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130A -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130A
KR20180029130A KR1020160116267A KR20160116267A KR20180029130A KR 20180029130 A KR20180029130 A KR 20180029130A KR 1020160116267 A KR1020160116267 A KR 1020160116267A KR 20160116267 A KR20160116267 A KR 20160116267A KR 20180029130 A KR20180029130 A KR 2018002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rotective
yarn
casua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111B1 (ko
Inventor
김지미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시마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마, 이재우 filed Critical (주)시마
Priority to KR102016011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1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005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made from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elements
    • D03D15/0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2Motorcycl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라미드 소재를 사용한 보호용 원단을 이용하여 안전보호복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 상기 보호용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afety Clothing}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라미드 소재를 사용한 보호용 원단을 이용하여 안전보호복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터바이크 운전자들은 일반적으로 모터바이크 주행 시 모터바이크 주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사고발생시 부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모터사이클용 의류를 착용한다. 이러한 모터바이크용 의류는, 대부분 단일 재질(예를 들면 가죽, 고강도 수지류 및 직포와 피혁 등의 재료) 또는 아라미드 계통의 필라멘트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또는 면을 복합한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신체 보호용 보호대를 다수 개 설치하여 편안하고 안전한 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049호(2015.01.06 공개)는 바이크용 바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힙을 포함한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허리부와, 허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바지에 있어서, 다리부의 무릎부위에는 바지를 착용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패드가 삽입 가능하게 패드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바이크를 운행하는 사용자의 무릎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패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무릎 유동이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패드삽입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호패드의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9800호(2007.05.14 등록)는 개선된 쾌적함을 가진 모터사이클리스트용 의복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바지의 다리부분 또는 몸통부의 소매 내의 다수의 탄성 삽입물과 일체로 되는 옷, 다리 부분이 제공되는 한 벌의 바지 및 소매가 제공되는 몸통부로 구성되는 모터사이클리스트를 위한 의복에 있어서, 장딴지 및 대퇴부의 축과 팔및 팔뚝의 축에 의해 형성되는 각이, 의복이 정지 상태일 때, 모터사이클의 일반 탑승 자세를 이루며, 링 형상으로 무릎의 한 측부 및/또는 팔꿈치의 한 측부 상에서 삽입물이 연속적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터사이클용 안전 보호복은 아라미드 계통에 필라멘트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또는 면을 복합한 소재로 형성되어, 신축성이 거의 없으며, 착ㅇ탈의성이 매우 불편하여 사용자가 평소에 착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터사이클용 안전 보호복은 착ㅇ탈의성의 불편함으로 인해 대부분의 모터사이클 또는 스마트모빌리티 탑승자가 일반 평상복을 착용하고 모터사이클 또는 스마트모빌리티를 탑승함으로써, 안전사고 시에 미끌림으로 인한 열화상과 찰과상 등과 같은 피해로 인해 피부가 손상되거나, 찢어지는 사고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04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1980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라미드 소재를 사용한 보호용 원단을 이용하여 안전보호복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 상기 보호용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상기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70 내지 90중량%의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10 내지 30중량%의 파라아라미드 원사를 혼합방적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파라아라미드 원단과 메타아라미드 원단을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메타아라미드 원사를 혼합방적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용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 상기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 캐주얼 원사를 이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는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 상기 캐주얼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과 상기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캐주얼 원단을 함께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캐주얼 원사를 이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는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 상기 캐주얼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 상기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캐주얼 원단을 봉제하는 캐주얼 원단 봉제단계;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 상기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 캐주얼 원단 봉제단계에서 봉제된 캐주얼 원단에 상기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덧대어 함께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라미드 소재를 사용한 보호용 원단을 이용하여 안전보호복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신축성과 편안함을 높인 데님 형태의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기존의 안전보호복의 착탈이 불편하거나 안전보호복의 외관상 미려하지 않아 안전보호복을 착용하지 않고 일상복을 착용하던 사용자들도 쉽게 안전보호복의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라미드 소재(파라아라미드와 메타아라미드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인장성과 인열성을 이용하여 안전사고 시에 미끌림으로 인한 열화상과 찰과상 등과 같은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라미드 소재에 스판소재를 결합하여 신축성을 높여 착용자의 활동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보호용 원사를 사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보호용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 다음에 봉제하여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데, 크게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 봉제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한다(S110).