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172B1 -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172B1
KR101703172B1 KR1020150169612A KR20150169612A KR101703172B1 KR 101703172 B1 KR101703172 B1 KR 101703172B1 KR 1020150169612 A KR1020150169612 A KR 1020150169612A KR 20150169612 A KR20150169612 A KR 20150169612A KR 101703172 B1 KR101703172 B1 KR 10170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od waste
food
valve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멈스
Priority to KR102015016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액상의 미생물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액상의 미생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유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유입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1격벽 및 제2격벽의 일측에 직교하여 형성되며 제1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제1분쇄날이 형성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분쇄날과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분쇄날이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부쪽에 분쇄기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을 미생물 분해가 용이하도록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USING GRINDER AND MICROORGANISM}
본 발명은,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부쪽에 분쇄기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을 미생물 분해가 용이하도록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국시행과 런던협약 발효에 따른 해양투기 금지 등으로 전국 지자체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년간 1조원 이상의 예산을 소요하고 있다. 하루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2012년 기준으로 1만 4천여 톤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 % 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이 개발되어 시행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075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식물을 건조시키커나 냉동시키는 방법은 1차 처리 후 남은 쓰레기를 다시 배출하는 2차 처리가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처리방법이 되지 못한다.
디스포저 방식이라 불리는 음식물 분쇄방식은 미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 방식으로 하수구의 불법 개조가 필요하고 제품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온 미생물방식은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을 퇴비로 만드는 방식이지만 악취가 발생하고, 음식물에는 염분이 있어 실질적으로 퇴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장 최근에 사용되는 방식인 액상 미생물방식은 모든 음식물이 미생물과의 교반에 의해 소멸되어 액체상태로 배출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액상 미생물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또는 미생물액을 투입하거나 A/S를 위해 커버를 열 경우 교반기가 계속해서 작동상태이기 때문에 손을 집어 넣었을 경우 부상을 입거나, 교반기 내의 음식물 및 미생물액 등이 외부로 나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싱크대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오수가 동시에 들어오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유입구 부분이 막히게 되면 오수가 역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075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부쪽에 분쇄기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을 미생물 분해가 용이하도록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액상의 미생물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액상의 미생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유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직교하여 형성되며 제1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제1분쇄날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통해 좌우 이송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분쇄날과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분쇄날이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면 이송면이 삽입되는 삽입면;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면 삽입면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바닥면을 개방시키고, 상기 실린더가 완전 이완되면 상기 삽입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바닥면을 완전밀폐시키는 이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면은, 상기 삽입면에 삽입되거나 돌출되고 제2이송면이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제1이송면; 및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1이송면에 일부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제2이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상의 미생물은, 액체에 포함되되, 캡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생긴 외력으로 유막 캡슐이 터지면서 상기 유막 캡슐 내부의 미생물이 분사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되는 미생물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생물액이 저장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공과 물 또는 미생물액이 배출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된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미생물액 공급부; 상기 챔버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물탱크와, 상기 외부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분기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유입공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1밸브와,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제2밸브와,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고압분사장치로 공급하는 제3밸브를 포함하는 외부급수부; 상기 용기 몸체에 삽입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생물액을 히팅하는 전기히터봉; 상기 챔버의 일측에 위치하여 외부급수관과 제1급수관을 연결하여 물을 공급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1밸브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제1유입공으로 전달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수통에 형성된 제2유입공으로 전달하는 제2급수관을 포함하는 미생물액 투입부; 빈 함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유출공 및 제3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유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상기 교반망을 향해 분사하는 제2분무급수장치가 상기 챔버의 타측 내벽에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수통; 상기 수통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히팅하는 히팅패드를 통해 상기 제2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된 물 또는 미생물액에 열을 가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히팅부; 및 상기 챔버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출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교반망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무급수장치와, 상기 챔버의 타측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출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교반망을 향해 분사하는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와, 상기 챔버 내부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의 타공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는 고압분사장치를 가지는 분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분무급수장치 및 제2분무급수장치는, 일측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해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측 및 상측이 일정각도 절삭되어 형성되는 분사홀; 및 상기 분사홀이 형성된 부근에 형성되어 분사홀이 설치된 주변에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사홀은, 일측 및 타측이 일정각도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부쪽에 분쇄기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을 미생물 분해가 용이하도록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외측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와 제2경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오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무장치 중 분사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의 분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미생물 캡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셀프 고장 진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모터의 회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이력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외측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와 제2경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오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우징(11), 챔버(100), 유입부(160), 배출부(167), 교반망(126), 교반축(124), 교반익(122) 및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형태로,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및 기타 불순물 등이 투입되는 유입부가, 하부에는 배수관으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는 챔버(100)가 배치된다.
