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438B1 - 욕실관리기 - Google Patents

욕실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438B1
KR102475438B1 KR1020160085336A KR20160085336A KR102475438B1 KR 102475438 B1 KR102475438 B1 KR 102475438B1 KR 1020160085336 A KR1020160085336 A KR 1020160085336A KR 20160085336 A KR20160085336 A KR 20160085336A KR 102475438 B1 KR102475438 B1 KR 10247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vane
air
duct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365A (ko
Inventor
박대윤
류병조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438B1/ko
Priority to US15/642,494 priority patent/US10576404B2/en
Priority to CN201710546633.6A priority patent/CN107588652B/zh
Publication of KR2018000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B01D46/82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with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6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the steril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욕실의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전면의 상부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의 하부에 제1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베인과,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 토출베인과,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 토출베인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실관리기{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의 제습 및 항균작용을 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세탁, 세면, 세수, 샤워 및 배변 등을 하는 장소로서, 집안에서 가장 다습한 장소이기 때문에, 여러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이 쉽게 일어나고, 악취가 쉽게 발생되는 장소이다.
대부분의 욕실은 환기팬에 의존하여 건조 및 탈취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기팬의 가동이 적절히 되지 못하거나 가동이 되더라도 욕실 전체를 건조하게 유지하는데 부족하기 때문에, 잔여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에 의해 오염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바닥의 수분을 조기에 제거하고, 욕실에 걸려있는 수건과 같은 젖은 집기도 조기에 건조시켜서, 욕실이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지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욕실의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전면의 상부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의 하부에 제1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베인과,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 토출베인과,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 토출베인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제1 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으로 욕실의 바닥면을 조기에 건조시킬 수 있고,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으로 욕실에 걸린 젖은 수건과 같은 집기를 조기에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욕실에 곰팡이 및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실의 악취를 필터를 통해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오나이저에서 발산되는 이온을 욕실내로 토출하기 때문에 살균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9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10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유로절환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
도 20은 욕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수건걸이 칼블럭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체결공에 전용홀더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지지브래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지지브래킷이 도 22에 도시된 전용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배면이 지지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에 결합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가이드 캡에 캡 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욕실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14)와, 케이스(12,14)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과, 케이스(12,14) 내에 설치되는 덕트(30)와, 덕트(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토출베인(26)과, 덕트(30) 내에 설치되는 송풍팬(40)과, 덕트(30)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0)를 포함한다.
케이스(12,14)는 전면 상부에 욕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4a)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에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공기토출구(14b)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2,14)는 하면에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토출구(12a)가 더 형성된다.
케이스(12,14)는 아우터 케이스(12)와 이너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아우터 케이스(12)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는 빈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공기토출구(12a)가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12)는 케이스(12,14)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한다.
이너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너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로 삽입되어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전방부에 배치되어서, 아우터 케이스(12)의 후면과의 사이에 덕트(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너 케이스(14)는 케이스(12,14)의 전면을 형성한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도 1과 같이 닫힘 위치일 때, 이너 케이스(14)는 하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노출된 이너 케이스(14)의 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입력버튼(14c)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입력버튼(14c)을 푸쉬하여 욕실관리기(100)를 원하는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너 케이스(14)는 위에서 아래로 구분하였을 때 상부(14d)와 중간부(14e)와 하부(14f)를 포함한다. 이너 케이스(14)에는 상부(14d)에 공기흡입구(14a)가 형성되고, 하부(14f)에 제1 공기토출구(14b)가 형성된다. 중간부(14e)는 이너 케이스(14) 중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에는 공기흡입구(14a)를 복수로 분할하는 분할판(14g)이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는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15)가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에 결합된 렌즈커버(15a)와, 렌즈커버(15a)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대신에 빛을 생성하는 벌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흡입베인(22)이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한 상태일 때,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 및 흡입베인(22) 사이의 상측공간을 통해 노출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이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한 상태일 때, 조명기구(15)가 빛을 생성하게 되면,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은 이너 케이스(14) 및 흡입베인(22) 사이의 상측공간을 통해 욕실 내로 조사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 전면에는 필터(60)가 설치된다. 필터(60)는 공기흡입구(14a)에 설치되어 욕실 내의 공기로부터 악취,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한다. 필터(60)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균필터로 구비된다.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을 필터(60)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3)가 배치된다. 리플렉터(23)는 거울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60)는 리플렉터(23)가 반사하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에 의해 광촉매가 활성화된다.
필터(60)의 반복 사용을 위한 재생을 위하여, 필터(60) 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되게 되고, 이 코팅된 광촉매는 외부 광원(욕실 내 조명) 또는 욕실관리기의 내부 조명기구(15)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필터(60)에 포집된 냄새 입자는 무취의 물질로 분해되게 되고 그 양만큼 재생이 이루어져 연속되는 이후 동작에 탈취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 전면에는 토출그릴(18)이 설치된다. 토출그릴(18)은 제1 공기토출구(14b)에 설치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로부터 배출되는 덕트(30) 내의 공기를 욕실 내로 토출한다.
흡입베인(22)은 케이스(12,14)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4a)를 개폐하고, 제1 토출베인(24)은 케이스(12,14)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폐하며, 제2 토출베인(26)은 덕트(30)에 설치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폐한다.
흡입베인(22)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단이 이너 케이스(14)로부터 벌어져서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단이 이너 케이스(14)를 향해 오므라들어서 공기흡입구(14a)를 닫는다.
