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539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539B1
KR100795539B1 KR1020060104532A KR20060104532A KR100795539B1 KR 100795539 B1 KR100795539 B1 KR 100795539B1 KR 1020060104532 A KR1020060104532 A KR 1020060104532A KR 20060104532 A KR20060104532 A KR 20060104532A KR 100795539 B1 KR100795539 B1 KR 10079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control panel
cook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김완수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6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the refrigerating air being used for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의 발열이나 전자파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트롤 패널이 도어와 분리된 경우 캐비닛 내 송풍기에 의해 상기 캐비닛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사이를 경유하여 배기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도어와 일체로 세팅된 경우 상기 캐비닛 내 송풍기에 의해 상기 캐비닛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의 컨트롤 패널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된 도어 에어 갭을 경유하여 배기토록 구성되어, 상기 도어 및 컨트롤 패널이 충분히 냉각될 수 있고, 상기 도어의 오염물 침투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의 청결 및 상기 도어의 가시화 유지 관리가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조리기기, 오븐, 전기 오븐, 조리실, 도어, 컨트롤 패널, 송풍기, 냉각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닫힘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열림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방열 부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1비교 예로서, 도 3과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2비교 예로서, 도 3과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로서, 도 4와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닫힘시 외관 사시도이 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열림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로서, 도 12와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로서, 도 13과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있어서, 방열 부재의 적용 여부에 따른 도어의 냉각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캐비닛 개구부 2; 캐비닛
3; 도어 에어 갭 4; 도어
6; 컨트롤 패널 10; 프레임
12; 베이스 패널 14; 리어 플레이트
16; 프론트 플레이트 20; 조리실
21; 조리실 개구부 64; 송풍기
96; 방열 부재 97; 제1방열부
98; 제2방열부
본 발명은 히터의 발열이나 전자파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및 컨트롤 패널이 캐비닛 내 송풍기에 의한 송풍 공기에 의해 직접 냉각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히터의 발열이나 전자파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 작동되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 내 온도가 상당히 고온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상기 고온의 조리실 내 열기가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로 전달되어 상기 조리실 내 온도에 따라 상기 도어의 표면 온도가 조리기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정도로 올라갈 수 있다. 또한 조리실 내 열기가 조리기기의 전자 제어 조작을 위한 컨트롤 패널에도 전달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 내 전장부품이 오동작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 내 온도가 상기 도어의 표면 온도나 상기 컨트롤 패널의 열해 때문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상기 도어, 특히 조리기기 사용자와 직접적인 접촉이 잦은 도어 핸들 및 컨트롤 패널의 능동적인 냉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풍기에 의해 캐비닛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도어와 컨트롤 패널을 능동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내부가 밀폐된 도어와; 상기 도어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흡기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사이를 경유하여 배기되게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송풍 공기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사이로 안내하는 컨트롤 패널 송풍 유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핸들과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1방열부와, 상기 제1방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송풍 공기와 접촉하는 제2방열부를 갖는 방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과의 사이에 도어 에어 갭이 구비되고 내부가 밀폐 된 베이스부를 갖는 도어와;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흡기되고, 상기 도어 에어 갭을 경유하여 배기되게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부는 상기 송풍 공기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도어 에어 갭으로 안내하는 컨트롤 패널 송풍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도어 에어 갭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송풍 공기가 배기되는 캐비닛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캐비닛 배기구와 대응되고 상기 도어 에어 갭의 일측과 연통된 제1도어 개구부와, 상기 도어 에어 갭의 타측과 연통된 제2도어 개구부를 갖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닫힘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열림 상태이고 외관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방열 부재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정면에 캐비닛 개구부(1)가 형성된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에 개폐 동작 가능토록 설치되고 내부가 밀폐된 도어(4)와, 상기 캐비닛(2)의 정면 상측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조리기기의 현 작동 상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된 컨트롤 패널(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캐비닛(2) 및 그 주변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2)은 상기 캐비닛(2)의 좌,우측면 및 상면을 이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2)의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2)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2)의 후면을 이루는 리어 플레이트(REAR PLATE)(14)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개구부(1)가 형성된 프론트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측면 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4)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캐비닛(2) 내부로 흡기될 수 있도록 캐비닛 흡기구(INLET)(10A)가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6)에는 후술할 송풍 유닛(60)에 의해 상기 캐비닛(2) 내부를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2)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캐비닛 배기구(OUTLET)(16A)가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는 상기 캐비닛(2)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이 공냉을 위해,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사이를 경유하여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6)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는 상기 캐비닛(2)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6) 내부를 냉각 후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사이로 통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6)의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는 상기 캐비닛(2)의 좌우방향으로 긴 슬롯 형상으 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는 상기 캐비닛(2)의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개구부(1)는 상기 캐비닛(2)의 정면 상측부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 패널(6)과 간섭 회피되고, 후술할 조리실 개구부(21)와 합치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6)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20)이 있다.
