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242A - 욕실관리기 - Google Patents

욕실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242A
KR20180026242A KR1020160113359A KR20160113359A KR20180026242A KR 20180026242 A KR20180026242 A KR 20180026242A KR 1020160113359 A KR1020160113359 A KR 1020160113359A KR 20160113359 A KR20160113359 A KR 20160113359A KR 20180026242 A KR20180026242 A KR 2018002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ne
duct
cas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917B1 (ko
Inventor
전휘영
박대윤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917B1/ko
Priority to US15/693,703 priority patent/US10470620B2/en
Priority to CN201710785567.8A priority patent/CN107796217B/zh
Publication of KR2018002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26B23/06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628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걸이구의 설치 위치가 최적화된 욕실관리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하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 토출베인과,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고, 제1 걸이부가 형성된 걸이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토출베인은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방하였을 때 선단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보다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이부는,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1 접선과, 상기 제1 접선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직선인 제1 직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각도는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2 접선과,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후방 하단 및 상기 개방된 제2 토출베인의 선단을 지나는 제2 직선 사이의 각도이다.

Description

욕실관리기{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의 제습 및 항균작용을 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세탁, 세면, 세수, 샤워 및 배변 등을 하는 장소로서, 집안에서 가장 다습한 장소이기 때문에, 여러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이 쉽게 일어나고, 악취가 쉽게 발생되는 장소이다.
대부분의 욕실은 환기팬에 의존하여 건조 및 탈취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기팬의 가동이 적절히 되지 못하거나 가동이 되더라도 욕실 전체를 건조하게 유지하는데 부족하기 때문에, 잔여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에 의해 오염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바닥의 수분을 조기에 제거하고, 욕실에 걸려있는 수건과 같은 젖은 집기도 조기에 건조시켜서, 욕실이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지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욕실의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걸이구의 설치 위치가 최적화된 욕실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하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 토출베인과,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고, 제1 걸이부가 형성된 걸이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토출베인은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방하였을 때 선단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보다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이부는,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1 접선과, 상기 제1 접선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직선인 제1 직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각도는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2 접선과,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후방 하단 및 상기 개방된 제2 토출베인의 선단을 지나는 제2 직선 사이의 각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걸이구의 설치위치가 최적화되어, 상기 걸이구에 걸린 대상물의 건조 및 살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걸이구에 집기걸이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걸이구와 별도로 집기걸이구를 설치함으로써, 집기를 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 및 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 및 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 및 덕트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덕트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덕트에 송풍팬 및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에 덕트 및 전장품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3은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5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 사시도,
도 16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 사시도,
도 17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8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9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유로절환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걸이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걸이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걸이구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걸이구 및 집기걸이구의 별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집기걸이구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도 29의 주요부 확대도 및 래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 및 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 및 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 및 덕트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덕트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덕트에 송풍팬 및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이너 케이스에 덕트 및 전장품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욕실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14)와, 케이스(12,14)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과, 케이스(12,14) 내에 설치되는 덕트(30)와, 덕트(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토출베인(26)과, 덕트(30) 내에 설치되는 송풍팬(40)과, 덕트(30)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0)를 포함한다.
케이스(12,14)는 전면 상부에 욕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4a)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에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공기토출구(14b)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2,14)는 하면에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토출구(12a)가 더 형성된다.
케이스(12,14)는 아우터 케이스(12)와 이너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아우터 케이스(12)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는 빈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공기토출구(12a)가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12)는 케이스(12,14)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한다. 즉, 아우터 케이스(12)의 상면은 케이스(12,14)의 상면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고,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은 케이스(12,14)의 하면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아우터 케이스(12)의 좌측면은 케이스(12,14)의 좌측면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고, 아우터 케이스(12)의 우측면은 케이스(12,14)의 우측면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아우터 케이스(12)의 후면은 케이스(12,14)의 후면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너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로 삽입되어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전방부에 배치되어서, 아우터 케이스(12)의 배면과의 사이에 덕트(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너 케이스(14)는 케이스(12,14)의 전면을 형성한다. 즉, 이너 케이스(14)는 케이스(12,14)의 전면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도 1과 같이 닫힘 위치일 때, 이너 케이스(14)는 하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노출된 이너 케이스(14)의 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입력버튼(14c)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입력버튼(14c)을 푸쉬하여 욕실관리기(100)를 원하는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너 케이스(14)는 위에서 아래로 구분하였을 때 상부(14d)와 중간부(14e)와 하부(14f)를 포함한다.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는 케이스(12,14)의 전면 상부(14d)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고,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는 케이스(12,14)의 전면 중간부(14e)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는 케이스(12,14)의 전면 하부(14f)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4)에는 상부(14d)에 공기흡입구(14a)가 형성되고, 하부(14f)에 제1 공기토출구(14b)가 형성된다. 중간부(14e)는 이너 케이스(14) 중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에는 공기흡입구(14a)를 복수로 분할하는 분할판(14g)이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는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15)가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에 결합된 렌즈커버(15a)와, 렌즈커버(15a)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대신에 빛을 생성하는 벌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흡입베인(22)이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한 상태일 때,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 및 흡입베인(22) 사이의 상측공간을 통해 노출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이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한 상태일 때, 조명기구(15)가 빛을 생성하게 되면,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은 이너 케이스(14) 및 흡입베인(22) 사이의 상측공간을 통해 욕실 내로 조사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 전면에는 필터(60)가 설치된다. 필터(60)는 공기흡입구(14a)에 설치되어 욕실 내의 공기로부터 악취,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한다. 필터(60)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균필터로 구비된다.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을 필터(60)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3)가 배치된다. 리플렉터(23)는 거울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60)는 리플렉터(23)가 반사하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에 의해 광촉매가 활성화된다.
