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940A -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940A
KR20180027940A KR1020160115227A KR20160115227A KR20180027940A KR 20180027940 A KR20180027940 A KR 20180027940A KR 1020160115227 A KR1020160115227 A KR 1020160115227A KR 20160115227 A KR20160115227 A KR 20160115227A KR 20180027940 A KR20180027940 A KR 2018002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rotection circuit
overvoltage protection
led driv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7940A/ko
Publication of KR2018002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33/089
    • H05B33/0815
    • H05B33/08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4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over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는,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직류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발광부에 강압된 전압을 제공하는 LED 드라이버 및 상기 발광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LED 드라이버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압보다 크면 구동되어 전류를 도통하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의 손상이 발생하는 제1 한계전류보다 낮은 제2 한계전류를 갖는 제2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LED APPARATUS HAVING 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LED)는 국내 조명 업계에서 유망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선진 각국의 에너지 절감의 노력의 일환으로 발광다이오드 조명이 각광 받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기존 형광램프(FL)시장을 대체하는 수요와 기존 형광램프로 구현하기 어려운 감성 및 여러 가지 다기능을 추가한 LED조명 제품들이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에는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장치의 발광 다이오드에 일정 전류 이상이 공급되면 발광 다이오드에 수명이 짧아질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계전류가 상이한 과전압보호회로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가격의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저가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서,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직류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발광부에 강압된 전압을 제공하는 LED 드라이버 및 상기 발광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LED 드라이버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압보다 크면 구동되어 전류를 도통하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의 손상이 발생하는 제1 한계전류보다 낮은 제2 한계전류를 갖는 제2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상기 LED 드라이버는 벅(Buck) 컨버터일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상기 LED 드라이버는 다이오드, 인덕터 및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는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스위치 소자의 일단과 상기 인덕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는 타단이 상기 발광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는 타단이 상기 발광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타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는 상기 발광부를 중심으로 상기 LED 드라이버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 또는 가스방전관일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는 퓨즈일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상기 퓨즈는 SB(Slow Blow) 형식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외부의 교류전원을 이용하거나 내부의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직류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발광부에 강압된 전압을 제공하는 LED 드라이버 및 상기 발광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LED 드라이버에서 과전류를 출력하면 구동되어 과전류를 유도하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가 상기 과전류로 인하여 손상되기 전에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과전압보호회로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복수의 과전압보호회로를 한계전류를 상이하게 하여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과전압보호회로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과전압보호회로의 가격이 저렴하고 저가형 LED 드라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 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서 LED 드라이버의 출력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파손을 설명하기 위한 LED 드라이버의 출력 파형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의 특성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 및 제2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드라이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과전압 보호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 및 제2 과전압 보호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서 LED 드라이버의 출력 파형도이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또한,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under, 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on, 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는 LED 드라이버(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00)는 전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계통 등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10)는 LED 조명장치에 이용되어 교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10)는 90Vac이상 267Vac이하의 교류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0)는 직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10)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차량용 LED에 이용되어 직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10)는 6Vdc이상 12Vdc이하의 직류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00)는 정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20)는 상기 전원부(110)를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한다. 즉, 정류부(120)는 풀-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120)는 전원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한다. 특히, 정류부(120)는 PFC부(130)에 포함된 제1 스위치 소자(Q1, 도 2 참조)의 턴-오프(turn-off) 시, 제1 인덕터(L1, 도 2 참조)의 역기전역에 의한 전류를 상기 PFC부(130)의 출력 측으로 흐르게 하여 전력 변환 효율을 높여준다.
전원공급부(100)는 PFC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PFC부(130)는 일명 역률 보정부(Power Factor Corrector)로도 부를 수 있다. PFC부(130)는 상기 정류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할 수 있다. 즉 PFC부(130)는 승압형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FC부(130)는 부스트(Boost) 컨버터일 수 있다. 또한, PFC부(130)는 상기 승압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승압 기능 외에 출력 전압 및 입력 전압과 같은 위상의 입력 전류를 만들어 역률을 보정(향상)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원공급부(100)는 차량용 LED에 이용되어 전원부(110)가 직류전원을 제공할 경우, 상기 정류부(120) 또는 상기 PFC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은 발광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LED 드라이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제공된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발광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LED 드라이버(200)는 입력된 전압을 발광부(300)의 발광 다이오드가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강압형 컨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드라이버(200)는 벅(Buck) 컨버터일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가 벅(Buck) 컨버터일 경우, LED 드라이버(200)는 다른 강압형 컨버터와 비교하여 가격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LED 드라이버(200)의 내부 스위치가 내부 또는 외부의 EOS(Electrical Over Stress)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EOS는 서지(surge) 전압 또는 ESD(Electrostatic Discharge)일 수 있다. 이 경우, LED 드라이버(200)는 발광부(300)에 발광다이오드의 정격전압보다 높은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LED 드라이버(200)는 하나 이상의 과전압 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는 LED 드라이버(200)로부터 제공된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발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는 교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11), 정류부(120), PFC부(130), 입력 캐패시터(Cin), LED 드라이버(200), 발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PFC부(130)는 제1 인덕터(L1), 제1 스위치 소자(Q1), 제1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Q1)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PFC부(130)의 출력 전압 및 입력 전압과 같은 위상의 입력 전류를 만들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 소자(Q1)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입력 캐패시터(Cin) 측으로의 전류 흐름만 허용하고, 그 반대의 전류의 전류 흐름을 불허하기 위해 상기 제1 스위치 소자(Q1)의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입력 캐패시터(Cin)는 PFC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전압 출력용 커패시터이다.