제1 토출베인(24)은 흡입베인(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토출베인(24)은 상단이 흡입베인(22)의 하단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토출베인(24)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단이 이너 케이스(14)로부터 벌어져서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하단이 이너 케이스(14)를 향해 오므라들어서 제1 공기토출구(14b)를 닫는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은 이너 케이스(14)에 대해 설정 각도인 35도로 접혀서,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각각 개방한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경우, 욕실 내의 공기는 흡입베인(22) 및 이너 케이스(24) 사이의 상측 공간를 통해 공기흡입구(14a)로 이동된 후 덕트(30) 내로 흡입되고, 덕트(3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제1 토출베인(24)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된 후 욕실 내로 토출된다. 욕실 내에는 환풍구가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덕트(30) 내에서 욕실 내로 토출되는 온풍은 아랫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이 욕실 내 따듯한 바람의 순환과 바닥 건조에 유리하다.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되면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운전되지 않을때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닫혀 욕실관리기(100)가 전후방향으로 컴팩트해져서 사용자의 욕실 내부 이동시 부딛침이 없도록 한다.
덕트(30)는 케이스(12,14) 내에 설치된다. 덕트(30)는 이너 케이스(14)의 후면 및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덕트(30)는 공기흡입구(14a),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를 연결한다.
덕트(30)는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가 서로 이격된 채로 개방되고, 하측이 개방된다. 덕트(30)는 개방된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어, 개방된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 사이인 전방 가운데에 후방으로 함입된 공간(34)이 형성된다. 덕트(30)는 개방된 전방 상부가 공기흡입구(14a)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고, 개방된 전방 하부는 제1 공기토출구(14b)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며, 개방된 하측은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하면에 결합된다.
덕트(30)는 공기흡입구(14a)와 연결되는 메인유로(31)와, 메인유로(31)에서 분지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를 연결하는 제1 서브유로(32)와, 메인유로(31)에서 분지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를 연결하는 제2 서브유로(33)를 포함한다. 메인유로(31)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메인유로(31)는 상단이 공기흡입구(14a)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 배면에 결합되고, 제1 서브유로(32)는 메인유로(31)의 하단에서 분지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 배면에 결합되며, 제2 서브유로(33)는 메인유로(31)의 하단에서 분지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하면에 결합된다.
송풍팬(40)은 메인유로(31) 내에 설치된다. 송풍팬(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회전축 방향이 된다. 즉, 송풍팬(40)은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횡류팬으로 구비된다. 메인유로(31)의 상부 좌우측에는 각각 송풍팬(40)이 좌우측단이 삽입되는 삽입홀(36)이 형성된다. 송풍팬(40)은 메인유로(3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4a)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메인유로(31) 내에는 히터(50)가 더 설치된다. 히터(50)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로 구비된다. 메인유로(31)내에서 송풍팬(40)이 히터(50)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히터(50)는 송풍팬(4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만약, 송풍팬(40)이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면, 송풍팬(40)은 히터(50)를 통과하면서 바뀐 온풍을 흡입하게 되어, 상기 온풍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므로, 송풍팬(40)은 히터(50)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유로(31)에 해당하는 덕트(30)의 배면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덕트(30) 내로 양이온과 음이온(이하, 이온)을 다량 발산한다. 따라서,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다. 욕실 내로 방출된 상기 이온은 욕실의 미생물 및 세균 등과 반응하여 DNA파괴에 관여함으로써 괴사시키고, 곰팡이와 반응하여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메인유로(31)에 해당하는 덕트(30)의 배면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와 연통하는 연통홀(37)이 형성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연통홀(37)은 복수의 이오나이저(7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즉, 복수의 이오나이저(70)로부터 방출된 이온입자는 가급적 거치는 구조물이 없어야 생존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풍팬(40)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흡입구(14a)를 통해 메인유로(31) 내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40)에 의해 히터(50)로 이동된 후, 히터(50)에 의해 가열되어서 온풍으로 바뀌고, 이 온풍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 중 하나를 통해 욕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덕트(30) 내에는 유로절환댐퍼(35)가 더 설치된다. 유로절환댐퍼(35)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보다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절환댐퍼(35)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 중 하나를 선택하여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킨다.
유로절환댐퍼(35)는 제1 토출베인(24)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는 경우 제1 서브유로(32)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는 경우 제2 서브유로(33)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킨다. 유로절환댐퍼(35)가 제1 서브유로(32)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게 되면, 덕트(30) 내의 공기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욕실 내로 배출되고,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게 되면, 덕트(30) 내의 공기는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욕실 내로 배출된다.
