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582A - Cgrp 수용체 길항제 - Google Patents

Cgrp 수용체 길항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582A
KR20180030582A KR1020187003726A KR20187003726A KR20180030582A KR 20180030582 A KR20180030582 A KR 20180030582A KR 1020187003726 A KR1020187003726 A KR 1020187003726A KR 20187003726 A KR20187003726 A KR 20187003726A KR 20180030582 A KR20180030582 A KR 20180030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mmol
compound
giv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앤드류 코티스
케빈 샤를 포르트너
스티븐 마크 매시
제이슨 케네스 마이어스
안토니오 나바로
마일스 굿맨 지겔
루셀 딘 스터키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3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02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03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09/04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only one sulfo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CGRP 수용체 길항제
본 발명은 특정 신규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티드 (CGRP)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특정 생리학적 장애 예컨대 편두통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및 화합물의 합성에 유용한 중간체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편두통 및 CGRP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다른 신경계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 치료의 분야에 있다 (예를 들어, 문헌 [S. Benemei, et al.,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9, 9-14 (2009)] 참조). 편두통은 전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앓고 있는 쇠약 질환이다. 편두통에 대한 치료 옵션은 트립탄, 예컨대 수마트립탄 및 졸미트립탄을 포함한다. 불행하게도, 환자에게 이용가능한 현재 승인된 작용제는 항상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작용제는 뜻밖의 부작용 예컨대 어지럼증, 감각이상, 및 흉부 불편감과 연관될 수 있다. 게다가, 트립탄은 특정 심혈관 우려를 보유하여 상당한 기저 심혈관 질환 또는 비조절성 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 금기된다 (문헌 [T.W. Ho, et al., The Lancet, 372, 2115-2123 (2008)] 참조). 따라서, 편두통의 예방 및 치료에서 상당한 미충족 필요가 존재한다. CGRP 수용체 길항제는 특정 신경계 질환, 예컨대 편두통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치료 또는 예방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번호 6,680,387은 유형-II 당뇨병, 아테롬성동맥경화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지혈증의 치료를 위한 특정 5-벤질- 또는 5-벤질리덴-티아졸리딘-2,4-디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CGRP 수용체의 길항제인 특정 신규 화합물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편두통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개선된 부작용 프로파일에 대한 잠재력을 갖는 CGRP 수용체의 길항제인 특정 신규 화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Y는 CH 또는 N이고;
Z는 CH 또는 N이고;
단 Y가 CH인 경우 Z가 N이고, Y가 N인 경우 Z가 CH이고;
X는 CH 또는 N이고;
R은 C1-C3 알킬, C3-C5 시클로알킬, 또는 CN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추가로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편두통의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편두통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편두통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편두통을 치료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CGRP 수용체의 길항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CGRP 수용체를 길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요법에, 특히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편두통의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한 게다가, 본 발명은 편두통의 치료 또는 편두통의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신규 중간체 및 방법을 포괄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C1-C3 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이소프로필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C3-C5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및 시클로펜틸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 "치료", 또는 "치료하기 위한"은 기존 증상 또는 장애의 진행 또는 중증도를 억제하거나, 저속화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하는" 또는 "예방"은 특정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편두통의 가능성이 높지만, 현재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예컨대 편두통의 증상을 앓고 있지는 않은 환자를 보호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환자"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환자에게 단일 또는 다중 용량 투여 시에, 진단 또는 치료 하의 환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양 또는 용량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및 유사한 상황 하에 수득된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로서의 담당 진단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유효량을 결정함에 있어, 담당 진단자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 수많은 인자를 고려한다: 환자의 종; 그의 크기, 연령, 및 전반적 건강; 침범된 구체적 질환 또는 장애; 질환 또는 장애의 침범 정도 또는 중증도; 개별 환자의 반응; 투여되는 특정한 화합물; 투여 방식; 투여되는 제제의 생체이용률 특징; 선택된 투여 요법; 병용 의약의 사용; 및 다른 관련 상황.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넓은 투여량 범위에 걸쳐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1일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약 0.01 내지 약 20 mg/kg 체중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일부 경우에는 상기 언급된 범위의 하한치 미만의 투여량 수준이 보다 적절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경우에는 여전히 보다 많은 용량이 허용되는 부작용을 동반하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 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및 경피 경로를 포함하여, 화합물을 생체이용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로서 제제화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D.B. Troy, Editor,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참조).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특히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 방법에 유용하지만, 특정 기, 치환기, 및 배위가 바람직하다. 하기 단락은 이러한 바람직한 기, 치환기, 및 배위를 기재한다. 본 발명은 모든 개별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뿐만 아니라, 라세미체를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을 고려하지만,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은 절대 배위를 갖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것은 예방 및 치료 방법, 및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 둘 다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 또한, X가 CH인 화학식 I, II, III 및 IV의 화합물 또는 염이 바람직하다. Y가 CH이고 Z가 N인 화학식 I, II, III 및 IV의 화합물 또는 염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R이 C1-C3 알킬인 화학식 I, II, III 및 IV의 화합물 또는 염이 추가로 바람직하고 그 중 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기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보다 더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
하기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특히 바람직하고:
Figure pct00006
, 그 중 상응하는 유리 염기가 특히 바람직하며,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4.4°, 18.1°, 19.4°, 20.9°, 21.2°, 21.5° 및 26.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된 13.4°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의 실질적인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상응하는 유리 염기의 결정질 무수물이 특히 가장 바람직하다.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23.2°, 24.7°, 및 15.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된 18.8°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의 실질적인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하기 제조예에 기재된 특정 중간체는 1종 이상의 질소 보호기를 함유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이 보호기는 특정한 반응 조건 및 수행될 특정한 변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호 및 탈보호 조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Fourth Edition, by Peter G.M. Wuts and Theodora W. Greene, John Wiley and Sons, Inc. 2007] 참조).
개별 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에서의 임의의 편리한 지점에서, 방법 예컨대 선택적 결정화 기술 또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J. Jacques, et al., "Enantiomers, Racemates, and Resolutions", John Wiley and Sons, Inc., 1981, 및 E.L. Eliel and S.H. Wilen,"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Wiley-Interscience, 1994]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예컨대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은 예를 들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조건 하에 적합한 용매 예컨대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적절한 유리 염기, 적절한 제약상 허용되는 산 예컨대 염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염의 형성은 질소 보호기의 탈보호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염의 형성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 및 인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Gould, P.L., "Salt selection for basic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3: 201-217 (1986); Bastin, R.J., et al. "Salt Selection and Optimization Procedures for Pharmaceutical New Chemical Entities," Organic Process Research and Development, 4: 427-435 (2000); 및 Berge, S.M.,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66: 1-19, (1977)]를 참조한다.
특정 약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ACN"은 아세토니트릴을 지칭하고; "BOP"는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지칭하고; "c-Bu"는 시클로부틸을 지칭하고; "c-Pr"은 시클로프로필을 지칭하고; "DCM"은 DCM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지칭하고; "DMEA"는 N,N-디메틸에틸아민을 지칭하고; "DIPEA"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지칭하고;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지칭하고; "DMSO"는 디메틸술폭시드를 지칭하고; "EDCI"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를 지칭하고; "Et"는 에틸을 지칭하고; "Et2O"는 디에틸 에테르를 지칭하고;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지칭하고; "EtOH"는 에탄올을 지칭하고; "HOAT"는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을 지칭하고; "HATU"는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시드를 지칭하고; "HPLC"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지칭하고; "HOBt"는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을 지칭하고; "hr"은 시간을 지칭하고; "HTRF"는 균질 시간 분해 형광을 지칭하고; "IC50"은 작용제에 대해 가능한 최대 억제 반응의 50%를 생성하는 작용제의 농도를 지칭하고; "i-Pr"은 이소프로필을 지칭하고; "kPa"는 킬로파스칼을 지칭하고; "kV"는 킬로볼트를 지칭하고; "LAH"는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지칭하고; "LC-ES/MS"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법을 지칭하고; "LDA"는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를 지칭하고; "mA"는 밀리암페어를 지칭하고; "min"은 분을 지칭하고; "Me"는 메틸을 지칭하고; "MeOH"는 메탄올 또는 메틸 알콜을 지칭하고; "MTBE"는 메틸-tert-부틸 에테르를 지칭하고; "n-BuLi"는 n-부틸리튬을 지칭하고; "psi"는 제곱 인치당 파운드를 지칭하고; "rpm"은 분당 회전수를 지칭하고; "RT"는 실온을 지칭하고; "SEM"은 평균의 표준 오차를 지칭하고; "SFC"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지칭하고; "T3P"는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포리난-2,4,6-트리옥시드 용액을 지칭하고; "t-BuOH"는 tert-부탄올을 지칭하고; "TEA"는 트리에틸아민을 지칭하고;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지칭하고; "tR"은 체류 시간을 지칭하고; "U/mL"은 밀리리터당 단위를 지칭한다.
용어 "메실레이트" 및 "메탄술폰산"이 각각 하기 구조의 화합물을 지칭한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된다:
Figure pct00007
.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절차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하기 반응식, 제조예, 및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기재된 각 경로에서의 특정한 합성 단계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기 위해, 상이한 방식으로 또는 상이한 반응식으로부터의 단계와 함께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하기 반응식에서의 각 단계의 생성물은 추출, 증발,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여과, 연화처리, 및 결정화를 포함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아래 반응식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치환기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시약 및 출발 물질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입수가능하다. 하기 반응식, 제조예, 실시예, 및 검정은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8
반응식 1, 단계 A에서, 약 1.1 당량의 디메틸 2-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를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DMF 중에서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질소 하에 약 1 당량의 메틸 4-{(1S)-1-[(메틸술포닐)옥시]에틸}벤조에이트와 합한다. 용액을 약 0 ℃로 냉각시키고 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Cs2CO3에서 비교적 가용성인 약 1.3 당량의 적합한 무기 염기를 약 1시간 동안 약 0 ℃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물을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하고,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추출 방법에 이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한다. 예를 들면, 반응 혼합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 및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과 혼합하며 처리한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A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혼합물, 예컨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단계 A의 정제된 디메틸 {(1R)-1-[4-(메톡시카르보닐)페닐]에틸}(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 단계 B에서, 디메틸 {(1R)-1-[4-(메톡시카르보닐)페닐]에틸}(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를 실온에서 질소 하에 적합한 습식 유기 용매 예컨대 디메틸술폭시드:물 (약 43 mL:1 mL)과 합하고, 약 1.3 당량의 염화나트륨을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물을 약 50분에 걸쳐 약 190 ℃로 가열하고 이어서 반응물을 약 3.5시간 동안 약 190 ℃에서 유지한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 방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한다. 예를 들어,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한다. 이어서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B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이 조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혼합물, 예컨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정제된 메틸 4-[(2S)-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를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 단계 C에서, 적합한 유기 용매 중 약 1.1 당량의 적합한 유기 염기, 예컨대 헥산 중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LDA)의 용액을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질소 하에서 약 -75 ℃로 냉각시킨다.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단계 B에서 제조된 메틸 4-[(2S)-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의 용액을 약 40분에 걸쳐 LDA 용액에 적가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약 75분 동안 약 -75 ℃에서 교반한다.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THF 중 약 1.5 당량의 브로모아세토니트릴의 용액을 약 12분에 걸쳐 반응 혼합물에 적가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고, 약 12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 방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한다. 예를 들어, 반응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으로 켄칭하고 반응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이어서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C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혼합물, 예컨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4-[(2R)-3-(시아노메틸)-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를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한다.