상기 조리실(20)은 상기 캐비닛(2)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캐비닛(2)의 하측에 편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20)은 음식물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도어(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그 정면에, 상기 캐비닛 개구부(1)와 대응되는 조리실 개구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20)에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랙(2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20)의 좌,우측 내벽에는 각각 상기 랙(22)의 착탈이 가능토록, 상기 랙(22)의 테두리가 전후방향으로 삽입/이탈될 수 있는 랙 레일(24)이 구비된다.
상기 랙 레일(24)은 상기 조리실(20) 내 랙(22)의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조리실(20)의 좌,우측 내벽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2)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20) 내 가열을 위한 조리실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열원은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리실(20) 내부 온 도가 신속하게 상승되면서도 균일하게 분산되게 함은 물론, 상기 조리실(20) 내 조리 대상의 특성에 적합한 열원 공급을 위해 상기 조리실 열원이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조리실 열원은 상기 조리실(20)의 상측에서 상기 조리실(20)로 열을 공급하는 상부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열원은 상기 조리실(20) 내 상측부에 위치되어 전기에 의해 발열될 수 있는 상부 히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리실 열원은 상기 조리실(20)의 하측에서 상기 조리실(20)로 열을 공급하는 하부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열원은 상기 조리실(20) 내 하측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조리실(20) 하측에 위치되어 전기에 의해 발열될 수 있는 하부 히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4)는 전도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0)로 열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조리실(20)과 하부 히터 덕트를 통해 연결되어 대류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0)에 열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조리실 열원은 상기 조리실(20)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36)은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리실 열원은 상기 조리실(20)의 후방에 위치도어 강제 대류를 형성하여 상기 조리실(20)로 열을 공급하는 컨벡션 열원(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2)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 후방 또는 상기 조리실(20)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6)과 통신 가능토록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 열원을 비롯한 조리기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전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2) 내부에는 상기 전장부가 방열되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 또는 컨트롤 패널(6)도 방열되게 할 수 있는 송풍 유닛(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유닛(60)은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 외측에 상기 캐비닛 흡기구(10A)와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와 연통되고 상기 전장부(50)를 경유토록 구비된 송풍 유로(62)와, 상기 송풍 유로(62) 상에 위치되어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 흡기구(10A)에서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를 향해 유동되게 하는 송풍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유로(62)는 덕트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전장부가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 후방 및 조리실(20) 상측에 위치되는 바,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 후방 공간과 조리실(20) 상측 공간이 상기 송풍 유로(62)를 겸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64)는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의 좌,우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풍기(64)가 상기 캐비닛(2) 내 조리실(20)의 후방에 위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상기 도어(4)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어(4)는 상기 도어(4)의 하측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과 도어 힌지(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도어(4)는 상기 도어(4)가 닫힌 상태로 잠기거나 상기 도어(4)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래치(84)를 통해 상기 캐비닛(2)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어(4)는 닫힘시 대략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고, 열림시 대략 수평하게 놓이는 바,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도어(4)의 상하방향 길이를 상기 도어(4)의 길이라 하고,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도어(4)의 좌우방향 폭을 상기 도어(4)의 폭이라 하고,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도어(4)의 전후방향 두께를 상기 도어(4)의 두께라 하고, 상기 도어(4)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도어 힌지(82) 쪽을 상기 도어(4)의 하측부라 하고, 상기 도어 힌지(82) 반대쪽을 상기 도(4)의 상측부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4)는 하나의 패널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이상의 복수 개의 패널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4)가 복수 개의 패널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제1도어 패널(70)과, 상기 제1도어 패널(70)과의 사이에 밀폐된 도어 에어 갭(71)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도어 패널(70)과 상기 조리실(20) 사이에 위치된 제2도어 