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943A -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943A
KR20180026943A KR1020160113896A KR20160113896A KR20180026943A KR 20180026943 A KR20180026943 A KR 20180026943A KR 1020160113896 A KR1020160113896 A KR 1020160113896A KR 20160113896 A KR20160113896 A KR 20160113896A KR 20180026943 A KR20180026943 A KR 2018002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ndow glass
image
ed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성
임형식
임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16011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943A/ko
Priority to PCT/KR2016/012387 priority patent/WO2018043809A1/ko
Publication of KR2018002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가 패널 상에 올바르게 부착되었는지를 카메라를 통해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된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는 윈도우 글래스(2)와 전면 패널(1)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100)과, 윈도우 글래스와 전면 패널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를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촬영된 영상로부터 윈도우 글래스의 저면에 부착된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과 전면 패널의 테두리를 이루는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판독부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ttaching positoin of display window}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가 패널 상에 올바르게 부착되었는지를 카메라를 통해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된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조시 기기의 전면 패널에 윈도우 글래스를 부착시키는 윈도우 글래스 부착공정과 윈도우 글래스가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윈도우 글래스 부착 위치 검사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중, 종래의 윈도우 글래스 부착 위치 검사는 컨베어를 타고 이동하는 모바일 기기를 작업자가 확대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확대경을 통해 비추어지는 윈도우 글래스(2)의 저면에 부착된 윈도우 테두리 필름(P)의 테두리 라인(L1)과, 전면 패널(1)의 가장자리를 이루며 전면에서 보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검정색으로 도포된 블랙매트릭스(B; Black Matrix)의 테두리 라인(L2)이 확대경에 표시된 기준 라인으로부터 벗어났는지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글래스(2)가 일측으로 치우쳐 부착되지는 않았는지 혹은 경사지게 부착되지는 않았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검사방법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검사를 실시해야 하므로 검사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은 물론 작업성이 매우 불량할 뿐만 아니라 검사시간이 과다하게 소모되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는 윈도우 글래스와 전면 패널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과, 윈도우 글래스와 전면 패널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로부터 윈도우 글래스의 저면에 부착된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과 전면 패널의 테두리를 이루는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판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가 만나는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에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가 조명의 중앙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명이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장변측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와 제2조사부 및 상기 제1조사부와 제2조사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단변측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와 제4조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사부 내지 제4조사부는 각각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를 향해 경사지게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판독부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과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입력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추출된 테두리 영상을 선명하게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와, 영상 보정부로부터 보정 영상을 획득하여 두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측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정부는 테두리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하는 콘트래스트 조절부와, 상기 테두리 영상의 라인 디테일을 보정하는 라인 디테일 조절부와, 콘트래스트와 라인 디테일이 모두 조절된 보정된 영상중에서 테두리 이외의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하는 크롭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리측정부는 보정영상로부터 픽셀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두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부는 거리측정부에서 산출한 두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좁거나 넓을 경우에 한하여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와 전면 패널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에 조명과 카메라를 설치하고 촬영된 영상로부터 윈도우 글래스와 촬영된 영상로부터 윈도우 글래스의 저면에 부착된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과 전면 패널의 테두리를 이루는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판독부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을 윈도우 글래스의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가 만나는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에 배치함으로써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에 각각 조명과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조명과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매우 정밀하게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위치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을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장변측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와 제2조사부 및 상기 제1조사부와 제2조사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단변에 빛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와 제4조사부로 구성함으로써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를 보다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조명의 제1조사부 내지 제4조사부가 각각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를 향해 경사지게 빛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그림자 없는 선명한 테두리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테두리에 조사된 빛이 카메라로 반사되지 않게 되어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 검사의 정밀도가 더욱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을 윈도우 글래스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부에 서로 나란하게 경사진 상태로 설치하여 윈도우 글래스에 대한 점유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은 크기의 윈도우 글래스에 대한 검사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판독부가 촬영된 영상을 콘트래스트 및 라인 디테일을 보정한 후에 테두리의 거리를 픽셀수로 계산하여 산출한 결과로 양불 판정을 하므로 검사의 정밀도가 보다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기기의 전면 패널에 윈도우 글래스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판독부가 촬영된 사진을 판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는 윈도우 글래스(2)와 전면 패널(1)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100)과, 윈도우 글래스(2)와 전면 패널(1)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를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촬영된 영상로부터 윈도우 글래스(2)와 전면 패널(1)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의 거리를 산출하는 판독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2)는 전면 패널(1)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장치(미도시)를 따라 검사위치로 이송된다.