반응식 1, 단계 D에서, 단계 C에서 제조된 순수한 메틸 4-[(2R)-3-(시아노메틸)-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를 빙수조에서 냉각시키고 약 20분에 걸쳐 약 10 당량의 진한 황산으로 적가 처리한다. 이어서 냉각 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약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빙수조에서 냉각시키고, 빙수로 켄칭하고, 조 중간체 아미드를 표준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단리한다. 예를 들어, 켄칭된 반응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중간체 아미드를 수득한다. 이어서 조 중간체를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물에 용해시키고, 약 2.5 당량의 무기 염기, 예컨대 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하고, 약 5시간 동안 약 50 ℃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빙수조에서 냉각시키고, 5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약 pH ~2로 산성화시키고,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D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적합한 유기 용리액, 예컨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단계 D의 정제된 생성물, 메틸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를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로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 단계 E에서, 약 3 당량의 적합한 염기, 예컨대 수산화리튬 1수화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물의 혼합물 중 메틸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의 용액에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약 16시간 동안 약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적합한 산, 예컨대 1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약 pH ~2로 산성화시킨다. 이어서 유기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약 45 ℃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켜, 단계 E의 생성물,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반응식 1, 단계 F에서, 단계 E의 생성물,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아미드화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와 커플링시킨다. 예를 들어, 단계 E의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약 1.2 당량의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반응식 3, 단계 B), 약 1.2 당량의 EDCI, 및 약 1.2 당량의 HOBt와 합할 수 있다. 이어서 약 4 당량의 적합한 비-친핵성 유기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약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 방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서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고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으로 추출한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F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적합한 용리액, 예컨대 DCM/메탄올 구배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단계 F의 정제된 생성물,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를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반응식 1, 단계 F에서, 단계 E의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DMF 중 약 1.05 당량의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반응식 3, 단계 B)와 합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약 6 당량의 DIPEA에 이어 커플링제 예컨대 BOP로 약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며 처리할 수 있고,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 방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서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적합한 산, 예컨대 5 N HCl을 사용하여 pH ~7-8로 산성화시키고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MTBE로 추출한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적합한 용리액, 예컨대 헥산 중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단계 F의 정제된 생성물,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9
반응식 2, 단계 A에서, 이소프로필 (E)-부트-2-에노에이트의 비대칭 아릴화는 높은 거울상선택성을 갖는 전이-금속 촉매 예컨대 로듐을 사용하는 커플링 조건 하에 달성할 수 있다. 로듐 촉매작용 생성물 이소프로필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 예를 들어, 약 1.05-1.1 당량의 4-브로모페닐 보론산을 약 0.01 당량의 로듐 촉매, 특히, 비스(노르보르나디엔)로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로 처리한 후 적절한 용매 혼합물 예컨대 습식 1,4-디옥산 또는 THF 및 물 (약 8:1) 중 적절한 키랄 리간드 예컨대 0.01-0.015 당량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약 1 당량 TEA, 및 약 1 당량의 이소프로필 (E)-부트-2-에노에이트를 첨가할 수 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약 18시간 동안 약 40 ℃로 가열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 방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적절한 비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MTBE 또는 DCM으로 추출할 수 있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A의 조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적합한 용리액, 예컨대 헥산/EtOAc 구배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단계 A의 정제된 생성물, 이소프로필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를 높은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단계 B에서, 반응식 2, 단계 A로부터의 생성물의 가수분해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비누화 조건 하에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S)-3-(4-브로모페닐)부탄산을 적절한 알콜성 용매 예컨대 MeOH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수성 무기 염기 예컨대 NaOH로 처리할 수 있다. 약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 연화처리, 및 증발 방법을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으로 추출하고, 생성된 분리된 수성 층을 과량의 무기 산 예컨대 진한 HCl을 사용하여 pH ~ 4로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산성화된 수성 층을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으로 추출할 수 있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B의 조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조 생성물을 비-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헵탄으로 연화처리할 수 있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할 수 있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B의 생성물, (3S)-3-(4-브로모페닐)부탄산을 매우 높은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단계 C에서, 반응식 2, 단계 B로부터의 생성물의 에스테르화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광범위한 산/염기 에스테르화 방법 하에, 또는 디아조메탄으로의 직접 에스테르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알콜성 용매 예컨대 MeOH에 용해된 (3S)-3-(4-브로모페닐)부탄산을 과량의 무기 산, 예컨대 진한 H2SO4로 처리할 수 있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2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고,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을 이용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킬 수 있고, 생성된 잔류물을 물 및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MTBE 사이에 분배할 수 있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C의 생성물, 메틸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를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반응식 2, 단계 D에서, 반응식 2, 단계 C의 생성물의 알킬화는 문헌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알킬화 조건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의 메틸화는 저온에서 적절한 용매 예컨대 무수 THF 중 약 1.5-1.75 당량의 비-친핵성 염기 예컨대 n-부틸리튬으로 처리한 후 생성된 음이온을 약 1.5-1.6 당량 메틸 아이오다이드로 켄칭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을 이용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MTBE 사이에 분배할 수 있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물,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D의 생성물, (3S, 2R/S)-메틸 3-(4-브로모페닐)-2-메틸부타노에이트를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반응식 2, 단계 E에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반응식 2, 단계 D의 생성물, (3S, 2R/S)-메틸 3-(4-브로모페닐)-2-메틸부타노에이트를 저온에서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무수 THF 중 약 1 당량의 강한 유기 염기 예컨대 n-부틸리튬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약 0.9 당량 tert-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의 용액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을 이용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MTBE 사이에 분배할 수 있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물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할 수 있다. 유기 추출물을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E의 생성물, 4-(tert-부틸) 1-메틸 (S/R)-2-((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숙시네이트를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반응식 2, 단계 F에서, 반응식 2, 단계 E의 생성물로부터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선행 기술에 널리 공지된 조건 하에 가수분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tert-부틸) 1-메틸 (S/R)-2-((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숙시네이트를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유기 산 예컨대 TFA로 처리할 수 있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할 수 있고,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을 이용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물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할 수 있고, 유기 추출물을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F의 생성물, (3S/R,4R)-4-(4-브로모페닐)-3-(메톡시카르보닐)-3-메틸펜탄산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반응식 2, 단계 G에서, 반응식 2, 단계 F로부터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3S/R,4R)-4-(4-브로모페닐)-3-(메톡시카르보닐)-3-메틸펜탄산을 적절한 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무수 DMF에 용해시키고 순차적으로 비-친핵성 염기 예컨대 약 3 당량의 TEA 또는 DIPEA, 약 1.2 당량의 아미드 커플링제 예컨대 HATU, 및 과량의 메탄올성 암모니아의 용액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2-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할 수 있고,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을 이용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물 및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 사이에 분배할 수 있고, 층을 분리할 수 있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물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한다. 이어서 추출물을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G의 생성물, 메틸 (2S/R)-4-아미노-2-[(1R)-1-(4-보로모페닐)에틸]-2-메틸-4-옥소-부타노에이트를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할 수 있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반응식 2, 단계 H에서, 반응식 2, 단계 G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생성물의 혼합물을 비-친핵성 염기의 존재 하에 가열한 후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하에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리함으로써 고리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 (2S/R)-4-아미노-2-[(1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4-옥소-부타노에이트를 THF/물의 혼합물 (약 1:1)에 용해시키고, 약 2.5 당량의 비-친핵성 염기 예컨대 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할 수 있고, 생성된 혼합물을 약 2시간 동안 약 60 ℃로 가열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추출에 이어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하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분리를 이용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조 혼합물을 수득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소량의 비-친핵성 아민 예컨대 N,N-디에틸메틸아민/CO2 (약 1:9)를 함유하는 EtOH의 등용매 시스템을 사용하는 키랄 SFC 기술에 의해 분리하여, 단계 H의 분리된 생성물, (3S)-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및 (3R)-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단계 I에서, 단계 H의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기재된 조건 하에 계내 아미드화를 사용하여 카르보닐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3S)-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약 1.2 당량 (2,6-디메틸-4-피리딜)메탄아민디히드로클로라이드 (반응식 3, 단계 B), 약 0.033 당량의 전이-금속 시약 예컨대 팔라듐(II) 아세테이트, 약 0.064 당량의 적합한 리간드 시약 예컨대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및 약 3.5 당량의 비-친핵성 염기 예컨대 DIPEA를 일산화탄소의 분위기 하에 약 60 psi로 가압되는 밀봉된 반응 용기에서 비-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톨루엔에서 슬러리화시킬 수 있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 ℃에서 약 12-18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규조토의 층을 통해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침전 및 여과를 이용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증발 후에 수득되는 조 잔류물을 물 및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 (1:1 혼합물)으로 희석할 수 있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단계 I의 생성물,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0
반응식 3, 단계 A에서, 약 1.0-1.2 당량의 Zn(CN)2를 약 5-10 mol%의 적합한 전이-금속 촉매/리간드 착물, 예컨대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을 함유하는 적합한 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DMF 중 4-브로모-2,6-디메틸피리딘의 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약 5-18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추출 방법에 이어 용매 증발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EtOAc, 및 수성 NH4OH로 혼합하며 처리한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A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혼합물, 예컨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단계 A의 생성물, 4-시아노-2,6-디메틸피리딘을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 반응 혼합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MTBE로 희석한 후 염기성 (pH ~ 10) 수성 용액, 예컨대 30% NH4OH로 희석할 수 있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MTBE로 추가적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10% NH4OH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단계 A의 생성물, 4-시아노-2,6-디메틸피리딘을 수득하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반응식 3, 단계 B에서, 단계 A의 생성물 4-시아노-2,6-디메틸피리딘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컨대 환원제 예컨대 LiBH4 또는 NaBH4를 사용하는 화학적 수소화물 환원 또는 전이-금속 예컨대 탄소 상 Pd(OH)2 또는 Pd를 사용하는 수소화에 의해 환원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소화를 물 또는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THF 또는 DMF 중 무기 산의 존재 하에 수행하여, 환원된 생성물을 HCl 염으로서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A의 생성물, 4-시아노-2,6-디메틸피리딘을 물 또는 1,4-디옥산에서 과량의 HCl의 존재 하에,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MeOH 또는 EtOH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과량의 5-10% Pd/C로 처리한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약 60 psi의 압력 하에 수소화시킨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켜 단계 B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단계 B의 생성물의 후속 침전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방법, 예컨대 연화처리, 결정화, 또는 재결정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B의 조 생성물을 용해될 때까지 비등하는 EtOH/EtOAc의 혼합물로 처리할 수 있고; 여과에 의한 생성물의 결정화 및 수집이 동반되는 후속 냉각은 단계 B의 생성물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 생성물을 MeOH/MTBE의 혼합물에 현탁시키고, 여과에 의해, 단계 B의 생성물인 생성된 고체,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집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00011
반응식 4는 2-치환-6-메틸-피리딜메탄아민의 제조예를 도시한다. 반응식 4, 단계 A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그리냐르, 알킬리튬, 알킬보로네이트 또는 알킬아연 시약을 사용하여 2-클로로피리딘을 2-알킬피리딘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실온 내지 약 120 ℃에서, 약 0.1-0.2 당량의 전이 금속 촉매, 예를 들어 철 (III) 아세토아세테이트 (R=Et), 적합한 포스핀 리간드 예컨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존재 하의 Pd(OAc)2, 또는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R= i-Pr, c-Pr, c-Bu, c-펜틸)의 존재 하에, 적합한 극성 용매, 예컨대 NMP 또는 1,4-디옥산 중, 또는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톨루엔, 벤젠, 또는 물을 함유하는 DMF의 2상 혼합물 중 약 1.0-1.5 당량의 적절히 치환된 그리냐르, 알킬보로네이트 또는 알킬아연 시약을 사용한 약 3.0-3.6 당량 2-클로로-6-메틸이소니코티노니트릴 (문헌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2), 576-580; 2010])의 처리는, 반응식 4, 단계 A의 조 2-알킬 생성물을 제공하며, 이를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조건, 예컨대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 하에 단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규조토의 층을 통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적절한 유기 용매 예컨대 EtOAc 또는 DCM으로 추출한다.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헥산 또는 헵탄/EtOAc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반응식 4, 단계 A의 생성물, 목적하는 2-알킬-6-메틸-4-피리딘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한다. 카르보니트릴 모이어티를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인지된 다수의 조건 하에 메틸아민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 당량의 반응식 4, 단계 A의 생성물, 목적하는 2-알킬-6-메틸-4-피리딘카르보니트릴을 적합한 극성 용매 혼합물, 예컨대 MeOH 중 NH3에서 20-60 psi의 수소의 분위기 하에 과량의 라니 니켈로 처리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킬 수 있고, 생성된 잔류물을 순차적으로 유기 용매의 적절한 혼합물, 예컨대 톨루엔, ACN, MeOH/톨루엔, 및 ACN/톨루엔으로 연화처리하고, 후속 여과하여, 적절히 치환된 (2-메틸-6-메틸-4-피리딜)메탄아민을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생성된 조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조건, 예컨대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하에 단리하고 정제하여, 적절하게 치환된 (2-메틸-6-메틸-4-피리딜)메탄아민을 유리 염기로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12
반응식 5는 6-(아미노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디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예를 도시한다. 반응식 5, 단계 A에서, 에틸 2-피리딘-카르복실레이트의 환원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기재된 다수의 방법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 당량의 에틸 6-클로로-4-메틸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Y=CH, Z=N)를 실온에서 EtOH 중 약 1.7 당량의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반응식 5, 단계 A의 생성물, (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탄올 (Y=CH, Z=N)을 수득하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알킬 할라이드로의 할로겐화는 다양한 할로겐화 조건 하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 당량의 반응식 5, 단계 A의 생성물, (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탄올 (Y=CH, Z=N)을 약 실온 내지 환류에서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 또는 CHCl3 중 약 2 당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하고, 용매의 증발은 반응식 5, 단계 B의 생성물, 목적하는 2-클로로-6-(클로로메틸)-4-메틸-피리딘 (Y=CH, Z=N)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반응식 5, 단계 B의 생성물, 2-클로로-6-(클로로메틸)-4-메틸-피리딘 (Y=CH, Z=N)을 추가의 관능화를 견디기에 적합한 다양한 보호된 아민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 당량의 칼륨 프탈이미드를 적합한 극성 용매 예컨대 DMF 중 반응식 5, 단계 B의 생성물, 2-클로로-6-(클로로메틸)-4-메틸-피리딘 (Y=CH, Z=N)으로 처리할 수 있다. 물로의 후속 희석은 반응식 5, 단계 C의 고체 생성물, 2-[(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Y=CH, Z=N)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 예컨대 여과에 의해 단리할 수 있다. 반응식 5, 단계 C의 생성물, 2-[(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Y=CH, Z=N)의 클로로 모이어티를 예컨대 SNAR 반응에 의해 또는 전이 금속-매개 방법에 의해, 문헌에 널리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친핵체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 당량의 반응식 5, 단계 C의 생성물, 2-[(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Y=CH, Z=N)을 100-140 ℃로 가열하면서, 적합한 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DMF 또는 DMSO 중 약 0.05 당량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및 약 0.25 당량의 원소 아연의 존재 하에 약 0.75 당량의 시안화아연으로 처리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 변환의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적합한 용매 예컨대 DCM 또는 EtOAc로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NH4OH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할 수 있고, 유기 추출물을 Na2SO4 또는 MgSO4 상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혼합물, 예컨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반응식 5, 단계 D의 생성물, 6-[(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Y=CH, Z=N)을 수득할 수 있다. 아민 보호기의 제거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류 하에서 약 1 당량의 반응식 5, 단계 D의 생성물, 6-[(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Y=CH, Z=N)의, 적합한 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EtOH 중 약 2 당량의 히드라진 수화물로의 처리는, 용매 증발시 조 탈보호 아민을 생성할 수 있다. 조 아민의 후속 단리 및 정제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선택적 양이온 교환 및 염 제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 아민을 NH3/MeOH의 혼합물로 용리하는 SCX 칼럼에 통과시키고; 메탄올성 암모니아 분획을 증발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MeOH에서 재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Et2O 또는 1,4-디옥산 중 2-10 당량의 HCl로 처리하여, 여과에 의한 수집 후에 고체 6-(아미노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할 수 있다. Y=N이고 Z=CH인 화합물의 합성은 유사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pct00013
반응식 6은 5-[(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피리딘-2-카르복실산의 합성을 도시한다. 반응식 2, 단계 A에서, 1-(6-브로모피리딘-3-일)에타논을 다수의 전이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화에 의해 입체선택적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극성 용매, 예컨대 EtOH:2-프로판올 (약 1.2 mL:1 mL) 중 약 1 당량 1-(6-브로모피리딘-3-일)에타논을 적절히 밀봉되고 탈기된 수소화 용기에서 약 0.00075 당량의 클로로{(R)-(+)-2,2'-비스[디(3,5-크실릴)포스피노]-1,1'-비나프틸}[(2R)-(-)-1-(4-메톡시페닐)-1-(4-메톡시페닐-kC)-3-메틸-1,2-부탄디아민]루테늄(II) [(R)-RUCYTM-XylBINAP] 및 약 0.0075 당량의 KO t Bu로 처리한다. 이어서 시스템을 수소로 채우고 약 6시간 동안 약 실온에서 교반한다. 조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여과, 용매 제거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한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단계 A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적합한 유기 용매 혼합물, 예컨대 DCM/MTBE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반응식 6, 단계 A의 (1S)-1-(6-브로모피리딘-3-일)에탄올을 수득한다.
