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405Y1 -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405Y1
KR200252405Y1 KR2019980015067U KR19980015067U KR200252405Y1 KR 200252405 Y1 KR200252405 Y1 KR 200252405Y1 KR 2019980015067 U KR2019980015067 U KR 2019980015067U KR 19980015067 U KR19980015067 U KR 19980015067U KR 200252405 Y1 KR200252405 Y1 KR 200252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food waste
main body
motor
exhaus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228U (ko
Inventor
김회수
Original Assignee
보경하이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경하이텍 (주) filed Critical 보경하이텍 (주)
Priority to KR2019980015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40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405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용기에 설치되는 커터날과 회전하는 교반날개의 교차에 의하여 덩어리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습도감지센서가 직접 감지하여 모터, 교반기,배기팬과 전기히터를 정밀하게 제어하며, 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체인간격조절장치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교반 날개에 전달하는 체인이 늘어 날 경우에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여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리드스위치가 전원을 차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용기(35)를 둘러싸고 상부로 덮개(31)가 결합되는 본체부(30)와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기(20)와, 상기 본체부(30)와 내부용기(35)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멍(17)과, 유입된 공기를 배기팬(13)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구(18)와, 내부용기(35)의 저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38)와, 상기 배기팬(13)과, 모터(M), 전기히터(38), 배기팬(13)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장치(11)와, 상기 모터(M), 히터(38), 배기팬(13), 전기히터(38)를 제어하는 온도감지센서(46)와 습도감지센서(40)가 설치된 통상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35)의 상부에는 부도체의 절연판(42) 상부에 U 형상의 커터날(41)이 안치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40)는 커터날(41)의 하부에 부도체의 결합공(47)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판(42)이 내부용기(35)의 바닥면 상부에 안치되며, 상기 일측의 결합공(47)의 상부에는 절연와셔(44)를 관통하여 볼트(43)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4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45)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의 결합공(47)에는 상부에서 절연와셔(44)를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4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45)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M)의 하단부에는 지지부(28)가 본체부(30)의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8)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로드(26)로 이루어지는 체인간격조절장치(25)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30)에 덮개(31)가 접하는 상면에 리드스위치(33)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을 덮는 덮개(31)의 하부에는 리드스위치(3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자석(3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food sweeping management apparatus }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용기에 설치되는 커터날과 회전하는 교반날개의 교차에 의하여 덩어리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습도감지센서가 직접 감지하여 모터, 교반기,배기팬과 전기히터를 정밀하게 제어하며, 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체인간격조절장치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교반날개에 전달하는 체인이 늘어 날 경우에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여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리드스위치가 전원을 차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도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시키는 교반기(20)가 내부용기(35)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용기(35)에는 전면에서 공기를 내부용기(35)내에 유입시키는 흡기팬(12)과 상기 흡기팬(12)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 1히터(14)와 내부용기(35)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3)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35)의 저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제 2히터(1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교반기(20)와 흡기팬(12), 배기팬(13), 제 1히터(14) 및 제 2히터(15) 등을 조절하는 컨트롤 장치(11)와 상기 컨트롤 장치(11)를 조작하는 조정기판(10)이 설치된 본체부(30)가 상기 내부용기(35)를 감싸고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35)의 상면에는 내부용기(35)내의 공기가 배기팬(13)으로 빠져나갈 때 공기를 탈취하는 탈취기(16)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20)에는 다수개의 교반날개(22)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효균이 투입된 내부용기(35)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덮개를 닫은 후 전원을 공급하여 조정기판(10)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작동시키면, 내부용기(35)에 저장되어 있는 발효균과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날개(22)에 의해 교반되는 동시에 흡기팬(12)의 작동에 