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357A -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 Google Patents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357A
KR20180030357A KR1020160118257A KR20160118257A KR20180030357A KR 20180030357 A KR20180030357 A KR 20180030357A KR 1020160118257 A KR1020160118257 A KR 1020160118257A KR 20160118257 A KR20160118257 A KR 20160118257A KR 20180030357 A KR20180030357 A KR 20180030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aerosol
weight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530B1 (ko
Inventor
최형
임정하
곽상화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5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11D11/005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11D11/0011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3For use with aerosol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2Application of foam or a temporary coating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과 지방을 포함하여, 피부 세정 후 피부에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보습효과가 있으며, 개선된 세정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셔벗 상태로 토출되기 때문에, 피부에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고, 모공 축소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SKIN CLEANSING COMPOSITION EJECTED WITH SHERBET-LIKE STATE AND ARTICLE FOR SKIN CREANS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의 양극화가 진행되면서 여름이 길어지고 무더위가 지속됨에 따라 이른바 쿨링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쿨링 화장품은, 스킨 토너, 로션 등 기초 화장품 뿐만 아니라, 세안제 등의 세정제로도 상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쿨링 화장품은 알코올 성분을 첨가하여 알코올이 피부에서 증발할 때 피부의 열을 빼앗아 쿨링 효과를 부여하거나, 멘톨, 멘톨 유도체 및 자일리톨 등과 같은 성분을 쿨링 에이젼트로 사용하여 피부의 온도를 낮춰 시원한 느낌을 주는 원리로 만들어지는데, 이들 멘톨, 알코올 등의 피부에의 자극성과 특유한 향 등 때문에,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세정제가 본질적으로 갖는 문제점인 과도한 세정효과와 알코올 등의 휘발성으로 인하여 피부의 당김, 가려움, 트러블 등이 발생하였다. 이에 보습력이 증진되면서도 세정력은 유지되고,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줄 수 있는 세정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였다. 이에 최근 피부 자극감이 없는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세정력, 청량감 및 보습력을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KR 10-1554234 B1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 후 피부에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량감을 제공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력과 보습력이 향상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로졸 원액 및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에어로졸 원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의 폴리올류; 2 내지 15 중량%의 계면활성제; 5 내지 40 중량%의 포화지방산류; 3 내지 20 중량%의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그 유도체 및 식물성 지방 중 하나 이상;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상기 에어로졸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6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조성물은, 토출되었을 때 셔벗 상태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고, 상기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용기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과 지방을 포함하여, 피부 세정 후 피부에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보습효과가 있으며, 개선된 세정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토출 시 온도가 낮은 셔벗 상태여서, 피부에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고, 모공 축소 및 피부 탄력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분사했을 때, 셔벗 상태로 분사된 모습을 보이는 도이다.
도 2는, 조성물 내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및 지방의 유무에 따른 세정력 차이(좌: 세정 전, 우: 세정 후)를 보이는 도이다.