케이스(12,14)의 하면에는 걸이부(80)가 더 설치된다. 걸이부(80)는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걸이부(80)는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아우터 케이스(1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걸이부(80)는 덕트(30)의 후방인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있다가,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이부(80)에는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수건(1)이 걸린다. 사용자는 세면, 세수 및 샤워 등을 한 후에 수건(1)을 사용하여 자신에게 묻은 물기를 닦은 후 걸이부(80)에 걸어 놓는다. 이와 같이 걸이부(80)에 걸린 젖은 수건(1)은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진다. 걸이부(80)에 걸린 수건(1)이 건조 및 살균될 수 있도록, 제2 공기토출구(12a)는 걸이부(80)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욕실 내를 건조 및 살균하는 기능을 하고,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수건(1)을 건조 및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젖은 수건(1)이나 집기 등에도 미생물과 세균의 서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수건(1) 등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거나, 오염된 수건(1) 등은 오염을 타인에게 전이시키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또한, 수건(1)은 세안이나 기타 욕실 내 활동에 의해 하루, 이틀 반복 사용되기도 하는데, 욕실 자체가 습한 공간이기에 이렇게 수건(1)에 잔여한 습기는 사람의 피부로부터 떨어져 나간 조직들을 영양분으로 서식하는 세균의 성장을 위한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욕실관리기(100)는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을 통해 젖은 수건(1)이나 집기 등을 살균시킬 수 있고, 히터(50)에 의한 온풍을 동반한 경우 99%까지 살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건(1) 내에 미량 존재하는 습기까지 고온저습의 공기의 수증기 분압차를 크게 만들어 말끔히 증발시키는 메카니즘에 의한 부분이다. 살균 막바지에 히터(50)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에너지소모를 충분히 줄일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아우터 케이스(12)의 좌측을 좌측으로 더 길게 확장시키거나, 아우터 케이스(12)의 우측을 우측으로 더 길게 확장시켜서, 그 확장된 부분에 칫솔을 수납할 수 있는 칫솔수납공간을 마련하고, 덕트(30)의 메인유로(31) 중 이오나이저(70)의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유로를 하나 더 분지하여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연결함으로써,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칫솔수납공간에 수납된 칫솔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살균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오나이저(70)와 함께 히터(50)도 구동시켜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이온이 포함된 온풍을 공급하여 상기 칫솔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고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유로(31)에서 유로를 하나 더 분지하는 경우 덕트(30) 내에는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분지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칫솔수납공간에는 상기 칫솔을 걸 수 있는 칫솔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수납공간에는 상기 칫솔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덕트(30) 전방 가운데에 후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공간(34)에는 컨트롤러(90)가 삽입된다.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덕트(30)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덕트(30)에 결합되거나,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된다. 또한, 덕트(30)의 공간(34)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200)가 삽입되어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덕트(30)의 공간(34)에는 제2 토출베인(26)을 작동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삽입되어 덕트(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덕트(30)의 일측에는 제1 기어박스(301)가 설치된다. 덕트(30) 중 제1 기어박스(301)가 설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인 공간(34)에는 제1 기어박스(301)와 결합되는 모터(미도시)가 삽입된다. 제1 기어박스(301) 내에는 제1 구동기어(302),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구동기어(302)는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와 각각 맞물린다. 즉, 제1 종동기어(303)는 제1 구동기어(30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구동기어(302)와 맞물리고, 제2 종동기어(304)는 제1 구동기어(302)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구동기어(302)와 맞물린다.
덕트(30)의 공간(34)에 삽입된 상기 모터의 회전축(305)은 덕트(30)의 일측 및 제1 기어박스(301)를 차례로 관통하여 제1 구동기어(302)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종동기어(303)는 제2 토출베인(26)의 회전축(26a)과 결합되고, 제2 종동기어(304)는 유로절환댐퍼(35)의 회전축(35a)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제1 구동기어(302)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305)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가 회전되기 때문에, 제2 토출베인(26) 및 유로절환댐퍼(35)가 동시에 회전된다.
즉,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일 때,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를 연통시키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 사이는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유로절환댐퍼(35)는 제2 토출베인(26)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어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 사이를 차단하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를 연통시킨다.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의 기어비는 2:1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2 토출베인(26) 및 유로절환댐퍼(35)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걸이부(80)에 걸린 수건(1)과 같은 젖은 집기의 항균건조 모드로 욕실관리기(100)가 운전시에만,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고,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를 연통시킨다. 이때에는 제1 토출베인(24)은 제1 공기토출구(14b)를 닫은 상태이고,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는 유로절환댐퍼(3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걸이부(80)에 걸린 수건(1)과 같은 젖은 집기의 항균건조 모드가 아닌 나머지 모드로 욕실관리기(100)가 운전시에는, 제1 토출베인(24)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고,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를 연통시킨다. 이때에는 제2 토출베인(26)은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이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는 유로절환댐퍼(3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도 8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9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은 동일한 구조의 개폐기구에 의해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는 흡입베인(22)과 흡입베인(22)을 개폐하는 흡입베인 개폐기구만을 도시하고, 제1 토출베인(24)과 제1 토출베인(24)을 개폐하는 제1 토출베인 개폐기구는 괄호안에 도면부호를 넣어 표시하였다.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는 제1 구동모터(200)가 설치된다.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은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에는 제1 캠(202)이 결합된다. 제1 캠(202)은 회전축(201) 중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캠(202)은 전면이 경사진 제1 경사부(202a)로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베인(22)의 후면 하단부에는 제2 캠(20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캠(203)은 후면이 제1 경사부(202a)와 대응되는 제2 경사부(203a)로 형성된다.
제1 경사부(202a) 및 제2 경사부(203a)로 인해, 제1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과 함께 제1 캠(202)이 회전됨에 따라, 제1 캠(202)은 제2 캠(203)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흡인베인(22)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흡입베인(22)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구동모터(200)가 흡입베인(22)의 닫힘위치로 회전되면, 흡입베인(22)은 제1 리턴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또한,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는 제2 구동모터(400)가 설치된다.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은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에는 제3 캠(402)이 결합된다. 제3 캠(402)은 회전축(401) 중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3 캠(402)은 전면이 경사진 제3 경사부(402a)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토출베인(24)의 후면 상단부에는 제4 캠(40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4 캠(403)은 후면이 제3 경사부(402a)와 대응되는 제4 경사부(403a)로 형성된다.