필터(60)의 반복 사용을 위한 재생을 위하여, 필터(60) 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되게 되고, 이 코팅된 광촉매는 외부 광원(욕실 내 조명) 또는 욕실관리기의 내부 조명기구(15)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필터(60)에 포집된 냄새 입자는 무취의 물질로 분해되게 되고 그 양만큼 필터(60)는 재생이 이루어져 연속되는 이후 동작에 탈취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 전면에는 토출그릴(18)이 설치된다. 토출그릴(18)은 제1 공기토출구(14b)에 설치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로부터 배출되는 덕트(30) 내의 공기를 욕실 내로 토출한다.
흡입베인(22)은 케이스(12,14)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4a)를 개폐하고, 제1 토출베인(24)은 케이스(12,14)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폐하며, 제2 토출베인(26)은 덕트(30)에 설치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폐한다.
흡입베인(22)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단이 이너 케이스(14)로부터 벌어져서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단이 이너 케이스(14)를 향해 오므라들어서 공기흡입구(14a)를 닫는다.
제1 토출베인(24)은 흡입베인(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토출베인(24)은 상단이 흡입베인(22)의 하단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토출베인(24)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단이 이너 케이스(14)로부터 벌어져서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하단이 이너 케이스(14)를 향해 오므라들어서 제1 공기토출구(14b)를 닫는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은 이너 케이스(14)에 대해 설정 각도인 35도로 접혀서,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각각 개방한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경우, 욕실 내의 공기는 흡입베인(22) 및 이너 케이스(24) 사이의 상측 공간을 통해 공기흡입구(14a)로 이동된 후 덕트(30) 내로 흡입되고, 덕트(3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제1 토출베인(24)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된 후 욕실 내로 토출된다. 욕실 내에는 환풍구가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덕트(30) 내에서 욕실 내로 토출되는 온풍은 아랫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이 욕실 내 따듯한 바람의 순환과 바닥 건조에 유리하다.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되면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운전되지 않을때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닫혀 욕실관리기(100)가 전후방향으로 컴팩트해져서 사용자의 욕실 내부 이동시 부딛침이 없도록 한다.
덕트(30)는 이너 케이스(14)의 길이방향 가운데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너 케이스(14)의 길이방향 일단은 덕트(3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이너 케이스(14)의 길이방향 타단은 덕트(30)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너 케이스(14)가 아우터 케이스(12) 내로 삽입되어 아우터 케이스(12)에 결합된 상태이면, 케이스(12,14)의 내부에는 덕트(30)의 일측에 빈 공간인 제1 전장실(S1)이 형성되고, 덕트(30)의 타측에 빈 공간인 제2 전장실(S2)이 형성된다.
제1 전장실(S1) 및 제2 전장실(S2)에는 전기를 필요로 하는 부품인 전장품들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전장품들이 제1 전장실(S1) 및 제2 전장실(S2)에 나뉘어 배치됨으로써, 케이스(12,14)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었을 경우, 상기 수분에 의한 상기 전장품들의 고장 및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들은 흡입베인 모터(200)와, 제1 토출베인 모터(400)와, 팬모터(600)와, 모터(700)와, 컨트롤러(90)를 포함하고, 흡입베인 모터(200) 및 컨트롤러(90)는 제1 전장실(S1)에 배치되고, 제1 토출베인 모터(400), 팬모터(600) 및 모터(700)는 제2 전장실(S2)에 배치된다.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는 구동 모터(200)가 결합된다. 구동 모터(200)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어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동시에 작동시킨다.
구동 모터(200)는, 제1 전장실(S1)에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어 흡입베인(22)을 구동시키는 흡입베인 모터(200)와, 제2 전장실(S2)에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어 제1 토출베인(24)을 구동시키는 제1 토출베인 모터(400)를 포함한다.
흡입베인 모터(200)는 덕트(3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인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 배면에 결합되고, 제1 토출베인 모터(400)는 덕트(30)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인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 배면에 결합된다. 흡입베인 모터(200)의 회전축은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흡입베인 모터(200)의 회전축에는 제1 캠(202)이 결합된다. 제1 캠(202)은 이너 케이스(14)의 전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토출베인(24)의 회전축도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1 토출베인 모터(400)의 회전축에는 제3 캠(402)이 결합된다. 제3 캠(402)도 이너 케이스(14)의 전면에 배치된다.
덕트(30)는 케이스(12,14) 내에 설치된다. 덕트(30)는 이너 케이스(14)의 후면 및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덕트(30)는 공기흡입구(14a),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를 연결한다.
덕트(30)는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가 서로 이격된 채로 개방되고, 하측이 개방된다. 덕트(30)는 개방된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어, 개방된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 사이인 전방 가운데에 후방으로 함입된 공간(34)이 형성된다. 덕트(30)에 형성되는 공간(34)은 이너 케이스(14)에 후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중간부(14e)와 대응되어 중간부(14e)의 후방에 위치한다. 덕트(30)는 개방된 전방 상부가 공기흡입구(14a)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고, 개방된 전방 하부는 제1 공기토출구(14b)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며, 개방된 하측은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하면에 결합된다.
덕트(30)는 공기흡입구(14a)와 연결되는 메인유로(31)와, 메인유로(31)에서 분지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를 연결하는 제1 서브유로(32)와, 메인유로(31)에서 분지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를 연결하는 제2 서브유로(33)를 포함한다. 메인유로(31)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메인유로(31)는 상단이 공기흡입구(14a)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 배면에 결합되고, 제1 서브유로(32)는 메인유로(31)의 하단에서 분지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 배면에 결합되며, 제2 서브유로(33)는 메인유로(31)의 하단에서 분지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하면에 결합된다.
