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732A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732A
KR20180028732A KR1020160116434A KR20160116434A KR20180028732A KR 20180028732 A KR20180028732 A KR 20180028732A KR 1020160116434 A KR1020160116434 A KR 1020160116434A KR 20160116434 A KR20160116434 A KR 20160116434A KR 20180028732 A KR20180028732 A KR 20180028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air
fan
cover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755B1 (ko
Inventor
김경목
권명근
오유정
전인기
성한준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755B1/ko
Priority to EP17849068.6A priority patent/EP3488150B1/en
Priority to EP21210425.1A priority patent/EP3978813A1/en
Priority to US15/696,328 priority patent/US10914473B2/en
Priority to CN201780055441.3A priority patent/CN109690194B/zh
Priority to PCT/KR2017/009745 priority patent/WO2018048184A1/en
Publication of KR2018002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24C14/02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pyroly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5Coatings for ov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3/00Apparatus in which combustion takes place in the presence of cataly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24C15/2014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with means for oxidation of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24C15/205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with means for oxidation of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실 내부의 오염도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조리실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충돌 되는 충돌 영역을 포함하여 공기의 충돌에 의해 응결되는 유증기를 밀집성있게 충돌 영역에 포집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이 변화되는 측에 충돌 영역이 배치되어 공기의 충돌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기를 조리실 전방측으로 가이드하여 공기의 순환성을 높이며 조리실 내부 청소의 편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븐 조기실 내부의 오염을 저감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 장치와, 가열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 팬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조리물이 가열될 시 조리물의 표면에서 수증기와 함께 연소산화물, 유증기(oil mist) 등이 발생하게 되는 일반 조리 온도(150~250도)에서 발생되는 유증기 등은 외부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일부분이 조리실 내벽에 남게 되어 장기 사용 시 내벽의 오염 및 냄새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 때 유증기는 조리실 내벽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사용자가 청소하는데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실 내벽에 분포되는 유증기의 분포를 밀집시켜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리실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밀집되게 분포된 유증기를 용이하게 연소시켜사용자의 청소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충돌되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마련되는 충돌 영역과 상기 팬을 커버하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돌 영역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조리실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영역은 상기 공기유로 상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공기유로는 상기 팬과 상기 충돌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제 1유로와 상기 충돌 영역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제 1유로에 대해 8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고 상기 조리실 일측과 연결되는 상기 조리실 타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조리실 일측에서부터 상기 조리실 타측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히터와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재 측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충돌 영역은 상기 조리실의 일측과 상기 조리실의 타측이 연결되는 모서리 측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가 연소될 시 촉매로 작용되도록 상기 충돌 영역 표면 상에 배치되는 촉매 코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를 가열하도록 상기 충돌 영역 표면에 배치되는 면상 발열 코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를 가열하도록 상기 충돌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조 히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열선과 상기 열선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열선과 상기 열선을 커버하는 메시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팬의 원주 방향 외측으로는 상기 팬을 둘러싸는 팬측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 상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커버부재 외측으로 토출되는 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충돌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영역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충돌 부재 상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조리실의 일측과 연결되는 상기 조리실의 타측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충돌 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조리실의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충돌 부재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되는 원형의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중심측과 상기 유입구의 원주 일측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유입구의 원주 일측에 인접한 팬의 원주 일측과 상기 토출구까지의 거리가 더 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는 팬과 상기 팬을 커버하고, 상기 조리실 일측과 인접한 상기 조리실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조리실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리실의 일측과 상기 조리실의 타측이 연결되는 모서리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충돌되는 충돌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공기유로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충돌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제 1유로와 상기 충돌 영역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제 1유로에 대해 8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또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가 연소될 시 유증기의 연소를 촉진시키도록 상기 충돌 영역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연소 촉진 코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되는 유증기(oil mist)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는 팬과 상기 팬을 커버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 및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된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포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된 유증기가 상기 포집 영역과 충돌하여 상기 포집 영역에 포집되도록 유증기를 상기 포집 영역측으로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실 내부의 유증기를 조리실의 일측에 밀집성있게 포집하여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며 밀집되어 있는 유증기를 용이하게 연소시켜 청소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리실과 내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리실과 내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커버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면 및 전방은 도 1에 도시된 오븐(1)을 기준으로 앞으로 보이는 전면 및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오븐(1)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 또는 케이스 및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이하에서는 통칭하여 오븐이라 한다.)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측으로 위치하는 조리실(20)과 오븐(1)의 상단에 마련되고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 놓고 가열시킬 수 있는 쿡탑(3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케이스(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 케이스(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3) 및 케이스(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박스형태로 케이스(10) 내측으로 마련되고 조리물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전면패널(11)에는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20)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개구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은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실 내부를 가질 수 잇다.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케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10) 하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도어(4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40)는 조리실(20) 내부의 조리물의 조리 과정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투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의 내측으로는 복수의 유리부재(4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투시부(42)를 통해 조리실(20)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으로 유리 이외에 투명한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40)의 하단에는 도어(40)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도어 흡입구(44)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도어(40) 외측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공기의 순환을 통해 도어(40) 내부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함이다.
