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159A -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159A
KR20180027159A KR1020160114406A KR20160114406A KR20180027159A KR 20180027159 A KR20180027159 A KR 20180027159A KR 1020160114406 A KR1020160114406 A KR 1020160114406A KR 20160114406 A KR20160114406 A KR 20160114406A KR 20180027159 A KR20180027159 A KR 2018002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ystem
wall
deck
reinforc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준
이홍수
안종석
이경호
이후선
전병갑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7159A/ko
Publication of KR2018002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용도로 이용되는 벽체시스템에서, 장방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데크부재; 데크부재 일면에 트러스형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철근부재; 및, 데크부재 타면에 양단부 및, 양단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철근부재는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주근과 상부주근을 중심으로 하부 양 옆으로 배근되는 한 쌍의 하부주근과 상ㆍ하부주근에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래티스근 및, 상부주근 위에서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수평근과 하부주근 하부에서 직교방향으로 매달아 배근되는 하부수평근으로 구성되고, 철근부재의 하부주근은 데크부재에 고정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40㎜ 이상 이격되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슬래브 위로 먹매김 후에 시스템서포트를 설치하는 제1단계; 및, 시스템서포트 사이에 벽체시스템과 민판형벽체거푸집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설치하고, 수평보강재 및 간격유지재를 결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벽체시스템과 민판형벽체거푸집 위로 슬래브형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Steel adhension type wall system being detachabl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form}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형틀로써의 벽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형이 가능한 판재에 철근이 미리 부착되어 형틀로 이용됨으로써 형틀과 철근의 복합화를 이루는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서포트를 우선 설치하는 과정으로 공기를 크게 단축시키고 시공안전성을 개선한 형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중 내력벽으로 지어지는 건축구조물은 현장 타설에 의하여 지어짐으로서 그 구성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타설과정을 보면, 조립 설치되는 벽체용 거푸집 내에 배근되는 철근과 슬라브용 거푸집 내에 배근되는 철근을 일일이 작업자들이 결속선(예를 들어 철사)으로 연결시키고, 벽체용 및 슬라브용 거푸집 내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벽과 슬라브를 일체성 있도록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철근배근 작업, 즉 철근을 일일이 작업자들이 결속선으로 묵는 작업, 거푸집 설치작업 및 제거작업, 슬라브를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를 설치하고 제거하는 등의 모든작업을 현장에서 수행하게 된다.
첫째, 벽체와 함께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및 서포트 등을 설치하는 데에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필요로하게 되었으며, 둘째, 타설된 미경화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를 가질때 까지 거푸집을 존치시키게 되는 만큼의 작업 진행상의 공백 및 슬라브콘크리트의 양생기간 만큼의 상층작업진행의 공백등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었으며, 셋째, 슬라브, 서포트 및 벽체 거푸집 해체에 따른 번거로움과 안전사고의 염려가 상존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벽체의 높이가 높은 경우 비계의 설치가 필수적인데 공간이 좁아 비계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인접 공간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철근이나 거푸집 등 자재의 반입, 이동, 설치 및 해체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탈형이 가능한 판재에 철근이 부착되어 형틀작업과 철근배근 작업이 완료된 상태로 현장에 이용되고 타워크레인 등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주요 공정을 손쉽게 진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틀 설치 전에 시스템서포트를 먼저 설치하고, 이를 횡지지부재로 이용하여 철근이 선부착된 벽체 형틀을 설치하기에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기를 크게 단축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 용도로 이용되는 벽체시스템에서, 장방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데크부재; 상기 데크부재 일면에 트러스형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철근부재; 및, 상기 데크부재 타면에 양단부 및, 양단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철근부재는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주근과 상기 상부주근을 중심으로 하부 양 옆으로 배근되는 한 쌍의 하부주근과 상기 상ㆍ하부주근에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래티스근 및, 상기 상부주근 위에서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수평근과 상기 하부주근 하부에서 직교방향으로 매달아 배근되는 하부수평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근부재의 하부주근은 상기 데크부재에 고정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40㎜ 이상 이격되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슬래브 위로 먹매김 후에 시스템서포트를 설치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시스템서포트 사이에 상기 벽체시스템과 민판형벽체거푸집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설치하고, 수평보강재 및 간격유지재를 결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벽체시스템과 민판형벽체거푸집 위로 슬래브형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탈형이 가능한 판재에 철근이 미리 부착된 벽체시스템이 이용됨으로써 철근 배근 시간 등을 생략함으로써 공기를 크게 단축시키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층고가 높은 벽체시공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골조공기를 크게 단축하고 시공안전성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시스템서포트를 