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963A - 광확산판 - Google Patents

광확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963A
KR20150081963A KR1020140001998A KR20140001998A KR20150081963A KR 20150081963 A KR20150081963 A KR 20150081963A KR 1020140001998 A KR1020140001998 A KR 1020140001998A KR 20140001998 A KR20140001998 A KR 20140001998A KR 20150081963 A KR20150081963 A KR 2015008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shape
core laye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습
박대림
정종민
정순헌
조태휘
Original Assignee
바이엘머티리얼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머티리얼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엘머티리얼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963A/ko
Priority to PCT/EP2015/050074 priority patent/WO2015104247A1/en
Publication of KR2015008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96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은 확산제가 함유된 광 투과성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구성된 패턴층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0.5㎜∼4.0㎜, 상기 패턴의 피치는 0.5㎜∼3.0㎜, 높이는 0.1㎜∼2.0㎜로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층에 의해 종래기술에 따른 광확산판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광학특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패턴층을 구성하는 패턴의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비어있는 공간에 의해 원자재 사용량을 감소시켜서 광학장치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를 하고, 또한 재료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확산판{LIGHT DIFFUSION PLATE}
본 발명은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광확산판은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과 광고판의 조명장치, 그리고 조명등 등의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면 광원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광원과 주변장치 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데, 광 효율이 뛰어나고 친환경적인 발광다이오드(LED) 광원의 적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광확산판이 더 중요한 광학부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한 광확산판은 (특허문헌 1)에 의해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기재 내부에 투명 수지와 광 확산 입자, 즉 확산제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표면이 렌티큘러 렌즈, 프레넬 렌즈, 프리즘, 반구 등의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 형상으로 이루어진 광확산판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광학장치의 취급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위해 사용되는 관련 부속품들의 경량화에 많은 노력이 있는데, 광확산판의 경우에는 두께를 낮추거나 물성이 떨어지는 저가의 대체 재질을 사용하여 경량화 및 원가절감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요구 물성의 특성이 한계치까지 근접하여 광확산판에서의 추가적인 경량화는 어려움이 있다.
즉 상기 광확산판의 경우 확산제의 농도조절을 통한 광투과율 조절과 표면에 미세 패턴을 형성시켜 확산성을 향상시키고, 광확산판의 두께를 낮추는 쪽으로만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제는 한계에 부딪혀 추가적인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다.
KR 2011-0084287 A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고도 동일한 두께에서 광투광성, 광확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면서 경량화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관점은, 표면에 일정크기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에서 광을 굴절시켜 확산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패턴의 굴곡에 따라 비어있는 공간이 발생하여 재료의 사용량을 용이하게 줄여줄 수 있도록 한 광확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은 확산제가 함유된 광 투과성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구성된 패턴층;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0.5㎜∼4.0㎜, 상기 패턴의 피치는 0.5㎜∼3.0㎜, 높이는 0.1㎜∼2.0㎜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면광원 램프, 선광원 램프, 점광원 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표면 조도 값이 Ra: 10㎛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코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렌티큘러 모양 또는 프리즘 모양을 포함하는 1차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반구 모양, 피라미드 모양, 삼각뿔 모양 또는 벌집 모양을 포함하는 2차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에도 확산제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과 함께 형성되거나 상기 패턴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층;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 0.5㎜∼4.0㎜의 코어층의 표면에 피치가 0.5㎜∼3.0㎜, 높이가 0.1㎜∼2.0㎜로 형성된 패턴으로 구성되는 패턴층이 형성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광확산판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광학특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패턴층을 구성하는 패턴의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비어있는 공간에 의해 원자재 사용량을 감소시켜서 광학장치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를 하고, 또한 재료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성형기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1)은 코어층(10)의 표면에 패턴층(20)을 형성하되, 상기 패턴층(20)은 피치(Pitch)가 0.5㎜∼3.0㎜, 높이가 0.1㎜∼2.0㎜로 형성된 패턴(21)으로 구성됨으로써, 광학특성을 용이하게 확보토록 하고, 또한 이들 패턴(21)의 배치에 의해 생기는 비어있는 공간(22)에 의해서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가 가능하며, 상기 패턴(21)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광확산성의 특성까지 개선하게 된다.
상기 코어층(10)은 광 투과성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원료로 사용하여 형성하게 된다. 대표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시크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스틸렌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텔계 수지 등이 열가소성 수지에 포함된다.
