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800A -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800A
KR20180028800A KR1020160116602A KR20160116602A KR20180028800A KR 20180028800 A KR20180028800 A KR 20180028800A KR 1020160116602 A KR1020160116602 A KR 1020160116602A KR 20160116602 A KR20160116602 A KR 20160116602A KR 20180028800 A KR20180028800 A KR 20180028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attery pack
voltage
relays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598B1 (ko
Inventor
이종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1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98B1/ko
Priority to JP2018559742A priority patent/JP6921123B2/ja
Priority to EP17849012.4A priority patent/EP3447512B1/en
Priority to CN201780032470.8A priority patent/CN109219754B/zh
Priority to PCT/KR2017/009371 priority patent/WO2018048128A1/ko
Priority to US16/307,754 priority patent/US10892527B2/en
Publication of KR2018002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01R31/3655
    • B60L11/18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G01R31/362
    • G01R31/365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독립된 접지부를 이용한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연산을 통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팩, 상기 제1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전력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제1 릴레이와 상기 제1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접지부,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배터리 팩, 상기 제2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전력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제2 릴레이와 상기 제2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접지부 및 상기 제1 릴레이의 양단의 전압 및 상기 제2 릴레이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 malfunction of battery pack}
본 발명은 독립된 접지부를 이용한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과 릴레이 사이에 독립된 접지부를 구비하고, 릴레이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해 그 측정값에 기초하여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하는 독립된 접지부를 이용한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배터리의 경우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에너지원으로 이차전지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차전지는 복수개의 단위 배터리 팩들이 병렬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배터리 팩들은 하나의 접지부를 공유한다.
한편,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팩이 하나의 접지부를 이용하는 구조에서는 릴레이에 고장이 발생해도 통합된 접지부로 인해 릴레이의 양단에 전압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5971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과 릴레이 사이의 독립된 접지부의 구비를 통해 릴레이가 고장났을 경우, 릴레이 양단의 전압의 차이로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팩; 상기 제1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전력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제1 릴레이와 상기 제1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접지부;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배터리 팩; 상기 제2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전력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제2 릴레이와 상기 제2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접지부; 및 상기 제1 릴레이의 양단의 전압 및 상기 제2 릴레이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 검출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팩과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사이의 전압이 기준 전압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양단의 전압의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가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단에 제1 접지부가 연결된 제1 릴레이 및 일단에 제2 접지부가 연결된 제 2 릴레이가 닫히도록(close) 상기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릴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릴레이 양단의 전압 및 상기 제2 릴레이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1 릴레이 양단의 전압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 및 상기 측정된 제2 릴레이 양단의 전압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 검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중 양단의 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양단의 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릴레이를 고장 릴레이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 검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고장 검출 장치는 각각의 배터리 팩과 배터리 팩에 연결된 릴레이 사이에 독립된 접지부를 구비해 각 릴레이 양단의 전압의 차이로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통합된 접지부로 인해 릴레이가 닫혔을 때 검출하지 못했던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전압 측정을 통해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 할 수 있어 별도로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하는 구성이 필요치 않아 회로의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의 고장 검출 동작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 장치(10)는 배터리 팩(11), 접지부(12), 릴레이(13), 전압 측정부(14)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팩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11)이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11)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별도의 충전부를 구비하여 배터리 팩(11)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라 함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무정전 