송풍팬(40)은 메인유로(31) 내에 설치된다. 송풍팬(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회전축 방향이 된다. 즉, 송풍팬(40)은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횡류팬으로 구비된다. 메인유로(31)의 상부 좌우측에는 각각 송풍팬(40)이 좌우측단이 삽입되는 팬 설치홀(36)이 형성된다. 덕트(30)의 측면에는 송풍팬(40)을 구동시키는 팬모터(600)가 설치된다.
팬모터(600)는 팬모터 설치 브래킷(650)을 통해 덕트(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2 전장실(S2)에 배치된다. 즉, 팬모터(600)는 팬모터 설치 브래킷(650)의 일면에 결합되고, 팬모터 설치 브래킷(650)은 팬 설치홀(36)을 덮으며 덕트(30)에 결합되어, 팬모터(600)를 덕트(30)의 측면에 결합한다. 팬모터 설치 브래킷(650)에는 송풍팬(40)의 회전축(45)이 관통하는 제3 관통홀(655)이 형성된다. 송풍팬(40)의 회전축(45)은 제3 관통홀(655)을 관통하여 덕트(3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팬모터(600)의 회전축과 결합된다. 팬모터 설치 브래킷(650)에는 제3 관통홀(655)을 실링하는 제5 실링부재(805)가 설치된다.
송풍팬(40)은 메인유로(3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4a)의 후방에 배치된다. 송풍팬(40)은 공기흡입구(14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로 송풍한다.
또한, 메인유로(31) 내에는 히터(50)가 더 설치된다. 히터(50)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로 구비된다. 히터(5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메인유로(31)내에서 송풍팬(40)이 히터(50)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히터(50)는 송풍팬(4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만약, 송풍팬(40)이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면, 송풍팬(40)은 히터(50)를 통과하면서 바뀐 온풍을 흡입하게 되어, 상기 온풍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므로, 송풍팬(40)은 히터(50)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히터(50)는 송풍팬(40)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30)의 측면에는 히터(50)가 삽입되는 히터 설치홀(38a)이 형성된다. 히터 설치홀(38a)은 메인유로(31)의 측면 중 팬 설치홀(36)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덕트(30)의 측면에는 히터 설치홀(38a)을 실링하는 제6 실링부재(806)가 설치된다.
또한, 덕트(30) 내에는 유로절환댐퍼(35)가 더 설치된다. 유로절환댐퍼(35)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보다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절환댐퍼(35)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 중 하나를 선택하여 메인유로(31)와 연통시켜서, 공기흡입구(14a)를 통해 덕트(30) 내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 중 하나로 절환한다.
유로절환댐퍼(35)는 제1 토출베인(24)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는 경우 제1 서브유로(32)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는 경우 제2 서브유로(33)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킨다. 유로절환댐퍼(35)가 제1 서브유로(32)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게 되면, 덕트(30) 내의 공기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욕실 내로 배출되고,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게 되면, 덕트(30) 내의 공기는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욕실 내로 배출된다.
덕트(30)의 측면에는 유로절환댐퍼(35)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4 관통홀(38b)과, 제2 토출베인(26)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5 관통홀(38c)이 형성된다. 덕트(30)에는 제4 관통홀(38b)을 실링하는 제7 실링부재(807)와, 제5 관통홀(38c)을 실링하는 제8 실링부재(808)가 설치된다. 또한, 덕트(30)의 측면에는 제2 토출베인(26) 및 유로절환댐퍼(35)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모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700)는 제1 기어모듈(750)을 통해 덕트(30)의 측면에 결합되어 제2 전장실(S2)에 배치된다. 즉, 제1 기어모듈(750)의 일측면에 모터(700)가 결합되고, 제1 기어모듈(750)은 제4 관통홀(38b) 및 제5 관통홀(38c)을 덮으며 덕트(30)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1 기어모듈(750)은 모터(700)의 회전축과, 제2 토출베인(26)의 회전축과, 유로절환댐퍼(35)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기어가 내부에 포함된다. 따라서, 제1 기어모듈(750)은 모터(700)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1 토출베인(24)의 회전축 및 유로절환댐펴(35)의 회전축에 동시에 전달하여, 제1 토출베인(24) 및 유로절환댐퍼(35)가 모터(70)의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기어모듈(750)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메인유로(31)에 해당하는 덕트(30)의 배면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덕트(30) 내로 양이온과 음이온(이하, 이온)을 다량 발산한다. 따라서,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다. 욕실 내로 방출된 상기 이온은 욕실의 미생물 및 세균 등과 반응하여 DNA파괴에 관여함으로써 괴사시키고, 곰팡이와 반응하여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메인유로(31)에 해당하는 덕트(30)의 배면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삽입되는 이오나이저 설치홀(37)이 형성된다. 이오나이저 설치홀(37)은 덕트(3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이오나이저 설치홀(37)은 복수의 이오나이저(7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덕트(30)에는 이오나이저 설치홀(37)을 실링하는 제9 실링부재(809)가 설치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즉, 복수의 이오나이저(70)로부터 방출된 이온입자는 가급적 거치는 구조물이 없어야 생존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풍팬(40)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흡입구(14a)를 통해 메인유로(31) 내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40)에 의해 히터(50)로 이동된 후, 히터(50)에 의해 가열되어서 온풍으로 바뀌고, 이 온풍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 중 하나를 통해 욕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케이스(12,14)의 하면에는 걸이구(80)가 더 설치된다. 걸이구(80)는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걸이구(80)는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아우터 케이스(1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걸이구(80)에는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수건(1)이 걸린다. 사용자는 세면, 세수 및 샤워 등을 한 후에 수건(1)을 사용하여 자신에게 묻은 물기를 닦은 후 걸이구(80)에 걸어 놓는다. 이와 같이 걸이구(80)에 걸린 젖은 수건(1)은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진다. 