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760B1 -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760B1
KR101546760B1 KR1020140173882A KR20140173882A KR101546760B1 KR 101546760 B1 KR101546760 B1 KR 101546760B1 KR 1020140173882 A KR1020140173882 A KR 1020140173882A KR 20140173882 A KR20140173882 A KR 20140173882A KR 101546760 B1 KR101546760 B1 KR 10154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tirring
food waste
wa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멈스전자
이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멈스전자, 이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멈스전자
Priority to KR102014017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760B1/ko
Priority to PCT/KR2015/001627 priority patent/WO2016088939A1/ko
Priority to CN201580000438.2A priority patent/CN10646037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미생물칩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미생물칩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의 타공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는 분사기; 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기 중 일측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의 형태는 분무되는 물이 상기 모든 타공에 닿을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망에 형성된 타공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음식물 쓰레기나 분해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교반망에 쌓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CLEANING HOLE OF STIRRING NET USING WATER JET}
본 발명은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망에 형성된 타공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음식물 쓰레기나 분해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교반망에 쌓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국시행과 런던협약 발효에 따른 해양투기 금지 등으로 전국 지자체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년간 1조원 이상의 예산을 소요하고 있다. 하루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2012년 기준으로 1만 4천여 톤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 % 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이 개발되어 시행되어 있다.
음식물을 건조시키커나 냉동시키는 방법은 1차 처리 후 남은 쓰레기를 다시 배출하는 2차 처리가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처리방법이 되지 못한다.
디스포저 방식이라 불리는 음식물 분쇄방식은 미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 방식으로 하수구의 불법 개조가 필요하고 제품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온 미생물방식은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을 퇴비로 만드는 방식이지만 악취가 발생하고, 음식물에는 염분이 있어 실질적으로 퇴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장 최근에 사용되는 방식인 액상 미생물방식은 모든 음식물이 미생물과의 교반에 의해 소멸되어 액체상태로 배출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액상 미생물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A/S를 위해 커버를 열 경우 교반기가 계속해서 작동상태이기 때문에 손을 집어 넣었을 경우 부상을 입거나, 교반기 내의 음식물 및 미생물 등이 외부로 나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075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망에 형성된 타공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음식물 쓰레기나 분해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교반망에 쌓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반망의 저면 중 타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들러붙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의 분해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챔버 내의 미생물 서식환경을 수위센서 및 냄새센서를 통해 조절하고, 챔버의 내부에서 미생물의 서식에 필요한 산소를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함으로써, 챔버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챔버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미생물칩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미생물칩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의 타공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는 분사기; 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기 중 일측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의 형태는 분무되는 물이 상기 모든 타공에 닿을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는 교반축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교반축은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교반망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망이 설치된 챔버의 내측면이 아닌 다른 양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은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상기 교반망에 닿지 않도록 교반망과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교반축에 복수 개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체결부, 탄성부 및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교반축과 일단이 용접이나 볼트접합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구비되어 상기 교반익과 상기 챔버 및 교반망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양단으로 칼날부재로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상기 챔버와 교반익 사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 회전하면서 조각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의 날방향은 상기 교반축과 평행하게 하거나 상기 교반축과 수직이거나 상기 탄성부와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히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히팅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챔버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양모드는 동결건조 상태인 미생물을 물에 용해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상기 챔버 내부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가 되도록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온도 범위는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온도인 1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부에는 배출부개폐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챔버는 수위센서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챔버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부 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물을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배출부에 쌓이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챔버의 하측에 제1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중간측에 제2전극이 설치되어,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오수를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통전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출부개폐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며, 통전되지 않으면 배출부개폐밸브를 