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144A -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 Google Patents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144A
KR20180029144A KR1020160116427A KR20160116427A KR20180029144A KR 20180029144 A KR20180029144 A KR 20180029144A KR 1020160116427 A KR1020160116427 A KR 1020160116427A KR 20160116427 A KR20160116427 A KR 20160116427A KR 20180029144 A KR20180029144 A KR 2018002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anel
fixing
slab panel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280B1 (ko
Inventor
백희정
임남기
김진우
김귀환
Original Assignee
백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희정 filed Critical 백희정
Priority to KR102016011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존치형서포트, 슬라브패널 순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천장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존치형서포를 축으로 빔과 슬라브패널을 일체로 드롭하여 해체함으로써 거푸집 시공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작업안전성 및 시공 효율성과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분진,민원을 최소화한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에 관한 것으로,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설치하는 설치 및 시멘트로 천장을 타설 및 양생하는 설치단계와, 시멘트의 양생이 끝나면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해체하는 해체단계로 이루어진 시공방법에 있어서,
설치단계(S1000)는
사면에 벽체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1100)와, 벽체패널 상부에 SL본체(1100)을 설치하는 단계(S1200)와,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을 고정편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빔과 드롭 헤드를 일체화 하는 단계(S1300)와, SL본체 내부에 슬라브패널고정SL과, 빔고정SL을 설치하는 단계(S1400)와, SL(1000)에 일체화된 빔을 설치하는 단계(S1500)와, 프롭 헤드의 하부에 서포터를 설치하는 단계(S1600)와, 이후 빔과 프롭 헤드, 슬라브패널고정SL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1700)와, 슬라브패널에 시멘트를 부어 타설한 후 양생하는 단계(S1800)를 포함하며;
해체단계(S2000)는
시멘트의 타설이 끝나면 벽체패널을 해체하는 단계(S2100)와, SL본체에서 슬라브패널고정SL과, 빔고정SL을 해체하는 단계(S2200)와,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 및 슬라브패널을 고정하고 있는 핀들을 해체하는 단계(S2300)와, 핀을 해체하면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전체가 일부낙하되, 서포터에 구비된 거치봉에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안착되는 하는 단계(S2400)와,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의 자중에 의해 저속장치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는 단계(S2500)와, 하강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을 외부로 반출시키는 단계(S2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Restoration type support with the axis with a drop bangbeop and drop device}
본 발명은 천정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자중과 콘크리트자중을 받치는 고정형 앙카가 부착된 프롭헤드, 프롭헤드에 설치된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라브패널 드롭 시공방법 및 드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 존치형서포트, 슬라브패널 순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천장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존치형서포를 축으로 빔과 슬라브패널을 일체로 드롭하여 해체함으로써 거푸집 시공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작업안전성 및 시공 효율성과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분진, 민원을 최소화한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다층(多層) 구조의 건축물 시공시 먼저,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부층으로 자재를 인양하여 설치 및 해체하므로써 반복적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브패널은 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합판이 사용되며, 예를들면, 가설지주 형태의 지지체에 지지되면서 슬라브패널 영역에 편평한 자세로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지지체는 주로 각목(角木)이 사용되며, 상기 벽체 거푸집의 상부에서 서로 직교하는 자세 예를 들면, 바둑무늬 구조로 배치됨과 아울러 슬라브패널이 수직 하중 즉, 타설된 콘크리트 중량에 의해 셋팅된 자세가 변화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브패널의 설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슬라브패널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지체를 설치한 후, 이 지지체의 상부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한다.
상기 지지체의 설치 작업은 작업자가 바닥면에서 이격된 슬라브패널 영역에 별도의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벽체 거푸집을 타고 올라가서 못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벽체 거푸집에 설치하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지지체와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체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서포터들이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브패널 양생 후 상기 슬라브패널을 해체할 때에도 작업자가 상기 지지체와 거푸집을 밑에서 슬라브패널을 머리 위에서 해체 작업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슬라브패널 지지체는 파이프나 각목들이 못이나 와이어 등으로 설치되어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만족할 만한 지지력을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작업장의 바닥에는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서포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자의 안전성과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민원발생 방지가 어렵다.
