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832B1 - 가스오븐 - Google Patents

가스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832B1
KR102305832B1 KR1020150000921A KR20150000921A KR102305832B1 KR 102305832 B1 KR102305832 B1 KR 102305832B1 KR 1020150000921 A KR1020150000921 A KR 1020150000921A KR 20150000921 A KR20150000921 A KR 20150000921A KR 102305832 B1 KR102305832 B1 KR 10230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pace
air
dispersion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263A (ko
Inventor
문병훈
최병준
한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832B1/ko
Priority to US14/988,635 priority patent/US10190782B2/en
Priority to CN201610107478.3A priority patent/CN105783040B/zh
Priority to EP16150175.4A priority patent/EP3040621B1/en
Publication of KR2016008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2Stoves
    • F24C3/004Stoves of the clos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Abstract

본 발명의 가스오븐은 본체와,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과, 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조리공간과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급기유로와, 급기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 또는 절곡시켜 조리공간으로 공급하는 분산유닛을 포함한다. 분산유닛을 통해 가스와의 혼합을 위한 1차공기의 공급과, 조리공간 내부로의 2차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오븐{Gas Oven}
본 발명은 가스오븐에 관한 것으로, 급기구조를 개선한 가스오븐에 관한 것이다.
가스 오븐은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과, 가스와 공기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로와,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장치를 구비하여, 조리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소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필요하고 연소가 발생한 후에는 폐가스인 연소 가스(combustion gas)가 발생하므로, 가스 오븐은 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유로와 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유로를 더 구비한다.
급기 유로와 배기 유로는 각각 조리공간의 내부와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이때, 밀도 차이에 의해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므로, 급기 유로는 조리공간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배기 유로는 조리공간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스오븐의 조리공간 내부에 급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가스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측면은 가스오븐의 연소에 필요한 1차공기와 2차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가스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스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 상기 조리공간에 마련되는 버너; 상기 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급기유로; 상기 급기유로의 토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가이드부;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친 공기가 상기 조리공간이나 상기 버너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공급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분산유닛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가 상기 조리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부의 토출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오븐은, 그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와 상기 분산유닛이 배치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절곡시켜, 상기 내벽을 따라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내벽에 대해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전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산가이드부는,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 상기 분산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분산부로부터 분산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오븐은, 그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와 상기 분산유닛이 배치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부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상기 내벽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분산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산부보다 상기 조리공간의 바닥면과 가깝게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부로서, 상기 조리공간의 바닥면과 나란한 길이방향의 제 1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분산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내면은, 상기 분산가이드부 내부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하는 공급부;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분산가이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버너의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오븐은, 그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오버플로우갭을 갖고,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그 외곽을 따라 상기 내벽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오버플로우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하는 공급부;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오버플로우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리공간은,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을 포함하고, 디바이더에 의해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너는,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2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유로는,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급기유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급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토출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스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조리공간으로서, 상기 하나의 조리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더에 의해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 하나의 조리공간; 상기 조리공간을 개폐하는 하나의 도어;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급기유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결하는 제 1 급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토출부에 마련되는 분산유닛으로서, 상기 제 1 급기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제 1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와 혼합되거나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내부로 토출되도록 분산시키는 분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가이드부;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친 공기가 상기 조리공간이나 상기 버너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공급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분산유닛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가 상기 조리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부의 토출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오븐은, 그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와 상기 분산유닛이 배치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절곡시켜, 상기 내벽을 따라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내벽에 대해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전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오븐에 따르면 구획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켜 연소에 필요한 1차공기와 2차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결합상태에 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급기장치의 단면도와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를 제거한 본체의 후방사시도.
도 9,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
도 12,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
도 15,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스 오븐(1)은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물을 수용하는 조리공간(40)과,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버너(61)와, 조리공간(40)의 공기를 대류시키는 복수의 컨벡션 팬(51,52)을 포함한다.
조리공간(40)은 그 내벽으로서, 상부벽(31)과, 하부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후벽(35)에 의해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리물의 출납을 위해 전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에는 손잡이(21)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단에는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 놓고 가열시킬 수 있는 쿡탑부(13)와, 가스 오븐(1)의 각종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와, 가스 오븐(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조리공간(40)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랙(rack,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대(36)가 마련된다. 복수의 지지대(36)는 좌측벽(33)과 우측벽(34)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36)에는 조리공간(40)을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4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43)는 조리공간(40)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조리공간(40)을 상부의 개별조리공간(41)과, 하부의 개별조리공간(42)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부의 개별조리공간(41)을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하부의 개별조리공간(42)을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제 2 개별조리공간(42) 각각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제 2 개별조리공간(42)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디바이더(43)는 단열 재질을 갖고,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제 2 개별조리공간(42)을 단열시킬 수 있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는 복수의 버너(61) 중 어느 하나의 버너(61)가 마련되고,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는 복수의 버너(61) 중 나머지 하나의 버너(미도시)가 마련된다. 이하에서,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마련되는 버너(61)를 제 1 버너(61)로,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 마련되는 버너를 제 2 버너(미도시)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 1 버너(61)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열을 발산할 수 있고, 제 2 버너는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제 2 버너는 제 2 급기유로(70)의 하부 즉, 하부벽(32)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열된 공기를 제 2 급기유로(70)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는 복수의 컨벡션 팬(51,52) 중 어느 하나의 컨벡션 팬(51)이 마련되고,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는 복수의 컨벡션 팬(51,52) 중 나머지 하나의 컨벡션 팬(52)이 마련된다. 따라서, 컨벡션 팬(51)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고, 컨벡션 팬(52)은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다.