걸이구(80)에 걸린 수건(1)이 건조 및 살균될 수 있도록, 제2 공기토출구(12a)는 걸이구(80)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욕실 내를 건조 및 살균하는 기능을 하고,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수건(1)을 건조 및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젖은 수건(1)이나 집기 등에도 미생물과 세균의 서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수건(1) 등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거나, 오염된 수건(1) 등은 오염을 타인에게 전이시키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또한, 수건(1)은 세안이나 기타 욕실 내 활동에 의해 하루, 이틀 반복 사용되기도 하는데, 욕실 자체가 습한 공간이기에 이렇게 수건(1)에 잔여한 습기는 사람의 피부로부터 떨어져 나간 조직들을 영양분으로 서식하는 세균의 성장을 위한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욕실관리기(100)는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을 통해 젖은 수건(1)이나 집기 등을 살균시킬 수 있고, 히터(50)에 의한 온풍을 동반한 경우 99%까지 살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건(1) 내에 미량 존재하는 습기까지 고온저습의 공기의 수증기 분압차를 크게 만들어 말끔히 증발시키는 메카니즘에 의한 부분이다. 살균 막바지에 히터(50)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에너지소모를 충분히 줄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케이스(12)의 좌측을 좌측으로 더 길게 확장시키거나, 아우터 케이스(12)의 우측을 우측으로 더 길게 확장시켜서, 그 확장된 부분에 칫솔을 수납할 수 있는 칫솔수납공간을 마련하고, 덕트(30)의 메인유로(31) 중 이오나이저(70)의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유로를 하나 더 분지하여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연결함으로써,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칫솔수납공간에 수납된 칫솔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살균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오나이저(70)와 함께 히터(50)도 구동시켜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이온이 포함된 온풍을 공급하여 상기 칫솔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고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유로(31)에서 유로를 하나 더 분지하는 경우 덕트(30) 내에는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분지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칫솔수납공간에는 상기 칫솔을 걸 수 있는 칫솔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수납공간에는 상기 칫솔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컨트롤러(9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덕트(3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어 제1 전장실(S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기어모듈(75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 기어박스(301)를 포함한다. 제1 기어박스(301)는 덕트(30)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1 기어박스(301) 내에는 제1 구동기어(302),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구동기어(302)는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와 각각 맞물린다. 즉, 제1 종동기어(303)는 제1 구동기어(30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구동기어(302)와 맞물리고, 제2 종동기어(304)는 제1 구동기어(302)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구동기어(302)와 맞물린다.
모터(700)의 회전축(305)은 제1 기어박스(301)를 관통하여 제1 구동기어(302)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종동기어(303)는 제2 토출베인(26)의 회전축(26a)과 결합되고, 제2 종동기어(304)는 유로절환댐퍼(35)의 회전축(35a)과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700)가 구동되는 경우, 제1 구동기어(302)가 모터(700)의 구동력에 의해 모터(700)의 회전축(305)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가 회전되기 때문에, 제2 토출베인(26) 및 유로절환댐퍼(35)가 동시에 회전된다.
즉,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일 때,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를 연통시키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 사이는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유로절환댐퍼(35)는 제2 토출베인(26)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어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 사이를 차단하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를 연통시킨다.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의 기어비는 2:1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하나의 모터(700)를 이용하여 제2 토출베인(26) 및 유로절환댐퍼(35)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걸이구(80)에 걸린 수건(1)과 같은 젖은 집기의 항균건조 모드로 욕실관리기(100)가 운전시에만,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고,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를 연통시킨다. 이때에는 제1 토출베인(24)은 제1 공기토출구(14b)를 닫은 상태이고,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는 유로절환댐퍼(3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걸이구(80)에 걸린 수건(1)과 같은 젖은 집기의 항균건조 모드가 아닌 나머지 모드로 욕실관리기(100)가 운전시에는, 제1 토출베인(24)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고,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를 연통시킨다. 이때에는 제2 토출베인(26)은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이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는 유로절환댐퍼(3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도 1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5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 사시도, 도 16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 사시도, 도 17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8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9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7과,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제1 캠(202)과 연동하여 흡입베인(22)을 개방하는 제2 캠(20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는 제3 캠(402)과 연동하여 제1 토출베인(24)을 개방하는 제4 캠(403)이 형성된다.
흡입베인 모터(200)의 회전축(201)은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흡입베인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에는 제1 캠(202)이 결합된다. 제1 캠(202)은 회전축(201) 중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캠(202)은 전면이 경사진 제1 경사부(202a)로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베인(22)의 후면 하단부에는 제2 캠(20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캠(203)은 후면이 제1 경사부(202a)와 대응되는 제2 경사부(203a)로 형성된다.