제3 경사부(402a) 및 제4 경사부(403a)로 인해, 제2 구동모터(400)의 구동력에 의해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과 함께 제3 캠(402)이 회전됨에 따라, 제3 캠(402)은 제4 캠(403)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베인(24)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2 구동모터(400)가 제1 토출베인(24)의 닫힘위치로 회전되면, 제1 토출베인(24)은 제2 리턴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베인(22)에 형성된 제2 캠(203)의 후면이 제2 경사면(203a)으로 형성되고,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에 결합된 제1 캠(202)의 전면이 제1 경사면(20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입베인(22)을 수동으로 열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베인(24)에 형성된 제4 캠(403)의 후면이 제4 경사면(403a)으로 형성되고,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에 결합된 제3 캠(402)의 전면이 제3 경사면(40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열 수 있기 때문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연 후, 필터(60)의 교체가 가능하며, 덕트(30) 내부 및 송풍팬(40) 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송풍팬 구동중)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를 열게 되면, 홀 센서(미도시)가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흡입베인 개폐기구 및 상기 제1 토출베인 개폐기구 각각에 모터(200,400)가 포함되기 때문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개폐하기 위해 2개의 모터(200,400)를 필요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하나의 모터를 이용한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개폐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구동모터(500)와, 구동모터(500)의 회전축(501)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02)와,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고 구동기어(502)와 맞물리는 인터널기어(503)와, 기어박스(504)와, 기어박스(50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505)와, 기어박스(50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기어(505)와 맞물리는 제2 기어(506)와, 흡입베인(22)의 회전축(22a)에 결합되고 제1 기어(505)와 맞물리는 제3 기어(507)와, 제1 토출베인(24)의 회전축(24a)에 결합되고 제2 기어(506)와 맞물리는 제4 기어(508)를 포함한다.
구동모터(500)는 덕트(30)의 공간(34)으로 삽입되어 회전축(501)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수평하게 배치된다. 구동모터(500)는 공간(34) 내에서 덕트(3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이너 케이스(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500)는 이너 케이스(14) 및 덕트(30)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12,14) 내에서 덕트(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널기어(503)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고, 길이를 따른 내측 일부구간에 구동기어(502)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기어(503)는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지만, 구동모터(500)의 설치위치가 상측으로 변경된다면, 흡입베인(22)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인터널기어(503)는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기어박스(504)는 이너 케이스(14)의 측면에 결합되어, 케이스(12,14)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닫힌 상태에서, 구동모터(50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모터(500)의 회전축(501)과 함께 구동기어(50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인터널기어(503)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베인(24)이 회전되면서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제1 토출베인(24)의 회전축(24a)에 결합된 제4 기어(508)가 회전되고, 제4 기어(508)와 맞물린 제2 기어(506)가 회전되며, 제2 기어(506)와 맞물린 제1 기어(505)가 회전됨으로써, 제1 기어(505)와 맞물려 있고 흡입베인(22)의 회전축(22a)에 결합된 제3 기어(507)가 회전되기 때문에, 흡입베인(22)은 제1 토출베인(24)과 함께 동시에 개방된다.
이와 같이,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500)의 회전축(50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인터널기어(503)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베인(24)이 회전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4 기어(508), 제2 기어(506), 제1 기어(505) 및 제3 기어(507)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은 동시에 닫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덕트(30)에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되었으나,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반드시 덕트(30)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는 유로절환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유로절환댐퍼(35)에 설치된다. 도 13과 같이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닫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에서는, 히터(50)를 통과한 메인유로(31) 내의 공기는 제1 서브유로(32)의 입구에서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발산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면서 욕실의 바닥을 건조 및 살균시킨다. 또한, 도 14와 같이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개방하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히터(50)를 통과하는 메인유로(31) 내의 공기는 제2 서브유로(33)의 입구에서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발산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면서 걸이부(80)에 걸린 젖은 수건과 같은 집기를 건조 및 살균시킨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기구(15)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설치되었으나, 조명기구(15)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조명기구(15)의 위치에 따라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조명기구(15)의 설치위치의 변경실시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에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 중 공기흡입구(14a)의 상측에 해당하는 이너 케이스(14)에 설치된다.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하는 빛을 필터(60)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3)가 설치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흡입베인(22)의 배면에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빛을 생성하여 필터(60)로 직접 조사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덕트(30) 내에 설치된다. 덕트(30)에는 메인유로(31) 내로 돌출되는 설치부(39)가 형성되고, 조명기구(15)는 설치부(39)에 결합된다. 조명기구(15)는 빛을 생성하여 필터(60)로 직접 조사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조명기구(15)가 도 3, 도 15, 도 16과 같이 설치되는 경우 흡입베인(22)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필터(60)로 빛을 조사할 수 있지만, 도 17과 같이 조명기구(15)가 덕트(30) 내에 설치되는 경우, 흡입베인(22)이 닫힌 상태에서도 필터(60)로 빛을 조사하여 필터(60)의 광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욕실 외부에서 볼 때 욕실 간접조명의 기능으로 심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필터(60)의 광촉매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하는 조명기구(15)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조명기구(15)를 욕실 간접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조명기구(15)를 욕실 간접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인체감지센서(300)와, 조도센서(600)를 더 포함한다.