반응식 6, 단계 B에서, 반응식 6, 단계 A의 생성물, (1S)-1-(6-브로모피리딘-3-일)에탄올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DCM에 용해시키고 약 0 ℃에서 약 1.3 당량의 적합한 유기, 비-친핵성 염기 예컨대 TEA로 처리한다. 약 1.2 당량의 적합한 술포닐화 시약, 예컨대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생성물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추출을 이용하여 단리하고 정제한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물로 처리하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2회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반응식 6, 단계 B의 (1S)-1-(6-브로모피리딘-3-일)에틸 메탄술포네이트를 수득하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6, 단계 C-H를 반응식 1, 단계 A-F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조건 하에 수행하여, 필요한 5-[(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피리딘-2-카르복실산을 수득한다.
반응식 7
Figure pct00014
반응식 7은 숙신이미드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제조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적절한 카르복실산을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다수의 아미드 커플링 조건 하에 적절한 피리딜아민 또는 피리딜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드 커플링 반응을 반응식 1, 단계 F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거나, 문헌에 널리 기재된 다른 많은 것들 중에서, HOBt, HOAT, HATU, 또는 T3P와 같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미드 커플링을 밀봉된 용기에서 약 150-170 ℃의 온도에서 적합한 비-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톨루엔 또는 크실렌 중에서 적절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적절한 피리딜아민 또는 피리딜아민 염 (예를 들어, 디히드로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조건 하에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R1=CH3)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조예 및 실시예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형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시약 및 출발 물질은 용이하게 입수가능하거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될 수 있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제한이 아니라 예시로서 제시되고, 다양한 변형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R- 또는 S- 배위는 표준 기술 예컨대 X-선 분석 및 키랄-HPLC 체류 시간과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LC-ES/MS는 애질런트(AGILENT)® HP1100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법 측정 (양성 및/또는 음성 모드에서 획득됨)은 HP1100 HPLC에 인터페이스된 질량 선택성 검출기 사중극자 질량 분광계에서 수행하였다. LC-MS 조건 (낮은 pH): 칼럼: 페노메넥스(PHENOMENEX)® 제미니(GEMINI)® NX C18 2.1 x 50 mm 3.0 μm; 구배: 3분 내에 5-100% B, 이어서 0.75분 동안 100% B; 칼럼 온도: 50 ℃ +/-10 ℃; 유량: 1.2 mL/분; 용매 A: 탈이온수, 0.1% HCOOH 함유; 용매 B: ACN, 0.1% 포름산 함유; 파장: 214 nm. 대안적 LC-MS 조건 (높은 pH): 칼럼: 엑스테라(XTERRA)® MS C18 칼럼 2.1x50 mm, 3.5 μm; 구배: 0.25분 동안 5%의 용매 A, 3분 내에 5% 내지 100%의 구배의 용매 B 및 0.5분 동안 100%의 용매 B 또는 3분 내에 10% 내지 100%의 용매 B 및 0.75분 동안 100%의 용매 B; 칼럼 온도: 50 ℃ +/-10 ℃; 유량: 1.2 mL/분; 용매 A: 10 mM NH4HCO3 pH 9; 용매 B: ACN; 파장: 214 nm.
정제용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는 질량 선택성 검출기 질량 분광계 및 리프(LEAP)® 오토샘플러/분획 수집기를 구비한 애질런트® 1200 LC-ES/MS에서 수행하였다. 높은 pH 방법은 75 x 30 mm 페노메넥스® 제미니®-NX, 10 x 20 mm 가드를 사용하는 5 μ 입자 크기 칼럼에서 실행하였다. 85 mL/분의 유량. 용리액은 아세토니트릴 중 10 mM 중탄산암모늄 (pH 10)이었다.
NMR 스펙트럼은 브루커(Bruker) AVIII HD 400 MHz NMR 분광계에서 수행하고, 잔류 용매 [CDCl3, 7.26 ppm; (CD3)2SO, 2.05 ppm]를 참조 표준물로서 사용하여, ppm으로 보고된 CDCl3 또는 (CD3)2SO 용액으로서 수득하였다. 피크 다중도가 보고될 때, 하기 약어가 사용될 수 있다: s (단일선), d (이중선), t (삼중선), q (사중선), m (다중선), br-s (넓은 단일선), dd (이중선의 이중선), dt (삼중선의 이중선). 커플링 상수 (J)는, 보고될 때, 헤르츠 (Hz)로 보고된다.
제조예 1
디메틸 {(1R)-1-[4-(메톡시카르보닐)페닐]에틸}(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
Figure pct00015
반응식 1, 단계 A: DMF (150 mL) 중 디메틸 2-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 (12.2 g, 82.9 mmol) 및 메틸 4-{(1S)-1-[(메틸술포닐)옥시]에틸}벤조에이트 (21.8 g, 75.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하에 0 ℃에서 Cs2CO3 (32.2 g, 98.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완전히 퍼징하고, 1시간 동안 0 ℃에서 교반하고, 주위 온도로 서서히 가온하였다. DCM 및 포화 수성 NaHCO3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DCM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49:1에서 7:3으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2.62 g, 93%)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309.0 (M+H). 1H NMR (CDCl3) δ 1.37 (s, 3H), 1.39 (d, J= 7.1 Hz, 3H), 3.59 (s, 3H), 3.74 (s, 3H), 3.74 (q, J= 7.1 Hz, 1H), 3.89 (s, 3H), 7.25-7.30 (m, 2H), 7.91-7.96 (m, 2H).
제조예 2
메틸 4-[(2S)-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
Figure pct00016
반응식 1, 단계 B: 디메틸술폭시드 (200 mL)/물 (4.67 mL) 중 디메틸 {(1R)-1-[4-(메톡시카르보닐)페닐]에틸}(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 (22.6 g, 73.7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하에 실온에서 NaCl (5.58 g, 95.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오일 조에 넣고, 50분에 걸쳐 190 ℃로 가열하고 생성된 반응물을 3.5시간 동안 190 ℃로 유지하고, 이 때 TLC (30% EtOAc / 헥산)가 출발 물질의 소멸을 나타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 (400 mL)로 희석하고, Et2O (3 x 15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9:1에서 4: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3.35 g, 72%)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251.0 (M+H).
제조예 3
메틸 4-[(2R)-3-(시아노메틸)-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
Figure pct00017
반응식 1, 단계 C: LDA의 용액 [디이소프로필 아민 (11.3 mL, 80.4 mmol) 및 n-부틸리튬 (헥산 중 2.5 M, 32.2 mL, 80.4 mmol)으로부터 새로이 제조됨]을 질소 하에 -75 ℃로 냉각시켰다. THF (50 mL) 중 메틸 4-[(2S)-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 (18.3 g, 73.1 mmol)의 용액을 40분에 걸쳐 LDA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5분 동안 -75 ℃에서 에이징한 후에 브로모아세토니트릴 (7.87 mL, 110 mmol)/THF (20 mL)의 용액을 12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H4Cl로 켄칭한 후에, 반응물을 EtOAc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암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9:1에서 3:2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2.08 g, 57%)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307.0 (M+NH4 +).
제조예 4
메틸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메틸 4-{(1R)-1-[(3R)-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 (부차 부분입체이성질체)
Figure pct00018
반응식 1, 단계 D: 순수한 메틸 4-[(2R)-3-(시아노메틸)-4-메톡시-3-메틸-4-옥소부탄-2-일]벤조에이트 (33.4 g, 115 mmol)를 빙수조에서 냉각시키고 20분 기간에 걸쳐 진한 H2SO4 (66.8 mL, 1180 mmol)로 적가 처리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빙수조에서 냉각시키고, 빙수 (400 mL)로 켄칭하고, DCM (2 x 250 mL)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중간체 아미드를 황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조 중간체를 THF (200 mL) 및 물 (200 mL)에 용해시키고, Na2CO3 (30.7 g, 289 mmol)으로 처리하고, 50 ℃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빙수조에서 냉각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5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키고 EtOAc (2 x 15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황색 발포체를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에서 1: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제1 용리 물질, 메틸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 (17.23 g, 54%)로서 및 부차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제2 용리 물질, 메틸 4-{(1R)-1-[(3R)-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 (5.01 g, 16%)로서 수득하였다.
주요 이성질체: 1H NMR (CDCl3): δ 1.23 (s, 3H), 1.35 (d, J= 7.1 Hz, 3H), 2.22 (d, J= 18.4 Hz, 1H), 3.01 (d, J= 18.4 Hz, 1H), 3.24 (q, J= 7.1 Hz, 1H), 3.92 (s, 3H), 7.24-7.29 (m, 2H), 7.86 (br s, 1H), 7.97-8.02 (m, 2H).
부차 이성질체: 1H NMR (CDCl3): δ 1.38 (d, J= 7.2 Hz, 3H), 1.44 (s, 3H), 2.35 (d, J= 18.5 Hz, 1H), 2.83 (d, J= 18.5 Hz, 1H), 3.33 (q, J= 7.2 Hz, 1H), 3.90 (s, 3H), 7.25-7.30 (m, 2H), 7.46 (br s, 1H), 7.92-7.97 (m, 2H).