상기 챔버는,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액상의 미생물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액상의 미생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즉,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 내에는 일정한 양의 물과 미생물액이 항시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액에서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고,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싱크대 배수구와 체결되는 유입부(160)가, 상기 챔버(100)의 하부에는 하수구와 연결되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가 오수 및 고형물 형태로 배출되는 배출부(167)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교반이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물질을 외부적인 기계 에너지를 사용하여 균일한 혼합상태로 만드는 일을 일컫는다.
바람직하게는, 1시간에서 24시간 정도의 교반 후, 음식물 쓰레기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오수 및 미세한 고형물 형태가 되고, 상기 배출부(167)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상기 유입부(160)는 상기 챔버(100)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이중 파이프 형태로 중앙에는 원형의 투입구(161)가 홀 형태로 상기 챔버(100)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61) 외측으로는 상기 챔버의 외측 상부면까지 관통된 도넛츠 형태의 유입구(16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65)의 상측에는 내측면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투입구(161) 측으로 경사진 원주 형태의 제1경사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162)에는 상기 투입구(161)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의 유입홀(163)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65)와 이어지며, 상기 유입부(160)의 내측면 중앙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164)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 배수구의 외측면에 상기 유입부(160)가 삽입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165)의 저면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100)의 외측 상부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부(166)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104)와 이어지는데 상기 물받이부(104)는 상기 투입구(161) 및 챔버(100)와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67)와 연결된다.
상기 챔버(100)의 투입구(16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106)는 상기 투입구의 크기와 형태에 상응하고 가운데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106)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투입구(16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챔버(1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입홀(163)을 통해 상기 물받이부(104)로 오수를 흘려 보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싱크대에서 일반적인 설거지나 음식 준비 등을 할 때 발생하는 오수는 상기 투입구(161)를 상기 커버(106)로 폐쇄한 상태에서 싱크대 하수구를 통해 배출한다. 배출된 오수는 상기 유입홀(163)을 통해 상기 유입구(165)를 통과하여 상기 제2경사부(166)를 따라 흘러 상기 물받이부(104)로 배출된다
상기 챔버(100) 내부에는 교반망(126), 교반축(124) 및 교반익(122)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망(126)은 상기 챔버(100)의 양 내측면에 고정되고, 중간부에서 음식물 쓰레기 및 미생물이 쌓여 분해되도록 단면이 U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망(126)에는 복수개의 타공(12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타공(127)은 상기 교반망(126)의 단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되지 않은 미생물이 상기 타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127)은 상기 교반망(126)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올수록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타공(127)의 형태는 원뿔대 또는 각뿔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해된 결과물인 고형물이 상기 타공(127)에 끼었을 경우 끼지 않은 반대측 타공(127)의 지름이 더 크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해된 결과물인 고형물이 용이하게 타공(127)을 빠져나갈 수 있고, 상기 타공(127)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려있다 하더라도 상기 교반익(122)에 의한 교반으로 교반망의 내측으로 다시 나오거나 교반망의 외측으로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교반축(124)은 상기 제어부(1000)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교반망(126)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망(126)이 설치된 챔버(100)의 내측면이 아닌 다른 양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교반축(124)은 제어부(1000)의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교반모터(120)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챔버(100)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효과적인 교반을 위해 상기 교반축(124)의 회전 방향이 중간에 바뀔 수도 있다.
상기 교반익(122)은 상기 교반망(126)에 닿지 않도록 교반망(126)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교반축(124)에 복수 개 고정되고, 특히 상기 교반축(124)과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익(122)은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축(124)과 90°가 아닌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반익(122)은 체결부(1222), 탄성부(1224) 및 칼날부(1226)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222)는 상기 교반축(124)과 일단이 용접이나 볼트접합 등을 통해 체결된다.