패널(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 패널(70)은 상기 캐비닛 개구부(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 패널(70)에는 상기 도어(4)의 가시화를 위해 제1도어 패널 개구부(7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 패널 개구부(70A)는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조리실(2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 개구부(21)와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 패널(70)에는 상기 제1도어 패널 개구부(70A)를 덮을 수 있는 도어 아우터 글래스(74)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아우터 글래스(74)는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조리실(20)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도어 패널(70)보다 바깥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 패널(72)에는 상기 도어(4)의 가시화를 위해 제2도어 패널 개구부(7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 패널 개구부(72A)는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조리실(2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 개구부(21)와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 패널 개구부(72A)에는 상기 제2도어 패널 개구부(72A)를 차폐할 수 있는 도어 이너 글래스(7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 패널(72)의 하측부에는 상기 도어 힌지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 패널(72)의 상측부에는 상기 도어 래치(84)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4)는 상기 제1도어 패널(70)과 제2도어 패널(7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4)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도어 에어 갭(3)을 분할하는 도어 미들 글래스(7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4)는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도어(4)를 개폐 동작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도어 핸들(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D)은 상기 도어(4)의 개폐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도어(4)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도어 핸들(4D)은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사이를 경유하여 배기되는 송풍 공기에 의해 신속히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도어(4)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D)은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20)을 기준으로 상기 조리실(20)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핸들(4D)은 상기 도어 핸들(4D) 좌,우 양끝이 각각 상기 도어 아우터 글래스(74)에 접촉 결합되고, 상기 도어 아우터 글래스(74)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핸들(4D)의 좌,우 양끝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도어 아우터 글래스(7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한 도어(4)는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사이를원활히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하방향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6)과 소정 간격(4G) 이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컨트롤 패널(6)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6)은 상기 도어 래치(84)의 잠금/잠금 해제, 상기 조리실 열원의 작동 여부 등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입력을 위한 여러 입력부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현 상태를 표시하는 여러 표시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2)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6)을 냉각한 후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도어(4) 사이를 경 유하여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 공기를 상기 캐비닛(2)으로부터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도어(4) 사이로 안내하는 컨트롤 패널 송풍 유로(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송풍 유로(90)는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와 대응되는 상기 컨트롤 패널(6)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6)의 내부와 연통된 컨트롤 패널 흡기구와,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도어(4) 사이 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컨트롤 패널(6)의 타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6)의 내부와 연통된 컨트롤 패널 배기구(9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흡기구는 상상기 캐비닛 배기구(16A)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6)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 흡기구(92)는 상기 컨트롤 패널(6)의 후면 일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6)의 후면이 개방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6)의 후면 전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컨트롤 패널(6)의 후면 전부가 개방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 흡기구(92)를 겸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 배기구(94)는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도어(4) 사이 공간과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6)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 배기구(94)는 상기 도어(4)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6)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컨트롤 패널(6)의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기기 사용자와 직접적인 접촉이 잦은 도어 핸들(4D)이 보다 더 충분히 냉각되게 하는 방열 