선시공하여 벽체를 시공함으로써 공기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ㄷ' 채널부재만 이용하여 측압저항에 대비하기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자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각재를 이용하여 마구리면, 코너부위 등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요구를 만족한 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의 일실시예 및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 용도로 이용되는 벽체시스템(100)에서, 장방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데크부재(120); 상기 데크부재(120) 일면에 트러스형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철근부재(140); 및, 상기 데크부재(120) 타면에 양단부 및, 양단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철근부재(140)는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주근(142)과 상기 상부주근(142)을 중심으로 하부 양 옆으로 배근되는 한 쌍의 하부주근(144)과 상기 상ㆍ하부주근(142,144)에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래티스근(146) 및, 상기 상부주근(142) 위에서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수평근(148)과 상기 하부주근(144) 하부에서 직교방향으로 매달아 배근되는 하부수평근(149)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근부재(140)의 하부주근(144)은 상기 데크부재(120)에 고정되는 스페이서(S)에 의해 40㎜ 이상 이격되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크부재(120)는 판 상의 재료로, 콘판넬 등의 합판이나 아연도 강판 등의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데크부재(120)는 콘크리트 타설 후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벽체의 틀을 이루는 장방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근부재(140)는 상기 데크부재(120)의 일면에 배근되는 봉형상의 부재로, 구조적요구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철근부재(140)는 상부주근(142), 하부주근(144), 래티스근(146), 상부수평근(148), 하부수평근(149)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주근(144)은 피복두께 확보를 위해 스페이서(S)에 의해 데크부재(120)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만큼 배근되는데, 피복 30㎜ 확보를 위해 40㎜ 높이의 스페이서(S)가 활용될 수 있다.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하부주근(144) 위로는 단면상 중앙에 상부주근(142)이 상기 한 쌍의 하부주근(144) 위로 배근된다. 아울러 상부주근(142)과 그 아래 배근된 한 쌍의 하부주근(144)은 굴곡을 이루며 사선으로 연결되는 래티스근(146)으로 일체화된다. 하부수평근(149)은 데크부재(120) 하부에 배근된 하부주근(144)의 하부에 매달아 고정되고, 상부수평근(148)은 데크부재(120) 상부에 배근된 상부주근(142)을 스페이서(S)로 활용하여 그 위로 고정 배근된다.
한편, 데크부재(120)가 폴리프로필렌수지와 글라스 화이버 메트강화재로 이루어진 복합소재의 GMT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트러스로 이루어진 철근부재(140)의 최대 높이를 360㎜로 구현시키고(이때, 스페이서(S) 최대 40㎜ 적용), 철근부재(140)의 트러스형태 간의 간격을 300㎜로 확대 적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벽체에 배근되는 철근부재(140)의 피복두께를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보강부재(160)는 철근부재(140)가 결합되지 않은 데크부재(120)의 타면에 결합되어, 데크부재(120)를 보강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보강부재(160)는 철근부재(140)가 결합된 데크부재(120)의 수평보강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일정 규격으로 구성된 각형강관이 이용될 수 있다. 그 예로 50㎜×100㎜ 각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데크부재(120)의 상ㆍ하 양단부, 최하단으로부터 450㎜ 이격된 높이, 중앙부로부터 450㎜ 이격된 거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과 형틀이 일체화된 벽체시스템(100)을 제공하며, 철근배근 공종과 형틀이 한 번에 조립 및 설치됨으로써 공기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벽체 철근으로 이용되는 철근부재(140)가 바닥에서 조립됨으로써 40% 이상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100)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시스템(100)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에서, 바닥슬래브 위로 먹매김 후에 시스템서포트(200)를 설치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시스템서포트(200) 사이에 상기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설치하고, 수평보강재(400) 및 간격유지재(500)를 결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 위로 슬래브형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단계는 도 2a와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기 등을 이용하여 이미 형성된 바닥슬래브 위로 먹매김을 하고, 그어진 먹선 위로 계획된 위치마다 시스템서포트(2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시스템서포트(200)는 형성될 벽체의 좌우와 보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서포트(200)가 선 설치됨으로써 형틀의 횡지지체 및 가설발판으로 활용되어 시공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단계는 도 2c와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형틀을 구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벽체시스템(100)을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시스템서포트(200) 내 설치 및 고정하고, 설치된 벽체시스템(100) 외측으로 측압에 저항하기 위한 수평보강재(400)를 결합하며, 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간격유지재(500)를 설치한다. 그리고 벽체거푸집과 마주보이는 면에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을 설치하고, 일단이 벽체시스템(100)에 고정된 수평보강재(400)와 간격유지재(500)의 타단을 민판형벽체거푸집(300)에 고정하여 마무리한다. 아울러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은 시스템서포트(200)를 가설발판으로 활용함으로써 수평보강재(400)와 간격유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적인 벽체시스템(100)은 콘판넬로 적용하고, 상부, 마구리, 보접합부 등은 합판으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콘판넬의 제고율을 고려하여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벽체시스템(100)은 선시공된 시스템서포트(200)에 횡지지되는데, 가령 50×50 이상의 각재를 1500㎜ 간격으로 받쳐주면된다.
