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985A -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 Google Patents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985A
KR20180028985A KR1020170116200A KR20170116200A KR20180028985A KR 20180028985 A KR20180028985 A KR 20180028985A KR 1020170116200 A KR1020170116200 A KR 1020170116200A KR 20170116200 A KR20170116200 A KR 20170116200A KR 20180028985 A KR20180028985 A KR 20180028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convex portions
composi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648B1 (ko
Inventor
전기원
서석진
최형석
최한울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ublication of KR2018002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1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과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이 결합 형성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가 일체화되어 몰드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여 외장재로 이용 가능한 전자기기 커버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Composite pattern sheet, composite pattern mold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패턴들이 결합 형성되는 복합 패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반사 기능을 가지는 복수개의 패턴들이 결합 형성되는 복합 패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패턴 시트가 몰드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커버로 부착되는 전자기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 등의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외장재는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그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높이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외장재에 형성되는 패턴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에칭(etching), 전주 공법 등의 기법들을 통하여 점과 선이 조합된 2D 표현에 국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881호 (공개일 : 2011.03.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과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이 결합 형성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가 일체화되어 몰드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여 외장재로 이용 가능한 전자기기 커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가 반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 위에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2 패턴층 위에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턴층과 상기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필름으로서, 베이스 필름 역할을 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외장재에 광학적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3D 디자인이 훨씬 용이해지며, 복합적으로 적용한 패턴을 이용하여 심도와 입체감을 구현함으로써 심미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광학적 연출도 가능해진다.
둘째, 두가지 이상의 광학 패턴 반사 효과를 하나로 중첩시켜 새로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셋째, 외장재를 통해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프리미엄 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에 대하여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러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6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7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8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9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0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1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12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13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참고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의 외장재에 사용되는 패턴의 경우,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에칭(etching), 전주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점과 선이 조합된 2D 표현에 국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같은 광학 설계된 패턴을 적용하여 3D 디자인 표현을 통해 외장재에 휘도감 및 심도를 부여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광학 설계된 단일 레이어(layer) 패턴만의 효과가 아닌 복합 패턴을 통하여 2가지 광학 효과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외장 필름의 표면에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여 외장용 3D 광반사 효과를 가지는 복합(다중) 패턴 설계 방안 및 구비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존 외장용으로 사용되는 패턴은 2D 이미지의 디자인 묘사가 한계였으나, 최근 들어 광학적 특성을 가진 패턴(ex.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의 삽입으로 제품 표면에 휘도감과 심도 표현이 가능한 필름 구조를 적용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패턴 조합을 통하여 특정 각도(angle)에서 입체성 부여 및 심도 표현이 가능한 복합(다중) 패턴 설계 방안 및 그 구비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는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패턴들을 중첩시켜 각각의 광학적 특성들을 동시에 발현시키는 시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는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진 패턴(ex.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진 패턴(ex.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을 하나의 베이스 기재(base substrate) 위에 다중으로 형성시켜 최종적으로 한 개의 복합 패턴이 되는 시트이다.
복합 패턴 시트는 조합의 구성에 따라 복합적인 광학적 특성(각도의 변화에 따른 색상의 변화, 3D 입체감 부여 등), 인쇄성, 후가공성, 외관, 시인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복합 패턴 시트(100)는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복합 패턴 시트(100)는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전자기기의 일측에 커버로 부착되어 3D 광반사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따르면, 복합 패턴 시트(100)는 렌티큘러 패턴(110) 및 프리즘 패턴(120)을 포함한다.
렌티큘러 패턴(110)은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으로서,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1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이라면 렌티큘러 패턴(110) 외 다른 패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렌티큘러 패턴(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의 좌우 출사광이 전면 확산 형태로 출사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휘도감이 전면에서 균일한 광을 출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러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 렌티큘러 패턴(110)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출광 분포 특성을 토대로 하여 그 패턴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다.
