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537A -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537A
KR20130114537A KR1020120036982A KR20120036982A KR20130114537A KR 20130114537 A KR20130114537 A KR 20130114537A KR 1020120036982 A KR1020120036982 A KR 1020120036982A KR 20120036982 A KR20120036982 A KR 20120036982A KR 20130114537 A KR20130114537 A KR 2013011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yrethrum
extract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길
Original Assignee
고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길 filed Critical 고정길
Priority to KR102012003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537A/ko
Publication of KR2013011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인 고삼추출물(마트린60%) 0.5-2.0 중량부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0.5-2.0 중량부,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 중량부의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자연환경과 인체에 무해 하면서 농림 곤충 방제 효과가 높은 천연식물성분 살충제를 개발하였으며
본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은 광범위한 살충 스팩트럼( 진딧물,양배추 모충,양배추 나방,메뚜기,여치류,잎진드기,과일나방,배이, 응애, 굴나방, 노린재류, 잎말이나방,담배나방, 흰불나방, 멸강나방, 거세미, 좀나방, 파밤나방 등 초식성 곤충)을 지닌 천연 식물 살충제를 개발 함으로서 유기농 재배를 위한 친환경 천연 약제를 발명함 으로써 유기농 재배 농가에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하도록 하여 친환경 유기농업의 고소득과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천연 식물 살충제로서 유기농에 사용이 충분한 생물농약으로 적합한 약제로 판단 되었다.