제1 경사부(202a) 및 제2 경사부(203a)로 인해, 흡입베인 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흡입베인 모터(200)의 회전축(201)과 함께 제1 캠(202)이 회전됨에 따라, 제1 캠(202)은 제2 캠(203)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흡인베인(22)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흡입베인(22)이 개방된 상태에서 흡입베인 모터(200)가 흡입베인(22)의 닫힘위치로 회전되면, 흡입베인(22)은 제1 리턴 스프링(210)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또한, 제1 토출베인 모터(400)의 회전축(401)은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1 토출베인 모터(400)의 회전축(401)에는 제3 캠(402)이 결합된다. 제3 캠(402)은 회전축(401) 중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3 캠(402)은 전면이 경사진 제3 경사부(402a)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토출베인(24)의 후면 상단부에는 제4 캠(40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4 캠(403)은 후면이 제3 경사부(402a)와 대응되는 제4 경사부(403a)로 형성된다.
제3 경사부(402a) 및 제4 경사부(403a)로 인해, 제1 토출베인 모터(400)의 구동력에 의해 제1 토출베인 모터(400)의 회전축(401)과 함께 제3 캠(402)이 회전됨에 따라, 제3 캠(402)은 제4 캠(403)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베인(24)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 토출베인 모터(400)가 제1 토출베인(24)의 닫힘위치로 회전되면, 제1 토출베인(24)은 제2 리턴 스프링(410)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베인(22)에 형성된 제2 캠(203)의 후면이 제2 경사면(203a)으로 형성되고, 흡입베인 모터(200)의 회전축(201)에 결합된 제1 캠(202)의 전면이 제1 경사면(20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입베인(22)을 수동으로 열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베인(24)에 형성된 제4 캠(403)의 후면이 제4 경사면(403a)으로 형성되고, 제1 토출베인 모터(400)의 회전축(401)에 결합된 제3 캠(402)의 전면이 제3 경사면(40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열 수 있기 때문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연 후, 필터(60)의 교체가 가능하며, 덕트(30) 내부 및 송풍팬(40) 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송풍팬 구동중)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하나를 열게 되면, 홀 센서(미도시)가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1 실링부재(801)가 설치되고,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는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제2 실링부재(802)가 설치된다. 제1 실링부재(801)는 흡입베인(22)의 배면 상부와 흡입베인(22)의 배면 양측에 설치되고, 제2 실링부재(802)는 제1 토출베인의 배면 하부와 제2 토출베인의 배면 양측에 설치된다. 제1 실링부재(801) 및 제2 실링부재(802)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 흡입베인(22)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와, 제1 토출베인(24)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흡입베인(22)의 배면에 제1 실링부재(801)가 설치되고,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제2 실링부재(802)가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흡입베인(22)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와, 제1 토출베인(24)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게 될 경우, 빠르게 외부로 배수되어야 덕트(30) 내와 케이스(12,14) 내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흡입베인(22)의 배면 양측에는 제1 힌지부(2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 양측에는 제2 힌지부(27)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1 힌지부(25) 및 제2 힌지부(27)에는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배치된 힌지축(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제1 힌지부(25)는 흡입베인(22)의 하단을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힌지부(27)는 제1 토출베인(24)의 상단을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양측의 제1 힌지부(25)는 흡입베인(22)의 배면에 곡면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삽입된다. 또한, 양측의 제2 힌지부(27)도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곡면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삽입된다.
양측의 제1 힌지부(25) 사이에 해당하는 흡입베인(22)의 배면과, 양측의 제2 힌지부(27) 사이에 해당하는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은, 중간부(14e)로 삽입되지 않는 제1 유로(21)를 형성한다.
따라서, 흡입베인(22)과 이너 케이스(14)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침투한 수분은 제1 유로(21)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덕트(30)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유로(21)는 상하로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고, 좌우로는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와 대응되는 길이를 같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유로(21)의 일단은 공기흡입구(14a)의 일단 및 제1 공기토출구(14b)의 일단과 대응되고, 제1 유로(21)의 타단은 공기흡입구(14a)의 타단 및 제1 공기토출구(14b)의 타단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제1 토출베인 배면에는 배수그루브(28,2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배수그루브(28,29)는 제1 유로(21)보다 하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배수그루브(28,29)는 제1 유로(21)의 일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배수그루브(28)와, 제1 유로(21)의 타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배수그루브(29)를 포함한다. 제1 배수그루브(28)가 제1 유로(21)의 일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2 배수그루브(29)가 제1 유로(21)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유로(21)를 통과한 수분은 좌우측으로 퍼지지 않고 곧바로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는 제1 배수그루브(28)와 대응하는 하측과, 제2 배수그루브(29)와 대응하는 하측에 제2 실링부재(802)가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제1 배수그루브(28) 및 제2 배수그루브(29)를 통과한 수분은 제1 토출베인(24)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14)에는 흡입베인 모터(200)의 회전축(201)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14h)과, 제1 토출베인 모터(400)의 회전축(401)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14k)이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베인(22)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와, 제1 토출베인(24)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로 침투한 수분은 제1 관통홀(14h) 및 제2 관통홀(14k)을 통해 케이스(12,14)의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관통홀(14h)에는 제3 실링부재(803)가 설치되고, 제2 관통홀(14k)에는 제4 실링부재(804)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덕트(30)에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되었으나,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반드시 덕트(30)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 및 도 21은 유로절환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유로절환댐퍼(35)에 설치된다. 도 20과 같이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닫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에서는, 히터(50)를 통과한 메인유로(31) 내의 공기는 제1 서브유로(32)의 입구에서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발산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면서 욕실의 바닥을 건조 및 살균시킨다. 또한, 도 21와 같이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개방하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히터(50)를 통과하는 메인유로(31) 내의 공기는 제2 서브유로(33)의 입구에서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발산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면서 걸이구(80)에 걸린 젖은 수건과 같은 집기를 건조 및 살균시킨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기구(15)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설치되었으나, 조명기구(15)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조명기구(15)의 위치에 따라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조명기구(15)의 설치위치의 변경실시에 대해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에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 중 공기흡입구(14a)의 상측에 해당하는 이너 케이스(14)에 설치된다.