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98A -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 Google Patents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98A
KR20200138998A KR1020190065485A KR20190065485A KR20200138998A KR 20200138998 A KR20200138998 A KR 20200138998A KR 1020190065485 A KR1020190065485 A KR 1020190065485A KR 20190065485 A KR20190065485 A KR 20190065485A KR 20200138998 A KR20200138998 A KR 20200138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terilization
mounting chamber
storage compartment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진
우지수
Original Assignee
황유진
우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유진, 우지수 filed Critical 황유진
Priority to KR102019006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8998A/ko
Publication of KR2020013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9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4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shavers or raz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 시 내 몸에 닿지만 세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샤워 볼/면도기/칫솔 등을 살균과 건조하여 사용자가 더 이상 찝찝함을 느끼지 않게 하는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칫솔/면도기가 살균 및 건조되는 수납 공간과 더불어 샤워 볼 등을 살균 및 건조할 수납 공간을 더 둘 뿐만 아니라, 살균에 대한 다양한 모드와 디스플레이를 부여한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bathroom sterilizer and dryer}
본 발명은 샤워 시 내 몸에 닿지만 세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샤워 볼/면도기/칫솔 등을 살균과 건조하여 사용자가 더 이상 찝찝함을 느끼지 않게 하는 욕실용 살균 및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칫솔/면도기가 살균 및 건조되는 수납공간과 더불어 샤워 볼 등을 살균 및 건조할 수납공간을 더 둘 뿐만 아니라, 살균에 대한 다양한 모드와 디스플레이를 부여한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깨끗이 청소하는 칫솔들은 세면대의 어는 한쪽에 단순히 보관하여 두고 필요에 따라서 양치질을 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칫솔들은 사용 후나 사용 중에 많은 양의 대장균들이 항상 득실거리는 오염 사각지대라는 사실이 많은 위생학자와 치과의사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 들어와서 칫솔을 효과적으로 보관하면서 살균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칫솔 살균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칫솔 살균기 몸체의 내부에 자외선이나 적외선, 오존 등의 살균 등을 설치한다거나 칫솔 수납걸이를 몸체의 내부에만 고정시키거나, 칫솔 수납걸이를 뚜껑의 안쪽에만 고정시키는 등의 극히 일부분의 구조개량에 치중하고 있다.
아울러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칫솔에는 다량의 세균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칫솔의 살균 문제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치아를 깨끗이 청소하는 칫솔들은 세면대의 어는 한쪽에 단순히 보관하여 두고서 필요에 따라서 양치질을 하는 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칫솔에는 기회성 감염균인 대장균이나 황색포도상구균, 기타 연쇄구균과 같은 세균이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으며,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세면장이나 화장실은 기회성 감염균의 서식처로서, 하루에도 여러 번씩 자주 사용하는 칫솔들의 청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칫솔로부터 치주염 등 세균의 오염을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이 흔히 걸리기 쉬운 폐렴, 간염, 기관지염, 인후염, 감기 등의 질병을 유발시키는 기회성 세균들은 칫솔의 청결에 의하여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태양보다 64배 이상의 강력한 살균력을 갖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자외선에 의하여 신속히 살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칫솔 건조 및 살균기가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8448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칫솔 건조 및 살균기에는 다수의 칫솔이나 면도기가 수납된 채 방열판과 살균램프에 의해 건조 및 살균이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 건조 및 살균기에는 욕실에서 사용하는 샤워 볼이나 세안브러쉬 등을 수납하여 살균 및 건조할 별도의 공간이 없다.
또한, 살균에 대한 다양한 모드가 없어 욕실용품에 따른 살균 동작을 제어하기 어렵다.