도어(40) 하단에서 유입된 외기는 도어(40)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20)에서 전달되는 열기와 열교환 된 후 도어(40)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 토출구(45)에 의해 토출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하측에는 조리 용기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5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50)은 슬라이딩 이동으로 오븐(1)의 전후방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대(21)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21)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랙(23)을 장착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21)는 조리실(20)의 좌측벽과 우측벽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21)에는 조리실(20)을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미도시)가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더(미도시)는 조리실(20)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조리실(20)을 복수개로 분할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실(20)은 각각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디바이더(미도시)는 단열 재질을 가지고, 각각의 조리실(20)을 단열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리실(20)을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조리실(20)에는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히터(8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80)는 전기 저항체를 포함하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히터(80)는 조리실(20)의 상측벽(20a)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리실(20)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조리실(20) 내부를 가열시킬 수 있다.
조리실(20)의 후측벽(20a)에는 조리실(20)의 공기를 순환시켜 조리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팬(90)과, 팬(90)을 구동시키는 모터(91)가 마련될 수 있다. 팬(90)의 원주방향으로 외주면 외측에는 팬측 히터(92)이 배치될 수 있다.
팬(90)의 전방에는 팬(90)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전면패널(11)의 전면 상부에는 오븐(1)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60)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0)은 전장실 커버(15)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 커버(15)에는 오븐(1)을 추가적으로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조작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오븐(1)은 디스플레이 모듈(60)을 포함한 각종 부속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품을 수용하는 전장실(70)을 갖는다. 전장실(70)의 조리실(20)의 상부에 마련된다. 전장실(70)과 조리실(20)의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열기가 전장실(7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장실(70)과 조리실(20)을 단열하는 단열재(7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71)는 전장실(70)과 조리실(20) 뿐만 아니라 조리실(20)의 열기가 오븐(1)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조리실(20) 외측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20)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전장실(70)을 냉각시키는 냉각 구조를 갖는다. 오븐(1)의 냉각 구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 유닛(72)과, 냉각팬 유닛(7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오븐(1)의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냉각 유로(7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 외부의 공기는 후면패널(14)에 형성된 통공(14a)을 통해 전장실(70)로 흡입되고, 전장실(7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7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에 냉각 유로(73)를 따라 토출구(74)를 통해 오븐(1)의 전방으로 최종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일부 공기는 배기유로(75)를 통해 냉각 유로(73)측으로 흡입되어 오븐(1)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로(73)에서 토출구(74)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배기 유로(75)로 유입시키는 바이패스 홀(76)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홀(76)은 개폐 장치(77)에 의해 개폐되고, 바이패스 홀(76)의 개폐에 따라 냉각 유로(75)로 배기되는 조리실(20)의 공기의 배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실(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90)과 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00)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0)는 팬(90)이 배치되는 조리실(20)의 후측벽(20a)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팬(90)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10)에서 유입된 공기는 커버부재(100)의 후면과 조리실(2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130)를 통해 토출구(120)로 토출될 수 있다.
유입구(110) 상에는 이물질이 커버부재(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그릴(160)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팬(90)과 후측벽(20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후측벽(20a)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1커버부(101)와 조리실(20)의 상측벽(20b)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후측벽(20a)에서 절곡되어 상측벽(20b)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2커버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후측벽(20a)과 상측벽(20b)이 연결되는 제 1모서리부(20c) 측에서 절곡되는 절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40)는 제 1커버부(101)와 제 2커버부(102)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절곡부(140)에 의해 후측벽(20a)에서부터 상측벽(20b)까지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유입구(110)는 제 1커버부(101)에 배치되며 토출구(120)는 제 2커버부(10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유로(130)는 커버부재(100)의 후면과 후측벽(20a)과 상측벽(20b)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공기유로(130)는 ??자 형태로 형성되어 대략 90도의 공기 유동각을 가질 수 있다.
제 2커버부(102)는 상측벽(20b)과 이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커버부(102)의 상측벽(20b)과 마주하는 면은 상술한 공기 유로(130)를 형성하며, 제 2커버부(102)의 반대측 면에는 히터(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커버부(102)의 반대측 면에는 히터(80)가 배치되도록 복수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80)의 열선(81)은 제 2커버부(102)의 오목한 요철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커버부(102)의 볼록한 요철 측에는 토출구(1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2커버부(1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히터(80)는 제 2커버부(102)의 반대측 면이 아닌 조리실(20) 내측의 다른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조리실(20)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는 팬(90)에 의하여 조리실(20) 후측벽(20a) 측으로 이동하여 커버부재(100)로 유입되고 팬(90)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팬측 히터(92)에 의해 가열된다.
이후 공기유로(130)를 따라 상측벽(20b) 측으로 유동되고 상측벽(20b)에서 하측벽(20d)로 향하는 토출구(120)로 토출된다.
히터(80)는 토출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고가열된 공기는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하면서 다시 팬(90)에 의하여 후측벽(20a)측으로 이동된다.