의해 외부에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 1전기히터(14)에 의해 더운 공기로 가열되어 내부용기(35)의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용기(35)의 저면에서는 제 2전기히터(15)가 발열을 시작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균이 교반된 내부용기(35)에 열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분해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흡기팬(12)과 제 1전기히터(14)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교반되는 발효균에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고온의 산소를 공급하여 발효균이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분해하도록 하며, 내부용기(35)의 저면에서 제 2전기히터(15)가 발열하여 전달되는 뜨거운 열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수분에 의한 교반날개(22)의 저항을 줄여서 교반날개(22)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한편, 수분의 제거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를 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 2전기히터(15)에 의하여 전달되는 더운 열기에 의해 증발되는 수분은 악취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내부용기(35)의 상면에 설치된 탈취기(16)를 거쳐 악취를 제거하고 난 후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발효 분해되어 부피가 감소되어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흡기팬(12)을 통하여 내부용기(35)로 공급되는 공기가 발효균에 충분히 공급되기도 전에 공기가 제 2전기히터(15)에 의해 빠른 시간에 데워져서 대류작용으로 인하여 배기팬(13)으로 배출되므로, 발효균에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시간이 충분치 못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1998-36989호(1998.08.05. 공개)에 기재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체부(30)내에 흡기팬(12)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제1전기히터(14)와 내부용기(35)의 저면에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제2전기히터(15)가 설치되고, 내부용기(35)에서 발생된 가스가 배기팬(13)의 회전에 의해 배출하는 배기구(18)가 설치되며, 내부용기(35)의 상부와 배기구(18)의 중간 부분에 온도센서(46)와 습도센서(40)를 설치하고, 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22)가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용기(31)에 투입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는 모터(M)의 회전에 의해 교반날개(22)가 회전하여 교반되며, 흡기팬(12)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는 1차로 제1전기히터(14)에 의해 가열되어 내부용기에 들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내부용기(3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차전기히터(15)에 의하여 재차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되어 건조되는 상태에서 교반날개(22)에 의해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산되는 열 및 습도의 양을 온도감지센서(46)와 습도감지센서(40)가 이를 감지하여 제1,2전기히터(14)(15)와 흡,배기팬(12)(13)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처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의 길이가 늘어날 때에도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므로 인하여 본체부를 분해하여 체인 교체하여야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온도감지센서를 내부용기의상부에 설치하고, 습기감지센서를 배기구의 중간 부분에 설치하므로하여 음식물 쓰레기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음식물 쓰레기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으므로 인하여 흡, 배기팬과 제1,2차전기히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와 후자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용기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 만이 설치되어 있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교반 만 가능할 뿐 분쇄가 불가능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제대로 발효시킬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전원에서도 전원이 차단되지 아니하여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하여 사용자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용기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커터날과 회전하는 교반날개의 교차에 의하여 덩어리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내부용기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습도감지센서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직접 감지하여 모터, 교반기,배기팬과 전기히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부의 바닥면에 체인간격조절장치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교반날개에 전달하는 체인이 늘어 날 경우에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체인을 교환하지 않고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체부의 상면에 리드스위치를 설치하며, 덮개의 아래면에는 자석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리드스위치가 전원을 차단하여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용기를 둘러싸고 상부로 덮개가 결합되는 본체부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기와, 상기 본체부와 내부용기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멍과, 유입된 공기를 탈취하여 배기팬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탈취기 및 배기구와, 내부용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와 상기 배기팬과, 모터, 전기히터, 배기팬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장치와, 상기 모터, 히터, 배기팬, 전기히터를 제어하는 온도감지 센서와 습도감지센서가 설치된 통상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에는 부도체의 절연판 상부에 U 형상의 커터날이 