또한, 살균 및 건조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없어서,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844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칫솔/면도기가 살균 및 건조되는 수납 공간과 더불어 샤워 볼 등을 살균 및 건조할 수납 공간을 더 둘 뿐만 아니라, 살균에 대한 다양한 모드와 디스플레이를 부여한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는, 샤워 볼 등이 수납되는 좌측 수납실과, 칫솔과 면도기가 수납되는 우측 수납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좌측 수납실과 상기 우측 수납실을 개폐하는 좌우측 도어; 상기 본체에 배치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수납실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좌우측 살균램프와 좌우측 건조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 수납실의 상부에는 상기 좌측 건조히터가 탑재되는 밀폐된 좌측 상부 탑재실이 형성되되, 상기 좌측 상부 탑재실의 전면에는 상기 좌우측 살균램프와 좌우측 건조히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상부 탑재실의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상부 탑재실의 하면에는 상기 좌측 건조히터의 열풍이 상기 좌측 수납실로 토출시키는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수납실의 후부에는 상기 우측 건조히터가 탑재되는 밀폐된 우측 후부 탑재실이 형성되되, 상기 우측 후부 탑재실의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후부 탑재실의 전면에는 상기 우측 건조히터의 열풍이 상기 우측 수납실로 토출시키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샤워 시 내 몸에 닿지만 세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욕실용품(샤워 볼, 세안브러쉬, 칫솔, 면도기 등)을 살균과 건조하여 사용자가 더 이상 찝찝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
특히 샤워 볼이나 세안브러쉬의 살균과 건조 공간을 별도로 두어 살균 대상 범위를 넓힌다.
또한, 살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살균과 건조에 대한 다양한 모드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욕실용품에 따른 살균이나 건조를 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를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욕실용품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 거치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6-6 및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화면.
도 9는 도 8의 모드 설정에 따른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10은 도 8의 살균 정보 표시를 나타내는 화면.
도 11은 도 8의 3분 타이머의 작동 예를 나타낸 화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를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욕실용품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주요 거치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의 6-6 및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9는 도 8의 모드 설정에 따른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이고, 도 10은 도 8의 살균 정보 표시를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11은 도 8의 3분 타이머의 작동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1)는 좌측 수납실(20)과 우측 수납실(30)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좌측 수납실(20)과 우측 수납실(30)을 개폐하는 좌우측 도어(40)(50)와, 좌우측 수납실(20)(30)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좌우측 살균램프(60)(70)와 좌우측 건조히터(80)(9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하좌우판(11)(12)(13)(14)과 후판(15), 상하판(11)(12)과 후판(15)에 연결되는 수직 구획판(16)을 포함한다.
수직 구획판(16)은 좌우측 수납실(20)(30)을 구획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수납실(20)의 상부에는 좌측 건조히터(80)가 탑재되는 좌측 상부 탑재실(10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 상부 탑재실(100)은 좌측 수납실(20)과 상하로 구획하는 좌측 상하 구획판(110)과 전판(120)이 더 설치되는 밀폐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건조히터(80)는 건조히터와 팬으로 이루어져, 팬이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해서 건조히터로 보내면 열풍이 좌측 수납실(20)로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좌측 도어(40)는 좌측 수납실(20)의 전면만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좌측 상하 구획판(110)의 상면에는 좌측수납실용 열풍 건조히터(80)가 탑재되게 된다.
좌측수납실용 열풍 건조히터(80)는 외부로 공기를 흡입해서 통과시켜 가열된 열풍을 좌측 수납실(20)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 순환을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판(15)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111)이 형성되고, 좌측 상하 구획판(110)에는 열풍 토출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수납실(20)에는 도 3과 같이 샤워 볼(3)이나 세안브러쉬(3) 등이 수납될 망체(21)가 후판(15)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수납실(20)을 살균하는 좌측 수납실용 살균램프(6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수납실용 살균램프(60)는 UV LED로서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좌측 수납실용 살균램프(60)도 후판(15)에 설치하여도 되지만, 도 5와 같이 후판(15)과 간격이 있게 좌측 상하 구획판(110)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판(115)에 설치되는 것이 외관 상 좋다.