공기유로(130)는 제 1커버부(101)와 후측벽(20a)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유로(131)와 제 1유로(131)에서 연장되고 제 2커버부(102)와 상측벽(20b)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유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로(131)와 제 2유로(132)는 절곡부(140)에 의해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유로(132)는 제 1유로(131)에 대해 8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 2유로(132)는 제 1유로(131)에 대해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유입구(110)를 통해 커버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 1유로(131)를 통해 조리실(20)의 상측으로 유동된 후 제 2유로(132)를 따라 조리실(20)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조리실(20)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토출구(120)를 통해 조리실(20)의 하측벽(20d)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제 1유로(131)와 제 2유로(132)는 절곡부(140)와 제 1모서리부(20c) 사이에서 연결되는데 순환되는 공기는 제 1유로(131)에 의해 상측벽(20b)을 향해 가이드되고 제 1모서리부(20c)와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에 충돌된 후 제 2유로(132)에 의해 가이드되어 토출구(12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커버부재(100)에 의해 제 1모서리부(20c) 또는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에 충돌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조리실(20) 내부에는 공기 유로(130)를 유동하는 공기가 충돌되는 제 1모서리부(20c)와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에 마련되는 충돌 영역(150)을 포함할 수 있다.
충돌 영역(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유로(130)를 따라 공기가 충돌되는 영역으로 일 영역으로 특정되지 않으며 공기유로(130)와 후측벽(20a)과 상측벽(20b) 및 제 1모서리부(20c)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충돌 영역(150)은 공기 유로(130) 상에 마련되어 유동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충돌 영역(150)과 충돌될 수 있다.
종래의 오븐의 경우 조리 시 발생하는 유증기(oil mist)가 팬을 통해 조리실 내부 전체로 순환되면서 조리실 내부를 이루는 5개의 내벽 및 도어 후면에 충돌되어 조리실 전체가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실을 전반적으로 청소해야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커버부재(100)에 의해 충돌 영역(150)에 충돌하게 하여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하는 유증기의 대부분이 충돌 영역(150)에 포집되게 하여 조리실(20) 전반적으로 유증기가 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유증기는 400℃~500℃ 사이의 고열 가열 시 연소되나 일반적인 조리온도(150~250℃)에서는 조리실(20)의 일측과 충돌될 경우 조리실(20)의 일측 상에서 응결되어 조리실(20)의 일측에 포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븐(1)은 유증기가 충돌되어 응결되는 충돌 영역(150)을 포함하여 유증기를 조리실(20) 내부의 밀집된 공간에 포집할 수 있다.
충돌 영역(150)은 공기 유로(13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충돌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유증기가 공기와 함께 충돌되는 영역이며, 유증기는 충돌과 함께 충돌 영역(150) 상에 포집되는 바 이를 포집 영역이라고도 명명할 수 있다.
충돌 영역(150)은 제 1유로(13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충돌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제 2유로(132)로 유동되게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충돌 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유증기를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영역(150)은 팬(90)에 의해 조리실(20) 후방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조리실(20) 전방측으로 가이드하여 조리실(20)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순환되는 공기 중의 유증기를 포집하여 충돌 영역(150) 외의 조리실(20)을 이루는 공간에서 유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0)는 팬(90)의 회전축에서부터 팬(9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인 제 1거리(A)가 팬(90)의 외주면에서부터 토출구(120)까지의 직선거리인 제 2거리(B)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는 팬(90)에 의해 커버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후 팬(90)의 외주면 측에 배치되는 팬측 히터(92)에 의해 가열되고 공기유로(130)를 따라 토출구(120)로 유동될 수 있다.
고온의 팬측 히터(92)에 가열된 후 공기 유로(13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팬측 히터(92)와 멀어질수록 온도가 냉각되어 유증기가 응결될 수 있는 온도에 다다를 수 있는데 되어 토출되게 되는데 응결 온도에 다다를 때 유증기가 조리실(20) 내벽의 어느 일측에 충돌될 경우 조리실(20) 내벽의 어느 일측의 표면에 응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실(20) 내벽에 응결되는 유증기량이 증가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팬(90)의 외주면에서부터 토출구(120) 사이의 거리인 제 2거리(B)를 적어도 공기가 커버부재(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거리인 제 1거리(A)보다 길게 설정하여 조리실(20) 내측 벽에 응결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 2거리(B)를 길게 설정하여 팬측 히터(92)에 가열된 공기가 토출구(120)를 통해 토출되기전에 공기 유로(130) 상에서 응결되어 조리실(20) 내부에서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공기 유로(130) 내에서 유증기가 응결되는 경우, 팬측 히터(92)를 간헐적으로 가동시켜 유증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조리실(20) 내부에 유증기가 응결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심미감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충돌 영역(150)에 포집된 유증기를 제거하는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영역(150)은 충돌 영역(150)의 표면에 포집되는 유증기의 연소를 촉진시키는 연소 촉진 코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오븐의 경우 조리실 내부에서 응결된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븐의 청소 행정 시 히터를 통해 조리실 내부를 고온 가열하여 유증기를 연소시킬 수 있었다.