게다가, 상기 지지체를 설치하려면 거푸집이 설치되는 영역으로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서 설치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중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매번 못을 이용하여 체결 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과다한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공기(工期)의 지연은 물론이거니와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시공되는 해당 슬라브패널 크기에만 대응하도록 제작되므로 그 구조상 1회 시공 후 다른 공사현장에서의 재활용이나 호환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대부분 그대로 폐기 처분되어 이에 따른 비용은 물론이거니와 환경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슬라브패널 양생 후 슬라브패널을 해체할 때에도 작업자가 지지체와 거푸집 아래서 해체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체와 거푸집이 한꺼번에 떨어져서 협착사고나 충격하중 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2996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빔, 존치형서포트, 슬라브패널 순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천장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존치형서포를 축으로 빔과 슬라브패널을 일체로 드롭하여 해체함으로써 거푸집 시공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작업안전성 및 시공 효율성과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분진, 민원을 최소화한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알루미늄천장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알루미늄천장 드롭장치는
콘크리트천장 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자재는 벽면 일측에 설치되는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되고, 빔(BEAM, 3000)과 슬라브패널(9000)이 설치되는 소피트 렝스(SOFFIT LENGTH, 1000, 이하 "SL"이라 함)과;
SL에 설치되며, 슬라브패널(SLAB PANEL)이 삽입설치되는 빔(BEAM, 3000)과;
빔(BEAM, 3000)을 연결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에서 프롭 헤드를 지지하며, 해제시에는 슬라브패널의 하중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저속장치의 거치봉이 하강하는 서포터(7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SL(SOFFIT LENGTH, 1000)은 벽면에 체결되는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되고, 빔(BEAM, 3000)과 슬라브패널이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벽체패널 고정편(1110)과, 고정편에서 상부 "n" 형상으로 연장·절곡되어 슬라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브고정편(1130)으로 이루어진 SL본체(1100)와;
본체 내부에 삽입설치되되, 상부의 끝단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슬라브가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브지지부(1310)로 이루어진 슬라브패널고정SL(1300)과;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핀(4000)으로 벽체패널에 체결되는 본체(1510)와, 엔드빔을 고정핀(4000)과 삼각편(4500)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510)에서 연장형성되는 빔고정편(1530)과, 빔고정편(1530)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일단이 벽체패널에 지지되어 빔과 슬라브패널의 무게에 의해 빔고정편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편(1550)으로 이루어진 빔고정SL(1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빔(BEAM, 3000)은 빔고정SL에 안착설치되며, 슬라브패널(SLAB PANEL)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해체과정 중 SL의 슬라브 고정편과 밀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측,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부(3110)와, 타단은 프롭 헤드(PROP HEAD, 5000)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이후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경사면부(313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150) 및 슬라브패널 삽입홈(3160), 고정핀 삽입공(3170)과, 빔고정SL(1500)의 빔고정편(1530)이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홈(3180)으로 이루어진 엔드빔(3100)과;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PROP HEAD, 5000) 사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면부(33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330)과, 슬라브패널 삽입홈(3340) 및 고정핀 삽입공(3350)으로 이루어진 미들빔(3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롭 헤드(PROP HEAD, 5000)는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것으로, 빔의 경사면부와 대응되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부(5100)와, 슬라브패널이 삽입되는 슬라브패널 삽입홈(5200)과,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편(5500)으로 빔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5300)과, 중앙부에 돌출부(5510)가 형성되어, 이후 빔을 하강시킬 때 드롭 헤드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프롭 헤드에 설치되는 고정편(5500)과, 상부에 체결되어 시공되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5700)로 구성되며;
서포터(7000)는 지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71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부에 체결되는 프롭 헤드를 지지하되 저속장치의 거지봉이 하강할 수 있도록 장홈(7310)이 형성된 슬라이딩바(7300)와, 슬라이딩바의 내측에 구비되며, 빔(3000)과 슬라브패널(9000)을 철거할 때 빔(3000)과 슬라브패널(9000)이 서서히 하향되도록 하되 빔(3000)이 거치되는 거치봉(7710)과, 장홈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리를 걸어 하향된 거치봉을 고정하여 상부로 상향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봉 고정홀더(7730)로 이루어진 저속장치(77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은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설치하는 설치 및 시멘트로 천장을 타설 및 양생하는 설치단계와, 시멘트의 양생이 끝나면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해체하는 해체단계로 이루어진 시공방법에 있어서,
설치단계(S1000)는
사면에 벽체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1100)와;
벽체패널 상부에 SL본체(1100)을 설치하는 단계(S1200)와;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을 고정편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빔과 드롭 헤드를 일체화 하는 단계(S1300)와;
SL본체 내부에 슬라브패널고정SL과, 빔고정SL을 설치하는 단계(S1400)와;
SL(1000)에 일체화된 빔을 설치하는 단계(S1500)와;
프롭 헤드의 하부에 서포터를 설치하는 단계(S1600)와;
이후 빔과 프롭 헤드, 슬라브패널고정SL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1700)와;
슬라브패널에 시멘트를 부어 타설한 후 양생하는 단계(S1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콘크리트천정 시공방법.