안치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는 커터날의 하부에 부도체의 결합공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판이 내부용기의 바닥면 상부에 안치되며, 상기 일측의 결합공의 상부에는 절연와셔를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의 결합공에는 상부에서 절연와셔를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하단부에는 지지부가 본체부의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로드로 이루어지는 체인간격조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덮개가 접하는 상면에 리드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덮는 덮개의 하부에는 리드스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의 작용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습도감지센서가 부착된 본고안의 내부용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내부용기에 커터날이 설치된 습도감지센서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체인간격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몸체부에 부착된 리드스위치와 덮개에 부착된 자석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정기판 11 : 컨트롤 장치 12 : 흡기팬
13 : 배기팬 14 : 제 1히터 15 : 제 2히터
17 : 흡기구멍 18 : 배기구 20 : 교반기
21 : 체인 22 : 교반날개 25 : 체인간격조절장치
26 : 이송로드 27 : 나사부 28 : 지지부
30 : 본체부 31 : 덮개 32 : 자석
33 : 리드스위치 34 : 리드스위치 단자 35 : 내부용기
38 : 카트리지 히터 39 : 안착공 40 : 습도감지센서
41 : 커터날 42 : 절연판 43 : 볼트
44 : 절연와셔 45 : 너트 46 : 온도감지센서
47 : 결합공 51: 관통공
F : 음식물 쓰레기 M : 모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의 작용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습도감지센서가 부착된 본고안의 내부용기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내부용기에 커터날이 설치된 습도감지센서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체인간격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몸체부에 부착된 리드스위치와 덮개에 부착된 자석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부호 48은 커터날(41)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제로 되어 있는 도전판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F)가 투입되는 내부용기(35)의 내부에서 모터(M)에 연설된 체인(21)에 의해 전달력을 얻어 음식물 쓰레기(F)와 발효균을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F)를 발효시키는 교반기(20)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20)에는 다수개의 교반날개(22)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용기(35)의 저면에는 내부용기(35)를 가열하는 전기히터(38)가 설치되며, 내부용기(35)와 본체부(30)의 일측으로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멍(17)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용기의 타측으로는 전기히터(38)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탈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탈취기(16)와 배기팬(13) 및 배기구(18)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M), 히터(38), 배기팬(13) 등은 컨트롤 장치(11)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용기(35)를 둘러싸는 본체부(30)에는 상부로 덮개(31)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35)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6)와 내부용기(35)의 바닥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F)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40)가 컨트롤 장치(11)에 연결되며, 적어도 한 개이상의 안착공(39)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공(39)에 전기히터(38)가 상기 내부용기(35)의 저면에 설치된 구성으로 된다.
상기 내부용기(35)의 상부에는 부도체의 절연판(42) 상부에 U 형상의 커터날(41)이 안치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4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커터날(41)의 하부에 부도체의 결합공(47)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판(42)이 내부용기(35)의 바닥면 상부에 안치되며, 상기 일측의 결합공(47)의 상부에는 절연와셔(44)를 관통하여 볼트(43)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4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45)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의 결합공(47)에는 상부에서 절연와셔(44)를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4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45)에 의해 결합되고, 각각의 볼트(44)의 끝단부에 전선을 연결하여 컨트롤 장치(11)에 연결된다.
그리고, 체인의 늘어짐을 조절하는 체인간격조절장치(25)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모터(M)의 하단부에 관통공(51)이 형성되고, 관통공(51)의 전방으로는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28)가 본체부(30)의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51)과 지지부(28)를 관통하는 나사부(27)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8)에 나사 결합되는 이송로드(26)로 이루어지며,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본체부(30)에 덮개(31)가 접하는 상면에 리드스위치(33)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을덮는 덮개(31)의 하부에는 리드스위치(3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자석(32)이 설치되며 상기 리드스위치(33)가 컨트롤 장치(1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 관계를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 쓰레기(F)를 내부용기(35)에 투입하여 덮개(31)를 닫고 모터(M)을 작동시키면, 상기 내부용기(35)내에 설치된 교반기(20)와 교반기(20)에 연설된 교반날개(22)가 모터(M)의 회전력을 체인(21)에 의해 전달받아 교반기(20)가 회전을 하면서 내부용기(20)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F)와 발효균을 혼합하게 된다.