인체감지센서(300)는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0)는 인체감지센서(300)의 감지에 따라 조명기구(15)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인체감지센서(300)가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컨트롤러(90)로 전송하여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컨트롤러(90)로 입력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조명기구(15)를 점등시키고,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컨트롤러(90)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90)는 조명기구(15)를 소등시킬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300)는 욕실관리기(1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욕실의 출입구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도센서(600)는 욕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욕실 외부는 욕실의 출입구가 주택 내에 위치하는 경우 욕실과 이웃하는 실내공간인 거실이 되고, 욕실의 출입구가 주택 바깥에 위치하는 경우 주택 바깥이 된다. 즉, 조도센서(600)는 상기 거실 내에 설치되는 경우 거실의 조도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주택 바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주택 바깥의 조도를 감지하게 된다. 조도센서(600)는 욕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0)는 조도센서(600)가 감지한 상기 욕실 외부의 조도감지값에 따라 조명기구(15)의 점등광량을 조절한다.
컨트롤러(90)에는 조도값에 따른 조명기구(15)의 점등광량이 복수로 설정된다. 컨트롤러(90)는 조도센서(600)가 감지한 조도감지값이 입력되면, 복수로 설정된 점등광량 중 조도감지값에 해당하는 점등광량을 선택하여, 조명기구(15)가 선택된 점등광량으로 빛을 생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조명기구(15)는 욕실 외부와 대등한 광량으로 점등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 외부에서 욕실로 입실하는 순간, 욕실 및 욕실 외부의 조도차로 인한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사용자가 욕실로 입실하는 순간 인체감지센서(300)의 인체감지에 따라 조명기구(15)가 자동으로 점등되고, 사용자가 욕실을 퇴실하면 조명기구(15)가 자동으로 소등되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15)는 점등시에 욕실 외부와 대응한 조도로 점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욕실 외부에서 욕실을 입실하는 순간 사용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온도센서(700)와, 습도센서(800)와, 가스센서(900)를 더 포함한다. 온도센서(700), 습도센서(800) 및 가스센서(900)는 케이스(12,14)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700)는 욕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습도센서(800)는 욕실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하며, 가스센서(900)는 욕실 내의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90)는 욕실내의 이벤트(용변, 샤워 및 목욕, 청소 등) 발생시, 온도센서(700), 습도센서(800), 가스센서(900) 및 인체감지센서(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감지값을 이용하여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상이고,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이 고온다습한 상태일 때 욕실을 건조 및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가스센서(900)로부터 입력되는 가스감지값이 설정가스값 이상이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을 탈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욕실이 사용자의 배변 후의 상태일 때 욕실을 탈취시킴으로써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욕실전용세제를 이용한 청소 후의 상태일 때 욕실을 탈취시킴으로써 상기 욕실전용세제의 냄새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욕실전용세제로부터 발생되는 강력한 환원성 가스의 냄새는 타 냄새 성분과 구별되기 때문에, 컨트롤러(90)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환원성 가스의 냄새가 검출되는 주기를 파악하여, 욕실 청소주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700) 및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연동하여 적절 욕실 청소주기를 알려주거나 잔여한 욕실 내 환원성 가스 냄새가 제거될 때까지 환기를 유도하거나, 그에 대한 환경정보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욕실 환원성 가스 냄새의 잔여 상황을 알려줄 수 있으며, 월별 주별 욕실 청소 현황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이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상기 설정온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관리기(100)를 운전시키고, 상기 설정온도값에 도달하면 욕실관리기(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겨울철과 같이 욕실의 온도가 낮은 상태일 때 사용자가 욕실로 입실하기 전에 욕실의 온도를 높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욕실로 입실하는 순간 따뜻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이고, 인체감지센서(300)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가 욕실에 입실하는 상태에서만 욕실관리기(100)가 운전되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700)가 감지한 욕실 내의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이더라도,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버튼(14c)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샤워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만, 욕실관리기(100)를 운전시켜서, 상기 설정온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온도감지값 및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습도감지값의 히스토릭 데이터(historic data)를 이용하여 욕실 상태를 관리해줄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 및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값으로부터, 욕실 내의 온도 및 습도의 추의를 시간에 따라 수집하고, 고습도가 유지되는 구간의 지속시간이 곰팡이나 세균의 급격한 생성을 유발할 수 있는 값을 넘는 경우, 욕실 청소나 관리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거실에 온도센서가 더 설치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거실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데이터와, 온도센서(700)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욕실의 온도를 거실의 온도와 대등한 수준이 되도록,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탈의 후 욕실 입실 시 갑작스런 온도변화로 인한 쇼크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거실에 습도센서가 더 설치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거실에 설치된 습도센서(800)의 데이터와, 습도센서(800)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욕실의 습도가 거실의 습도와 대등한 수준이 되도록, 욕실 문의 개방 시간을 알려주거나 욕실 환경에 대해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욕실관리기(100)는 습한 욕실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습 상황에 노출되게 되며 이에 따라 자체의 위생구현도 중요하게 된다.
컨트롤러(90)는 흡입베인(22), 제1 토출베인 및 제2 토출베인(26)을 닫거나 최소한 연 상태로, 히터(50)만을 설정된 시간동안 간헐적 동작시키거나, 송풍팬(40)만 설정된 시간동안 간헐적 동작시켜서, 욕실관리기(100)의 내부 건조를 우선 진행한다.