LED 드라이버(200)는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하지 않은 강압형 컨버터인 벅(Buck) 컨버터일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 제2 다이오드(D2), 제2 스위치 소자(Q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과 제2 인덕터(L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이 발광부(3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의 타단이 발광부(3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의 일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 소자(Q2)의 타단이 접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를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PFC부(130)에서 공급된 전압을 변환하여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공급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다이오드(LEDS1)은 애노드 전극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n 발광 다이오드(LEDSn)은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인턱터(L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에서 LED 드라이버(200)는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11)의 교류전압(VAC)의 1.414배에 해당하는 과전압이 PFC부(130)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PFC부(130)는 입력 받은 과전압을 승압하여 생성된 더 높은 과전압을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직접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에 발생된 과전압에 의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LEDSn), 제2 인덕터(L2), 제2 스위치(Q2)의 순으로 과전류가 흐를 수 있다. 결국,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과전류로 인하여 손상되어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서 LED 드라이버의 출력 파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파손을 설명하기 위한 LED 드라이버의 출력 파형도이다.
<T1 구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T1 구간은 전원부(111)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다. 따라서, LED 드라이버(200)에 유입되는 전압이 없으므로 출력하는 전압이 0[V]이고, 출력하는 전류가 0[A]이다.
<T2 구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T2 구간은 LED 드라이버(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LED 드라이버(2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정격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LED 드라이버(2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가 정상 동작을 하는 전압 약 70[V], 전류 약 550 [mA]을 출력할 수 있다.
<T3 구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T3 구간은 LED 드라이버(200)에서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된 상태이다.
전원부(110)의 교류전압 220[VAC]의 1.414배인 약 311[VDC]가 PFC부(130)에 입력된다. PFC부(130)에 의해 승압되고 제2 스위치 소자(Q2)의 순간적인 단락으로 약 408[VDC]의 피크 전압을 LED 드라이버(200)가 출력한다. 또한, LED 드라이버(200)는 높은 피크 전압과 함께 약 17.5[A]의 피크 전류를 출력한다. 이에,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대전류로 인하여 손상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는 순간 약 1.5[ms] 동안 약 17.5[A]의 대전류가 발광부(300)에 유입되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가 손상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는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12), 입력 캐패시터(Cin), 제3 다이오드(D3), LED 드라이버(200), 발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캐패시터(Cin)는 전원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전압 출력용 커패시터이다.
제3 다이오드(D3)는 LED 드라이버(200) 측으로의 전류 흐름만 허용하고, 그 반대의 전류의 전류 흐름을 불허하기 위해 상기 LED 드라이버(200)의 입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3 다이오드(D3)는 전원부(112)의 출력단에 배치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하지 않은 강압형 컨버터인 벅(Buck) 컨버터일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 제2 다이오드(D2), 제2 스위치 소자(Q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과 제2 인덕터(L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이 발광부(3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의 타단이 발광부(3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의 일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 소자(Q2)의 타단이 접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를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PFC부(130)에서 공급된 전압을 변환하여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공급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다이오드(LEDS1)은 애노드 전극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n 발광 다이오드(LEDSn)은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인턱터(L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에서 LED 드라이버(200)는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의 포워드 전압이 전원부(112)의 출력 전압보다 낮은 경우 대전류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으로 유입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 제2 인덕터(L2), 제2 스위치(Q2)의 순으로 대전류가 흐를 수 있다. 결국,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대전류로 인하여 손상되어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는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에 대한 설명이다.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서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의 전원 공급부(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원부(111), 정류부(120), PFC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10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입력 캐패시터(Cin)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캐패시터(Cin)는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전압 출력용 커패시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LED 드라이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드라이버(200)는 강압형 컨버터인 벅(Buck) 컨버터일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 제2 다이오드(D2), 제2 스위치 소자(Q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과 제2 인덕터(L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이 발광부(3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의 타단이 발광부(3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의 일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 소자(Q2)의 타단이 접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를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PFC부(130)에서 공급된 전압을 변환하여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공급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다이오드(LEDS1)은 애노드 전극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n 발광 다이오드(LEDSn)은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인턱터(L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될 경우 발생되는 과전류를 유도하여 발광부(300)로 과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발광부(30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일단이 발광부(300)에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광부(2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일단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다이오드(LEDS1)은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n 발광 다이오드(LEDSn)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LED 드라이버(200), 발광부(300),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의 순으로 배치된다. 즉,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발광부(300)에 연결된 LED 드라이버(200)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발광부(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과전압보호회로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 진다.