부재(9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96)는 상기 도어 핸들(4D)과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4)에 결합된 제1방열부(97)와, 상기 제1방열부(97)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송풍 공기와 접촉하는 제2방열부(9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방열부(97)는 상기 도어 핸들(4D)과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4)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도어(4)의 미관을 위해 상기 도어(4)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4)의 미관을 위해 상기 제1방열부(97)가 상기 도어(4)의 내측에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제1방열부(97)는 상기 도어(4)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 핸들(4D)이 충분히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 패널(70)과 도어 아우터 글래스(7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부(97)는 도 5a와 같이 상기 도어 핸들(4D)의 좌,우 양끝만 상기 도어(4)에 접촉되는 바, 상기 도어 핸들(4D)의 좌,우 양 끝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방열부(97)는 도 5b와 같이 셋 이상의 복수 개가 상기 도어(4)의 좌우방향으로 일렬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방열부(97)는 도 5c와 같이 상기 도어(4)의 좌우방향으로 상기 도어 핸들(4D)의 중앙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방열부(97)는 상기 도 5d와 같이 상기 도어 핸들(4D)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4)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부(98)는 상기 송풍 공기와의 접촉을 위해 적어도 상기 도어(4) 의 닫힘시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4), 특히 상기 도어(4)의 상면에 면접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부(98)는 상기 도어(4)의 방열 극대화를 위해 상기 도어(4)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도어(4)의 미관을 위해 상기 도어(4)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방열부(98)가 상기 도어(4)의 외측에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방열부(98)는 상기 도어(4)의 상면 일부에만 면접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도어(4)의 상면 전부에 면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방열부(98)가 상기 도어(4)의 상면 전부에 면접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방열부(98)는 하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방열부(98)가 하나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방열 부재(96)는 냉각 효과가 좋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열어서 조리할 음식물을 상기 조리실(20) 내부에 넣은 후 상기 도어(4)를 닫고, 상기 컨트롤 패널(6)을 조작하여 상기 조리실(20) 내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리 모드가 입력하거나, 상기 조리실(20) 내부를 비워 놓은 상태로 상기 조리실(20) 내 청소를 위한 셀프 클리닝 모드(Self cleaning mode)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조리 모드시에는 상기 조리실(20)의 내부에 넣어지는 음식물을 가능한 상기 랙(22) 위에 놓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모드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패널(6)을 조작하여 입력한 조리 정보나 기 설정된 알고리즘 등에 의해 상기 여러 조리실 열원, 상기 상부 히터(32), 하부 히터(34), 마그네트론(36), 컨벡션 열원(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작된다.
상기 상부 히터(32)가 동작되면 상기 상부 히터(32)에 의한 열원이 열전도 또는 열대류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조리실(2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하부 히터(34)가 동작되면 상기 하부 히터(34)에 의한 열원이 열전도 또는 열대류에 의해 상기 조리실(2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마그네트론(36)이 동작되면, 상기 마그네트론(36)에 생긴 고주파가 상기 조리실(2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컨벡션 열원(40)이 동작되면, 강제 대류가 형성되면서 상기 컨벡션 열원(40)의 열원이 상기 조리실(20)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20)의 내부에 상기 여러 조리실 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공급되면, 조리 모드시에는 상기 조리실(20) 내 음식물이 조리되고, 셀프 클리닝 모드시에는 상기 조리실(20) 내 오염물이 열분해되어 청소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리 모드 또는 셀프 클리닝 모드가 끝난 후, 상기 도어 핸들(8)을 잡고 상기 도어(4)를 앞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도어(4)가 상기 도어 힌지(82)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게 하면, 상기 캐비닛 개구부(1) 및 상기 조리실(20)의 조리실 개구부(21)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방된 캐비닛 개구부(1) 및 상기 조리실(20)의 조리실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조리실(20) 내 조리된 음식물을 꺼내거나 상기 열분해된 조리실(20) 내부를 마무리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20) 내부에 상기 조리실 열원이 공급되면, 상기 조리실(20) 내 온도가 실제 500℃ 이상으로 상기 조리실(20) 내부가 상당히 고온이 되기 때문에 상기 조리실(20) 내 열기가 상기 조리실(20)의 조리실 개구부(21)를 차폐하고 있는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그리고 상기 캐비닛(2) 내 전장부(50)로 전달되고, 상기 캐비닛(2) 내 전장부(50)가 상당히 고온으로 발열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리 모드 또는 셀프 클리닝 모드시에는 상기 송풍 유닛(60)이 동작되어 다음과 같이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상기 캐비닛(2) 내 전장부가 냉각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기(64)가 구동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부로부터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 흡기구(10A)를 통해 상기 캐비닛(2) 내 송풍 유로(62)로 흡기된다. 상기 송풍 유로(62) 내 송풍 공기는 상기 송풍 유로(62)를 따라 상기 캐비 닛 배기구(16A)를 향해 유동되면서 상기 캐비닛(2) 내 전장부를 냉각한다.
