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405A -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405A
KR20180029405A KR1020160117262A KR20160117262A KR20180029405A KR 20180029405 A KR20180029405 A KR 20180029405A KR 1020160117262 A KR1020160117262 A KR 1020160117262A KR 20160117262 A KR20160117262 A KR 20160117262A KR 20180029405 A KR20180029405 A KR 2018002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ouch
display panel
coordinate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527B1 (ko
Inventor
임국찬
신덕문
윤찬민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5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이격거리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터치 위치의 좌표를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 간의 차이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TABLE-TO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RECOGNIZING TOUCH THEREOF}
본 발명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탑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의 좌표를 보정하여 인식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채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가 상이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나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입력 희망 좌표와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지된 위치가 서로 달라지고 그 차이 또한 상황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면적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 즉 손가락을 세웠는지 아니면 얼마나 눕혔는지를 추정하였고, 그 추정 결과에 따라 터치 위치를 보정하여 인식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테이블의 상면에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가 컴퓨터를 이용한 공동 작업의 용이성이 높아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사람들이 공동 작업을 할 때에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대형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가 상이한 상황이 스마트폰 등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에 대비하여 더 자주 더 큰 오차를 가지고 발생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응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0512호, 등록일자 2011년 10월 31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한 보정방향 및 보정량에 따라 보정하여 인식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식 방법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격거리를 기초로 하여,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를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가능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상기 이격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이격거리를 기초로 하여,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를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상기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한 보정방향 및 보정량에 따라 보정하여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 간의 차이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지원할 수 있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지원할 수 있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 센서부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 센서부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식 방법을 위한 시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 센서부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지원할 수 있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지원할 수 있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센서부(140) 및 테이블부(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입력 인터페이스(111) 및 디스플레이 패널(11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2)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1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가능한 입력 인터페이스(111)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입력 인터페이스(111)는 터치스크린패널에서 전기적 용량변화를 감지해 신호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1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적외선을 송수신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적외선의 송수신 차단 시에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적외선 송수신 모듈로 구현할 수도 있다.
센서부(140)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20)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센서부(140)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몇 가지 예를 도 3과 도 5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140)는 예컨대 TOF(Time Of Flight) 기반의 거리측정센서(141)로 구현할 수 있으며, 거리측정센서(141)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거리측정센서(141)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측정센서(141)는 사용자에게 빛을 조사한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TOF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측정센서(141)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외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이며, 이때 해당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라면 사용자에게 빛이 조사되는 상황이 된다. 이로써,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140)는 예컨대 TOF 기반의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로 구현할 수 있으며,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상면 에지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상면 에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는 복수회에 걸쳐서 사용자에게 방사형으로 빛을 조사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TOF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측정센서(142)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외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이며, 이때 해당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라면 사용자에게 빛이 조사되는 상황이 된다. 이로써,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사용자의 시점 높이와 시점 위치 등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센서부(140)는 예컨대 TOF 기반의 거리측정센서(143)로 구현할 수 있으며, 거리측정센서(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측정센서(143)는 지면으로 빛을 조사한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TOF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높이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입력 인터페이스(111)에 의한 감지 신호 및 센서부(140)에 의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대한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위치의 좌표를 인식한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입력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하고,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이격거리를 측정하며, 측정된 이격거리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하고, 터치 위치의 좌표를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한다. 이처럼,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12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이격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5의 실시예가 이에 해당된다.
또는, 제어부(120)는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추정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와의 이격거리 및 시점 높이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시점 위치를 추정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점(10)의 위치와 손가락(20)에 의한 터치 위치를 가상으로 연결하는 선과 디스플레이 패널(112)이 이루는 각도(α)를 계산하며, 이격거리 및 각도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센서부(140)를 통해 복수회에 걸쳐서 사용자에게 빛을 조사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 정보를 획득하며, TOF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윤곽선에서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계산한 후에 이를 기초로 하여, 시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측정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와의 이격거리 및 높이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용프로그램과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컨대, 저장부(13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식 방법을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12)을 터치하면 입력 인터페이스(11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20)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20)는 입력 인터페이스(111)에 의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2)에 대한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한다(S210, S310, S410).
아울러, 센서부(140)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20)에게 제공한다.
도 3과 같이, 센서부(140)가 TOF 기반의 거리측정센서(141)로 구현된 경우라면, 거리측정센서(141)는 사용자에게 빛을 조사한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TOF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20)는 거리측정센서(141)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이격거리를 측정한다(S220). 그리고, 측정된 이격거리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은 여러 개의 거리측정센서(141) 중에서 어떤 센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반사광이 수신되었는가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방향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TOF가 길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 사이의 이격거리 긴 것으로 계산하며, 이격거리가 길수록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크게 결정한다(S230).
도 5와 같이, 센서부(140)가 TOF 기반의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로 구현된 경우라면,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는 복수회에 걸쳐서 사용자에게 방사형으로 빛을 조사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TOF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20)는 거리측정센서(14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측정한다(S320). 그리고, 측정된 시점 높이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은 여러 개의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 중에서 어떤 센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반사광이 수신되었는가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방향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TOF가 길수록 사용자의 시점 높이가 긴 것으로 계산하며, 시점 높이가 길수록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크게 결정한다(S330).
한편, 도 5와 같이 센서부(140)가 TOF 기반의 방사형 거리측정센서(142)로 구현된 경우에,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시점 위치를 추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20)는 TOF 정보에 대한 필터링 및 보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윤곽선에 나타난 형태적 특성에 따라 윤곽선에서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계산하며, 이를 기초로 하여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의 사이 위치에 시점이 위치한다고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점(10)의 위치와 손가락(20)에 의한 터치 위치를 가상으로 연결하는 선과 디스플레이 패널(112)이 이루는 각도(α)를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각도(α)는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2)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 사이의 오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각도(α)가 작을수록 두 좌표 사이의 오차가 커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어부(120)는 각도(α)가 작게 계산될수록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크게 결정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 사이의 이격거리와 각도(α)를 모두 고려하여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어부(120)는 이격거리가 길어질수록 보정량을 크게 결정함과 아울러 각도(α)가 작게 계산될 수록 보정량을 크게 결정한다. 예컨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라 할지라도 신장의 차이에 의해 보정량이 변화되는 것이다.
또한, 도 8과 같이 센서부(140)가 TOF 기반의 거리측정센서(143)로 구현된 경우라면, 거리측정센서(143)는 지면으로 빛을 조사한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TOF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20)는 거리측정센서(143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측정한다(S420). 그리고, 제어부(120)는 측정된 높이를 기초로 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게 측정될수록 터치 입력 시에 손가락이 많이 눕혀질 수 있기에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크게 결정한다(S430).
또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사용자 사이의 이격거리와 단계 S420에서 측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12)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터치 위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는 도 3의 거리측정센서(141)와 도 8의 거리측정센서(143)가 함께 채용된 경우이다. 제어부(120)는 이격거리가 길어질수록 보정량을 크게 결정함과 아울러 높이가 높게 측정될수록 보정량을 크게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단계 S210, 단계 S310 및 단계 S410에서 파악된 터치 위치의 좌표를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정하되, 단계 S230, 단계 S330 및 단계 S430 등에서 결정된 보정량만큼 보정하며, 보정된 위치를 터치 인식의 좌표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되어 터치 위치의 좌표에 반영되는 보정량은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2)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값이다. 이 차이값이 단계 S230, 단계 S330 및 단계 S430 등에서 결정된 보정량과 동일한 값을 가질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2)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 간의 오차가 완전히 제거된다고 볼 수 있다(S240, S340, S44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한 보정방향 및 보정량에 따라 보정하여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기계적으로 터치되는 좌표와 사용자가 입력되기를 희망하는 좌표 간의 차이가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대형 테이블 탑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11 : 입력 인터페이스 112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센서부

