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587B1 -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587B1
KR102212587B1 KR1020200086992A KR20200086992A KR102212587B1 KR 102212587 B1 KR102212587 B1 KR 102212587B1 KR 1020200086992 A KR1020200086992 A KR 1020200086992A KR 20200086992 A KR20200086992 A KR 20200086992A KR 102212587 B1 KR102212587 B1 KR 102212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osam
pageukcheon
purslane
emul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Priority to KR102020008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두옹, 쇠비름, 고삼 및 파극천을 이용한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타겟인 동양하루살이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비선택적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천연성분 및 인체에 무해한 성분만으로 제조됨으로써 상수원이나 생활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두옹 추출물, 쇠비름, 고삼 및 파극천의 혼합 추출물 및 인체에 무해한 유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동양하루살이 등 타겟종에게만 탁월한 방역 효과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Orientalis McLachlan Repellent Composition Using Sophora flavescens and Morinda officinali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두옹, 쇠비름, 고삼 및 파극천을 이용한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타겟인 동양하루살이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두옹, 쇠비름, 고삼 및 파극천의 혼합 추출물 및 인체에 무해한 유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동양하루살이 등 타겟종에게만 탁월한 방역 효과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주는 곤충의 총칭으로,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나 생태계 교란 등의 이유로 새로운 곤충이 해충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모기나 바퀴벌레와 같은 전형적인 해충의 경우에는 해충을 기피하거나 살충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 기피제와 살충제 등이 널리 개발되기에 이르렀으나, 새로 분류된 해충을 기피하기 위해서는 곤충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사용되는 기피제 또는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했다.
곤충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사용되는 기피제나 살충제는 생물 자체에 독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인간이나 곤충 이외의 타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어 동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성분을 활용하여 특정 해충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기피제 또는 살충제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동양하루살이는 하루살이목 하루살이과의 곤충으로서, 국내에서는 소위 '팅커벨 벌레'로 불리기도 하는 곤충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며, 계곡, 강변 등과 수변에 서식하는데, 최근에는 기후의 변화와 도심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심에서 떼로 출몰함에 따라 해충으로 취급되고 있다.
특히, 동양하루살이는 수일 정도의 수명을 가짐에도 번식력이 높아 수변에서 떼로 출몰한 후에는 죽은 개체가 부패하여 물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상수원과 같은 곳에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피제를 사용하거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살충제의 사용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작은소참진드기는 참진드기과에 속하는 진드기 종류의 하나로서,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소위 '살인 진드기'로 알려져 있다. 작은소참진드기는 사람의 피부에 붙어 피를 흡혈함으로써 바이러스를 매개하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기피제 및 살충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0250호는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양하루살이 뿐만 아니라 빛에 반응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해 개시하고 있을 뿐, 동양하루살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동양하루살이의 기피 효과를 가지는 기피제나 살충제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4860호는 작은소참진드기 기피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성분을 활용한 기피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고삼이나 파극천을 이용하여 작은소참진드기에 특이적이고 효과적으로 기피 내지 살충 효과를 가지는 기피제나 살충제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편, 이종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혼합물의 경우, 천연성분을 활용함에 따라 균일한 혼합물을 제조하거나 제조가 가능하더라도 혼합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계면활성제의 과다한 사용은 혼합물의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성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제한되는 문제와 인간이 직접 흡입, 섭취하는 것이 자제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최소한으로 첨가한 혼합물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로부터 유래한 천연 성분을 활용하여 흡입하거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혼합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을 연구한 결과, 동양하루살이 및/또는 작은소참진드기에 특이적인 기피 효과 및 살충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02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48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로부터 유래한 천연 성분을 활용하고, 인체에 무해한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형성되고 안정적인 제형이 유지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동양하루살이와 작은소참진드기에 특이적인 살충 효과를 가지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삼과 파극천을 이용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고삼 추출물, 파극천 추출물 및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살충제 조성물의 대상 해충은 동양하루살이 및/또는 작은소참진드기이고,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고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 상기 파극천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및 상기 유화제를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삼 추출물은 열수추출물로서 고삼 100g을 증류수 1L에 넣어 70 내지 90℃의 온도로 유지하며 10 내지 20분간 가열하여 얻어진 것이고, 상기 파극천 추출물은 주정추출물로서 파극천 100g을 80% 주정 2L에 넣어 10 내지 20분간 침지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쇠비름 추출물, 백두옹 추출물, 담뱃잎 추출물 및 도꼬마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건조된 고삼을 증류수에 넣고 가열하여 고삼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파극천을 