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818A - 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818A
KR20180028818A KR1020160116654A KR20160116654A KR20180028818A KR 20180028818 A KR20180028818 A KR 20180028818A KR 1020160116654 A KR1020160116654 A KR 1020160116654A KR 20160116654 A KR20160116654 A KR 20160116654A KR 20180028818 A KR20180028818 A KR 2018002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data
digital
digit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1946B1 (en
Inventor
정두일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946B1/en
Publication of KR2018002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re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digital data signal, a data driver IC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herein a copy image signal, which copies at least one bit among a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image signal, is arranged between a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image sig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a state is changed in a case of conversion into a transmitted clock signal and a transmitted image signal, distortion of data can be prevented and accordingly noi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on a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컨트롤러, 드라이버 IC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a driver IC,

본 실시예들은 컨트롤러, 드라이버 IC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 controller, a driver IC, and a display using the sam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Demands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have been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s an information society has developed. In addi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Devic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like.

이러한 표시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타이밍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드라이버에서 표시장치로 데이터신호를 전달하여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타이밍제어부는 다수의 타이밍 제어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데이터드라이버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타이밍제어부와 데이터드라이버 사이에는 R 데이터, G 데이터, B 데이터들에 관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배선들, 데이터드라이버의 출력 및 극성변환 동작 등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배선들, 클럭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배선들 등의 많은 배선이 형성되어야 한다.Such a display device may transmit a data signal from a data driver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a timing signal provided from a timing controller so that an image is displayed. In order to transmit a plurality of timing control signals and digital video signals to the data driver, the timing controller may include data transmission lines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signals related to R data, G data, and B data between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data driver, Control wiring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output and polarity conversion operation of the clock signal, and transmission wirings for transmitting the clock signal.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타이밍컨트롤러와 데이터드라이버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같이 전송하여 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가 동일한 배선을 통해 전송될 때 클럭신호 다음에 디지털 영상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전송되는 신호가 클럭신호에서 디지털영상신호로 전환될 때 신호의 상태가 변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신호의 상태가 변화되면 클럭신호 다음에 오는 디지털영상신호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어 표시장치에서 표시하는 영상에 노이즈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s are transmitted together by the protocol between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data driver to reduce the number of wirings. However, when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wiring, the digital video signal can be transmitted after the clock signal and the state of the signal can be changed when the transmitted signal is switched from the clock signal to the digital video signal . If the state of the signal changes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distortion may occur in the digital video signal following the clock signal, which may cause noise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컨트롤러, 데이터드라이버 IC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to provide a controller, a data driver IC,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hat minimizes the occurrence of nois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의 전송하는 패킷에 변화가 없도록 하여 컨트롤러, 드라이버 IC를 다시 설계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to provide a data transfer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the controller and the driver IC to be redesigned by making no change in the data transfer packet.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하되,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적어도 한 비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가 배치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신호수신부, 및 데이터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달받고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신호공급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드라이버 IC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ne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method for receiving a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by a predetermined protocol, wherein at least one bit among a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is provided between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data signal received by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and changing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into analog data signals and outputting the digital data signals, And a data driver IC.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클럭신호와 디지털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되, 클럭신호와 디지털영상신호 사이에 복제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데이터신호를 하나의 배선을 통해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digital video signal by receiving a digital video signal and generating a duplicated video signal in which at least one bit of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is copied,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a duplicated video signal between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igital data signal through one wiring line.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클럭신호와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송하되,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디지털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한 비트의 영상신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가 배치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제어부로부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데이터신호에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추출하고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경하여 데이터라인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formed in a region where a gate line and a data line intersect, a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a clock signal and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by a predetermined protocol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digital data signal between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the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a duplicate video signal replicating an image signal of at least one bit of the digital video signal, a gate driver for transmitting a gate signal to the gate line, And a data driver that extracts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from the digital data signal, converts the digital video signals into analog data signals, and outputs the analog data signals to the data lines.

