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636A - 비행형 해충 트랩 - Google Patents

비행형 해충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636A
KR20180025636A KR1020160112560A KR20160112560A KR20180025636A KR 20180025636 A KR20180025636 A KR 20180025636A KR 1020160112560 A KR1020160112560 A KR 1020160112560A KR 20160112560 A KR20160112560 A KR 20160112560A KR 20180025636 A KR20180025636 A KR 2018002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trap
adhesive sheet
attractant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구
Original Assignee
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구 filed Critical 박진구
Priority to KR102016011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5636A/ko
Publication of KR2018002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8Solanaceae [Potato family], e.g. nightshade, tomato, tobacco or chilli pe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otan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형 해충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해충를 유인하는 유인제와 기피제로 구성되며 비행형 해충(모기, 말파리, 초파리, 파리, 나방)들이 기호/기피하는 액상오일을 통해 기피하는 액상오일을 통해 방향성 배리어(barrier)를 만들고 이렇게 모아진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제와 비행형 해충을 잡는 끈끈이가 포함된 해충 트랩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비행형 해충 트랩 {A trap for flying type harmful insects}
본 발명은 비행형 해충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행형 해충 기피제와 유인제가 결합되고 유인제를 통해 포집된 모기, 말파리, 나방류 등의 해충 트랩을 통해 포집함으로써 접착성을 지닌 시트에 비행형 해충을 포집하고 해충으로 오염된 시트의 완전 및/또는 부분 교체가 편리한 해충 트랩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 및 환경파괴로 인해 매년 해충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되고 있는데, 특히 비행형 해충을 통해 동물 전염병(예: 말라리아, 지카 바이러스, 황열병 등)이 많이 발생되어 그로 인해 많은 인적 물적 피해가 크게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도시화로 인해 해충을 구제하는 조류 및 식물들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천적들이 사라지고 있고, 도시에 방치된 옥상, 하수구, 폐비닐 등에 고여 있는 빗물과 오-폐수들로 인해 해충들의 산란장이 많아져서 해충들이 더욱 창궐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속적인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대도시의 열섬효과와 기온상승으로 일년생 해충들의 활동일수가 증가하면서 지하실, 정화조를 통해 겨울을 나게 되어 다년살이가 가능해져서 그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비행형 해충들은 대부분의 경우 성장과 번식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살충 방제를 하더라도 바로 개체수가 사라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모기, 말파리, 나방류 등의 비행형 해충의 이동속도는 모기가 시속 3km~ 5.4km, 파리가 시속 39 ~ 90km에 이를 정도로 매우 빠른 편인데, 예를 들어 모기의 경우 가장 발전된 형태의 비행 생물의 정점인 잠자리 바로 다음 가는 비행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공중상태에서 호버링(hovering : 비행하는 기체가 일정한 고도를 유지한 채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며, 호버링 상태에서 가속, 감속 및 후진이 가능하기에 순간 회전 속도가 사람의 안구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특성이 있다.
그리고 비행형 해충은 비행시 고유의 활동영역을 가지고 있어서 그 활동영역 내에서는 서로간의 공간을 침입하지 않고 단체로 비행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매번 감시를 통해 포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살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실내외로 유입되는 비행형 해충들을 제거하기 위해 기존에는 살충제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는데, 크게 스프레이형, 코일형, 전기 훈증형 등의 제품이 분류되고 있는데 대부분 화재에 취약하고 사용후 환기가 필수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해충약들은 그 성분을 이루는 화학물질들이 대부분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으로 되어 있어서 흡입 및 피부접촉시 발진과 호흡곤란, 간질환 등 중독되는 부작용과 유독 성분 및 중독현상 등으로 인한 유해성 때문에 사용 제한을 받을 형편에 처해 있다.