또한, 해체단계(S2000)는
시멘트의 타설이 끝나면 벽체패널을 해체하는 단계(S2100)와;
SL본체에서 슬라브패널고정SL과, 빔고정SL을 해체하는 단계(S2200)와;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 및 슬라브패널을 고정하고 있는 핀들을 해체하는 단계(S2300)와;
핀을 해체하면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전체가 일부낙하되, 서포터에 구비된 거치봉에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안착되는 하는 단계(S2400)와;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의 자중에 의해 저속장치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는 단계(S2500)와;
하강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을 외부로 반출시키는 단계(S2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래 슬라브패널 해체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빔, 존치형서포트, 슬라브패널 순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천장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존치형서포를 축으로 빔과 슬라브패널을 일체로 드롭하여 해체함으로써 거푸집 시공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작업안전성 및 시공 효율성과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분진,민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슬라브패널을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체 어셈블리를 바닥에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중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작업 공정이 간단하여 슬라브패널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서 작업 능률은 물론이거니와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이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체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공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천장 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자재는 벽면 일측에 설치되는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되고, 빔(BEAM, 3000)과 슬라브패널(9000)이 설치되는 소피트 렝스(SOFFIT LENGTH, 1000, 이하 "SL"이라 함)과; SL에 설치되며, 슬라브패널(SLAB PANEL)이 삽입설치되는 빔(BEAM, 3000)과; 빔(BEAM, 3000)을 연결하는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 하부에서 프롭 헤드를 지지하며, 해제시에는 슬라브패널의 하중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저속장치의 거치봉이 하강하는 서포터(7000)를 포함한다.
SL(SOFFIT LENGTH, 1000)은 벽면에 체결되는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되고, 빔(BEAM, 3000)과 슬라브패널이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벽체패널 고정편(1110)과, 고정편에서 상부 "n" 형상으로 연장·절곡되어 슬라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브고정편(1130)으로 이루어진 SL본체(1100)와; 본체 내부에 삽입설치되되, 상부의 끝단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슬라브가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브지지부(1310)로 이루어진 슬라브패널고정SL(1300)과;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핀(4000)으로 벽체패널에 체결되는 본체(1510)와, 엔드빔을 고정핀(4000)과 삼각편(4500)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510)에서 연장형성되는 빔고정편(1530)과, 빔고정편(1530)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일단이 벽체패널에 지지되어 빔과 슬라브패널의 무게에 의해 빔고정편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편(1550)으로 이루어진 빔고정SL(1500)로 구성된다.
빔(BEAM, 3000)은 빔고정SL에 안착설치되며, 슬라브패널(SLAB PANEL)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해체과정 중 SL의 슬라브 고정편과 밀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측,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부(3110)와, 타단은 프롭 헤드(PROP HEAD, 5000)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이후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경사면부(313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150) 및 슬라브패널 삽입홈(3160), 고정핀 삽입공(3170)과, 빔고정SL(1500)의 빔고정편(1530)이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홈(3180)으로 이루어진 엔드빔(3100)과; 프롭 헤드(PROP HEAD, 5000)와 프롭 헤드(PROP HEAD, 5000) 사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면부(33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PROP HEAD, 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330)과, 슬라브패널 삽입홈(3340) 및 고정핀 삽입공(3350)으로 이루어진 미들빔(3300)으로 구성된다.