상기 탄성부(1224)는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고강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교반익(122)과 상기 챔버(100) 및 교반망(126) 사이에 부피가 크거나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교반익의 무리한 회전에 의해 상기 교반익이나 챔버, 교반망이 손상되지 않도록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상기 칼날부(1226)는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양단으로 날카로운 칼날부재로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상기 챔버와 교반익 사이의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 회전하면서 잘게 조각내준다.
이때, 상기 칼날부(1226)의 날방향은 상기 교반축(124)과 평행하게 하거나 상기 교반축(124)과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칼날부(1226)의 방향은 상기 탄성부(1224)와 45° 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익(122)은 상기 교반축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이때, 상기 교반익(122)은 상기 교반축(124)과 함께 회전하여 챔버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과 빠르게 교반해 주고,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를 작게 조각 내어 미생물과 접촉하는 단면이 넓어져 좀 더 신속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1224) 및 칼날부(1226)는 상기 교반익(122) 전체에 걸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체결부(1222)의 타단에 탄성부재만 체결된 교반익(122)이나 체결부(1222)의 타단에 칼날부재만 체결된 교반익(122) 중 사용자의 사용 목적이나 기대되는 효과에 따라 선호되는 교반익(122)을 설치할 수 있다.
제1홀(172)은, 상기 유입부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제2홀(174)은, 상기 챔버(100)의 하단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바이패스관(170)은 제1홀(172)과 제2홀(174)을 연결하되, 제1홀(172)까지 오수가 차게되면 제2홀(174)로 물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홀(174)은, 챔버(100)의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분무급수장치는, 제1분무급수장치(182), 제2분무급수장치(184),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186) 및 고압분사장치(188)를 포함한다.
분무급수장치는 챔버(100) 내부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망(126)의 상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 또는 미생물을 기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126)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분사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무장치 중 분사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분무급수장치는 상기 분무급수장치의 일측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분사홀(181)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홀(181)은, 일측 및 타측이 일정각도 절삭된다.
즉, 분사홀(181)의 일측 및 타측이 일정각도 절삭됨에 따라 분사되는 범위가 더 넓어진다.
그리고, 분무급수장치는, 하나 이상의 측면분사홀(183)을 더 포함한다.
측면분사홀(183)은, 분사홀이 형성된 부근에 형성되어 분무급수장치가 설치된 주변에 물을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기를 나타낸 평면도다.
도 1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분쇄부는 제1격벽(1604), 제2격벽(1606), 제1회전축(1624), 제2회전축(1614)을 포함한다.
제1격벽(1604)은, 상기 유입부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2격벽(1606)은, 상기 유입부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1회전축(1624)은, 상기 제1격벽(1604) 및 제2격벽(1606)의 일측에 직교하여 형성되며 제1모터(16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제1분쇄날(1626)이 형성된다.
제2회전축(1614)은, 상기 제1격벽(1604) 및 제2격벽(1606)에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축(1624)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분쇄날(1626)과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분쇄날(1616)이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분쇄부는 제1격벽(1604), 제2격벽(1606), 제1회전축(1624), 제2회전축(1614)을 포함한다.
제1격벽(1604)은, 상기 유입부의 상측에 형성된다.
제2격벽(1606)은, 상기 유입부의 하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격벽(1604)과 제2격벽(1606)은, 삽입면(1636a) 및 이송면(1636b,1636c)을 더 포함한다.
삽입면(1636a)은,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면 이송면(1636b,1636c)이 삽입된다.
이송면(1636b,1636c)은, 상기 제1회전축(1624)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면 삽입면(1636a)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축(1624)의 바닥면을 개방시키고, 상기 실린더가 완전 이완되면 삽입면(1636a)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회전축(1624)의 바닥면을 완전밀폐시킨다.
제1회전축(1624)은, 상기 제1격벽(1604) 및 제2격벽(1606)에 직교하여 형성되며 제1모터(16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제1분쇄날(1626)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통해 좌우 이송된다.
즉, 제1회전축(1624)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자하면 실린더가 완전 이완되어 제2회전축(1614)과 맞물리게 위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없이 투입하고자하면, 실린더가 수축하여 제2회전축(1614)으로부터 거리멀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삽입이 용이해지게된다.