이 때 히터는 400℃~500℃의 온도로 조리실을 가열하는데 청소 행정을 위한 온도에 다다르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청소 행정이 종료되고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냉각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많이 필요하여 청소 행정이 구현되는 동안 소요되는 시간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 행정에서는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150~250℃로 유지되기 때문에 일부 유증기는 조리 행정 시 조리실 내부와 충돌되어 조리실 내부에 응결되는 분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은 유증기가 밀집 포집되는 충돌 영역(150)에서 조리 행정 시에도 응결된 유증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연소 촉진 코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 촉진 코팅부(151)는 충돌 영역(150)의 표면에 레이어드되는 표면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되는 공기 중의 유증기는 연소 촉진 코팅부(151)의 표면에 충돌되고 응결될 수 있다.
연소 촉진 코팅부(151)는 400℃ 이하의 온도에서도 연소 촉진 코팅부(151)에 응결된 유증기가 연소될 수 있도록 유증기의 연소를 돕는다. 따라서 오븐(1)의 청소 행정이 아닌 조리 행정에서도 유증기의 일부를 연소시켜 청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연소 촉진 코팅부(151)는 유증기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화학 분해를 촉진시키는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코팅(catalytic coating)을 포함할 수 있다.
Triglyceride를 포함하는 유증기는 400℃ 이상의 고온에서 탄소분자와 이산화탄소 및 물로 분해될 수 있다. 고온으로 유증기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백금(Pt)이나 팔라듐(Pd)와 같은 성분이 첨가되는 경우 유증기는 대략 300℃의 온도에서 연소되어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 촉진 코팅부(151)는 백금 또는 팔라듐과 같은 촉매요소가 코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소 촉진 코팅부(151)의 표면에 포집된 유증기가 가열될 시 연소 촉진 코팅부(151)의 표면을 이루는 백금 또는 팔라듐 등이 촉매 역할을 하여 400℃ 이하의 온도에서도 충돌 영역(150)에 포집된 유증기가 연소될 수 있도록 유증기의 연소를 도울 수 있다.
연소 촉진 코팅부(151)는 면상 발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면상 발열 코팅은 전기의 연결으로 발열이 가능한 발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소 촉진 코팅부(151)에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전선을 따라 면상 발열 코팅에 전기가 가압되면 발열 물질이 발열하여 연소 촉진 코팅부(151)의 표면이 가열될 수 있다.
면상 발열 코팅은 전기가 가압될 경우 400℃ 이상의 고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 촉진 코팅부(151)와 충돌하여 포집된 유증기는 면상 발열 코팅의 가열로 연소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80)를 400℃ 이상으로 가열하지 않고도 포집된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오븐(1)의 청소 행정뿐만 아니라 조리 행정 시에도 면상 발열 코팅의 가열로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 상의 유증기를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조리실(20)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충돌 영역(150)에 배치되는 보조 히터(15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팬측 히터(152)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영역(150)은 충돌 영역(150)을 가열하는 극부 가열용 보조 히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히터(152)는 충돌 영역(15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충돌 영역(150)에 포집된 유증기를 가열 시켜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히터(152)는 오븐(1)의 청소 행정 시나 조리 행정 시에 간헐적으로 가동되어 수시로 충돌 영역(150)에 포집된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되는 공기 상의 유증기를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조리실(20)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히터(80)의 핀(82) 및 히터(80')의 메시부재(83)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히터(80, 80') 등에 대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1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80)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1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하기 전에 히터(80)에 인접한 영역을 관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히터(80)는 히터(80)와 인접한 영역을 통과하는 토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히터(80)에 충돌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유증기가 조리실(20) 내부와 충돌되어 응결되기 전에 히터(80) 측에 포집시켜 조리실(2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터(80)는 가열되는 열선(81)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82)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핀(82) 열선(81)을 따라 이격 배치됨에 따라 히터(80)와 인접한 영역을 관통하는 토출 공기들이 복수의 핀(82)과 충돌할 수 있다.
복수의 핀(82)에 충돌한 공기에 포함되는 유증기는 복수의 핀(82)과 충돌 후 복수의 핀(82) 표면에 응결되어 복수의 핀(82)에 포집될 수 있다.
히터(80)는 조리실(20) 내부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열선(81)을 가열시키고 열선(81')에 연결되는 복수의 핀(82)도 열선(81)이 가열되는 온도와 대응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열선(81)이 가열됨에 따라 복수의 핀(82)이 4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복수의 핀(82)에 포집된 유증기들은 연소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히터(80')는 가열되는 열선(8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메시 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 부재(83)는 상술한 복수의 핀(82)과 같이 히터(80')와 인접한 영역을 관통하는 토출 공기에 포함되는 유증기를 포집할 수 있다. 즉, 토출 공기가 메시 부재(83)와 충돌하면서 토출 공기 상의 유증기는 메시 부재(83)와 충돌된 후 메시 부재(83)의 표면상에서 응결되어 메시 부재(83)에 포집될 수 있다.