프롭 헤드(PROP HEAD, 5000)는 빔(BEAM, 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것으로, 빔의 경사면부와 대응되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부(5100)와, 슬라브패널이 삽입되는 슬라브패널 삽입홈(5200)과,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편(5500)으로 빔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5300)과, 중앙부에 돌출부(5510)가 형성되어, 이후 빔을 하강시킬 때 드롭 헤드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프롭 헤드에 설치되는 고정편(5500)과, 상부에 체결되어 시공되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5700)로 구성된다.
이때, 돌출부(5510)가 없는 고정편을 사용할 때는 드롭 헤드의 고정편 삽입홈(5300) 중 하부의 단턱부를 절개하여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해체하는 과정 중 고정편(5500)이 단턱부에 간섭을 받지않고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서포터(7000)는 지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71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부에 체결되는 프롭 헤드를 지지하되 저속장치의 거치봉이 하강할 수 있도록 장홈(7310)이 형성된 슬라이딩바(7300)와; 슬라이딩바의 내측에 구비되며, 빔(3000)과 슬라브패널(9000)을 철거할 때 빔(3000)과 슬라브패널(9000)이 서서히 하향되도록 하되 빔(3000)이 거치되는 거치봉(7710)이 형성된 저속장치(7700)으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바에서 슬라이딩바를 인출하면 저속장치의 거치봉도 같이 상승하여 슬라이딩바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속장치은 저속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하여 빔(3000)과 슬라브패널(9000) 등을 서서히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설치하는 설치 및 시멘트로 천장을 타설 및 양생하는 설치단계와, 시멘트의 양생이 끝나면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해체하는 해체단계로 이루어진 시공방법에 있어서,
설치단계(S1000)는
사면에 벽체패널을 설치한다.
이후 벽체패널 상부에 SL본체(1100)을 설치한다.
이후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을 고정편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빔과 드롭 헤드를 일체화한다.
이후 SL본체 내부에 슬라브패널고정SL과, 빔고정SL을 설치한다.
이후 SL에 일체화된 빔을 빔고정SL에 설치한다.
이후 프롭 헤드의 하부에 서포터를 설치하고, 상부에 앙카볼트를 체결한다.
이후 빔과 프롭 헤드, 슬라브패널고정SL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한다.
이후 슬라브패널에 시멘트를 부어 타설한 후 양생하는 한다.
그리고 해체단계(S2000)는
시멘트의 타설이 끝나면 벽체패널을 해체한다.
이후 SL본체에서 슬라브패널고정SL과, 빔고정SL을 해체한다.
이후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 및 슬라브패널을 고정하고 있는 핀들을 해체한다.
이후 핀을 해체하면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전체가 일부낙하되, 서포터에 구비된 거치봉에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안착된다.
이후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의 자중에 의해 저속장치을 따라 서서히 하강한다.
하강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을 외부로 반출시킨다.
