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071A -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071A
KR20180026071A KR1020160113008A KR20160113008A KR20180026071A KR 20180026071 A KR20180026071 A KR 20180026071A KR 1020160113008 A KR1020160113008 A KR 1020160113008A KR 20160113008 A KR20160113008 A KR 20160113008A KR 20180026071 A KR20180026071 A KR 20180026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ver
microorganisms
stirring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승
Original Assignee
녹색지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녹색지구(주) filed Critical 녹색지구(주)
Priority to KR102016011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071A/ko
Publication of KR2018002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투입하면 음식물을 미생물과의 교반을 통해 분해하여 액체 상태로 배출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에 설치된 커버에는 커버 개폐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커버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내부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Apparatus for food waste processor using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 내부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국시행과 런던협약 발효에 따른 해양투기 금지 등으로 전국 지자체는 음식물처리에 년간 1조원 이상의 예산을 소요하고 있다. 하루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2012년 기준으로 1만 4천여 톤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 % 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음식물 처리방법이 개발되어 시행되어 있다.
음식물을 건조시키커나 냉동시키는 방법은 1차 처리 후 남은 쓰레기를 다시 배출하는 2차 처리가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처리방법이 되지 못한다.
디스포저 방식이라 불리는 음식물 분쇄방식은 미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 방식으로 하수구의 불법 개조가 필요하고 제품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온 미생물방식은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을 퇴비로 만드는 방식이지만 악취가 발생하고, 음식물에는 염분이 있어 실질적으로 퇴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장 최근에 사용되는 방식인 액상 미생물방식은 모든 음식물이 미생물과의 교반에 의해 소멸되어 액체상태로 배출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액상 미생물방식 음식물처리장치는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A/S를 위해 커버를 열 경우 교반기가 계속해서 작동상태이기 때문에 손을 집어 넣었을 경우 부상을 입거나, 교반기 내의 음식물 및 미생물 등이 외부로 나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 01075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 내부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 외부로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면 자동으로 교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투입하면 음식물을 미생물과의 교반을 통해 분해하여 액체 상태로 배출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에 설치된 커버에는 커버 개폐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커버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는, 자석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마그넷 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는 상기 커버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자석부와 대응되는 투입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는, 커버가 폐쇄되면 이를 감지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 내부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 외부로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에 개폐감지 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면 자동으로 교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챔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투입하면 음식물을 미생물과의 교반을 통해 분해하여 액체 상태로 배출한다.
즉,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자 형태로, 상부는 개방되어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음식물이 분해되어 배출되는 배수구(112)가 형성된 챔버(chamber, 110)로 구비된다.
상기 챔버(110)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141)이 형성되고, 단면이 반원 형태인 타공망(140)이 설치되고, 상기 타공망(140) 상부에는 회전축(12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20)에는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교반익(130)이 체결되어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은 전원부와 연결된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투입구(111)는 싱크대 하단의 배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111)로 고체상태의 음식물을 투입하면 음식물은 타공망(140)에 떨어지고, 상기 회전축(120)이 회전하면 회전축에 체결된 교반익(130)이 회전하면서 음식물과 미생물을 교반시킨다.
이때, 교반이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물질을 외부적인 기계 에너지를 사용하여 균일한 혼합상태로 만드는 일을 일컫는다.
1시간에서 24시간 정도의 교반 후에는 음식물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액체상태가 되고 상기 배수구(112)를 통해 하수구 배출된다.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1)에 설치된 커버(191)에는 커버 개폐감지 센서(160)가 구비되어 커버(191)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챔버(110)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챔버(110) 등을 수리하기 위해 커버를 열 경우 사용자가 회전하는 교반익(130)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도 있고, 교반중이던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원심력에 의해 챔버(110)외부로 튀어 나올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91)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한다.
이때, 상기 커버(191) 개방의 감지는 커버 개폐감지 센서(160)를 통해 하는데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160)는 접촉식 센서인 마그넷 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마그넷 센서는 도어나 창 등 개폐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침입자를 검지하는데 주로 쓰이는 검지기이고, 자석부와 스위치부로 이루어져 자석부와 스위치부가 서로 접근하거나 떨어지면 전기 접점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상기 자석부는 상기 커버(191)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자석부(191)와 대응되는 투입구(11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160)는 상기 마그넷 센서 이외에도 비접촉식 [0035]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160)에서 상기 커버(191)의 개방을 감지하면 커버 개방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상기 커버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교반익(13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191)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자동으로 교반을 정지시켜 부상을 미연에 막고,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160)는 커버(191)가 폐쇄되면 이를 감지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면 교반을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커버(19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버(191)가 폐쇄되면 상기 커버(191)에 구비된 커버 개폐감지센서(160)가 이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로 커버 폐쇄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상기 커버 개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교반익(13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191)가 음식물 투입이나 A/S 등을 위해 개방되어 교반이 정지된 후 음식물 투입이나 A/S가 끝난 뒤 다시 상기 커버(191)를 폐쇄하면 별도의 구동을 위한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교반을 다시 시작하여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91)가 폐쇄되어 있지만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별도의 구동을 위한 조작 없이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시작시켜 자동으로 교반을 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각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심야모드가 선택되어 심야모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투입된 음식물이 미생물과 교반되는 챔버(11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히팅부재(150)를 통해 챔버(110) 내부 온도를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로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심야시간에는 음식물의 투입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하기 보다는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집중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심야시각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심야모드 스위치가 눌러지면 심야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히팅부재(150)를 구동시켜 상기 챔버(110) 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로 히팅한다.