그 후에는 시스템서포트(200)에 지지된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 위로 합판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슬래브형틀을 설치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e와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거푸집 위로 보거푸집(BF)과 데크플레이트(DP)를 설치하는 제3단계;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100)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의 일실시예 및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시스템(100)을 양중하여 시스템서포트(200) 내측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벽체시스템(100) 외측으로 일정 높이마다 'ㄷ'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재(400)를 간격유지재(500)의 일단에 고정하여 설치한 후, 상기 벽체시스템(100) 마주보이는 곳에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을 설치하여 상기 민판형벽체거푸집(300) 외측으로 일정 높이마다 'ㄷ'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재(400)에 상기 간격유지재(500)의 타단과 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벽체시스템(100)은 데크부재(120)에 부착된 철근부재(140)의 트러스근을 활용하여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할 수 있다.
이때 간격유지재(500)는, 도 3b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홀(520a)이 구비되고 중앙부 단면이 더 큰 폭으로 형성된 바 형태의 막대부재(520)와, 상기 막대부재(520)가 벽체시스템(100) 및 민판형벽체거푸집(300)과 맞닿는 내측과 외측에 밀착설치되어 막대부재(520)를 고정하여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페이스트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부재(540) 및 캡부재(560)와, 상기 막대부재(520) 양단에 형성된 홀(520a)에 끼워져 상기 수평보강재(400) 외측에서 체결되는 핀부재(580)로 구성될 수 있다.
막대부재(520)는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 사이에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형성되며 단부로부터 소정 간격이격된 부분(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 단면 외측)에는 소정 크기의 천공된 홀(520a)이 구비된다.
콘부재(540)는 막대부재(520)의 폭이 변하는 부분에 끼워지는 부재로, 원형단면에서 가운데가 막대부재(520)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멍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캡부재(560)는 콘부재(540)와 대응되게 짝을 이루는 부재로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에 천공된 부분에 끼워져 밀실하게 막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핀부재(580)는 막대부재(520) 양단부에 형성된 홀(520a)에 끼워짐으로써 막대부재(520)가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에 고정된 채 콘크리트 타설시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시스템서포트(200) 사이에 판재와 철근이 결합된 벽체시스템(100)을 설치하고 막대부재(520)를 콘부재(540)와 캡부재(560)로 밀실하게 막은상태로 관통하여 핀부재(580)로 고정한다. 이때 콘부재(540)는 벽체두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캡부재(560)는 막대부재(52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동시에 페이스트의 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후에 벽체시스템(100) 반대편에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을 설치하고, 벽체시스템(100) 외측에 설치된 수평보강재(400)를 대응되는 높이마다 설치한 후 핀부재(580)로 고정함으로써 벽체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만약 벽체에 창호 등의 개구부가 계획된 부분이 있다면 해당 부위에 배근된 철근부재(140)를 절단하고 별도로 개구부를 보강할 수 있는 철근을 보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이 설치되면 그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데, 수평보강재(400)에 비계파이프를 45~60도 각도로 일정 간격마다 보강 결합함으로써 횡방향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수평보강재(400)는 'ㄷ' 형태의 단면중 개구된 단면이 판재를 향햐도록 고정되고, 핀부재(580)는 체결 작업성 확보를 위해 타격형 삼각핀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100)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상부수평근(148)과 하부수평근(149)의 단부를 굴곡지게 연장ㆍ연결하는 U형철근(600)과 상기 U형철근(60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ㆍ하에 설치되는 보조주근(7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U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U형철근(600)의 양단부가 각각 상부수평근(148)과 하부수평근(149)과 연결된 채 연장설치되고, 이렇게 연장된 단면 U형 철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ㆍ하에 벽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보조주근(700)이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벽체시스템(100)의 단부가 교차되는 코너부위에 적용시킬 수 있는데, 한쪽 벽면에 선추가 보강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데크부재(120)가 단부로부터 소정길이 더 연장되고, 상기 데크부재(120)가 직교되게 결합되는 부위에 'ㅁ'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보조부재(900b)가 연장된 단부 단면상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즉 벽체시스템(100)에 코너류 합판 필러를 양 단부에 배치하고, 각재를 보강하여 모서리 부분을 시공할 수 있는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측 벽체시스템(100)에서는 U형철근(600)과 보조주근(700)이 제작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직교방향으로 