또 다른 측면에서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을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으로 구분하여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으로, 호스트 기기로부터 디지털 영상신호,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단계, 디지털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디지털 영상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복제하여 복제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구간에서 클럭신호가 전달되고, 제2구간에서 복제영상신호가 클럭신호에 인접하도록 복제영상신호와 디지털영상신호가 전달되고, 제3구간에서 더미신호가 전달되되, 제3구간이 제1구간 보다 짧도록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or transmitting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by dividing a section in which a data signal is transmitted into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Receiving a digital video signal and a control signal from a host device, receiving a digital video signal and a control signal, and replicating at least one bit of the digital video signal to generate a duplicated video signal, The dummy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third section, and the dummy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third section so that the third section is shorter than the first secti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송되는 클럭신호와 영상신호로 변환될 때 상태변화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의 왜곡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표시장치(100)의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컨트롤러, 데이터드라이버 IC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ta distortion from being generated even when a state change occurs when being converted into a transmitted clock signal and a video signal, thereby suppressing generation of nois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 controller, a data driver IC,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데이터패킷이 기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어 드라이버 IC 를 다시 설계하는 등의 변화가 필요하지 않고 ㅍ데이터전송을 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method capable of setting data packets in the same manner as a protocol used in the prior art, hav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버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버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a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와 데이터드라이버 사이의 신호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와 데이터드라이버 사이의 신호전송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구동부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에서 클럭신호와 디지털 데이터신호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클럭신호와 인접하지 않은 디지털영상신호의 왜곡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클럭신호와 인접한 디지털영상신호의 왜곡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4A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by a signal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4B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by a signal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a state change of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data signal in a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6A is a graph showing a degree of distortion of a digital video signal not adjacent to a clock signal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6B is a graph showing a degree of distortion of a digital video signal adjacent to a clock signal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제어부(120), 게이트드라이버(130), 데이터드라이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a control unit 120, a gate driver 130, and a data driver 140.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1,G2,…,Gn-1,G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은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고,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패널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전원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복수의 발광신호라인, 초기화신호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패널(110)의 배선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lines G1, G2, ..., Gn-1, Gn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1, D2, ..., Dm- And may include a pixel 101. Also,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supply lines, and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used, the display panel 1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mission signal lines and an initialization signal line. However, the wiring of the display panel 110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20)는 외부의 호스트기기(미도시)로부터 디지털영상신호(RGB)를 전달받아 데이터드라이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호스트기기로부터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클럭신호(ck)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게이트드라이버(130)와 데이터드라이버(1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GCS,DCS)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에서 생성되는 게이트드라이버(130)와 데이터드라이버(1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GSC,DSC)는 클럭신호(ck), 게이트 인에이블, 게이트스타트펄스, 데이터인에이블, 데이터스타트펄스, 극성신호(POL)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from an external host device (not shown) and transmits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to the data driver 140.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control signals including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a clock signal ck from the host device and controls the gate driver 130 and the data driver 140 The control signals GCS and DCS. The control signals GSC and DSC for controlling the gate driver 130 and the data driver 140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0 are input to the gate driver 130 and the data driver 140 through the clock signal ck, gate enable, gate start pulse, data enable, , And a polarity signal (PO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control unit 120 may be a timing controll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인터페이스프로토콜을 통해 호스트기기와 제어신호(GCS,DCS)와 디지털영상신호(RGB)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데이터드라이버(140)로 기설정된 인터페이스프로토콜(Interface Protocol)을 통해 통신을 하여 클럭신호(ck)와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RGB)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적어도 한 비트의 영상신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가 배치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부(120)는 데이터드라이버(140)로 클럭신호(ck)와 디지털영상신호(RGB)가 동일한 배선을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120)와 데이터드라이버(140)간에 배치되어 있는 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클럭신호(ck)와 디지털영상신호(RGB)가 동일한 배선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배선의 수를 줄이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클럭신호(ck)와 디지털영상신호(RGB)가 함께 데이터드라이버(140)로 전송되는 것은 클럭신호(ck)가 전송된 후 동일한 배선을 통해 디지털영상신호(RGB)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can receive the control signals GCS and DCS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through the predetermined interface protocol.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the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the clock signal ck and 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RGB by communicating with the data driver 140 through the predetermined interface protocol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a digital data signal between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image signal, in which a duplicate image signal replicating the image signal of at least one bit among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image signal is disposed. The control unit 120 may cause the data driver 140 to transmit the clock signal ck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through the same line by a predetermined protocol. Thus, the number of wirings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data driver 140 can be reduc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reducing the number of wirings so that the clock signal ck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flow through the same wiring. Here, the clock signal ck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are transmitted together to the data driver 140, which means that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is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line after the clock signal ck is transmitted .