80% 주정에 넣어 파극천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을 20 내지 25℃의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화제를 넣어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건조된 고삼 100g을 증류수 1L에 넣어 70 내지 9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간 가열하는 것이고, 상기 (b) 단계는 두께 0.01 내지 1 cm로 절단된 파극천 100g을 80% 주정 2L에 넣어 10 내지 20분간 침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해충 기피 효과 및 살충 효과가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동양하루살이와 작은소참진드기에 특이적으로 기피 효과 및 살충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이종의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더라도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여 유지되는 안정적인 제형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복잡한 제조장치나 합성성분을 과다하게 첨가하지 않고도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실험예 1에서 30분 경과 후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실험예 2에서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동양하루살이와 작은소참진드기에 특이적으로 기피 효과 및 살충 효과를 가지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삼 추출물, 파극천 추출물 및 유화제를 포함하고,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고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 상기 파극천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및 상기 유화제를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고삼 추출물은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고삼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로서, 뿌리, 줄기, 잎, 꽃 등 어떤 부분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나, 주로 뿌리 부분을 잘게 잘라 말린 것을 사용하거나 이를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고삼의 뿌리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삼의 뿌리 부분을 잘게 썰어 건조한 후 이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은 용매추출법, 열수추출법, 초임계추출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는 것이 가능하나,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해충 기피 효과 및 살충 효과를 고려할 때, 물을 용매로 이용하는 열수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열수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극천 추출물은 모린다속의 호자나무 뿌리를 일컬으며, 한방재료로서 사용되는 한약재이지만 이를 첨가함으로써 동양하루살이와 작은소참진드기에 특이적인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파극천은 한약재로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인체에는 해가 없지만, 고삼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해충들에 대해 뛰어난 살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파극천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뿌리를 잘게 잘라 말린 후 이를 그대로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두께 0.01 내지 1 cm로 절단된 파극천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파극천 추출물은 고삼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나, 동양하루살이에 특이적인 살충 효과를 가지는 성분이 물보다는 에탄올에 잘 용해되는 성분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80 내지 100% 주정을 이용한 주정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 주정을 이용한 주정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고삼 추출물은 마트린(Matrine)이라는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데 파극천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마트린과는 물성이 다소 상이하여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에 혼합물 내에서 유효성분들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살충제는 주로 분무 또는 연무방역방법으로 방역과정에 활용되기 때문에, 살충제 혼합물이 균일하고 안정적인 액상 제형을 형성 및 유지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과 방역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된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일상생활에서 쉽게 방역하는 것이 가능한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유화제만을 첨가하여 균일하고 안정적인 액상 혼합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삼 추출물과 파극천 추출물이 균일하며 안정적인 혼합물을 형성하여, 유화제 첨가량 대비 혼합효율이 가장 우수하다. 더욱이, 상기 유화제는 인간이 섭취하더라도 무방한 유화제여서 본 발명에 더욱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상기 고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 상기 파극천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및 상기 유화제를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살충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성분들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나, 천연 살충제라는 발명의 목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피제의 방역에 용이하도록 잔부의 물을 첨가하여 액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인체에는 한약재로 사용될 수 있는 무해한 성분임에도 동양하루살이 및/또는 작은소참진드기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동양하루살이에는 즉각적이고 탁월한 살충 효과를 가지는 살충제 조성물로서, 인체에 무해하여 상수원 등에 살포하여도 무방하고, 분무방역, 연무방역을 통해 인간의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더라도 무해한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소르베이트와 같은 유화제를 최소량으로 사용하면서도 안정적인 액상 혼합물 제형을 구현하므로, 수질환경, 대기환경 및 인체에도 무해하다.
동양하루살이는 하루살이의 일종으로 맑은 물에서 서식하며, 한국, 중국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하루살이종으로서, 최근 기후변화와 지구환경변화에 따라 대거 출몰하여 인간생활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동양하루살이는 수변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강가, 계곡가, 댐 근처, 상수원 등과 같은 물이 존재하는 곳에서 대거 번식하여 출몰한 후, 대량의 죽은 개체로 발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량의 죽은 개체는 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고, 상수원에서는 부유물과 대량의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 공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물에 직접 도포하거나, 수변에서 방역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천연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인체와의 직접 접촉이 필요하고, 상수원 등에 직접 분사, 분무하여 사용해야 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천연 살충제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최근에 해충으로 분류되고 있는 동양하루살이에 대한 살충 효과가 탁월하다.