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하는 빛을 필터(60)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3)가 설치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흡입베인(22)의 배면에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빛을 생성하여 필터(60)로 직접 조사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덕트(30) 내에 설치된다. 덕트(30)에는 메인유로(31) 내로 돌출되는 설치부(39)가 형성되고, 조명기구(15)는 설치부(39)에 결합된다. 조명기구(15)는 빛을 생성하여 필터(60)로 직접 조사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조명기구(15)가 도 3, 도 22, 도 23과 같이 설치되는 경우 흡입베인(22)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필터(60)로 빛을 조사할 수 있지만, 도 24와 같이 조명기구(15)가 덕트(30) 내에 설치되는 경우, 흡입베인(22)이 닫힌 상태에서도 필터(60)로 빛을 조사하여 필터(60)의 광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욕실 외부에서 볼 때 욕실 간접조명의 기능으로 심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필터(60)의 광촉매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하는 조명기구(15)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조명기구(15)를 욕실 간접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5는 걸이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걸이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걸이구(8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81)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81,82)가 두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걸이구(8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이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이구(8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이부(81)와, 제1 걸이부(8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 걸이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걸이구(80)에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걸이구(80)에는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구(82)가 형성된다. 제1 걸이부(81)는 걸이구(80)의 하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제1 걸이부(81)의 좌우측단은 각각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단이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 결합된다. 걸이구(80)는 케이스(12,14)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2 걸이부(82)는 제1 걸이부(81)로부터 이격되어 제1 걸이부(81)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 걸이부(82)는 걸이구(80)의 하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제2 걸이부(82)의 좌우측단은 각각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단이 제1 걸이부(81)의 양측에 결합된다.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는 각각 수건(1)이 걸릴 수 있다. 다만,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 걸리는 대상물은 수건(1)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탁물과 같은 포로 이루어지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는 수건(1)이 걸리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수건(1)은 상기 포로 해석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는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 걸리는 수건(1)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8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는 각각 수건(1)의 수분을 감지하는 제2 센서(8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86)는 초음파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센서(87)는 전극센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센서(86)는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 걸리는 수건(1)의 유무를 감지하여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 수건(1)이 걸려 있는 경우 제1 신호값을 출력하고, 제2 센서(87)는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 걸린 수건(1)의 수분을 감지하여 제2 신호값을 출력한다.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에 걸리는 수건(1)이 건조 및 살균되는 욕실관리기(100)의 제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센서(86)가 출력하는 제1 신호값은 컨트롤러(90)로 입력되고, 제2 센서(87)가 출력하는 제2 신호값은 컨트롤러(90)로 입력된다.
컨트롤러(90)는 상기 제1 신호값이 입력되면 제1 걸이부(81) 및 제2 걸이부(82) 중 적어도 하나에 수건(1)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신호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신호값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흡입베인 모터(200)를 구동시켜 흡입베인(22)을 개방시키고, 모터(700)를 구동시켜 유로절환댐퍼(35)가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 사이를 연통시킴과 아울러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한 후, 송풍팬(40) 및 히터(50)를 구동시켜 수건(1)을 건조시킨다.
이후, 컨트롤러(90)는 상기 제2 신호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수건(1)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오나이저(70)를 구동시켜 수건(1)을 살균시킨다. 상기 수건(1)의 건조는 상기 제2 신호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아질 때까지 히터(50)를 구동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신호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수건(1)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오나이저(70)를 구동시켜 수건(1)을 살균시킨다.
이후, 컨트롤러(90)는 설정시간이 지나면 수건(1)의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이오나이저(70)가 상기 설정시간동안 구동된 후, 컨트롤러(90)는 수건(1)의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송풍팬(40), 히터(50) 및 이오나이저(70)를 정지시키고, 흡입베인 모터(200)를 구동시켜 흡입베인(22)을 닫고, 모터(700)를 구동시켜 유로절환댐퍼(35)가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 사이를 차폐함과 아울러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도록 한다.
한편, 걸이구(80)에는 집기걸이부(85)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욕실관리기(100)는 욕실의 측벽에 설치되는 바 집기걸이부(85)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고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기걸이부(85)는 제1 걸이부(81)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하지만, 집기걸이부(85)는 제1 걸이부(81)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이구(80)의 양측 후방에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집기걸이부(85)는 수건(1)을 제외한 집기(예를 들면, 머그의 손잡이)가 걸릴 수 있다.
한편, 걸이구(80)에는 수건(1) 또는 집기가 걸리는 바, 수건(1) 또는 집기가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원활하게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건(1) 또는 집기가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원활하게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걸이구(80)의 설치위치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은 걸이구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2 토출베인(26)은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였을 때 선단이 제2 공기토출구(12a)보다 후방 하측에 배치된다.
제1 걸이부(81)는, 제2 공기토출구(12a)의 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1 접선(L1)과, 제1 접선(L1)이 제2 공기토출구(12a)의 전방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직선인 제1 직선(L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소정각도는 제2 공기토출구(12a)의 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2 접선(L2)과, 제2 공기토출구(12a)의 후방 하단 및 상기 개방된 제2 토출베인(26)의 선단을 지나는 제2 직선(L4) 사이의 각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각도는 20도로 설계된다.