상기 히팅부재(150)는 실리콘 히터가 사용되어 챔버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히팅을 시작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히터는 히터 안에 고내열성의 텅스텐 저항체를 배치하고 세라믹으로 굳힌 구조를 말하고, 고내열성 및 고절연성이 뛰어나다.
또는, 상기 히팅부재(150)를 열선으로 구비하여 상기 챔버(110) 또는 타공망(140)에 열선을 균일하게 배치하고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히팅을 시작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범위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배양이 잘 되는 30 내지 40 ℃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생물의 배양이 잘되는 조건은 통상적으로 적당한 온도와 습도, 원활한 공기 또는 산소의 유통으로 온도는 30내지 40 ℃, 습도는 70 % 정도가 적당하다. 하지만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조건이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심야시간에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의 작동에 의한 소음에 의해 수면에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심야시각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심야모드 스위치가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는 심야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축(120)의 구동을 중지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버(11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온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된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로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다시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챔버(110) 내부 또는 외부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고, 챔버(11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즉, 미생물의 배양이 활발해지는 30 내지 40 ℃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지 감지한다. 상기 챔버(110)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범위에서 벗어나면 상기 히팅부재(150)를 이용해 다시 히팅하여 상기 제1온도 범위에 들도록 한다.
이때, 잦은 히팅으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챔버(110)를 단열재로 구성하여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챔버(110)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심야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챔버 내부를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로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동절기에는 온도가 낮아 미생물 활동 저하로 인한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1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상기 온도센서(미도시)가 상기 챔버(110)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부재(150)를 이용해 챔버(110) 내부를 히팅한다.
상기 제2온도 범위는 미생물이 활발하게 음식물을 분해하는 온도인 10 내지 15 ℃로 할 수 있다.
음식물이 투입되어 미생물과 교반되는 챔버(110) 내에는 회전축(12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20)에는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음식물과 미생물을 교반하는 적어도 1이상의 교반익(130)의 일단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는 음식물과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을 처리하는데 이때 좀 더 효율적인 교반을 위해 회전축(120)에 적어도 1 이상의 교반익(130)이 체결되어 회전축(12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 음식물과 미생물을 섞어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챔버(110)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141)이 형성되고, 단면이 반원 형태인 타공망(140)이 설치되고, 상기 타공망(140) 상부에는 회전축(12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20)에는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교반익(130)이 체결되어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교반익(130)은 상기 회전축(120)과 직각을 이루도록 체결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교반익(130)과 상기 타공망(140) 사이에 부피가 크거나 단단한 음식물이 끼게 되면 교반익(130)과 타공망(14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익(130)이 탄성부재로 구비되거나, 상기 회전축(120)과 교반익(130) 사이에 탄성부재(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교반익(130)과 타공망(140) 사이에 부피가 크거나 단단한 음식물이 끼게 되면 탄성부재로 구비되거나 상기 회전축(120)과의 사이에 탄성부재(131)가 구비된 교반익(130)은 음식물에 의해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원되기 때문에 음식물에 의해 교반익(130)과 타공망(1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교반익(130)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회전축(120)과 체결되지 않은 교반익(130)의 타단부는 칼날(132)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교반익(130)의 일단부를 칼날로 구비해 상기 교반익(130)과 타공망(140) 사이에 부피가 크거나 단단한 음식물이 끼게 되면 상기 칼날에 의해 음식물이 조각나 교반익(130)과 타공망(1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칼날(132)은 상기 교반익(13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상기 회전축(120)과 체결되지 않은 교반익(130)의 타단부에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교반익(130)의 길이방향 및 타단부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반익(130)과 타공망(140)의 손상방지뿐만 아니라 상기 칼날(132)이 음식물을 작게 조각내기 때문에 미생물과 음식물이 접촉하는 단면적이 넓어져 좀 더 빠른 분해가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익(130)과 회전축(120) 사이에는 탄성부재(131)가 구비되고, 교반익(130)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회전축(120)과 체결되지 않은 교반익(130)의 타단부는 칼날(132)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교반익(130)과 타공망(140) 사이에 부피가 크거나 단단한 음식물이 끼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31)에 의해 교반익(130)이 휘어지면서 상기 칼날(132)에 의해 음식물은 잘라져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각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슬립모드(Sleep mode)가 선택되어 슬립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를 작동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을 교반하면서 35~52 dB의 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생활소음 정도이지만 야간에 수면을 청하기엔 큰 소음이 될 수 있다.