작은소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진드기의 한 종류로서, 라임병, 반점열, 리케치아 및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해충이다.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은 다수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치명적인 병임에도 아직 확실한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인체와의 접촉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진드기가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기피제를 직접 도포하거나, 옷에 분무하는 등의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천연 해충 기피제 또는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은소참진드기에 대해서는 기피 효과가 특히 뛰어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삼 추출물은 열수추출물로서 고삼 100g을 증류수 1L에 넣어 70 내지 90℃의 온도로 유지하며 10 내지 20분간 가열하여 얻어진 것이고, 상기 파극천 추출물은 주정추출물로서 파극천 100g을 80%의 주정 2L에 넣어 10 내지 20분간 침지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조건은 표준상태(STP)에서 이루어지며, 얻어진 추출물과 유화제를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 살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을 과량의 증류수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파극천 추출물과 혼합할 때 충분히 혼합한 이후에도 상분리가 이루어져 과량의 유화제를 첨가해야 하거나, 사용 직전마다 다시 흔들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보다 소량의 증류수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연무방역방법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파극천 추출물을 과량의 주정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추출물의 농도가 낮아 일반적인 1회 방역시에 사용량과 대비하여 살충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소량의 주정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파극천이 주정의 양에 대비하여 과다하여 추출공정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쇠비름 추출물, 백두옹 추출물, 담뱃잎 추출물 및 도꼬마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쇠비름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잎을 그대로 생식하거나, 이로부터 추출물을 얻어 화장료 성분으로 활용하거나, 약재로 사용하기도 하는 인체에는 무해한 성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쇠비름 효소 등을 모기나 진드기 기피제로 사용하는 등 해충에 대한 기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이다. 쇠비름 추출물은 쇠비름 잎을 잘게 절단하여 말린 후, 말린 쇠비름 100g을 5L의 물에 넣어 60-80℃의 온도로 10-20분간 가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쇠비름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첨가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백두옹 추출물은 모기 퇴치 효능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진 추출물로서, 할미꽃뿌리(백두옹)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다. 백두옹 추출물은 백두옹을 잘게 절단하여 말린 후 100g을 5L의 물에 넣어 60-80℃의 온도로 10-20분간 가열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천연 살충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담뱃잎 추출물은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담배의 잎부분을 이용한 추출물이다. 담뱃잎은 살충 또는 해충 기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는 담뱃잎에 포함된 니코틴 성분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뱃잎 추출물은 잘게 절단하여 말린 후 100g을 5L의 물에 넣어 60-80℃의 온도로 10-20분간 가열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천연 살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도꼬마리 추출물의 도꼬마리는 한해살이 풀로서, 비염 등에 효능이 있는 한약재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꼬마리 추출물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첨가함으로써 해충 기피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꼬마리 추출물 또한, 잘게 절단하여 말린 후 100g을 5L의 물에 넣어 60-80℃의 온도로 10-20분간 가열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천연 살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액제, 유제, 훈연제, 훈증제, 입제 및 고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제로 구성되어 인간의 피부에 직접 분사 또는 도포하거나, 연무방역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방역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수원과 같은 넓은 면적을 방역하는 경우에 더욱 효율적인 연무방역방법으로 방역하는 것이 방역비용 및 효율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살충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건조된 고삼을 증류수에 넣고 가열하여 고삼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파극천을 80% 주정에 넣어 파극천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을 20 내지 25℃의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화제를 넣어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각 구성의 구체적인 사항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상세한 구성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각 추출물과 유화제를 하나의 교반기에 넣고 충분히 교반시키는 과정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물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건조된 고삼 뿌리 100g을 증류수 1L에 넣어 75 내지 80℃의 온도를 유지하며 15분간 가열하여 고삼 열수추출물을 얻었다.
약 0.5cm의 두께로 절단하여 건조한 파극천을 80% 주정 2L에 넣어 15분간 침지하여 파극천 주정추출물을 얻었다.
고삼 열수추출물 35g, 파극천 주정추출물 15g 및 유화제인 트윈 80(Atlas Powder Co.)을 5g 취하여 교반기에 넣고, 증류수 45g을 첨가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살충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백두옹을 잘게 절단하여 말린 후 100g을 5L의 물에 넣어 75-80℃의 온도로 20분간 가열하여 백두옹 추출물을 얻었다. 상온에서 냉각시켜 온기를 제거하여 기피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시중에서 판매되는 살충제(스프레이타입)를 구입하여 준비했다.