연결되는 벽체시스템(100)에서는 필러로부터 철근을 배근하여 제작시 고정된 U형철근(600) 등에 고정ㆍ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부 벽체시스템(100)은 안쪽 벽체시스템(100)부터 시공하는 것이 작업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데크부재(120)와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이 단부로부터 소정길이 더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높이방향의 합판부재(800)와 상기 합판부재(800) 외측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각형부재(900a)가 추가로 설치되어 폐쇄된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벽체의 마구리면(단부 측면)에 적용되는 것으로, 벽체 두께에 따라 합판부재(800)를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 사이에 게재되도록 설치하고, 이러한 합판부재(800) 외측의 양 단부에 각재를 접합하는 것이다. 가령 합판부재(800)가 데크부재(120) 단부로부터 65㎜ 돌출되고, 그 도출된 단면 내에 12㎜합판과 50×50 각재가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마구리 용도의 형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강재(400)에 형성된 홈을 활용하여 간격유지재(500)의 일면에 각형부재(900a)가 밀착됨으로써 고정ㆍ결속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수평보강재(400)가 상기 벽체시스템(100) 하단으로부터 150㎜ 간격으로 두 단이 설치되고, 그 위로는 300㎜ 간격으로 설치되되, 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는 2.9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가 2.5M 내지 2.9M인 경우에는, 하단으로부터 300㎜ 간격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각형의 추가보강재(900c)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수평보강재(400)는 125×50×3t(SS400)을 이용하고 간격유지재(500)를 4×18㎜(T=11.5kN, SS400)을 이용함으로써 아래 참고도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과 내력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참고도 1]
Figure pat00001
[참고도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S: 스페이서 BF: 보거푸집
DP: 데크플레이트 100: 벽체시스템
120: 데크부재 140: 철근부재
142: 상부주근 144: 하부주근
146: 래티스근 148: 상부수평근
149: 하부수평근 160: 보강부재
200: 시스템서포트 300: 민판형벽체거푸집
400: 수평보강재 500: 간격유지재
520: 막대부재 520a: 홀
540: 콘부재 560: 캡부재
580: 핀부재 600: U형철근
700: 보조주근 800: 합판부재
900a: 각형부재 900b: 보조부재
900c: 추가보강재

Claims (11)

  1. 거푸집 용도로 이용되는 벽체시스템(100)에서,
    장방형의 판으로 이루어진 데크부재(120);
    상기 데크부재(120) 일면에 트러스형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철근부재(140); 및,
    상기 데크부재(120) 타면에 양단부 및, 양단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부재(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철근부재(140)는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주근(142)과 상기 상부주근(142)을 중심으로 하부 양 옆으로 배근되는 한 쌍의 하부주근(144)과 상기 상ㆍ하부주근(142,144)에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래티스근(146) 및, 상기 상부주근(142) 위에서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상부수평근(148)과 상기 하부주근(144) 하부에서 직교방향으로 매달아 배근되는 하부수평근(149)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근부재(140)의 하부주근(144)은 상기 데크부재(120)에 고정되는 스페이서(S)에 의해 40㎜ 이상 이격되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보강부재(160)는 50㎜×100㎜ 각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데크부재(120)의 상ㆍ하 양단부, 최하단으로부터 450㎜ 이격된 높이, 중앙부로부터 450㎜ 이격된 거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벽체시스템(100)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에서,
    바닥슬래브 위로 먹매김 후에 시스템서포트(200)를 설치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시스템서포트(200) 사이에 상기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설치하고, 수평보강재(400) 및 간격유지재(500)를 결합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벽체거푸집(300) 위로 슬래브형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시스템(100)과 민판형거푸집 위로 보거푸집(BF)과 데크플레이트(DP)를 설치하는 제3단계;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제2단계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시스템(100)을 양중하여 시스템서포트(200) 내측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벽체시스템(100) 외측으로 일정 높이마다 'ㄷ'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재(400)를 간격유지재(500)의 일단에 고정하여 설치한 후, 상기 벽체시스템(100) 마주보이는 곳에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을 설치하여 상기 민판형벽체거푸집(300) 외측으로 일정 높이마다 'ㄷ'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재(400)에 상기 간격유지재(500)의 타단과 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간격유지재(500)는,
