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597A -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 Google Patents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597A
KR20180029597A KR1020160117865A KR20160117865A KR20180029597A KR 20180029597 A KR20180029597 A KR 20180029597A KR 1020160117865 A KR1020160117865 A KR 1020160117865A KR 20160117865 A KR20160117865 A KR 20160117865A KR 20180029597 A KR20180029597 A KR 2018002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arm
fluid
liquid chamber
hollow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2679B1 (en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79B1/en
Publication of KR2018002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arm used for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wherein as a high density fluid is filled in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suspension arm, an inertia moment is changed by movement of the fluid in accordance with a driving condition of a vehicle.

Description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에 사용되는 서스펜션 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서스펜션 암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고밀도 유체가 채워짐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유체의 이동으로 인해 관성모멘트가 변동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arm used in a suspension apparatus of a vehic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arm which is filled with a high-density fluid in a hollow formed inside a suspension arm, thereby changing a moment of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은 자동차의 섀시의 구성 부품이며 자동차의 축 또는 차체에 휠을 현가하기 위해 사용된다.A suspension arm is a component of the chassis of an automobile and is used to suspend a wheel on an axle or body of an automobile.

멀티링크 타입의 현가장치의 경우 전후 암은 16내지 18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으며, 질량 중심이 고정되어 동적 거동역할은 거의 하지 못하고, 단지 링크로서의 역할만을 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suspension system of the multi-link type, about 16 to about 18 front and rear arms are used, and the center of mass is fixed, so that the dynamic behavior does not play much role, and only serves as a link.

또한, 내부에 중공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암의 경우 중량 저감의 효과는 있으나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측면이 약화되어 추가로 Mass Damper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a hollow hollow structure formed inside the hollow has an effect of reducing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pect of 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NVH) is weakened and a mass damper is additionally mounted.

또한, 기존 서스펜션 암의 경우 저중심 설계를 위해서는 상하 비대칭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비대칭 구조로 인한 응력집중으로 내구성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suspension arm is formed as a vertically asymmetric structure for low center of gravity desig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durability due to stress concentration due to this asymmetric struc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8487호 (2009.01.07)Korean Patent No. 10-0878487 (2009.01.0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스펜션 암의 내부에 길이방향 중공을 형성하고, 중공 체적의 1/2 만큼의 고밀도 유체를 충전하여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유체의 이동에 의해 서스펜션 암의 관성모멘트가 변동되어 저중심, 선회안정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spension arm which forms a longitudinal cavity in the interior of a suspension ar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low center of gravity and the turning stability by changing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ar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은 일단이 차륜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측과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에 있어서, 일단부에 형성된 차륜측 연결부; 타단부에 형성된 차체측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sid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 wheel-sid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variable-momentomotive suspension arm, A body-sid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body part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s to support a load, wherein the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hollo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은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arm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중공은 상기 몸체부 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 1액실과 타측에 형성된 제 2액실 및 상기 제 1액실과 제 2액실을 연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ollow may include a first fluid chamber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fluid chamber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chamber and the second fluid chamber to allow fluid to flow therethrough have.

또한, 상기 유로부의 상하 폭이 상기 제 1액실 및 상기 제2액실의 상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width of the channel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또한, 상기 제1 액실 및 제 2액실은 상기 유로부의 양단부로부터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may be formed to be tapered from both end portions of the flow path portion.

또한, 상기 테이퍼진 각도는 45도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aper angle may be a 45 degree angle.

또한, 상기 중공 내부에는 일정 밀도 이상의 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low may include a fluid having a predetermined density or more.

또한, 상기 유체는 상기 중공 체적의 1/2만큼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fluid may be filled up to 1/2 of the hollow volume.

또한, 상기 유체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상기 제 1액실 및 제 2액실 사이를 상기 유로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luid may flow through the flow path between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depending o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또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중력에 의한 상기 유체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질량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so, And the center of mass of the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is varied due to the flow of the fluid due to gravity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 1액실 및 상기 제 2액실은 상기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may b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본 발명의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에 의하면, 서스펜션 암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화 효과 있다. According to the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suspension arm, thereby reducing the weight.

또한, 상기 중공의 내부에 중공 체적의 1/2만큼의 고밀도 유체를 충전함으로써, 유체의 이동에 따라 관성모멘트가 변동되어 동적 거동시 안정성 및 승차감 향상의 효과 있다. In addition, by filling a high-density fluid having a half volume of the hollow volume in the hollow, the inertia mo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lui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and riding comfort in dynamic behavior.

또한, 중공 내부에 유체를 충전함으로써, NVH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별도의 Mass Damper 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illing the hollow inside with a fluid, NVH performance deterioration is prevented, and a separate mass damper is not requi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서스펜션 암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종래기술에 따른 서스펜션 암과 비교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operating state of a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FIG.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operation state of a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suspension arm.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은 일단부에 형성된 차륜측 연결부(102), 타단부에 형성된 차체측 연결부(101), 상기 연결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몸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 side connecting portion 102 formed at one end, a body side connecting portion 101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body portion 103 for supporting the load.