Description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Due to the complex at the plant pest control for natura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복합 식물성분 조성물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지금까지 농업이 화학에 크게 의존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식물의 필수원소가 화학이고, 모든 생리작용이 생화학적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각종 병해충, 잡초도 화학적으로 제어될 수 있었기 때문에 필연적이었다고 볼 수 있고 이리하여 미국, 일본과 유럽 등 여러 선진국 기업에서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분야가 되었다. 그러나 병·해충 방제를 위한 유기합성농약의 사용으로 인해 인축에 대한 독성, 농약의 잔류독성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의 오염, 유용 동식물의 파괴, 2차 해충의 주요 해충화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환경 문제의 영향과는 달리,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식물을 경작하는데 있어 병충해의 방제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무농약으로 식물을 재배하려고한 시도가 있었는데 일본식물 방역협회가 1991~ 1992년까지 2년간 벼, 밀, 사과 등 주요9개 농작물을 대상으로 55개 시험장에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했을 때의 감수율과 출하금액 감소를 조사한 바 감수율의 20~60%, 최고 100%까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무농약 재배는 수익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여 경제성이 없으므로 무농약 재배보다 경제성 있고 소비자의 욕구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광범위한 살충효과를 보이면서 환경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새로운 농약 개발의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런 연구중의 하나가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저공해성 천연물농약에 대한 연구이다. 식물추출물은 다양한 생물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면서 포유류에는 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친환경 농업분야에서는 그 동안 주목을 받아오고 있었다 특히, 세계 농약의 20%를 생물농약으로 대체하자는 ‘리우환경회의의 협약’ 이후 세계적으로 새로운 천연생물농약을 개발하여 생물재원의 이용성을 확대 하자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려는 연구가 예전부터 진행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농업은 기존의 농약과 화학비료에 의해 황폐해져 가는 토지에 따른 농산물의 질적 하락을 막으며 또한 토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2005년 환경지속성지수(ESI)의 농약비료 사용량 순위에서 146개 국가 중 농약 사용량4위, 화학비료 사용량은9위였으며 OECD국가 중 농약사용량1위, 화학비료 사용량은5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농약이나 화학비료의 사용량은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 감소추세가 완만한 수준이기 때문에 이를 대처할 농법이 필요하다 이처럼 지금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살충제는 특히, 환경호르몬 물질과 같은 유해물질을 함유하여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저독성 살충제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저독성 살충제도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이런 살충제의 사용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환경적으로나 인체에는 무해하면서 살충효과는 높은 친환경적인 천연친환경살충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친환경농약은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 기피효과 및 효소저해 활성물질로서 부작용이 없고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어야 하는 화학합성농약의 개발에 비해 저비용으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전통적인 농법은 숯과 재 그리고 분뇨와 기타 유기물들을 적절히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과거의 농법은 수천 년의 시간을 거치면서 발달되어 왔으며 경험을 통하여 그 살충효과를 실증하여 왔다. 천연친환경약제를 식물자원인 고삼과 제충국 등은 일반적으로 농업 및 환경정화분야에 있어 잡초방제, 토양살균 및 개량, 유효 미생물의 증식효과, 종자소독 및 발아촉진, 작물의 병충해 방지, 식물의 생장 촉진, 낙과방지, 결실증가, 당도향상, 축산분뇨의 악취제거, 퇴비발효 촉진 등 여러 가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목초액은 작물재배 시 주로 살균 살충 등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 농약시장은 1997년에7,700억원이며 그 중 생물농약은 13억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4년 이후로 유기합성농약 사용을 50%로 줄여야 했으며 이런 추세라면 2015년에는 생물농약시장에는2,400억원대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에 등록된 생물농약은 190여개이며 살충제가 75%, 살균제, 제초제 순으로 살충제의 시장이 단연 앞서고 있다.