욕실관리기(100)의 내부 건조가 진행된 이후, 컨트롤러(90)는 이오나이저(70)만을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시키거나, 이오나이저(70) 및 히터(50)를 동시에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시켜, 욕실관리기(100)의 내부 살균을 진행한다.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내부건조 및 내부살균을 진행하는 도중에,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을 통해 욕실관리기(100) 내 온도변화를 알 수 있으며, 욕실관리기(100) 내의 온도변화를 통해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지시점을 판단하여 욕실관리기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욕실관리기 내부의 살균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덕트(30) 내의 유로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실링구조(방수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욕실관리기(100)의 청소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이너 케이스(14)로부터 90도로 젖힌 후, 욕실관리기(100)의 내부에 물을 뿌리며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12,14)에 적어도 수건(1)을 걸 수 있는 걸이부(80)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욕실에 설치되어 있던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을 제거한 후, 상기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이 설치되었던 부분에, 욕실관리기(10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욕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수건걸이 칼블럭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체결공에 전용홀더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지지브래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지지브래킷이 도 22에 도시된 전용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배면이 지지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욕실 벽면(2)에는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1000)이 설치되어 있다. 욕실 벽면(2)에서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1000)을 제거하면 욕실 벽면(2)에는 체결공(3,4)이 남게 된다. 체결공(3,4)은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체결공(3) 및 제2 체결공(4)을 포함한다. 제1 체결공(3) 및 제2 체결공(4)은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신축건물과 같이 욕실 벽면(2)에 수건걸이 칼블럭(100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욕실 벽면(2)에 체결공(3,4)을 타공하여 형성시킨다.
도 22를 참조하면, 이후 체결공(3,4)에 전용홀더(2000,3000)를 체결한다. 전용홀더(2000,3000)에는 각각 스크류(5,6)가 관통되어 체결공(3,4)에 체결될 수 있다. 전용홀더(2000,3000)는 제1 체결공(3)에 체결되는 제1 전용홀더(2000)와, 제2 체결공(4)에 체결되는 제2 전용홀더(3000)를 포함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이후 전용홀더(2000,3000)에 지지브래킷(4000)을 결합한다. 지지브래킷(4000)은 메인브래킷(4100)과,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되는 제1 서브브래킷(4200)과, 메인브래킷(4100)이 타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되는 제2 서브브래킷(4300)을 포함한다. 메인브래킷(4100)은 사각단면의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서브브래킷(4200)은 일단이 사각 단면을 갖는 긴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에서 중공 내로 삽입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고, 제2 서브브래킷(4300)은 일단이 사각 단면을 갖는 긴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타단에서 중공 내로 삽입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타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은 메인브래킷(410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이 메인브래킷(410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을 당겨 메인브래킷(4100)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고,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을 밀어 메인브래킷(4100)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만약, 메인브래킷(4100),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의 단면이 원형단면을 갖는다면,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 및 타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서브브래킷(4200)의 일단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인브래킷(4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인브래킷(41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이 메인브래킷(4100)의 내부에서 인출됨으로써 지지브래킷(40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고,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이 메인브래킷(410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브래킷(40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는 방식으로, 지지브래킷(4000)은 전체적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브래킷(40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1 전용홀더(2000) 및 제2 전용홀더(3000)의 좌우 간격에 맞게 지지브래킷(40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브래킷(400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제1 서브브래킷(4200)을 제1 전용홀더(2000)에 결합하고, 제2 서브브래킷(4300)을 제2 전용홀더(3000)에 결합한다.
제1 서브브래킷(4200) 중 제1 전용홀더(2000)에 결합되는 부분의 배면과, 제2 서브브래킷(4300) 중 제2 전용홀더(3000)에 결합되는 부분의 배면에는, 전용홀더(2000,3000) 및 벽면(2) 사이로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어,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은 전용홀더(2000,3000)의 상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전용홀더(2000,3000) 및 벽면(2) 사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전용홀더(2000,30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지지브래킷(4000)을 전용홀더(2000,3000)에 결합한 후, 욕실관리기(1000)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150)가 지지브래킷(40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2)에 설치할 수 있다. 욕실관리기(100)의 배면에는 지지부(150)의 하측에 홀(151)이 형성된다. 지지브래킷(4)은 욕실관리기(100)의 배면에 형성된 홀(151)을 통해 욕실관리기(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부(150)를 지지함으로써,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2)에 설치한 후,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을 전원과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 전원케이블을 전원과 연결하는 방법은 욕실 벽면(2)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는 방법과, 욕실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에 설치하게 되면 전원케이블을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는 것이 불가할뿐만 아니라, 욕실 사용시 물튀김에 의해 안전성 문제가 있으므로, 욕실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을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에 결합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가이드 캡에 캡 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욕실관리기(100)의 상측면에는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이 결합된다. 케이블 가이드(5000)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 내부를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이 관통한다.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은 케이블 가이드(5000)를 관통한 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통해 빠져나온다.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이 케이블 가이드(5000)의 내부를 관통한 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을 욕실관리기(100)에 결합한다. 욕실관리기(100)의 상측면에는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5000)가 욕실관리기(100)의 상측면에 형성된 홀로 삽입된 후, 그 홀과 케이블 가이드(5000) 사이의 틈을 실리콘과 같은 실링부재로 실링함으로써,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은 욕실관리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에 가이드 캡(6000)을 결합한다. 가이드 캡(6000)은 상부를 형성하는 관통부(6100)와, 관통부(610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하부를 형성하는 걸림부(6200)를 포함한다. 관통부(6100)는 걸림부(6200)의 상단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걸림부(6200)는 최소한 상단이 관통부(6100)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후, 작업자는 천장에 관통부(6100)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형성시켜 놓은 후, 천장의 하측에서 관통부(6100)를 천장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로 삽입한 후, 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부(6100)에 캡 홀더(7000)를 결합함으로써,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할 수 있다. 캡 홀더(7000)를 관통부(6100)에 결합할 때에는,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를 제거한 후 남게 되는 환풍구를 통해 천장의 상측으로 손을 밀어 넣어 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부(6100)에 캡 홀더(70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 홀더(7000)가 가이드 캡(6000)에 결합되면 걸림부(6200)는 천장의 하측에 걸림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캡 홀더(7000)는 천장의 상측에 걸림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캡 홀더(7000)가 가이드 캡(6000)에 결합된 상태이면, 캡 홀더(7000) 및 걸림부(6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7500)에 천장이 위치한다.