히터(80')의 가열에 의해 메시 부재(83) 표면의 온도가 4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복수의 핀(82)에 포집된 유증기들은 연소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메시 부재(83)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메시 형태뿐만 아니라 유증기를 포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히터(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히터(80") 등에 대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에 포함되는 유증기가 조리실(20) 내부로 순환되기 전에 히터(80") 측에서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은 열선(81")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80")가 배치되는 제 2커버부(102") 상에 최대한 표면적이 넓은 열선(81")을 배치하기 위하여 열선(81")은 히터(80")의 최외곽 측에서부터 중심측으로 향하는 환형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열선(81")의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히터(80")와 인접한 영역을 관통하면서 열선(81")에 충돌되는 토출 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선(81")의 표면적에 포집되는 유증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열선(81")이 가열될 경우 열선(81")의 표면 상에서 포집된 유증기는 연소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열선(8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커버부(102") 상에서 열선(81")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열선은 복수의 절곡 형상을 가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161)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필터(161)에 대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유입구(110) 상에는 순환되는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161)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그릴(160)의 복수의 홀보다 더 작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필터가 그릴(16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하고 팬(90)에 의해 유입구(11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161)와 충돌시키고, 유입되는 공기의 충돌에 의해 필터(161)의 표면적에 유증기를 응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161)의 표면적에는 유증기를 포집할 수 있다. 이는 팬측 히터(9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필터()에 유증기를 포집하여 팬측 히터(92)를 가열시켜 유증기를 용이하게 제거시키기 위함이다.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오븐(1)의 청소 행정 시 히터(80) 또는 팬측 히터(92)를 가열하게 되는데 유증기가 히터(80) 또는 팬측 히터(92)와 먼 거리에서 포집될수록 히터(80) 또는 팬측 히터(92)에서 발생하는 열량이 적게 전달되어 히터(80) 또는 팬측 히터(92)의 열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161)는 팬측 히터(92)와 인접한 위치에서 유증기를 포집하여 팬측 히터(92)의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증기를 용이하게 제거함에 따라 조리실(20) 내측으로 유동되는 유증기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실(20) 내부에 응결되는 유증기의 양을 저감시켜 청소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커버부재(200)에 대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2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는 팬(90)이 배치되는 조리실(20)의 후측벽(20a) 측에서 팬(90)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200)는 후측벽(20a)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00)의 전방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마련되며 커버부재(200)의 상하측 양단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한 쌍의 토출구(22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측벽(20a)과 커버부재(200) 사이에는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230)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달리 한 쌍의 토출구(220)는 상측벽(20b)을 향하거나 하측벽(20d)을 향하도록 커버부재(2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토출구(220)에 대하여 커버부재(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토출구(2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토출구(220)는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한 쌍의 토출구(220)는 커버부재(200)의 상측에 마련되는 토출구(220)로 표현한다.
팬(90)에 의해 커버부재(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유로(230)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토출구(220)에 의해 커버부재(200)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조리실(20) 내벽에서 공기가 충돌되는 경우 공기 중의 유증기가 조리실(20) 내벽에서 충돌됨과 함께 충돌되는 표면에 응결되어 조리실(20) 내부 전체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재에서 공기가 산발적으로 토출될 경우 조리실(20) 내부 전체에 오염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청소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버부재(20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조리실(20)의 상측벽(20b) 자세하게는 상측벽(20b)과 후측벽(20a)이 연결되는 제 1모서리부(20c)에 집중적으로 토출시켜 제 1모서리부(20c)에 유증기를 집중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200)의 토출구(220)는 상측벽(20b)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조리실(20)의 상측벽(20b)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벽(20b)에 충돌된 후 조리실(20)의 전방 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조리실(20)의 제 1모서리부(20c)에는 토출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충돌되는 충돌 부재(280)가 배치될 수 있다. 충돌 부재(280)는 토출되는 공기가 충돌되면서 공기 중의 유증기가 충돌 부재(280)의 표면 상에서 응결되어 유증기를 포집할 수 있으며, 충돌되는 공기를 조리실(20) 전방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어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충돌 부재(280)는 커버부재(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상측에서부터 연장되어 커버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충돌 부재(280)는 커버부재(200)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돌 부재(280)는 후측벽(20a)에서 상측벽(20b)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충돌 부재(280)의 경사면은 조리실(20)의 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돌 부재(280)는 조리실(20)의 제 1모서리부(20c)를 커버할 수 있다.
토출구(220)에서 토출된 공기는 충돌 부재(280)의 경사면에 충돌되어 공기 중의 유증기는 충돌 부재(280)의 경사면에 포집되고, 경사면을 따라 조리실(20) 전방으로 가이드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는 충돌 부재(280)의 경사면에 충돌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의 충돌 영역(250)은 충돌 부재(280)의 경사면에 마련될 수 있다.