    양단부에 홀(520a)이 구비되고 중앙부 단면이 더 큰 폭으로 형성된 바 형태의 막대부재(520)와, 상기 막대부재(520)가 벽체시스템(100) 및 민판형벽체거푸집(300)과 맞닿는 내측과 외측에 밀착설치되어 막대부재(520)를 고정하여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페이스트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부재(540) 및 캡부재(560)와, 상기 막대부재(520) 양단에 형성된 홀(520a)에 끼워져 상기 수평보강재(400) 외측에서 체결되는 핀부재(5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7. 제5항에서,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상부수평근(148)과 하부수평근(149)의 단부를 굴곡지게 연장ㆍ연결하는 U형철근(600)과 상기 U형철근(60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ㆍ하에 설치되는 보조주근(700)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8. 제5항에서,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데크부재(120)와 민판형벽체거푸집(300)이 단부로부터 소정길이 더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높이방향의 합판부재(800)와 상기 합판부재(800) 외측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각형부재(900a)가 추가로 설치되어 폐쇄된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9. 제5항에서,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데크부재(120)가 단부로부터 소정길이 더 연장되고, 상기 데크부재(120)가 직교되게 결합되는 부위에 'ㅁ'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보조부재(900b)가 연장된 단부 단면상에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10. 제5항에서,
    제2단계의 벽체시스템(100)은 수평보강재(400)가 상기 벽체시스템(100) 하단으로부터 150㎜ 간격으로 두 단이 설치되고, 그 위로는 300㎜ 간격으로 설치되되, 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는 2.9M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11. 제10항에서,
    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가 2.5M 내지 2.9M인 경우에는, 하단으로부터 300㎜ 간격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각형의 추가보강재(900c)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을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KR1020160114406A 2016-09-06 2016-09-06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KR20180027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406A KR20180027159A (ko) 2016-09-06 2016-09-06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406A KR20180027159A (ko) 2016-09-06 2016-09-06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159A true KR20180027159A (ko) 2018-03-14

Family

ID=6166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406A KR20180027159A (ko) 2016-09-06 2016-09-06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71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052A (zh) * 2022-08-02 2022-09-23 江苏扬建集团有限公司 一种现浇减重填充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053Y1 (ko) * 2003-02-13 2003-07-22 이창남 철선트러스 거푸집
KR20050112913A (ko) * 2004-05-28 2005-12-01 김범준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26254B1 (ko) * 2015-06-24 2016-06-13 김광섭 회수 가능한 벽체 데크패널
KR20160069257A (ko) * 2014-12-08 2016-06-16 김광섭 건축용 데크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053Y1 (ko) * 2003-02-13 2003-07-22 이창남 철선트러스 거푸집
KR20050112913A (ko) * 2004-05-28 2005-12-01 김범준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69257A (ko) * 2014-12-08 2016-06-16 김광섭 건축용 데크패널
KR101626254B1 (ko) * 2015-06-24 2016-06-13 김광섭 회수 가능한 벽체 데크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052A (zh) * 2022-08-02 2022-09-23 江苏扬建集团有限公司 一种现浇减重填充墙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6955B (zh) 一种剪力墙整体预制钢筋网结构及其施工方法
JP5594987B2 (ja) コンクリート製架台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製架台、および、繋ぎ材
KR101752275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t형 돌기를 갖는 기둥 영구거푸집
JP2011005689A5 (ko)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DK2630306T3 (en) Assemblable disposable FOR CONSTRUCTION OF MODULAR formwork FOR PRODUCTION OF CONCRETE FOUNDATION
KR100991046B1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JP5252397B2 (ja) Pc橋における柱頭部施工方法
KR101950872B1 (ko) 탈형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된 pc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1023179B1 (ko) 티형 리브드 슬래브,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N112982774A (zh) 基于快拼式龙骨模壳组合模板成型密肋楼板的施工方法
KR100775359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180027159A (ko) 탈형이 가능한 철근 부착형 벽체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형틀 시공방법
KR101229093B1 (ko)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311207B1 (ko) 철골 철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JPH11158813A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JPH1129910A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KR101140627B1 (ko)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