상기 캐비닛(2) 내 전장부를 냉각한 송풍 공기는 상기 캐비닛 배기구(16A)와 상기 컨트롤 패널 흡기구(6A)를 통해 상기 컨트롤 패널(6)의 내부로 유동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6)를 직접 냉각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6)을 냉각한 송풍 공기는 상기 컨트롤 패널 배기구(6A)를 통해 상기 컨트롤 패널(6)과 상기 도어(4) 사이로 배기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6)과 상기 도어(4) 사이로 배기된 공기는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도어(4) 사이 틈새를 통해서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기되면서 상기 도어(4)를 냉각한다.
즉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도어(4) 사이를 경유하여 배기됨에 따라, 상기 도어(4)의 닫힘시 상기 도어(4)의 상측부가 상기 송풍 공기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도어(4)의 상측부가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해 직접적으로 냉각되고, 상기 고온의 조리실(20)로 인한 열기가 상기 도어(4)의 상측부로 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어(4)의 상측부에 위치된 도어 핸들(4D)이 조리기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냉각될 수 있고, 상기 도어(4)의 상측부만 상기 송풍 공기와 직접 접촉하더라도 전도 또는 대류에 의해 상기 도어(4)의 하측부까지 냉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6)과 도어(4) 사이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불어지기 때문에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한 상기 도어(4)의 냉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부재(96)의 제2방열부(98)가 상기 송풍 공기와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 공기의 냉기가 상기 제2방열부(98)를 통해 상기 도어(4)로 전달되고, 특히 상기 제2방열부(98), 제1방열부(97) 순으로 상기 도어 핸들(4D)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의 냉각 효과가 상기 방열 부재(96)에 의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96)에 의한 상기 도어(4)의 냉각 효과는 도 16을 참조하면, 보다 더 명확해질 수 있다. 도 16은 상기 방열 부재(96)의 적용 여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한 조건 하에서, 상기 조리실(20) 내 온도를 230도 세팅하여 상기 도어(4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 부재(96)를 적용한 경우 상기 방열 부재(96) 미 적용시보다 30분 기준으로 약 13% 온도 저감, 50분 기준으로 약 15%의 온도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은 구조의 조리기기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을 수 있다.
도 6,7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도면 부호를 병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는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2)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도어(4)에 바로 유입되어 상기 도어(4)를 관통하면서 상기 도어(4)를 냉각토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4)와 도어 핸들(4D) 사이에 상기 도어 핸들(4D)의 열전달 최소화를 위해 몰드물(m)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는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2)을 냉 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4)와 컨트롤 패널(6) 사이를 통해 배기되고, 벤츄리 효과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도어(4)의 하측부를 통해 상기 도어(4)의 안쪽으로 상승되어 상기 도어(4)를 냉각토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4)와 도어 핸들(4D) 사이에 몰드물(m)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상술한 도 6,7의 조리기기를 비교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4), 특히 도어 핸들(4D)과 컨트롤 패널(6)이 동시에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4) 내부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어(4)의 청결 및 상기 도어(4)의 가시화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그에 반해, 도 6,7의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4)의 내부로 수증기나, 먼지, 음식물, 상기 조리실(20) 내 연기 등 오염물이 침투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도어(4)의 ??결 및 상기 도어(4)의 가시화 유지 관리가 어렵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로서, 도 4와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어 공냉 구조 이외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2)과, 송풍기 등이 설치된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컨트롤 패널(104)과, 도어(11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0)에는 일측에 캐비닛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120)의 닫힘시 상기 컨트롤 패널(104)과 도어(110) 사이에 대응되는 타측에 캐비닛 배기구(100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냉각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 흡기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100)에 흡기되어 상기 캐비닛(100) 내부를 냉각한다. 상기 캐비닛(100)을 냉각한 송풍 공기는 상기 캐비닛 배기구(100A)를 통해 상기 도어(110)와 컨트롤 패널(104) 사이로 배기되어 상기 도어(110) 및 컨트롤 패널(104)도 냉각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닫힘시 외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열림시 외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컨트롤 패널이 도어와 일체형인 것 이외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동일,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202)과 송풍기(204) 등이 설치된 캐비닛(200)과, 상기 조리실(20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00)에 설치되어 컨트롤 패널(210)이 일체로 세팅된 도어(22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00)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204)에 의한 송풍 공기가 흡기될 수 있는 캐비닛 흡기구(200A)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20)의 닫힘시 후술할 상기 도어(220)의 컨트롤 패널부(222)와 대응되는 타측에 상기 캐비닛(200)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배기될 수 있는 캐비닛 배기구(200B)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220)는 상기 도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220)의 닫힘시 상기 도어(220)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210)이 