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298A -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298A
KR20180026298A KR1020160113502A KR20160113502A KR20180026298A KR 20180026298 A KR20180026298 A KR 20180026298A KR 1020160113502 A KR1020160113502 A KR 1020160113502A KR 20160113502 A KR20160113502 A KR 20160113502A KR 20180026298 A KR20180026298 A KR 2018002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parts
insectic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윤종웅
강현배
Original Assignee
(주)비오지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오지노키 filed Critical (주)비오지노키
Priority to KR102016011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298A/ko
Publication of KR2018002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잎에서 추출된 혼합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그리고 은행잎에서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은행잎 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lant having insecticidal effect on red poultry mite, Dermanyssus gallinae}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잎에서 추출된 혼합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그리고 은행잎에서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된 은행잎 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는 살충력이 있는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 피로피온산(propionic acid), 초산(acetic acid), 낙산(butyric acide) 성분이 함유되어 닭진드기 살충제로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오래전부터 화학 농약의 지나친 사용으로 토양 미생물 및 천적 감소 등 생태계 교란, 수질오염 및 토양과 농산물의 농약잔류 등의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어 커다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저독성, 무독성 또는 무공해성의 천연 농약 또는 생물 노약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 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수십년간 사용되어 오던 화학 농약들은 해충들에 내성이 생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양의 농약을 사용하거나 보다 치명적인 맹독성의 농약을 사용하여야만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환경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을 직접 섭취하는 인체에도 치명적인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 농약을 대체하기 위한 천연 농약 및 천적 미생물 등 생물농약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천연 농약 및 천적 미생물들이 방제효과가 미약하거나 효과가 극히 제한적이며, 가격 또한 고가인 관계로 실효성 및 경제성이 없어 농민들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함으로써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화학 농약의 대체 물질로서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닭진드기는 양계장에서 경제적 손실을 많이 주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외부 기생충이다. 이 종은 흔히 닭, 야생 조류를 비롯한 설치류에 기생하여 흡혈하는 해충으로 계사에 잘 번성하고 산란계에서 빈혈, 생산력 감소 그리고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게까지 할 수 있어 가장 중요한 흡혈성 기생충이다.
또한 가금스피로헤타증(avian spirochetes), 수두바이러스, 뉴캐슬바이러스, 추백리, 가금티푸스 그리고 콜레라의 매개충이기도 하다. 이들의 밀도가 매우 높은 계사에서는 사람들에게 혐오감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들의 생활사 중 흡혈을 하는 단계는 대개 자충과 암컷이며, 아주 드문 경우에 수컷도 흡혈을 하나 유충은 흡혈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양계장에서 가장 위협적인 이들을 방제하기 위해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해 왔다.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들은 카바릴(carbaryl), 다이아지논(diazinon),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퍼메스린(permethrin), 그리고 이산화항 등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이들 살충제 사용은 닭진드기의 효과적인 방제를 초기에는 가져왔으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저항성 계통이 출현하여 효과적인 방제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살충제 과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화학물질의 이러한 부작용과 더불어 이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감이 증폭되면서 우수한 살충력을 발휘하여 가정용으로도 널리 활용되던 다이아지논 등이 시장에서 퇴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은 닭진드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대체약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데, 특히 안전성을 담보하면서 휘발성을 갖는 자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4-0078703호에서는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 조성물은 인삼 선충을 방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백두옹 및 숙성시킨 은행 껍질을 증류수와 함께 항온조에 넣고 60 - 90℃에서 6 내지 10일간 숙성시킨 추출액에 유황을 반응시킨 반응물을 혼합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2-0107406호에서는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해충을 방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식물 성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환경오염 및 인체 유해성, 농작물 내성, 생태계 교란 등을 수반하는 기존의 합성 살충제 조성물과는 다른 친환경적인 살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작물 증식 증대 효과로 인해 농가의 소득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0-0101326호에서는 수도해충에 우수한 살충활성을 지니는 살충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수도해충에 우수한 살충활성을 지니는 살충제 조성물을 공개하고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세바스티아니아 코르니큘라타(Sebastiania corniculata) 유기용매 추출물, 8-하이드록시퀴놀라인(8-Hydroxyquinoline) 및 8-하이드록시퀴놀라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도해충에 우수한 살충활성을 지니는 살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4-0190372호에서는 식물성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충국(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고삼(Sophora flavescens), 담배(Nicotiana tabacum L.), 야생담배(Nicotiana Glauca), 멀구슬(Melia azedarah var. japonica), 마늘(Allium sativum L.), 창포(Acorus calamus L.), 메리골드(Tagetes erecta) 및 은행(Ginkgo biloba L.) 