조리공간(40)의 하측에는 조리 용기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9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90)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는 드로어(9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드로어(91)에는 손잡이(9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스 오븐(1)은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 2 개별조리공간(42)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급기 유로(70)를 갖는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소에는 가스와 공기와 불꽃이 필요하고, 메인 급기 유로(70)를 통해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제 2 급기유로(70)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 공기를 공급하고,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조리공간(40) 전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스오븐(1)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배기 유로(미도시)를 갖는다. 여기서, 폐가스란 연소 후에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스가 완전 연소하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와, 수증기 등이 발생하며, 가스가 불완전 연소하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수소, 유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폐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으면 버너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게 되므로 폐가스는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메인배기유로(미도시)는 상부벽(31)을 관통하는 배기홀과, 배기홀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 덕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메인배기유로(미도시)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를 배출하고,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조리공간(40) 전체의 폐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스오븐(1)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를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기장치(100)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급기장치(100)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는 제 2 급기유로(70)를 통해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급기장치(100)는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미도시)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특히, 이 경우에 급기장치(100)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급기장치(100)는 강제급기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급기장치(100)의 자세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는 후에 부연 설명하겠다.
또한, 가스오븐(1)은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폐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보조배기장치를 갖는다. 보조배기장치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 제 2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 제 2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는 메인배기유로(미도시)를 통해 배출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조배기장치에 대하여는 후에 부연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급기장치(100)는 급기덕트(114)와, 급기덕트(114)내부에서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급기유로(110)와, 조리공간(40) 외부의 공기를 제 1 급기유로(110)를 통해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강제로 유동시키는 급기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급기유로(110)는 조리공간(40)의 후벽(35)과 본체(10)의 외부 케이스(14)를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제 1 급기유로(110)는 급기덕트(114)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급기덕트(114)의 일부분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와 공기는 제 1 버너(61)의 헤드부(66)를 통해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스는 가스공급유로를 통해 헤드부(66)의 내부로 안내되고, 가스공급유로의 단부에 마련되는 노즐(76)을 통해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분사될 수 있다. 가스공급유로는 홀더에 의해 후벽(35)에 고정될 수 있다.
노즐(76)을 통해 가스가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분사될 때, 급기덕트(114)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헤드부(66)에 형성된 유입홀(64)을 통해 가스와 함께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다.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에서 혼합되어 제 1 버너(61)의 토출홀(65,도 2)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혼합 가스는 점화장치(미도시)에서 점화되는 불꽃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가스와 함께 제 1 버너(61)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 공기라고 칭할 수 있다.
이후 설명하는 분산유닛(140)의 공급가이드부(170)를 통해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버너(61)의 토출홀 주변을 유동하여 토출홀에서 토출되는 가스와 함께 혼합되어 연소될 수 있다. 이 때, 이와 같이 제 1 버너의 내부로 유동되지 않고, 공급가이드부를 통해 제 1 버너의 토출홀 주변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2차공기라고 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버너(61)는 1차 공기와 2 차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한편, 급기팬(120)은 조리공간(40)의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제 1 버너(61)의 내부 또는 제 1 버너(61)의 주변으로 유동시킨다. 이와 같이, 급기팬(120)이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이유는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미도시)의 동시 가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미도시)가 동시에 가동되면 제 2 버너(미도시)에서 발생하는 폐가스가 상승하여 제 1 버너(61)의 주변으로 유동되고, 이렇게 제 1 버너(61)의 주변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에 의해 제 1 버너(61)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른 관점에서, 제 2 버너(미도시)의 폐가스에 의해 1 버너(61)로의 2차 공기의 공급이 원활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미도시)가 동시에 가동될 수 있으려면, 급기팬(120)에 의해 강제 급기되는 공기 중에 오버플로우부(17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제 2 버너(미도시)의 폐가스를 메인배기유로(미도시)로 밀어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이 되어야 한다.