또한, 제어부(120)과 데이터드라이버(14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고, 각 통신인터페이스마다 대응되는 프로토콜이 정의되어 있다. 제어부(120)과 데이터드라이버(140) 사이에 존재하는 인터페이스는 EPI(Embeded Clock Point to Point Interface),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re may b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between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data driver 140, and a corresponding protocol is defined for each communication interface.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120 and the data driver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mbedded Clock Point to Point Interface (EPI) and a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However, the interface is not limited thereto.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1,G2,…,Gn-1,Gn)과 연결되고 복수의 게이트라인(G1,G2,…,Gn-1,Gn)을 통해 각 화소(101)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표시패널(110)에 발광신호라인이 배선되어 있으면 발광신호라인과 연결되어 발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제어부(120)로부터 게이트드라이버제어신호(GCS)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표시패널(110)과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측면에 게이트 인 패널(GIP)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gate driver 13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1, G2, ..., Gn-1, Gn and is connected to each pixel 101 through a plurality of gate lines G1, G2, ..., Gn- Lt; / RTI > The gate driv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emission signal line to transmit the emission signal if the emission signal line is wired to the display panel 1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gate driver 130 may receive the gate driver control signal (GCS) from the controller 120. Here, the gate driver 130 is shown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display panel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gate driver 130 may be formed by a gate-in-panel (GIP) method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데이터드라이버(140)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과 연결되고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을 통해 각 화소(101)에 데이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버(140)는 제어부(120)로부터 디지털영상신호(RGB)와 데이터드라이버 제어신호(DCS)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드라이버(14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해상도에 따라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드라이버(140)는 동일한 배선을 통해 디지털영상신호(RGB)와 데이터드라이버제어신호(DCS) 중 클럭신호(ck)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어부(120)와 데이터드라이버(140) 사이의 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The data driver 14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D1, D2, ..., Dm-1 and Dm and is connected to each pixel 101 through a plurality of data lines D1, D2, ..., Dm- As shown in FIG. The data driver 140 may receive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and the data driver control signal DCS from the controller 120. [ Here, the data driver 140 is shown as one compon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ata driver 140 may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units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The data driver 140 can receive the clock signal ck among the digital image signal RGB and the data driver control signal DCS through the same wiring line, The number of wirings can be reduced.

또한, 데이터드라이버(140)는 제어부(120)에서 전달되는 디지털 영상신호(RGB)와 데이터드라이버제어신호(DCS)를 수신하는 수신부의 역할을 하고 제어부(120)는 디지털 영상신호(RGB)와 데이터드라이버제어신호(DCS)를 생성하여 데이터드라이버(140)으로 전달하는 송신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과 데이터드라이버(140)은 서로 쌍으로 구동될 수 있다. The data driver 140 serves as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digital image signals RGB and the data driver control signals DC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digital image signals RGB and data And may generate a driver control signal DCS and transmit the driver control signal DCS to the data driver 14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20 and the data driver 140 may be driven in pair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버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드라이버(240)는 데이터신호수신부(241) 및 데이터신호공급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ata driver 240 may include a data signal receiving unit 241 and a data signal supplying unit 242.

데이터신호수신부(241)는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디지털영상신호(RGB)와, 클럭신호(ck)를 포함하는 데이터드라이버제어신호(DCS)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하되, 클럭신호(ck)와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한 비트의 영상신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가 배치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신호수신부(241)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직렬로 수신하고 병렬로 데이터신호공급부(242)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신호수신부(241)는 디지털영상신호(RGB)와 클럭신호(ck)가 같은 배선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어 제어부(120)와 연결되는 배선의 수가 줄어들을 수 있다.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241 receives the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and the data driver control signal DCS including the clock signal c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a digital data signal in which a duplicate video signal in which at least one bit of 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is replicated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241 may receive the digital video signals serially and transmit them to the data signal supply unit 242 in parallel.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241 can receive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and the clock signal ck through the same line and thus the number of line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can be reduced.

데이터신호공급부(242)는 데이터신호수신부(241)에서 수신한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달받고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신호공급부(242)는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병렬로 출력하여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Dm-1,Dm)에 전달할 수 있다.The data signal supply unit 242 receives the digital data signal received by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241 and converts a plurality of digital image signals into analog data signals and outputs the analog data signals. The data signal supply unit 242 may output the analog data signals i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1, D2, ..., Dm-1, and Dm.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버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드라이버(340)는 쉬프트레지스터(341a), 래치(341b),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342a), 출력버퍼(342b)를 포함할 수 있다. 쉬프트레지스터(341a)는 데이터드라이버 제어신호(DCS)를 전달받아 직렬로 전달되는 디지털영상신호(RGB)를 래치(341b)에 저장하고, 래치(341b)는 직렬로 전달되는 디지털 영상신호(RGB)를 병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DAC(342a)는 극성신호(POL)를 전달받아 동작하며 디지털영상신호(RGB)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전환하여 출력버퍼(342b)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출력버퍼(342b)는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DAC(342a)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를 병렬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쉬프트레지스터(341a), 래치(341b)는 도 2의 데이터신호수신부(241)일 수 있고 DAC(342a), 출력버퍼(342b)는 도 2의 데이터신호공급부(242)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ata driver 340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341a, a latch 341b,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342a, and an output buffer 342b. The shift register 341a receives the data driver control signal DCS and stores the serial digital image signal RGB in the latch 341b. The latch 341b receives the digital image signal RGB, Can be output in parallel. The DAC 342a receives the polarity signal POL and converts the digital image signal RGB into an analog data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data signal to the output buffer 342b. In addition, the output buffer 342b can transmit analo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DAC 342a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in parallel. Here, the shift register 341a and the latch 341b may be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241 of FIG. 2, and the DAC 342a and the output buffer 342b may be the data signal supplying unit 242 of FIG.