도 3은, 조성물 내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및 지방의 유무에 따른 보습력 차이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어로졸 원액; 및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에어로졸 원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의 폴리올류; 2 내지 15 중량%의 계면활성제; 5 내지 40 중량%의 포화지방산류; 3 내지 20 중량%의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그 유도체 및 식물성 지방 중 하나 이상;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상기 에어로졸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6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조성물은, 토출되었을 때 셔벗(sherbet) 상태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화장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에어로졸 화장료'는, 내압밀폐 용기 내에 분사시키는 에어로졸 원액과 분사제를 넣어 분사시, 분사제의 압력으로 인해 화장료를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분무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셔벗(sherbet) 상태' 란, 예컨대, 냉각 폼(foam) 유사한 물성을 갖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용기 내에 에어로졸 원액과 비점이 낮은 액화가스가 용해되어 겔화된 상태에서, 원액과 액화가스의 혼합물을 외부로 분사시키면, 에어로졸 원액이 저비점의 액화가스의 휘발로 인한 주변 온도의 급격한 저감으로 인해 냉각되어 냉각 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셔벗 상태로 토출되어 피부에 적용되는데, 그 온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줄 수 있고, 모공 축소 효과와 피부 탄력 증진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에어로졸 원액'이란, 특정 효과를 얻기 위하여 분사되는 유효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원액은, 액체, 분말, 또는 크림 상태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크림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토출' 이란, 특정 공간에 밀봉되어 있던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유화처리는 초고압 유화처리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별도로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및 지방을 포함한 조성물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세정력, 보습력 및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화처리는 700 내지 1200bar에서 유화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처리는 바람직하게, 800 내지 1100bar, 더욱 바람직하게 900 내지 1100bar에서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처리에 사용되는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레시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polyhydroxystearate) 또는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stearate)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아르간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의 유도체는, 피토스쿠알란(phytosquala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지방은, 시어버터(shea butt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그 유도체 및 식물성 지방 중 하나 이상은, 조성물 내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 그 유도체 및 식물성 지방 중 하나 이상은,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3 내지 15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 5 내지 1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그 유도체 및 식물성 지방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때, 우수한 보습력을 얻을 수 있고, 분사시 안정적인 셔벗 상태로 분사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내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그 유도체 및 식물성 지방 중 하나 이상이, 조성물 내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제형의 보습력이 떨어지며, 또한, 2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제형이 토출되었을 때, 셔벗 상태의 고체상이 형성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메칠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톡시디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류는,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3 내지 1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1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 5 내지 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 Propyl betain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Cocoyl Taurate)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양쪽성 계면활성제는,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이미다졸린계 계면활성제(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및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20스테아레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C14-22 알코올, 부틸 글루코사이드,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18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도데실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및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타우레이트,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컨대,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콜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내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9 내지 1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때, 조성물의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증가하고, 토출시 균일한, 셔벗 상태의 세정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계면활성제가 2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에어로졸 분사제와 혼합시, 게면활성제의 석출현상이 발생하고, 15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에는, 토출 시 셔벗 상태로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포화지방산류는, C12-C18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포화지방산은, 팔미트산, 미리스트 산 또는 라우르 산 일 수 있다.