비교예 3
실시예에서 고삼 열수추출물 35g, 파극천 주정추출물 15g 대신 고삼 열수추출물 15g, 파극천 주정추출물 35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에서 고삼 열수추출물 35g, 파극천 주정추출물 15g 대신 고삼 열수추출물 50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에서 고삼 열수추출물 35g, 파극천 주정추출물 15g 대신 파극천 주정추출물 50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동양하루살이, 작은소참진드기, 모기, 쥐며느리, 파리를 각 20마리씩 준비하여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 20cm인 투명 아크릴상자를 준비하고, 내부에 직경 10cm 크기의 원 형태로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료가 5ml씩 도포된 종이를 아크릴상자의 내부에 위치시켰다.
각 해충들을 서로 다른 아크릴상자에 넣되, 시료가 도포된 종이 위에 해충이 위치되도록 준비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10분, 30분, 1시간 경과 후의 해충의 동태를 살펴, (원 내부에 위치하는 개체수/원의 경계로부터 3cm 거리 내에 위치하는 개체수)를 표 1 내지 3에 나타내고, 30분 경과 후의 결과를 도 1의 그래프로 나타냈다.
1시간 경과 후에는 죽은 것처럼 보이는 개체수를 표 4에 나타냈다.
실험예 2
동양하루살이, 작은소참진드기, 모기, 쥐며느리, 파리를 각 1마리씩 준비시키고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료를 10cm의 거리에서 3회 분무하였다. 30분 경과 후, 각 개체의 활성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1(활성없음-죽은 개체) 내지 9(영향없음)의 점수를 매겨 표 5에 나타내고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시간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10분 동양하루살이 1/3 6/6 0/0 5/2 4/3 3/2
작은소참진드기 2/2 8/5 0/1 4/3 3/4 3/1
모기 5/4 0/1 0/0 6/3 5/7 5/5
쥐며느리 7/5 8/4 0/0 9/2 6/9 8/8
파리 6/8 5/9 0/2 5/8 8/3 7/5
(원 내의 개체수/ 원 경계로부터 3cm 이내 범위의 개체수)
시간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30분 동양하루살이 0/1 7/7 0/0 4/3 3/3 3/4
작은소참진드기 1/2 5/9 0/0 4/2 5/2 2/4
모기 5/6 0/0 0/0 6/8 5/9 7/2
쥐며느리 6/6 5/8 0/0 9/5 7/4 7/4
파리 7/3 5/9 0/1 5/7 4/9 10/1
시간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60분 동양하루살이 0/1 5/7 0/1 4/6 3/5 3/5
작은소참진드기 1/1 4/5 0/0 3/5 4/5 3/3
모기 6/2 0/2 0/2 5/7 6/8 6/8
쥐며느리 4/9 6/8 0/0 8/3 7/5 6/6
파리 8/9 6/5 1/3 4/8 6/8 10/2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동양하루살이 15 0 11 1 0 0
작은소참진드기 4 0 5 0 0 0
모기 0 0 13 0 0 0
쥐며느리 0 0 10 0 0 0
파리 0 0 7 0 0 0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동양하루살이 1 3 1 3 6 3
작은소참진드기 3 4 2 4 5 4
모기 5 1 1 3 4 2
쥐며느리 9 5 1 8 6 5
파리 7 6 1 9 8 5
상기 표 1 내지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비교예들의 시료와 대비하여 동양하루살이와 작은소참진드기에 대해 특이적으로 기피 효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및 5를 참고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동양하루살이에 대해서는 시중의 살충제보다 더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의 시료는 모기, 쥐며느리, 파리에 대한 살충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동양하루살이에 대해서는 탁월한 살충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은소참진드기에 대해서는 다소 낮은 살충 효과가 나타났으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해충 종과 무관하게 사용가능한 살충제는 모든 종의 해충에 대해 살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 바, 생물 자체에 독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제조과정에서 고삼 열수추출물과 파극천 추출물이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정도로 제형이 분리됨에 따라, 분무 및 사용 전에 다시 흔들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화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제형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합성성분의 첨가를 줄이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는 맞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비교예 4 및 5와 비교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동양하루살이와 작은소참진드기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기피 효능을 가지며, 제형의 분리없이 균일하게 혼합된 안정된 제형을 유지하면서도, 가장 탁월한 기피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2는 해충의 종류와는 크게 상관없이 다종의 해충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천연 성분을 이용한 살충제와는 달리, 해충 자체에 활동성을 낮추고, 활동성을 낮춤으로써 기피 효과 및 살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실험을 참고할 때, 실시예의 살충제가 모든 해충에독성을 갖지 않으면서도 동양하루살이와 작은소참진드기에 특이적으로 해충 기피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동양하루살이에 대해서는 뛰어난 살충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추출물이 최소량의 유화제만을 첨가하여도 안정적으로 제형을 형성 및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백두옹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고삼 추출물, 파극천 추출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로서,
    상기 살충제 조성물의 대상 해충은 동양하루살이이고,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백두옹 추출물 0.1 내지 3 중량%, 상기 쇠비름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상기 고삼 추출물 35 중량%, 상기 파극천 추출물 15 중량% 및 상기 유화제를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백두옹 추출물은 백두옹을 잘게 절단하여 말린 후 100g을 5L의 물에 넣어 60-80℃의 온도로 10-20분간 가열하여 얻어진 것이고,
    상기 쇠비름 추출물은 쇠비름 잎을 잘게 절단하여 말린 후, 말린 쇠비름 100g을 5L의 물에 넣어 60-80℃의 온도로 10-20분간 가열함으로써 얻은 것이며,