한편,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된 경우는 물론이고,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도, 급기팬에 의한 강제 급기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도 디바이더(43)와 도어(20) 사이의 틈새, 디바이더(43)와 양측벽(33,34,도 2) 사이의 틈새 및 디바이더(43)와 후벽(35)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제 2 버너(미도시)의 폐가스가 제 1 버너(61) 주변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결합상태에 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급기장치의 단면도와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분산유닛(140)은 급기유로(70, 110)의 토출부(112)에 마련되어, 급기유로(70, 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1 급기유로(110)의 토출부(1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제 1 급기유로(11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1차공기와 2차공기로 분배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분산유닛(140)을 통해 2차공기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산유닛(140)은 급기유로(70, 110)의 토출부(112)가 조리공간(40)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분산유닛(140)은 토출부(1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토출부(112)가 조리공간(40)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산유닛(140)은 토출부(1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토출부(11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분산유닛(140)이 토출부(112)의 공기토출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조리공간(40)에서 형성되는 가열된 공기가 토출부(11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112)가 후벽(35)에 마련되므로, 분산유닛(140)은 토출부(1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제 1 급기유로(110)의 토출부(112)가 후벽(35)에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산유닛(140)은 후벽(35)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급기유로(110)의 배치에 따라 조리공간(40)의 내벽을 형성하는 상부벽(31)과, 하부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후벽(35) 중 어느하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분산유닛(140)은 유닛결합부(142)에 의해 후벽(35)에 결합될 수 있다. 유닛결합부(142)는 이후 설명하는 오버플로우부(174)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오버플로우부(174)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오버플로우부(174)가 후벽(35)과 사이에 오버플로우갭(175)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분산유닛(140)은 분산가이드부(150)와, 공급가이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급기유로(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분산가이드부(150)를 거쳐 공급가이드부(170)를 통해 분산유닛(1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급기유로(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공급가이드부(170)를 통해 버너에 1차공기를 공급하거나,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2차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공급가이드부(170)는 공급부(172)와 오버플로우부(174)를 포함한다. 공급가이드부(17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분산가이드부(150)는 급기유로(70, 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 또는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분산가이드부(150)는 그 내면에 의해, 이후 설명하는 분산유로(154)와 가이드유로(158)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공기저항을 줄이도록 분산가이드부(150)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가이드부(150)는 분산부(152)와, 가이드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부(152)는 제 1 급기유로(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다. 분산부(152)는 인접한 분산유닛(140)의 내면보다 제 1 급기유로(110)의 토출부(112)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급기유로(110)의 토출부(112)는 조리공간(40)의 후벽(35)에 마련되므로, 분산부(152)는 인접한 분산유닛(140)의 내면보다 후벽(35)에 형성된 제 1 급기유로(110)의 토출부(112)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산부(152)는 분산유닛(140)의 내면에서 가이드부(156)에서의 내면보다 후벽(35)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152)는 제 1 급기유로(110)의 토출부(11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유로(154)를 형성할 수 있다. 분산유로(154)는 하측방향을 향하는 제 1 분산유로(154a)와, 상측방향을 향하는 제 2 분산유로(1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산유로(154a)는 이후 설명하는 제 1 가이드부(156a)에 의해 가이드되어, 조리공간(40)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제 2 분산유로(154b)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가이드부(156b)에 의해 가이드되어, 조리공간(40)의 중간과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56)는 분산부(152)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분산부(152)로부터 분산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156)는 분산부(152)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156)의 내부에는 분산유로(154)와 연결되는 가이드유로(158)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56)는 제 1 가이드부(156a)와, 제 2 가이드부(15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156a)는 분산부(152)의 일측에 배치되며, 분산부(152)보다 조리공간(40)의 바닥면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156a)는 조리공간(40)의 바닥면과 나란한 길이방향의 제 1 가이드유로(158a)를 형성한다. 제 1 가이드유로(158a)는 앞서 설명한 제 1 분산유로(154a)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분산부(152)에 의해 분산되는 공기중에 제 1 분산유로(154a)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가이드유로(158a)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된다.
제 1 가이드유로(158a)는 조리공간(40)의 바닥면과 나란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조리공간(40)의 바닥면에 대해 2차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이후 설명하는 제 1 오버플로우부(174a)에 의해 제 1 가이드유로(158a)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조리공간(40)의 바닥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산유닛(140)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배치되므로, 제 1 가이드유로(158a)와 제 1 오버플로우부(174a)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디바이더(43)의 상면(43a)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오버플로우부(174a)는 제 1 가이드부(156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제 1 가이드부(156a)의 제 1 가이드유로(158a)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조리공간(40)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조리공간(40)의 양측방향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가이드유로(158a)는 제 1 분산유로(154a)에 비해 디바이더(43)의 상면(43a)과 나란한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되므로, 제 1 가이드유로(158a)를 통해 디바이더(43)의 상면(43a)으로 보다 넓은 면적으로 2차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가이드부(156b)는 분산부(152)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 2 가이드부(156b)는 제 2 가이드유로(158b)를 형성한다. 