도 4a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와 데이터드라이버 사이의 신호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와 데이터드라이버 사이의 신호전송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FIG. 4A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by a signal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1, FIG. 4B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Figure 5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by a protocol;

제어부(120)에서 데이터드라이버(140)로 전송되는 데이터신호의 데이터패킷에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는 영상신호, 클럭신호, 더미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1비트의 전송시간은 1UI(Unit Interval)가 소요될 수 있으나 표시패널(110)의 해상도나 데이터의 비트레이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패킷은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디지털데이터신호는 3개의 전송구간(1phase, 2phase, 3phase)으로 구분되어 전송되며, 제1구간(1phase)에서 클럭신호(ck)가 전달되고, 제2구간(2phase)에서 디지털영상신호(RGB)가 전달되며, 제3구간(3phase)에서 더미신호(DMY)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신호(R0,R1,R2,…,G0,G1,G2,…,B5,B6,B7)는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일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영상신호(RGB)는 적색(R), 녹색(G), 청색(B)에 대핸 데이터가 각각 8비트로 표현되어 총 24개의 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G,B 데이터가 각각 10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디지털영상신호는 총 30개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R,G,B 데이터가 각각 6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디지털영상신호는 총 18개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acket of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0 to the data driver 140 may include a video signal, a clock signal, and a dummy sign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bits. The transfer time of 1 bit may take 1 UI (Unit Interval), but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or the bit rate of the data. Also, the data packet is divided into three transmission periods (1phase, 2phase, 3phase) by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the clock signal (ck) is transmitted in the first period (1phase) The digital image signal RGB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ction 2phase and the dummy signal DMY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section 3phase. The digital video signals R0, R1, R2, ..., G0, G1, G2, ..., B5, B6 and B7 may be differential signals. In addition, the digital image signal RGB may be composed of a total of 24 bits, in which data for red (R), green (G), and blue (B) are represented by 8 bits,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R, G, and B data each include 10-bit data, the digital video signal may include 30 bits in total, and if the R, G, and B data each include 6-bit data The digital video signal may include a total of 18 bits.

도 4a를 참조하면, 디지털영상신호는 적색(R), 녹색(G), 청색(B)에 대핸 데이터가 각각 8비트로 표현되어 총 24개의 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을 한다. 데이터패킷은 클럭신호, 디지털영상신호, 더미신호를 포함하며, 클럭신호에는 2비트를 할당하고 더미신호에는 1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더미신호와 클럭신호는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0 1 1(L H H)의 로직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패킷은 1비트의 복제 영상비트(R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패킷은 클럭신호(CK) 2비트, 복제영상신호(R0`) 1비트, 디지털영상신호(RGB) 24비트, 더미신호(DMY) 1비트인 총 28개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전송시간은 28UI가 소요될 수 있다. 제1구간(1phase)은 클럭신호(ck)가 2비트이기 때문에 2UI의 시간이 소요되고 제3구간(3phase)은 더미신호(DMY)가 1비트이기 때문에 1UI시간이 소요되어 제3구간(1phase)이 제1구간(1phase)보다 짧게 소요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it is assumed that a digital image signal is represented by 8 bit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data, The data packet includes a clock signal, a digital image signal, and a dummy signal. The clock signal may be assigned 2 bits and the dummy signal may be assigned 1 bit. The dummy signal and the clock signal may have logic values of 0 1 1 (L H H) by a predetermined protocol. In addition, the data packet may include a 1-bit replicated image bit (R0 '). Accordingly, the data packet may include a total of 28 bits, which are 2 bits of the clock signal (CK), 1 bit of the duplicated video signal (R0`), 24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and 1 bit of the dummy signal (DMY) Transmission time can take up to 28 UI. The first interval (1phase) takes 2UI because the clock signal (ck) is 2 bits and the third interval (3phase) takes 1UI time because the dummy signal (DMY) )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period (1phase).