상기 패턴층(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층(10)의 표면에 형성되어 광을 굴절하는 패턴(2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21)은 통상 1차원 형상으로 분류되는 렌티큘러(Lenticular) 모양, 프리즘(Prism) 모양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2차원 형상으로 분류되는 반구 모양 또는 피라미드 모양은 물론이고, 벌집 모양 또는 삼각뿔 모양 등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패턴층(20)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패턴층(20)이 표면에 형성된 코어층(10)을 포함하는 광확산판(1)은 광원(30)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다시 말해서 상기 광원(30)은 광확산판(1)의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게 되는데, 통상의 면광원 램프, 선광원 램프, 점광원 램프 중에서 어느 하나로 채택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광확산성을 부여하고 재료의 사용량을 줄여서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패턴(21)의 크기를 피치와 높이(또는 깊이)로 표현할 경우 상기 피치는 0.5㎜∼3.0㎜, 높이(깊이)는 0.1㎜∼2.0㎜ 정도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턴(21)의 형태가 광 균일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모양 및 크기에서 가장 큰 모양을 선정할수록 경량화 및 적은 재료의 사용으로 큰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패턴(21)의 경우에는 피치와 높이(깊이)로 패턴의 크기를 표현하기 어려우므로 표면 조도 값(Ra)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Ra: 10㎛이상일 경우 재료의 사용량 감소 및 경량화가 충분히 이루어진 크기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21)의 깊이는 패턴층(20)을 제외한 코어층(10)이 일정하게 유지가 되어야 기구적인 특성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을 경우는 깊이의 크기가 작아야하고 두꺼울수록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어층(10)의 두께는 0.5㎜∼4.0㎜, 바람직하게는 0.8㎜∼2.0㎜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턴층(20)은 코어층(10)의 일면에만 형성시키고 상기 코어층(10)의 타면은 유광(Gloss)의 형태를 적용하거나, 광확산성과 표면의 경도 향상을 위해 미세 엠보(Fine emboss) 형상을 적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층(20)을 코어층(10)의 양면에 모두 형성하여 양면에 모두 광학특성 및 경량화 기능을 부여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층(20)이 코어층(10)의 양면에 모두 형성될 경우에는 동일한 패턴(21)을 양면에 형성할 수 있고, 다른 모양의 패턴(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층(10)의 양면에 형성되는 패턴(21)은 모두 양각이거나 모두 음각일 수도 있고, 일면은 양각으로, 타면은 음각으로 배치하여 상호 보완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코어층(10)에는 광확산성을 위해 확산제(11)가 함유되고, 나아가 패턴층(20)에도 상기 확산제(11)가 함유될 수 있는데, 보통 열가소성 수지와 굴절률이 차이가 나는 것이 사용되며, 유기 계통과 무기 계통의 입자들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확산제(11)의 굴절률의 차이가 클수록, 크기가 작을수록 적은 양이 함유되고, 굴절률 차이가 작을수록, 크기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함유된다.
따라서 이러한 확산제(11)의 농도에 따라 적절한 광투광성과 광확산성의 조절이 가능하며, 다만 광확산판(1)이 적용되는 사양과 구조적 특성에 따라 표면의 패턴(21)에 의한 확산 효과로도 충분한 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확산판(1)은 광원(30)에 직접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광원(30)의 종류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보호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광확산판(1) 다음에 위치하는 광학필름과 액정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므로 자외선 차단층(미도시)이 패턴(21)과 함께 형성되거나 패턴층(20)의 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료로는 확산제가 함유되어 있고, 광 투과성이 있으면서 압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채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캐스팅(Casting) 방법, 사출 성형법 또는 압출 성형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상기 캐스팅 방법,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은 광확산판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캐스팅 방법에 의해 광확산판을 제작할 경우에는 캐스팅에 사용되는 캐스팅 틀의 면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시키고 전사를 시킴으로써,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출 성형법에 의해 광확산판을 제조할 경우에는 패턴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캐스팅 방법은 사용 가능한 원료의 한계가 있어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고, 사출 성형법은 작은 크기의 복잡한 모양을 제작에는 유리하지만 시트(Sheet)와 같은 모양을 제작하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확산판은 압출 성형법을 채택하여 제조하게 된다.