상기 교반기(20)가 음식물 쓰레기(F)에 교반작업을 하게 되면, 컨트롤 장치에서는 내부용기(20) 저면에 안착공(39)에 의하여 안착되어 발열되는 전기히터(38)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키는 동시에 흡기구멍(17)을 통하여 외부에서 내부용기(20)로 유입되어 진 외부공기는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증발된 습기와 혼합되어 고온다습해지며, 탈취기(16)에 의해 탈취된 고온다습해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기팬(13)을 가동하여 상기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배기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내부용기(20)내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46)를 작동하여 지속적으로 온도를 체크하여 내부용기(20)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기히터(38)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은 종래의 흡기팬을 통하여 내부용기(35)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던 것과는 달리 흡기구멍(17)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기까지는 컨트롤 장치(11)가 배기팬(13)의 작동을 저속으로 운전하므로 발효균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F)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효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고안에 설치되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즉 불필요한 구성요소인 흡기팬(12)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설치된 습도감지센서(40)는 양측 볼트(43)의 끝단부가 전선에 의하여 각각 컨트롤 장치(1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볼트(43)는 절연판(42)과 절연와셔(44)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분을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F)가 투입되어 교반날개(22)에 의해 혼합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F)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음식물쓰레기(F)가 커터날(41)과 교반날개(22)에 의해 분쇄될 때 음식물쓰레기(F)에 내포되어 있는 수분이 커터날(41)과 일체로 되어 있는 금속성의 도체인 도전판(48)에 분포되며, 이 수분에 의해 도전판(40)의 전기 저항값이 변화된다. 즉, 음식물쓰레기(F)에 내포된 수분이 많을 경우에는 도전판(48)의 전기저항이 적어지며, 음식물쓰레기(F)에 내포된 수분이 적을 경우에는 도전판(48)의 전기저항이 커지게 됨으로써 음식물쓰레기(F)에 내포된 수분에 비례하여 변화되는 도전판(48)의 저항값을 볼트(43)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통하여 컨트롤장치(11)에서 읽어들여 프로그램 연산에 의해 음식물쓰레기(F)의 습도를 정확하게 판독하여 수분의 함량이 많을 때는 전기히터(38)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고, 수분의 함량이 미달되어 발효균이 음식물 쓰레기(F)를 완전히 발효시켰을 때는 전기히터(38)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배기팬(13)을 미속(微速)으로 가동시켜 내부의 건조하고 고온의 공기를 천천히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외부공기를 천천히 유입하며 음식물 쓰레기(F)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표면으로 일정한 양으로 베어나오면 습도감지센서(40)가 전기저항을 감지하여 컨트롤 장치(11)에 의하여 전기히터(38)를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F)를 발효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습도감지센서(40)에 설치된 U형의 커터날(41)은 교발날개(22)가 음식물 쓰레기(F)를 교반시킬 때 교발날개(22)와 커터날(41)이 어긋나게 교차하면서 음식물 쓰레기(F)의 덩어리를 분쇄 또는 흠집을 만들어서 흠집부분이나 잘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곳곳에 발효균을 골고루 침투시켜 더욱 활발하게 음식물 쓰레기(F)를 발효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체인간격조절장치(25)는 모터(M)와 교반기(20)를 연결하는 체인(21)이 부하를 받아 체인(21)간의 사이가 벌어져 체인(21)전체의 길이가 늘어나서 느슨해지면 모터(M)의 회전력을 교반기(20)로의 원활하게 전달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때에는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체인(21)을 팽팽하게 조절해 주는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모터(M)의 본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51)의 전·후방에서 본체부(30)의 바닥판에 마련된 지지부(28)에 연결되어 나사부(27)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로드(26)를 돌리면 상기 나사부(27)와 지지부(28)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송로드(26)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모터(M)가 전후로 이동하므로서 체인(21)을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장력을 조절하여 팽팽한 상태로 만들어서 모터(M)에서 교반기(20)에 원활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본체부(30)의 상면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33)는 덮개(31)가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32)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32)의 자력에 의하여 리드스위치(33)에 있는 리드스위치단자(34)가 접점되어 컨트롤 장치(11)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31)를 개방하면 리드스위치단자(33)의 접점부가 떨어지므로 컨트롤 장치(11)에서도 전원이 끊어져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F)를 투입할 때 자동적으로 전원을 끊어주는 역할을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며, 장시간 운전을 시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 잊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방치해 두었을 때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본 고안의 리드스위치(33)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장치(11)에 전달하여 제어프로그램이 전원을 차단하여 운전을 중단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과다사용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전력낭비를 미연에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용기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커터날과 회전하는 교반날개의 교차에 의하여 덩어리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내부용기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습도감지센서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직접 감지하여 모터, 교반기, 배기팬과 전기히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본체부의 바닥면에 체인간격조절장치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교반날개에 전달하는 체인이 늘어 날 경우에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체인을 교환하지 않고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의 상면에 리드스위치를 설치하며, 덮개의 아래면에는 자석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리드스위치가 전원을 차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용기(35)를 둘러싸고 상부로 덮개(31)가 결합되는 본체부(30)로 이루어지며, 음식물 쓰레기(F)가 투입되는 내부용기(35)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M)에 연설된 체인(21)에 의해 작동되는 교반기(20)와,