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충의 방제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살충제들은 부수적으로 해충들에게 기피력도 보이고 일반 살충제들이 직접 침투하기 어려운 은신처들에 숨어 있는 해충들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식물체는 진드기 방제제 개발을 위한 가장 우수한 대체원으로서 그 잠재성이 크다. 이유는 일부 식물체들의 경우 선택적이고 무독성 물질로 생분해되며 비목적 생물과 환경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식물 추출물들과 식물체 정유는 미국환경보호청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소위험살충제들에 속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닭진드기 방제원으로서 식물체들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은, 식물체에서 추출한 혼합물과 목초 발효액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인체 무독성이고 친환경적이며 닭진드기 방제 효과가 탁월한 액상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추출물, 목초액,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식물 추추물 85 중량부, 목초액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은행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 피로피온산(propionic acid), 초산(acetic acid), 낙산(butyric acide)은 사람이나 가축에 무해하며, 상기 혼합물을 농작물에 적용하면 곤충이나 진드기를 죽이고, 곰팡이를 억제 또는 살균하는 효과가 10 내지 15일간 지속되며, 특히 채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애벌레, 담배거세미밤나방, 파밤나방, 진딧물, 총재벌레류 및 가루이 등에 대해서는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낸다.
은행나무(Ginkgo biloba)는 약 2억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했던 식물군 중 현재까지 존재하는 유일한 식물이며, 암·수나무가 다른 낙엽성 교목이다. 은행나무는 곤충,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와 같은 다양한 해충이나 공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정원수나 가로수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은행나무잎의 성분으로 밝혀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디테르펜(Diterpene),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폴리페놀(Polyphenol), 유기산 및 다당류(Polysaccharide)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추출물에서 보이는 약리작용은 은행잎 추출물 중 50%정도를 차지하는 플라보노이드성분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나무는 ginkgolic acid, bilobol, ginnol, kayaflavone, ginkgetin, sciadopitysin 등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ginkgolic acid는 시험실 실험에서 결핵균 생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포도상구균, 연쇄구균 등에 대해서 억제작용 및 항균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배추흰나비(Pieris rapae) 유충에 대한 섭식 저해 물질로 ginkolide A, ginkolide B 및 bilobalide 등이 보고 되었고,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과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가 은행나무 추출물에 대해 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피로피온산(propionic acid), 초산(acetic acid), 낙산(butyric acid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산화칼륨과 카놀라유로 이루어지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체 일부를 유기 용매에 투입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선택적으로는, 상기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는 농축 단계, 선택적으로는, 상기 농축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교반 단계를 포함하는, 닭 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 단계는 식물체 100 중량부를 유기용매 500 내지 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단계는 상기에서 추출된 혼합물 85 중량부에 목초액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5 중량부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은, 닭 진드기의 살충제 내성 증가, 인축에 대한 독성 문제 및 농약 성분의 환경 잔류 문제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살충제 조성물로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조 과정이 단순하며 보관 유통 기한이 길고 살충 효과가 우수한 특성이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은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이 함유된 식물 추출물과 피로피온산(propionic acid), 초산(acetic acid), 낙산(butyric acide)를 함유한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며, 식물추출물 85 중량부, 목초액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은행나무 잎에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은행나무 잎 100 중량부를 에탄올 500 내지 1,000 중량부의 에탄올에 투입하여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약 40 내지 50시간 동안 추출 과정을 진행하고, 상기의 추출과정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이 함유된 혼합물 상태로 추출되는데, 이들의 함량이 0.5 내지 1%인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농축기를 통해 농축된 추출물에 함유된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은 HPLC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표준용액(순도 99%)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축된 은행나무 추출물 85중량부에 피로피온산(propionic acid), 초산(acetic acid), 낙산(butyric acide)을 함유한 목초액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계면활성제 5 중량부를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교반기를 통해 혼합된 혼합물에 함유된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 피로피온산(propionic acid), 초산(acetic acid), 낙산(butyric acide)은 HPLC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표준용액(순도 99%)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초액은 살충제 조성물 전체 대비 최적으로 7.5 중량부가 첨가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목초액은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시켜 채취한 뒤, 6개월이상 숙성시켜 독성과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제조된다.
또한 목초액은 숯가마 굴뚝의 온도가 85 내지 120℃가 되었을 때 연기를 채취하여 제조된 것이 가장 우수한 살충력을 나타내며, 연기에서 채취한 액을 6개월 이상 숙성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분리되는데, 수용성 액체를 채취하여 사용한다.