충돌 영역(250)에는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유증기가 밀집되게 포집되며 충돌 부재(28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80)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히터(80)는 4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어 히터(8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충돌 부재(280)에 포집된 유증기는 히터(80)에서 발생하는 고온에 의하여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다.
히터(80)와 떨어져있는 길이가 멀수록 히터(80)에서 발생하는 열이 도달되는 열량이 줄어들어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80)와 조리실(20) 내부 상에서 멀리 떨어진(충돌 부재보다 히터에서 멀리 이격된) 조리실(20) 내벽에 포집되는 유증기의 경우, 유증기가 연소될 수 있는 열량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여 유증기가 제거되는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충돌 부재(280)는 히터(8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바 히터(80)의 열이 용이하게 충돌 부재(280)에 포집된 유증기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배치된 토출구(2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충돌 부재(28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리실(20)의 하측벽(20d) 하방에 조리실(20) 외측에 배치된 히터(미도시)에 의해 열이 공급되어 충돌 부재((280) 상에 포집된 유증기가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부재(280)의 충동 영역(250)에는 연소 촉진 코팅부(15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충돌 영역(250)에 포집된 유증기의 연소를 도와 유증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연소 촉진 코팅부(151)는 상술한 촉매 코팅 또는 면상 발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부재(280)는 후측벽(20a)에서부터 제 1모서리부(20c)를 넘어 상측벽(20b)의 중심측과 인접한 영역까지 커버되도록 상측벽(20b)의 중심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벽(20b)측을 향해 토출되어 제 1모서리리부(20c) 측에 배치된 충돌 부재(280)와 충돌된 후 조리실(20)의 전방측을 향해 유동되는데 토출되는 공기는 제 1모서리부(20c)측 뿐만 아니라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과 충돌되기도 한다.
이 때 유증기는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 측과 충돌되어 상측벽(20b) 상에서 포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토출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 1모서리부(20c)에서 상측벽(20b)을 따라 유동되는데 공기의 유동 중에 유동 방향이 변하는 제 1모서리부(20c)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 측과 충돌되어 공기중의 유증기가 충돌 부재(280)뿐만 아니라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 측에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 측과 충될되는 공기 상의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충돌 부재(280)는 제 1모서리부(20c)와 인접한 상측벽(20b)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충돌 부재(280)가 상측벽(20b)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길이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실(20)의 크기, 팬(90)의 회전 속도 등을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충돌 부재(280)는 도 17과 같이 상측벽(20b)의 중심측까지 연장될 수 있으나 상측벽(20b)의 중심측과 제 1모서리부(20c) 사이의 어느 일측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측벽(20b)의 중심측보다 더 조리실(20)으 전방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커버부재(300)에 대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300)는 종래의 오븐에 개시되는 커버부재(300)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오븐에 개시되는 커버부재는 팬을 커버하며 커버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토출구에서 팬에 의해 커버부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어 조리실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조리실()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전반적인 조리실 내벽과 충돌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오븐(1)은 커버부재(300)의 외측에는 커버부재(300)의 외주면을 이격을 두고 둘러싸는 충돌 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토출구(3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조리실(20) 내벽과 충돌되기 전에 충돌 부재(380)와 1차적으로 충돌된 후 조리실(2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이 때 토출되는 공기는 충돌 부재(380)와 일차적으로 충돌되어 공기 중의 유증기가 충돌 부재(380)에 포집될 수 있다. 공기 중의 유증기가 충돌 부재(380)에 의해 포집된 상태에서 공기가 조리실(20)을 순환하기 때문에 조리실(20) 내벽의 오염도가 저감될 수 있다.
충돌 부재(3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의 외주면의 둘레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32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충돌함과 동시에 조리실(20)의 전방측으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후측벽(20a)에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토출구(3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충돌 부재(380)의 경사면과 충돌하면서 공기중의 공기가 충돌 부재(380)의 경사면에 포집되고 경사면을 통해 조리실(20)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는 충돌 부재(380)의 경사면에 충돌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의 충돌 영역(350)은 충돌 부재(280)의 경사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커버부재(300)는 팬(90)의 회전축에서부터 팬(9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인 제 1거리(A)가 팬(90)의 외주면에서부터 토출구(320)까지의 직선거리인 제 2거리(B)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20)는 커버부재(30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300)의 측면측에 위치하는 커버부재(300)의 외주면은 제 2거리(B)가 제 1거리(A)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부재(380)의 충동 영역(350)에는 연소 촉진 코팅부(35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충돌 영역(350)에 포집된 유증기의 연소를 도와 유증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연소 촉진 코팅부(351)는 상술한 촉매 코팅 또는 면상 발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오븐 10 : 케이스
11: 전면패널 12: 개구부
13: 측면패널 20: 조리실
21: 지지대 30 : 쿡탑
40 : 도어 50 : 저장실
60 : 디스플레이 모듈 70: 전장실
71 : 단열재 72 : 냉각팬 유닛
73 : 냉각유로 74 : 토출구
75 : 배기유로 76: 바이패스 홀
77 : 개폐 장치 90 : 팬
91 : 모터 92 : 팬측 히터
100 : 커버부재 101 : 제 1커버부
102 : 제 2커버부 110: 유입구
120 : 토출구 130 : 공기 유로
140 : 절곡부 150 : 충돌 영역
151 : 연소 촉진 코팅부 160 : 그릴
161 : 필터 280 : 충돌 부재

Claims (2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충돌되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마련되는 충돌 영역;