상기 포화지방산류는 조성물 내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화지방산류는 에어로졸 원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포화지방산류가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때, 폼 형성력 및 폼의 경도가 우수하며, 피부에 도포시 발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컨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폼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서 피부에 대한 발림성이 악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60 중량부의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에어로졸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90 내지 16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 90 내지 15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분사제가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토출시 안정적으로 셔벗 상태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분사제가 상기 함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때, 예컨대, 에어로졸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5 중량부로 포함될 때, 분사력이 지나치게 강해, 피부에 적용시에 피부에 물리적 자극을 일으키고,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지 않고 튕겨져 나가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의 중량비 범위, 및 상기 에어로졸 원액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함량 범위를 만족할 때, 안정적인 셔벳 상태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비점이 -50℃ 내지 0℃인 액화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액화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또는 탄화불화올레핀(Hydro Fluoro Olefin, HFO)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컨대, 상기 조성물은,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트윈 케익, 립스틱, 립글로스, 아이섀도, 아이브로우, 컨실러, 립 라이너, 블러셔(blusher), 자외선 차단제, 로션, 크림 또는 에센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방향제, 점증제, 기포 안정제, 킬레이팅제, 컨디셔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로는 예를 들어 카보머, 잔탄검, 고분자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기포 안정제로는 라우르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킬레이팅제로는 EDTA-2Na를 사용할 수 있고, 컨디셔닝제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3-프로판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고, 상기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용기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이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분사 용기는 에어로졸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용기는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는 예컨대, 알루미늄 캔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분사용기 중 피부 세정제 조성물과 접촉하는 일면은, 폴리아미드이미드, 에폭시, 페놀, 에폭시 및 페놀의 혼합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 에어로졸 원액 조성물의 제조
먼저, 보습제 및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수상부를 혼합하여 80~85로 가온하여 수상부를 준비하고, 포화지방산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유상부를 80~85 가온하여, 아지믹서를 20~200rpm으로 균일 교반하여 이를 35~45의 온도로 냉각하고, 초고압 유화 처리된 아르간 오일, 올리브 오일, 피토스쿠알란 및 시어버터가 포함된 첨가제를 균일하게 투입한 후 아지믹서를 20~200rpm으로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초고압 유화처리는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또는 레시틴을 이용하여 고압 유화기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은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예 1~5는 함유하는 성분과 그 함량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폴리올 5.0 5.0 5.0 5.0 5.0 5.0
보습제 3.0 3.0 3.0 3.0 3.0 3.0
유상부 C12~C20 포화 지방산
(팔미르산, 미리스트산 및 라우르산 중 하나)
25.0 4.0 40.0 25.0 25.0 25.0
계면활성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 중 하나)
13.0 13.0 13.0 3.0 16.0 13.0
첨가부 초고압 유화처리 오일/버터 8.0 8.0 8.0 8.0 8.0 -
일반 오일/버터 - - - - - 8.0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확인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5를 통하여, 조성물 내 성분들의 함량에 따른 크림상의 화장료를 형성하는지 여부,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하여 분사시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경우, 피부 세정에 적합한 경도를 갖는 크림상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C12-C20 포화지방산 함량이 4.0%인 비교예 1의 경우 제형에서 저점도의 액상이 형성이 되고, 워시 오프시 거품지속력이 현저히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C12-C20 포화지방산 함량이 40.0%인 비교예 2의 경우 고점도의 크림상이 형성이 되나, 사용시 발림성이 나빠져 제품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비교예 3은 분사제(액화가스)를 이용하여 토출시 포화지방산의 석출 현상이 발생하여, 일정한 토출 분사가 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4에서는 토출 분사시 셔벗 형상이 아닌 액상으로 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초고압 유화 처리되지 않은 식물성 오일 및 버터를 포함하는 비교예 5의 조성물은, 제형 분리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및 버터류 포함 여부에 따른 세정력, 보습력 및 사용감 확인
조성물 내에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및 버터류를 포함시킴으로써 세정력 상승 효과 및 세정 직후의 수분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세정력은 시중의 립스틱을 일정량 팔에 도포한 후 5분간 드라이 건조하여 비교예 5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세정력을 육안으로 비교 테스트하였다. 수분감은 비교예 5 및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세정한 후, 피부 수분 측정기(ARAMO T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사용감은, 성인 남녀 각각 10명씩에 대하여, 비교예 5 및 실험예 1의 조성물로 세정 후, 사용후의 부드러운 느낌 정도를 10점 만점으로 하여, 패널테스트 하였다. 0점은 사용 전후 차이 없음을 나타내고, 10점과 가까울수록 사용감이 증진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및 버터류가 포함된 조성물(실시예 1)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비교예 5)에 비하여 피부에 도포된 립스틱 제거력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수 있었다(도 2 참조).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세정한 피부는 비교예 5의 조성물로 세정한 피부와 비교하여, 약 1.6배 이상 우수한 수분량을 보여, 초고압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및 버터류가 포함된 조성물이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세정하였을 때, 비교예 5의 조성물로 세정한 경우보다 우수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2).
사용감 패널 테스트
1 2 3 4 5 6 7 8 9 10 평균점수
남자 실시예 1 8 7 10 9 6 8 4 5 7 9 6.8
비교예 5 4 4 5 4 3 4 2 2 5 5 3.8
여자 실시예 1 7 9 9 8 8 8 7 10 9 9 8.4
비교예 5 4 5 5 5 3 5 3 4 5 5 4.4
[실시예 2 및 3, 비교예 6 내지 9]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조성은 아래 표 2와 같다.