또한, 제2 걸이부(82)는 제2 접선(L2) 및 제2 직선(L4)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걸이부(82)는 제1 걸이부(81)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2 걸이부(82)는 제1 걸이부(8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걸이부(82)가 제1 걸이부(81)보다 높게 위치되는 경우 제2 걸이부(82)가 제2 직선(L4)보다 후방에 배치되게 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 걸이부(82)에 걸린 수건(1)에 조금밖에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2 걸이부(82)는 제1 걸이부(8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제1 걸이부(81)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에서는 집기걸이부(85)가 걸이구(8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케이스(12,14)의 하면에 집기를 걸 수 있는 집기걸이구(900)가 걸이구(80)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은 걸이구 및 집기걸이구의 별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집기걸이구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도 29의 주요부 확대도 및 래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와,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걸이구(80)의 후방에는 케이스(12,14)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케이스(12,14)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집기걸이구(900)가 설치된다. 집기걸이구(900)의 하단에는 집기걸이부(910)가 형성된다. 집기걸이부(910)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기걸이구(900)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전장실(S1) 및 제2 전장실(S2)에 하나씩 수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집기걸이구(900)의 하단을 상측으로 푸쉬하면, 아우터 케이스(12)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집기걸이구(900)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어 제1 전장실(S1) 및 제2 전장실(S2)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전장실(S1) 및 제2 전장실(S2)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케이스(12,14)의 하면에는 집기걸이구(900)가 출입하는 출입홀(920)이 형성된다.
집기걸이구(900)의 상측면에는 고정돌기(9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2,14) 내에는 사용자가 집기걸이구(900)를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고정돌기(930)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래치(940)가 결합된다.
제1 전장실(S1) 및 제2 전장실(S2) 중 집기걸이구(900)가 설치되는 곳의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는 래치 설치부(950)가 형성된다. 래치 설치부(950)에는 래치(940)가 관통하는 설치홀(955)이 형성된다. 설치홀(955)은 출입홀(920)로부터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래치(940)의 양측에는 후크(945)가 형성된다. 래치(940)가 설치홀(955)의 하측에서 설치홀(955)로 삽입되어 후크(945)가 래치 설치부(950)의 상측면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래치(940)는 래치 설치부(950)에 결합된다.
래치(940)의 하단 가운데에는 고정돌기(930)에 의해 가압되는 푸쉬가압부(941)가 형성된다. 그리고, 푸쉬가압부(941)의 양측에는 푸쉬가압부(941)가 고정돌기(930)에 의해 가압될 때마다 서로 오므라들고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반복하면서 고정돌기(930)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고정부(942)가 형성된다.
집기걸이구(900)가 케이스(12,14)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우터 케이스(12)의 하측에 형성된 출입홀(920)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집기걸이구(900)의 하단을 상측으로 한번 푸쉬하면, 고정돌기(930)가 푸쉬가압부(941)를 가압하여 양측의 고정부(942)가 서로 벌어짐으로써, 고정돌기(930)는 고정부(942)로부터 고정이 해제된다. 이러한 경우, 집기걸이구(900)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출입홀(920)을 통해 아우터 케이스(12)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집기걸이구(900)가 케이스(12,14)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집기걸이구(900)를 케이스(12,14)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출입홀(920)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집기 걸이구(900)의 하단을 상측으로 다시 한번 푸쉬하면, 고정돌기(930)가 푸쉬가압부(941)를 가압하여 양측의 고정부(942)가 서로 오므라듬으로써, 고정돌기(930)는 고정부(942)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집기걸이구(900)는 케이스(12,14)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케이스(12,14) 내에는 집기걸이구(900)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더(9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걸이구(80)의 설치위치가 최적화되어, 걸이구(80)에 걸린 대상물의 건조 및 살균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걸이구(80)에 집기걸이부(85)가 형성되거나, 걸이구(80)와 별도로 집기걸이구(900)를 설치하여, 집기를 걸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 아우터 케이스 12a: 제2 공기토출구
14: 이너 케이스 14a: 공기흡입구
14b: 제1 공기토출구 14d: 케이스의 전면 상부
14e: 케이스의 전면 중간부 14f: 케이스의 전면 하부
15: 조명기구 18: 토출그릴
22: 흡입베인 23: 리플렉터
24: 제1 토출베인 26: 제2 토출베인
30: 덕트 35: 유로절환댐퍼
40:송풍팬 50: 히터
60: 필터 70: 이오나이저
80: 걸이구 81: 제1 걸이부
82: 제2 걸이부 85: 집기걸이부
90: 컨트롤러 100: 욕실관리기
900: 집기걸이구 910: 집기걸이부
920: 출입홀 930: 고정돌기
940: 래치 945: 후크
950: 래치 설치부 955: 설치홀
960: 가이더 L1: 제1 접선
L2: 제2 접선 L3: 제1 직선
L4: 제2 직선 S1: 제1 전장실
S2: 제2 전장실

Claims (20)

  1. 하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 토출베인; 및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고, 제1 걸이부가 형성된 걸이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토출베인은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방하였을 때 선단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보다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이부는,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1 접선과, 상기 제1 접선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직선인 제1 직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각도는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후방 내측면을 지나는 제2 접선과,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후방 하단 및 상기 개방된 제2 토출베인의 선단을 지나는 제2 직선 사이의 각도인 욕실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집기걸이부가 더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에는 상기 제1 걸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걸이부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제2 걸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이부는 상기 제2 접선 및 상기 제2 직선 사이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부는 상기 제1 걸이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부는 상기 제1 걸이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집기걸이부가 형성된 집기걸이구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 상부에 공기흡입구와, 전면 하부에 제1 공기토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덕트의 일측에 제1 전장실과, 상기 덕트의 타측에 제2 전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전장실 및 상기 제2 전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집기걸이구가 출입하는 출입홀이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집기걸이구의 상측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집기걸이구를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래치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래치 설치부에는 상기 래치가 관통하는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에는 상기 래치 설치부에 걸림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집기걸이구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 상부에 공기흡입구와, 전면 하부에 제1 공기토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베인과,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 토출베인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로 이온을 발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와,
    상기 흡입베인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기구가 생성한 빛을 상기 필터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빛을 생성하여 상기 필터로 조사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 중 하나로 절환하는 유로절환댐퍼;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에 공기흡입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베인을 구동시키는 흡입베인 모터와,
    상기 제2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제1 걸이부에 걸리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제1 신호값을 출력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걸이부에 걸린 대상물의 수분을 감지하여 제2 신호값을 출력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신호값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신호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흡입베인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흡입베인을 개방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2 토출베인을 개방한 후,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이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공기에 이온을 발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신호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이오나이저를 구동시키는 욕실관리기.