Claims (10)

  1.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터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격거리를 기초로 하여,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를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정량은, 상기 이격거리 및 상기 시점 높이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터치 인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점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점 위치와 상기 터치 위치를 가상으로 연결하는 선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정량은, 상기 이격거리 및 상기 각도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터치 인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점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는,
    복수회에 걸쳐서 상기 사용자에게 빛을 조사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Time Of Flight)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TOF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윤곽선에서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계산한 후에 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시점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정량은, 상기 이격거리 및 상기 높이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터치 인식 방법.
  6.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가능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상기 이격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이격거리를 기초로 하여,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위치의 좌표를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상기 터치 인식의 좌표를 결정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점 높이를 추정하며, 상기 이격거리 및 상기 시점 높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보정량을 결정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점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시점 위치와 상기 터치 위치를 가상으로 연결하는 선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며, 상기 이격거리 및 상기 각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보정량을 결정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복수회에 걸쳐서 상기 사용자에게 빛을 조사 후에 반사광을 수신하여 TOF(Time Of Flight)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TOF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윤곽선에서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계산한 후에 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시점 위치를 결정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측정하며, 상기 이격거리 및 상기 높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보정량을 결정하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17262A 2016-09-12 2016-09-12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KR102637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62A KR102637527B1 (ko) 2016-09-12 2016-09-12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62A KR102637527B1 (ko) 2016-09-12 2016-09-12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405A true KR20180029405A (ko) 2018-03-21
KR102637527B1 KR102637527B1 (ko) 2024-02-15

Family

ID=6190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262A KR102637527B1 (ko) 2016-09-12 2016-09-12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53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2344A1 (en) * 2004-06-16 2009-01-01 Microsoft Corporation Calibration of an interactive display system
KR101080512B1 (ko) 2009-11-20 2011-11-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85202A1 (en) * 2012-09-25 2014-03-2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ducing hand or pointing device occlusions of a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2344A1 (en) * 2004-06-16 2009-01-01 Microsoft Corporation Calibration of an interactive display system
KR101080512B1 (ko) 2009-11-20 2011-11-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85202A1 (en) * 2012-09-25 2014-03-2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ducing hand or pointing device occlusions of a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53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17021A (ko) * 2019-08-06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527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8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EP2980679B1 (en) Mis-tou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11422660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US20180232106A1 (en) Virtual inpu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042464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screen device for detect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33070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564760B2 (en) Touch system, touch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04773B2 (en)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CN105210020B (zh) 偏离中心的传感器目标区域
US94719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80029405A (ko)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US9092083B2 (en) Contact detecting device, record display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ntact detecting method
KR102092664B1 (ko)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좌표 선택 회로 및 방법
EP2975503A2 (en) Touch device and corresponding touch method
KR101875181B1 (ko)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US2015037041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edge suppression and correction
US20150301598A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3109538A (ja)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KR102344971B1 (ko) 터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5293B1 (ko) 깊이 센서 기반의 공간 터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26791A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입력 유효성 판단 장치 및 방법
JP2014203204A (ja) 走査型タッチパネル装置
JP6248723B2 (ja) 座標検知システム、座標検知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4337A (ko) 전자기기에서 터치 위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1646117B1 (ko) 곡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곡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터치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