제 2 가이드유로(158b)는 앞서 설명한 제 2 분산유로(154b)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분산부(152)에 의해 분산되는 공기중에 제 2 분산유로(154b)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가이드유로(158b)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부(156b)는 분산부(15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분산부(152)에 의해 분산되는 공기중 일부를 공급부(172)와 이후 설명하는 제 2 오버플로우부(174b)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부(156b)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가이드부(156b)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오버플로우부(174b)에 의해 제 2 가이드유로(158b)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조리공간(40)의 상측과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산유닛(140)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배치되므로, 제 2 가이드유로(158b)와 제 2 오버플로우부(174b)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상부벽(31)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2 오버플로우부(174b)는 제 2 가이드부(156b)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제 2 가이드부(156b)의 제 2 가이드유로(158b)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조리공간(40)의 상측과 양측뿐만아니라 조리공간(40)의 하측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부(156a)는 디바이더(43)의 상면(43a)과 나란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부(156)는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가이드부(156)를 갖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리공간(4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분산부(15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분산되어 복수의 가이드부(156)에 의해 조리공간(40)의 내부로 공급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공급가이드부(170)는 공급부(172)와 오버플로우부(174)를 포함한다. 공급가이드부(170)는 분산가이드부(150)를 거친 공기가 조리공간(40)이나 버너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급가이드부(170)는 내벽에 대해 분산가이드부(150)의 전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산유닛(140)과 토출부(112)는 후벽(35)에 배치되므로, 공급가이드부(170)는 후벽(35)에 대해 분산가이드부(150)의 전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분산가이드부(150)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분산가이드부(150)의 전둘레에 형성되는 공급가이드부(170)를 통해 배출되므로, 조리공간(40)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가이드부(170)를 통해 분산가이드부(150)의 내부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가이드부(170)가 분산가이드부(150) 둘레의 전영역을 따라 형성되도록 마련되나, 일부구간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공급부(172)는 분산가이드부(150)의 일측에 마련되어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공급부(172)는 가이드부(156)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급부(172)는 제 2 가이드부(156b)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 2 가이드부(156b)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공급부(172)는 버너(61)의 헤드부(66)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가이드부(156b)로 가이드되는 공기 중 공급부(172)로 이동하는 공기는, 1차공기로서 버너의 헤드부(66)로 공급되거나, 2차공기로서 버너(61)의 헤드부(66)로 유입되지 않고 조리공간(40)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174)는 조리공간(40)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부(156)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조리공간(4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174)는 분산가이드부(15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조리공간(40)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174)는 분산가이드부(15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후벽(35)과 마주한 면의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분산유닛(140)으로부터 조리공간(40)으로 2차공기를 공급할 때 여러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오버플로우부(174)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일부구간에서의 오버플로우부(174)의 폭을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오버플로우부(174)는 조리공간(40)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산유닛(140)은 조리공간(40)의 후벽(35)에 배치되므로, 오버플로우부(174)는 후벽(35)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부(174)와 후벽(35)과의 간격은 가이드부(156)와 후벽(35)과의 간격보다 작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174)는 오버플로우갭(175)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갭(175)은 오버플로우부(174)와 후벽(35)사이에 마련되어, 가이드부(156)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174)는 오버플로우리브(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리브(176)는 오버플로우부(17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며, 그 외곽에서 내벽을 향해 절곡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갭(175)은 오버플로우부(174)와 후벽(35)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오버플로우갭(175)과, 오버플로우리브(176)와 후벽(35)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오버플로우갭(175)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리브(176)의 단부는 오버플로우부(174)보다 후벽(35)에 가깝도록 마련되므로, 제 2 오버플로우갭(175)은 제 1 오버플로우갭(175)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부(156)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오버플로우부(174)를 통해 조리공간(40)으로 배출되면서, 조리공간(40)에서의 공기는 오버플로우부(174)를 통해 가이드부(156)로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서 분산유닛(140)의 내부로 역류하려는 공기는, 분산유닛(140)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과, 오버플로우리브(176)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부(174)는, 제 1 가이드부(156a)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오버플로우부(174a)와, 제 2 가이드부(156b)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오버플로우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산부(152)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오버플로우부(17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를 제거한 본체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2와 도 8을 참고하면, 보조배기장치(130)는 제 2 개별조리공간(4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조배기덕트(132a, 132b)와, 보조배기덕트(132a, 132b)에 형성되는 보조배기유로(13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벽(35)에는 보조배기덕트(132a, 132b)와 연결되는 보조배출부(136a, 136b)가 마련된다.