특히, 근래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살충제 및 제초제 시장은 증가하고 살균제 시장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친환경 살충제인 식물추출물개발은 지구의 환경보전과 국토의 환경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이다.
선행기술로는 국내특허 제1020010062300호 천연 살충 조성물과 국내특허 제1020060127631호 식물성 천연 병해충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서 식물성 살충성분의 조성물에 대해 기술되어 있고 비특허문헌 으로는 농촌진흥청 홈페이지에 "기술정보/영농기술보급/농업인기술개발사업/친환경 들깻잎 민달팽이 및 담배 거세미나방 방제용 친환경자재 개발" 과 "기술정보 /영농기술보급/농업인기술개발사업/저비용 고효율 담배가루이 방제기술", "기술정보/영농기술보급/농업인기술개발사업/엽채류 주요해충 방제용 친환경자재개발" 에서 살충성분의 조성물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국내특허 1020010062300_천연 살충 조성물 (Pesticide formulation composed of natural components) -국내특허 1020060127631_식물성 천연 병해충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PESTS COMPRISING PLANTEXTRACTS AS EFFECTIVE COMPONENTS)
- 농촌진흥청/기술정보/영농기술보급/농업인기술개발사업/친환경 들깻잎 민달팽이 및 담배 거세미나방 방제용 친환경자재 개발 - 농촌진흥청/기술정보/영농기술보급/농업인기술개발사업/저비용 고효율 담배가루이 방제기술(환경농업) - 농촌진흥청/기술정보/영농기술보급/농업인기술개발사업/엽채류 주요해충 방제용 친환경자재개발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있어서의 주요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환경적으로나 인체에는 무해한 천연친환경약제를 우리나라 식물자원인 고삼뿌리에서 추출한 마트린 성분과 들국화꽃 에서 추출한 제충국성분인 Pyrethrum과 , 님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님오일(Neem oil)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경제성과 실용성을 위하여 식물추출과정은 선행기술에 많이 소개 되었으므로 과정은 다루지 않았고 기생산해서 판매되는 식물추출물 유효성분을 구매하고 복합식물성분에 의한 이상적인 조성물조건 을 찾아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천연 병해충 방제 조성물을 발명 하고자 한다.
1) 제충국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피레스럼엑스, 고삼추출물의 유효성분인 마트린엑스 분말, 님나무 추출물인 님오일을 구매한다.
2) 식물 살충성분중 수용성인 마트린엑스 분말과 유용성인 피레스럼 엑스와 님오일을 적절히 유화과정을 거쳐서 물에 희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방법을 확립한다.
3) 식물 살충성분을 해충방제의 적절한 혼합 비율을 방제시험을 통해
설정한다.
4) 본 발명품을 천연 친환경약제의 주요해충에 대한 방제효과의 유효성으로 대표적인 해충들인 점박이응애, 배추좀나방, 이용한 방재시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5)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농가에서 여러 종류의 식물추출물을 사용하여 친환경 재배에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 중에는 실제로 농작물이나 토양에 안전한지 해충방재 효과가 있는지 검증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본 발명품을 천연친환경 약제로 농가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발명품의 독성시험을 하여 그 안정성을 검증 한다.
1) 식물 살충성분의구매
1-1)피레스럼엑스의 구매
서울에 있는 케미라인원료구매중개상을 통해 호주산 피레스럼을 구매 하였다. (제품명: PY-T-50, 제조사:Botaniacal Resources Australia, 주성분및 함량: Pyrethrins 50.30%)
1-2)마트린엑스 분말의 구매
서울에 있는 케미라인 원료구매중개상을 통해 중국산 마트린엑스 분말을 구매 하였다. (제품명:Matrine, 제조사: XPan Honson Biotechnology Co.,Ltd. 주성분및 함량: Matrine 60.5%)
1-3)님오일의 구매
서울에 있는 케미라인 원료구매중개상을 통해 인도산 님오일을 구매 하였다. (제품명: Neem seed oil, 제조사: AGRO EXTRACTS LIMITED 주성분및 함량 Azadirachtin 2,090ppm)
2)식물 살충성분의 조성물의 제조및 방제효과 시험
2-1)식물 살충성분의 혼합비 시험
시험작물을 배추를 사용 하였고 대상해충은 배추좀나방을 사용하여 3종의
식물 살충성분을 혼합하여 1,000배로 희석하여 방재하고 3일차와 7일차에 생충수을 검사하였다.
2-2) 제조방법
유성 식물 살충성분및 유화제,용제를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 올레이트, 메틸올레이트를 균일 하게 혼합하고 수성 식물 살충성분및 정제수 즉 고삼추출물(마트린60%), 정제수를 따로 용해하고 유성용액에 수성용액을 천천히 넣으면서 교 반하여 균일한 유화상태가 되도록 한다.
3)본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의 방제효과 시험및 약해시험
3-1)대상 해충및 대상작물은 (배추좀나방,배추),(점박이응애,장미)를 사용 하였다.
3-2)대상처방은 최저 농도인 처방예 3 을 선택하였다.
배추좀나방은 1,000배 희석 하여 방제 하였고 점박이응애는 1,500배 희석 하여 방제 하였다.