클로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제어부가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챔버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이중 파이프 형태로 중앙에는 원형의 투입구가 홀 형태로 상기 챔버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 외측으로는 상기 챔버의 외측 상부면까지 관통된 도넛츠 형태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는 내측면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투입구 측으로 경사진 원주 형태의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에는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초음파발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진자는, 상기 챔버의 내부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진자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초음파발진자에서 고형물 분해파장을 생성함으로써, 고형물을 분해시켜 고형물이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오수분무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분무호스는 상기 챔버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교반망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오수를 펌프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망의 내부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분무호스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오수로 유입되는 호모성미생물을 상기 펌프를 통해 교반망의 상측에서 분무시킴으로써,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 상에 미생물이 분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망에 형성된 타공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음식물 쓰레기나 분해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교반망에 쌓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망의 저면 중 타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들러붙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의 분해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챔버 내의 미생물 서식환경을 수위센서 및 냄새센서를 통해 조절하고, 챔버의 내부에서 미생물의 서식에 필요한 산소를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함으로써, 챔버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챔버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외측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와 제2경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의 내부 상측을 나타낸 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오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립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양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외측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와 제2경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의 내부 상측을 나타낸 저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오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립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양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우징(110), 챔버(120), 유입부(140), 배출부(147), 교반망(150), 교반축(160), 교반익(170), 미생물칩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형태로,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및 기타 불순물 등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하부에는 배수관으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챔버(120)와 제어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챔버(12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 내에는 일정한 양의 물과 미생물 칩이 항시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칩에서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고, 상기 챔버(120)의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싱크대 배수구와 체결되는 유입부(140)가, 상기 챔버(120)의 하부에는 하수구와 연결되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가 오수 및 고형물 형태로 배출되는 배출부(147)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교반이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물질을 외부적인 기계 에너지를 사용하여 균일한 혼합상태로 만드는 일을 일컫는다.
바람직하게는, 1시간에서 24시간 정도의 교반 후, 음식물 쓰레기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오수 및 미세한 고형물 형태가 되고, 상기 배출부(147)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상기 유입부(140)는 상기 챔버(120)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이중 파이프 형태로 중앙에는 원형의 투입구(141)가 홀 형태로 상기 챔버(120)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41) 외측으로는 상기 챔버의 외측 상부면까지 관통된 도넛츠 형태의 유입구(14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45)의 상측에는 내측면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투입구(141) 측으로 경사진 원주 형태의 제1경사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142)에는 상기 투입구(141)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의 유입홀(143)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45)와 이어지며, 상기 유입부(140)의 내측면 중앙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 배수구의 외측면에 상기 유입부(140)가 삽입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145)의 저면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120)의 외측 상부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부(146)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123)와 이어지는데 상기 물받이부(123)는 상기 투입구(141) 및 챔버(120)와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47)와 연결된다.
상기 챔버(120)의 투입구(14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113)는 상기 투입구의 크기와 형태에 상응하고 가운데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113)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투입구(14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챔버(120)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입홀(143)을 통해 상기 물받이부(123)로 오수를 흘려 보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싱크대에서 일반적인 설거지나 음식 준비 등을 할 때 발생하는 오수는 상기 투입구(141)를 상기 커버(113)로 폐쇄한 상태에서 싱크대 하수구를 통해 배출한다. 배출된 오수는 상기 유입홀(143)을 통해 상기 유입구(145)를 통과하여 상기 제2경사부(146)를 따라 흘러 상기 물받이부(123)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커버(113); 및 상기 커버(113)와 맞닿는 상기 투입구(141)의 일 측; 에는 안전센서(11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전센서(114)는 상기 챔버(120)를 개방하기 위해 커버(113)가 상기 투입구(141)의 일 측으로부터 분리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교반익(170)을 회전시키는 모터(3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교반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챔버(12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거나 챔버(120) 등을 수리하기 위해 상기 커버(113)를 열 경우 사용자가 회전하는 교반익(170)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도 있고, 교반중이던 음식물 쓰레기 또는 미생물이 원심력에 의해 챔버(120) 외부로 튀어 나올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한다.