상기 조명(100)과 카메라(200)는 윈도우 글래스(2)의 상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송장치의 제어에 따라 윈도우 글래스(2)가 검사위치에 정지하면 상기 조명(100)이 해당 윈도우 글래스(2)와 전면 패널(1)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고 카메라(200)가 테두리를 촬영한다.
상기 조명(100)과 카메라(200)는 윈도우 글래스(2)의 테두리 중, 장변측 테두리(2a)와 단변측 테두리(2b)가 만나는 모서리부에 배치된다. 조명(100)과 카메라(200)를 모서리부에 배치하면, 장변측 테두리(2a)와 단변측 테두리(2b)에 각각 조명(100)과 카메라(200)를 설치하거나 조명(100)과 카메라(200)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단변측 테두리(2b)와 장변측 테두리(2a)를 함께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100)과 카메라(200)는 검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명(100)은 윈도우 글래스(2)의 테두리 형태에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200)는 조명(10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명(100)은 카메라(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는 윈도우 글래스(2)의 장변측 테두리(2a)에 대하여 양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아울러, 상기 조명(100)은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카메라(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조사부(130)와 제4조사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3조사부(130)와 제4조사부(140)는 윈도우 글래스(2)의 단변측 테두리(2b)에 대하여 양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조사부(110) 내지 제4조사부(140)는 각각 장변측 테두리(2a)와 단변측 테두리(2b)를 향해 빛을 경사지게 조사한다. 빛을 경사지게 조사하는 이유는 동축광원을 사용하여 윈도우 글래스(2)의 모서리를 향해 빛을 수직으로 조사하는 경우, 윈도우 글래스 글라스의 라운드 진 모서리에 의해 빛이 카메라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어 영상이 어둡게 촬영되어 테두리를 판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빛의 조사각도는 윈도우 글래스(2)의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50° 내지 7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빛의 조사각도가 50°미만이면, 윈도우 글래스 글라스의 라운드 진 모서리에 의하여 중앙에 위치한 카메라(200)가 윈도우 글래스(2)의 모서리로부터 반사되는 과다한 빛 때문에 선명한 촬영이 힘들게 된다.
또한, 빛의 조사각도가 70°를 초과하게 되면 윈도우 글래스(2)의 라운드 진 모서리에 의하여 빛이 카메라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어 영상이 어둡게 촬영된다.
한편, 상기 조명(100)은 윈도우 글래스(2)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윈도우 글래스(2)에 대해서도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부에 조명(100)의 설치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윈도우 글래스(2) 외측에 배치된 주변의 기구물과의 간섭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판독부는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윈도우 글래스(2)의 저면에 부착된 윈도우 필름(P)의 테두리 라인(L1)과 전면 패널(1)의 테두리를 이루는 블랙매트릭스(B)의 테두리 라인(L2) 사이의 거리를 판독한다.