전원 장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11)은 하나 이상의 릴레이(13)와 각각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11)은 하나로 연결된 접지부(12)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릴레이(13)는 부하에 공급 되는 배터리 팩(11)의 전력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 측정부(14)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13)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팩 장치(10)는 일 실시예의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100)의 구조와 비교하여 하나로 연결된 접지부(12) 구비하는 차이를 가지며 병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11)은 공통된 접지부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배터리 팩 장치(10)가 패터리 팩으로부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릴레이를 닫도록(close) 제어 경우,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릴레이 양단의 전압이 동일해야 한다. 여기서, 릴레이에 고장이 발생하여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으면 릴레이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다만, 릴레이(13)에 발생한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릴레이 양단의 전압차가 발생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 장치(10)의 회로가 구성되는 보드에는 일반적으로 공통의 접지부(12)가 사용된다. 이 경우 각 릴레이(13)들의 일단이 모두 공통의 접지부(12)에 연결되어 동일한 전압을 가지게 됨으로써 전압측정부(14)는 어느 릴레이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개별적으로 검출 할 수 없다.
여기에서, 고장이라 함은 릴레이의 높은 온도에 따른 릴레이 내부의 접점 융착, 릴레이의 잦은 개폐로 인한 접접 이전, 릴레이의 접점부 변성으로 인한 접촉 저항 증대, 이상 전류 및 전압으로 인한 릴레이의 접촉 불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100)는 제1 배터리 팩(110), 제2 배터리 팩(111), 제N 배터리 팩(112), 제1 접지부(120), 제2 접지부(121), 제N 접지부(122), 제1 릴레이(130), 제2 릴레이(131), 제N 릴레이(132), 전압 측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팩(110)과 제2 배터리 팩(111) 및 제N 배터리 팩(112)은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1 배터리 팩(110)과 제2 배터리 팩(111) 및 제N 배터리 팩(112)은 각각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터리 팩(110)과 제2 배터리 팩(111) 및 제N 배터리 팩(112)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축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릴레이(130), 제2 릴레이(131) 및 제N 릴레이(132)는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부하로 공급되는 배터리 팩의 전력을 연결 및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릴레이(130), 제2 릴레이(131) 및 제N 릴레이(132)가 닫히는 경우 각각 연결된 제1 배터리 팩(110)과 제2 배터리 팩(111) 및 제N 배터리 팩(112)과 부하가 연결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릴레이가 열린 경우 제1 배터리 팩(110), 제2 배터리 팩(111) 및 제N 배터리 팩(112)과 부하가 분리되어 부하에 전력을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4)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13)의 양단에 연결되어 각각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릴레이(130), 제2 릴레이(131) 및 제N 릴레이(132)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기계식 릴레이, 포토모스 릴레이,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터리 팩(110)과 제2 배터리 팩(111) 및 제N 배터리 팩(112) (+)극 측에 릴레이가 각각 추가로 구성되어 각 배터리 팩에 기존 연결되어 있던 릴레이와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제1 접지부(120), 제2 접지부(121) 및 제N 접지부(122)는 배터리 팩과 릴레이 사이에 각각의 접지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접지부(120, 121, 122)는 각각 별도로 배터리 팩과 릴레이 사이의 전압이 기준 전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제1 접지부(120), 제2 접지부(121) 및 제N 접지부(122)는 배터리 팩과 릴레이 사이에 구비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릴레이가 배터리 팩과 접지부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압 측정부(14)는 제1 릴레이(130), 제2 릴레이(131), 제N 릴레이(132) 등 하나 이상의 릴레이의 양단에 연결되어 각각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4)는 각각 일단이 별도의 접지부에 연결된 각 릴레이들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릴레이들 각각의 전압을 별도로 측정하여 개별적으로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전압 측정부(14)는 릴레이가 닫히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각 릴레이 양단의 전압이 동일한지 여부를 측정함으로서 전압 측정 결과에 따라 각 릴레이들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의 고장 검출 동작순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접지부(110)가 연결된 제1 릴레이(130)가 닫히도록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S201).
전압 측정부(140)에서는 제1 릴레이(130) 양 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릴레이(130)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고(S202), 제1 릴레이(130) 양 단의 전압값을 비교해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3).
만약, 제1 릴레이(130) 양단의 전압 측정값이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릴레이(130)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S204).
반대로, 제1 릴레이(130) 양단의 전압 측정값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전압 측정부(14)에서 다시 제1 릴레이(130) 양단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202 단계에서, 전압 측정부(140)에서는 제2 릴레이(231) 양 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2 릴레이(231)의 양단의 전압을 별도로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전압 측정부(140)는 제2 릴레이(231)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단계 S203에서 제2 릴레이(231) 양단의 전압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204).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배터리 팩 장치
11: 배터리 팩
12: 접지부
13: 릴레이
14: 전압 측정부
100: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110: 제1 배터리 팩
111: 제2 배터리 팩
112: 제N 배터리 팩
120: 제1 접지부
121: 제2 접지부
122: 제N 접지부
130: 제1 릴레이
131: 제2 릴레이
132: 제N 릴레이