보조배출부(136a, 136b)는 제 2 개별조리공간(40)의 좌우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제 1 간격(G1) 이격되는 제 1 보조배출부(136a)와, 우측으로 제 2 간격(G2) 이격되는 제 2 보조배출부(136b)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보조배출부(136a)와 제 2 보조배출부(136b)는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간격(G1)과 제 2 간격(G2)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개별조리공간(40)내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면적이 넓은 하나의 보조배출부(136a, 136b)가 적용되는 경우보다, 총면적이 이보다 작은 복수의 보조배출부(136a, 136b)가 마련됨으로서 제 2 개별조리공간(40)내부에서 보조배출부(136a, 136b)를 통해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오븐이 고온으로 셀프 클리닝을 수행하는 경우에 보조배출부(136a, 136b)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데, 면적이 넓은 하나의 보조배출부(136a, 136b)가 적용되는 경우보다, 총면적이 이보다 작은 복수의 보조배출부(136a, 136b)가 마련됨으로서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클리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배기덕트(132a, 132b)는 제 1 보조배출부(136a)와 연통하는 제 1 보조배기덕트(132a)와, 제 2 보조배출부(136b)와 연통하는 제 2 보조배기덕트(13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배출부(136a, 136b)가 한 쌍이 제 2 개별조리공간의 좌우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마련되나, 보조배출부(136a, 136b)의 배치와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조배출부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배출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제 2 개별조리공간의 좌우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쪽에 집중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좌우방향쪽에 집중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이전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분산유닛(240)은 급기유로(70, 110)의 토출부(212)에 마련되어, 급기유로(70, 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1 급기유로(110)의 토출부(1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제 1 급기유로(11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1차공기와 2차공기로 분배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분산유닛(240)을 통해 2차공기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산유닛(240)은 급기유로(70, 110)의 토출부(212)가 조리공간(40)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분산유닛(240)은 토출부(2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토출부(212)가 조리공간(40)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산유닛(240)은 토출부(2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토출부(21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분산유닛(240)이 토출부(212)의 공기토출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조리공간(40)에서 형성되는 가열된 공기가 토출부(21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212)가 후벽(35)에 마련되므로, 분산유닛(240)은 토출부(2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제 1 급기유로(210)의 토출부(212)가 후벽(35)에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산유닛(240)은 후벽(35)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급기유로(210)의 배치에 따라 조리공간(40)의 내벽을 형성하는 상부벽(31)과, 하부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후벽(35) 중 어느하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분산유닛(240)은 유닛결합부(242)에 의해 후벽(35)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산유닛(240)은 분산가이드부(250)와, 공급가이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급기유로(2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분산가이드부(250)를 거쳐 공급가이드부(270)를 통해 분산유닛(2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급기유로(2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공급가이드부(270)를 통해 버너에 1차공기를 공급하거나,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2차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공급가이드부(270)는 공급부(272)와 오버플로우부(274)를 포함한다. 공급가이드부(27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분산가이드부(250)는 급기유로(70, 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 또는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분산가이드부(250)는 그 내면에 의해, 이후 설명하는 분산유로(254)와 가이드유로(258)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공기저항을 줄이도록 분산가이드부(250)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가이드부(250)는 가이드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56)는 분산가이드부(25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256)의 내부에는 가이드유로(258)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56)는 제 1 가이드부(256a)와, 제 2 가이드부(25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256a)와 제 2 가이드부(256b)는, 제 1 급기유로(210)의 토출부(212)를 중심으로 구획될 수 있다. 가이드부(256)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가이드부(256a)에서 제 2 가이드부(256b)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급기유로(210)의 토출부(21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양중 제 1 가이드부(256a)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제 2 가이드부(256b)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부(256a)에서보다 제 2 가이드부(256b)에서 폭이 좁도록 마련되나,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이를 변형하여도 무방하다.
제 1 가이드부(256a)는 제 1 가이드유로(258a)를 형성하며, 이후 설명하는 제 1 오버플로우부(274a)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256b)는 제 2 가이드유로(258b)를 형성하며, 이후 설명하는 제 2 오버플로우부(274b)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가이드부(270)는 공급부(272)와 오버플로우부(274)를 포함한다. 공급가이드부(270)는 분산가이드부(250)를 거친 공기가 조리공간(40)이나 버너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급부(272)는 분산가이드부(250)의 일측에 마련되어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공급부(272)는 가이드부(256)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급부(272)는 제 2 가이드부(256b)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 2 가이드부(256b)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공급부(272)는 버너의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가이드부(256b)로 가이드되는 공기 중 공급부(272)로 이동하는 공기는, 1차공기로서 버너의 헤드부로 공급되거나, 2차공기로서 버너의 헤드부로 유입되지 않고 조리공간(40)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274)는 조리공간(40)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부(256)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조리공간(4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274)는 제 1 가이드부(256a)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다라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부(274)는 복수의 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급기유로(210)의 토출부(21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 제 1 가이드유로(258a)를 유동하는 공기는 오버플로우부(274)의 복수의 홀을 통해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이전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분산유닛(340)은 급기유로(70, 110)의 토출부(312)에 마련되어, 급기유로(70, 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1 급기유로(310)의 토출부(3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제 1 급기유로(31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1차공기와 2차공기로 분배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분산유닛(340)을 통해 2차공기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산유닛(340)은 급기유로(70, 110)의 토출부(312)가 조리공간(40)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분산유닛(340)은 토출부(3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토출부(312)가 조리공간(40)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산유닛(340)은 토출부(312)의 토출방향에 배치되어 토출부(31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분산유닛(340)이 토출부(312)의 공기토출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조리공간(40)에서 형성되는 가열된 공기가 토출부(31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312)가 후벽(35)에 마련되므로, 분산유닛(340)은 토출부(3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제 1 급기유로(310)의 토출부(312)가 후벽(35)에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산유닛(340)은 후벽(35)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급기유로(310)의 배치에 따라 조리공간(40)의 내벽을 형성하는 상부벽(31)과, 하부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후벽(35) 중 어느하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분산유닛(340)은 유닛결합부(342)에 의해 후벽(35)에 결합될 수 있다. 유닛결합부(342)는 이후 설명하는 오버플로우부(374)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오버플로우부(374)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오버플로우부(374)가 후벽(35)과 사이에 오버플로우갭(375)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분산유닛(340)은 분산가이드부(350)와, 공급가이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급기유로(3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분산가이드부(350)를 거쳐 공급가이드부(370)를 통해 분산유닛(3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급기유로(3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공급가이드부(370)를 통해 버너에 1차공기를 공급하거나,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2차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공급가이드부(370)는 공급부(372)와 오버플로우부(374)를 포함한다. 공급가이드부(37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분산가이드부(350)는 급기유로(70, 1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 또는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분산가이드부(350)는 그 내면에 의해, 이후 설명하는 분산유로(354)와 가이드유로(358)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공기저항을 줄이도록 분산가이드부(350)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가이드부(350)는 분산부(352)와, 가이드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부(352)는 제 1 급기유로(3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다.