또한, 상기 교반익(17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중이던 상태에서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어 상기 교반익(170)의 회전이 중지되었다가 다시 상기 챔버(120)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13)와 상기 투입구(141)의 일 측을 접촉시키면 상기 안전센서(11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300)의 작동을 재개시켜 교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작동 중이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에서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폐쇄되면 상기 안전센서(114)가 이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200)로 커버 폐쇄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200)는 상기 커버 폐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교반익(170)을 회전시키는 모터(300)를 구동시킨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투입이나 장치의 A/S 등을 위해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어 교반이 정지된 후 음식물 쓰레기 투입이나 장치의 A/S가 끝난 뒤 다시 상기 커버(113)를 폐쇄하면 별도의 구동을 위한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교반을 다시 시작하여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13)가 폐쇄되어 있지만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200)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별도의 구동을 위한 조작 없이도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모터(300)의 구동을 시작시켜 자동으로 교반을 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전센서(114)는 접촉식 센서인 마그넷 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마그넷 센서는 도어나 창 등 개폐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침입자를 검지하는데 주로 쓰이는 검지기이고, 자석부와 스위치부로 이루어져 자석부와 스위치부가 서로 접근하거나 떨어지면 전기 접점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상기 자석부는 상기 커버(113)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자석부(191)와 대응되는 투입구(14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센서(114)는 상기 마그넷 센서 이외에도 비접촉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챔버(120) 내부에는 교반망(150), 교반축(160) 및 교반익(170)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망(150)은 상기 챔버(120)의 양 내측면에 고정되고, 중간부에서 음식물 쓰레기 및 미생물이 쌓여 분해되도록 단면이 U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망(150)에는 복수개의 타공(1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타공(151)은 상기 교반망(150)의 단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되지 않은 미생물이 상기 타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151)은 상기 교반망(15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올수록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타공(151)의 형태는 원뿔대 또는 각뿔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해된 결과물인 고형물이 상기 타공(151)에 끼었을 경우 끼지 않은 반대측 타공(151)의 지름이 더 크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해된 결과물인 고형물이 용이하게 타공(151)을 빠져나갈 수 있고, 상기 타공(151)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려있다 하더라도 상기 교반익(170)에 의한 교반으로 교반망의 내측으로 다시 나오거나 교반망의 외측으로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교반축(160)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교반망(1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망(150)이 설치된 챔버(120)의 내측면이 아닌 다른 양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교반축(160)은 제어부(200)의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300)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챔버(120)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효과적인 교반을 위해 상기 교반축(160)의 회전 방향이 중간에 바뀔 수도 있다.
상기 교반익(170)은 상기 교반망(150)에 닿지 않도록 교반망(15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교반축(160)에 복수 개 고정되고, 특히 상기 교반축(160)과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익(170)은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축(160)과 90°가 아닌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반익(170)은 체결부(171), 탄성부(172) 및 칼날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71)는 상기 교반축(160)과 일단이 용접이나 볼트접합 등을 통해 체결된다.
상기 탄성부(172)는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고강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교반익(170)과 상기 챔버(120) 및 교반망(150) 사이에 부피가 크거나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교반익의 무리한 회전에 의해 상기 교반익이나 챔버, 교반망이 손상되지 않도록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상기 칼날부(173)는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양단으로 날카로운 칼날부재로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상기 챔버와 교반익 사이의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 회전하면서 잘게 조각내준다.
이때, 상기 칼날부(173)의 날방향은 상기 교반축(160)과 평행하게 하거나 상기 교반축(160)과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칼날부(173)의 방향은 상기 탄성부(172)와 45° 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익(170)은 상기 교반축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이때, 상기 교반익(170)은 상기 교반축(160)과 함께 회전하여 챔버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과 빠르게 교반해 주고,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를 작게 조각 내어 미생물과 접촉하는 단면이 넓어져 좀 더 신속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172) 및 칼날부(173)는 상기 교반익(170) 전체에 걸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체결부(171)의 타단에 탄성부재만 체결된 교반익(170)이나 체결부(171)의 타단에 칼날부재만 체결된 교반익(170) 중 사용자의 사용 목적이나 기대되는 효과에 따라 선호되는 교반익(17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칩은 물에 녹지 않는 고형물 내에 미생물이 흡수되어 있고, 미생물은 상기 챔버(120) 내로 공급된 물에 의해 상기 고형물로부터 녹아 나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교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한다. 또한, 상기 고형물에는 복수개의 미세한 타공이 형성되어 타공 내로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된 미생물이 투입되어 미생물이 계속해서 배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aerobe)로 공기 중에 산소가 존재하면 되고, 호기성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속도가 빠르고 유기물을 이산화탄소와 열로 바꾸기 때문에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가 혐기성 미생물에 비해서는 현저히 적게 발생한다.