도 10에서 보듯이, 압출 성형법은 통상의 압출성형기(100)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이송, 압축, 용융시켜 끝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티-다이(T-Die)에서 시트 모양을 만들어 주는 압출 공정, 상기 티-다이를 통해 나온 용융된 수지를 표면의 온도가 유리전이온도 이하인 롤(Roll)로 가압하여 표면에 미세형상을 형성시키고 특정한 두께의 시트가 되도록 만들어 주는 칼렌더링 공정(calendering process) 및 시트를 균일하게 냉각시켜 평활도를 유지키는 냉각공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기 압출 공정에서 메인압출기(Main extruder) 외에 공압출기(Co-extruder)를 이용하여 다층시트로 제작이 가능하며, 자외선 차단제, 대전방지제, 확산제 등을 첨가시킨 원료 또는 다른 재질의 원료를 상기 공압출기 쪽으로 투입하여 여러 가지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광확산판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주요한 공정은 칼렌더링 공정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패턴 형태를 새겨져 있는 패턴 롤을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행태의 광확산판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칼렌더링 공정에는 주로 3개 또는 4개의 롤이 사용되는데, 각각의 롤에 유광, 엠보, 패턴 등을 롤을 사용하여 광확산판의 표면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모양이 표면에 새겨진 광확산판을 제작할 수 있다.
[비교 예]
두께 1.5㎜의 코어층의 표면에 피치 0.5∼3.0㎜, 깊이(또는 높이) 0.1∼1.4㎜의 패턴을 피라미드 모양으로 균일하게 형성하거나 반구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형성하여 패턴층을 구성한 후 이에 대해 광학적 특성 및 경량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상기 패턴의 크기가 경량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패턴 피치별, 패턴 높이별 중량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패턴의 크기가 커질수록 중량감소 효과가 계속해서 커지며, 패턴의 피치가 2.0㎜, 패턴의 높이가 1.0㎜ 일 때 중량이 가장 적어 패턴이 없는 일반 광확산판 대비 30% 이상 중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음각 패턴보다는 양각 패턴이 더 중량이 적은데, 패턴에서 돌기로 올라오는 부분보다 움푹 패인 부분이 양각 패턴에서 더 많기 때문이며, 패턴 모양의 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적인 특성, 외관적인 특성, 기구적인 특성에 따라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을 선택하여 적용하면 모든 요구 특성을 만족하는 광확산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실제 경량 정도와 광확산판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패턴 피치 2.0㎜, 패턴 높이 1.0㎜ 수준의 제품을 실제 제작하여 비교를 해보았으며, 하기의 [표 2]는 제작된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이고, [표 3]은 광특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제조에 사용된 원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원료로 사용이 되었으며, 확산제는 실리콘계가 적용이 되었다. 제조 공정은 도 10의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 과정에서 열가소성 수지가 가지고 있는 고유 특성인 점탄성과 냉각 과정에서의 수축 영향 등으로 패턴 전사성 차이로 인해 롤 금형의 패턴 치수와 약간의 차이는 발생하였지만 패턴 설계 치와 거의 유사한 치수로 제작되었다.
음각, 양각 패턴 모두 거의 30% 수준의 경량화 확인이 되었으며, 따라서 [표 1]의 이론치에 거의 근접한 것을 알 수 있고, 원재료 사용량 감소에 의한 원가 절감 및 경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실제 확인된 결과이다.
상기 패턴 크기별 경량화 비교에서 패턴의 크기가 클수록 중량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므로, 제작 가능한 수준에서 가장 큰 패턴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나, 광확산판의 중요 기능인 광학적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 광확산판과의 광학 특성을 [표 3]에서 비교해 보았다. 상기 일반 광확산판과 유사한 투과율로 제작을 하였으며, 패턴에 따른 광특성 차이를 세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낮은 투과율과 높은 투과율에 대해 함께 광특성을 비교해보았다. 컬러 값과 휘도 값이 거의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광원에서 나온 빛이 패턴에서의 굴절 효과에 의해 밝기가 더 개선되는 효과가 있어 휘도가 더 상승하는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패턴 크기별 경량화 비교
패턴 피치
[㎜]
패턴 높이(깊이)
[㎜]
코어층 두께
[㎜]
중량
[㎏]
경량화율 [%]
일반 0 0.0 1.5 1.8 -
음각(凹) 1.0 0.5 1.0 1.48 15%
1.2 0.6 0.9 1.41 18%
1.4 0.7 0.8 1.35 21%
1.6 0.8 0.7 1.28 25%
1.8 0.9 0.6 1.22 28%
2.0 1.0 0.5 1.15 31%
양각(凸) 1.0 0.5 1.0 1.52 18%
1.2 0.6 0.9 1.47 22%
1.4 0.7 0.8 1.41 25%
1.6 0.8 0.7 1.36 29%
1.8 0.9 0.6 1.30 32%
2.0 1.0 0.5 1.25 36%
실제 제작품 중량 비교
패턴 피치
[㎜]
패턴 높이(깊이)
[㎜]
코어층 두께
[㎜]
전체 두께
[㎜]
중량
[㎏]
경량화율
[%]
일반 0 0 1.5 1.55 0.074 -
음각(凹) 2.0 0.855 0.705 1.56 0.054 27.03
양각(凸) 2.0 1.038 0.682 1.72 0.051 31.08
광특성 비교
패턴 피치
[㎜]
패턴 깊이
[㎜]
투과율
[%]
Color x Color y 휘도
일반 0 0 60% 0.2797 0.2818 296.5
음각(凹)-1 2.0 0.855 58% 0.2808 0.2845 286.7
(-3.31%)
음각(凹)-2 2.0 0.855 60% 0.2816 0.2841 306.4
(+3.34%)
음각(凹)-3 2.0 0.855 62% 0.2839 0.2890 298.5
(+0.67%)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광확산판 10 - 코어층
11 - 확산제 20 - 패턴층
21 - 패턴 22 - 공간
30 - 광원 100 - 압출성형기

Claims (10)