일체로 세팅되는 컨트롤 패널부(222)와, 내부가 밀폐된 베이스부(224)와, 상기 베이스부(224)와 컨트롤 패널부(22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기(204)에 의한 송풍 공기가 흡기되어 배기될 수 있는 도어 에어 갭(2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부(222)는 상기 컨트롤 패널(210)이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해 직접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 공기를 상기 캐비닛(200)으로부터 상기 도어 에어 갭(226)으로 안내하는 컨트롤 패널 송풍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 송풍 유로는 상기 캐비닛(200B)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흡기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부(222)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도어(220)의 닫힘시 상기 캐비닛 배기구(200B)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 흡기구(223A)와, 상기 컨트롤 패널부(222)를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 에어 갭(224)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부(222)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도어 에어 갭(224)의 일측과 연통되는 부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 배기구(223B)과, 상기 컨트롤 패널부(222)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 패널 흡기구(223A)는 오염물 침투 방지를 위해 다공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24)는 상기 도어(4)의 가시화를 위해 밀폐된 내부가 베이스부 에어 갭(224A)을 형성하고, 도어 아우터 글래스(224B)와 도어 이너 글래스(224C), 그리고 도어 미들 글래스(224D)가 배치된다.
상기 도어 에어 갭(226)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제1도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에어 갭(226)의 타측에는 상기 송풍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제1도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도어 개구부는 상기 도어 에어 갭(226)과 상기 컨트롤 패널부(222)가 밀접되어 있는 바,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 패널 배기구(223B)와 병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 개구부(226A)는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220)는 물론, 조리기기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20)의 좌,우측면 또는 상기 조리실(202)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220)의 바깥쪽에 위치된 제1도어 패널(220A)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도어 개구부(226A)는 상기 도어(200)의 닫힘시 상기 도어(220)의 정면 미관 및 상기 도어(220)의 충분한 냉각을 위해 상기 도어(2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어(220)는 조리기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220)를 쉽게 개폐 동작시킬 수 있도록 도어 핸들(221)을 갖는다. 상기 도어 핸들(221)은 특히 조리기기 사 용자와 직접적인 접촉이 많은 바,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해 잘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에어 갭(226)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 핸들(221)의 냉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핸들(221)과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220)에 결합된 제1방열부(232)와, 상기 송풍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방열부(23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 에어 갭(226)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220)에 면접된 제2방열부(234)를 갖는 방열 부재(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230)의 제2방열부(234)는 상기 도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에어 갭(226)과 베이스부(224)를 구획하는 배리어를 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실(202) 내 열기가 상기 도어(220)를 통해 상기 도어(220)의 상측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도어 에어 갭(224A)에 구비된 단열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240)는 상기 도어(220)의 가시화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224)의 일부에만 구비되고, 상기 방열 부재(230)의 제2방열부(234)와 접촉토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리기기의 냉각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2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204)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기(204)에 의한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 흡기구(200A)를 통해 상기 캐비닛(200)의 내부로 흡기되어 상기 캐비닛(200) 내부를 냉각한다. 상기 캐비닛(200)을 냉각한 송풍 공기는 상기 캐비닛 배기구(200A)와 상기 컨트롤 패널 흡기구(223A)를 통해 상기 컨트롤 패널부(222)에 흡기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210)을 냉각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210)을 냉각한 송풍 공기는 상기 컨트롤 패널 배기구(223B)를 통해 상기 도어 에어 갭(226)으로 흡기되어 상기 도어(220) 특히 도어 핸들(221)이 냉각되게 하고, 상기 제2도어 개구부(226A)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220)가 오염물에 훼손되거나 상기 도어(220)의 가시화가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210)과 도어(220), 특히 도어 핸들(221)이 직접 냉각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 에어 갭(226)의 상측에서 상기 도어 에어 갭(226)의 내부로 불어지고, 상기 도어 에어 갭(226)에 불어진 송풍 공기가 꺾여서 상기 도어(2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제2도어 개구부(226A)를 통해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 에어 갭(226)을 바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상기 도어(220) 특히 도어 핸들(221)의 냉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로서, 도 12와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로서, 도 13과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어의 냉각 유로 이외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동일,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 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캐비닛(300)과, 조리실(302)과, 송풍기(미도시)와, 컨트롤 패널(310)과, 상기 컨트롤 패널(310)이 일체로 세팅되는 컨트롤 패널부(322)와 도어 에어 갭(324)과 베이스부(326)와 상기 도어 에어 갭(324)에 대응되게 위치된 도어 핸들(321)를 갖는 도어(32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300)의 캐비닛 배기구(300A)는 상기 도어(320)의 닫힘시 상기 송풍기에 의한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 에어 갭(324)으로 바로 흡기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상기 도어(320)는 상기 캐비닛(300)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 에어 갭(324)으로 흡기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에어 갭(324)의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도어(320)의 닫힘시 상기 캐비닛 배기구(300A)와 대응되는 제1도어 개구부(320A)를 갖는다. 