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291A -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291A
KR20180029291A KR1020160116907A KR20160116907A KR20180029291A KR 20180029291 A KR20180029291 A KR 20180029291A KR 1020160116907 A KR1020160116907 A KR 1020160116907A KR 20160116907 A KR20160116907 A KR 20160116907A KR 20180029291 A KR20180029291 A KR 20180029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ischarge
magnetic field
unit
sli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탁
Original Assignee
이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탁 filed Critical 이순탁
Priority to KR102016011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291A/ko
Publication of KR2018002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 및 구조로 비교적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액상용기 속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차단위치 간 위치이동 가능한 배출부재를 갖는 액상용기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배출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금속부를 포함하는 내부 슬라이더와, 상기 내부 슬라이더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는 도킹유니트와; 상기 도킹유니트의 하부에서 상기 각 금속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부재를 갖는 자기장 유도 유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DISPENSING ASSEMBLY AND DISPENSER}
본 발명은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복수의 화장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디스펜서(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7721호,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복수의 장착유니트 각각이 배출유도수단을 포함하여 비교적 많은 부품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 및 구조로 비교적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액상용기 속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차단위치 간 위치이동 가능한 배출부재를 갖는 액상용기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배출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금속부를 포함하는 내부 슬라이더와, 상기 내부 슬라이더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는 도킹유니트와; 상기 도킹유니트의 하부에서 상기 각 금속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부재를 갖는 자기장 유도 유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차단위치 간 위치이동 가능한 배출부재를 갖는 액상용기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서는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출구를 갖는 지지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구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동축위치와 상기 동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 간 전환 가능한 복수의 도킹유니트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자기장 유도 유닛과; 상기 이동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유니트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배출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금속부를 포함하는 내부 슬라이더와, 상기 내부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 유도 유니트는 상기 동축위치에 위치한 상기 도킹유니트의 상기 각 금속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는 간단한 구성 및 구조로 비교적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액상용기 속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A)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유니트의 정면도이고,
도 4 (B)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유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유도 유니트의 정면도이고,
도 6 (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유도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표시된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의 내용물 배출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표시된 ⅩⅢ-Ⅹ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이동부의 이동에 의한 복수의 도킹 유니트의 위치 전환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100)는 액상용기가 장착되는 도킹 유니트(101)와 도킹 유니트(101)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를 포함한다. 도킹 유니트(101)와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는 개별적인 구성으로써 서로 분리 가능하다. 도킹 유니트(101)와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는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유니트(10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A)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유니트(101)의 정면도이고, 도 4 (B)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유니트(101)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표시된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유니트(101)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을 갖는다.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은 하부의 중심영역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출개구(111)와 배출개구(111)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한 쌍의 금속부 통과공(113)을 갖는다.
그리고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은 내경면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패인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홈(115)을 갖는다.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홈(115)은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18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호 대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 내부에는 내부 슬라이더(130)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내부 슬라이더(130)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장착부(131)를 포함한다. 장착부(131)는 하부의 중심영역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출개구(133)를 갖는다. 여기서, 장착부 배출개구(133)는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의 배출개구(111)와 동일 축선 상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131)는 외경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슬라이딩 돌기(135)를 갖는다. 한 쌍의 슬라이딩 돌기(135)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홈(1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장착부(131)는 내경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137)를 갖는다.
내부 슬라이더(130)는 장착부(131)의 하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한 쌍의 금속부(139)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금속부(139)는 한 쌍의 금속부 통과공(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금속부(139)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부(139)와 금속부 통과공(113)은 더 많은 개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 슬라이더(130)는 스프링(120)에 의해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에 대해 탄성 지지된다. 이때, 금속부(139)의 하단부는 금속부 통과공(113)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내부 슬라이더(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140)이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의 정면도이고, 도 6 (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표시된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는 도킹 유니트(101)의 하부에서 각 금속부(139)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한 쌍의 코일부재(160)를 갖는다.