또한, 상기 챔버(120)는 바닥부(121), 차단벽(미도시),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 솔레노이드밸브(125), 냄새센서(126), 수위센서(127), 습도센서(128), 초음파발진자(129), 산소발생부(130), 분사기(131), 히팅부재(133), 바이패스홀(135) 및 오수분무호스(136)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21)는 상기 챔버(120)의 바닥면으로 상기 교반망(1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망(150)으로부터 오수 및 고형물이 유입되고, 경사진 바닥부(121)로 유입된 오수 및 고형물은 상기 바닥부(121)의 일측에 형성된 홀 형태의 배출부(147)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또는, 차단벽(미도시)이, 상기 바닥부(121)와 교반망(150) 사이에서 상기 교반망(150)의 단면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21)는 상기 차단벽(미도시)을 중심으로 양측 공간이 서로 이어지면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부(147)로 흘러가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망(150)의 타공(151)을 통해 오수 및 고형물이 유입되는 측에서부터 경사가 시작되어 상기 배출부(147)가 형성된 바닥부(121)에서 경사가 끝나 가장 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47)에는 배출부개폐밸브(148)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147)를 개폐시킨다.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는, 상기 챔버(120)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챔버(120)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는 호스 형태이고, 상기 챔버(120)의 상측을 향하여 물을 분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는 물을 미세입자 형태로 분무하여 상기 챔버(120) 내부의 미생물이 빠른 유속의 물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챔버(120) 내부를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챔버(120) 내부가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를 통해 상기 챔버(120) 내부로 물을 분무한다.
여기서,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 범위는 40 내지 8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5)는, 상기 챔버(120)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부(147) 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147) 방향으로 물을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배출부(147)에 쌓이는 고형물을 제거한다.
상기 냄새센서(126)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20) 내부의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냄새센서(126)에서 측정되는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범위 이상이면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를 통해 물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냄새센서(126)를 통해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물을 분무하여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낮춰 냄새발생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냄새센서(126)란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혐기성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황화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황화물 등의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물을 분무하여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센서(127)는, 상기 챔버(120)의 하측에 제1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챔버(120)의 중간측에 제2전극이 설치되어,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서 오수를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통전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출부개폐밸브(148)를 오픈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5)를 구동시키며, 통전되지 않으면 배출부개폐밸브(148)를 클로징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위센서(127)는 제어부를 통해 배출부개폐밸브(148) 및 솔레노이드밸브(125)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위센서(127)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제어부가 배출부개폐밸브(148) 및 솔레노이드밸브(125)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도센서(128)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12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습도센서(128)는, 챔버(12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챔버(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습도센서(128)에서 측정되는 습도가 미생물이 활성화되는 습도범위로 미리 설정된 습도범위 이하면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를 통해 물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초음파발진자(129)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120)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한다.
즉, 고형물 분해파장을 초음파발진자(129)에서 생성함으로써, 고형물을 분해시켜 고형물이 챔버(120)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해준다.
여기서, 초음파발진자(129)는 오폐수의 슬러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고형물을 감량시키되, 액체매질에 초음파를 조사할 때 발생되는 케비테이션(Cavitation, 공동화현상)의 힘으로 고형물 입자구조에 물리,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고형물의 구조를 파괴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가용화하고 소화시켜 고형물을 감량하고 혐기성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초음파발진자(129)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129)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산소발생부(130)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120)의 하측에 쌓이는 오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킨다.