    상기 팬을 커버하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돌 영역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조리실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영역은 상기 공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공기유로는 상기 팬과 상기 충돌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제 1유로와 상기 충돌 영역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제 1유로에 대해 8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고 상기 조리실 일측과 연결되는 상기 조리실 타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조리실 일측에서부터 상기 조리실 타측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히터와 대응되는 상기 커버부재 측에 마련되는 오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영역은 상기 조리실의 일측과 상기 조리실의 타측이 연결되는 모서리 측에 마련되는 오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가 연소될 시 촉매로 작용되도록 상기 충돌 영역 표면 상에 배치되는 촉매 코팅부를 포함하는 오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를 가열하도록 상기 충돌 영역 표면에 배치되는 면상 발열 코팅부를 포함하는 오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를 가열하도록 상기 충돌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조 히터를 포함하는 오븐.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열선과 상기 열선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오븐.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열선과 상기 열선을 커버하는 메시 부재를 포함하는 오븐.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원주 방향 외측으로는 상기 팬을 둘러싸는 팬측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 상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오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커버부재 외측으로 토출되는 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충돌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영역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충돌 부재 상에 마련되는 오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조리실의 일측과 연결되는 상기 조리실의 타측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충돌 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조리실의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오븐.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부재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오븐.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되는 원형의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중심측과 상기 유입구의 원주 일측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유입구의 원주 일측에 인접한 팬의 원주 일측과 상기 토출구까지의 거리가 더 길도록 배치되는 오븐.
  16.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는 팬;
    상기 팬을 커버하고, 상기 조리실 일측과 인접한 상기 조리실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조리실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오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일측과 상기 조리실의 타측이 연결되는 모서리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충돌되는 충돌 영역을 포함하는 오븐.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공기유로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충돌 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제 1유로와 상기 충돌 영역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제 1유로에 대해 8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오븐.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영역은 순환되는 공기의 충돌로 상기 충돌 영역에 포집되는 유증기(oil mist)가 연소될 시 유증기의 연소를 촉진시키도록 상기 충돌 영역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연소 촉진 코팅부를 포함하는 오븐.
  20.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되는 유증기(oil mist)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는 팬;
    상기 팬을 커버도록 상기 조리실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 및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된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포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된 유증기가 상기 포집 영역과 충돌하여 상기 포집 영역에 포집되도록 유증기를 상기 포집 영역측으로 가이드하는 오븐
KR1020160116434A 2016-09-09 2016-09-09 오븐 KR10255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34A KR102556755B1 (ko) 2016-09-09 2016-09-09 오븐
EP17849068.6A EP3488150B1 (en) 2016-09-09 2017-09-06 Oven
EP21210425.1A EP3978813A1 (en) 2016-09-09 2017-09-06 Oven
US15/696,328 US10914473B2 (en) 2016-09-09 2017-09-06 Oven
CN201780055441.3A CN109690194B (zh) 2016-09-09 2017-09-06 烤箱
PCT/KR2017/009745 WO2018048184A1 (en) 2016-09-09 2017-09-06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34A KR102556755B1 (ko) 2016-09-09 2016-09-09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732A true KR20180028732A (ko) 2018-03-19
KR102556755B1 KR102556755B1 (ko) 2023-07-18

Family

ID=6155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434A KR102556755B1 (ko) 2016-09-09 2016-09-09 오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14473B2 (ko)
EP (2) EP3488150B1 (ko)
KR (1) KR102556755B1 (ko)
CN (1) CN109690194B (ko)
WO (1) WO20180481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941A (ko) * 2020-09-18 2022-04-19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열선 기름막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520811U (zh) * 2019-01-24 2020-05-15 斯蒂尔斯通集团有限责任公司 烤箱
AU2020314733B2 (en) 2019-07-15 2022-07-14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20210115331A (ko) * 2020-03-12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및 이에 포함되는 에어 가이드
WO2022261460A1 (en) * 2021-06-11 2022-12-15 Rehm Brands, Inc. Oven with heat manage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341A (ja) * 2001-12-28 2003-07-09 Sharp Corp 加熱調理器
US20050051529A1 (en) * 2003-05-15 2005-03-10 Enodids Corporation Cooking device with smoke and odor abatement