렌티큘러 패턴(110)에 포함되는 각각의 오목부(111)는 10㎛ ~ 200㎛의 곡률 반경 및 4㎛ ~ 40㎛의 깊이를 기초로 기재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조합을 고려할 때, 오목부(111)의 깊이는 6㎛ ~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티큘러 패턴(110)에 포함되는 오목부(111)들 사이의 간격은 20㎛ ~ 100㎛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렌티큘러 패턴(110)에는 음각 패턴의 오목부(111)들 대신에 양각 패턴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돌기들은 10㎛ ~ 200㎛의 곡률 반경 및 4㎛ ~ 40㎛의 높이를 기초로 기재 위에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 패턴(120)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으로서,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의 볼록부(1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이라면 프리즘 패턴(120) 외 다른 패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즘 패턴(120)에 구비되는 볼록부(121)들은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볼록부(121)들은 원뿔 형상이나 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즘 패턴(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되는 빛의 각도와 볼록부(121)의 꼭지각(angle)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굴절을 조절하기 때문에, 상의 맺힘(거울 반사)에 따라 다양한 깊이감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 프리즘 패턴(120)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사이각 조절에 따라 그 패턴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다.
프리즘 패턴(120)에 포함되는 각각의 볼록부(121)는 30ㅀ ~ 160ㅀ의 꼭지각을 기초로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거울 반사 특성의 최적화를 고려할 때, 볼록부(121)의 꼭지각은 80ㅀ ~ 140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121)는 꼭지각의 조건에 따라 10㎛ ~ 100㎛의 피치(pitch) 및 4㎛ ~ 20㎛의 높이를 가지도록 기재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볼록부(121)의 단면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볼록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부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프리즘 패턴(120)은 볼록부(121)들을 입체감을 주는 방향의 효과에 따라 등변이 아닌 부등변 형태의 프리즘 형상의 것들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121)의 꼭지각 부분을 뾰족하게 형성하지 않고, 둥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볼록부(121)의 꼭지각의 형태는 뿔 모양 뿐만 아니라 라운드(round)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볼록부(121)의 꼭지각이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경우, 제품의 취급성을 고려하여 볼록부(121)는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1R ~ 20R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R은 원의 반지름을 의미하며, 단위는 ㎛이다.
복수개의 볼록부(121)들이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형성되는 경우, 이 볼록부(121)들은 일직선 상에서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는 볼록부(121)들은 그 정점(peak)들이 연합하여 물결 모양(wave form)을 형성하도록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볼록부(121)들이 일직선 상에서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결합으로 인해 복합 패턴 시트(100)에서 소정 비율의 도트(dot)를 표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도트 표출 성능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높이차를 가지며 일렬로 형성되는 볼록부(121)들을 포함하는 그룹과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며 일렬로 형성되는 볼록부(121)들을 포함하는 그룹이 공존하면서 발생되는 것인데, 복합 패턴 시트(1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렌티큘러 패턴(110)에 구비되는 오목부(111)들과 프리즘 패턴(120)에 구비되는 볼록부(121)들의 교차 배열에 기인하여 소정 비율의 도트를 표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합 패턴 시트(100)의 전면에서 도트가 표출될 경우, 오히려 심미감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참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그룹(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높이차를 가지는 볼록부(121)들로 구성된 그룹)(210)과 제2 소그룹(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는 볼록부(121)들로 구성된 그룹)(220)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패턴 시트(100)의 일부분에서 도트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n개의 제1 소그룹(210)과 1개의 제2 소그룹(220)을 1개의 대그룹으로 하여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반복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트 형상의 구비 조건을 고려하여 1개의 대그룹에 구비되는 제1 소그룹(210)의 개수(n)를 1 ~ 10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트의 인위적 제작 가능성, 선명성 등을 고려할 때, 제1 소그룹(210)과 제2 소그룹(220)의 비율을 10: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대그룹을 형성하는 제2 소그룹(220)의 개수가 1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소그룹(220)의 개수는 제1 소그룹(210)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다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도트 형상의 구비 조건으로 충분하다.