분산부(352)는 제 1 급기유로(310)의 토출부(31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유로(354)를 형성할 수 있다. 분산유로(354)는 하측방향을 향하는 제 1 분산유로(354a)와, 상측방향을 향하는 제 2 분산유로(3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산유로(354a)는 이후 설명하는 제 1 가이드부(356a)에 의해 가이드되어, 조리공간(40)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제 2 분산유로(354b)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가이드부(356b)에 의해 가이드되어, 조리공간(40)의 중간과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356)는 분산부(352)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분산부(352)로부터 분산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356)는 분산부(352)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356)의 내부에는 분산유로(354)와 연결되는 가이드유로(358)가 형성된다.
가이드부(356)는 제 1 가이드부(356a)와, 제 2 가이드부(35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356a)는 분산부(352)의 일측에 배치되며, 분산부(352)보다 조리공간(40)의 바닥면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356a)는 조리공간(40)의 바닥면과 나란한 길이방향의 제 1 가이드유로(358a)를 형성한다. 제 1 가이드유로(358a)는 앞서 설명한 제 1 분산유로(354a)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분산부(352)에 의해 분산되는 공기중에 제 1 분산유로(354a)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가이드유로(358a)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된다.
제 1 가이드부(356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부(356a)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후 설명하는 제 1 오버플로우부(374a)에 의해 제 1 가이드유로(358a)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조리공간(40)의 하측과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산유닛(340)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배치되므로, 제 1 가이드유로(358a)와 제 1 오버플로우부(374a)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서 디바이더(43)의 상면(43a)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오버플로우부(374a)는 제 1 가이드부(356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제 1 가이드부(356a)의 제 1 가이드유로(358a)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조리공간(40)의 하측과 양측뿐만아니라 조리공간(40)의 상측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부(356b)는 분산부(352)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 2 가이드부(356b)는 제 2 가이드유로(358b)를 형성한다. 제 2 가이드유로(358b)는 앞서 설명한 제 2 분산유로(354b)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분산부(352)에 의해 분산되는 공기중에 제 2 분산유로(354b)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가이드유로(358b)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부(356b)는 분산부(35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분산부(352)에 의해 분산되는 공기중 일부를 공급부(372)와 이후 설명하는 제 2 오버플로우부(374b)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부(356b)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가이드부(356b)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오버플로우부(374b)에 의해 제 2 가이드유로(358b)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조리공간(40)의 상측과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산유닛(340)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배치되므로, 제 2 가이드유로(358b)와 제 2 오버플로우부(374b)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상부벽과 좌측벽과 우측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2 오버플로우부(374b)는 제 2 가이드부(356b)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제 2 가이드부(356b)의 제 2 가이드유로(358b)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조리공간(40)의 상측과 양측뿐만아니라 조리공간(40)의 하측으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급가이드부(370)는 공급부(372)와 오버플로우부(374)를 포함한다. 공급가이드부(370)는 분산가이드부(350)를 거친 공기가 조리공간(40)이나 버너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급가이드부(370)는 내벽에 대해 분산가이드부(350)의 전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산유닛(340)과 토출부(312)는 후벽(35)에 배치되므로, 공급가이드부(370)는 후벽(35)에 대해 분산가이드부(350)의 전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분산가이드부(350)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분산가이드부(350)의 전둘레에 형성되는 공급가이드부(370)를 통해 배출되므로, 조리공간(40)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가이드부(370)를 통해 분산가이드부(350)의 내부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가이드부(370)가 분산가이드부(350) 둘레의 전영역을 따라 형성되도록 마련되나, 일부구간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공급부(372)는 분산가이드부(350)의 일측에 마련되어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공급부(372)는 가이드부(356)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급부(372)는 제 2 가이드부(356b)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 2 가이드부(356b)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공급부(372)는 버너의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가이드부(356b)로 가이드되는 공기 중 공급부(372)로 이동하는 공기는, 1차공기로서 버너의 헤드부로 공급되거나, 2차공기로서 버너의 헤드부로 유입되지 않고 조리공간(40)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374)는 조리공간(40)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부(356)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조리공간(4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374)는 분산가이드부(35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조리공간(40)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374)는 분산가이드부(35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후벽(35)과 마주한 면의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분산유닛(340)으로부터 조리공간(40)으로 2차공기를 공급할 때 여러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오버플로우부(374)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일부구간에서의 오버플로우부(374)의 폭을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오버플로우부(374)는 조리공간(40)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산유닛(340)은 조리공간(40)의 후벽(35)에 배치되므로, 오버플로우부(374)는 후벽(35)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부(374)와 후벽(35)과의 간격은 가이드부(356)와 후벽(35)과의 간격보다 작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374)는 오버플로우갭(375)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갭(375)은 오버플로우부(374)와 후벽(35)사이에 마련되어, 가이드부(356)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374)는 오버플로우리브(3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리브(376)는 오버플로우부(37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며, 그 외곽에서 내벽을 향해 절곡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오버플로우갭(375)은 오버플로우부(374)와 후벽(35)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오버플로우갭(375)과, 오버플로우리브(376)와 후벽(35)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오버플로우갭(375)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리브(376)의 단부는 오버플로우부(374)보다 후벽(35)에 가깝도록 마련되므로, 제 2 오버플로우갭(375)은 제 1 오버플로우갭(375)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부(356)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오버플로우부(374)를 통해 조리공간(40)으로 배출되면서, 조리공간(40)에서의 공기는 오버플로우부(374)를 통해 가이드부(356)로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부(374)는, 제 1 가이드부(356a)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오버플로우부(374a)와, 제 2 가이드부(356b)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오버플로우부(37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산부(352)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오버플로우부(37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이전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분산유닛(140)과 일부구성을 달리하는 분산유닛(4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산유닛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부(474)는 분산가이드부(150)의 둘레를 따라 후벽(35)과 마주한 면의 형상을 가지고 마련된다. 오버플로우부(474)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분산가이드의 둘레에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부(474)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오버플로우리브(176)의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오버플로우부(474)와 후벽(35)사이에 형성되는 오버플로우갭(475)을 더욱 작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버플로우리브(176)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오버플로우부(474)는, 제 1 가이드부(156a)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오버플로우부(474a)와, 제 2 가이드부(156b)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오버플로우부(47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산부(152)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오버플로우부(47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가스오븐 10 : 본체