US7834299B2 (en) * 2004-12-14 2010-11-16 Enodis Corporation Impingement/convection/microwave oven and method
US20140238382A1 (en) * 2013-02-25 2014-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cing pre-heat time in an ove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117236A (ko) * 1971-12-16 1973-06-19
DE2442940A1 (de) * 1974-09-07 1976-03-18 Gaggenau Werke Warmluftbackofen mit luftumwaelzung
JPS5251139A (en) 1975-10-22 1977-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FR2334916A1 (fr) 1975-12-09 1977-07-08 Scholtes Ets Eugen Four electrique de cuisson a usage menager
JPS54124758U (ko) * 1978-02-20 1979-08-31
GB2156690B (en) 1983-08-26 1987-03-18 Walter Brian Gavin Frame for snooker balls
US5818014A (en) 1990-01-10 1998-10-06 Patentsmith Technology, Ltd. Air dispensers for microwave oven
DE19730421A1 (de) * 1997-07-16 1999-01-21 Aeg Hausgeraete Gmbh Heißluft- oder Umluftofen mit einem vom Heißluft- bzw. Umluftstrom abgeschirmten und im Garraum angeordneten Temperaturfühler
DE19831087A1 (de) * 1998-07-10 2000-01-13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Backofen mit Luftleitblech
DE59904891D1 (de) 1998-10-22 2003-05-08 Rational Ag Gargerät mit katalysator
CN1175210C (zh) 1999-08-21 2004-11-10 Lg电子株式会社 组合式微波炉和通风罩
US6872919B2 (en) * 2000-08-29 2005-03-29 Maytag Corporation Multi-stage catalyst for a cooking appliance
US7308852B2 (en) * 2001-12-28 2007-12-18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ing device
US20040069764A1 (en) * 2002-07-23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at cooking apparatus and self-cleaning function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398628B (en) 2003-02-20 2005-09-21 Merrychef Ltd Ovens with catalytic converters
DE10313913A1 (de) * 2003-03-27 2004-10-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KR100988570B1 (ko) * 2003-04-10 2010-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US7109447B2 (en) * 2004-04-08 2006-09-19 Maytag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employing convection and radiant cooking
JP2007064504A (ja) 2005-08-29 2007-03-15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KR100820809B1 (ko) 2005-12-19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ITMO20060333A1 (it) * 2006-10-17 2008-04-18 Gilberto Cattaneo Applicazione di dispositivi di convogliamento d'aria, all'interno di forni statici a convenzione con ventilazione orizzontale sia ad uso professionale che domestici, atti a convogliare l'aria nel mezzo del forno.
KR101207304B1 (ko) * 2007-06-13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ITVR20070128A1 (it) * 2007-09-13 2009-03-14 Inoxtrend S R L Forno a convezione
KR20120001884A (ko) 2010-06-30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용 조리용기
ITPD20110330A1 (it) * 2011-10-20 2013-04-21 Effeuno Srl Forno elettrico
US9683747B2 (en) 2011-12-16 2017-06-20 Alto-Shaam, Inc. Combination oven with catalytic converter
KR101306428B1 (ko) 2012-11-15 2013-09-09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
JP5629838B1 (ja) 2014-01-31 2014-11-2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2291276B1 (ko) 2014-12-19 2021-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2305832B1 (ko) 2015-01-05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오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341A (ja) * 2001-12-28 2003-07-09 Sharp Corp 加熱調理器
US20050051529A1 (en) * 2003-05-15 2005-03-10 Enodids Corporation Cooking device with smoke and odor abatement
US7834299B2 (en) * 2004-12-14 2010-11-16 Enodis Corporation Impingement/convection/microwave oven and method
US20140238382A1 (en) * 2013-02-25 2014-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cing pre-heat time in an ov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941A (ko) * 2020-09-18 2022-04-19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열선 기름막이
KR20220051039A (ko) * 2020-09-18 2022-04-26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열선 기름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73742A1 (en) 2018-03-15
CN109690194B (zh) 2020-12-01
EP3978813A1 (en) 2022-04-06
EP3488150A4 (en) 2019-10-23
KR102556755B1 (ko) 2023-07-18
CN109690194A (zh) 2019-04-26
EP3488150A1 (en) 2019-05-29
WO2018048184A1 (en) 2018-03-15
US10914473B2 (en) 2021-02-09
EP3488150B1 (en)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8732A (ko) 오븐
KR102124833B1 (ko) 오븐
EP1731843B1 (en) Oven
EP1795812B1 (en) Cooking appliance
CN107802186B (zh) 烤箱
JP4603901B2 (ja) ビルトイン型キッチン機器
EP1801505A2 (en) Electric oven
US11466867B2 (en) Oven
US20130019762A1 (en) Condensate guiding system and steam cooker including the same
US6723970B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KR101291272B1 (ko) 조리기기
US7019272B2 (en) Wall mounted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ventilation system
JP2016099010A (ja) 加熱調理器
EP3702671B1 (en) Cooking apparatus
KR100795539B1 (ko) 조리기기
KR20200012307A (ko) 조리기기
KR20240026782A (ko) 오븐
KR100819593B1 (ko) 조리기기
KR100646875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열배출구조
JP4776356B2 (ja) 電気調理器
KR200371476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배기장치
KR100646882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배기구조
KR100780335B1 (ko) 가열조리장치
JP2006017389A (ja) 加熱調理器
JPH10185200A (ja) コンベクションオーブ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