상기 제1도어 개구부(320A)는 오염물 침투 방지를 위해 다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상기 도어 에어 갭(324)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에어 갭(324)의 타측과 연통된 제2도어 개구부(324B)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냉각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3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기에 의한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300)의 내부로 흡기되어 상기 캐비닛(300) 내부를 냉 각한다. 상기 캐비닛(300)을 냉각한 송풍 공기는 상기 캐비닛 배기구(300A)와 상기 제1도어 개구부(320A)를 통해 상기 도어 에어 갭(324)으로 흡기되어 상기 도어(320) 특히 도어 핸들(321)이 냉각되게 하고, 상기 제2도어 개구부(320B)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오염물로 인한 상기 도어(320)의 오염 및 상기 도어(320)의 가시화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도어(320) 특히 도어 핸들(321)과 컨트롤 패널(310)이 냉각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컨트롤 패널이 도어와 분리되어 캐비닛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사이를 경유하여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 특히 도어 핸들과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상기 도어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어 상기 도어의 오염물 침투가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컨트롤 패널이 도어와 일체로 세팅되고, 캐비닛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도어의 컨트롤 패널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된 도어 에어 갭을 경유하여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 특히 도어 핸들과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적어도 상기 도어 중 베이스부의 오염물 침투가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도어와 일체로 세팅된 경우, 상기 도어 및 컨트롤 패널의 냉각을 위해 상기 캐비닛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흡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컨트롤 패널 흡기구 또는 제1도어개구부가 다공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컨트롤 패널부 또는 도어 에어 갭 내 오염물 침투도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닛을 냉각한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을 먼저 냉각 후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사이 또는 상기 도어 에어 갭을 통해 배기될 경우,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송풍 공기에 의해 직접 냉각될 수 있어 상기 컨트롤 패널의 냉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상기 송풍 공기가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사이 또는 상기 도어 에어 갭의 상측에서 불어지고 상기 컨트롤 패널과 도어 사이 또는 상기 도어 에어 갭의 송풍 공기가 그 유동 방향이 꺾여서 배기되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 패널 및 도어, 특히 도어 핸들의 냉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송풍 공기의 냉기를 상기 도어 핸들로 전달하는 방열 부재가 포함된 경우, 적어도 조리기기 사용자의 직접적인 접촉이 잦은 도어 핸들이 충분히 냉각될 수 있고, 상기 송풍 공기의 냉기가 보다 더 잘 상기 도어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의 냉각과 관련된 감성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조리실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부와, 상기 컨트롤 패널과의 사이에 도어 에어 갭이 구비되고 내부가 밀폐된 베이스부를 갖는 도어와;
    송풍 공기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흡기되고, 상기 도어 에어 갭을 경유하여 배기되게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부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부터 상기 송풍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컨트롤 패널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조리기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송풍 공기를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도어 에어 갭으로 직접 안내하는 컨트롤 패널 송풍 유로가 구비된 조리기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도어 에어 갭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송풍 공기가 배기되는 캐비닛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캐비닛 배기구와 대응되고 상기 도어 에어 갭의 일측과 연통된 제1도어 개구부와, 상기 도어 에어 갭의 타측과 연통된 제2도어 개구부를 갖는 조리기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상기 도어 에어 갭 측 일 부분에 단열재가 구비된 조리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서 배기되는 송풍 공기가 흡기되는 제1도어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1도어 개구부는 다공 구조인 조리기기.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핸들과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1방열부와, 상기 제1방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송풍 공기와 접촉하는 제2방열부를 갖는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부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로 구성된 조리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열부는 상기 도어와 컨트롤 패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면접된 조리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열부는 상기 도어 에어 갭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부 측 도어에 면접된 조리기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도어의 양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배기되는 조리기기.