또한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은 높이차가 없는 제1 소그룹(210)과 높이차가 있는 제2 소그룹(220)을 적절한 비율로 조합시켜 직선 구간과 높이차 구간에 따라 반복된 개수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소그룹(210)만으로 구성되는 프리즘 패턴(120)을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틸트시켜 도트를 표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도트(330)는 상하에 위치하는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배열들이 교차하는 구간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310은 렌티큘러 패턴(110)을 형성하는 오목부(111)들의 배열 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부호 320은 프리즘 패턴(120)을 형성하는 볼록부(121)들의 배열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트는 사각 형상(특히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사각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지는 음각 패턴으로 표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도트는 사각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일측의 길이가 1㎛ ~ 10㎛인 크기(size)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곡률 반경이 3R ~ 20R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트의 표출을 고려할 때, 프리즘 패턴(120)에 포함되는 볼록부(121)의 꼭지각은 90ㅀ ~ 160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패턴 시트(100)의 일측에서 표출되는 복수개의 도트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반사 휘도를 구현함으로써 시각적인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7은 광원의 위치 변화에 따른 도트의 형상 변화를 보여준다.
각 도트의 크기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육안으로 판별될 수 있는 복수개의 도트들은 점 형태부터 선 형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시인될 수 있다. 일례로 광원이 어두운 부분에서는 복수개의 도트들이 점 형태(340)로 시인될 수 있으며, 광원이 밝은 부분에서는 복수개의 도트들이 선 형태(350)로 시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의 밝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는 복수개의 도트들은 그라데이션 느낌을 가지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품의 설계에 따라 도트가 미시인되도록 복합 패턴 시트(100)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합 패턴 시트(100)는 이상 설명한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복합 패턴 시트(100)를 형성하기 위한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tilt angle)은 0ㅀ ~ 360ㅀ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 각각의 배열에 따른 모아레 현상(moire)을 제거하고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은 30ㅀ ~ 60ㅀ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리즘 패턴(120)은 n개의 제1 소그룹(210)과 1개의 제2 소그룹(220)의 조합으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도 8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8은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을 40ㅀ로 선택했을 때 복합 패턴 시트(100)의 예시이다.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을 최적 각도(즉 30ㅀ ~ 60ㅀ)에서 선택하는 경우, 복합 패턴 시트(100)는 반사되는 빛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9는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이 +40ㅀ 또는 -40ㅀ일 때 스마트폰의 외장재로 쓰인 복합 패턴 시트(100)에서 빛의 흐름이 발생하는 현상(360)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복합 패턴 시트(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설계치에 따라 인위적인 빗살 무늬(460)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빗살 무늬(370)는 프리즘 패턴(120)에 구비되는 볼록부(121)들의 피치(pitch)에 따라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빗살 무늬(370)는 시선의 각도에 따라 시인 여부가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빗살 무늬(370)를 생성하려는 경우, 볼록부(121)는 5㎛ ~ 30㎛의 피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볼록부(121)의 피치가 30㎛를 초과할 경우, 빗살 무늬(370)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합 패턴 시트(100)는 렌티큘러 패턴(110)에 의한 확산 반사 효과와 프리즘 패턴(120)에 의한 거울 반사 효과를 동시에 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을 포함하는 복합 패턴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기재층 위에 액상 폴리머를 충진시키면, 이 액상 폴리머의 경화 수축율에 따라 기저층(410)의 형상 변화가 발생한다. 기저층(410)의 이러한 형상 변화는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 사이에 발생되며, 렌티큘러 패턴(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에 따라 0.5㎛ ~ 2㎛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값을 가지는 형태로 기저층(410)의 형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저층(410)에서 형상 변화가 발생한 부분을 오목부로 정의한다. 또한 렌티큘러 패턴(110)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기저층(410)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분하기 위해, 기저층(410)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제1 오목부로 정의하고, 렌티큘러 패턴(110)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제2 오목부로 정의한다.