Claims (7)

  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팩;
    상기 제1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전력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제1 릴레이와 상기 제1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접지부;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배터리 팩;
    상기 제2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전력 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제2 릴레이와 상기 제2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접지부; 및
    상기 제1 릴레이의 양단의 전압 및 상기 제2 릴레이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지부와 상기 제2 접지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 검출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팩과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사이의 전압이 기준 전압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양단의 전압의 차이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을 각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팩 및 상기 제2 배터리 팩은 서로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전원 공급 장치가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단에 제1 접지부가 연결된 제1 릴레이 및 일단에 제2 접지부가 연결된 제 2 릴레이가 닫히도록(close) 상기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릴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릴레이 양단의 전압 및 상기 제2 릴레이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1 릴레이 양단의 전압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 및 상기 측정된 제2 릴레이 양단의 전압이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 검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의 고장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 중 양단의 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양단의 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릴레이를 고장 릴레이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 검출 방법.

KR1020160116602A 2016-09-09 2016-09-09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044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02A KR102044598B1 (ko) 2016-09-09 2016-09-09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18559742A JP6921123B2 (ja) 2016-09-09 2017-08-28 バッテリーパック故障検出装置および方法
EP17849012.4A EP3447512B1 (en) 2016-09-09 2017-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relay
CN201780032470.8A CN109219754B (zh) 2016-09-09 2017-08-28 用于检测电池组的故障的设备和方法
PCT/KR2017/009371 WO2018048128A1 (ko) 2016-09-09 2017-08-28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US16/307,754 US10892527B2 (en) 2016-09-09 2017-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02A KR102044598B1 (ko) 2016-09-09 2016-09-09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00A true KR20180028800A (ko) 2018-03-19
KR102044598B1 KR102044598B1 (ko) 2019-11-13

Family

ID=6156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602A KR102044598B1 (ko) 2016-09-09 2016-09-09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2527B2 (ko)
EP (1) EP3447512B1 (ko)
JP (1) JP6921123B2 (ko)
KR (1) KR102044598B1 (ko)
CN (1) CN109219754B (ko)
WO (1) WO2018048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848B1 (ko) * 2018-09-12 2022-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위치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10080070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병렬 배터리 릴레이 진단 장치 및 방법
JP7348108B2 (ja) 2020-03-06 2023-09-2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バッテリユニット
EP3967543A1 (en) * 2020-09-10 2022-03-16 Altra S.p.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array of such batteries, and electric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0036B2 (ja) * 1989-03-08 1999-06-02 安藤電気株式会社 リレーマトリックスの接地回路
KR20140020765A (ko) * 2012-08-10 2014-02-19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스위치 고장 진단 장치 및 축전 장치
KR20140125971A (ko) 2013-04-19 2014-10-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전지 팩을 구비한 자동차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40136844A (ko) * 2013-05-21 2014-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KR20150025428A (ko) * 2013-08-29 2015-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 스위치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6695A (ja) 1994-04-28 1995-11-10 Sanyo Electric Co Ltd リレー接点異常検出回路
JP3945630B2 (ja) 2002-01-10 2007-07-18 パナソニック・イーブイ・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電源装置のリレー接点溶着検査方法
US7683575B2 (en) 2007-07-18 2010-03-23 Tesla Mo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disconnecting short-circuited battery cells within a battery pack
CN101826737B (zh) 2009-03-06 2012-05-30 登丰微电子股份有限公司 电池充电控制装置及电池平衡充电控制器
FR2948461B1 (fr) 2009-07-24 2011-07-01 Renault Sa Procede de diagnostic du fonctionnement d'un dispositif de coupure et de raccordement d'une batterie a un reseau de bord de vehicule automobile
JP5477778B2 (ja) 2010-05-28 2014-04-23 スズキ株式会社 電池並列接続回路の制御装置
US8901934B2 (en) 2010-10-29 2014-1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agnosis of HEV/EV battery disconnect system
TWI451112B (zh) 2012-06-21 2014-09-01 Via Tech Inc 電池管理系統
KR20140013250A (ko) 2012-07-23 2014-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 배터리팩을 이용한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4142470A (zh) 2013-05-10 2014-11-1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继电器检测装置及其操作方法
JP5751282B2 (ja) * 2013-05-29 2015-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
JP2015122864A (ja)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レーの異常検出方法
KR102210282B1 (ko) 2014-05-30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JP6196188B2 (ja) * 2014-06-17 2017-09-13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JP6281578B2 (ja) * 2016-01-20 2018-02-21 船井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0036B2 (ja) * 1989-03-08 1999-06-02 安藤電気株式会社 リレーマトリックスの接地回路
KR20140020765A (ko) * 2012-08-10 2014-02-19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스위치 고장 진단 장치 및 축전 장치
KR20140125971A (ko) 2013-04-19 2014-10-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전지 팩을 구비한 자동차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전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40136844A (ko) * 2013-05-21 2014-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KR20150025428A (ko) * 2013-08-29 2015-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 스위치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19754A (zh) 2019-01-15
US20190267679A1 (en) 2019-08-29
JP6921123B2 (ja) 2021-08-18
KR102044598B1 (ko) 2019-11-13
EP3447512A1 (en) 2019-02-27
US10892527B2 (en) 2021-01-12
WO2018048128A1 (ko) 2018-03-15
CN109219754B (zh) 2021-05-28
EP3447512B1 (en) 2023-02-15
EP3447512A4 (en) 2019-04-24
JP2019517102A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350B1 (ko) 전원 시스템
US937397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battery rack damage by measuring current
KR101696160B1 (ko) 전압 측정을 통한 배터리 랙 파손 방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29144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US10056767B2 (en) Battery protection having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CN109219754B (zh) 用于检测电池组的故障的设备和方法
CN103296715A (zh) 开关故障诊断装置、电池组以及开关故障诊断程序、开关故障诊断方法
US20120256598A1 (en) Battery Pack Detection Circuit
US20150263559A1 (en) Battery pack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301232A1 (en) Battery unit, overcurre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EP3002850B1 (en)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including diagnostic function
US9863993B2 (en) Storage battery monitoring device with wiring disconnection detection
JP6087675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40002846A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검사 방법
JPWO2018180520A1 (ja) 監視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KR20150107032A (ko) 배터리 팩
KR20180026947A (ko) 전력 공급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90075609A (ko) 전류 센서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26948A (ko) 전력 공급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50061595A1 (en) Battery protection system and battery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88153A (ko) 전류 센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3965257A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er for reducing inrush current
KR102117315B1 (ko) 배터리 장치
US20200358297A1 (en) Battery pack
US20200389034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