제조예 5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Figure pct00019
반응식 1, 단계 E: 수산화리튬 1수화물 (3.16 g, 75.3 mmol)을 THF (84 mL) 및 물 (36 mL)에 용해된 메틸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 (6.91 g, 25.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1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키고 THF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45 ℃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96 g, 91%)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06 (s, 3H), 1.22 (d, J= 7.1 Hz, 3H), 2.16 (d, J= 18.2 Hz, 1H), 3.02 (d, J= 18.2 Hz, 1H), 3.12 (q, J= 7.1 Hz, 1H), 7.39-7.45 (m, 2H), 7.84-7.89 (m, 2H), 11.22 (s, 1H), 12.85 (br s, 1H).
제조예 6
이소프로필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020
반응식 2, 단계 A: 1,4-디옥산 (750 mL) 중 (4-브로모페닐)보론산 (110 g, 547.73 mmol)의 산소제거된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비스(노르보르나디엔)로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 g, 5.13 mmol)에 이어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4.5 g, 7.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에 H2O (100 mL), TEA (70 mL, 502 mmol), 및 이소프로필 (E)-부트-2-에노에이트 (65 g, 507.1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18시간 동안 4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절반 부피로 농축시키고 500 mL MTBE로 희석하였다. 유기 용액을 500 mL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헥산/EtOAc (1:0에서 9: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44 g, 94.6%, 94.5% ee)을 수득하였다. 주요 거울상이성질체 tR = 2.20분; 부차 거울상이성질체 tR = 2.69분 (키랄 SFC 룩스 아밀로스-2, 5% MeOH/CO2, 5 mL/분, 225 nm). 1H NMR (DMSO-d6) δ 1.05 (d, J= 6.2 Hz, 3H), 1.10 (d, J= 6.2 Hz, 3H), 1.19 (d, J= 7.0 Hz, 3H), 2.48-2.59 (m, 2H), 3.08-3.19 (m, 1H), 4.74-4.84 (m, 1H), 7.20-7.24 (m, 2H), 7.44-7.48 (m, 2H).
제조예 7
(3S)-3-(4-브로모페닐)부탄산
Figure pct00021
반응식 2, 단계 B: MeOH (8 L) 중 이소프로필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 (1042 g, 3471.0 mmol)의 용액에 5 M 수성 NaOH (2 L)를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0분 동안 N2 분위기 하에 50 ℃로 가열하였다. 30 ℃로 냉각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2 L 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수성 혼합물을 DCM (~2 L)으로 1회 추출하였다. 수성 층을 ~1 kg의 얼음으로 처리하고 20분의 과정을 걸쳐 진한 HCl (1 L)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 4로 산성화시켰다. 이어서 탁한 수성 층을 DCM (~4 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투명한 황갈색 오일로 농축시키고 이를 회백색 고체로 고체화시켰다. 헵탄 (~ 4 L)을 고체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5 ℃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 때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헵탄 (200-250 mL)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 (771 g, 91.4%, 99% ee)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241.0 (M-H). 주요 거울상이성질체 tR = 2.35분; 부차 거울상이성질체 tR = 2.82분 (키랄 SFC 룩스 아밀로스-2, 5% MeOH/CO2, 5 mL/분, 225 nm). 1H NMR (DMSO-d6) δ 1.19 (d, J= 7.0 Hz, 3H), 2.48-2.52 (m, 2H), 3.07-3.17 (m, 1H), 7.20-7.25 (m, 2H), 7.44-7.49 (m, 2H), 12.08 (s, 1H). [α]D 25 +25.0 ° (c = 1, MeOH).
제조예 8
메틸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022
반응식 2, 단계 C: 진한 H2SO4 (45 mL, 802 mmol)를 MeOH (4.5 L) 중 (3S)-3-(4-브로모페닐)부탄산 (450 g, 1851.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건조 잔류물로 농축시켰다. 고체를 MTBE (2.5 L) 및 H2O (2.5 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MTBE (2 x 2.5 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H2O (2.5 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469.8 g, 정량적 수율)로서 수득하였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LC-ES/MS (m/z): 274.0 (M+NH4 +). 1H NMR (CDCl3) δ 1.27 (d, J= 7.0 Hz, 3H), 2.50-2.62 (m, 2H), 3.20-3.30 (m, 1H), 3.61 (s, 3H), 7.07-7.12 (m, 2H), 7.39-7.43 (m, 2H).
제조예 9
(3S, 2R)-메틸 3-(4-브로모페닐)-2-메틸부타노에이트
(3S, 2S)-메틸 3-(4-브로모페닐)-2-메틸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023
반응식 2, 단계 D: 헥산 (1250 mL) 중 n-BuLi의 2.5 M 용액을 무수 THF (2.3 L) 중 DIPEA (444 mL, 3150 mmol)의 용액에 -40 ℃에서 3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30분 후에, 무수 THF (3.3 L) 중 메틸 (3S)-3-(4-브로모페닐)부타노에이트 (468.90 g, 1750.7 mmol)의 용액을 40분에 걸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 ℃에서 40분 동안 에이징하였다. CH3I (176 mL, 2798 mmol)를 30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4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 ℃에서 MeOH (283 mL)에 이어 H2O (2.5 L)로 천천히 켄칭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O (2.5 L)로 희석하고 생성된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MTBE (7.5 L)로 추가적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H2O (3 L) 및 포화 수성 NaCl (2.5 L)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7:3)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담갈색 오일 (489 g, 93%)로서 수득하였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tR = 1.29분; 부차 부분입체이성질체 tR = 1.32분 (엑스브리지(XBRIDGE)® C18 칼럼, 3.5 m, 2.1 x 50 mm, 1.2 mL/분, 50 ℃, ACN 중 10-95% 10 mM NH4CO3 (pH 10)).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288.0, 290.0 (M+NH4 +).
제조예 10
4-(tert-부틸) 1-메틸 (S)-2-((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숙시네이트
4-(tert-부틸) 1-메틸 (R)-2-((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숙시네이트
Figure pct00024
반응식 2, 단계 E: 헥산 중 n-BuLi의 2.5 M 용액 (1150 mL, 2900 mmol)을 -40 ℃에서 무수 THF (3 L) 중 DIPEA (410 mL, 2910 mmol)의 용액에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무수 THF (3 L) 중 부분입체이성질체 메틸 (2R/S,3S)-3-(4-브로모페닐)-2-메틸-부타노에이트의 혼합물 (488.00 g, 1619.8 mmol)의 용액을 1시간의 기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40 ℃에서 에이징하고, 무수 THF (250 mL) 중 tert-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391 mL, 2596 mmol)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0 ℃에서 추가의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MeOH (250 mL)에 이어 H2O (2.5 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H2O (2.5 L)로 희석하고 생성된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MTBE (5 L)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H2O (5 L)에 이어 포화 수성 NaCl (2.5 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농후한 갈색 오일 (786 g, 87%)로서 수득하였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tR = 1.51분; 부차 부분입체이성질체 tR = 1.53분 (엑스브리지® C18 칼럼, 3.5 m, 2.1 x 50 mm, 1.2 mL/분, 50 ℃, ACN 중 10-95% 10 mM NH4CO3 (pH 10)).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328.8, 330.8 (M-tBu+H).
제조예 11
(3S,4R)-4-(4-브로모페닐)-3-(메톡시카르보닐)-3-메틸펜탄산
(3R,4R)-4-(4-브로모페닐)-3-(메톡시카르보닐)-3-메틸펜탄산
Figure pct00025
반응식 2, 단계 F: DCM (6 L) 중 부분입체이성질체 4-(tert-부틸) 1-메틸 (R/S)-2-((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숙시네이트의 혼합물 (785 g, 1406 mmol)의 용액을 TFA (1.06 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H2O (2 x 5 L) 및 포화 수성 NaCl (5 L)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8:2)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암갈색 검 (604 g, 91%)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329.0, 331.0 (M+H).
제조예 12
메틸 (2S)-4-아미노-2-[(1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4-옥소-부타노에이트
메틸 (2R)-4-아미노-2-[(1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4-옥소-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026
반응식 2, 단계 G: 무수 DMF (4 L) 중 부분입체이성질체 (3R/S,4R)-4-(4-브로모페닐)-3-메톡시카르보닐-3-메틸펜탄산의 혼합물 (603g, 1282 mmol) 및 TEA (550 mL, 3870 mmol)에 HATU (597 g, 1538.69 mmol)를 0 ℃에서 1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에이징하였다. 7 M NH3/MeOH (1.83 L)의 용액을 10 ℃에서 30분에 걸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DCM (5 L)에 이어 H2O (5 L)로 천천히 희석하였다. 생성된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 (2.5L)으로 추가적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H2O (5L) 및 포화 수성 NaCl (5 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8:2)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암색 검 (520 g, 87%)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tR = 0.97분; 부차 부분입체이성질체 tR = 0.99분 (엑스브리지® C18 칼럼, 3.5 m, 2.1 x 50 mm, 1.2 mL/분, 50 ℃, ACN 중 10-95% 10 mM NH4CO3 (pH 10)).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328.0/330.0 (M+H/M+H+2).
제조예 13
(3S)-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3R)-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Figure pct00027
반응식 2, 단계 H: THF (4.2 L) 및 H2O (4.2 L)에 용해된 부분입체이성질체 메틸 (2R/S)-4-아미노-2-[(1R)-1-(4-브로모페닐)에틸]-2-메틸-4-옥소-부타노에이트의 혼합물 (519g, 1107 mmol)에 Na2CO3 (293 g, 2764.4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2.5 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H2O (3 L)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수성 추출물을 EtOAc (5 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조 혼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SFC [칼럼: AS-H, 150 x 50mm; 10% EtOH (0.2% DEMA), 340 g/분; BPR 150 bar; 주입 부피: 4 ml; 220 nm]에 의해 분리하였다. (3R)-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제1 용리 화합물 (43.8g, 11%).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313.0, 315.0 (M+H). 1H NMR (CDCl3) δ 1.33 (d, J= 7.2 Hz, 3H), 1.40 (s, 3H), 2.34 (d, J= 18.4 Hz, 1H), 2.80 (, J= 18.4 Hz, 1H), 3.23 (q, J= 7.2 Hz, 1H), 7.07 (d, 2H), 7.40 (d, 2H), 7.54 (br-s, 1H). (3S)-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제2 용리 화합물 (241.8 g, 55%).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313.0, 315.0 (M+H). 1H NMR (CDCl3): 1.23 (s, 3H), 1.30 (d, J= 7.1 Hz, 3H), 2.21 (d, J= 18.4 Hz, 1H), 2.96 (d, J= 18.4 Hz, 1H), 3.14 (q, J= 7.1 Hz, 1H), 7.04-7.09 (m, 2H), 7.42-7.48 (m, 2H), 8.09 (br-s, 1H).
제조예 14
2,6-디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28
반응식 3, 단계 A: 시안화아연 (3.82g, 31.9 mmol)을 4-브로모-2,6-디메틸피리딘 (5.09 g, 26.5 mmol) 및 DMF (40 m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질소를 교반된 현탁액을 통해 15분 동안 버블링하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1.54 g, 1.3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 ℃에서 5.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150 mL)로 희석하였다. 고체를 종이 여과를 통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Ac (5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여과물 및 세척액을 순차적으로 15% 수성 NH3 (2 x 50 mL), 물 (50 mL)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에서 1: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79 g, 77%)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2.61 (s, 6H), 7.21 (s, 2H).
제조예 14에 대한 대안적 절차
반응식 3, 단계 A: 4-브로모-2,6-디메틸피리딘 (235.0 g, 1263.1 mmol)을 기계적 교반기, 환류 응축기, 및 N2 유입구를 구비한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무수 DMF (250 mL)에 용해시키고, N2를 그 용액을 통해 2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용액의 일부 (~150 mL)를 N2 하에 캐뉼라를 통해 첨가 깔때기에 옮겼다. 시안화아연 (150.0 g, 1277.4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15.0 g, 13.0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 내로 N2를 15분 동안 버블링함으로써 폭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 ℃로 가열하였다. 4-브로모-2,6-디메틸피리딘의 DMF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하고 가열을 밤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MTBE (~2 L)를 첨가하고, 이어서 물 (1.5 L) 및 30% 수성 NH4OH (800 m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MTBE (~2 L)로 1회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10% 수성 NH4OH (2 L)로 1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 10% 트리페닐포스핀 부산물로 오염된 조 표제 화합물 (153 g, 91.7 % 수율)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1H NMR (CDCl3): δ 2.61 (s, 6H), 7.21 (s, 2H).