코일부재(160)는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162)을 갖는 코일프레임(161)과 코일프레임(161)에 권취되는 코일(165)을 갖는다. 여기서, 코일프레임(161)은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스프링 지지부(163)를 갖는다.
코일부재(160)는 관통공(162)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167)과 금속부재(169)를 포함한다. 스프링(167)은 스프링 지지부(163)에 지지되어 금속부재(169)를 코일프레임(161)에 대해 탄성 지지한다. 코일부재(160) 내부에 배치된 금속부재(169)는 코일(165)에 전류가 공급되었을 때 형성되는 자기장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코일부재(160) 내부에 금속부재(169)가 배치될 경우, 도킹유니트(101)의 내부 슬라이더(130)를 더욱 강하게 당길 수 있다.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는 한 쌍의 코일부재(160)를 수용하는 케이스(150) 및 뚜껑(170)을 갖는다. 케이스(150)는 하부의 중심영역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출개구(151)와 배출개구(151)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코일프레임(161)의 하단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삽입홈(153)을 갖는다. 여기서, 한 쌍의 삽입홈(153)은 한 쌍의 금속부 통과공(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삽입홈(153)에 한 쌍의 코일부재(160)가 삽입 고정된다.
뚜껑(170)은 중심영역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출통로(171)와 배출통로(171)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코일부재(16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삽입홀(173)을 갖는다. 한 쌍의 삽입홀(173)은 한 쌍의 삽입홈(17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뚜껑(170)은 케이스(15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코일부재(160)의 상단 위치를 고정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어셈블리(100)의 내용물 배출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액상용기(20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210)와, 수용부(210)의 개구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30)와, 고정부재(2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위치와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차단위치 간 위치이동 가능한 배출부재(270) 및 고정부재(230)에 지지되어 배출부재(270)가 차단위치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출부재(270)는 외경면에서 걸림돌기(137)에 대응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및 깊이로 패인 그루브를 갖는다. 도 8 및 도 9는 배출부재(270)가 장착부(131)에 삽입된 후 높이방향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어셈블리(100)는 액상용기(200)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일부재(16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아 내부 슬라이더(130)가 하강하지 않고, 도 9에서와 같이 각 코일부재(160)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금속부재(169)와 금속부(139)를 갖는 내부 슬라이더(130) 및 이와 연결된 배출부재(270)가 함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위치로 하강한다. 배출부재(270)가 배출위치로 이동되면, 액상용기(200) 속 내용물이 배출부재(27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각 코일부재(160)에 대한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면, 자기장이 해제되어 금속부재(169)와 내부 슬라이더(130) 및 배출부재(270)가 각 스프링(167, 120, 250)의 탄성력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차단위치로 상승한다.
금속부재(169)는 관통공(162)의 하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코일부재(160)는 내부 슬라이더(130)를 당길 수 있는 충분한 전류를 공급받을 경우, 금속부재(169)와 스프링(167)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3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300)는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출구(311)를 갖는 지지부(313)를 갖는 본체(310)를 포함한다. 본체(310)는 배출구(311)와 연통하는 수령부(314)를 갖는다. 사용자는 수령부(314)를 통해 배출구(311)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수령할 수 있다. 배출구(311)에는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가 설치된다. 여기서, 자기장 유도 유니트는 상술한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3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표시된 ⅩⅢ-Ⅹ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300)는 지지부(313)에 지지되어 높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원형상의 이동부(330)와 본체(310)에 설치되어 이동부(330)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350)를 포함한다. 본체(310)는 지지부(313)의 수평면으로부터 하향 함몰되어 구동부(350)를 수용하는 수용홈(312)을 갖는다.