관통부(6100)에는 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에 걸림홈(615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캡 홀더(7000)는 일측에 개구된 개구부(7100)가 형성되고, 개구부(7100)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상기 양측의 걸림홈(6150)에 삽입됨으로써, 캡 홀더(7000)는 가이드 캡(6000)의 관통부(6100)에 결합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한 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으로 빠져나온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을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으로 욕실의 바닥면을 조기에 건조시킬 수 있고,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으로 욕실에 걸린 젖은 수건(1)과 같은 집기를 조기에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욕실에 곰팡이 및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욕실의 악취를 필터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을 욕실내로 토출하기 때문에 살균효과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 아우터 케이스 12a: 제2 공기토출구
14: 이너 케이스 14a: 공기흡입구
14b: 제1 공기토출구 15: 조명기구
18: 토출그릴 22: 흡입베인
22a: 흡입베인의 회전축 23: 리플렉터
24: 제1 토출베인 24a: 제1 토출베인의 회전축
26: 제2 토출베인 26a: 제2 토출베인의 회전축
30: 덕트 31: 메인유로
32: 제1 서브유로 33: 제2 서브유로
35: 유로절환댐퍼 35a: 유로절환댐퍼의 회전축
40: 송풍팬 50: 히터
60: 필터 70: 이오나이저
80: 걸이부 90: 컨트롤러
100: 욕실관리기 150: 지지부
151: 홀 200: 제1 구동모터
201: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 202: 제1 캠
202a: 제1 경사부 203: 제2 캠
203a: 제2 경사부 300: 인체감지센서
301: 제1 기어박스 302: 제1 구동기어
303: 제1 종동기어 304: 제2 종동기어
400: 제2 구동모터 401: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
402: 제3 캠 402a: 제3 경사부
403: 제4 캠 403a: 제4 경사부
500: 구동모터 501: 구동모터의 회전축
502: 구동기어 503: 인터널기어
504: 기어박스 505: 제1 기어
506: 제2 기어 507: 제3 기어
508: 제4 기어 600: 조도센서
700: 온도센서 800: 습도센서
900: 가스센서 2000: 제1 전용홀더
3000: 제2 전용홀더 4000: 지지브래킷
4100: 메인브래킷 4200: 제1 서브브래킷
4300: 제2 서브브래킷 5000: 케이블 가이드
6000: 가이드 캡 6100: 관통부
6150: 걸림홈 6200: 걸림부
7000: 캡 홀더 7100: 개구부

Claims (20)

  1. 전면의 상부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의 하부에 제1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베인;
    상기 흡입베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 토출베인;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 토출베인;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흡입베인 및 상기 제1 토출베인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베인은 하단이 상기 케이스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고,
    상기 제1 토출베인은 상단이 상기 흡입베인의 하단과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욕실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이 개구되고, 하면에 상기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기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로 삽입되고, 상부에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제1 공기토출가 형성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베인 및 상기 제1 토출베인은 상기 이너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토출베인은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욕실관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히터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제1 서브유로;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제2 서브유로;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서브유로 및 상기 제2 서브유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메인유로와 연통시키는 유로절환댐퍼;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설치되는 제1 기어박스;
    상기 제1 기어박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기어;
    상기 제1 기어박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2 토출베인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종동기어; 및
    상기 제1 기어박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유로절환댐퍼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2 종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로절환댐퍼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로 이온을 발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로 이온을 발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흡입베인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기구가 생성한 빛을 상기 필터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1 공기토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욕실관리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공기흡입구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욕실관리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베인의 배면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하여 상기 필터로 조사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하여 상기 필터로 조사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그릴;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토출구와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수건이 걸리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전면이 제1 경사부로 형성된 제1 캠;
    상기 흡입베인에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1 경사부와 대응되는 제2 경사부로 형성된 제2 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전면이 제3 경사부로 형성된 제3 캠; 및
    상기 제1 토출베인에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3 경사부와 대응되는 제4 경사부로 형성된 제4 캠;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덕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흡입베인 및 상기 제1 토출베인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인터널기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기어 박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상기 흡입베인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 및