20 : 도어 40 : 조리공간
41 : 제 1 개별조리공간 42 : 제 2 개별조리공간
31 : 상부벽 32 : 하부벽
33 : 좌측벽 34 : 우측벽
35 : 후벽 61 : 제 1 버너
43 : 디바이더 70 : 제 2 급기유로
76 : 노즐
100 : 급기장치 110 : 제 1 급기유로
112 : 토출부 114 : 급기덕트
120 : 급기팬 130 : 보조배기장치
134 : 보조배기유로 136a : 제 1 보조배출부
136b : 제 2 보조배출부 140 : 분산유닛
150 : 분산가이드부 152 : 분산부
154 : 분산유로 156 : 가이드부
158 : 가이드유로 170 : 공급가이드부
172 : 공급부 174 : 오버플로우부
175 : 오버플로우갭 176 : 오버플로우리브

Claims (23)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
    상기 조리공간에 마련되는 버너;
    상기 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급기유로;
    상기 급기유로의 토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유닛;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와 상기 분산유닛이 배치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가이드부;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친 공기가 상기 조리공간이나 상기 버너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내벽에 대해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전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공급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분산유닛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가 상기 조리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부의 토출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절곡시켜, 상기 내벽을 따라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가이드부는,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
    상기 분산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분산부로부터 분산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오븐은,
    그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와 상기 분산유닛이 배치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부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상기 내벽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분산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하는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분산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내면은,
    상기 분산가이드부 내부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하는 공급부;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분산가이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버너의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오븐은,
    그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오버플로우갭을 갖고,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그 외곽을 따라 상기 내벽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오버플로우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부는,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토출하는 공급부;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오버플로우부;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오버플로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은,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을 포함하고,
    디바이더에 의해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버너는,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2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유로는,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급기유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급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토출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7.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조리공간으로서, 상기 하나의 조리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더에 의해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 하나의 조리공간;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
    상기 조리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급기유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결하는 제 1 급기유로;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토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급기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제 1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와 혼합되거나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 내부로 토출되도록 분산시키는 분산유닛;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와 상기 분산유닛이 결합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가이드부;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친 공기가 상기 조리공간이나 상기 버너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내벽에 대해 상기 분산가이드부의 전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공급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더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좌우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벽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보조배출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배출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통시키는 복수의 보조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18. 삭제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분산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공급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분산유닛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의 상기 토출부가 상기 조리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부의 토출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유닛은,
    상기 제 1 급기유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절곡시켜, 상기 내벽을 따라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23. 삭제
KR1020150000921A 2015-01-05 2015-01-05 가스오븐 KR10230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21A KR102305832B1 (ko) 2015-01-05 2015-01-05 가스오븐
US14/988,635 US10190782B2 (en) 2015-01-05 2016-01-05 Gas oven
CN201610107478.3A CN105783040B (zh) 2015-01-05 2016-01-05 燃气炉
EP16150175.4A EP3040621B1 (en) 2015-01-05 2016-01-05 Gas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21A KR102305832B1 (ko) 2015-01-05 2015-01-05 가스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263A KR20160084263A (ko) 2016-07-13
KR102305832B1 true KR102305832B1 (ko) 2021-09-28

Family

ID=5507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921A KR102305832B1 (ko) 2015-01-05 2015-01-05 가스오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90782B2 (ko)
EP (1) EP3040621B1 (ko)
KR (1) KR102305832B1 (ko)
CN (1) CN105783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755B1 (ko) 2016-09-09 202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FR3061266B1 (fr) * 2016-12-23 2019-08-30 Groupe Brandt Four de cuisson comportant une plaque de separ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5213A (en) 1978-11-24 1983-03-01 Raytheon Company Self-clean oven
EP0062231B1 (de) 1981-04-03 1985-09-11 Ruhrgas Aktiengesellschaft Gasbeheizter Backofen mit Umwälzventilator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694A (en) * 1915-07-26 1916-01-25 George A Swisher Oven-ventilator.