  1. 확산제가 함유된 광 투과성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코어층(Core layer); 및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구성된 패턴층(Pattern layer);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0.5㎜∼4.0㎜, 상기 패턴의 피치는 0.5㎜∼3.0㎜, 높이는 0.1㎜∼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면광원 램프, 선광원 램프, 점광원 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표면 조도 값이 Ra: 10㎛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코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렌티큘러(Lenticular) 모양 또는 프리즘(Prism) 모양을 포함하는 1차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반구 모양, 피라미드 모양, 삼각뿔 모양 또는 벌집 모양을 포함하는 2차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에도 확산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과 함께 형성되거나, 상기 패턴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층;
    을 더 포함하는 광확산판.
KR1020140001998A 2014-01-07 2014-01-07 광확산판 Ceased KR20150081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98A KR20150081963A (ko) 2014-01-07 2014-01-07 광확산판
PCT/EP2015/050074 WO2015104247A1 (en) 2014-01-07 2015-01-06 Light diffusion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98A KR20150081963A (ko) 2014-01-07 2014-01-07 광확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963A true KR20150081963A (ko) 2015-07-15

Family

ID=5235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998A Ceased KR20150081963A (ko) 2014-01-07 2014-01-07 광확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81963A (ko)
WO (1) WO20151042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4592A (zh) * 2021-07-08 2021-10-15 江西盛汇光学科技协同创新有限公司 印刷显示用扩散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7885A1 (en) 2022-05-13 2023-11-16 Signify Holding B.V. An optical pl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9515A1 (ja) * 2005-10-26 2007-05-03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光透過性樹脂板
KR100886206B1 (ko) * 2008-09-01 2009-02-27 바이엘쉬트코리아 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광학 시트 제조방법
WO2010053204A1 (ja) 2008-11-06 2010-05-1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拡散板およびその用途
KR101184449B1 (ko) * 2009-12-28 2012-09-21 제일모직주식회사 패턴 도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EP2691798B1 (en) * 2011-03-30 2018-04-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brid light redirecting and light diffusing construc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4592A (zh) * 2021-07-08 2021-10-15 江西盛汇光学科技协同创新有限公司 印刷显示用扩散膜及其制备方法
CN113504592B (zh) * 2021-07-08 2023-04-18 江西盛汇光学科技协同创新有限公司 印刷显示用扩散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4247A1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9363B1 (en) Light redirecting element comprising a forward diffracting region and a scattering region
KR102362100B1 (ko) 반사 시트, 면 광원 장치용 반사 유닛 및 면 광원 장치
CN105388543B (zh) 在基板上形成凹凸结构的方法与模具制作的方法
TW201222031A (en) Light guide plat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JP2010211027A (ja) モアレ縞抑制フィルム、及びモアレ縞抑制機能付きプリズムシート
KR101534337B1 (ko)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614128B2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50084B1 (ko) 광학특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엠보 무연신 광학 필름
KR20150081963A (ko) 광확산판
KR20090097166A (ko) 다중벽 시트를 갖는 백라이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75057A (ja) 導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表示装置
KR20140110677A (ko) 색 개선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14873B1 (ko) 돌출부를 구비한 광 투과성 판
JP2011242419A (ja) 光学シート及び金型並びに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68635B1 (ko) 인각율이 향상된 고휘도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9551B1 (ko) 면광원장치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11133556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金型
KR101812385B1 (ko) 돌출부를 구비한 광 투과성 판
JP2013206577A (ja) 導光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表示装置
JP2012093647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008B1 (ko) 확산 및 차폐기능을 갖는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59604A (zh) 一种遮光反射膜、背光模组及其制备方法
KR20130046618A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3162358A1 (ja) 複合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