제2회전축(1614)은, 상기 제2격벽(1606)에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축(1624)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분쇄날(1626)과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분쇄날(16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회전축(1614)은,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스프링부재(1618)를 통해 탄성을 받으며, 제1회전축(1624)과 제2회전축(1614)의 사이에 사과, 감, 밤 등의 딱딱한 재질이 삽입되면 탄성을 부여하여 각 회전축(1612,1622)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의 분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미생물 캡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캡슐형 미생물액(300), 미생물액 공급부(200), 전기히터봉(212), 외부급수부, 미생물액 투입부, 수통(190), 히팅부 및 분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액은 캡슐형 미생물액(30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형 미생물액(300)은 액체에 포함되되, 상기 교반익(122)의 회전에 의해 외력으로 유막 캡슐(310)이 터지면서 상기 유막 캡슐(310) 내부의 미생물(330)이 분사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형 미생물액은 유막 코팅된 캡슐(310)의 내부에 다수개의 미생물(330)이 보관되어 있고 유막 캡슐(310)은 외력에 의해 서서히 파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유막 캡슐(310) 내부의 가로와 세로가 0.3T인 임의의 단면(320)을 살펴볼 때, 상기 임의의 단면 중, 0.1T 부분의 미생물(330)만 터지고 나머지 부분은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의해서 서서히 터지거나, 시간 차를 둔 외력에 의해서 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330)이 터질 때 상기 유막 캡슐(310)에 담긴 미생물 입자가 최대한 멀리 분사될 될 수 있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최대한 넓은 면적에 교반될 수 있는 캡슐형 미생물액(3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액 공급부(200)는 미생물액이 저장되는 용기 몸체(210), 용기 뚜껑(22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몸체(210)는 미생물액을 저장한다.
상기 용기 뚜껑(220)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용기 뚜껑(220)은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공(224)과 물 또는 미생물액이 배출되는 제1유출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생물액 공급부(20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ET병을 사용하여, 상기 챔버(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유지 관리 시 필수 사항인 미생물 보충을 특별한 기술 없이 사용자가 미생물액 용기를 직접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관리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용기 뚜껑(220)의 제1유입공(224)은 물이 유입되는 구멍에 긴 관을 삽입하여 용기의 몸체 내부로 물이 주입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 뚜껑(220)의 제1유출공(222)은 물 또는 미생물액이 배출되는 구멍에 상기 긴 관 보다 짧은 관을 삽입하여 미생물액을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330)은 호기성 미생물로 공기 중에 산소가 존재하면 되고, 호기성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속도가 빠르고 유기물을 이산화탄소와 열로 바꾸기 때문에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가 혐기성 미생물에 비해서는 현저히 적게 발생한다.
상기 전기히터봉(212)은 상기 용기 몸체에 삽입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생물을 히팅한다.
상기 전기히터봉(212)은 상기 용기 몸체에 보관된 미생물액에 열을 가하여 미생물이 활성화되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 외부급수부는 외무 물탱크, 분기관, 제1밸브(132), 제2밸브(134), 제3밸브(136)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물탱크는 챔버(100)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분기관은 상기 외부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분기한다.
상기 제1밸브(132)는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유입공(224)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2밸브(134)는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2분무급수장치(184)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3밸브(136)는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3분무급수장치(186)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1밸브(132), 상기 제2밸브(134), 상기 제3밸브(136)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액 투입부는 제1밸브(132), 제1급수관(225) 및 제2급수관(2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밸브(132)는 상기 챔버(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외부급수관과 제1급수관(225)을 연결하여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1급수관(225)은 상기 제1밸브(132)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제1유입공(224)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2급수관(223)은 상기 제1유출공(222)으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수통(190)에 형성된 제2유입공(192)으로 전달한다.
상기 수통(190)은 빈 함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유입공(192)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유출공(196)이 형성된다.
상기 수통(190)은 빈 함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유입공(192)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유출공(196)이 형성된다.
상기 수통(190)은 상기 제2유입공(192)으로부터 물 또는 미생물액을 유입받아 제2유출공(196)을 통하여 분무부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통(190)은 히팅장치(198)를 부착하여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는 상기 수통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히팅하는 히팅장치(198)를 통해 상기 제2유입공(192)으로부터 유입된 미생물액에 열을 가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분무부는 제1분무급수장치(182),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186), 고압분사장치(188)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무급수장치(182)는 상기 챔버(100)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교반망(126)을 향해 상기 제2유출공(196)으로부터 유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분사한다.
상기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186)는 상기 챔버(100)의 타측 내벽에 형성되고 교반망(126)을 향해 물 또는 미생물액을 분사한다.