성분 종류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실시예 1 - 20 20 20 20 20 20
가스 DME 20 30 15 35 - -
LPG - - - - 20 -
HFO - - - - - 20
[실험예 3]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토출시 조성물의 상태 확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내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의 함량비에 따라서, 토출 시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8 및 비교예 9의 경우, 세정제가 셔벗 상태로 토출됨을 할 수 있었다. 단, 비교예 8 및 비교예 9의 경우, 가스와 크림상의 원액이 혼합하여 겔화가 이루어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가스의 함량이 적은 비교예 6의 경우에는 셔벗 상태로 토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스 함량이 많은 비교예 7의 경우에는, 분사력이 강해 피부에 물리적 자극을 일으키고, 피부상에서 세정제가 튕겨 나가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7)

  1.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원액; 및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에어로졸 원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의 폴리올류;
    2 내지 15 중량%의 계면활성제;
    5 내지 40 중량%의 포화지방산류;
    3 내지 20 중량%의 유화처리된 식물성 오일, 그 유도체 및 식물성 지방 중 하나 이상;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상기 에어로졸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6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조성물은, 토출되었을 때 셔벗(sherbet) 상태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처리는, 700 내지 1200bar에서 유화처리되는 것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처리에 사용되는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레시틴 중 하나 이상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polyhydroxystearate) 또는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stearate)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아르간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의 유도체는, 피토스쿠알란(phytosqualane)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지방은, 시어버터(shea butter)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메칠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톡시디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 Propyl betaine)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Cocoyl Taurate)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류는,
    C12-C20 지방산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은,
    팔미트 산, 미리스트 산 및 라우르 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비점이 -50℃ 내지 0℃인 액화가스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액화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또는 탄화불화올레핀(Hydro Fluoro Olefin, HFO)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고, 상기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용기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용기는 에어로졸 분사기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용기는,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용기 중 피부 세정제 조성물과 접촉하는 일면은, 폴리아미드이미드, 에폭시, 페놀, 에폭시 및 페놀의 혼합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코팅된 것인, 피부 세정용 물품.
KR1020160118257A 2016-09-13 2016-09-13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KR10187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57A KR101874530B1 (ko) 2016-09-13 2016-09-13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57A KR101874530B1 (ko) 2016-09-13 2016-09-13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357A true KR20180030357A (ko) 2018-03-22
KR101874530B1 KR101874530B1 (ko) 2018-07-05

Family

ID=6190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257A KR101874530B1 (ko) 2016-09-13 2016-09-13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6730A (zh) * 2019-02-18 2019-06-14 中国日用化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全氟氟碳环醚乳液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6551D0 (en) * 1996-12-20 1997-02-05 Procter & Gamble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KR100545836B1 (ko) 2003-09-09 2006-0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6730A (zh) * 2019-02-18 2019-06-14 中国日用化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全氟氟碳环醚乳液的制备方法
CN109876730B (zh) * 2019-02-18 2021-04-06 中国日用化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全氟氟碳环醚乳液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530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167B1 (ko)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3907A (ko) 높은 알코올 함량의 겔-유사 및 포옴 조성물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2283B1 (ko)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74597B1 (ko) 분말타입 계면활성제 및 천연분말을 함유하는 온열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20140055689A (ko) 피부 자극이 저감된 고마쥬 타입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6392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2020176148A (ja) 起泡性外用組成物
KR20150015089A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JP3425019B2 (ja) 油性泡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802144B1 (ko) 클레이 버블 워시 오프 클렌징 팩 화장료 조성물
EP1704897B1 (de) Schäumbar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KR101874530B1 (ko)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KR20110084053A (ko) 보습효과를 가지는 이층상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674B1 (ko)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74722B1 (ko) 피부 쿨링 및 클렌징 겸용 조성물
KR101741981B1 (ko) 리브온 타입의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KR100460949B1 (ko) 에어로졸 타입의 클렌징 폼 조성물
KR102607078B1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JP2019218291A (ja) クリーム状外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72573A (ja) 洗顔用の化粧料
KR101966185B1 (ko)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257407B1 (ko) 4-(3-에톡시-4-히드록시페닐)부탄-2-온 및 니아신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40040001A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