상기 연결부(101,102)는 차체 및 차륜과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몸체부(103)는 원통형 또는 바(bar)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한 곳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내구성이 악화됨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대칭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portions 101 and 102 may have any shape within the range of maintaining the strength to support the load by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However, the body portion 103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or a bar shap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tress from concentrating to one place and deteriorating the durability.

상기 몸체부(103)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200)이 형성됨으로써, 경령화가 가능해 진다. 이때 상기 중공(200)은 상기 몸체부(103)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 1액실(201)과 타측에 형성된 제 2액실(202) 및 상기 제 1액실(201)과 제 2액실(202)을 연통하여 유체(300)가 흐를 수 있는 유로부(203)로 구성된다. The hollow portion 200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ody portion 103 can be aged. The hollow 200 includes a first liquid chamber 201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econd liquid chamber 20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00. The first liquid chamber 201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202, And a flow path portion 203 through which the fluid 300 can flow.

상기 중공(200)역시 상기 몸체부(103)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으로 역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부(203)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제 1액실(201) 및 상기 제2액실의 상하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llow 200 may also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the body 103, and may also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flow path portion 203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liquid chamber 201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상기 중공(200)의 내부에는 중공(200)의 체적의 1/2만큼의 유체(300)가 충전되고, 이때 유체(300)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일정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유동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질량중심을 명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uid 300 is filled with a half of the volume of the hollow 200 in the hollow 200 and the fluid 300 must be able to form a constant flow according to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nsity such that the center of mass of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can be moved clearly.

상기 유체(300)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상기 제 1액실(201) 및 제 2액실(202) 사이를 상기 유로부(203)를 통해 유동하게 되며, 이러한 유체(300)의 유동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암의 질량중심, 즉 관성모멘트가 변동하게 되는 것이다. The fluid 300 flows between the first liquid chamber 201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202 through the flow path portion 203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 mass center, that is,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다만, 이러한 유체(300)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부(203)에서 상기 제1액실 및 제2액실로의 유체(300)의 입,출구 부분의 형상은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지도록 상기 제 1액실(201) 및 제2액실의 형상이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퍼지는 각도는 45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moothly maintain the flow of the fluid 300, the shapes of the inlet and outlet portions of the fluid 300 from the flow path portion 203 to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are tap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hape of the first liquid chamber 201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may be configured, and preferably the taper angle is preferably 45 degrees.

도 2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서스펜션 암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operating state of a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암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거동을 달리하게 되며, 예시적으로 차량이 우측으로 선회시에는 차량의 외륜은 범프상태가 되며, 차량의 내륜은 리바운드 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suspension arm changes its behavior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Illustratively, when the vehicle turns to the right, the outer ring of the vehicle becomes a bump state and the inner ring of the vehicle becomes rebound .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종래기술에 따른 서스펜션 암과 비교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operation state of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평지에서 직진시에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은 지면과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종래 기술에 의한 서스펜션 암의 경우, 질량중심이 고정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은 내부 중공(200)에 유체(300)가 충전됨에 따라, 상기 중공(200)부피의 하부 1/2은 고밀도의 유체(300)로 채워지게 되고, 상기 유체(300)의 질량으로 인해 전체 서스펜션 암의 질량중심이 이동하게 된다. 즉, 평지에서 직진 주행시에는 종래기술의 서스펜션 암에 비해 질량 중심이 낮아지게 되어, 별도의 상하방향 비대칭구조를 형성하지 않고도 차량의 저중심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vehicle is straight on the flat ground, the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arm is kept parallel to the ground. At this time, in the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enter of mass is fixed, but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as the fluid 300 is filled in the inner hollow 200, The lower half of the volume is filled with the high density fluid 300 and the mass center of the entire suspension arm is moved due to the mass of the fluid 300. [ That is, at the time of straight running on the flat ground, the center of mass is lower than that of the suspension arm of the related art, and the low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can be designed without forming a separate vertical asymmetric structur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선회시에는 선회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여 차체가 기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외륜은 범프상태가 되고, 차량의 내륜은 리바운드 상태가 되어, 각각에 연결된 서스펜션 암은 차량이 선회하는 방향으로 지면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vehicle is turning, a centrifugal force act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direction, causing the vehicle body to be inclined. As a result, the outer ring of the vehicle becomes a bump state and the inner ring of the vehicle becomes rebound , The suspension arm connected to each of them maintains a tilted state toward the grou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turning.

이때 종래 기술에 의한 서스펜션 암의 경우, 질량중심이 고정되어 있어 차체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하중 이동(Load Transfer)을 상쇄시켜줄 수 없게 되어 고속 선회시 안정성 및 승차감이 저하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spension arm, since the center of gravity is fixed, the load transfer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vehicle body can not be canceled, and stability and riding comfort are deteriorated at high speed turning.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은 내부에 형성된 중공(200)에 고밀도 유체(300)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와 같이 차량 선회시 서스펜션 암이 선회하는 방향으로 지면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가 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상기 유체(300)가 유동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질량 중심의 변동을 가져온다.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the high-density fluid 300 in the hollow 200 formed therein. When the suspension arm is rotated , The fluid 300 is caused to flow by gravity, thereby bringing about the variation of the center of mass of the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arm.