기저층(410)의 형상 변화로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 사이에 제1 오목부가 생성되면, 기저층(410)의 제1 오목부들을 통하여 렌티큘러 패턴(110)와 같은 광에 대한 확산 반사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리즘 패턴(120)과 렌티큘러 패턴(110)을 결합시켜 프리즘 패턴(120)에 의한 거울 반사 효과(520)와 함께 렌티큘러 패턴(110)에 의한 확산 반사 효과(530)를 동시에 발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패턴(120)에 의한 거울 반사 효과(520)와 함께 기저층(410)의 제1 오목부에 의한 확산 반사 효과를 동시에 발현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렌티큘러 패턴(110) 없이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과 이 볼록부(121)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의 결합으로 복합 반사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고, 도 13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참고도이다.
렌티큘러 패턴(110)으로 인해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 사이에 생긴 기저층(510)의 파동 범위에 따라,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은 서로 다른 그룹들끼리 서로 다른 기울기 값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볼록부(121)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들은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진다. 이때 제1 오목부들은 3R ~ 40R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기저층(410)은 프리즘 패턴(120)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이 경우 기저층(410)은 거울 반사를 통한 입체감 증대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반면 제1 오목부의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커지는 경우, 기저층(410)은 렌티큘러 패턴(110)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이 경우 기저층(410)은 확산 반사를 통한 밝기 변화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밝기 변화와 입체감 표현의 동시 최적화를 고려할 때, 제1 오목부는 3R ~ 20R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21)들과 제1 오목부들이 함께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형성되는 경우, 제1 오목부들의 폭은 볼록부(121)들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121)들의 폭이 제1 오목부들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오목부들은 높낮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 제1 오목부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 아래에는 제2 패턴층이 위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복합 패턴 시트(100)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100)는 1차적으로 광학 설계된 패턴을 적용하여 반사되는 빛의 발현을 통해 휘도, 질감 및 심도에 따른 입체감을 표현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100)는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을 병합시켜 각각의 패턴이 가지는 반사 효과를 동시에 발현시킴으로써 새로운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합 패턴 몰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복합 패턴 몰드(500)는 복합 패턴 시트(100)를 몰드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복합 패턴 시트(100)가 상하 반전되어 형성된다. 즉 복합 패턴 몰드(5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가 상측에 위치하고 볼록부(121)가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복합 패턴 몰드(5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베이스 필름(610)의 일면 위에 제1 패턴층(620)을 형성한다(S710). 본 발명에서는 제1 패턴층(620)으로 렌티큘러 패턴(110)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폴리머를 적용하여 렌티큘러 패턴(1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필름(610)은 기재층(substrate layer)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필름(610)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제1 패턴층(620) 위에 제2 패턴층(630)을 형성한다(S720). 이때 서로 다른 두 패턴이 모두 표출되도록 제2 패턴층(6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두 패턴이라 함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효과를 발생시키는 볼록부(121)들과 관련된 제1 패턴 및 볼록부(121)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 오목부들과 관련된 제2 패턴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패턴층(630)으로 프리즘 패턴(120)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렌티큘러 패턴(110)과 마찬가지로 폴리머를 적용하여 프리즘 패턴(12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패턴층(620) 위에 제2 패턴층(630)을 형성시킬 때에, 제1 패턴층(620) 위에서 적정 각도로 제2 패턴층(630)을 틸팅(tilting)시킨 후에 UV 경화 기법을 통해 제1 패턴층(620) 위에 제2 패턴층(63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부피 최적율에 따라 UV 경화시 균일한 비율로 기저층의 형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후 제1 패턴층(620)과 제2 패턴층(630)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시트(100)로 일체화시킨다(S730). 본 발명에서는 UV 임프린팅(im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1 패턴층(620)과 제2 패턴층(630)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할 수 있다.
이후 복합 패턴 시트(100)를 상하 반전시켜 복합 패턴 몰드(500)를 제조한다.