제조예 15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29
반응식 3, 단계 B: EtOH (40 mL) 중 2,6-디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2.26 g, 16.7 mmol)의 용액을 탄소 상 10% Pd (405 mg), EtOH (10 mL), 및 진한 수성 HCl (6.9 m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배기시키고, 질소로 채우고, H2 (55 psi)를 도입하고, 후속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MeOH로 세척하고 합한 여과물을 농축시켜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비등하는 30% EtOH/EtOAc로 연화처리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를 통해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 (2.64 g, 75%)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137.0 (M+H).
제조예 15에 대한 대안적 절차
반응식 3, 단계 B: 하기를 2개의 배치에서 실시할 수 있고 2개의 배치를 완전한 수소화 반응 후에 합하였다: 2,6-디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77.39 g, 527.0 mmol)을 MeOH (800 mL) 중 10% Pd/C (45.8 g) 및 디옥산 (500 mL) 중 HCl의 4 M 용액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기계적 교반기를 구비한 2 L 파르 오토클레이브에 첨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밀봉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N2에 이어 H2로 완전히 퍼징하고,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60 psi까지 H2로 가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MeOH (~ 250 mL)를 생성된 잔류물에 첨가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MTBE (2.5 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고체를 MTBE (1 L)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밤새 실온에서 진공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 (217.0 g, 91.6% 수율, 2개의 실시의 조합)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LC-ES/MS (m/z): 137.2 (M+H), 92.5% 순도, 7.5%의 트리페닐포스핀 불순물 존재 (1.57분, m/z: 263.0).
제조예 16
6-시클로프로필-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30
반응식 4, 단계 A: 시클로프로필보론산 (1.98g, 21.9 mmol)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면서 6-클로로-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US 20140256734 A1, 2.15 g, 13.7 mmol), K3PO4 (5.98g, 27.3 mmol), 톨루엔 (40mL) 및 물 (2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질소를 10분 동안 교반된 현탁액을 통해 버블링하고, 팔라듐(II) 아세테이트 (0.313 g, 1.37 mmol) 및 트리시클로헥실포스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02g, 2.7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5시간 동안 110 ℃에서 질소 하에 가열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50 mL)로 희석하였다. 고체를 규조토 여과를 통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Ac (2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여과물 및 세척액을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호박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0:1에서 2: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52 g, 70%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159.0 (M+H).
제조예 17
(6-시클로프로필-4-메틸-2-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31
반응식 4, 단계 B: 본질적으로 제조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6-시클로프로필-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1.52g, 9.63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1.86 g, 82%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163.0 (M+H).
제조예 18
2-시클로프로필-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AG2-E14219-088
Figure pct00032
반응식 4, 단계 A: 본질적으로 제조예 1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2-클로로-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문헌 [J. Med. Chem., 59(1), 313-327, 2016], 2.0 g, 12.7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1.66 g, 82%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05-1.06 (m, 4H) 2.03-2.09 (m, 1H), 2.54 (s, 3H), 7.11 (s, 1H), 7.14 (s, 1H).
제조예 19
(2-시클로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3344731, AG2-E14219-090
Figure pct00033
반응식 4, 단계 B: 본질적으로 제조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2-시클로프로필-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2.52g, 15.9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3.57 g, 95%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163.0 (M+H).
제조예 20
메틸 2-이소프로필-6-메틸-피리딘-4-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4
THF 중 이소프로필 염화마그네슘의 2 M 용액 (7.53 mL, 15.1 mmol)을 빙수조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면서 메틸 2-클로로-6-메틸-피리딘-4-카르복실레이트 (1.92g, 10.0 mmol), MnCl2 (0.065g, 0.502 mmol) 및 THF (25 mL)의 혼합물에 8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4시간 동안 냉각 조에서 교반한 후에, 반응물을 포화 수성 NH4Cl로 켄칭하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호박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0:1에서 2: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0.683 g, 3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34 (d, J = 6.9 Hz, 6H) 2.63 (s, 3H), 3.12-3.19 (m, 1H), 3.96 (s, 3H), 7.54 (s, 1H), 7.56 (s, 1H).
제조예 21
2-[(2-이소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Figure pct00035
수소화붕소나트륨 (0.231g, 6.01 mmol)을 실온에서 EtOH (15 mL) 중 메틸 2-이소프로필-6-메틸-피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683g, 3.5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밤새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 오일을 포화 수성 NaCl로 희석하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652 mg의 조 (2-이소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탄올을 호박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조 알콜을 DCM (20 mL)에 용해시키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0.514 mL, 7.02 mmol)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재농축시켰다 (2x). 조 알킬 클로라이드를 DMF (10 mL)에 용해시키고 칼륨 프탈이미드 (1.32g, 7.02 mmol)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집하였다. 조 생성물을 DCM/에틸 아세테이트 (50:1에서 4: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0.332 g, 32%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9 (d, J= 6.9 Hz, 6H), 2.51 (s, 3H), 3.06-3.08 (m, 1H), 4.80 (s, 2H), 6.96 (s, 1H), 7.00 (s, 1H), 7.76-7.79 (m, 2H), 7.89-7.92 (m, 2H).
제조예 22
(2-이소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AG2-E14044-027
Figure pct00036
히드라진 1수화물 (0.70 mL, 1.41 mmol)을 실온에서 2-[(2-이소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0.332 g, 1.13 mmol) 및 EtOH (10 m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1.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고체를 종이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EtOH (10 mL)로 세척하고 합한 여과물/세척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0.179 g, 96%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31 (d, J= 6.8 Hz, 6H), 1.56-1.63 (br-s, 2H), 2.54 (s, 3H), 3.02-3.09 (m, 1H), 3.86 (s, 2H), 6.95 (s, 2H).
제조예 23
(1S)-1-(6-브로모피리딘-3-일)에탄올
Figure pct00037
반응식 6, 단계 A: 무수 2-프로판올 (15 mL) 중 클로로{(R)-(+)-2,2'-비스[디(3,5-크실릴)포스피노]-1,1'-비나프틸}[(2R)-(-)-1-(4-메톡시페닐)-1-(4-메톡시페닐-kC)-3-메틸-1,2-부탄디아민]루테늄(II) (103 mg, 0.087 mmol) 및 KO t Bu (t-BuOH 중 1.0 M, 0.88 mL, 0.88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 600 mL 파르 오토클레이브에서 무수 EtOH (100 mL)/무수 2-프로판올 (85 mL) 중 1-(6-브로모피리딘-3-일)에타논 (23.5 g, 117.0 mmol)의 용액에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밀봉하고, 배기시키고, 수소로 207 kPa까지 가압하고, 실온에서 약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 잔류물을 수득하고 밤새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DCM/MTBE (9:1에서 3: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3.7 g, 94%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202.0/204.0 (M+H). 키랄 HPLC가 99.3% ee를 나타냄; tR = 6.32분 [254 nm; LC 칼럼: 키랄셀(CHIRALCEL)® OD-H 4.6 x 150 mm; 5.0 μL 주입; 헵탄 중 10% 2-프로판올 (0.2% DMEA 함유); 칼럼 온도: 25 ℃; 유량: 1.0 mL/분].
제조예 24
(1S)-1-(6-브로모피리딘-3-일)에틸 메탄술포네이트
Figure pct00038
반응식 6, 단계 B: DCM (30 mL) 중 (1S)-1-(6-브로모피리딘-3-일)에탄올 (3.00 g, 14.8 mmol) 및 TEA (2.69 mL, 19.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0 ℃에서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38 mL, 17.8 mmol)를 첨가하였다. 0 ℃에서 2시간 후에, 물 및 DCM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순차적으로 포화 수성 NaHCO3 및 포화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4.13 g, 99%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79Br/81Br에 대한 m/z): 280.0/282.0 (M+H). 1H NMR (CDCl3) δ 1.74 (d, J=6.6 Hz, 3H), 2.93 (s, 3H), 5.76 (q, J=6.6 Hz, 1H), 7.54 (d, J=8.3 Hz, 1H), 7.62 (dd, J=2.5, 8.3 Hz, 1H), 8.41 (d, J=2.5 Hz, 1H).
제조예 25
디메틸 2-[(1R)-1-(6-브로모-3-피리딜)에틸]-2-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
Figure pct00039
반응식 6, 단계 C: 본질적으로 제조예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1S)-1-(6-브로모피리딘-3-일)에틸 메탄술포네이트 (17.9 g, 63.9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18.9 g, 89%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39 (d, J= 7.2 Hz, 3H), 1.40 (s, 3H), 3.66 (s, 3H), 3.68-3.71 (m, 1H), 3.76 (s, 3H), 7.42 (d, J= 8.3 Hz, 1H), 7.48 (dd, J= 2.5, 8.3 Hz, 1H), 8.25 (d, J= 2.4 Hz, 1H).
제조예 26
메틸 (3S)-3-(6-브로모-3-피리딜)-2-메틸-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040
반응식 6, 단계 D: 본질적으로 제조예 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디메틸 2-[(1R)-1-(6-브로모-3-피리딜)에틸]-2-메틸-프로판디오에이트 (18.9 g, 57.2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12.5 g, 80% 수율)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271.9 (M+H).
제조예 27
메틸 (3R)-3-(6-브로모-3-피리딜)-2-(시아노메틸)-2-메틸-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041
반응식 6, 단계 E: 본질적으로 제조예 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메틸 (3S)-3-(6-브로모-3-피리딜)-2-메틸-부타노에이트 (12.5 g, 46.1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7.66 g, 53 % 수율)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36-1.41 (m, 6H) 2.36-2.45 (m, 1H), 2.65-2.73 (m, 1H), 3.17-3.24 (m, 1H), 3.74-3.76 (s, 3H), 7.35-7.39 (m, 1H), 7.47 (d, J= 8.2 Hz, 1H), 8.20 (d, J= 2.2 Hz, 1H).
제조예 28
(3S)-3-[(1R)-1-(6-브로모-3-피리딜)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3R)-3-[(1R)-1-(6-브로모-3-피리딜)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부차 부분입체이성질체)
Figure pct00042
반응식 6, 단계 F: 본질적으로 제조예 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메틸 (3R)-3-(6-브로모-3-피리딜)-2-(시아노메틸)-2-메틸-부타노에이트 (7.66 g, 24.6 mmol)로부터 제조하여 6.57 g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키랄팩(Chiralpak) AD 칼럼 (8x35 cm, 100% EtOH) 상에서 분리하여 제1 용리 물질로서 부차 부분입체이성질체 (3R)-3-[(1R)-1-(6-브로모-3-피리딜)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0.74 g, 10%), 및 제2 용리 물질로서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3S)-3-[(1R)-1-(6-브로모-3-피리딜)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5.21 g, 71%)을 수득하였다.
주요 이성질체: 1H NMR (CDCl3): δ 1.27 (s, 3H), 1.36 (d, J= 7.1 Hz, 3H), 2.28 (d, J= 18.2 Hz, 1H), 2.93 (d, J= 18.3 Hz, 1H), 3.22 (q, J= 7.2 Hz, 1H), 7.41 (dd, J= 2.6, 8.2 Hz, 1H), 7.49 (d, J= 8.3 Hz, 1H), 7.87-7.89 (br-s, 1H), 8.26 (d, J= 2.4 Hz, 1H).
부차 이성질체: 1H NMR (CDCl3): δ 1.39 (d, J= 7.3 Hz, 3H), 1.44 (s, 3H), 2.46 (d, J= 18.4 Hz, 1H), 2.76 (d, J= 18.5 Hz, 1H), 3.25 (q, J= 7.3 Hz, 1H), 7.43-7.50 (m, 2H), 7.98-8.00 (br-s, 1H), 8.25 (d, J= 2.4 Hz, 1H).
제조예 29
메틸 5-[(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3
반응식 6, 단계 G: 반응식 3, 단계 B: 팔라듐(II) 아세테이트 (115 mg, 0.49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340 mg, 0.6 mmol), (3R)-3-[(1R)-1-(6-브로모피리딘-3-일)에틸]-3-메틸-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3-디히드로-2H-피롤로[2,3-b]피리딘-2-온 (1.5 g, 5.07 mmol), 무수 MeOH (25 mL), 무수 ACN (40 mL) 및 TEA (1.8 mL, 13 mmol)를 기계적 교반기를 갖춘 300 mL 파르 오토클레이브에서 합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밀봉하고, CO로 퍼징하고, CO로 100 psi까지 가압하고, 교반하면서 85 ℃로 가열하였다. 1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EtOAc (200 mL)에 현탁시키고 다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오렌지색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오렌지색 잔류물을 35분에 걸쳐 DCM 중 5-60% EtOAc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목적하는 분획의 용매 증발 후에, 표제 화합물 (1.34 g, 9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27 (s, 3H) 1.41 (d, J= 7.1 Hz, 3H), 2.29 (d, J= 18.3 Hz, 1H), 2.98 (d, J= 18.3 Hz, 1H), 3.34 (q, J= 7.1 Hz, 1H), 4.04 (s, 3H), 7.71 (dd, J= 2.2, 8.1 Hz, 1H), 8.14 (d, J= 8.1 Hz, 1H), 8.18-8.29 (br-s, 1H), 8.64 (d, J= 1.9 Hz, 1H).