3-3)식물 살충성분의 약효,약해 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 하였다.
대상해충 구분 조사방법 반복수 조사방법
점박이 응애 약효
시험
생충률
조사
3회 약제처리 전, 약제처리 후 5일, 10일, 15일, 20일째의 개체수를 조사하여 잎당 살아있는 해충의 개체수 조사
약해
시험
달관조사 3회 약제처리 전과 약제처리 후 20일 이후의 약제군의 작물을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발생한 약해를 조사
배추좀나방 약효
시험
생충률
조사
3회 약제처리 전, 약제처리 후 3일, 7일째의 살아있는 해충의 개체수 조사
약해
시험
달관조사 3회 약제처리 전과 약제처리 후 7일 이후의 약제군의 작물을 무처리군 및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발생한 약해를 조사
4)식물 살충성분의 독성시험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의 독성시험은 랫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각각 단 회 경피, 경구 투여시 나타나는 독성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농약의 등록기준 (농촌진흥청 고시 제2009-19호, 2009.07. 07)”을 기준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5)계면활성제의 선택
계면할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넛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Coconut fatty acid diethanol amide), 라우릴산 디에탄올아미드(Lauric acid diethanol amide), 라우릴산 디메칠아민 옥시드(Lauryl dimethylamine oxide), 에칠렌글리콜 모노스티아레이트(Ethyleneglycol monostearate), 에칠렌글리콜 디스티아레이트(Ethyleneglycol distearate) 또는 폴리옥시 알킬렌알킬 에테르계 화합물, 폴리옥시 알킬렌알킬 페닐 에테르계 화합물, 폴리옥시 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테르 화합물,다가알콜 지방산 부분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디움 라우러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양쪽성 계면활성 제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Cocoamphocarboxy glycinate), 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Cocoamphodipropionate),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틸 트리메칠 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스테아릴 트리메칠 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라우릴 디메칠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Lauryl dimethyl benzyl ammonium chloride)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6)유기용제의 선택
유기용제로서 천연에서 존재하는 지방산에 알킬에스티르화 물질로서 액체상태의 메틸올레이트(Methyl oleate),메틸라우레리트(Methyl laurate),메틸팔미테이트( Methyl palmitate),n-부틸올레이트(n-Butyl oleate),n-부틸스테아레이트(n-Butyl stearate)이소부틸올레리트(iso-Butyl oleate),이소옥틸올레이트(iso-Octyl oleate),이소옥틸스테아레이트(iso-Octyl stearate),이소옥틸팔미테이트(iso-Octyl palmitate),디에스테르화된 디옥틸말릴레이트(Dioctyl Maleate),에서 선택된 유기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인 고삼추출물(마트린60%) 0.5-2.0 중량부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0.5-2.0 중량부,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 중량부의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자연환경과 인체에 무해 하면서 농림 곤충 방제 효과가 높은 천연식물성분 살충제를 개발하였다.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해충들인 점박이응애, 배추좀나방, 을 대상으로 한 살충 및 방제시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입증 하였고 약해시험에서 약해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로서 각각의 식물성분의 방제효과 대상 해충인 고삼추출물(마트린60%)에 유효한 방제해충으로는 진딧물,양배추 모충,양배추 나방,메뚜기,여치류,잎진드기,과일나방,배 이등에 효과적 이며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에 유효한 진딧물, 응애, 굴나방, 노린재류, 잎말이나방,담배나방, 흰불나방, 멸강나방, 거세미, 좀나방, 파밤나방
과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에 유효한 초식성 곤충에 효과 등 으로 본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은 광범위한 살충 스팩트럼을 지닌 천연 식물 살충제를 개발 함으로서 유기농 재배를 위한 친환경 천연 약제를 발명함 으로써 유기농 재배 농가에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하도록 하여 친환경 유기농업의 고소득과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유기농 작물을 공급 한다.
1)살충성분의 혼합비 시험
성분
(실험1)
(100g중) 처리전밀도
(마리)
3일차
(생충수)
7일차
(생충수)
방제가(%)
고삼추출물
(matrine 60%)
2g