한편 복합 패턴 시트(100)가 제조되면, 복합 반사 성능 및 은폐력을 확보하고 휘도감과 착색 효과를 얻기 위해 증착 공정과 인쇄 공정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복합 패턴 시트(100) 상에 증착층, 인쇄층 등을 차례대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인쇄 공정에서 스크린 인쇄 방식(screen printing)을 이용할 경우, 사양에 따라 인쇄 도수가 달라질 수 있다. 공판 인쇄의 특성상 최종적인 복합 패턴 시트(100)의 높이를 20㎛ 이하로 설계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패턴층(620)을 형성하지 않고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630)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층을 포함한 기재 상에 별도의 프라이머층(primer layer)을 형성하고, UV 임프린팅(imprinting)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그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복합 패턴층을 형성하며, 각각의 컬러(color)에 적합한 증착층, 인쇄층 등을 포함하여 전자기기 커버용 외장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커버 필름(80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패턴층(840)에 의해 3D 광반사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 필름(800)은 필름층(810), 점착층(820), 기재층(830), 패턴층(840), 증착층(850) 및 인쇄층(860)을 포함한다.
필름층(810)은 커버 필름(800)을 제조할 때 최상위층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라이너(liner) 등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름층(810)은 라이너 성분을 포함하여 이형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름층(810)은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될 때 제거되며, 이에 따라 점착층(820)이 모바일 단말의 커버 유리에 접착된다.
점착층(820)은 필름층(81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점착층(820)이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기능이 있는 필름 형태의 것이라면 그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기재층(830)은 점착층(82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기재층(830)이 PET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기재층(830)은 PC(Poly-Carbonate)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패턴층(840)은 기재층(83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복합 패턴 시트(100)와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즉 패턴층(840)은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턴층(840)은 UV(Ultra-Violet ray) 경화 기법을 통해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을 결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필름(800)은 이러한 패턴층(840)을 포함함으로써 3D 광반사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증착층(850)은 패턴층(84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산화타이타늄(TiO2), 이산화규소(SiO2), 산화티타늄(Ti3O5), 인듐(Indium) 등 반사용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증착층(850)은 복합 패턴 시트(100)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메탈라이징(metalizing) 기법 등 증착 공정을 통해 커버 필름(8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860)은 증착층(85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필름 형태의 것으로 특정의 인쇄 기법에 따라 커버 필름(8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860)은 차폐 또는 무통전(no conductive)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버 필름(800)은 필름층(810)과 점착층(820) 사이에 로고층(logo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고층은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심볼(symbol)을 인쇄함으로써 커버 필름(8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도 1의 복합 패턴 시트(10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한다.
제1 패턴은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패턴은 도 1의 프리즘 패턴(1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제2 패턴은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패턴에 구비되는 제1 오목부들은 도 12 및 도 13의 제1 오목부들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제1 패턴에 포함되는 볼록부들의 피치(pitch)는 제2 패턴에 포함되는 제1 오목부들의 피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이 그룹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은 도 5의 제1 소그룹(210)에 대응하는 개념이며, 제2 그룹은 도 5의 제2 소그룹(2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상기에서 제1 그룹의 개수는 제2 그룹의 개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그룹과 제2 그룹 간 비율은 1 ~ 10 : 1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2 그룹과 이 제2 그룹보다 더 많은 개수의 제1 그룹은 기재층 위에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그룹은 기재층 위에 웨이브(wa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은 90ㅀ ~ 160ㅀ의 꼭지각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들은 30ㅀ ~ 160ㅀ의 꼭지각, 10㎛ ~ 100㎛의 피치, 5㎛ ~ 30㎛의 피치 및 4㎛ ~ 20㎛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들은 그 단면이 이등변삼각형과 부등변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제1 패턴층과 제2 패턴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패턴층은 앞서 설명한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패턴층은 제1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며,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패턴층은 도 1의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제2 오목부들은 10㎛ ~ 200㎛의 곡률 반경과 4㎛ ~ 40㎛의 깊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오목부들은 20㎛ ~ 10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턴층은 제1 패턴층에 대하여 30ㅀ ~ 60ㅀ 틸트(tilt)될 수 있다.