    상기 고삼 추출물은 열수추출물로서 고삼 100g을 증류수 1L에 넣어 70 내지 90℃의 온도로 유지하며 10 내지 20분간 가열하여 얻어진 것이고,
    상기 파극천 추출물은 주정추출물로서 파극천 100g을 80% 주정 2L에 넣어 10 내지 20분간 침지하여 얻어진 것이며,
    상기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1020200086992A 2020-07-14 2020-07-14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92A KR102212587B1 (ko) 2020-07-14 2020-07-14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92A KR102212587B1 (ko) 2020-07-14 2020-07-14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685A Division KR102155499B1 (ko) 2019-09-06 2019-09-06 고삼과 파극천을 이용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587B1 true KR102212587B1 (ko) 2021-02-05

Family

ID=7455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992A KR102212587B1 (ko) 2020-07-14 2020-07-14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58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4537A (ko) * 2012-04-09 2013-10-17 고정길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KR20150134947A (ko) * 2014-05-23 2015-12-02 황성광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KR20160044927A (ko) * 2014-10-16 2016-04-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드기용 천연 살비제, 진드기용 식별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9074B1 (ko) * 2017-03-30 2017-08-17 허운덕 고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20170141409A (ko) * 2016-06-15 2017-12-2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KR20180069278A (ko) * 2016-12-15 2018-06-25 김진철 방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250B1 (ko) 2017-06-20 2019-03-20 박강철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20190044860A (ko) 2017-10-23 2019-05-02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작은소참진드기 기피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4537A (ko) * 2012-04-09 2013-10-17 고정길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KR20150134947A (ko) * 2014-05-23 2015-12-02 황성광 해충퇴치제 제조방법
KR20160044927A (ko) * 2014-10-16 2016-04-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드기용 천연 살비제, 진드기용 식별표시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1409A (ko) * 2016-06-15 2017-12-2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KR20180069278A (ko) * 2016-12-15 2018-06-25 김진철 방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9074B1 (ko) * 2017-03-30 2017-08-17 허운덕 고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유해조수 및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960250B1 (ko) 2017-06-20 2019-03-20 박강철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20190044860A (ko) 2017-10-23 2019-05-02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작은소참진드기 기피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916B1 (ko)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31686B (zh) 一种植物源农药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04406B1 (ko) 닭진드기 방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CN104054758A (zh) 无害植物灭虫剂
KR102291985B1 (ko) 인체에 안전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Weinzierl et al. Botanical insecticides and insecticidal soaps
KR101181454B1 (ko)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CN106726871A (zh) 青蒿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Gadelhaq et al. D‐limonene nanoemulsion: lousicidal activity, stability, and effect on the cuticle of Columbicola columbae
KR101715284B1 (ko) 모기 기피 및 해충 방제 효과가 있는 천연 혼합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기 기피 및 해충 방제 효과가 있는 스프레이용 조성물 및 훈연제의 제조방법
KR102212587B1 (ko) 동양하루살이 맞춤형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5499B1 (ko) 고삼과 파극천을 이용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590B1 (ko) 인체에 무해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2571A (ko) 투명한 계피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충제 조성물
CN112219844B (zh) 一种植物源蚊虫驱避剂及其制备方法
KR102323497B1 (ko)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692667B1 (ko)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도료
CN106538636A (zh) 一种植物源杀虫剂及其制备方法
KR20130026742A (ko) 모기 등 해충의 퇴치를 위해 은행나무에서 추출하는 천연살충성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14514A (ko) 은행나무 추출 유해 곤충 퇴치 조성물
WO2020261083A1 (en) Bed bug control composition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KR101738367B1 (ko) 모기 및 벌레 기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9486B1 (ko)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20150126575A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