상기 고압분사장치(188)는 상기 교반망(126)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3밸브(136)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126)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한다.
상기 제1분무급수장치(182)와 상기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186)는 상기 교반망(126)의 상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186)는 챔버(100) 내부가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미세입자 물을 분무한다.
상기 고압분사장치(188)는 상기 교반망(126)의 타공(127)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는 고압분사기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통(190)은 타측에 제3유출공을 더 형성하고 상기 챔버(100)의 타측 내벽에 형성된 제2분무급수장치(18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분무급수장치(184)는 상기 제3유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상기 교반망(126)을 향해 분사한다.
상기 제1분무급수장치(182)와 상기 제2분무급수장치(184)는 교반망(126)에 유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액을 골고루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챔버(100), 사용자 단말기(2000), 및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를 더 포함한다.
챔버(100)는 교반익(122), 교반축(124), 교반모터(120), 온도 센서(150), 밸브부(130), 출력부(140) 및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교반익(122)은 복수개가 직각으로 상기 교반축(124)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모터(120)가 상기 교반축(124)의 일측에 연결되어 교반축(124)을 회전시키며, 이러한 교반모터(120)의 회전이 교반축(124)을 회전시키고 교반축(124)에 고정된 교반익(122)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액상의 미생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된다.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교반모터(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밸브부(130)는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더 포함하고, 물을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교반모터(120)와 상기 밸브부(130)를 제어하고, 교반모터 제어부(1100),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 밸브부 제어부(1000),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 이상유무 판단부(1300), 메모리부(1400), 펌웨어 모듈(1500), 및 통신부(1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는 상기 교반모터(120)에 교반모터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교반모터(120)를 작동시키고 상기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는 상기 교반모터(120)로 상기 교반모터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상기 교반모터(120)의 RPM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교반모터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는 상기 밸브부(130)로 밸브부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130)를 작동시키고 상기 밸브부(130)의 수압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는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에서 상기 밸브부(130)로 상기 밸브부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의 수압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밸브부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는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와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와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 상태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교반모터(120)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교반모터 중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고,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밸브부 작동신호와 상기 밸브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상기 밸브부 작동신호와 일치하도록 작동하는지 비교하고,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로 밸브부(130) 중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제2밸브, 또는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고,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140)는 오류 정보를 그래픽,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출력 형태가 가능하여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이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의 조기진단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고장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교반모터(120)와 밸브부(130)의 고장을 조기에 자가 진단을 통해 작동을 중지시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더 큰 고장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0)는 일정 간격으로 분할된 하나 이상의 온도 범위, 및 각 온도 범위에 대응되는 교반모터(120)의 RPM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온도 센서(150)에서 상기 교반모터(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상기 온도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면, 상기 메모리부(14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RPM 데이터와 상기 온도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 측정 데이터가 해당하는 온도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RPM 데이터로 상기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400)는 미리 설정된 제1 최대 온도 범위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150)로부터 수신한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최대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교반모터 중지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교반모터(120)의 온도가 내려가서 정상적인 작동이 다시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온도 센서(150)로부터 수신한 온도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제2 최대 온도 범위 이하로 되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교반모터 작동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교반모터(120)를 다시 작동시키도록 요청한다.
여기서, 제1 최대 온도 범위 및 제2 최대 온도 범위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미리 설정하는 온도이고, 바람직하게는 제2 최대 온도 범위가 제1 최대 온도 범위보다 일정 간격 낮도록 설정되어 교반모터(120)가 재가동을 시작하자마자 다시 제1 최대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교반모터(120)를 중지시키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에서 교반모터(120)가 직접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와 양에 따라서 교반모터(120)가 받는 부하가 달라지게 되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도중 과부하가 걸리거나 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이물질이 유입되면 교반모터(12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러한 과부하는 교반모터(120)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150)와 메모리부(1400)에 저장된 RPM 데이터를 이용하면 교반모터(120)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펌웨어 모듈(150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제어를 위한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를 제어하던 기존의 펌웨어 데이터를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로 업데이트 한다.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는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펌웨어 모듈(1500)에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이다.