제조예 30
Figure pct00044
반응식 6, 단계 H: 고체 LiOH 수화물 (3.16 g, 75.3 mmol)을 THF (28 mL) 및 물 (12 mL)의 혼합물에 용해된 메틸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에이트 (6.9 g, 25.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pH를 1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 3으로 조정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45 ℃에서 밤새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96 g, 91% 수율)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추가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LC-ES/MS (m/z): 260.0 (M-H).
제조예 31
(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탄올
Figure pct00045
반응식 5, 단계 A (Y=CH, Z=N): 수소화붕소나트륨 (905 mg, 23.4 mmol)을 EtOH (25 m L)에 용해된 에틸 6-클로로-4-메틸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81 g, 13.8 mmol)의 용액에 1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포화 수성 NaCl로 희석하고 EtOAc로 2회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LC-ES/MS (m/z 35Cl/37Cl): 158.0/160.0 (M+H).
제조예 32
2-클로로-6-(클로로메틸)-4-메틸-피리딘
Figure pct00046
반응식 5, 단계 B (Y=CH, Z=N): 질소의 분위기 하에 DCM (25 mL) 중 (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탄올 (2.3 g, 13.8 mmol)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 (2 mL, 2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톨루엔에서 재구성하고 감압 하에 2회 더 재농축시키고, 이어서 45 ℃에서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36 g, 97% 수율)을 담호박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2.37 (s, 3H), 4.59 (s, 2H), 7.11 (s, 1H), 7.24 (s, 1H).
제조예 33
2-[(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Figure pct00047
반응식 5, 단계 C (Y=CH, Z=N): 칼륨 프탈이미드 (2.98 g, 15.8 mmol)를 실온에서 질소의 스트림 하에 DMF (25 mL) 중 2-클로로-6-(클로로메틸)-4-메틸-피리딘 (2.36 g, 13.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교반을 3.5시간 동안 계속하고, 실온에서의 교반을 72시간에 걸쳐 계속하면서 추가의 칼륨 프탈이미드 (523 mg, 2.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50 mL)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고체를 35 ℃에서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3.6 g, 9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2.29 (s, 3H), 4.94 (s, 2H), 6.92 (s, 1H), 7.04 (s, 1H), 7.73-7.79 (m, 2H), 7.88-7.93 (m, 2H).
제조예 34
6-[(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48
반응식 5, 단계 D (Y=CH, Z=N): 질소를 10분 동안 DMF 중 2-[(6-클로로-4-메틸-2-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1.3 g, 4.6 mmol), 시안화아연 (0.23 mL, 3.5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174 mg, 0.23 mmol) 및 원소 아연 (76 mg, 1.2 mmol)의 현탁액을 통하여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 ℃에서 5.5시간 동안 오일 조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100 mL)로 희석하고, 종이를 통해 여과하여 임의의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순차적으로 15% 수성 NH4OH, 물,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35분에 걸쳐 헥산 중 10-60% EtOAc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용매 증발 후에 표제 화합물 (1.04 g, 80.5%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2.39 (s, 3H), 5.00 (s, 2H), 7.28 (s, 1H), 7.40 (s, 1H), 7.74-7.80 (m, 2H), 7.88-7.94 (m, 2H).
제조예 35
6-(아미노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49
반응식 5, 단계 E (Y=CH, Z=N): 히드라진 수화물 (371 μL, 7.5 mmol)을 EtOH (20 mL) 중 6-[(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1.04 g, 3.7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MeOH (~ 25 mL)에 용해시키고, 1:1 MeOH:DCM (30 mL), MeOH (20 mL), 및 2 M NH3/MeOH (50 mL)로 용리하는 SCX 칼럼 (10 g) 상에 로딩하였다. 메탄올성 암모니아 분획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오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THF (15 mL)에 용해시키고 1,4-디옥산 (2.5 mL) 중 4 N HC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결정질 필터 케이크를 45 ℃에서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41 mg, 66% 수율)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41 (s, 3H), 4.22 (q, J=5.6 Hz, 2H), 7.70 (s, 1H), 7.95 (s, 1H), 8.55 (br s, 2H).
제조예 36
(2-클로로-6-메틸피리딘-4-일)메탄올
Figure pct00050
반응식 5, 단계 A (Y=N, CH): 본질적으로 제조예 3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메틸 2-클로로-6-메틸피리딘-4-카르복실레이트 (2.4g, 12.5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2.0 g, 97%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2.54 (s, 3H), 4.71 (s, 2H), 7.07 (s, 1H), 7.16 (s, 1H).
제조예 37
2-클로로-4-(클로로메틸)-6-메틸피리딘
Figure pct00051
반응식 5, 단계 B (Y=N, CH): 본질적으로 제조예 3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2-클로로-6-메틸피리딘-4-일)메탄올 (1.97 g, 12.1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2.28 g, 99.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45 (s, 3H), 4.74 (s, 2H), 7.33 (s, 1H), 7.37 (s, 1H).
제조예 38
2-[(2-클로로-6-메틸-4-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Figure pct00052
반응식 5, 단계 C (Y=N, CH): 본질적으로 제조예 3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2-클로로-4-(클로로메틸)-6-메틸피리딘 (2.28 g, 12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3.67 g, 98.7%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41 (s, 3H), 4.77 (s, 2H), 7.21 (s, 1H), 7.30 (s, 1H), 7.85-7.94 (m, 4H).
제조예 39
4-[(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메틸]-6-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53
반응식 5, 단계 D (Y=N, CH): 본질적으로 제조예 3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2-[(2-클로로-6-메틸-4-피리딜)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3.66 g, 11.9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1.7 g, 51.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2.58 (s, 3H), 4.84 (s, 2H), 7.36 (s, 1H), 7.51 (s, 1H), 7.75-7.81 (m, 2H), 7.88-7.93 (m, 2H).
제조예 40
4-(아미노메틸)-6-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54
반응식 5, 단계 E (Y=N, CH): 본질적으로 제조예 3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4-[(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메틸]-6-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1.69 g, 6.1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379 mg, 41%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47 (br-s, 2H), 2.59 (s, 3H), 3.94 (s, 2H), 7.36 (s, 1H), 7.53 (s, 1H).
제조예 41
2-에틸-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55
반응식 4, 단계 A: 에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18 ml, 17.7 mmol)를 실온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면서 2-클로로-6-메틸이소니코티노니트릴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2), 576-580; 2010) (10.0 g, 63.7 mmol), 1-메틸-2-피롤리디논 (10 ml), THF (10 mL) 및 철(III) 아세토아세테이트 (521 mg, 1.47 mmol)의 혼합물에 여러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대부분의 THF를 제거하고 물로 켄칭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순차적으로 물 및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15%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0.53 g, 37%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147.2 (M+H).
제조예 42
1-(2-에틸-6-메틸피리딘-4-일)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6
반응식 4, 단계 B: MeOH (12.5 mL) 중 2 M NH3 (2 mol/l) 중 2-에틸-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0.37 g, 2.5 mmol)의 용액을 MeOH (12.5 mL) 중 2 M NH3 중 라니 니켈 (0.5 g)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질소로 퍼징하고, H2 (60 psi)를 도입하고, 후속 반응 혼합물을 40 ℃에서 15분 동안 진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 (60 psi)로 재-가압하고 4시간 동안 진탕을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조 물질을 MeOH 중 과량의 3 N HCl로 희석하고 농축시켜 녹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오일을 연화처리하고 하기 용매: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메탄올/톨루엔 및 아세토니트릴/톨루엔에서 순차적으로 농축시켜 용매 제거 후에 표제 화합물을 녹색 고체 (0.56 g, 9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151.0 (M+H).
제조예 43
2-시클로부틸-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57
반응식 4, 단계 A: 시클로부틸아연 브로마이드 (THF 중 0.5 M, 3.28 mmol)를 1,4-디옥산 중 2-클로로-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250 mg, 1.64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122 mg, 0.164 mmol)의 탈기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80 ℃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 (5mL)을 첨가하고 5분 동안 급속하게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한 여과에 의해 고체를 제거하였다. EtOAc로 세척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물 및 포화 수성 NaCl로 유기 층을 세척하였다.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헵탄 중 10-30% EtOAc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용매 증발 후에, 표제 화합물 (232 mg, 82%)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173.0 (M+H).
제조예 44
(2-시클로부틸-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8
반응식 4, 단계 B: 2-시클로부틸-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제조예 4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ES/MS (m/z): 177.0 (M+H).
제조예 45
2-시클로펜틸-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59
반응식 4, 단계 A: 시클로펜틸아연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제조예 4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δ 1.62-1.78 (m, 4H), 1.78-1.89 (m, 2H), 2.00-2.14 (m, 2H), 2.57 (s, 3H), 3.09-3.25 (m, 1H), 7.16 (s, 1H), 7.19 (s, 1H).
제조예 46
(2-시클로펜틸-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60
반응식 4, 단계 B: 2-시클로페닐-6-메틸-피리딘-4-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제조예 4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ES/MS (m/z): 191.0 (M+H).
실시예 1: 제1 절차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61
반응식 1, 단계 F: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1.20 g, 4.59 mmol),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15 g, 5.51 mmol), EDCI (1.08 g, 5.51 mmol), HOBt (768 mg, 5.51 mmol), 및 DMF (25 mL)의 용액에 TEA (2.59 mL, 18.4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 (2 x 7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고, 이는 DCM/MeOH (1:0에서 9:1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용매 증발 후에 표제 화합물 (1.56 g, 89%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380.2 (M+H). [α]D 20 = -38.08 ° (c = 1.0, MeOH).
실시예 1: 제2 절차
무수 DMF (100 mL) 중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9.3 g, 36.0 mmol) 및 1-(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7.8 g, 37.0 mmol)의 현탁액에 10분에 걸쳐 조금씩 DIPEA (2.25 mL, 210 mmol)에 이어 BOP (17.5 g, 3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80분 동안 교반하고, 1500 mL 얼음/물에 붓고, 격렬히 교반하였다. pH를 5.0 N HCl을 사용하여 ~7-8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되도록 하고, MTBE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헥산 중 10%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3:5에서 1:0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1.5일 동안 물 (150 mL)에서 슬러리화시키고, 후속 백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9.8 g, 73% 수율)을 미세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380.2 (M+H).
실시예 1: 제3 절차
반응식 2, 단계 I: (3S)-3-[(1R)-1-(4-브로모페닐)에틸]-3-메틸-피롤리딘-2,5-디온 (120 g, 401.1 mmol), (2,6-디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00 g, 481.3 mmol), 팔라듐(II) 아세테이트 (2.97g, 13.24 mmol),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14.85 g, 25.67 mmol), DIPEA (181 g, 1404 mmol) 및 톨루엔 (1.2 L)의 혼합물을 스틸 반응 용기에서 합하고, N2로 퍼징하고, 60 psi에서 일산화탄소 (401.1 mmol)의 분위기 하에 밀봉하고, 18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N2로 4회 퍼징하였다. 약간의 MeOH 및 DCM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암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DCM (1.5 L) 및 H2O (1.5 L)를 첨가하고, 생성된 갈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2O로 연화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 (124.8 g, 92%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380.2 (M+H).
X-선 분말 회절 (XRPD)
결정질 고체의 XRD 패턴을 CuKa 공급원 (λ = 1.54060 Å) 및 반텍 검출기를 구비한 브루커 D4 엔데버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35 kV 및 50 mA에서 작동시켜 수득하였다. 샘플을 0.0087° (2θ)의 스텝 크기 및 0.5초/스텝의 스캔 속도, 및 0.6 mm 발산, 5.28mm 고정된 산란방지 슬릿, 및 9.5 mm 검출기 슬릿을 사용하여 4 내지 40° (2θ)를 스캔하였다. 건조 분말을 석영 샘플 홀더 상에 패킹하고, 평활면을 유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해, 회절 피크의 상대 강도가 요인 예컨대 결정 형태 및 습성으로부터 생성된 바람직한 배향으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배향의 영향이 존재하는 경우, 피크 강도는 변경되지만, 다형체의 특징적인 피크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38, National Formulary #35 Chapter <941> Characterization of crystalline and partially crystalline solids by X-ray powder diffraction (XRPD), Official May 1, 2015]을 참조한다. 또한,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하여 각도 피크 위치가 약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결정학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크 위치는 샘플이 분석되는 온도 또는 습도에서의 변동, 샘플 변위, 또는 내부 표준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본 경우에, ± 0.2 (2θ)의 피크 위치 변동성은 지시된 결정 형태의 명백한 확인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들 잠재적 변동을 고려할 것이다. 결정 형태의 확인은 구별되는 피크 (˚ 2θ의 단위), 전형적으로 보다 우세한 피크의 임의의 고유한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된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을 8.85 및 26.77 도 2θ에서의 NIST 675 표준 피크에 기초하여 조정하였다.