KR1020160113359A 2016-09-02 2016-09-02 욕실관리기 KR102544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59A KR102544917B1 (ko) 2016-09-02 2016-09-02 욕실관리기
US15/693,703 US10470620B2 (en) 2016-09-02 2017-09-01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CN201710785567.8A CN107796217B (zh) 2016-09-02 2017-09-04 浴室管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59A KR102544917B1 (ko) 2016-09-02 2016-09-02 욕실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42A true KR20180026242A (ko) 2018-03-12
KR102544917B1 KR102544917B1 (ko) 2023-06-16

Family

ID=6128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359A KR102544917B1 (ko) 2016-09-02 2016-09-02 욕실관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70620B2 (ko)
KR (1) KR102544917B1 (ko)
CN (1) CN1077962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38B1 (ko) * 2016-07-06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511840B1 (ko) * 2016-09-05 202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FR3083299A1 (fr) * 2018-06-28 2020-01-03 Muller Et Cie Radiateur soufflant de type seche-serviette
EP3626106B1 (en) * 2018-09-19 2022-05-04 Lg Electronics Inc. Dryer
JP7213682B2 (ja) * 2018-12-27 2023-01-27 日機装株式会社 加湿器
US11801127B2 (en) 2020-04-07 2023-10-31 Maurice Matthew Trentel Method and system for a modular dental device
KR20230105770A (ko) *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KR20230105771A (ko) *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81663Y (zh) * 2004-02-13 2005-03-02 刘亚强 具有取暖烘干功能的毛巾架
CN103277846A (zh) * 2013-06-09 2013-09-04 陈贻波 一种新型空气调节用的光催化空气净化器
CN204880411U (zh) * 2015-07-07 2015-12-16 关健明 一种具有换气功能的暖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8100A (en) * 1994-12-30 1996-08-20 Miller; William R. Article warmer with heated frame and flexible enclosure
US6153862A (en) * 1999-02-26 2000-11-28 Job; Donald D. Fabric dryer/warmer
US7597122B1 (en) * 2001-07-26 2009-10-06 Smith Judson L Apparatus and method to monitor the usage of a network system of personal hand sanitizing dispensers
US20080210678A1 (en) * 2007-03-01 2008-09-04 Jeff Crane Towel and garment warmer
US8166667B1 (en) * 2008-07-07 2012-05-01 Robert Lora Clothes drying furniture
CN201295195Y (zh) * 2008-10-15 2009-08-26 梁伟 卫生间专用风干式毛巾架
KR101068634B1 (ko) * 2009-06-05 2011-09-28 이인숙 수건걸이의 수건 건조 장치
CN201481276U (zh) * 2009-07-24 2010-05-26 洪荣泰 烘干装置
KR100938007B1 (ko) * 2009-08-05 2010-01-22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타월 건조기
JP5538622B2 (ja) * 2011-03-23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浴室乾燥機
CN102302340A (zh) * 2011-06-12 2012-01-04 张光裕 烘干式毛巾架
KR102511840B1 (ko) * 2016-09-05 202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544918B1 (ko) * 2016-09-05 2023-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81663Y (zh) * 2004-02-13 2005-03-02 刘亚强 具有取暖烘干功能的毛巾架
CN103277846A (zh) * 2013-06-09 2013-09-04 陈贻波 一种新型空气调节用的光催化空气净化器
CN204880411U (zh) * 2015-07-07 2015-12-16 关健明 一种具有换气功能的暖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96217B (zh) 2020-05-12
US10470620B2 (en) 2019-11-12
CN107796217A (zh) 2018-03-13
KR102544917B1 (ko) 2023-06-16
US20180064296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6242A (ko) 욕실관리기
US10576404B2 (en) Air blower apparatus
CN108523723B (zh) 浴室管理器
KR102542121B1 (ko) 욕실관리기
KR102488773B1 (ko) 욕실관리기
KR102511840B1 (ko) 욕실관리기
KR20180026952A (ko) 욕실관리기
KR20180102264A (ko) 냉장 모듈 및 욕실관리기
KR20180044589A (ko) 욕실관리기
KR20180101919A (ko) 욕실관리기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KR101080174B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핸드 드라이어
KR20180027672A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102521847B1 (ko) 욕실관리기
KR102484776B1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20090024322A (ko) 살균 탈취 기능을 갖는 의류 및 신발 건조기
KR100625104B1 (ko) 신발 건조기
KR20180005367A (ko) 욕실관리기의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20200138998A (ko)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KR20180044588A (ko) 욕실관리기
KR20180101076A (ko) 욕실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