상기 판독부는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윈도우 필름(P)의 테두리 라인(L1)과 블랙매트릭스(B)의 테두리 라인(L2)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입력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추출된 테두리 영상을 선명하게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와, 영상 보정부로부터 보정 영상을 획득하여 두 테두리 라인(L1,L2) 부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측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콘트래스트(Contrast) 조절부와 조절 디테일(Line Detail) 조절부와 크롭(Crop)부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래스트 조절부는 영상 입력부로부터 추출된 테두리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하여 명암이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영상을 보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인 디테일 조절부는 콘트래스트가 조절된 테두리 영상의 라인 디테일을 보정하여 선예도를 높여줌으로써 두 테두리 라인(L1,L2)이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영상을 보정한다. 아울러, 상기 크롭부는 콘트래스트와 라인 디테일의 조절이 완료된 보정 영상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두 테두리 라인(L1,L2) 부위만 남기고 불필요한 부위를 잘라내는 동시에 테두리의 두 테두리 라인(L1,L2) 사이에 나타나는 불필요한 잔상들을 깨끗하게 제거한다.(도 6 참조)
한편, 거리측정부는 보정이 완료된 보정영상으로부터 픽셀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두 테두리 라인(L1,L2)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거리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좁거나 넓을 경우에 한하여 불량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를 검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송장치를 통해 윈도우 글래스(2)가 전면 패널(1)에 부착된 상태로 조명(100)과 카메라(200) 설치된 검사위치에 도달하면 이송장치의 동작이 중지되고,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만 동시에 점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가 점등되면 모서리부의 장변측 테두리(2a)의 좌우측으로 비스듬하게 빛이 조사되고 카메라(200)가 장변측 테두리(2a)를 촬영한다.
이때,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장변측 테두리(2a)에 조사된 빛은 장변측 테두리(2a)부의 양측을 조명(100)하므로 그림자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200)측으로 반사되지 않으므로 카메라(200)는 테두리를 매우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장변측 테두리(2a)의 촬영이 완료되면,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가 소등됨과 동시에 제3조사부(130)와 제4조사부(140)가 점등된다.
제3조사부(130)와 제4조사부(140)가 점등되면 모서리부의 단변측 테두리(2b)의 좌우측으로 비스듬하게 빛이 조사되고 카메라(200)가 단변측 테두리(2b)를 촬영한다.
이때, 제1조사부(110)와 제2조사부(120)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장변측 테두리(2a)에 조사된 빛은 단변측 테두리(2b)의 양측을 조명(100)하므로 그림자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제3조사부(130)와 제4조사부(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200)측으로 반사되지 않으므로 카메라(200)는 테두리를 매우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서리부의 장변측 테두리(2a)와 단변측 테두리(2b)의 촬영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부의 영상입력부가 카메라(200)로부터 장변측 테두리(2a)와 단변측 테두리(2b)의 영상(도 6a)을 전달받고 윈도우 글래스(2)와 전면 패널(1)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 부위(도 6b)를 추출한다.
그리고 판독부의 영상보정부는 추출된 테두리 영상으로부터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L1)과 전면 패널(1)의 테두리를 이루는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L2)이 잘 드러나도록 명암을 조정(도 6c)과 라인 디테일을 조정(도 6d)하여 보다 선명한 영상으로 보정하면 크롭부가 검사영역과 테두리만 남기고 나머지 불필요한 부분을 모두 제거(도 6e)해 낸다.