이때, 펌웨어 구동 방식 및 펌웨어 업데이트 방식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펌웨어 데이터 및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는 각각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펌웨어 모듈(1500)은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와 통신하여 상기 펌웨어 데이터와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이 상기 펌웨어 데이터의 버전보다 높으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로부터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140)는 펌웨어 업데이트의 진행중, 완료, 또는 오류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140)는 진행중, 완료, 또는 오류 정보를 그래픽,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출력 형태가 가능하여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이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는 단말기 출력부(2100), 및 단말기 입력부(22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0)는 일반적으로 휴대폰 단말기, 스마트폰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되겠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면 사용자 단말기(2000)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에 저장된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및 상기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에 저장된 상기 밸브부 데이터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2000)는 수신한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및 상기 밸브부 데이터를 단말기 출력부(210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에서 상기 교반모터(120)에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상기 단말기 출력부(2100)를 통해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 중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제2밸브, 또는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상기 단말기 출력부(2100)를 통해 상기 밸브부(130)의 작동 중지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140)는 진행중, 완료, 또는 오류 정보를 그래픽,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출력 형태가 가능하여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이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 입력부(2200)는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사항을 포함하는 교반모터 제어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송신한다.
또한, 밸브부(130)의 제어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사항을 포함하는 밸브부 제어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로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서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 중지, 및 RPM 정보를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제2밸브, 또는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배의 개폐, 및 수압 정보를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 및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가 하는 역할을 원격으로 요청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셀프 고장 진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a를 참조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셀프 고장 진단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에서 교반모터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교반모터(120)를 작동시키고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에서 교반모터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교반모터(120)의 RPM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교반모터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에서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와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 상태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교반모터(120)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교반모터 중지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에서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로부터 상기 교반모터 중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도 20b를 참조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셀프 고장 진단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에서 밸브부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를 작동시키고 수압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에서 밸브부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밸브부(130)의 제1밸브 내지 제3밸브의 수압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밸브부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에서 상기 밸브부 데이터와 상기 밸브부(130)의 작동 상태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밸브부(130)의 제1밸브, 제2밸브, 또는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로 밸브부(130) 중지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에서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로부터 상기 밸브부(130) 중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밸브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a를 참조하여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에서 교반모터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교반모터(120)를 작동시키고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에서 교반모터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교반모터(120)의 RPM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교반모터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가 수신한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 출력부(210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는 상기 교반모터(12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교반모터 중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고, 상기 교반모터(120)가 중지되는 것 또한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 출력부(210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사항을 입력하면 요청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교반모터 제어 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송신한다.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는 상기 교반모터 제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교반모터 제어 요청신호에 따라서 교반모터(120)를 제어한다.
도 21b를 참조하여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에서 밸브부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내지 제3밸브를 작동시키고 수압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에서 밸브부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밸브부(130)의 제1밸브 내지 제3밸브의 수압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밸브부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밸브부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가 수신한 상기 밸브부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 출력부(210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상유무 판단부(1300)는 상기 밸브부(13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로 밸브부(130) 중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내지 제3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밸브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고, 상기 밸브부(130)가 중지되는 것 또한 상기 밸브부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 출력부(210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사항을 입력하면 요청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밸브부 제어 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로 송신한다.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는 상기 밸브부 제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밸브부 제어 요청신호에 따라서 밸브부(130)의 제1밸브 내지 제3밸브 중 하나 이상의 밸브를 제어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펌웨어 모듈(1500)이 상기 통신부(1600)를 통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로부터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펌웨어 모듈(1500)에서 상기 펌웨어 데이터와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 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의 버전보다 높으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3000)에서 통신부(1600)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펌웨어 모듈(1500)에서 저장되어 있는 펌웨어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로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펌웨어 업데이트가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모터의 회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온도 센서(150)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 교반모터(120)의 회전 제어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교반모터 제어부(1100)에서 교반모터(120)에 상기 교반모터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교반모터(120)를 작동시키고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상기 온도 센서(150)에서 교반모터(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온도 측정 데이터를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송신한다.
상기 메모리부(1400)에 저장된 온도 범위에 대응되는 교반모터(120)의 RPM 데이터로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상기 온도 센서(150)에서 측정한 교반모터(120)의 온도가 상기 메모리부(1400)에 미리 설정된 제1 최대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상기 교반모터 중지신호를 송신하여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제1 최대 온도 범위를 초과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교반모터(120)의 제어를 유지하도록 한다.