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보호용 원단의 한 면에 기모본딩을 접착하여, 착용자의 안전과 착용감을 높여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70 내지 90중량%의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10 내지 30중량%의 파라아라미드 원사를 혼합방적(즉, 성질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섬유를 혼합하고 방적하여 실을 제조하는 것)하여 제1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보호용 원사는, 80중량%의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20중량%의 파라아라미드 원사를 혼합방적하여 10수의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제2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90 내지 96중량%의 메타아라미드 원사 2합과 4 내지 10중량%의 스판덱스 원사(70D) 1합을 사용하여 20수/3합의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제3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90 내지 96중량%의 파라아라미드 원사 2합과 4 내지 10중량%의 스판덱스 원사(70D) 1합을 사용하여 20수/3합의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제4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보호용 원사는, 70 내지 86중량%의 메타아라미드 원사 1합과 10 내지 20중량%의 파라아라미드 원사 1합과 4 내지 10중량%의 스판덱스 원사(70D) 1합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100중량%의 파라아라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제5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5 보호용 원사는, 바람직하게는, 10수의 파라아라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직경을 51mm로 형성하고, 굵기를 1.5D(즉, 1.5 데니어)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100중량%의 메타아라미드 원사로 제6 보호용 원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6 보호용 원사는, 바람직하게는, 10수의 메타아라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직경을 51mm로 형성하고, 굵기를 1.5D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판덱스 원사는, 85% 이상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합성 중합체로서, 탄성이 우수하여, 다른 섬유와 5 중량% 내외로 혼방하더라도 탄성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쉽게 찢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타아라미드 원사는, 20~26 g/d(1 데닐 당의 강도를 그램으로 표시한 단위)수준의 높은 인장 강도와 460~1,100 g/d수준의 인장탄성률을 가지면서도 다른 초고강력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인해 초고강도 섬유시장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슈퍼섬유이다.
일 실시 예에서, 파라아라미드 원사는, 강도와 탄성률은 폴리에스터와 비교될 정도로 낮은 수준이지만 우수한 내열성, 난연성 및 전기절연성 등을 가지며 고온 여과재료, 절연지 및 방호복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방적용 기계를 사용하여, 보호용 원사를 방적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파라아라미드 원단과 메타아라미드 원단을 사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제5 보호용 원사를 직조하여 제5 보호용 원단(즉, 파라아라미드 원단)을 생성하고, 제6 보호용 원사를 직조하여 제6 보호용 원단(즉, 메타아라미드 원단)을 생성하여, 해당 생성된 제5 보호용 원단과 제6 보호용 원단을 사용하여 2레이어 원단(즉, 이중직 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제5 보호용 원단과 제6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를 하여 3레이어 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제2 보호용 원사를 직조하여 제2 보호용 원단(즉,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한 원단)을 생성하고, 제5 보호용 원사를 직조하여 제5 보호용 원단(즉, 파라아라미드 원단)을 생성하여, 해당 생성된 제2 보호용 원단과 제5 보호용 원단을 사용하여 2레이어 원단(즉, 이중직 원단)의 보호용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제2 보호용 원단과 제5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를 하여 3레이어 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제6 보호용 원사를 직조하여 제6 보호용 원단(즉, 메타아라미드 원단)을 생성하고, 제3 보호용 원사를 직조하여 제3 보호용 원단(즉,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한 원단)을 생성하여, 해당 생성된 제3 보호용 원단과 제6 보호용 원단을 사용하여 2레이어 원단(즉, 이중직 원단)의 보호용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제3 보호용 원단과 제6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를 하여 3레이어 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제1 보호용 원사를 직조하여 1레이어 원단(즉, 단직 원단)의 제1 보호용 원단(즉,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파라아라미드 원사를 직조한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제1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를 하여 2레이어 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제1 보호용 원단과 스판덱스 원단에 기모본딩처리를 하여 3레이어 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제4 보호용 원사를 사용하여 1레이어 원단(즉, 단직 원단)의 제4 보호용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제1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를 하여 2레이어 원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경사(즉, 세로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실)를 메타아라미드 원사로 형성하고, 위사(즉, 가로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위치된 실)를 파라아라미드 원사로 형성하고 직조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메타아라미드 원사를 염색가공한 다음에 염색된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메타아라미드 원사를 직조용 기계를 이용하여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직조용 기계는, 직조기, 수직기, 역직기, 환편기(Circular Knitted Machine) 또는 경편기(Warp Knitted Machine)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메타아라미드 원사를 염색한 다음에 염색된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메타아라미드 원사를 직조하여 원단을 형성한 다음에 파란 계열의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가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염색한 보호용 원단을 코팅가공을 통해 코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은, 300~400g/m2의 중량을 가지며, 단직 또는 이중직으로 형성되고, S/S(즉, 봄/여름용) 원단과 F/W(즉, 가을/겨울용) 원단으로 각각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보호용 원단을 염색함으로써, 청바지와 동일한 외관을 가지도록 하여 심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일광견뢰도(염색물이이 자연광 또는 인공광에 노출되어도 변색되지 않는 성질) 3급, 마찰견뢰도(염색물이 건조시 또는 습윤시에 다른 섬유품과 마찰하여도 그것을 오염시키지 않는 성질) 3.5급, 인장강도 85kg 급의 보호용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아라미드(즉, 파라아라미드와 메타아라미드)소재와 스판덱스 소재를 결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함으로써, 보호용 원단의 신축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이에 착용자가 착용할 시에 착용자가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는, 아라미드(즉, 파라아라미드와 메타아라미드)소재가 보유하고 있는 성능을 활용한 고강력 및 고내열의 기능성 보유하는 원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 이후에, 보호용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다(S120).