도 4b를 참조하면, 데이터신호의 데이터패킷은 더미신호, 클럭신호, 디지털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패킷은 클럭신호, 디지털영상신호, 더미신호를 포함하며, 클럭신호와 더미신호에 각각 2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패킷의 더미신호와 클럭신호는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0 0 1 1(L L H H)의 로직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패킷은 클럭신호 2비트, 디지털 영상신호 24개의 비트, 더미신호 2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어 데이터패킷의 전송에 총 28 UI가 소요될 수 있다. 이때, 제1구간(1phase)은 클럭신호(ck)가 2비트이기 때문에 2UI의 시간이 소요되고 제3구간(3phase)은 더미신호(DMY)가 2비트이기 때문에 2UI의 시간이 소요되어 제1구간(1phase)과 제3구간(3phase)은 동일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은 시간적으로 완전 동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약간의 시차가 발생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the data packet of the data signal may include a dummy signal,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image signal. The data packet includes a clock signal, a digital image signal, and a dummy signal, and each of the clock signal and the dummy signal can be assigned 2 bits. The dummy signal and the clock signal of the data packet may have logic values of 0 0 1 1 (L L H H) by a predetermined protocol. Therefore, the data packet can be composed of 2 bits of the clock signal, 24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and 2 bits of the dummy signal, so that a total of 28 UIs can be required for transmission of the data packet. In this case, 2UI is required for the first period (1phase) because the clock signal (ck) is 2 bits and 2UI is required for the third period (3phase) because the dummy signal DMY is 2 bits. The interval (1phase) and the third interval (3phase) may take the same time. Here, the same does not mean that it is completely identical in terms of time but may include a case where a slight parallax has occurred.

따라서, 도 4a와 도 4b 모두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는데 동일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동일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Therefore, both of FIGS. 4A and 4B can take the same time to transmit data packets, so that data packets can be transmitted by the same interface protocol.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클럭신호(ck)는 T1,T2 구간에 전송되고 디지털영상신호(RGB)는 T3 구간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클럭신호(ck)는 하이상태(H) 신호로 고정되어 있고 디지털 영상신호는 차동신호이기 때문에 T1,T2구간은 하이상태(H)의 신호가 전달되고 첫번째 디지털영상신호(R0)가 전달되는 T3구간은 하이상태(H)와 로우상태(L)를 모두 가지고 있는 신호가 전달되고 있는 것이 표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클럭신호(ck)에서 디지털 영상신호(R0)로 전환되는 시점(T3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디지털 영상신호는 차동신호로 전달되기 때문에 디지털영상신호의 각 비트들간에서는 상태변화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lock signal ck may be transmitted in the T1 and T2 periods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may be transmitted in the T3 period. At this time, since the clock signal ck is fixed to the high state (H)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is a differential signal, the signal of the high state (H) is transmitted in the T1 and T2 periods, and the first digital video signal (R0) It can be seen that a signal having both the high state (H) and the low state (L) is being transmitt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tate of the signal transmitted at the time point when the clock signal ck is switched to the digital video signal R0 (the time point when the T3 section starts) is changed. However, although not shown, since the digital video signal is transmitted as a differential signal, the state change does not appear between the respective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이로 인해, 전송되는 신호가 클럭신호(ck)에서 디지털영상신호(RGB)로 변환될 때, 디지털 영상신호(RGB)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럭신호(ck)와 인접한 첫번째 디지털 영상신호(R0)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클럭신호(ck)에 인접한 디지털영상신호(R0,R1,R2,…,G0,G1,G2,…,B5,B6,B7)가 모두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실제 사용되는 데이터이면 첫번째 디지털영상신호(R0)에 발생된 왜곡에 의해 노이즈가 표시패널(110)에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클럭신호(ck)와 첫번째 디지털 영상신호(R0) 사이에 디지털 영상신호(R0,R1,R2,…,G0,G1,G2,…,B5,B6,B7)의 복수의 비트 중 하나의 비트를 복제한 복제영상데이터(R0`)가 배치되도록 하면 복제된 영상데이터(R0`)에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패킷을 구성하게 되면 영상의 표시에 실제 사용되지 않는 복제된 영상데이터(R0`)에만 왜곡이 발생되고 영상에 실제 사용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는 왜곡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노이즈가 표시패널(110)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transmitted signal is converted from the clock signal ck to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distortion may occur in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More specifically, distortion may occur in the first digital video signal R0 adjacent to the clock signal ck. The digital image signals R0, R1, R2, ..., G0, G1, G2, ..., B5, B6, B7 adjacent to the clock signal ck are all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Nois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due to distortion generated in the first digital video signal R0. ..., G0, G1, G2, ..., B5, B6, B7, ..., B7) between the clock signal (ck) and the first digital video signal (R0) The replicated image data R0 'may be distorted when the replica image data R0' is replicated. However, when the data packet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4A, distortion occurs only in the reproduced image data R0 ', which is not actually used in the display of the image, and distortion is not generated in the digital image signal actually used in the image So that the noise may 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여기서, 복제된 영상데이터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첫번째 비트(R0)를 복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영상신호의 총 24개 비트 중 어느 하나의 비트를 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영상신호의 하나의 비트를 기저장하고 추후 발생하는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duplicated image data is shown to duplicate the first bit R0 of the digital image sig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duplicate any one of the twenty-four bits of the digital image signal.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one bit of a digital video signal and to insert a bit stored between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which are generated later.