100



5



3



98.9
제충국추출물
(Pyrethrins50%)
2g
님오일
(Azadirachtin2,000ppm)
5g
무처리 100 99 98
성분
(실험2)
(100g중) 처리전밀도(마리) 3일차
(생충수)
7일차
(생충수)
방제가(%)
고삼추출물
(matrine 60%)
1g


100



7



5
9


6,9
제충국추출물
(Pyrethrins50%)
1g
님오일
(Azadirachtin2,000ppm)
5g
무처리 100 99 98
성분
(실험3)
(100g중) 처리전밀도(마리) 3일차
(생충수)
7일차
(생충수)
방제가(%)
고삼추출물
(matrine 60%)
0.5g


100



20



17



84.7
제충국추출물
(Pyrethrins50%)
0.5g
님오일
(Azadirachtin2,000ppm)
5g
무처리 100 99 98
성분
(실험4)
(100g중) 처리전밀도(마리) 3일차
(생충수)
7일차
(생충수)
방제가(%)
고삼추출물
(matrine 60%)
0.25g


100



54



51



50.0
제충국추출물
(Pyrethrins50%)
0.25g
님오일
(Azadirachtin2,000ppm)
5g
무처리 100 99 98
방제가 80%이상인 시험3)을 적정농도로 선택했다.
계면활성제와 용제는 EPA List 4B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 올레이트와 메틸올레이트와 정제수를 사용 하였다.
2)식물 살충성분의 제조
처방예 1)
100g 중
고삼추출물(마트린60%) 2.0g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2.0g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g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 올레이트) 6.0g
유기용제(메틸올레이트) 35.0g
정제수 50.0g
처방예 2)
100g 중
고삼추출물(마트린60%) 1.0g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1.0g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g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 올레이트) 6.0g
유기용제(메틸올레이트) 37.0g
정제수 50.0g
처방예 3)
100g 중
고삼추출물(마트린60%) 0.5g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0.5g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g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 올레이트) 6.0g
유기용제(메틸올레이트) 38.0g
정제수 50.0g
3)식물 살충성분의 약효,약해 시험
시험약제 처리전 밀도
(마리/구)
생 충 율 (%)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처방예 3) 168.0 32.9 30.2 44.2 35.8 65.2
무처리 147.3 98.6 107.2 102.3 102.7 -
3-1) 배추좀나방에 대한 방제효과 (1,000배 희석 약제처리 후 3일차)
시험약제 처리전 밀도
(마리/구)
생 충 율 (%)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처방예 3) 168.0 29.2 24.9 34.4 29.5 71.8
무처리 147.3 101.4 108.8 103.4 104.5 -
3-2) 배추좀나방에 대한 방제효과 (1,000배 희석 약제처리 후 7일차)
시험약제 시험작물 약해정도(0-5)
기준량 배 량
처방예 3) 배추 0 0
3-3) 약해시험 : 약제 처리후 3,5,7일 후
시험약제 처리전 밀도
(마리/구)
생 충 률 (%)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처방예 3) 109.0 30.8 26.5 23.2 26.8 74.6
무처리 122.0 112.0 104.5 100.6 105.7 -
3-4)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1,500배 희석 약제처리 후 5일차)
시험약제 처리전 밀도
(마리/구)
생 충 률 (%)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처방예 3) 109.0 21.8 17.6 18.8 19.4 84.0
무처리 122.0 137.0 118.8 109.3 121.7 -
3-5)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1,500배 희석 약제처리 후 10일차)
시험약제 처리전 밀도
(마리/구)
생 충 률 (%)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처방예 3) 109.0 30.1 49.0 33.3 37.5 70.4
무처리 122.0 142.4 129.5 108.0 126.6 -
3-6)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1,500배 희석 약제처리 후 15일차)
시험약제 처리전 밀도
(마리/구)
생 충 률 (%)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처방예 3) 109.0 35.9 47.1 37.7 40.2 67.8
무처리 122.0 131.5 132.1 111.1 124.9 -
3-7) 점박이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1,500배 희석 약제처리 후 20일차)
시험약제 시험작물 약해정도(0-5) 비 고
기준량 배 량
처방예 3) 장미 0 0 약해 없음
3-8) 약해시험 : 약제처리후 ~ 약제처리후 5,10,15,20일 후
4)식물 살충성분의 독성시험
4-1)식물살충성분 처방예 3) 에 대한 급성 경구투여독성시험
식물살충성분 처방예 3) 에대한 급성경구 투여독성시험을 ICR마우스를 사용하여 기초시험으로5,000 mg/kg B.W. 투여군과 용매대조군을 두어l 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 사망률,일반증상,체중 변화및 부검소견을 관찰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가.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사망동물및 일반증상은 관찰 되지 않았다
나. 체중 측정결과 대조군과 통계학적 으로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다. 부검 소견결과 모든 투여동물에서 특이 할 만한 이상소견은 관찰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마우스를 이용한 식물살충성분 처방예 3) 의 경구투여에 대한 LD50 은5,000 mg/kg B.W. 이상 으로 판단 된다‘
4-1)식물살충성분 처방예 3) 에 대한 급성경피 투여독성시험
식물살충성분 처방예 3) 에대한 급성경피 투여독성시험을 SD 렛드를 사용 하여 기초시험으로4,000 mg/kg B.W. 투여군과 용매대조군을 두어l 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 사망률,일반증상,체중 변화및 부검소견을 관찰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가.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사망동물및 일반증상은 관찰 되지 않았다
나. 체중 측정결과 대조군과 통계학적 으로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다. 부검 소견결과 모든 투여동물에서 특이 할 만한 이상소견은 관찰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랫드를 이용한 식물살충성분 처방예 3) 의 경피투여에 대한 LD50 은4,000 mg/kg B.W. 이상으로 판단된다.‘
5)결과요약
5-1) 식물 살충성분의 배추좀나방 약효,약해시험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의 배추좀나방에서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약해시험에서 기준량과 배량에서 외관상 약해가 관찰 되지 않았다.
5-2) 식물 살충성분의 점박이응애 약효,약해시험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의 점박이응애 에서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약해시험에서 기준량과 배량에서 외관상 약해가 관찰 되지 않았다.
5-3)급성 경구,경피 투여독성시험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의 급성 경구,경피 투여독성시험결과 독성이 거의 없는 무도독성으로 천연 생물농약으로 적합한 약제로 판단 되었다.
6)결론
본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은 광범위한 살충 스팩트럼( 진딧물,양배추 모충,양배추 나방,메뚜기,여치류,잎진드기,과일나방,배이, 응애, 굴나방, 노린재류, 잎말이나방,담배나방, 흰불나방, 멸강나방, 거세미, 좀나방, 파밤나방 등 초식성 곤충)을 가지고 있으며 약해의 소견이 나타나지 않으며 단회투여독성의 소견도 나타나지않는 안전한 천연 식물 살충제로서 유기농에 사용이 충분한 생물농약으로 적합한 약제로 판단 되었다.

