High-strength, thin-walled single piece catheters
US10207083B2 (en) Balloon cath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oon
JP6975857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7753875B2 (en) Preform and balloon having a non-uniform thickness
KR101364328B1 (ko) 커프 튜브
CN109475724B (zh) 高压扩张导管球囊
KR20190042048A (ko) 카테터 튜브
JP2016516491A (ja) カテーテルの材料削減先端部及びその形成方法
ES2954170T3 (es) Catéter balón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l cuerpo del balón
US20220096804A1 (en) Balloon catheter
JP2014057793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
KR20180030674A (ko) 카테터용 벌룬, 벌룬 카테터 및 성형 금형
US20090234282A1 (en) Outer Catheter Shaft to Balloon Joint
US9402983B1 (en) Variably expanding balloon catheter
JP2011152181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RU2814999C2 (ru) Баллонный катетер
WO2017159039A1 (ja) ステント
WO2022264744A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184070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の製造方法
KR102125953B1 (ko) 단일 내강으로 구성된 풍선 카테타
WO2018062116A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23183917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の製造方法
JP2021151383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19063138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3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18

Effective date: 202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