도 6a는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클럭신호와 인접하지 않은 디지털영상신호의 왜곡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b는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신호가 클럭신호와 인접한 디지털영상신호의 왜곡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6A is a graph showing a degree of distortion of a digital video signal not adjacent to a clock signal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and FIG. 6B is a graph showing a degree of distortion of a digital video signal adjacent to a clock signal, Graph.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x 축은 시간 축이고 y 축은 전압의 크기에 대한 축이다. 또한, 디지털영상신호는 차동신호이기 때문에 1UI 내에서 하이상태와 로우 상태가 동시에 나타나며 가운데에 마름모꼴 형태의 빈공간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마름모꼴 형태는 정확한 마름모꼴 형태는 아니며 빈 공간에 가상의 선을 연결하여 마름모꼴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마름모꼴의 크기를 이용하여 신호의 왜곡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6A and 6B, the x-axis is the time axis and the y-axis is the axis for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Since the digital video signal is a differential signal, a high state and a low state appear simultaneously in 1 UI, and a rhombus-shaped empty space may be displayed in the center. Here, the diamond shape is not an exact diamond shape, but connects a virtual line to an empty space to display a diamond shape. Then,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signal is distorted by using the size of the diamond shape.

마름모꼴의 크기를 판단하기 위해 마름모꼴 중앙의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위쪽 꼭지점까지의 길이와 아래쪽 꼭지점까지의 길이를 도 6a에서는 각각 d11, d12라고 칭하고, 도 6b에서는 각각 d21, d22라고 칭하였고, 도 6a에서는 마름모꼴 중앙의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꼭지점까지의 길이와 우측 꼭지점까지의 길이를 각각 c11,c21 라고 칭하고, 도 6b에서는 마름모꼴 중앙의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꼭지점까지의 길이와 우측 꼭지점까지의 길이를 각각 c21,c22 라고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범위인 경우 d11, d21, d12, d22 각각이 0.25UI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어야 하며, c11, c21, c12, c22 각각이 90mV 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되어야 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length up to the upper vertex and the length up to the lower vertex are referred to as d11 and d12 in FIG. 6A and d21 and d22 in FIG. 6B,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a virtual horizontal line at the center of the diamond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diamond, In FIG. 6A, the length to the left vertex and the length to the right vertex are referred to as c11 and c21,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imaginary vertical line at the center of the rhombus. In FIG. 6B, the length to the left vertex and the right vertex Can be referred to as c21 and c22, respectively. In the case of a normal range in which no distortion occurs, it is necessary that each of d11, d21, d12, and d22 should take 0.25UI or more and each of c11, c21, c12, and c22 should have a difference of 90 mV or more.

도 6a와 도 6b를 비교해보면,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마름모꼴의 크기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마름모꼴의 크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고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마름모꼴의 크기는 d11,d12가 0.25UI 보다 크고 c11,c12가 90mV 보다 상기의 정상범위로 판단할 수 있는 크기이지만 도 6b의 경우는 d21,d22가 0.25UI 보다 작고 c21,c22가 90mV 보다 작아 정상범위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6A and 6B, it can be seen that the diamond shape shown in FIG. 6A is larger than the diamond shape shown in FIG. 6B, and the diamond shape shown in FIG. 6A has dimensions d11 and d12 of 0.25 UI And c11 and c12 are larger than 90 mV. However, in the case of Fig. 6 (b), it can be seen that d21 and d22 are smaller than 0.25 UI and c21 and c22 are smaller than 90 mV.