또한, 좌측 수납실용 살균램프(60)는 망체(21)의 상하 길이를 기준으로 볼 때 중간쯤 배치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은 또한 케이블이 이동할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수직지지판(115)이 있는 경우에는 망체(21)도 지지판(115)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좌측 수납실용 살균램프(60)는 망체(21)에 담긴 샤워 볼(3)이나 세안브러쉬(3) 등을 살균할 뿐만 아니라, 좌측 수납실용 건조히터(80)의 열풍으로 건조까지 동시에 행해져 사용자의 찝찝함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수납실(30)의 후부에는 우측 건조히터(90)가 탑재되는 우측 후부 탑재실(20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 후부 탑재실(200)은 후판(15)과 우측 수납실(30)을 전후로 구획하는 우측 전후 구획판(210)이 더 설치되는 밀폐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측 도어(50)는 우측 수납실(30)의 전면만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우측 전후 구획판(210)의 후면에는 우측 수납실용 열풍 건조히터(90)가 탑재되게 된다.
우측수납실용 열풍 건조히터(90)는 좌측수납실용 열풍 건조히터(80)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해서 가열된 열풍을 좌측 수납실(20)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 순환을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판(15)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211)이 형성되고, 우측 전후 구획판(210)에는 열풍 토출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수납실(30)에는 도 3과 같이 칫솔(5)이나 면도기(6) 등이 거치되는 칫솔용 거치대(23)와 면도기용 거치대(25)가 우측 전후 구획판(2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열풍 토출공(213)은 면도기용 거치대(25) 쪽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대(23)(25) 측에는 칫솔(5)과 면도기(6)를 살균하는 우측 수납실용 살균램프(7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우측 수납실용 살균램프(70)는 칫솔용 거치대(23) 근처에 배치 설치되는 우측 수납실용 칫솔 살균램프(70a)와, 면도기용 거치대(23) 근처에 배치 설치되는 우측 수납실용 면도기 살균램프(70b)를 포함한다.
우측 수납실용 살균램프(70)는 UV LED로서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우측 수납실용 살균램프(70)도 후판(15)에 설치하여도 되지만, 도 6과 같이 후판(15)과 간격이 있게 우측 전후 구획판(210)에 설치되는 것이 외관 상 좋다.
상기 간격 또한 전원 등을 위한 케이블이 이동 설치될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측 수납실용 살균램프(70)는 칫솔(5)과 면도기(6) 등을 살균할 뿐만 아니라, 우측 수납실용 건조히터(90)의 열풍으로 건조까지 동시에 행해져 사용자의 찝찝함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우측 건조히터(90)도 건조히터와 팬으로 이루어져, 팬이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해서 건조히터로 보내면 열풍이 우측 수납실(30)로 토출되게 된다.
좌측 상부 탑재실(100)의 전판(120)에는 좌우측 수납실용 살균램프(60)(70)와 좌우측 수납실용 열풍 건조히터(80)(90)의 구동 제어하는 디스플레이(300)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00)는 미도시된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00)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모드 설정, 작동된 살균시간, 3분 타이머 등과 같은 터치패널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00)에는 터치패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이 있다.
모드 설정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3가지 모드로 예시를 들고 있다.
절약 살균인 경우에는 동작시간을 ON/OFF/ON/OFF 하면서, ON인 경우 30분, OFF인 경우 1시간 지속시킨다.
연속 살균인 경우에는 동작시간은 ON(2시간)으로만 유지시킨다.
강력 살균은 115분 동안 ON 시킨다.
물론, 좌측 수납실(20)과 우측 수납실(30)을 동시 또는 각각으로도 제어 가능하다.
도 10은 디스플레이(300)의 표시화면으로서, 도 10의 (a)는 내부 온도와 습도 상시 표시, (b)는 살균 완료 시 간단한 심볼의 색 변화로 확인 가능 표시, (c)는 현재까지의 살균 작동 시간 확인 가능 표시를 나타낸다.