실시예 1의 결정질 형태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결정질 무수물)
실시예 1의 화합물,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는, 70 ℃에서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150 mg, 0.40 mmol)를 3 mL의 1:1 메탄올: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유리 염기의 무수물로서 결정화되어, 거의 투명한 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교반하며, 여기서 고체의 농후한 백색 슬러리가 2시간 후에 관찰될 수 있다. 고체를 여과하고 70 ℃에서 2시간 동안 진공 하에 건조시켜 바람직한 표제 화합물 결정질 무수물 (126 mg, 84% 수율)을 수득하였다.
따라서,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결정질 무수물)의 제조된 샘플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절 피크 (2θ 값)를 갖는 CuKa 방사선을 사용한 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패턴은 0.2도의 회절 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4.4°, 18.1°, 19.4°, 20.9°, 21.2°, 21.5° 및 26.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된 13.4°에서의 피크를 함유한다.
표 1: 실시예 1의 결정질 무수물 형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
Figure pct00062
실시예 1A: 제1 절차
결정질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
Figure pct00063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 (509 mg, 1.34 mmol)를 1000 rpm/60 ℃에서 5 mL의 아세톤에서 슬러리화시켰다. 메탄술폰산 (105 μL, 1.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바이알의 하부에 약간의 검이 있는 투명한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샘플을 약 10분 동안 슬러리화시키고, 검 중 일부는 혼합물이 탁해지기 전에 용해되고 백색 고체가 용액으로부터 침전되었다. 또 다른 20분의 교반 후에 열을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면서 샘플을 1000 rpm에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500 μL의 아세톤으로 헹구고, 공기 스트림 하에 15분 동안 여과지 상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605 mg, 94.8% 수율)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A: 제2 절차
아세톤 (500 mL) 중 N-[(2,6-디메틸-4-피리딜)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23.6 g, 62.2 mmol)의 용액을 1시간 동안 1000 rpm에 교반하면서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메탄술폰산 (4.5 mL, 6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분말 (28.3 g, 9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LC-ES/MS (m/z): 380.2 (M+H). 1H NMR (DMSO): 1.07 (s, 3H), 1.22 (d, 3H), 2.15 (d, 1H), 2.32 (s, 3H), 2.66 (s, 6H), 3.05 (d, 1H), 3.12 (q, 1H), 4.62 (d, 2H), 7.43 (d, 2H), 7.62 (s, 2H), 7.87 (d, 2H), 9.24 (bt, 1H), 11.24 (bs, 1H). 키랄 분석: >99% de, tR = 2.32분 (키랄 SFC OD-H 칼럼, 20 mM NH3/MeOH 중 17% EtOH, 5 mL/분, 100 bar, 35 ℃, 220 nm).
결정질 N-[(2,6-디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메탄술포네이트의 샘플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절 피크 (2θ 값)를 가지며, 특히 0.2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23.2°, 24.7°, 및 15.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된; 18.8°에서의 피크를 갖는 CuKa 방사선을 사용한 XRD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표 2: 실시예 1A의 X-선 분말 회절 피크
Figure pct00064
실시예 2
N-[(4,6-디메틸-2-피리딜)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65
반응식 7, 단계 A (X=CH, Y=N, Z=CH, R=Me): 본질적으로 실시예 1: 제1 절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1-(4,6-디메틸피리딘-2-일)메탄아민 (알드리치(Aldrich), CAS# 76457-15-3, 30 mg, 0.21 mmol) 및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45 mg, 0.17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61 mg, 93%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380.0 (M+H).
실시예 3
N-[(6-시아노-4-메틸-2-피리딜)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66
반응식 7, 단계 A (X=CH, Y=N, Z=CH, R=CN): 본질적으로 실시예 1: 제1 절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6-(아미노메틸)-4-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35 mg, 0.23 mmol) 및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50 mg, 0.191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36 mg, 48%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391.0 (M+H).
실시예 4
N-[(2-시아노-6-메틸-4-피리딜)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67
반응식 7, 단계 A (X=CH, YCH, Z=N, R=CN): 본질적으로 실시예 1: 제1 절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4-(아미노메틸)-6-메틸-피리딘-2-카르보니트릴 (53 g, 0.289 mmol) 및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50 mg, 0.19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52 g, 69%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391.0 (M+H).
실시예 5
N-[(2-이소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68
반응식 7, 단계 A (X=CH, Y=CH, Z=N, R=i-Pr): 본질적으로 실시예 1: 제1 절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2-이소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42 mg, 0.23 mmol) 및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50 mg, 0.19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60 mg, 77%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408.2 (M+H).
실시예 6
N-[(2-시클로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69
반응식 7, 단계 A (X=CH, YCH, Z=N, R=c-Pr): 본질적으로 실시예 1: 제1 절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2-시클로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54 mg, 0.23 mmol) 및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50 mg, 0.19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0.068 g, 88%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406.2 (M+H).
실시예 7
N-[(6-시클로프로필-4-메틸-2-피리딜)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70
반응식 7, 단계 A (X=CH, Y=N, Z=CH, R=c-Pr): 본질적으로 실시예 1: 제1 절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6-시클로프로필-4-메틸-2-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54 mg, 0.23 mmol) 및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50 mg, 0.19 mmol)으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64 g, 83%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406.2 (M+H).
실시예 8
N-[(2,6-디메틸-4-피리딜)메틸]-5-[(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71
반응식 7, 단계 A (X=N, Y=CH, Z=N, R=Me): 메틸 5-[(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10 mg, 0.39 mmol), (2,6-디메틸피리딘-4-일)메타민 (오로라 빌딩 블록스(Aurora Building Blocks), CAS # 324571-98-4, 83 mg, 0.59 mmol) 및 톨루엔 (10 mL)을 150 ℃에서 2일 동안 및 165 ℃에서 1일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DCM/MeOH (99:1에서 92:8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64 mg, 42%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381.0 (M+H).
실시예 9
N-[(2-시클로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틸]-5-[(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72
반응식 7, 단계 A (X=N, Y=CH, Z=N, R=c-Pr): 메틸 5-[(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00 mg, 0.36 mmol), (2-시클로프로필-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26 mg, 0.54 mmol), 트리에틸아민 (0.15 mL, 1.07 mmol) 및 톨루엔 (3 mL)을 170 ℃에서 1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에서 및 160 ℃에서 20시간 동안 오일 조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DCM/MeOH (99:1에서 92:8로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34 mg, 23% 수율)을 수득하였다. LC-ES/MS (m/z): 407.0 (M+H).
실시예 10
N-[(2-에틸-6-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73
반응식 7, 단계 A (X=CH, Y=CH, Z=N, R=Et): DMF (0.76 mL) 중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40 mg, 0.153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1-(2-에틸-6-메틸피리딘-4-일)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51 mg, 0.23 mmol), DIPEA (0.15 mL, 0.92 mmol), 및 HATU (71 mg, 0.18 mmol)를 첨가하였다. 17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10 mmol 중탄산암모늄 (pH ~ 10, 5% 메탄올 함유) 및 ACN으로 용리하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페노메넥스® 제미니®-NX C18 칼럼)에 의해 정제하고, 용매 증발 후에, 표제 화합물 (43.0 mg, 71%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m/z): 394.4 (M+H).
실시예 11
N-[(2-시클로부틸-6-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74
반응식 7, 단계 A (X=CH, Y=CH, Z=N, R=c-Bu): 본질적으로 실시예 1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40 mg, 0.15 mmol) 및 (2-시클로부틸-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57 mg, 0.23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38 mg, 60%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m/z): 420.2 (M+H).
실시예 12
N-[(2-시클로펜틸-6-메틸피리딘-4-일)메틸]-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Figure pct00075
반응식 7, 단계 A (X=CH, Y=CH, Z=N, R=c-펜틸): 본질적으로 실시예 1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4-{(1R)-1-[(3S)-3-메틸-2,5-디옥소피롤리딘-3-일]에틸}벤조산 (40 mg, 0.15 mmol) 및 (2-시클로펜틸-6-메틸-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60 mg, 0.23 mmol)로부터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 (47.7 mg, 72%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m/z): 434.2 (M+H).
CGRP 수용체 길항제에 의한 cAMP 생산의 억제
hCGRP (인간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티드) 수용체는 Gαs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커플링된다. hCGRP의 자극은 세포내 cAMP의 증가된 합성을 일으키고 수용체 길항제의 첨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체 활성은 표준 시험관내 기술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cAMP의 양을 반영한다.
세포 배양: hCGRP 수용체를 내재적으로 발현하는 배양된 SK-N-MC 신경모세포종 세포 (ATCC® HTB-10TM)를 10% 열-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FBS; 깁코(GIBCO)®), 비필수 아미노산 (깁코®), 1 mM 피루브산나트륨, 2 mM L-글루타민, 100 U/ml의 페니실린, 및 10 μg/mL의 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된 이글 최소 필수 배지(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하이클론(HYCLONE)TM)에서 약 70% 전면생장률로 성장시켰다. 신선한 배지를 제공한 후에, 세포를 37 ℃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 당일에, 세포를 아큐타제(ACCUTASE)® (MP 바이오메디칼스(MP Biomedicals))를 사용하여 탈착시키고, 검정 완충제 [각각 100 mg/mL의 CaCl2 및 MgCl2 (1:2로 혼합됨), 3.3 mM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 0.03% 소 혈청 알부민, 및 0.5 mM 1-메틸-3-이소부틸크산틴 (cAMP의 억제제로서)을 함유하는 행크 평형 염 용액/둘베코 포스페이트-완충 염수]에서 재현탁시키고, 3-5K/웰로 384-웰, 폴리-D-리신 코팅 백색 플레이트 (비디 바이오사이언시스(BD Biosciences)) 내로 시딩하였다.
cAMP 생산의 억제: 용량-반응 연구를 위해, 화합물을 디메틸 술폭시드에서 1:3으로, 이어서 검정 완충제에서 1:10으로 연속 희석하였다. hCGRP 수용체에 대한 수용체-특이적 효능제로서의 인간 CGRP (0.8 nM; 바켐(Bachem))를 희석된 화합물과 혼합하고, 세포에 챌린지 자극제로서 그의 EC80 농도로 첨가하였다.
데이터 분석: 세포내 cAMP의 양을 판매업체 지침서에 따라 HTRF 기술 (시스바이오(Cisbio))을 사용하여 정량화시켰다. 간략하게, 용해 완충제 중에서 cAMP-d2 접합체 및 항-cAMP-크립테이트 접합체를 처리된 세포와 함께 90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HTRF 신호를 엔비전(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 (퍼킨-엘머(Perkin-Elmer))를 사용하여 즉시 검출하여 665 대 620 nM에서의 형광의 비를 계산하였다. 미가공 데이터를 각 실험에 대해 생성된 cAMP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cAMP 양 (pmole/웰)으로 전환하였다. 상대적 EC50 값을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피팅 프로그램 (액티비티베이스(ACTIVITYBASE)® v5.3.1.22 또는 진데이터 스크리너(GENEDATA SCREENER)® v12.0.4)을 사용하여 농도 반응 곡선의 상하 범위로부터 계산하고, Kb 값을 하기 식을 사용하여 효능제-보정된 IC50 값으로 추정하였다:
Kb = (IC50) / [ 1+ ([효능제] / EC50) ].
추정된 Kb 값을 실시 횟수 (n)로부터 평균한 평균 값 ± SEM으로 보고하였다.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실시예 1-12의 화합물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인간 CGRP에서 측정된 Kb를 갖는다. 이는 실시예 1-12의 화합물이 시험관내 인간 CGRP 수용체의 길항제라는 것을 입증한다.
표 3. 인간 CGRP 수용체에서 시험관내 측정된 Kb
Figure pct00076
CGRP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티드) 비-인간 영장류 연구
캡사이신-유도된 피부 혈류 (DBF)는 비인간 영장류 (NHP)에서 CGRP 수용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표적 결속 바이오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은 이전에 공개된 절차 [Hershey et al., Regulatory Peptides, Volume 127, Issue 1-3, pp. 71-77, 2005]로부터 조정된다.