살충제 종류 중에 하나인 연무형 살충제 한 개를 실내에서 다 태웠을 경우 담배 75~137 개비를 피웠을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양의 '미세분진'과 51개비 담배 분량의 '포름알데하이드'가 발생된다. 특히 연무형 살충제가 연소 되는 과정에서 매우 자극적이고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들이 다량 배출되기 때문에, 근처에 있는 사람은 '비스클로로 메틸에테르(BCME)'라는 매우 강력한 폐암 유발물질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친환경적이고 어린이 및 유아에게도 사용하기 좋은 해충 기피-퇴치제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도1의 표에는 기존의 모기 기피제 제품들의 성분과 지속시간 및 장단점이 정리되어 있다. 도1을 참고하면, 기존에 시판되는 모기 유인제 제품들은 시트에 유인약품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으나, 도포-건조시에 유인성분의 방향과 성능이 반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사람의 몸에서 발생되는 체취(이산화탄소 및 젖산, 적외선등)와 체온을 통하여 해충이 유인되는 현상을 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해충을 잡을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한 비행형 해충 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은 기피제(증류수, 에탄올, 계피향 오일, 아로마 오일, PVA, 카리기난이 포함된)겔을 통하여 해충이 예상 이동 경로에 붙여서 해충의 접근을 차단과 해충의 회피비행를 통해 포집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고, 포집기안에 내장된 유도제(젖산, 이산화탄소, 식초, 과일향 액상)를 통해 해충을 접착시트에 유도하여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 트랩은 포집기의 크기 대비 표면적을 넓힌 접착시트를 통해 공간대비 표면적을 늘려서 접착시트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톱니형태의 클립기어의 결합/교체를 통해서 오염부분이 심한 부분(해충의 사체 및 먼지 등)을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 트랩은 기피제 방향으로부터 회피한 해충들을 일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곤충들이 좋아하는 방향 성분의 유도제와 체온과 유사한 발열팩을 이용하여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서 해충들이 흡혈 대상으로 착각을 일으키게 하여 해충을 유도하며, 또한 발열팩의 발열로 인해 유도제의 숙성 효과와 방향성을 높이면서, 해충들에게 체온과 유사한 적외선을 발산하여 해충들의 유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도포되는 해충제의 구성성분은 기피제와 유도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피제는 증류수, 에탄올, 계피향 오일, 아로마 오일, PVA, 카리기난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제는 젖산, 이산화탄소, 효모, 드라이아이스, 이스트, 설탕, 식초, 과일향 액상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은 기존에 해충제는 인체에 유해한 합성 화학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심각한 중독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방향성 해충 유도제와 기피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충 퇴치에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로서 허브, 아로마, 계피, 쑥, 향나무, 토마토 등을 이용한 해충의 기피제와, 해충들을 유도하는 방향 유도제(젖산, 이산화탄소, 드라이아이스, 효모, 이스트, 설탕, 과일향 액상, 식초 등)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 기피제는 천연 식물을 추출해 만든 방향성 오일과 액상과 에탄올, PVA, 카라기난 등을 혼합하여 만든 인체에 무자극 기피제이며, 상기 방향 기피제는 특히 곤충에만 작용하는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특히 제한된 공간에 기피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피제 방향으로부터 회피한 비행형 해충들을 일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곤충들이 좋아하는 방향 성분의 유도제와 체온과 유사한 발열팩을 이용하여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서 해충들이 흡혈 대상으로 착각을 일으키게 하여 해충을 유도한다. 또한 발열팩의 발열로 인해 유도제의 숙성 효과와 방향성을 높이면서, 비행형 해충들에게 체온과 유사한 적외선을 발산하여 해충들의 유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반적인 해충 끈끈이는 포집시 해충의 사체나 해충알 붙어 있어서 시각적으로 혐오스러움을 불러일으키며 사체 부패 및 분해 시 곰팡이균과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공기 중에 노출된 끈끈이의 경우 공기 중에 산란된 비산먼지, 해충의 사체, 오염물질 등으로 접착력이 떨어져서 해출의 방제 효과가 떨어지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여 포집된 해충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공기의 순환이 가능한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미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에 사용되는 접착시트는 폴리부덴 45~55 