도 11은 디스플레이(300)의 3분 타이머가 터치 됐을 때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샤워 볼 살균 공간, 살균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다양한 모드를 추가하여 욕실용 프리미엄 건조 살균기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1 :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3 : 샤워 볼
4 : 세안브러쉬 5 : 칫솔
6 : 면도기 10 : 본체
15 : 후판 16 : 수직 구획판
20,30 : 좌우측 수납실 21 : 망체
23 : 칫솔용 거치대 25 : 면도기용 거치대
40,50 : 좌우측 도어 60,70 : 좌우측 살균램프
80,90 : 좌우측 건조히터 100 : 좌측 상부 탑재실
110 : 좌측 상하 구획판 111,211 : 흡입공
113,213 : 토출공 115 : 수직지지판
120 : 전판 200 : 우측 후부 탑재실
210 : 우측 전후 구획판 300 : 디스플레이

Claims (1)

  1. 샤워 볼 등이 수납되는 좌측 수납실과, 칫솔과 면도기가 수납되는 우측 수납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좌측 수납실과 상기 우측 수납실을 개폐하는 좌우측 도어;
    상기 본체에 배치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수납실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좌우측 살균램프와 좌우측 건조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 수납실의 상부에는 상기 좌측 건조히터가 탑재되는 밀폐된 좌측 상부 탑재실이 형성되되,
    상기 좌측 상부 탑재실의 전면에는 상기 좌우측 살균램프와 좌우측 건조히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상부 탑재실의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상부 탑재실의 하면에는 상기 좌측 건조히터의 열풍이 상기 좌측 수납실로 토출시키는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수납실의 후부에는 상기 우측 건조히터가 탑재되는 밀폐된 우측 후부 탑재실이 형성되되,
    상기 우측 후부 탑재실의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후부 탑재실의 전면에는 상기 우측 건조히터의 열풍이 상기 우측 수납실로 토출시키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KR1020190065485A 2019-06-03 2019-06-03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Ceased KR20200138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85A KR20200138998A (ko) 2019-06-03 2019-06-03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85A KR20200138998A (ko) 2019-06-03 2019-06-03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98A true KR20200138998A (ko) 2020-12-11

Family

ID=7378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85A Ceased KR20200138998A (ko) 2019-06-03 2019-06-03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89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27A (ko) * 2020-01-28 2021-08-05 이형영 소품 수납구조를 갖는 칫솔 살균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448A (ko) 2003-01-25 2004-07-31 최민기 칫솔 살균 및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448A (ko) 2003-01-25 2004-07-31 최민기 칫솔 살균 및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27A (ko) * 2020-01-28 2021-08-05 이형영 소품 수납구조를 갖는 칫솔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21619B2 (en) Shoe management device
US11931471B2 (en) Shoe management device
KR20180026242A (ko) 욕실관리기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KR20110004195U (ko) 빌트-인 손 소독기
KR20200138998A (ko)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KR200315254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칫솔 살균기
KR20180006567A (ko) 칫솔 살균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살균장치
KR20070083401A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JPH10276960A (ja) 食器洗い乾燥機
KR200415480Y1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KR20110063702A (ko) 칫솔 살균기
JP2004242970A (ja) 歯ブラシ除菌装置
KR200296994Y1 (ko) 내부에 발열판을 가지는 칫솔 살균기
KR100912563B1 (ko) 위생용품 소독기
KR200315255Y1 (ko) 칫솔 살균 및 건조기
KR20180035019A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칫솔걸이
KR102774365B1 (ko) 신발관리장치
CN212630626U (zh) 设有漱具消毒室的柜式梳妆镜
JP2005342496A (ja) 手指乾燥装置
KR20070030877A (ko) 다용도 칫솔 살균기
KR20140073347A (ko) 치약 인출기가 구비된 칫솔 살균장치
KR100926668B1 (ko) 칫솔 소독기
KR20220053126A (ko)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KR100557780B1 (ko) 칫솔 살균 및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