한편 제1 오목부들은 높낮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 제1 오목부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 아래에 제2 패턴층이 위치할 수 있다.
볼록부들과 제2 오목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그룹과 제2 오목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그룹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은 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과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합 패턴 몰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복합 패턴 몰드는 도 14의 복합 패턴 몰드(50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의 상하가 반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 패턴은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제2 패턴은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 필름 위에 제2 패턴층을 형성시킨다(STEP A). 제2 패턴층은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후 제2 패턴층 위에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킨다(STEP B). 제1 패턴층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패턴층은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TEP B에서는 제2 패턴층에 대하여 제1 패턴층이 미리 정해진 각도 틸팅되도록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각도로 30ㅀ ~ 60ㅀ를 이용할 수 있다.
STEP B에서는 UV 경화 기법을 이용하여 제2 패턴층 위에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제1 패턴층과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한다(STEP C).
STEP C에서는 UV 임프린팅(im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1 패턴층과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할 수 있다.
STEP C에서는 복합 패턴을 상하 반전시킨 뒤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STEP B와 STEP C 사이에, 제1 패턴층 위에 액상 폴리머를 충진시켜 볼록부들 사이에 제1 오목부들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제1 오목부들은 제2 패턴층과 마찬가지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은 도 16의 커버 필름(80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전자기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필름으로서, 기재층 및 패턴층을 포함한다. 일례로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될 수 있다.
기재층은 베이스 필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6의 기재층(83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패턴층은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6의 패턴층(84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패턴층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한다.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증착층, 인쇄층, 점착층 및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착층은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증착층은 도 16의 증착층(85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증착층은 메탈라이징 기법(metalizing)이나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반사용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은 증착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차폐 또는 무통전(no conductive)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도 16의 인쇄층(86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점착층은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접착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점착층은 도 16의 점착층(8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점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층은 점착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6의 필름층(8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필름층은 라이너(liner) 성분을 기초로 이형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로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고층은 필름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심볼이 인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2)

  1.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들의 폭은 상기 볼록부들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들의 곡률 반경은 3R 내지 12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상기 그룹들은 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과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개수는 상기 제2 그룹의 개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2 그룹과 상기 제2 그룹보다 더 많은 개수의 상기 제1 그룹은 상기 기재층 위에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은 상기 기재층 위에 웨이브(wav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은 90ㅀ ~ 160ㅀ의 꼭지각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30ㅀ ~ 160ㅀ의 꼭지각, 10㎛ ~ 100㎛의 피치, 5㎛ ~ 30㎛의 피치 및 4㎛ ~ 20㎛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그 단면이 이등변삼각형과 부등변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둥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며,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은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패턴층은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들은 10㎛ ~ 200㎛의 곡률 반경, 4㎛ ~ 40㎛의 깊이 및 20㎛ ~ 100㎛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들은 높낮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오목부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 아래는 상기 제2 패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층은 상기 제1 패턴층에 대하여 30ㅀ ~ 60ㅀ 틸트(til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과 상기 제2 오목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상기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그룹과 상기 제2 오목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그룹은 상호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은 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과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20.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가 반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21. 베이스 필름 위에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2 패턴층 위에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턴층과 상기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더 포함하는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패턴층에 대하여 상기 제1 패턴층이 미리 정해진 각도 틸팅되도록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로 30ㅀ ~ 60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UV 경화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패턴층 위에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UV 임프린팅(im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패턴층과 상기 제2 패턴층을 상기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 패턴을 상하 반전시킨 뒤 상기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8. 전자기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필름으로서,