35 dB은 조용한 공원의 소음 크기이고, 수면에 거의 영향 없다. 40 dB은 냉장고 작동시 소음 크기로 35 dB 기준으로 40 % 정도 수면깊이가 낮아지고, 50 dB은 사무실내 소음 또는 식당이나 백화점내의 소음 크기로 35 dB 기준으로 88 % 정도 수면이 낮아진다.
기존에는 이러한 교반에 의한 소음 때문에 사용자는 수면을 청하기 전에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의 전원을 꺼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럴 경우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는 미생물이 살기에 부적당한 환경이 되어버리고, 음식물 처리 효율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100)의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각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슬립모드(Sleep mode)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의 작동을 정지시켜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다시 모터의 작동을 재개시켜 상기 회전축(120)이 회전하게 하여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은 다시 시작된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고, 일정 시간 동안 교반을 중지하는 방식 이외에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교반 인터벌(interval)을 늘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싱크대에 구비된 조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슬립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도가 기 설정된 럭스(lux) 이하가 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싱크대 외부에는 조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조도센서(미도시)는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도센서(미도시)는 CdS센서를 사용하는데 CdS센서는 카드뮴(Cd)과 황(S)의 화합물인 황화카드뮴(CdS)이 주원료로 빛이 있으면 저항값이 낮아지고, 빛이 없어지면 저항값이 높아진다.
또한, 럭스(lux)란 조명이 밝은 정도를 말하는 조명도에 대한 실용단위로 기호는 lx이다. 1㎡의 넓이에 1lm(루멘)의 광속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의 면의 조명도, 즉 1cd(칸델라)의 점광원으로부터 1m 떨어진 곳에 있는 광선에 수직인 면의 조명도가 1lx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는 음식물이 미생물과 교반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191)가 개방되는 것이 감지되면 교반이 중지되고, 상기 커버(191)가 폐쇄되는 것이 감지되면 다시 교반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110 챔버 111 투입구
112 배수구 120 회전축
130 교반익 131 탄성부재
132 칼날 140 타공망
141 타공 150 히팅부재
160 커버 개폐감지 센서 170 하우징
171 커버

Claims (3)

  1.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투입하면 음식물을 미생물과의 교반을 통해 분해하여 액체 상태로 배출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에 설치된 커버에는 커버 개폐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커버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는,
    자석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마그넷 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는 상기 커버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자석부와 대응되는 투입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감지 센서는,
    커버가 폐쇄되면 이를 감지하여 메인보드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과 미생물의 교반을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KR1020160113008A 2016-09-02 2016-09-02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KR20180026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08A KR20180026071A (ko) 2016-09-02 2016-09-02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08A KR20180026071A (ko) 2016-09-02 2016-09-02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71A true KR20180026071A (ko) 2018-03-12

Family

ID=6172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008A KR20180026071A (ko) 2016-09-02 2016-09-02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021B1 (ko) 2020-03-05 2020-09-08 주식회사 삼마테크 열선으로 미생물 활성에 최적화된 환경조건을 제공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 및 음식물쓰레기를 소멸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021B1 (ko) 2020-03-05 2020-09-08 주식회사 삼마테크 열선으로 미생물 활성에 최적화된 환경조건을 제공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 및 음식물쓰레기를 소멸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760B1 (ko)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554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620575B1 (ko) 호루라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02607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KR101546769B1 (ko)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17510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KR20160017512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KR101546770B1 (ko) 탄성부재와 칼날부재로 구비되는 교반익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17509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KR2016001751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처리장치
KR101546765B1 (ko) 냄새센서를 통해 물의 분무량을 조절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1B1 (ko) 바이패스 홀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4041997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546764B1 (ko) 이중배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3B1 (ko) 교반망의 타공 면적이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커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6460376B (zh) 食物垃圾处理装置
JPH10450A (ja) 生ゴミ処理機
JP200404201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656389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H0910748A (ja) 厨芥処理装置
EP3782521A1 (e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rying food processor, and food processor
JP2001259592A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JP2003285025A (ja) 生ごみ処理機
KR200252405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0216189B1 (ko) 계절모드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계절 모드 부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