교반모터(120)가 작동 중지 상태이고, 상기 온도 센서(150)에서 측정한 교반모터(120)의 온도가 상기 메모리부(1400)에 미리 설정된 제2 최대 온도 범위 이하로 되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에 교반모터 작동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교반모터(120)를 다시 작동시키도록 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이력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4a를 참조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작동 이력 기록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에서 교반모터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교반모터(120)를 작동시키고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상기 온도 센서(150)에서 교반모터(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송신한다.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에서 상기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1400)에 저장된 온도 범위에 대응되는 RPM 데이터로 교반모터(120)의 RPM을 제어한다.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에서 교반모터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교반모터(120)의 RPM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교반모터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온도 센서(150)에서 측정한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1 최대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교반모터 중지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교반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교반모터(120)의 온도가 내려가서 정상적인 작동이 다시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온도 센서(150)로부터 수신한 온도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2 최대 온도 범위 이하로 되면 상기 교반모터 제어부(1100)로 교반모터 작동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교반모터(120)를 다시 작동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150) 및 상기 메모리부(1400)를 통한 교반모터(120)의 중지, 작동, 및 RPM 조절 정보도 교반모터 데이터에 포함되므로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에 해당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b를 참조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작동 이력 기록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부 제어부(1000)에서 밸브부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밸브부(130)의 제1밸브 내지 제3밸브를 작동시키고 수압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에서 밸브부 작동신호가 송신된 내역, 및 밸브부(130)의 제1밸브 내지 제3밸브의 수압이 제어된 내역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밸브부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 및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에서 각각 교반모터(120), 및 밸브부(130)의 작동 이력을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로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1120), 및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1220)에 저장된 이력을 통해서 고장이 발생한 시점, 및 고장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0)는, 버튼부(142,144) 및 기판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버튼부(142,144)는, 상기 챔버의 전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된다.
여기서, 버튼은, 배양모드 스위치(142)와 슬립모드 스위치(1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부(미도시)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전면에 형성되고, 각 스위치와 각 버튼이 서로 매칭되도록 위치하며, 특정 버튼이 입력되어 상기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스위치가 눌리면 상기 스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신호에 따라 상기 챔버(100)를 구동한다.
여기서, 기판부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는, 기판부를 통해 특정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특정신호에 해당하는 LED를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하우징 100: 챔버
102: 바닥부 104: 물받이부
120: 교반모터 122: 교반익
124: 교반축 126: 교반망
127: 타공 130: 밸브부
132: 제1밸브 134: 제2밸브
136: 제3밸브 140: 출력부
142: 배양모드 스위치 144: 슬립모드 스위치
150: 온도 센서 160: 유입부
161: 투입구 162: 제1경사
163: 유입홀 164: 나사산
165: 유입구 166: 제2경사부
167: 배출부 168: 배출부개폐밸브
1602: 제3격벽 1604: 제1격벽
1606: 제2격벽 1608: 제4격벽
1612: 제2모터 1614: 제2회전축
1616: 제2분쇄날 1618: 스프링부재
1622: 제1모터 1624: 제1회전축
1626: 제1분쇄날 1636a: 삽입면
1636b, 1636c: 이송면 170 바이패스관
172: 제1홀 174: 제2홀
180: 분무부 181: 분사홀
182: 제1분무급수장치 183: 주변분사홀
184: 제2분무급수장치 186: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
188: 고압분사장치 190: 수통
192: 제2유입공 196: 제2유출공
198: 히팅장치 200: 미생물액 공급부
210: 용기 몸체 212: 전기히터봉
220: 용기 뚜껑 222: 제1유출공
223: 제2급수관 224: 제1유입공
225: 제1급수관 300: 캡슐형 미생물액
310: 유막 캡슐 320: 임의의 단면
330: 미생물 1000: 제어부
1100: 교반모터 제어부 1120: 교반모터 데이터 저장부
1200: 밸브부 제어부 1220: 밸브부 데이터 저장부
1300: 이상유무 판단부 1400: 메모리부
1500: 펌웨어 모듈 1600: 통신부
2000: 사용자 단말기 2100: 단말기 출력부
2200: 단말기 입력부 3000: 펌웨어 업데이트 서버

Claims (3)

  1.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액상의 미생물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액상의 미생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유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직교하여 형성되며 제1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제1분쇄날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통해 좌우 이송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격벽 및 제2격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분쇄날과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분쇄날이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면 이송면이 삽입되는 삽입면;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면 삽입면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바닥면을 개방시키고, 상기 실린더가 완전 이완되면 상기 삽입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바닥면을 완전밀폐시키는 이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면은,
    상기 삽입면에 삽입되거나 돌출되고 제2이송면이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제1이송면; 및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1이송면에 일부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제2이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상의 미생물은,
    액체에 포함되되, 캡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생긴 외력으로 유막 캡슐이 터지면서 상기 유막 캡슐 내부의 미생물이 분사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되는 미생물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생물액이 저장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공과 물 또는 미생물액이 배출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된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미생물액 공급부;