이하는 제1 과전압 보호회로(210)를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의 특성곡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는 캐소드 전극이 발광부(300)의 일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발광부(30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는 게이터 전극이 발광부(3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국, LED 드라이버(2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정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고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에 역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를 구비한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를 도통시킬 수 있다.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어 과전압이 발생되면 발광부(300)와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에 과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는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이상의 과전압이 인가되어 전원공급부(100)의 대전류를 유도하고 발광부(300)의 대전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는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을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의 구동전압보다 크고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의 대전류로 인해 파괴되는 한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선택해야 한다.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의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을 너무 높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 EOS로 인한 LED 드라이버(200)에 과전압이 발생하여도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가 동작하지 않고 대전류가 발광부(300)로 유입되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가스방전관(212, Gas Discharge Tube; GDT)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방전관(212)은 일단이 발광부(300)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발광부(30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가스방전관(212)은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방전하여 전류를 도통시킬 수 있다.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어 과전압이 발생되면 발광부(300)와 가스방전관(212)에 과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방전관(212)은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이상의 과전압이 인가되어 전원공급부(100)의 대전류를 유도하고 발광부(300)의 대전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방전관(212)은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을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의 구동전압보다 크고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의 대전류로 인해 파괴되는 한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선택해야 한다. 가스방전관(212)의 브레이크오버 전압(VBO)을 너무 높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 EOS로 인한 LED 드라이버(200)에 과전압이 발생하여도 가스방전관(212)이 동작하지 않고 대전류가 발광부(300)로 유입되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 및 제2 과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드라이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과전압 보호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는 도 1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에 대한 설명이다.
도 1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1)에서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원부(111), 정류부(120), PFC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10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입력 캐패시터(Cin)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캐패시터(Cin)는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전압 출력용 커패시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LED 드라이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드라이버(200)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를 구비한 강압형 컨버터인 벅(Buck) 컨버터일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 제2 다이오드(D2), 제2 스위치 소자(Q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과 제2 인덕터(L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이 발광부(3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인덕터(L2)의 타단이 발광부(3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의 일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 소자(Q2)의 타단이 접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를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PFC부(130)에서 공급된 전압을 변환하여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공급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다이오드(LEDS1)은 애노드 전극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n 발광 다이오드(LEDSn)은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인턱터(L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될 경우 발생되는 과전류를 유도하여 발광부(300)로 과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211) 또는 가스방전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발광부(30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일단이 발광부(300)에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광부(2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일단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다이오드(LEDS1)은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n 발광 다이오드(LEDSn)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LED 드라이버(200), 발광부(300),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의 순으로 배치된다. 이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과전압보호회로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 진다.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는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LED 드라이버(200)의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될 경우 발광부(300) 또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2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는 LED 드라이버(2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는 LED 드라이버(200)의 입력단과 발광부(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는 퓨즈(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2210)는 일단이 LED 드라이버(220)의 입력단 또는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되고, 타단이 발광부(300)의 입력단 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다이오드(LEDS1)은 애노드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퓨즈(221)는 SB(Slow Blow) 형식과 FA(Fast acting) 형식 중 FA 형식일 수 있다. 즉, 퓨즈(221)는 과전류로 인한 발광부(300) 혹은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를 보호하기 위하여 SB 형식보다 전류를 빠르게 차단하는 FA 형식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과전압 보호회로 및 제2 과전압 보호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서 LED 드라이버의 출력 파형도이다.
<T4 구간>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T4구간은 LED 드라이버(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다. LED 드라이버(2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에 정격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 발광부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 제2 인덕터(L2), 제2 스위치 소자(Q2), 다시 전원공급부(100) 순으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100)의 전원부(110)는 220[VAC]의 교류전압을 제공할 수 있고, LED 드라이버(2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가 정상 동작을 하는 전압 약 70[V], 전류 약 550 [mA]을 출력할 수 있다.
<T5 구간>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T5구간은 LED 드라이버(200)에서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된 상태이다. 이 경우, LED 드라이버(200)는 브레이크오버 전압(VBO) 이상의 과전압을 출력하여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과전류는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 제2 인덕터(L2), 제2 스위치 소자(Q2), 다시 전원공급부(100) 순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에 의해 대전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LED 드라이버(200)는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으로 인해 전류 흐름이 폐루프를 형성하므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증가할 수 있다.