1000 : SL(LENGTH) 1100 : SL본체
1110 : 벽체패널 고정편 1130 : 슬라브고정
1300 : 슬라브패널고정SL 1310 : 슬라브지지부
1500 : 빔고정SL 1510 : 본체
1530 : 빔고정편 1550 :지지편
3000 : 빔(BEAM, 3000) 3100 :엔드빔
3110 : 제1경사면부 3130 : 제2경사면부
3150 : 고정편 삽입홈 3170 : 고정핀 삽입공
3180 : 장홈 3300 : 미들빔
3310 : 경사면부 3330 : 고정편 삽입홈
5000 : 프롭 헤드(PROP HEAD, 5000)
5100 : 경사부
5300 : 고정편 삽입홈 5500 : 고정편
5700 : 앙카볼트
7000 : 서포터 7100 : 고정바
7300 : 슬라이딩바 7310 : 장홈
7700 : 저속장치 7710 : 거치봉

Claims (6)

  1. 콘크리트천장 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자재는 벽면 일측에 설치되는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되고, 빔(BEAM, 3000)과 슬라브패널(9000)이 설치되는 소피트 렝스(1000와;
    소피트 렝스에 설치되며, 슬라브패널이 삽입설치되는 빔(3000)과;
    빔(3000)을 연결하는 프롭 헤드(5000)와;
    프롭 헤드 하부에서 프롭 헤드를 지지하며, 해제시에는 슬라브패널의 하중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저속장치의 거치봉이 하강하는 서포터(7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피트 렝스(1000)은 벽면에 체결되는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되고, 빔(3000)과 슬라브패널이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벽체패널 고정편(1110)과, 고정편에서 상부 "n" 형상으로 연장·절곡되어 슬라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브고정편(1130)으로 이루어진 소피트 렝스본체(1100)와;
    본체 내부에 삽입설치되되, 상부의 끝단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슬라브가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브지지부(1310)로 이루어진 슬라브패널고정 소피트 렝스(1300)과;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핀(4000)으로 벽체패널에 체결되는 본체(1510)와, 엔드빔을 고정핀(4000)과 삼각편(4500)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510)에서 연장형성되는 빔고정편(1530)과, 빔고정편(1530)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일단이 벽체패널에 지지되어 빔과 슬라브패널의 무게에 의해 빔고정편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편(1550)으로 이루어진 빔고정SL(1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빔(3000)은 빔고정SL에 안착설치되며, 슬라브패널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해체과정 중 소피트 렝스의 슬라브 고정편과 밀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측,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면부(3110)와, 타단은 프롭 헤드(5000)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이후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경사면부(313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150) 및 슬라브패널 삽입홈(3160), 고정핀 삽입공(3170)과, 빔고정SL(1500)의 빔고정편(1530)이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홈(3180)으로 이루어진 엔드빔(3100)과;
    프롭 헤드(5000)와 프롭 헤드(5000) 사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면부(3310)와, 전·후면에 형성되어 프롭 헤드(5000)에 고정편(5500) 및 고정핀(4000)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3330)과, 슬라브패널 삽입홈(3340) 및 고정핀 삽입공(3350)으로 이루어진 미들빔(3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프롭 헤드(5000)는 빔(3000)을 연결하고 하부에서 서포터로 지지받아 슬라브패널 및 빔을 지지하는 것으로, 빔의 경사면부와 대응되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경사부(5100)와, 슬라브패널이 삽입되는 슬라브패널 삽입홈(5200)과,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편(5500)으로 빔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 삽입홈(5300)과, 중앙부에 돌출부(5510)가 형성되어, 이후 빔을 하강시킬 때 드롭 헤드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고정핀(4000) 및 삼각편(4500)으로 프롭 헤드에 설치되는 고정편(5500)과, 상부에 체결되어 시공되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5700)로 구성되며;
    서포터(7000)는 지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71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부에 체결되는 프롭 헤드를 지지하되 저속장치의 거지봉이 하강할 수 있도록 장홈(7310)이 형성된 슬라이딩바(7300)와, 슬라이딩바의 내측에 구비되며, 빔(3000)과 슬라브패널(9000)을 철거할 때 빔(3000)과 슬라브패널(9000)이 서서히 하향되도록 하되 빔(3000)이 거치되는 거치봉(7710)이 형성된 저속장치(77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장치.