즉, 산소발생부(130)를 통해 인공적으로 챔버(120)의 내부에서 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챔버(120) 내부의 유기성 황화합물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의 배양조건을 만족시켜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산소발생부(130)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130)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기(131)는, 상기 교반망(150) 중 상기 타공(151)이 형성된 측의 하부와 상기 챔버(120)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기(131)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망(150)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150)의 타공(151)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악취 발생을 억제한다.
즉, 상기 분사기(131)는, 일단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타단은 밀폐된 파이프 형태이며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측면에는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150)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분사홀(132)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분사홀(132)의 형태는 타원형 또는 분사되는 물이 상기 모든 타공(151)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분사기의 타단 방향으로 장축이 치우친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기(131)는, 사용자에 의해 세척모드 스위치(미도시)가 선택될 때 작동하여 물을 분사하거나, 상기 제어부(200)에 기 설정된 시간마다 작동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부재(133)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120) 내부의 온도가 미생물 배양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히팅부재(133)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120)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이때 상기 챔버(12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134)를 통해 챔버(12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양모드란 동결건조 상태인 미생물을 물에 용해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상기 챔버(120) 내부를 8시간 이상 30 내지 40 ℃ 의 온도로, 특히 38 ℃ 로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온도 범위는 미생물의 배양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30 내지 40 ℃ 범위이다.
즉, 음식물의 투입량이 거의 없을 때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하기 보다는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집중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하우징(110)에 구비된 배양모드 스위치(115)가 눌러지면 상기 챔버(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히팅부재(133)를 구동시켜 상기 챔버(120) 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로 히팅한다.
상기 히팅부재(133)는 실리콘 히터가 사용되어 상기 챔버(120)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신호에 의해 히팅을 시작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히터는 히터 안에 고내열성의 텅스텐 저항체를 배치하고 세라믹으로 굳힌 구조를 말하고, 고내열성 및 고절연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히팅부재(133)를 열선으로 구비하여 상기 챔버(120) 또는 교반망(150)에 열선을 균일하게 배치하고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200)의 신호에 의해 히팅을 시작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새벽시간 등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작동에 의한 소음에 의해 수면에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된 배양모드 스위치(115)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반축(160)의 구동을 중지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를 작동하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은 교반되면서 35~52 dB의 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생활소음 정도이지만 야간에 수면을 청하기엔 큰 소음이 될 수 있다
35 dB은 조용한 공원의 소음 크기이고, 수면에 거의 영향 없다. 40 dB은 냉장고 작동시 소음 크기로 35 dB 기준으로 40 % 정도 수면깊이가 낮아지고, 50 dB은 사무실내 소음 또는 식당이나 백화점내의 소음 크기로 35 dB 기준으로 88 % 정도 수면이 낮아진다.
기존에는 이러한 교반에 의한 소음 때문에 사용자는 수면을 청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원을 꺼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럴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미생물이 살기에 부적당한 환경이 되어버리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시각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슬립모드 스위치(Sleep mode, 116)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교반축(160)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모터의 작동을 재개시켜 상기 교반축(160)이 회전하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은 다시 시작된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고, 일정 시간 동안 교반을 중지하는 방식 이외에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교반 인터벌(interval)을 늘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싱크대에 구비된 조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슬립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도가 기 설정된 럭스(lux) 이하가 되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싱크대 외부에는 조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조도센서(미도시)는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도센서(미도시)는 CdS센서를 사용하는데 CdS센서는 카드뮴(Cd)과 황(S)의 화합물인 황화카드뮴(CdS)이 주원료로 빛이 있으면 저항값이 낮아지고, 빛이 없어지면 저항값이 높아진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센서(134)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된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로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다시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챔버(120) 내부에는 온도센서(134)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고, 챔버(12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즉, 미생물의 배양이 활발해지는 30 내지 40 ℃ 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지 모니터링한다. 상기 온도센서(134)가 상기 챔버(120)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범위에서 벗어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팅부재(150)를 이용해 다시 히팅하여 상기 제1온도 범위 내에 들도록 한다.
이때, 잦은 히팅으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챔버(120)를 단열재로 구성하여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챔버(120)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센서(134)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챔버(120)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가 되도록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동절기에는 온도가 낮아 미생물의 활동 저하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2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온도센서(134)가 상기 챔버(120)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히팅부재(133)를 이용해 챔버(120) 내부를 히팅한다.