    상기 챔버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물탱크와, 상기 외부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분기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유입공으로 물을 공급하는 제1밸브와,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제2밸브와,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고압분사장치로 공급하는 제3밸브를 포함하는 외부급수부;
    상기 용기 몸체에 삽입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생물액을 히팅하는 전기히터봉;
    상기 챔버의 일측에 위치하여 외부급수관과 제1급수관을 연결하여 물을 공급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1밸브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제1유입공으로 전달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수통에 형성된 제2유입공으로 전달하는 제2급수관을 포함하는 미생물액 투입부;
    빈 함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유출공 및 제3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유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상기 교반망을 향해 분사하는 제2분무급수장치가 상기 챔버의 타측 내벽에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수통;
    상기 수통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히팅하는 히팅패드를 통해 상기 제2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된 물 또는 미생물액에 열을 가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히팅부; 및
    상기 챔버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출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교반망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무급수장치와, 상기 챔버의 타측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출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 또는 미생물액을 교반망을 향해 분사하는 미세입자 물 분무장치와, 상기 챔버 내부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의 타공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는 고압분사장치를 가지는 분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분무급수장치 및 제2분무급수장치는,
    일측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해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측 및 상측이 일정각도 절삭되어 형성되는 분사홀; 및
    상기 분사홀이 형성된 부근에 형성되어 분사홀이 설치된 주변에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사홀은,
    일측 및 타측이 일정각도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169612A 2015-12-01 2015-12-01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12A KR101703172B1 (ko) 2015-12-01 2015-12-01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12A KR101703172B1 (ko) 2015-12-01 2015-12-01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172B1 true KR101703172B1 (ko) 2017-02-06

Family

ID=5810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612A KR101703172B1 (ko) 2015-12-01 2015-12-01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1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21B1 (ko) 2020-03-23 2021-01-26 박정배 음식물 처리용 교반 겸용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20220091643A (ko) 2020-12-23 2022-07-01 주식회사 라움 알림기능을 가진 가열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20115455A (ko) 2021-02-10 2022-08-17 이수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146A (ko) * 2000-08-29 2002-03-07 최춘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63845A (ko) * 2003-12-18 2005-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싱크대에 설치가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0B1 (ko) * 2014-12-05 2015-08-24 주식회사 멈스전자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146A (ko) * 2000-08-29 2002-03-07 최춘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63845A (ko) * 2003-12-18 2005-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싱크대에 설치가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0B1 (ko) * 2014-12-05 2015-08-24 주식회사 멈스전자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21B1 (ko) 2020-03-23 2021-01-26 박정배 음식물 처리용 교반 겸용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20220091643A (ko) 2020-12-23 2022-07-01 주식회사 라움 알림기능을 가진 가열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20110706A (ko) 2020-12-23 2022-08-09 주식회사 라움 기저정된 알림시간에 따라 알림을 안내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 장치
KR20220115455A (ko) 2021-02-10 2022-08-17 이수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760B1 (ko) 물분사로 교반망의 타공을 세척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32785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KR101703172B1 (ko) 분쇄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60B1 (ko)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0572B1 (ko) 온도유지용 히팅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2B1 (ko)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유지용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0575B1 (ko) 호루라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2816B1 (ko)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761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8B1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87B1 (ko) 스위치 pcb와 회로 pcb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2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KR101703222B1 (ko) 온도 센서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교반모터의 rpm 제어 시스템
KR10182249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46770B1 (ko) 탄성부재와 칼날부재로 구비되는 교반익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6769B1 (ko)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98B1 (ko) 전기히터봉을 이용한 온도 유지 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42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4863B1 (ko) 스마트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703250B1 (ko)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무급수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1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94B1 (ko)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분사홀이 형성된 분무급수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3156B1 (ko) 미생물액 투입구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