Claims (6)

  1.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인 고삼추출물(마트린60%) 0.5 중량부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0.5중량부,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 중량부, 계면활성제 6.0 중량부, 유기용제 38.0 중량부및 정제수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2.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인 고삼추출물(마트린60%) 1.0 중량부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1.0중량부,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 중량부, 계면활성제 6.0 중량부, 유기용제 37.0 중량부및 정제수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3. 본 발명의 식물 살충성분 조성물인 고삼추출물(마트린60%) 2.0 중량부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2.0중량부,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 5.0 중량부, 계면활성제 6.0 중량부, 유기용제 35.0 중량부및 정제수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유성 식물 살충성분및 유화제,용제를 제충국추출물(피레스럼50%), 님오일(Azadirachtin 2,090ppm),계면활성제, 메틸올레이트를 균일 하게 혼합하고 수성 식물 살충성분및 정제수 즉 고삼추출물(마트린60%), 정제수를 따로 용해하고 유성용액에 수성용액을 천천히 넣으면서 교반하여 균일한 유화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조방법
  5. 계면할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넛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Coconut fatty acid diethanol amide), 라우릴산 디에탄올아미드(Lauric acid diethanol amide), 라우릴산 디메칠아민 옥시드(Lauryl dimethylamine oxide), 에칠렌글리콜 모노스티아레이트(Ethyleneglycol monostearate), 에칠렌글리콜 디스티아레이트(Ethyleneglycol distearate) 또는 폴리옥시 알킬렌알킬 에테르계 화합물, 폴리옥시 알킬렌알킬 페닐 에테르계 화합물, 폴리옥시 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테르 화합물,다가알콜 지방산 부분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화합물,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디움 라우러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양쪽성 계면활성 제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Cocoamphocarboxy glycinate), 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Cocoamphodipropionate),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틸 트리메칠 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스테아릴 트리메칠 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라우릴 디메칠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Lauryl dimethyl benzyl ammonium chloride)가 포함된 조성물
  6. 유기용제로서 천연에서 존재하는 지방산에 알킬에스티르화 물질로서 액체상태의 메틸올레이트(Methyl oleate),메틸라우레리트(Methyl laurate),메틸팔미테이트( Methyl palmitate),n-부틸올레이트(n-Butyl oleate),n-부틸스테아레이트(n-Butyl stearate)이소부틸올레리트(iso-Butyl oleate),이소옥틸올레이트(iso-Octyl oleate),이소옥틸스테아레이트(iso-Octyl stearate),이소옥틸팔미테이트(iso-Octyl palmitate),디에스테르화된 디옥틸말릴레이트(Dioctyl Maleate),가 포함된 조성물