상기 제2온도 범위는 미생물이 활발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온도인 10 내지 15 ℃로 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홀(135)은 상기 교반망(150)이 고정된 챔버(120)의 일측면 상부에 홀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챔버(120) 내에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바이패스홀(135)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즉, 챔버(120) 내에서 넘치는 물이 싱크대 배수구로 역류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홀(135)을 통하여 상기 물받이부(123)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상기 챔버(120) 내의 물이 싱크대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오수분무호스(136)는 상기 챔버(12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교반망(150)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120)의 저면에 쌓이는 오수를 펌프(137)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망(150)의 내부에 분무한다.
즉, 오수로 유입되는 호모성미생물을 상기 펌프(137)를 통해 교반망(120)의 상측에서 분무시킴으로써,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 상에 미생물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오수분무호스(136)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펌프(137)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싱크대 배수구와 연결된 유입부(140)를 통해 상기 챔버(120) 내부로 투입된다. 그 다음,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일정한 양의 물과 미생물칩이 구비된 상기 교반망(150)에 쌓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교반익(17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미생물칩에서 녹아 나온 미생물과 함께 교반된다. 그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이 완료되면 오수와 고형물이 남게 되고, 상기 교반망(150)의 타공(151)을 통해 배출된다. 그 다음, 배출된 오수와 고형물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121)를 흘러 상기 배출부(147)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0 하우징 113 커버
114 안전센서 115 배양모드 스위치
116 슬립모드 스위치 120 챔버
121 바닥부 123 물받이부
124 미세입자 물분무장치 125 솔레노이드밸브
126 냄새센서 127 수위센서
128 습도센서 129 초음파발진자
130 산소발생부 131 분사기
132 분사홀 133 히팅부재
134 온도센서 135 바이패스홀
136 오수분무호스 137 펌프
140 유입부 141 투입구
142 제1경사부 143 유입홀
144 나사산 145 유입구
146 제2경사부 147 배출부
148 배출부개폐밸브 150 교반망
151 타공 160 교반축
170 교반익 171 체결부
172 탄성부 173 칼날부
200 제어부 300 모터

Claims (2)

  1.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미생물칩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미생물칩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의 타공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는 분사기; 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기 중 일측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의 형태는 분무되는 물이 상기 모든 타공에 닿을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는 교반축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교반축은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교반망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망이 설치된 챔버의 내측면이 아닌 다른 양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은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상기 교반망에 닿지 않도록 교반망과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교반축에 복수 개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체결부, 탄성부 및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교반축과 일단이 용접이나 볼트접합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구비되어 상기 교반익과 상기 챔버 및 교반망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양단으로 칼날부재로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상기 챔버와 교반익 사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 회전하면서 조각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의 날방향은 상기 교반축과 평행하게 하거나 상기 교반축과 수직이거나 상기 탄성부와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히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히팅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챔버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양모드는 동결건조 상태인 미생물을 물에 용해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상기 챔버 내부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가 되도록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온도 범위는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온도인 1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부에는 배출부개폐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챔버는 수위센서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챔버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부 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물을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배출부에 쌓이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챔버의 하측에 제1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중간측에 제2전극이 설치되어,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오수를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통전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출부개폐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며, 통전되지 않으면 배출부개폐밸브를 클로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제어부가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챔버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이중 파이프 형태로 중앙에는 원형의 투입구가 홀 형태로 상기 챔버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 외측으로는 상기 챔버의 외측 상부면까지 관통된 도넛츠 형태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는 내측면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투입구 측으로 경사진 원주 형태의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에는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초음파발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진자는, 상기 챔버의 내부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진자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초음파발진자에서 고형물 분해파장을 생성함으로써, 고형물을 분해시켜 고형물이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오수분무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분무호스는 상기 챔버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교반망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오수를 펌프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망의 내부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분무호스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오수로 유입되는 호모성미생물을 상기 펌프를 통해 교반망의 상측에서 분무시킴으로써,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 상에 미생물이 분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KR1020140173882A 2014-12-05 2014-12-05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82A KR101546760B1 (ko) 2014-12-05 2014-12-05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CT/KR2015/001627 WO2016088939A1 (ko) 2014-12-05 2015-02-1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1580000438.2A CN106460376B (zh) 2014-12-05 2015-02-17 食物垃圾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82A KR101546760B1 (ko) 2014-12-05 2014-12-05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760B1 true KR101546760B1 (ko) 2015-08-24