따라서, 원심력으로 인한 하중 이동(Load Transfer)을 상쇄시켜 줌으로써, 고속 선회시 안정성 및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y offsetting the load transfer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stability and riding comfort during high-speed turning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및 내부에 형성된 중공(200)은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비대칭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발생하는 응력집중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llow 200 formed therein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oblem of durability deterioration due to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when the asymmetric structure is formed does not occur do.

또한, 상기 중공(200) 내부에 충전된 고밀도 유체(300)로 인해 NVH 성능상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Also, since the high-density fluid 300 filled in the hollow 200 does not cause a problem in NVH performance.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ose parts easily change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1 : 차체측 연결부
102 : 차륜측 연결부
103 : 몸체부
200 : 중공
201 : 제 1액실
202 : 제 2액실
203 : 유로부
300 : 유체
101: Body-side connecting portion
102: wheel side connection portion
103:
200: hollow
201: First liquid room
202: the second liquid room
203:
300: fluid

Claims (11)

일단이 차륜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측과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에 있어서,
일단부에 형성된 차륜측 연결부;
타단부에 형성된 차체측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A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wheel sid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vehicle body side to support a load,
A wheel-sid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A body-side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body part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and supporting a load, wherein the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hollo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은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is symmetrical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몸체부 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 1액실과 타측에 형성된 제 2액실 및 상기 제 1액실과 제 2액실을 연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low has a first fluid chamber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fluid chamber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flow path portion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through the first fluid chamber and the second fluid chamber, Suspension ar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의 상하 폭이 상기 제 1액실 및 상기 제 2액실의 상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vertical width of the flow path portion is smaller than a vertical width of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실 및 제 2액실은 상기 유로부의 양단부로부터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are formed to be tapered from both ends of the flow path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각도는 45도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apered angle is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내부에는 일정 밀도 이상의 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hollow includes a fluid having a predetermined density or mor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중공 체적의 1/2만큼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luid is filled by half of the hollow volum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상기 제 1액실 및 제 2액실 사이를 상기 유로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portion between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제 7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중력에 의한 상기 유체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질량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enter of mass of the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is varied due to the flow of the fluid due to gravity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액실 및 상기 제 2액실은 상기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관성모멘트 서스펜션 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second liquid chamber ar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riable moment of inertia suspension arm.

KR1020160117865A 2016-09-13 2016-09-13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KR102452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865A KR102452679B1 (en) 2016-09-13 2016-09-13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865A KR102452679B1 (en) 2016-09-13 2016-09-13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97A true KR20180029597A (en) 2018-03-21
KR102452679B1 KR102452679B1 (en) 2022-10-11

Family

ID=6190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865A KR102452679B1 (en) 2016-09-13 2016-09-13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7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4011A (en) * 1988-10-21 1990-04-26 Mazda Motor Corp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JPH0228962Y2 (en) * 1984-03-26 1990-08-03
JP2003307254A (en) * 2002-04-12 2003-10-31 Yamashita Rubber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KR100878487B1 (en) 2007-10-19 2009-01-13 현대로템 주식회사 A suspension system having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rotating arm within 360 degree
JP2015020621A (en) *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Bogie of railway vehicle
JP6029637B2 (en) * 2014-11-06 2016-11-24 東洋精糖株式会社 Rutin deriva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962Y2 (en) * 1984-03-26 1990-08-03
JPH02114011A (en) * 1988-10-21 1990-04-26 Mazda Motor Corp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JP2003307254A (en) * 2002-04-12 2003-10-31 Yamashita Rubber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KR100878487B1 (en) 2007-10-19 2009-01-13 현대로템 주식회사 A suspension system having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rotating arm within 360 degree
JP2015020621A (en) *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Bogie of railway vehicle
JP6029637B2 (en) * 2014-11-06 2016-11-24 東洋精糖株式会社 Rutin deriva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679B1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32082A1 (en) Suspension system
JP2005533711A5 (en)
CN107380336A (en) A kind of damping balance car
KR20200072990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20110056988A (en) Stabilizer bar assembly for vehicle
KR20180029597A (en) Variable inertia moment suspension arm
CN106739893B (en) Beach buggy and rear suspension thereof
JP2006088962A (en) Strut type suspension
KR20050038139A (en) Lower arm bush device of vehicle
CN207403866U (en) A kind of damping balance car
CN105090317B (en) Air spring and vehicle
US20220080796A1 (en) Vehicle
KR102440520B1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RU157043U1 (en) BOTTOM LEVER OF THE FRONT SUSPENSION OF A CAR
CN113459750B (en) Four-airbag air suspension system
CN205239053U (en) Hydraulic damper's mounting structure
CN216545596U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KR20120008877A (en)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960000774Y1 (en) Upper support device of strut arm for vehicle
KR100829299B1 (en) A stabilizer bar of an automobile
CN105946493A (en) Independent front axle for passenger vehicle
CN104589942A (en) Torsion beam semi-independent suspension structure
JP2020121710A (en) Vehicular suspension
CN104149568A (en) Control arm assembly
KR101045930B1 (en) Stabilizer Moun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