<T6 구간>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T6구간은 LED 드라이버(200)에서 외부 혹은 내부의 EOS에 의해 제2 스위치 소자(Q2)가 손상 후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가 전류를 차단한 상태이다. 이 경우, 전원공급부(100)에서 제공된 전압 또는 전류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S1 - LEDSn) 또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에 제공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는 과전류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는 한계전류가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의 한계전류보다 낮다. 이에, LED 드라이버(200)에서 출력된 과전류가 증가하면서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가 손상되기 전에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가 전류를 차단하여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류가 증가하여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에 약 5.84[A]의 과전류가 흐르면 제2 과전압보호회로(220)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소자(Q2) 손상 후 전류 차단까지 약 45[us]의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제1 과전압보호회로(210)는 상기 시간 동안 해당 전류가 도통되어도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과전압보호회로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복수의 과전압보호회로를 한계전류를 상이하게 하여 발광 다이오드에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과전압보호회로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과전압보호회로의 가격이 저렴하고 저가형 LED 드라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조명장치
100 전원 공급부
110 전원부
120 정류부
130 PFC부
200 LED 드라이버
211 실리콘 제어 정류기
212 가스방전관
300 발광부
111 AC 전원
112 DC 전원

Claims (14)

  1.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직류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발광부에 강압된 전압을 제공하는 LED 드라이버; 및
    상기 발광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LED 드라이버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압보다 크면 구동되어 전류를 도통하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의 손상이 발생하는 제1 한계전류보다 낮은 제2 한계전류를 갖는 제2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드라이버는 벅(Buck) 컨버터인 LED 조명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드라이버는 다이오드, 인덕터 및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는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스위치 소자의 일단과 상기 인덕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는 타단이 상기 발광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는 타단이 상기 발광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타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LED 조명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는 상기 발광부를 중심으로 상기 LED 드라이버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LED 조명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 또는 가스방전관인 LED 조명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는 퓨즈인 LED 조명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SB(Slow Blow) 형식인 LED 조명장치.
  8. 외부의 교류전원을 이용하거나 내부의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직류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발광부에 강압된 전압을 제공하는 LED 드라이버; 및
    상기 발광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LED 드라이버에서 과전류를 출력하면 구동되어 과전류를 유도하는 제1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가 상기 과전류로 인하여 손상되기 전에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과전압보호회로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드라이버는 벅(Buck) 컨버터인 LED 조명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드라이버는 다이오드, 인덕터 및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는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스위치 소자의 일단과 상기 인덕터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는 타단이 상기 발광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는 타단이 상기 발광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타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LED 조명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는 상기 발광부를 중심으로 상기 LED 드라이버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LED 조명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압보호회로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 또는 가스방전관인 LED 조명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전압보호회로는 퓨즈인 LED 조명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SB(Slow Blow) 형식인 LED 조명장치.
KR1020160115227A 2016-09-07 2016-09-07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20180027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27A KR20180027940A (ko) 2016-09-07 2016-09-07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27A KR20180027940A (ko) 2016-09-07 2016-09-07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40A true KR20180027940A (ko) 2018-03-15

Family

ID=6165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227A KR20180027940A (ko) 2016-09-07 2016-09-07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79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1309B2 (en) 2019-03-12 2023-09-05 Lg Innotek Co., Ltd. Light source driv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1309B2 (en) 2019-03-12 2023-09-05 Lg Innotek Co., Ltd. Light source dri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470B2 (en) Lighting control circuit, illuminating lamp using the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illuminating lamp
JP5442893B1 (ja) Led照明装置
JP4952292B2 (ja) Led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システム
JP6396336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点滅周波数を変換する電源回路
JP5140783B2 (ja) 点灯回路およびランプ
JP2011100621A (ja) 光源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4968399B2 (ja) Led駆動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2009200431A (ja) 発光ダイオード点灯回路および照明装置
JP2012028724A (ja) 発光素子のドライバ回路
JP2015065040A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3045754A (ja) Led照明駆動用電源回路
JP2015042030A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KR20180027940A (ko) 과전압보호회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JP6182972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2456426B1 (ko) Led 전압 구동 회로
JP5744277B2 (ja) ハイブリット型定電流ledライト
KR101691768B1 (ko)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JP2013046558A (ja) 電源回路および照明装置
CN220440552U (zh) 一种供电电路及用电设备
JP7444009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0986801B1 (ko) Led신호등
CN102685969A (zh) 发光二极管驱动电路及短路保护电路
JP2011171188A (ja) 点灯装置
JP5009357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4110196A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