따라서, 복제영상신호를 클럭신호와 인접하도록 하면, 복제영상신호에만 신호가 왜곡될 수 있고 실제 사용되는 영상신호는 신호가 왜곡되지 않게 되어 표시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replica video signal is adjacent to the clock signal, the signal may be distorted only in the replica video signal, and the signal is not distorted in the actually used video signal, and noise is not generated in the video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을 제1구간(1phase), 제2구간(2phase), 제3구간(3phase)으로 구분하여 클럭신호(ck)와 디지털영상신호(RGB)를 전송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으로, 호스트 기기로부터 디지털 영상신호,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단계(S700), 디지털 영상신호(RGB)와 데이터드라이버제어신호(DSC)를 전달받고 디지털 영상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복제하여 복제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710), 제1구간(1phase)에서 클럭신호(ck)가 전송되게 하고, 제2구간(2phase)에서 복제영상신호와 디지털영상신호(RGB)가 전송되고 제3구간(3phase)에서 더미신호(DMY)가 전송되되, 제3구간(3phase)이 제1구간(1phase)보다 짧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7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신호(ck)와 디지털영상신호(RGB)가 같이 직렬로 전송되기 때문에 클럭신호(ck)에서 디지털영상신호(RGB)의 상태변화로 발생하는 영상신호가 왜곡이 발생할 수 있지만, 복제영상신호가 클럭신호와 표시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실제 사용되는 디지털영상신호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복제영상신호에 왜곡이 발생하게 되도록 하여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구간(2phase)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복제영상신호에 의해 1US 만큼 더 소요될 수 있지만, 더미신호가 전송되는 제3구간(3phase)을 더 짧게 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패킷이 전송되는 시간이 총 28UI가 소요되어 제어부(120)나 데이터드라이버(140)의 설계나 프로토콜을 바꿀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7, a period during which a data signal is transmitted is divided into a first period (1 phase), a second period (2 phase), and a third period (3 phase) to transmit a clock signal (ck) (S700) receiving the digital image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from the host device, receiving the digital image signal RGB and the data driver control signal DSC,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digital image signals A clock signal ck is transmitted in a first interval 1phase and a duplicated video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RGB are transmitted in a second interval 2phase in step S710. (S720) transmitting the dummy signal DMY in the third period (3phase) and the third period (3phase) in the third period (3phase) shorter than the first period (1phase). Since the clock signal ck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are transmitted in series, the video signal generated due to the state change of the digital video signal RGB in the clock signal ck may be distorted. However,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image signal actually used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are caused to be distorted so that noises are generated. Further, although the time required for the second section (2phase) can be increased by 1US by the duplicated video signal, the third section (3phase) through which the dummy signal is transmitted can be made shorter,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or protocol of the control unit 120 or the data driver 1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제영상신호가 복제하는 영상신호의 비트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클럭신호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it of the video signal copied by the duplicate video signal may be at least one bit adjacent to the cloc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장치(100)
110: 표시패널
101: 화소
120: 제어부
130: 게이트드라이버
140: 데이터드라이버
100: Display device 100
110: Display panel
101: pixel
120:
130: gate driver
140: Data driver