Family

ID=5406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82A KR101546760B1 (ko) 2014-12-05 2014-12-05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760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72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22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온도 센서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교반모터의 rpm 제어 시스템
KR101703232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이력 기록 시스템
KR101703224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셀프 고장 진단 시스템
KR10170324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KR10170316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98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전기히터봉을 이용한 온도 유지 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50B1 (ko) * 2016-01-08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무급수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56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미생물액 투입구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94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분사홀이 형성된 분무급수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87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스위치 pcb와 회로 pcb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04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캡슐형 미생물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16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히팅부를 가지는 수통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2816B1 (ko) * 2016-09-08 2017-06-30 주식회사 멈스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63902B1 (ko) * 2016-10-26 2017-08-14 (주)유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물질 세척장치
KR101822495B1 (ko) * 2015-12-01 2018-03-08 주식회사 멈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02358B1 (ko) * 2016-12-27 2018-11-28 주식회사 멈스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 2016-12-27 2018-12-05 주식회사 멈스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45255B1 (ko) 2018-03-20 2019-02-07 호산엔지니어링(주) 싱크대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87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스위치 pcb와 회로 pcb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6807720A (zh) * 2015-12-01 2017-06-09 (株)梦实 设有旁通管的食物垃圾处理装置
KR101703232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이력 기록 시스템
KR101703224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셀프 고장 진단 시스템
KR10170324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KR10170316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98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전기히터봉을 이용한 온도 유지 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72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56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미생물액 투입구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94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분사홀이 형성된 분무급수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2495B1 (ko) * 2015-12-01 2018-03-08 주식회사 멈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03204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캡슐형 미생물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16B1 (ko) * 2015-12-01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히팅부를 가지는 수통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22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멈스 온도 센서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교반모터의 rpm 제어 시스템
KR101703250B1 (ko) * 2016-01-08 2017-02-22 주식회사 멈스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무급수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2816B1 (ko) * 2016-09-08 2017-06-30 주식회사 멈스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63902B1 (ko) * 2016-10-26 2017-08-14 (주)유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이물질 세척장치
KR101902358B1 (ko) * 2016-12-27 2018-11-28 주식회사 멈스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 2016-12-27 2018-12-05 주식회사 멈스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45255B1 (ko) 2018-03-20 2019-02-07 호산엔지니어링(주) 싱크대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760B1 (ko)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0575B1 (ko) 호루라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0572B1 (ko) 온도유지용 히팅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2B1 (ko)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유지용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9B1 (ko)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70B1 (ko) 탄성부재와 칼날부재로 구비되는 교반익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66309B1 (ko) 분뇨 처리 시스템을 갖춘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101546765B1 (ko) 냄새센서를 통해 물의 분무량을 조절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761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6B1 (ko) 초음파발진자를 통해 하우징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8B1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3B1 (ko) 교반망의 타공 면적이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커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1B1 (ko) 바이패스 홀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2816B1 (ko)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4B1 (ko) 이중배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60B1 (ko)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72B1 (ko)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7B1 (ko) 미생물의 서식에 필요한 산소를 전기분해를 통해 챔버 내부에서 발생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8B1 (ko) 배양모드 선택시 챔버 내부를 히팅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51524A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JP4611466B2 (ja) 発酵分解処理及び水中分解処理両用の有機廃棄物分解処理装置
KR101703187B1 (ko) 스위치 pcb와 회로 pcb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22B1 (ko) 온도 센서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교반모터의 rpm 제어 시스템
KR1017032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