    상기 본체부(30)와 내부용기(35)에 형성되어 내부용기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멍(17)과, 상기 흡기구멍(17)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구(18)와, 상기 내부용기(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히터(38)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탈취하며 외부로 방출하는 탈취기(16) 및 배기팬(13)과,
    상기 모터(M), 히터(38), 배기팬(13)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장치(11)와, 상기 내부용기(35)의 저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38)와,
    상기 모터(M), 히터(38), 배기팬(13), 전기히터(38)를 제어하는 온도감지센서(46)와 습도감지센서(40)가 설치된 통상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35)의 상부에는 부도체의 절연판(42) 상부에 U 형상의 커터날(41)이 안치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40)는 커터날(41)의 하부에 부도체의 결합공(47)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판(42)이 내부용기(35)의 바닥면 상부에 안치되며, 상기 일측의 결합공(47)의 상부에는 절연와셔(44)를 관통하여 볼트(43)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4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45)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의 결합공(47)에는 상부에서 절연와셔(44)를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부도체의 절연와셔(4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너트(45)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M)의 하단부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고, 관통공(51)의 전방으로는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28)가 본체부(30)의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51)과 지지부(28)를 관통하는 나사부(27)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8)에 나사결합되는 이송로드(26)로 이루어지는 체인간격조절장치(25)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용기(35)의 바닥저면으로 절연와셔(44)가 끼워져서 너트(45)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볼트(44)의 끝단부가 컨트롤 장치(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0)에 덮개(31)가 접하는 상면에 리드스위치(33)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을 덮는 덮개(31)의 하부에는 리드스위치(3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자석(3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980015067U 1998-08-11 1998-08-11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252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67U KR200252405Y1 (ko) 1998-08-11 1998-08-11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67U KR200252405Y1 (ko) 1998-08-11 1998-08-11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28U KR19980065228U (ko) 1998-11-25
KR200252405Y1 true KR200252405Y1 (ko) 2002-10-31

Family

ID=6951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067U KR200252405Y1 (ko) 1998-08-11 1998-08-11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4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98B1 (ko) 2013-02-08 2014-04-08 서우람 2중 안전수단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846B1 (ko) * 2008-01-31 2014-07-24 코웨이 주식회사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98B1 (ko) 2013-02-08 2014-04-08 서우람 2중 안전수단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28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55550A (ja) 生ごみ乾燥処理機
KR200252405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0841516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0354711B1 (ko) 식당용 음식 폐기물 균체 발효 건조사료 제조장치
KR100216211B1 (ko) 교반기 히터를 지닌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09338A (ko) 교반 겸용 분쇄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3275717A (ja) 廃棄物処理装置
KR100216207B1 (ko) 투입보관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903469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2881429B2 (ja) 生ゴミ処理機
JP3696133B2 (ja) 厨芥処理機
KR200155148Y1 (ko) 간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162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발효제어방법
JP2005296915A (ja) 生ごみ処理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方法
KR100216208B1 (ko) 혼합발효에 의한 전기절약형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19990002681A (ko) 유기질 쓰레기의 소멸화 처리장치
KR1002268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발효보조제 파쇄장치
KR100202913B1 (ko) 열풍건조방식을 겸비한 발효식 잔반처리기
JPH1147723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1500345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16960A (ko) 동절기 온도보상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JPH10174895A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1998004591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H09285775A (ja) 生ごみ処理装置
JPH09314111A (ja) 生ゴ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