구동부(350)는 구동모터(351)와, 웜기어(353), 릴레이기어(355) 및 구동축(358)을 갖는 메인기어(357)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부(330)는 구동축(358)과 결합되어 구동모터(351)의 구동에 의해 높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동부(330)에는 복수의 액상용기(200)가 장착될 수 있는 복수의 도킹 유니트(101a, 101b, 101c, 101d)가 지지된다. 여기서, 복수의 도킹 유니트(101a, 101b, 101c, 101d)는 상술한 도킹 유니트(101)와 구성이 동일하다. 이러한 복수의 도킹 유니트(101a, 101b, 101c, 101d)는 높이방향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도킹 유니트(101a, 101b, 101c, 101d)는 이동부(330)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311)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동축위치와 동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 간 순차적으로 전환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담긴 복수의 액상용기(200)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액상용기(200)가 장착된 복수의 도킹 유니트(101a, 101b, 101c, 101d) 중 사용하고 싶은 액상용기(200)가 장착된 해당 도킹 유니트가 배출구(311)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이동부(330)를 이동시킨 후 자기장 유도 유니트(102)에 전류를 공급하면 해당 액상용기(200)의 내용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4는 이동부(330)의 이동에 의한 복수의 도킹 유니트(101a, 101b, 101c, 101d)의 위치 전환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에 표시된 화살표는 이동부(3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일어날 위치 전환되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4에 나타난 위치 관계에서, 이동부(330)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면 현재 배출구(311)에 동축적으로 배치된 도킹유니트(101a) 자리에 다른 도킹 유니트(101b)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300)는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피부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3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6)

  1.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차단위치 간 위치이동 가능한 배출부재를 갖는 액상용기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에 있어서,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배출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금속부를 포함하는 내부 슬라이더와, 상기 내부 슬라이더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는 도킹유니트와;
    상기 도킹유니트의 하부에서 상기 각 금속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부재를 갖는 자기장 유도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는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코일프레임과, 상기 코일프레임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는 상기 금속부재를 상기 코일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4.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차단위치 간 위치이동 가능한 배출부재를 갖는 액상용기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출구를 갖는 지지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구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동축위치와 상기 동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 간 전환 가능한 복수의 도킹유니트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자기장 유도 유닛과;
    상기 이동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유니트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배출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금속부를 포함하는 내부 슬라이더와, 상기 내부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딩 안내 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 유도 유니트는,
    상기 동축위치에 위치한 상기 도킹유니트의 상기 각 금속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는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상의 코일프레임과, 상기 코일프레임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는 상기 금속부재를 상기 코일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KR1020160116907A 2016-09-11 2016-09-11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20180029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07A KR20180029291A (ko) 2016-09-11 2016-09-11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07A KR20180029291A (ko) 2016-09-11 2016-09-11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291A true KR20180029291A (ko) 2018-03-21

Family

ID=6190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07A KR20180029291A (ko) 2016-09-11 2016-09-11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0229B2 (en) Tablet cassette
AU2011252602B2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its housing and cartridge
CA2922088C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KR101604779B1 (ko) 디스펜서 용기
EP2769268A1 (en) Toner refill device
JP2018043781A (ja) 錠剤カセット及び錠剤排出方法
KR101652152B1 (ko) 가변 디비전 블록을 구비한 정제 캐니스터
KR20180132513A (ko)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
KR20180029291A (ko)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1557368B1 (ko) 다기능 색조 제품 케이스
JP5437385B2 (ja) 回転調理装置
KR101752668B1 (ko) 로터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정제카세트 및 정제 카세트 베이스
JP6383612B2 (ja) ストッパー
KR20150106289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CN110811104A (zh) 一种收纳盒
CN218490439U (zh) 零食储藏分配装置
JPH10262729A (ja) 棒状化粧品繰り出し容器
JP2010254357A (ja) 二室容器の混合装置
KR20170142590A (ko) 화장품 자동 공급장치
KR20150024774A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장치
KR101637766B1 (ko) 챠량의 컵 홀더
KR20160023520A (ko) 내용물 수취장치
CN118044731A (zh) 粉末冲调机
JP2018079975A (ja) 薬剤供給装置および薬剤包装装置
KR200359025Y1 (ko) 분말 혼합 공급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