상술한 단계 S12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는, 보호용 원단을 안전 보호복 디자인(바람직하게는, 모터사이클용 바지 디자인 또는 청바지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는, 인체공학적 패턴설계에 따라 안전 보호복을 디자인하여 착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0에 있어서,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는, 가위, 원단재단기, 손재단기와 같은 재단장치를 사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재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0 이후에,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한다(S130).
상술한 단계 S130에 있어서, 봉제단계(S130)는, 미싱기, 원단재봉기, 봉제기와 같은 봉제장치를 사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봉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진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파라아라미드와 메타아라미드 소재를 사용한 보호용 원단을 이용하여 안전보호복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신축성과 편안함을 높인 데님 형태의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기존의 안전보호복의 착탈이 불편하거나 안전보호복의 외관상 미려하지 않아 안전보호복을 착용하지 않고 일상복을 착용하던 사용자들도 쉽게 안전보호복의 착용할 수 있도록 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진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파라아라미드와 메타아라미드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인장성과 인열성을 이용하여 안전사고 시에 미끌림으로 인한 열화상과 찰과상 등과 같은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라미드 소재에 스판소재를 결합하여 신축성을 높여 착용자의 활동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보호용 원사를 사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고, 캐주얼 원사를 사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캐주얼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 다음에 재단된 보호용 원단과 캐주얼 원단을 함께 봉제하여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데, 크게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S140),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50), 봉제단계(S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 봉제단계(S130)는 상술한 내용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한다(S110).
상술한 단계 S110 이후에,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다(S120).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는, 모터사이클 또는 스마트모빌리티 탑승자가 쉽게 다칠 수 있는 부위(예를 들면, 무릎, 종아리, 허벅지, 엉덩이 부위)를 디자인하여 보호용 원단을 재단할 수 있다. 즉,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는, 모터사이클 또는 스마트모빌리티 탑승자가 쉽게 다칠 수 있는 부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는, 무릎, 종아리, 허벅지, 엉덩이 부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해당 선택된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보호용 원단을 재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0 및 S120와는 별도로 캐주얼 원사를 이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는 캐주얼 원단 생성한다(S140).
상술한 단계 S140에 있어서,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S140)는, 면사를 데님 직조방식으로 직조하여 캐주얼 원단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40에 있어서,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S140)는, 파란 계열의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공정을 통해 캐주얼 원단을 염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40에 있어서,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S140)는, 염색한 캐주얼 원단을 코팅가공을 통해 코팅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40 이후에, 캐주얼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다(S150).
상술한 단계 S150에 있어서,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50)는, 안전 보호복 디자인(바람직하게는, 청바지 디자인)에서 보호용 원단이 봉제될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재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50에 있어서,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50)는, 예를 들어, 무릎부위를 재단한 보호용 원단일 경우에, 무릎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캐주얼 원단을 재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50 이후에,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과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40)에서 재단된 캐주얼 원단을 함께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한다(S13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진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보호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만 보호용 원단을 사용하여, 안전보호복의 제조가격을 낮춰줄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에게 저렴하지만 우수한 성능의 안전보호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캐주얼 원사를 사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캐주얼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 다음에 재단된 캐주얼 원단을 봉제하고, 이와 별도로 보호용 원사를 사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여, 봉제된 캐주얼 원단에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덧대어 함께 봉제하여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데, 크게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S140),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50), 캐주얼 원단 봉제단계(S160)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 봉제단계(S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S110),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 봉제단계(S130),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S140),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50)는 상술한 내용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캐주얼 원사를 이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는 캐주얼 원단 생성한다(S140).
상술한 단계 S140 이후에, 캐주얼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다(S150).
상술한 단계 S150에 있어서,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50)는, 캐주얼 원단을 안전 보호복 디자인(바람직하게는, 청바지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50 이후에,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S150)에서 재단된 캐주얼 원단을 봉제한다(S160).
상술한 단계 S160에 있어서, 캐주얼 원단 봉제단계(S160)는, 캐주얼 원단을 봉제하여, 캐주얼형 안전보호복의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40 내지 S160와는 별도로,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한다(S110).
상술한 단계 S110 이후에,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한다(S120).