    상기 제1 토출베인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4 기어;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KR1020160085336A 2016-07-06 2016-07-06 욕실관리기 KR10247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36A KR102475438B1 (ko) 2016-07-06 2016-07-06 욕실관리기
US15/642,494 US10576404B2 (en) 2016-07-06 2017-07-06 Air blower apparatus
CN201710546633.6A CN107588652B (zh) 2016-07-06 2017-07-06 浴室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36A KR102475438B1 (ko) 2016-07-06 2016-07-06 욕실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65A KR20180005365A (ko) 2018-01-16
KR102475438B1 true KR102475438B1 (ko) 2022-12-06

Family

ID=6089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336A KR102475438B1 (ko) 2016-07-06 2016-07-06 욕실관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76404B2 (ko)
KR (1) KR102475438B1 (ko)
CN (1) CN107588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38B1 (ko) * 2016-07-06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EP4039126A1 (en) * 2018-09-19 2022-08-10 LG Electronics Inc. Dryer
CN109876546A (zh) * 2019-02-14 2019-06-14 安徽宏凤空调滤网有限公司 一种空调用清香型抗菌过滤网及其制备方法
CN110169729A (zh) * 2019-05-08 2019-08-27 郑州一诺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多功能置物架
KR20220028828A (ko) * 2020-08-31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KR102400760B1 (ko) * 2021-01-22 2022-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737A (ja) 2001-11-29 2003-06-13 Maxshinwa Co Ltd 浴室用換気装置
JP2004144306A (ja) 2002-08-30 2004-05-20 Toto Ltd 洗面所空調機
CN2681663Y (zh) * 2004-02-13 2005-03-02 刘亚强 具有取暖烘干功能的毛巾架
KR200431926Y1 (ko) 2006-09-04 2006-11-27 연규문 욕실용 팬코일유니트
CN103277846A (zh) * 2013-06-09 2013-09-04 陈贻波 一种新型空气调节用的光催化空气净化器
CN204880411U (zh) * 2015-07-07 2015-12-16 关健明 一种具有换气功能的暖风机
JP2016057006A (ja) 2014-09-10 2016-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浴室換気乾燥機
US20160184753A1 (en) 2014-12-30 2016-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641A (ja) * 1990-03-20 1991-12-03 Hitachi Ltd 衣類乾燥機能付空気調和機
ATE133875T1 (de) * 1990-11-27 1996-02-15 Toto Ltd Vorrichtung zur luftbehandlung mit scheiben in mehrlagenstruktur
TW317603B (ko) * 1994-11-24 1997-10-11 Kankyo Kijyutsu Kenkyusho Kk
CN2277501Y (zh) * 1996-10-15 1998-04-01 查新华 多用暖风机
CN1208840A (zh) * 1997-06-18 1999-02-24 船井电机株式会社 具有空气净化功能的空调装置及用于该装置中的电集尘器
SE512436C2 (sv) * 1997-10-06 2000-03-20 Volvo Wheel Loaders Ab Klimatanläggning för fordon
US5942017A (en) * 1998-03-23 1999-08-24 Van Winkle, Sr.; Frank A. Electronic equipment air conditioner and purifier
US20060177356A1 (en) * 2005-02-08 2006-08-10 Miller Gregory R Positive pressure air purification and conditioning system
US7171761B1 (en) * 2005-08-02 2007-02-06 Barney Dean Hunts Large plush towel warmer and dehumidifier
TWM324760U (en) * 2007-02-15 2008-01-01 Hocheng Corp Indoor air processing device
JP2009039145A (ja) * 2007-08-06 2009-02-26 Panasonic Corp 浴室換気乾燥システム
KR102199380B1 (ko) * 2014-01-17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172180B2 (ja) * 2015-02-25 2017-08-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クリーンユニット及びクリーン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712177B2 (ja) * 2016-04-28 2020-06-17 株式会社Lixil 衛生装置
KR102475438B1 (ko) * 2016-07-06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477412B1 (ko) * 2016-07-22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544917B1 (ko) * 2016-09-02 2023-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544918B1 (ko) * 2016-09-05 2023-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737A (ja) 2001-11-29 2003-06-13 Maxshinwa Co Ltd 浴室用換気装置
JP2004144306A (ja) 2002-08-30 2004-05-20 Toto Ltd 洗面所空調機
CN2681663Y (zh) * 2004-02-13 2005-03-02 刘亚强 具有取暖烘干功能的毛巾架
KR200431926Y1 (ko) 2006-09-04 2006-11-27 연규문 욕실용 팬코일유니트
CN103277846A (zh) * 2013-06-09 2013-09-04 陈贻波 一种新型空气调节用的光催化空气净化器
JP2016057006A (ja) 2014-09-10 2016-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浴室換気乾燥機
US20160184753A1 (en) 2014-12-30 2016-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CN204880411U (zh) * 2015-07-07 2015-12-16 关健明 一种具有换气功能的暖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88652B (zh) 2021-03-26
KR20180005365A (ko) 2018-01-16
US20180008924A1 (en) 2018-01-11
US10576404B2 (en) 2020-03-03
CN107588652A (zh)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438B1 (ko) 욕실관리기
KR102544917B1 (ko) 욕실관리기
KR102488773B1 (ko) 욕실관리기
KR102542121B1 (ko) 욕실관리기
CN108227512B (zh) 浴室管理系统
KR102544918B1 (ko) 욕실관리기
KR102511840B1 (ko) 욕실관리기
JP5936482B2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便座装置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JP6099219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組み込んだ便座装置
KR102521846B1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KR20160073207A (ko) 수건 건조기
KR102521847B1 (ko) 욕실관리기
KR102484776B1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20180005367A (ko) 욕실관리기의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200334441Y1 (ko) 다목적 블로워
KR200379898Y1 (ko) 클린룸
JP2007138399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JP2008095414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US20220186958A1 (en) 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KR20180067877A (ko) 욕실관리시스템
KR20170038953A (ko) 가구 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
JP2007138400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