US2511328A (en) * 1948-09-16 1950-06-13 Newark Stove Company Oven venting
US3063441A (en) * 1959-08-26 1962-11-13 Whirlpool Co Cooking apparatus
US3384068A (en) * 1966-12-09 1968-05-21 American Gas Ass Gas oven system
US3463138A (en) * 1968-04-29 1969-08-26 South Bend Range Corp Convection oven
US3590805A (en) * 1969-04-14 1971-07-06 Tappan Co The Gas range burner assembly
US3698377A (en) * 1971-05-07 1972-10-17 Hoover Co Gas-fired forced convection ovens
US3973551A (en) * 1972-11-03 1976-08-10 The Tappan Company Powered circulation oven
US3812838A (en) * 1973-07-05 1974-05-28 Us Army Oven combustion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US4671250A (en) * 1986-07-28 1987-06-09 Thermo Electron Corporation Direct-firing gas convection oven
US4726766A (en) * 1986-12-01 1988-02-23 Stewart Systems, Inc. Air circulation and exhaust control system for commerical ovens
US4846647A (en) * 1986-12-01 1989-07-11 Stewart Systems, Inc. Air circulation and exhaust control system for commercial ovens
US5203315A (en) * 1992-08-18 1993-04-20 Raytheon Company Gas convection oven with dual function burner
US5235962A (en) * 1992-09-08 1993-08-17 Maytag Corporation Forced circulation oven door
US5816234A (en) * 1997-06-30 1998-10-06 Vasan; Laxminarasimhan Convection oven
KR20000017154U (ko) * 1999-02-18 2000-09-25 구자홍 가스연소기 버어너부의 드레프트 튜브
JP2004053114A (ja) 2002-07-19 2004-02-19 Rinnai Corp ガスコンロ
KR100876463B1 (ko) * 2003-12-30 2008-12-31 아세릭 에이. 에스 오븐
JP3835804B2 (ja) * 2004-02-10 2006-10-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方法
EP1674798A1 (en) * 2004-12-27 200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CN1888547A (zh) 2005-06-29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燃气炉的混合气体供应装置
KR20080025603A (ko) 2006-09-18 200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08143B1 (ko) * 2008-05-28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레인지
US10448785B2 (en) * 2008-09-23 2019-10-22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and air guide member therefor
IT1392061B1 (it) * 2008-10-10 2012-02-09 Whirlpool Co Forno provvisto di apertura per l'ingresso d'aria nella sua cavita'
EP2636955B1 (en) * 2012-03-08 2016-11-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cooking oven provided for heat transfer by convection
US8991383B2 (en) * 2012-05-02 2015-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vection oven using rack support ducts for air flow
KR101469329B1 (ko) * 2012-11-27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
KR101428870B1 (ko) * 2012-11-2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
KR101980539B1 (ko) * 2012-12-21 2019-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오븐
KR102094530B1 (ko) * 2013-10-21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
US9593856B2 (en) * 2014-01-06 2017-03-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with directed vent openings
KR101564505B1 (ko) * 2014-04-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564504B1 (ko) * 2014-04-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버너 및 버너 어셈블리
KR101564503B1 (ko) * 2014-04-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05747894B (zh) * 2015-01-05 2020-06-05 三星电子株式会社 燃气烤箱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5213A (en) 1978-11-24 1983-03-01 Raytheon Company Self-clean oven
EP0062231B1 (de) 1981-04-03 1985-09-11 Ruhrgas Aktiengesellschaft Gasbeheizter Backofen mit Umwälzventi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83040A (zh) 2016-07-20
CN105783040B (zh) 2019-11-01
KR20160084263A (ko) 2016-07-13
EP3040621A1 (en) 2016-07-06
US10190782B2 (en) 2019-01-29
EP3040621B1 (en) 2018-10-24
US20160195283A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US9568200B2 (en) Gas oven
US20140144422A1 (en) Gas oven range
US9488377B2 (en) Gas oven range
US11391468B2 (en) Cooking device
KR100872222B1 (ko) 조리기기
US11846431B2 (en) Cooking apparatus
KR20120118812A (ko) 조리기기
KR102305832B1 (ko) 가스오븐
US20060254574A1 (en) Apparatus for ventilation in a radiation gas range
KR101428872B1 (ko) 가스 오븐 레인지
US11125447B2 (en) Cooking apparatus
KR100862112B1 (ko) 조리기기
JP2011214771A (ja) ガスバーナユニット及びガス給湯機
KR101645038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101040502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20120118811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1A (ko) 조리기기
KR20110092491A (ko) 가스 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