중량%, 수첨수지 15~20 중량%, C5 석유수지 5~10 중량%, C9 석유수지 5~10 중량% 및 EVA수지 10~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은 기피제를 엘리베이터나 현관등 밀폐된 환경에 부착시킴으로써 비행형 해충을 막는 공기차단벽 역할을 하며, 또한 침입한 비행형 해충이 좋아하는 방향 유도제를 통하여 해충 포집이 되도록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도1은 기존의 모기 기피제의 성분과 지속시간 그리고 장단점을 정리한 표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사용되는 기피제, 유인제 및 제거제의 기능과 성분을 정리한 표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을 건물내 엘리베이터 출입구 쪽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의 모기 포집기(1) 구조를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의 결합기어(2)와 접착시트(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있어서 포집기 결합 기어(2)의 형태를 분류한 예를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있어서 포집기 접착시트(5)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있어서 포집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비행형 해충트랩을 결합완료한 상태의 포집기(1)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에 포함된 결합기어(2)와 결합시트(3)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사용되는 기피제, 유인제 및 제거제의 기능과 성분을 정리한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트랩은 기피제(증류수, 에탄올, 계피향 오일, 아로마 오일, PVA, 카리기난이 포함된)겔을 통하여 해충이 예상 이동 경로에 붙여서 해충의 접근을 차단과 해충의 회피비행를 통해 포집기까지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고, 포집기안에 내장된 유도제(젖산, 이산화탄소, 식초, 과일향 액상)를 통해 해충을 접착시트에 유도하여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에 사용되는 기피제는 PVA, 계피 등 천연재료를 베이스로 한 젤리형 방향제이며, 분산된 해충을 한쪽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기능을 한다. 그리고 유인제는 해충을 끌어들이기 위한 이산화탄소 및 젖산 방향제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은 이 유인제에 의해서 해충들을 유도하고 포집하는 준비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거제는 유인제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종이 끈끈이로서 해충을 포집 및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인제와 제거제는 각각 1개씩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을 건물내 엘리베이터 출입구 쪽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해충이 가정에 유입되는 가장 큰 방법 중의 하나는 엘리베이터를 통해 집안에 침투하는 것인데,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은 바닥에서 20cm 떨어진 위치에 해충 기피 효과를 가진 기피제를 다수 부착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해충들이 해충 유인제(해충들이 좋아하는 젖산 및 이산화탄소 발생기)를 통해 모이게 한다. 그리고 이렇게 모인 해충들은 접착력을 가지 나선형의 시트지에 붙게 된다.
모기의 감지능력은 젖산(20m), 이산화탄소(10m) 감지가능하며 아파트형의 공간에서 모기의 이동수단의 최대 10m까지 날수 있으며, 대부분은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는 숙주(인간)의 의류 및 가방에 붙어서 이동합니다. 이러한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복도, 계단 하단에 모기가 싫어하는 기피제를 부착하고 상단에는 모기가 좋아하는 유인제 성분들(젖산, 이산화탄소, 드라이아이스, 효모, 이스트, 설탕, 과일향 액상, 식초 등)을 부착하여 모기를 유도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의 모기 포집기(1) 구조를 설명한다.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은 모기 포집기(1)에 의해서 수집된 모기들이 일부 개방성(타공)을 지닌 밀폐된 박스 안에 방향성을 지닌 모기유인제(4)를 통해 들어오고, 유입된 모기들은 스크류 형태로 결합된 교환이 가능한 접착시트들(3)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기 유인제는 발열제와 모기 유인제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사람의 몸에서 발생되는 체취는 이산화탄소 및 젖산으로 구성되며, 사람의 체온에 의해서 적외선 등이 방출되는데, 비행형 해충은 이러한 체취와 적외선 등에 의해서 유인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해충의 유인 원리를 적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해충을 잡을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기피제는 증류수, 에탄올, 계피향 오일, 아로마 오일, PVA, 카리기난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기피제는 젤 형태로 제작하여 비행형 해충트랩의 내부에 놓아두며, 이러한 비행형 애충트랩을 해충의 예상 이동 경로상에 놓아두게 되면, 해충은 유인제 성분에 의해서 해충 포집기 쪽으로 유인된다.