KR1020060104532A 2006-10-26 2006-10-26 조리기기 KR10079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532A KR100795539B1 (ko) 2006-10-26 2006-10-26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532A KR100795539B1 (ko) 2006-10-26 2006-10-26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539B1 true KR100795539B1 (ko) 2008-01-21

Family

ID=3921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532A KR100795539B1 (ko) 2006-10-26 2006-10-2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4283A (zh) * 2022-10-28 2022-1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器具以及柜门降温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EP4235035A3 (en) * 2018-04-16 2023-09-2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29A (ko) * 1993-07-14 1995-02-17 배순훈 전자레인지의 도어 냉각구조
KR20010060667A (ko) * 1999-12-27 2001-07-07 구자홍 전자레인지용 도어
KR20040007996A (ko) * 2002-07-15 2004-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공냉 시스템
KR20040045282A (ko) * 2002-11-25 2004-06-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그릴 도어
KR200353573Y1 (ko) 2004-02-16 2004-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20050010565A (ko) * 2003-07-21 200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20050035776A (ko) * 2003-10-14 2005-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장치
KR20050120391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정용 조리기기의 냉각 장치
KR20060109157A (ko) * 2005-04-15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29A (ko) * 1993-07-14 1995-02-17 배순훈 전자레인지의 도어 냉각구조
KR20010060667A (ko) * 1999-12-27 2001-07-07 구자홍 전자레인지용 도어
KR20040007996A (ko) * 2002-07-15 2004-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공냉 시스템
KR20040045282A (ko) * 2002-11-25 2004-06-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그릴 도어
KR20050010565A (ko) * 2003-07-21 200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20050035776A (ko) * 2003-10-14 2005-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장치
KR200353573Y1 (ko) 2004-02-16 2004-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20050120391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정용 조리기기의 냉각 장치
KR20060109157A (ko) * 2005-04-15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5035A3 (en) * 2018-04-16 2023-09-2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CN115444283A (zh) * 2022-10-28 2022-1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器具以及柜门降温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513B1 (ko) 오븐
KR101291273B1 (ko) 조리기기
US7228857B2 (en) Electric oven with door cooling structure
KR101179729B1 (ko) 오븐
US9115903B2 (en) Oven door
KR101291272B1 (ko) 조리기기
KR20180028732A (ko) 오븐
WO2013121777A1 (ja) 加熱調理器
KR100795539B1 (ko) 조리기기
KR101025659B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KR101263872B1 (ko) 조리기기
KR20090104942A (ko) 전기오븐의 도어
JPH09229377A (ja) 電子レンジ
KR20210016771A (ko) 오븐
KR100717437B1 (ko) 전기 오븐의 도어 냉각 구조
KR100676138B1 (ko) 오븐
KR100585704B1 (ko) 전기 오븐의 냉각장치
KR101331189B1 (ko) 조리기기
JP6083622B2 (ja) 加熱調理器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JP7407141B2 (ja) 加熱調理器
KR20120020769A (ko) 조리기기
KR100819593B1 (ko) 조리기기
JPH074790Y2 (ja) 高周波加熱装置の冷却構造
KR100727158B1 (ko) 전기 오븐의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