상술한 단계 S120 이후에, 캐주얼 원단 봉제단계(S160)에서 봉제된 캐주얼 원단에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S120)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덧대어 함께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한다(S13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진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은, 보호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만 보호용 원단을 사용하여, 안전보호복의 제조가격을 낮춰줄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에게 저렴하지만 우수한 성능의 안전보호복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
    상기 보호용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상기 보호용 원단에 기모본딩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70 내지 90중량%의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10 내지 30중량%의 파라아라미드 원사를 혼합방적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메타아라미드 원사와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파라아라미드 원단과 메타아라미드 원단을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는,
    파라아라미드 원사와 메타아라미드 원사를 혼합방적하여 상기 보호용 원사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용 원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9.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
    상기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
    캐주얼 원사를 이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는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
    상기 캐주얼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과 상기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캐주얼 원단을 함께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10. 캐주얼 원사를 이용하여 캐주얼 원단을 생성하는 캐주얼 원단 생성단계;
    상기 캐주얼 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
    상기 캐주얼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캐주얼 원단을 봉제하는 캐주얼 원단 봉제단계;
    보호용 원사를 이용하여 보호용 원단을 생성하는 보호용 원단 생성단계;
    상기 보호용 원단을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디자인에 따라 본을 떠서 각 부위별로 재단하는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 캐주얼 원단 봉제단계에서 봉제된 캐주얼 원단에 상기 보호용 원단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보호용 원단을 덧대어 함께 봉제하여 안전보호복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캐주얼형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KR1020160116267A 2016-09-09 2016-09-09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KR10191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67A KR101917111B1 (ko) 2016-09-09 2016-09-09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67A KR101917111B1 (ko) 2016-09-09 2016-09-09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30A true KR20180029130A (ko) 2018-03-20
KR101917111B1 KR101917111B1 (ko) 2018-11-14

Family

ID=6191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267A KR101917111B1 (ko) 2016-09-09 2016-09-09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436B1 (ko) 2020-11-30 2023-01-26 주식회사 무진 안전 보호복용 실링 필름, 상기 안전 보호복용 실링 필름의 제조를 위한 안전 보호복용 실링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안전 보호복용 실링 필름의 제조를 위한 안전 보호복용 실링 필름 제조 장치
KR102618478B1 (ko) 2021-11-19 2023-12-29 주식회사 무진 안전 보호복용 자가 치유 실링 필름, 상기 안전 보호복용 자가 치유 실링 필름의 제조를 위한 안전 보호복용 자가 치유 실링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안전 보호복용 자가 치유 실링 필름의 제조를 위한 안전 보호복용 자가 치유 실링 필름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808B2 (ja) * 2001-12-21 2009-04-08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防護衣料
JP2008184705A (ja) * 2007-01-29 2008-08-14 Japan Wool Textile Co Ltd 耐熱難燃作業服
KR100930511B1 (ko) * 2009-06-15 2009-12-09 주식회사 산청 화기차단용 특수복의 안감 및 이에 의한 특수복
KR101015153B1 (ko) * 2009-08-21 2011-02-16 홍영표 데님 소재의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용 의복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599B1 (ko) * 2014-11-26 2016-01-14 남재순 멋스러움과 기능성을 살린 모터사이클용 모토 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111B1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3381B (zh) 具有预配置压缩区段和一体式结构图案的训练紧身衣
CN107787192B (zh) 具有预配置压缩区段和一体式结构图案的跑步紧身衣
US5918319A (en) Protective garment incorporating an abrasion-resistant fabric
EP2815013B1 (en) Architecturally enforced denim
US10480109B2 (en) Method of forming a unitary knit article using flat-knit construction
US9003563B2 (en) Protective clothing
KR101917111B1 (ko) 안전보호복 제조방법
TWI745701B (zh) 泳衣
US20160059050A1 (en) Light-weight, flame-resistant coveralls with knitted, stretchable portion for upper torso
CN108236132A (zh) 内衣件
KR20230039189A (ko) 모터싸이클용 보호복 제조 방법
US6804833B2 (en) Disposable garment of the “single use” type
JP4354005B1 (ja) チェーンソー作業用防護下衣
JP2005146484A (ja) 防護ニット
CN205390378U (zh) 儿童牛仔马甲
AU2014100120A4 (en) Protective Clothing
JP3238422U (ja) 防護用繊維製品
CN210226930U (zh) 一种防辐射西服
CN211153859U (zh) 一种新型打底裤
US20240081434A1 (en) Wearables made of recycled material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8016922A (ja) ストッキ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584694A (zh) 亲肤滑爽真丝面料及服装
CN112135539A (zh) 用于摩托车手防护服装的纺织品物品
JP2013185265A (ja) タイ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