KR1020120036982A 2012-04-09 2012-04-09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KR20130114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82A KR20130114537A (ko) 2012-04-09 2012-04-09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82A KR20130114537A (ko) 2012-04-09 2012-04-09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37A true KR20130114537A (ko) 2013-10-17

Family

ID=4963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82A KR20130114537A (ko) 2012-04-09 2012-04-09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53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736A (zh) * 2018-04-28 2018-10-23 芜湖扬展新材料科技服务有限公司 植物农药
KR20190011928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포이엔 해충 방제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55499B1 (ko) * 2019-09-06 2020-09-14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고삼과 파극천을 이용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3223B1 (ko) * 2020-07-07 2020-11-25 정윤수 친환경 살충제 조성물
KR102212587B1 (ko) * 2020-07-14 2021-02-05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590B1 (ko) * 2020-07-17 2021-02-05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428789A (zh) * 2022-08-25 2022-12-06 雨木林风(云南)科技有限公司 一种蜗牛防治剂及其制备、使用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28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포이엔 해충 방제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8684736A (zh) * 2018-04-28 2018-10-23 芜湖扬展新材料科技服务有限公司 植物农药
KR102155499B1 (ko) * 2019-09-06 2020-09-14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고삼과 파극천을 이용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3223B1 (ko) * 2020-07-07 2020-11-25 정윤수 친환경 살충제 조성물
KR102212587B1 (ko) * 2020-07-14 2021-02-05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590B1 (ko) * 2020-07-17 2021-02-05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428789A (zh) * 2022-08-25 2022-12-06 雨木林风(云南)科技有限公司 一种蜗牛防治剂及其制备、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9589A1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30114537A (ko)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CN102428973A (zh) 一种含植物精油的农用杀虫剂及其应用
Gahukar Potential and utilization of plant products in pest control
CN107920513A (zh) 含有百里香酚或香芹酚、表面活性剂和溶剂的用于控制害虫或调节植物生长的水性组合物
CN103141488B (zh) 印楝素与蛇床子素复配的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6508991A (zh) 一种生物农药及其制备方法
WO2017045268A1 (zh) 一种高含量除虫菊素杀虫剂
CN101984828A (zh) 一种复配杀虫剂
Mugerwa Infestation of African savanna ecosystems by subterranean termites
CN104920487A (zh) 一种中药材提取物及其制备方法以及利用该中药材提取物防治小麦蚜虫的方法
CN105053020A (zh) 樱桃异小杆线虫在防治稻水象甲中的应用
KR20110070341A (ko) 노난산 포함하는 살선충 조성물
AU2011210381A1 (en) A botanical pesticide for agriculture/horticulture crops
KR20190064995A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CN102863297B (zh) 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一种防治土传病虫害的方法
CN101396026A (zh) 一种防治储粮害虫的植物农药及其应用
Wandiga et al. Pesiticdes in Kenya
CN105165900A (zh) 防治森林害虫松墨天牛的生物农药乳油制剂
Laznik et al. Testing the efficacy of different substances against Arion slugs (Arionid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Rohim et al. Repellency of Lemongrass Extract (Cymbopogon nardus) in Solid and Liquid Formulation on Diaphorina citri and Menochilus sexmaculatus
CN102863296B (zh) 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一种防治土传病虫害的方法
KR101237051B1 (ko) 목화진딧물 방제 또는 살충용 조성물 및 이의 살포하는 방법
CN107156203A (zh) 防治根结线虫的组合物、防治根线虫制剂以及其应用
Nwachukwu et al. The Use of Plant Extracts of Ocimum gratissimum L. to Manage Insect Pests’ Infestation of Sweet Melon (Cucumis melo L.) In Lafia, Nasarawa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