또한 목초액은 수소이온농도(pH)가 3 전후의 산성을 띠며, 성분은 80 내지 90%가 물이며, 아세트산 3%이다. 그 욍 폼산, 지방산 및 메탄올 등과 200여 종에 이르는 소량의 미네랄을 포함한다.
전술한 목초액의 함량이 7.5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가 저하되며, 목초액의 함량이 7.5 중량부를 초과하면, 살충효과는 더 이상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살충제 조성물 전체 대비 최적으로 1.5 중량부가 첨가되며, 전술한 식물추출물 및 목초액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정제수 등에 희석하여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산화칼륨과 카놀라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식물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식물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단계1), 상기 추출단계(단계1)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농축단계(단계2), 상기 농출단계(단계2)를 거친 식물추출물들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교반단계(단계3)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출단계(단계1)는 식물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식물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로, 식물 100 중량부를 유기용매 500 내지 1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추출하여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나무잎 100 중량부를 순도가 95%인 에탄올 500 내지 1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 농축단계(단계2)는 추출단계(단계1)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기로 농축하는 단계로, 상기 추출단계(단계1)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30 내지 43℃의 온도에서 농축하여 상기 식물추출물에 함유된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의 함량을 0.5 내지 1%로 조절하는 단계다.
상기 교반단계(단계3)는 상기 농축단계(단계2)를 거친 식물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로, 식물추출물 85 중량부에 목초액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5 중량부를 투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교반단계(단계3) 이후에는 상기 교반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전체에 대비 최적으로 0.2%의 전착제 및 0.001%의 거품제거제를 추가하는 첨가제투입단계(단계4)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전착제는 살충제의 물리적 흡착성을 향상시키는 보조제로서 작물 또는 병해충의 표면에 균일하게 퍼지고, 잘 붙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성질을 갖게 하며, 침투성을 증대시켜 살충제가 살충능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혼합 비율이 0.2% 미만이면 최종 살충력의 흡착성 및 침투성이 저하되며, 0.2% 초과이면 살충력의 저하 되므로, 추가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품제거제는 보관 및 사용시의 거품을 최대한 저하시키고 혼합액을 안정시키기 위한 보조제로서, 최소한의 기능성 및 생산성면에서 최적으로는 0.001%의 혼합비율로 추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오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과 목초액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을만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에 대한 살충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은행 잎 추출물과 목초액은
1) 건조한 은행나무잎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침지시켜 반복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3) 단계 2)의 감압 농축액을 건조시켜 건조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은행나무 잎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은행나무는 이의 줄기, 잎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은 C1 또는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탄올은 50 내지 80%의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물질은 100% 알코올에 용출이 다 잘 되고 배당체는 알코올 수용액에서 용출이 더 잘 되므로 필요에 따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시 용매를 건조 및 분쇄된 은행나무잎 분량의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온도는 40 ~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시간은 2 ~ 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횟수는 1 ~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은행나무잎 추출액의 추출방법은 열수추출, 진탕추출, 초임계추출 등이 가능하며 방법에 제한은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은행나무잎 추출물이 살충 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은행나무잎 추출물들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은행나무잎 추출물은 공통적으로 우수한 살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를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은행나무잎 추출물이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약제 독성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은행나무잎 추출물은 용매별, 희석배수별로 일부 차이가 있었으나, 닭진드기에 대해 약 50 ~ 90% 이상의 높은 살충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은행나무잎 추출물들은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은행나무 잎 추출물을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그것은 임의의 기타 성분들의 첨가 없이, 그 자체만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살충제는 상기 은행나무잎 추출물을 통상 고체 담체, 액체담체, 기체 담체 또는 유인물과 혼합하거나, 염기성 물질, 예컨대 다공질 세라믹 플레이트 또는 부직포에 흡수시킨 후, 계면활성제 및 필요한 경우, 기타 보조제들을 첨가하여, 이를 각종 형태들, 예를 들어 오일 스프레이,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과립, 더스트, 에어로졸, 훈연제, 증기화 가능한 제형물, 스모킹 제형물, 독성 유인물, 진드기 방지용 수지 제형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는 유효 성분으로서 은행나무잎 추출물을 8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충제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담체에는, 점토, 규조토, 산화규소, 벤토나이트 등의 점토 물질의 미세분말 또는 과립, 탈크, 세라믹 및 기타 무기 물질, 이를 테면 견운모, 석영, 황, 활성탄, 탄산칼슘 및 수화된 실리카 및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우레아 및 염화암모늄과 같은 화학적 비료가 포함될 수 있다.