  5.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설치하는 설치 및 시멘트로 천장을 타설 및 양생하는 설치단계와, 시멘트의 양생이 끝나면 빔과 슬라브패널 등을 해체하는 해체단계로 이루어진 시공방법에 있어서,
    설치단계(S1000)는
    사면에 벽체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1100)와;
    벽체패널 상부에 소피트 렝스본체(1100)을 설치하는 단계(S1200)와;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을 고정편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빔과 드롭 헤드를 일체화 하는 단계(S1300)와;
    소피트 렝스본체 내부에 슬라브패널고정 소피트 렝스와, 빔고정 소피트 렝스를 설치하는 단계(S1400)와;
    소피트 렝스(1000)에 일체화된 빔을 설치하는 단계(S1500)와;
    프롭 헤드의 하부에 서포터를 설치하는 단계(S1600)와;
    이후 빔과 프롭 헤드, 슬라브패널고정 소피트 렝스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1700)와;
    슬라브패널에 시멘트를 부어 타설한 후 양생하는 단계(S1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
  6. 제5항에 있어서,
    해체단계(S2000)는
    시멘트의 타설이 끝나면 벽체패널을 해체하는 단계(S2100)와;
    소피트 렝스 본체에서 슬라브패널고정 소피트 렝스과, 빔고정 소피트 렝스를 해체하는 단계(S2200)와;
    드롭 헤드에 엔드빔과 미들빔 및 슬라브패널을 고정하고 있는 핀들을 해체하는 단계(S2300)와;
    핀을 해체하면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 전체가 일부낙하되, 서포터에 구비된 거치봉에 빔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안착되는 하는 단계(S2400)와;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의 자중에 의해 저속장치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는 단계(S2500)와;
    하강된 엔드빔 및 미들빔과 엔드빔 및 미들빔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브패널을 외부로 반출시키는 단계(S2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
KR1020160116427A 2016-09-09 2016-09-09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KR10187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27A KR101871280B1 (ko) 2016-09-09 2016-09-09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27A KR101871280B1 (ko) 2016-09-09 2016-09-09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44A true KR20180029144A (ko) 2018-03-20
KR101871280B1 KR101871280B1 (ko) 2018-08-03

Family

ID=6191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427A KR101871280B1 (ko) 2016-09-09 2016-09-09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8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78A1 (ko) * 2018-03-28 2019-10-03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731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068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WO2021111008A1 (en) * 2019-12-07 2021-06-10 Peri Gmbh Filler beam assembly
KR20220042753A (ko) * 2020-09-28 2022-04-05 박재수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KR102436515B1 (ko) * 2022-01-19 2022-08-2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건축물의 저소음 슬래브시공을 위한 슬래브형틀
CN115370126A (zh) * 2021-05-17 2022-11-22 郑州固德模板新材料科技有限公司 钢模板安装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967A (ko) 2003-09-24 2005-03-29 고려개발 주식회사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KR200436856Y1 (ko) * 2006-11-02 2007-10-11 (주)거혁건설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14395B1 (ko) *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628024B1 (ko) * 2015-06-25 2016-06-08 (주)진명에프앤씨 슬라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967A (ko) 2003-09-24 2005-03-29 고려개발 주식회사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KR200436856Y1 (ko) * 2006-11-02 2007-10-11 (주)거혁건설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14395B1 (ko) *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628024B1 (ko) * 2015-06-25 2016-06-08 (주)진명에프앤씨 슬라브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78A1 (ko) * 2018-03-28 2019-10-03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731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068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CN112041519A (zh) * 2018-03-28 2020-12-04 白熙晶 建造建筑的楼板的设备和方法
CN112041519B (zh) * 2018-03-28 2022-11-11 白熙晶 建造建筑的楼板的设备和方法
WO2021111008A1 (en) * 2019-12-07 2021-06-10 Peri Gmbh Filler beam assembly
CN114829718A (zh) * 2019-12-07 2022-07-29 Peri欧洲公司 填充梁组件
US11773607B2 (en) 2019-12-07 2023-10-03 Peri Se Filler beam assembly
KR20220042753A (ko) * 2020-09-28 2022-04-05 박재수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CN115370126A (zh) * 2021-05-17 2022-11-22 郑州固德模板新材料科技有限公司 钢模板安装系统
KR102436515B1 (ko) * 2022-01-19 2022-08-2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건축물의 저소음 슬래브시공을 위한 슬래브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80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80B1 (ko)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KR102150274B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EP2267243B1 (en) Concrete slab form system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2041392B1 (ko)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20170003881A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US20140352241A1 (en) Dynamic Concrete Form
KR200900881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184782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101832183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KR20180107394A (ko) 슬라브패널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101861327B1 (ko) 존치형 서포트를 축으로 한 슬라브패널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KR101966138B1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KR101555938B1 (ko) 고정클립이 구비된 슬라브 판넬의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107396A (ko) 빔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101673907B1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832180B1 (ko) 원 스탭 드롭방식을 이용한 슬라브패널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200349993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07404A (ko) 2중 프롭헤드가 구비된 서포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180076402A (ko) 슬라브 거푸집 체결용 고정핀 타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