    베이스 필름 역할을 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전자기기의 커버로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차폐 또는 무통전(no conductive) 역할을 하는 인쇄층;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접착제 역할을 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위에 형성되는 필름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심볼이 인쇄되는 로고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라이너(liner) 성분을 기초로 이형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점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증착층은 메탈라이징 기법(metalizing)이나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반사용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KR1020170116200A 2016-09-09 2017-09-11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KR101926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65 2016-09-09
KR20160116765 2016-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985A true KR20180028985A (ko) 2018-03-19
KR101926648B1 KR101926648B1 (ko) 2018-12-07

Family

ID=6191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200A KR101926648B1 (ko) 2016-09-09 2017-09-11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6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4999A (zh) * 2018-11-13 2019-03-08 江阴通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3d曲面的光学膜及包含其的电子产品壳体和屏幕
CN109982532A (zh) * 2019-04-25 2019-07-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WO2022030825A1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090870A1 (en) * 2021-09-23 2023-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WO2023048360A1 (ko) * 2021-09-23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44409B2 (en) 2018-04-10 2023-12-19 Lg Chem, Ltd. Decora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205A (ja) * 2002-04-19 2004-01-08 Watanabe Shoko:Kk 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2009291966A (ja) * 2008-06-03 2009-12-17 Sanko Gosei Ltd 装飾用パネル
KR20110024881A (ko) * 2009-09-03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필름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터 몰드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미세 패턴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세 패턴 필름이 부착된 가전제품
JP2016117528A (ja) * 2014-12-22 2016-06-30 株式会社精工技研 加飾プラスチック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205A (ja) * 2006-08-11 2008-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シート、反射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205A (ja) * 2002-04-19 2004-01-08 Watanabe Shoko:Kk 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2009291966A (ja) * 2008-06-03 2009-12-17 Sanko Gosei Ltd 装飾用パネル
KR20110024881A (ko) * 2009-09-03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필름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터 몰드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미세 패턴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세 패턴 필름이 부착된 가전제품
JP2016117528A (ja) * 2014-12-22 2016-06-30 株式会社精工技研 加飾プラスチック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4409B2 (en) 2018-04-10 2023-12-19 Lg Chem, Ltd. Decora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9444999A (zh) * 2018-11-13 2019-03-08 江阴通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3d曲面的光学膜及包含其的电子产品壳体和屏幕
CN109982532A (zh) * 2019-04-25 2019-07-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WO2022030825A1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090870A1 (en) * 2021-09-23 2023-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WO2023048360A1 (ko) * 2021-09-23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648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648B1 (ko)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WO2019182098A1 (ja) 光学デバイス
EP2469309B1 (en) Method for producing a lens-like light directing structure
KR100938990B1 (ko) 전반사에 의한 입체표면 시트
JP5463755B2 (ja) 装飾体
JP2008165167A (ja) 光の透過速度差を利用した平面レンズシート
US10792947B2 (en) Optical structure
CN104718469A (zh) 光学可变表面图形
JP6201289B2 (ja)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KR20190118480A (ko)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JP2021522908A (ja) 装飾部材
JP5906653B2 (ja) 表示体および物品
KR101951693B1 (ko) 비대칭 구조의 광학 패턴이 적용된 디자인 데코 필름
WO2024021715A1 (zh) 装饰件、电子设备的外壳以及电子设备
CN107615110B (zh) 增添装饰树脂成形品
KR100971465B1 (ko) 인테그럴 포토그라피 기술을 응용한 입체표면 시트
JP4985245B2 (ja) 画像表示シート及び画像表示製品
CN109507763A (zh) 光学薄膜和电子设备盖板
JP5845567B2 (ja) マイクロレンズ装飾体
CN112505805A (zh) 成像薄膜及电子设备壳体
JP2019093716A (ja) 装飾体、装飾体照明設備、装飾体製造装置及び装飾体製造方法
KR20150081963A (ko) 광확산판
JP2019025860A (ja) 装飾体、装飾体製造装置及び装飾体製造方法
CN210401717U (zh) 成像薄膜及电子设备壳体
WO2024051355A1 (zh) 一种装饰基板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