액체 담체에는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메틸나프탈렌, 헥산, 시클로헥산, 케로신, 라이트 오일,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이소부티르니트릴, 디이소프로필레테르, 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디메틸 술폭시드, 대두유, 면실유가 포함될 수 있다.
기체 담체 또는 추진체(propellant)에는 프레온 가스, 부탄 가스, 액화석유가스(LPG), 디메틸 에테르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될 수 있다.
독성 유인물에 사용되기 위한 염기 물질에는 그레인 분말, 식물성 오일, 결정성 셀롤로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디하디로아세트산, 고추 분말, 치즈 풍미 및 양파 충미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아릴설포네이트, 알킬 아릴 에테르 및 그것의 폴리옥시 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다가 알콜 에스테르 및 당 알콜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에는 카제인, 젤라틴, 전분, 아라비아검, 셀롤로스 유도체, 알긴산,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아크릴 산이 포함될 수 있다.
안정화제에는 PAT(이소프로필 산 포스페이트), BHT(2,6-디-tert-부틸-4-메틸페놀), BHA(2-tert-부틸-4-메톡시페놀 및 3-tert-부틸-4-메톡시페놀의 혼합물),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및 그것의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가 닭 진드기 방제용, 살진드기제로 사용될 경우, 그것들의 적용량은 통상 산란계 1 개체 당 0.1 내지 1g 이다. 물로 희석한 후 사용되는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및 기타 유사 제형물들의 경우, 그 적용 농도는 통상 1 내지 1,000 pp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과립, 더스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적용은 희석하지 않은 제형물로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살충제를 유행병 예방을 위한 살곤충제, 살진드기제 또는 살선충제로서 사용할 경우, 그것들은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성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경우, 물이 첨가되어 농도 0.1 내지 500 ppm으로 희석하거나, 그것들을 오일 스프레이, 에어로졸, 훈연제, 독성 유인물, 진드기방지용 시이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경우에는, 그대로 적용된다.
이러한 적용 양 및 농도는, 제형물의 형태, 적용 시기, 장소 및 방법, 해충의 종류, 손재 정도 및 기타 요인들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증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살충제는 다른 살곤충제, 살선충제, 살진드기제, 살세균제, 살진균제, 제조제, 식물 성장 조절제, 시너지스트, 비료, 토양 컨디셔너, 동물 사료와 함께, 또는 그것들과 별도로 하되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닭진드기에 살충 활성을 갖는 은행나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제는 닭진드기를 포함한 그의 알, 유충에 대한 방제 효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종래 유기인계, 유기염소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닭진드기에 대해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1>
은행나무 잎 100 중량부를 순도가 95%인 에탄올 1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45시간 동안 식물 추출물을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에서 40℃로 농축하여,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의 함량이 0.5%인 식물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에서 제조된 추출물 85 중량부에 목초액 10 중량부 및 수산화칼륨과 카놀라유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들을 1000배 희석한 후에 산란계 농장에서 채집된 닭진드기에 대하여 살충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희석된 살충제 조성물은 접촉법을 이용하여 총 3회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구분 처리정밀도
(마리수)
생충률(%) 사멸율
(%)
1차
실험
2차 실험 3차 실험 평균
약제처리
24시간
실시예1 100 42 45 50 45.6 54.4
무처리군 100 100 100 100 100 -
약제처리
48시간
실시예1 100 5 7 3 5 95.0
무처리군 100 100 100 100 100 -
위에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살충제는 닭진드기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닭진드기 유충에 대한 생충률을 접촉법을 이용하여 총 3회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구분 처리정밀도
(마리수)
생충률(%) 사멸율
(%)
1차 처리 2차
처리
3차 처리 평균
약제처리
24시간
실시예1 100 10 15.4 18.0 83.7
무처리군 100 100 100 100 100 -
약제처리
48시간
실시예1 100 4.6 7.8 3.2 5.2 94.8
무처리군 100 100 100 100 100 -
위에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살충제는 닭진드기 유충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1을 통해 제조된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후에 닭진드기 알에 대한 살충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닭진드기 알에 대한 생충률은 접촉법을 이용하여 총 3회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구분 처리정밀도
(마리수)
생충률(%) 사멸율
(%)
1차 처리 2차
처리
3차 처리 평균
약제처리
24시간
실시예1 100 51.8 62.5 55.5 56.6 43.4
무처리군 100 4.3 3.3 5.3 4.3 -
약제처리
48시간
실시예1 100 5.5 7.8 10.5 7.9 92.1
무처리군 100 100 100 100 100 -
위에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에 1을 통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살충제는 닭진드기 알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계1 : 추출단계
단계2 : 농축단계
단계3 : 교반단계
단계4 : 첨가제투입단계

Claims (7)