Claims (12)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적어도 한 비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가 배치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신호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신호공급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드라이버 IC.
A duplicated video signal which is obtained by duplicating at least one bit among a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between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 data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digital data signal; And
And a data signal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data signals received by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plurality of digital image signals into analog data signals and outputting the analog data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는 3개의 전송구간으로 구분되어 수신되며, 제1구간에서 상기 클럭신호가 전달되고, 제2구간에서 상기 복제영상신호와 상기 디지털영상신호가 전달되며, 제3구간에서 더미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3구간이 상기 제1구간 보다 짧은 데이터드라이버 IC.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rotocol, the digital data signal is divided into three transmission periods, the clock signal is transmitted in a first interval, the duplicated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re transmitted in a second interval, And the third section is shorter than the first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영상신호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상기 클럭신호와 가장 인접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복제된 신호인 데이터드라이버 IC.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plicated video signal is a signal in which at least one bit transmitted closest to the cloc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is copied.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클럭신호와 디지털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상기 복제영상신호가 배치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하나의 배선을 통해 전송하는 컨트롤러.
Receiving a digital video signal, generating a duplicated video signal in which at least one bit of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is duplicated,
Generating a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by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generating the digital data signal in which the duplicate video signal is disposed between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 controller that transmits data signals through a single w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는 3개의 전송구간으로 구분되어 전송되며, 제1구간에서 상기 클럭신호가 전달되고, 제2구간에서 상기 복제영상신호와 상기 디지털영상신호가 전달되며, 제3구간에서 더미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3구간이 상기 제1구간 보다 짧은 컨트롤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ccording to the preset protocol, the digital data signal is divided into three transmission periods, the clock signal is transmitted in a first interval, the duplicated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re transmitted in a second interval, A dummy signal is transmitted in a third interval, and the third interval is shorter than the first interv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영상신호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상기 클럭신호와 가장 인접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복제된 신호인 컨트롤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uplicated video signal is a signal in which at least one bit transmitted closest to the cloc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is copied.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사이에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적어도 한 비트의 영상신호를 복제한 복제영상신호가 배치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에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추출하고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formed in a region where gate lines and data lines intersect;
And transmitting a digital data signal including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wherein the video signal of at least one bit among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is copied between the clock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dat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is arranged;
A gate driver for transferring a gate signal to the gate line; And
And a data driver receiving the digital dat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extracting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from the digital data signal, converting the digital video signal into an analog data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data signal to the data l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드라이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하나의 배선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신호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에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신호공급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 driver comprises: a data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digital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hrough one wiring; And
And a data signal supply unit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from the digital data signal received by the data signal receiving unit, converting the digital video signals into analog data signals, and outputting the analog data signa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는 3개의 전송구간으로 구분되어 전송되며, 제1구간에서 상기 클럭신호가 전달되고, 제2구간에서 상기 복제영상신호와 상기 디지털영상신호가 전달되며, 제3구간에서 더미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3구간이 상기 제1구간 보다 짧은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ccording to the preset protocol, the digital data signal is divided into three transmission periods, the clock signal is transmitted in a first interval, the duplicated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re transmitted in a second interval, Wherein the third section is shorter than the first s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영상신호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상기 클럭신호와 가장 인접하여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복제된 신호인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uplicated video signal is a signal in which at least one bit transmitted closest to the cloc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is copied.
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을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으로 구분하여 클럭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으로,
호스트 기기로부터 디지털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복제하여 복제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구간에서 상기 클럭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2구간에서 상기 복제영상신호가 상기 클럭신호에 인접하도록 상기 복제영상신호와 상기 디지털영상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3구간에서 더미신호가 전달되되, 상기 제3구간이 상기 제1구간 보다 짧도록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전송방법.
A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clock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by dividing a section in which a data signal is transmitted into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 third section,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 digital video signal from a host device;
Reproducing at least one bit of the digital video signal to generate a duplicate video signal; And
The duplicated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are transmitted so that the duplicated video signal is adjacent to the clock signal in the second section and the dummy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third section And transmitting a data signal such that the third section is shorter than the first s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영상신호가 복제하는 영상신호의 비트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수의 비트 중 상기 클럭신호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비트인 데이터전송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it of the video signal copied by the duplicated video signal is at least one bit of the plurality of bits of the digital video signal adjacent to the clock signal.
KR1020160116654A 2016-09-09 2016-09-09 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 KR1024919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54A KR102491946B1 (en) 2016-09-09 2016-09-09 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54A KR102491946B1 (en) 2016-09-09 2016-09-09 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18A true KR20180028818A (en) 2018-03-19
KR102491946B1 KR102491946B1 (en) 2023-01-26

Family

ID=6191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654A KR102491946B1 (en) 2016-09-09 2016-09-09 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94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338A (en) * 2011-08-19 2013-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lock embedded interfa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r
KR20140140939A (en) * 2013-05-30 2014-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160053116A (en) * 2014-10-30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338A (en) * 2011-08-19 2013-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lock embedded interfa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r
KR20140140939A (en) * 2013-05-30 2014-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160053116A (en) * 2014-10-30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946B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2294A1 (en) Display Device
CN10149109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isplay streams
US93318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terface
KR101611921B1 (en) Driving circui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10609668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54939B2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and a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CN105304053B (en) Initial signal control method, chip and display panel in timing controller
KR20170099456A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853736B1 (en) Display apparatus
KR101726628B1 (en) Driving circui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4952383A (en) Driving circuit for driving color display to display black-and-white/grayscale images and data conversion circuit thereof
KR20180028818A (en) Driver ic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20220103792A1 (en) Image slicing to generate in put frames for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WO2016135881A1 (en)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JP2010004353A (en) Image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13991B2 (en) Receiver and image transmission system
JP6553340B2 (en)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driver, and image data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5736753B2 (en) Data transfer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01164B2 (en) Receiver
US10803833B1 (en) Display systems and integrated source driver circuits
JP4635071B2 (en) Display signal converter
JP5363366B2 (en) Display system, input / out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JP6015804B2 (en) Data transfer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14001B2 (en) Receiver
KR20150145346A (en) Jitter removing device for a multivision system based on regenerated clock signal,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