연구 집단: 동물 연구는 코반스 동물 실험 윤리 위원회에 의해 승인된 프로토콜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시노몰구스 NHP는 NHP 및 인간 CGRP 수용체 사이에 가까운 상동성이 주어질 때 사용될 수 있다. 연구 집단은 ~3-4 kg 중량의 건강한, CGRP 길항제 나이브 시노몰구스 NHP 수컷을 포함할 수 있다.
시노몰구스 NHP는 캡사이신 반응성에 대한 사전스크리닝에 기초하여 연구에 등록되었다. 스크리닝된 팔에서의 캡사이신에 대한 반응에서의 기준선에 비해 2 mg (20 μL / 고리) 국소 캡사이신 처리 (3개의 O-링의 평균)에서의 기준선에 비한 혈류의 ≥50% 증가 및 영상화 기간 동안 안정한 생리상태를 나타내는 NHP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연구에 포함되었다. NHP는 교차 설계에서 사용되며, 여기서 모든 NHP가 2주의 휴약 기간 후에 모든 용량을 받았다. 그룹당 전체 n = 10 NHP.
용량 투여. NHP는 각각 레이저 도플러 영상화 (LDI) 실험에서 캡사이신 투여 90분 전에 비히클, 0/3 3 및 30 mg/kg의 길항제 실시예 1 (경구 투여됨) (PW 중 10% 아카시아(Acacia) w/v / 0.05% 소포제 1510-US v/v /)을 받았다.
약동학적 샘플링. 동물을 각각의 캡사이신 챌린지 전에 밤새 금식시켰다. 실험 당일, NHP를 스캐닝 전에 대략 30분 동안 1%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켰다. NHP를 조용한 온도-조절 방에서 따뜻한 작은 외과용 블랭킷에 반듯이 위치시키고 면도된 팔을 레이저 헤드 하의 가열 패드 상에 위치시켰다. 3개의 네오프렌 O-링 (크기 = 8 mm ID)을 NHP 전완에 대략 1 cm 간격으로 위치시켰다. 30-분 안정화 기간 동안, O-링의 정확한 배치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 스캔을 수득하였다. 기준선 온도 (대략 37 ℃)가 안정되면, 기준선 스캔을 수집하였다. 기준선 스캔이 완료된 후, 20 μl의 캡사이신 용액 (170 μl EtOH, 80 μl 트윈(TWEEN)® 20, 250 μl 정제된 H2O의 용액 중 50 mg의 캡사이신)을 각 O-링에 적용하였다. 스캐닝은 추가의 25분 동안 5분마다 계속되었다 (CGRP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로의 처리후 85, 90, 95, 100, 105, 110, 115 및 120분).
분석 및 통계: LDI 반복 스캔을 관심 영역 신호 분석에 의해 무어 소프트웨어 v.5.2 (무어 인스트루먼츠(Moor Instruments), 델라웨어주 윌밍톤)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워크시트를 주어진 시점에 관심 영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균하는데 사용하였다. DBF에서의 변화를 기준선 DBF로부터의 퍼센트 변화로 보고하였다.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핑을 위해 그래프패드 프리즘® 4.0에 입력하고 SAS® 9.1에서의 반복 측정 혼합-효과 모델을 통계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를 평균 +/- SD로 나타냈다.
반복 측정 혼합 효과 모델 (AR1 방법을 통한 자기회귀적 상관관계) 및 오류 발견율 다중 조정을 사용하여, 비히클에 비해 3 및 30 mg/kg에서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캡사이신 챌린지 후에 각각 27.4% (p < 0.003) 및 40.6% (p < 0.00001)의 군 평균 억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된 혈류 증가를 제공하였다.

Claims (22)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77

    여기서
    Y는 CH 또는 N이고;
    Z는 CH 또는 N이고;
    단 Y가 CH인 경우 Z는 N이고, Y가 N인 경우 Z는 CH이고;
    X는 CH 또는 N이고;
    R은 C1-C3 알킬, C3-C5 시클로알킬 또는 CN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CH인 화합물 또는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Y가 CH이고 Z가 N인 화합물 또는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이 C1-C3 알킬인 화합물 또는 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Figure pct00078

    의 화합물 또는 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Figure pct00079

    의 화합물 또는 염.
  7.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Figure pct00080

    인 화합물 또는 염.
  8. 제7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Figure pct00081

    인 화합물 또는 염.
  9. 제8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Figure pct00082

    인 화합물 또는 염.
  10. 제9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83

    인 화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결정질 무수물인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4.4°, 18.1°, 19.4°, 20.9°, 21.2°, 21.5° 및 26.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된 13.4°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의 실질적인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제9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84

    인 염.
  14. 제13항에 있어서, 결정질인 염.
  15. 제14항에 있어서,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23.2°, 24.7°, 및 15.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된 18.8°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의 실질적인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염.
  16.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염을 편두통의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편두통을 예방하는 방법.
  17.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염을 편두통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편두통을 치료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염.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염.
  20.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두통의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염.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87003726A 2015-08-12 2016-08-05 Cgrp 수용체 길항제 KR20180030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3996P 2015-08-12 2015-08-12
US62/203,996 2015-08-12
US201562266867P 2015-12-14 2015-12-14
US62/266,867 2015-12-14
PCT/US2016/045698 WO2017027345A1 (en) 2015-08-12 2016-08-05 Cgrp receptor antagonis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582A true KR20180030582A (ko) 2018-03-23

Family

ID=5668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726A KR20180030582A (ko) 2015-08-12 2016-08-05 Cgrp 수용체 길항제

Country Status (36)

Country Link
US (1) US9708297B2 (ko)
EP (1) EP3334721B1 (ko)
JP (1) JP6619503B2 (ko)
KR (1) KR20180030582A (ko)
CN (1) CN107922385B (ko)
AU (1) AU2016304769B2 (ko)
BR (1) BR112018000513A2 (ko)
CA (1) CA2992622A1 (ko)
CL (1) CL2018000290A1 (ko)
CO (1) CO2018001383A2 (ko)
CR (1) CR20180043A (ko)
CY (1) CY1124413T1 (ko)
DK (1) DK3334721T3 (ko)
DO (1) DOP2018000042A (ko)
EA (1) EA201890156A1 (ko)
EC (1) ECSP18009366A (ko)
ES (1) ES2875600T3 (ko)
HK (1) HK1249095A1 (ko)
HR (1) HRP20211013T1 (ko)
HU (1) HUE055609T2 (ko)
IL (1) IL256572A (ko)
LT (1) LT3334721T (ko)
MD (1) MD3334721T2 (ko)
MX (1) MX2018001672A (ko)
NZ (1) NZ738990A (ko)
PE (1) PE20180655A1 (ko)
PH (1) PH12018500282A1 (ko)
PL (1) PL3334721T3 (ko)
PT (1) PT3334721T (ko)
RS (1) RS62041B1 (ko)
SI (1) SI3334721T1 (ko)
SV (1) SV2018005631A (ko)
TN (1) TN2018000026A1 (ko)
TW (1) TWI636041B (ko)
WO (1) WO2017027345A1 (ko)
ZA (1) ZA201800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904955A (zh) 2017-05-15 2019-02-01 美商美國禮來大藥廠 可作為cgrp受體拮抗劑之3-甲基-吡咯啶-2,5-二酮衍生物
WO2018213056A1 (en) 2017-05-15 2018-11-22 Eli Lilly And Company Cgrp receptor antagonists
WO2019112024A1 (ja) * 2017-12-08 2019-06-13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ピロリジン化合物
EP3915638A4 (en) 2019-01-24 2022-10-19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HETEROCYCLIC COMPOUND AND USE THEREOF
JP2021050161A (ja) 2019-09-25 2021-04-01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及びその用途
CN114746409A (zh) * 2019-12-12 2022-07-12 伊莱利利公司 可用作正电子发射断层扫描术的示踪剂化合物的cgrp拮抗剂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4314A1 (en) * 1996-10-04 1999-08-11 Novo Nordisk A/S N-substituted azaheterocyclic compounds
US6680387B2 (en) 2000-04-24 2004-01-20 Aryx Therapeutic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hyper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and atherosclerosis
BRPI0712492A2 (pt) * 2006-06-08 2012-08-21 Boehringer Ingelheim Int uso de antagonistas de cgpr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antagonistas de cgpr.
WO2008112159A2 (en) * 2007-03-12 2008-09-18 Merck & Co., Inc. Monocyclic anilide spirolactam cgrp receptor antagonists
EP2685826B1 (en) * 2011-03-18 2016-02-03 Merck Sharp & Dohme Corp. Piperidinone carboxamide spirohydantoin cgrp receptor antagonists
EP2846798B1 (en) * 2012-05-09 2018-04-04 Merck Sharp & Dohme Corp. Aliphatic spirolactam cgrp receptor antagonists
FR3009961A1 (fr) * 2013-08-30 2015-03-06 Ct Hospitalier Universitaire De Clermont Fd Agent bloqueur des canaux cav3 dans le traitement de la douleur
WO2015161011A1 (en) * 2014-04-17 2015-10-22 Merck Sharp & Dohme Corp. Benzamide cgrp receptor antagoni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211013T1 (hr) 2021-10-01
CA2992622A1 (en) 2017-02-16
CN107922385A (zh) 2018-04-17
ECSP18009366A (es) 2018-04-30
HK1249095A1 (zh) 2018-10-26
TN2018000026A1 (en) 2019-07-08
WO2017027345A1 (en) 2017-02-16
NZ738990A (en) 2019-03-29
CY1124413T1 (el) 2022-07-22
DK3334721T3 (da) 2021-06-28
ZA201800452B (en) 2019-07-31
PH12018500282A1 (en) 2018-08-13
HUE055609T2 (hu) 2021-12-28
CN107922385B (zh) 2020-09-08
CR20180043A (es) 2018-02-22
EA201890156A1 (ru) 2018-07-31
RS62041B1 (sr) 2021-07-30
US9708297B2 (en) 2017-07-18
TW201718481A (zh) 2017-06-01
US20170044138A1 (en) 2017-02-16
DOP2018000042A (es) 2018-10-31
CO2018001383A2 (es) 2018-05-21
AU2016304769A1 (en) 2018-01-25
BR112018000513A2 (pt) 2018-09-18
TWI636041B (zh) 2018-09-21
SI3334721T1 (sl) 2021-08-31
AU2016304769B2 (en) 2018-09-13
MD3334721T2 (ro) 2021-09-30
MX2018001672A (es) 2018-05-28
PE20180655A1 (es) 2018-04-17
ES2875600T3 (es) 2021-11-10
IL256572A (en) 2018-02-28
PT3334721T (pt) 2021-06-17
EP3334721A1 (en) 2018-06-20
JP6619503B2 (ja) 2019-12-11
CL2018000290A1 (es) 2018-07-13
LT3334721T (lt) 2021-07-26
SV2018005631A (es) 2018-04-24
PL3334721T3 (pl) 2021-10-18
EP3334721B1 (en) 2021-04-28
JP2018522933A (ja)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4721B1 (en) Cgrp receptor antagonists
JP5275971B2 (ja) テトラヒドロキノリ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100359393B1 (ko) 5-ht1a 길항제로서의 피페라진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637495B2 (en) CGRP receptor antagonists
EP3126349B1 (en) 5,6-disubstituted pyridine-2-carboxamides as cannabinoid receptor agonists
CA3005707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kinase inhibitors and intermediates thereof
US20210017152A1 (en) Preparative process
JP2022540922A (ja) ソマトスタチンモジュレーターの結晶形態
CA3061762C (en) 3-methyl-pyrrolidine-2,5-dione derivatives useful as cgrp receptor antagonists
WO2021009034A1 (en) 3-[2(r)-amino-2-phenylethyl]-5-(2-fluoro-3-methoxyphenyl)-1-[2-fluoro-6-(trifluoromethyl)benzyl]-6-methyl-1h-pyrimidine-2,4(1h,3h)-dione hydrochloride salt (i) in solid form,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use thereof in the synthesis of elagolix
CA3061653C (en) Cgrp receptor antagonists
EP4263540A1 (en) Nitrogen containing 2,3-dihydroquinazolinone compounds as nav1.8 inhibitors
US20130231363A9 (en) Alternative forms of the phosphodiesterase-4 inhibitor n-cyclopropyl-1--4-oxo-1,4-dihydro-1,8-naphthyridine-3-carboxyamide
WO2009054923A2 (en) Synthesis and crystalline forms of cb-1 antagonist/inverse agon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