  1. 은행(Ginkgo biloba L.)잎 추출물,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2. 제1항의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은행잎 추출물 85 중량부, 목초액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 성분을 함유하고, 목초액은 피로피온산(propionic acid), 초산(acetic acid), 낙산(butyric acide)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산화칼륨과 카놀라유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담체 또는 유인물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오일 스프레이,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과립, 더스트, 에어로졸, 훈연제, 증기화 가능한 제형물, 스모킹제형물, 독성 유인물 그리고 수지 제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7. 은행잎에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징코라이드(ginkolide), 빌로발라이트(bilobalide)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113502A 2016-09-02 2016-09-02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20180026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02A KR20180026298A (ko) 2016-09-02 2016-09-02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02A KR20180026298A (ko) 2016-09-02 2016-09-02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98A true KR20180026298A (ko) 2018-03-12

Family

ID=6172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02A KR20180026298A (ko) 2016-09-02 2016-09-02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2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909B1 (ko) * 2018-12-26 2019-03-08 자인바이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581B1 (ko) * 2019-02-01 2019-08-13 주식회사 한유에너지 동물 방제용 조성물
KR20190119312A (ko) * 2018-04-12 2019-10-22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조협 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살비제 조성물
KR102308626B1 (ko) * 2020-11-26 2021-10-05 주식회사 프레코 수목 및 목재의 보호 및 병해충 방제용 도포제 조성물
KR20220087615A (ko) * 2020-12-17 2022-06-27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도코노에이트를 이용한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살비제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12A (ko) * 2018-04-12 2019-10-22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조협 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살비제 조성물
KR101954909B1 (ko) * 2018-12-26 2019-03-08 자인바이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581B1 (ko) * 2019-02-01 2019-08-13 주식회사 한유에너지 동물 방제용 조성물
WO2020159342A1 (ko) * 2019-02-01 2020-08-06 주식회사 한유에스케이이티에스 생물 방제용 조성물
KR102308626B1 (ko) * 2020-11-26 2021-10-05 주식회사 프레코 수목 및 목재의 보호 및 병해충 방제용 도포제 조성물
KR20220087615A (ko) * 2020-12-17 2022-06-27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도코노에이트를 이용한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살비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guh et al. Natural pesticides (biopesticides) and uses in pest management-a critical review
Adedire et al. Biological activity of tree marigold, Tithonia diversifolia, on cowpea seed bruchid, Callosobruchus maculatus (Coleoptera: Bruchidae)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20180026298A (ko)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닭진드기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Saleem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four medicinal plants against different stored grain insect pests
KR100486819B1 (ko) 식물 추출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살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성 조성물
KR20090027515A (ko) 해충 기피 활성을 갖는 한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2762B1 (ko) 녹나무 또는 회화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해충방제가 동시에 가능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Sagheer et al. Repellent and toxicological impact of acetone extracts of Nicotiana tabacum, Pegnum hermala, Saussurea costus and Salsola baryosma against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Herbst)
EP2136641B1 (en) Pesticidal plant extract containing loline derivatives
Ratnasekera et al. The potential use of indigenous plant materials against Callosobruchus chinensis L. and Callosobruchus maculatus L.(Coleoptera, Bruchidae) in stored legumes in Sri Lanka
KR20130114537A (ko)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KR20180026293A (ko) 담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CN104872280A (zh) 一种含肉桂油的粮食杀虫剂
US5747056A (en) Pest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mustard bran
KR101954909B1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8384A (ko) 제충국 및 자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Nzelu et al. Evaluation of melon seed oil Citrullus colocynthis (L.) Schrad, for the protection of cowpea Vigna unguiculata seeds against Callosobruchus maculatus (Fabricius)(Coleoptera: Bruchidae)
Khalil et al. Toxicoligical study of Ocimum basilicum and Jasminum grandiflorum essential oils against Rhyzopertha dominica and Tribolium castaneum
KR20190119312A (ko) 조협 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살비제 조성물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4995A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Hisham et al. Th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s isolation from Rosmarinus officinalis plant leaves on Tribolium castaneum mortality
KR20180058382A (ko) 제충국 및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