이렇게 보정이 완료된 영상에서는 윈도우 글래스(2)와 전면 패널(1)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L1)과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L2)이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거리 측정부는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두 테두리 라인(L1, L2) 사이의 픽셀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테두리 부위의 거리(D)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판독부는 산출된 거리(D)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좁거나 넓을 경우, 윈도우 글래스(2)가 일측으로 치우쳐 부착되었거나 경사지게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량으로 판독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판정부가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이송장치의 동작이 재개되면서 새로운 검사 대상이 되는 윈도우 글래스(2)가 검사위치로 이송되며, 조명(100)과 카메라(200)가 동작하면서 검사가 시작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윈도우 글래스(2)의 부착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전면 패널 2...윈도우 글래스
2a...장변측 테두리 2b...단변측 테두리
100...조명 110...제1조사부
120...제2조사부 130...제3조사부
140...제4조사부 200...카메라
B...블랙매트릭스 L1,L2...테두리 라인
P...윈도우 필름

Claims (9)

  1. 윈도우 글래스와 전면패널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윈도우 글래스와 전면 패널의 접착부위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촬영된 영상로부터 윈도우 글래스의 저면에 부착된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과 전면 패널의 테두리를 이루는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판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가 만나는 모서리부들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에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조명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은 상기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장변측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와 제2조사부 및 상기 제1조사부와 제2조사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윈도우 글래스의 단변측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와 제4조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사부 내지 제4조사부는 각각 장변측 테두리와 단변측 테두리를 향해 경사지게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윈도우 필름의 테두리 라인과 블랙매트릭스의 테두리 라인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입력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추출된 테두리 영상을 선명하게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와, 영상 보정부로부터 보정 영상을 획득하여 두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측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테두리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하는 콘트래스트 조절부와, 상기 테두리 영상의 라인 디테일을 보정하는 라인 디테일 조절부와, 콘트래스트와 라인 디테일이 모두 조절된 보정된 영상중에서 테두리 이외의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하는 크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부는 보정영상로부터 픽셀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두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거리측정부에서 산출한 두 테두리 라인 사이의 거리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좁거나 넓을 경우에 한하여 불량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9.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KR1020160113896A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KR20180026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96A KR20180026943A (ko)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PCT/KR2016/012387 WO2018043809A1 (ko) 2016-09-05 2016-10-31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96A KR20180026943A (ko)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43A true KR20180026943A (ko) 2018-03-14

Family

ID=6130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96A KR20180026943A (ko)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26943A (ko)
WO (1) WO20180438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398B1 (ko) * 2022-09-22 2023-12-13 주식회사 씨인사이드 광학 필름 접착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480A (ko) * 2005-07-08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실 라인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 라인 검사 방법
JP4728433B2 (ja) * 2008-01-25 2011-07-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30053586A (ko) * 2011-11-15 2013-05-24 주식회사 미르기술 비접촉식 부품검사장치
JP2015031599A (ja) * 2013-08-02 2015-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重ね合わせ方法
JP5868462B2 (ja) * 2014-08-07 2016-02-2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パターン形状評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398B1 (ko) * 2022-09-22 2023-12-13 주식회사 씨인사이드 광학 필름 접착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809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3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adjusting projector pose with six degrees of freedom for image alignment
US8027036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cles on a glass surface and a method thereof
US20110187849A1 (en) Detection apparatus fo paricle on the glass
CN111025701B (zh) 一种曲面液晶屏幕检测方法
TWI518404B (zh) 液晶面板檢查裝置
KR101627634B1 (ko) 프로젝터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US200900677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lemishes on surface of object
CN105092473A (zh) 一种多晶硅薄膜的质量检测方法和系统
CN110596139A (zh) 一种屏缺陷检测方法和系统
KR20150071228A (ko) 3차원 형상의 유리 검사장치
JP6677344B2 (ja) 帯状体の蛇行量測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帯状体の蛇行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26943A (ko)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JP2012037425A (ja) 多結晶シリコンウェーハ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5509465B2 (ja) ガラスびん検査装置
KR101198406B1 (ko) 패턴 검사 장치
JP2010243212A (ja) 傾斜検出方法、および傾斜検出装置
JP5077887B2 (ja) カラーフィルタ欠陥修正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欠陥修正装置
JP2008091843A (ja) 基板の圧着状態検査装置
CN110769232B (zh) 超短焦投影仪的亮度检测方法、装置及系统
US10269105B2 (en) Mask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558671B1 (ko) 평판디스플레이의 화질검사를 위한 자동 정렬방법
KR100891553B1 (ko) 선영역 스캔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글라스 기판의 에지점검출방법
JP3654221B2 (ja) 照明光学素子の検査装置、および照明光学素子の検査方法
JP2007285753A (ja) 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JP2006266786A (ja) 電気光学装置用表示検査装置及び表示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