상기 비행형 해충트랩의 포집기 안에 내장된 유도제는 젖산, 이산화탄소, 식초, 과일향 액상 성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유도제 성분에 의해서 해충이 접착시트 쪽으로 유도되며 포집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의 결합기어(2)와 접착시트(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3)는 타공되어 있고, 방향성(芳香性)을 위해 일부 타공된 접착시트(3)를 결합하기 위하여 기어 형태의 플라스틱 클립들(2)에 결합되어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있어서 포집기 결합 기어(2)의 형태를 분류한 예를 도시한다. 도6의 그림<a>, <b> 및 <c>에는 각각 원형, 사각형 및 별 모양으로 된 결합 기어들(2)의 형상이 예시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있어서 포집기 접착시트(5)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포집기 접착시트(5)는 표면에 끈끈이 성분이 도포되어 있어서 모기, 파리 등의 비행형 해충들이 접촉하면 단단히 붙어서 도망갈 수 없게 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에 있어서 포집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을 참고하면, 포집기 상부 커버에는 유인제 방향홀들(6)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의 유인제 성분들이 외부로 퍼져 나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케이스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접착시트들(3)이 결합기어(2)를 중심으로 빙 둘러서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세워져 있다. 그리고 바닥판에는 유인제(7)와 발열팩(8)이 설치되어 있다.
도9는 도8의 비행형 해충트랩을 결합완료한 상태의 포집기(1)의 사시도이다. 도8의 포집기 구성품들을 결합하면 도9와 같이 되는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유인제 방향홀들(6)을 통해서 유인제 성분들이 외부로 빠져 나가 퍼지므로 모기, 파리 등의 비행형 해충들을 유인할 수 있으며, 그렇게 끌어들인 비행형 해충들은 유인제 방향홀(6)을 통해 포집기 케이스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접착시트에 부착되어 포집하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에 포함된 결합기어(2)와 결합시트(3)의 사시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시트지와 톱니형의 톱니형의 결합기어들은 플라스틱 클립 기어 구조를 통해서 부분적으로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며, 또한 다 쓴 시트지는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행형 해충트랩은 톱니형태의 클립기어 사이에 접착 시트를 결합함으로써 접착 시트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은 포집기의 크기 대비 표면적을 넓힌 접착시트를 통해 공간대비 표면적을 늘려서 접착시트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특히 톱니형태의 클립기어와 접착시트를 쉽게 결합 및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염부분이 심한 부분(예를 들어 해충의 사체 및 먼지 등이 묻은 부분)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형 해충트랩은 기피제 방향으로부터 회피한 해충들을 일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곤충들이 좋아하는 방향 성분의 유도제와,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발열팩을 이용하여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환경을 만듦으로써 해충들이 흡혈 대상으로 착각을 일으키게 하여 해충을 유도한다. 그리고 발열팩의 발열로 인해 유도제의 숙성 효과와 방향성을 높이면서, 해충들에게 체온과 유사한 적외선을 발산하여 해충들의 유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 모기포집기 2: 결합기어
3: 접착시트 4: 모기유인제
5: 포집기 접착 시트 6: 유인제 방향홀
7: 유인제 8: 발열팩

Claims (4)

  1. 클립 기어의 연결이 가능한 낱개 교체가 가능한 형태의 표면적을 넓힌 접착력이 있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시트의 표면에는 유인제가 도포되고, 상기 유인제는 폴리부덴 45%~55 중량%, 수첨수지 15~20 중량%, C5 석유수지 5 중량%, C9 석유수지 5 중량% 및 EVA 10% 10~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형 해충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와 결합될 수 있고 또한 교체가 가능한 톱니형 클립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형 해충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의 방향성과 숙성을 돕고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적외선을 발산하는 발열제를 포함하는 핫팩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는 철가루를 중심 으로한 금속 산화물 70~80 중량%, 활성탄 5~15 중량%, 펄라이트 0.5~5 중량%, 염화나트륨 5~15 중량%, 발열온도 유지 및 지연제 1~10 중량%, 그리고 소디움 폴리 아크릴 레이트 5~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온도 유지 및 지연제는 붕산 및 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형 해충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방향성분이 들어있는 천연식물(허브, 로즈제라늄, 박하, 유칼립투스, 계피, 쑥, 향나무, 토마토) 액상 오일과 에탄올, PVA, 카라기난가 첨가된 것이고, 상기 방향 성분의 방향 성분의 유도제는 젖산, 이산화탄소, 드라이아이스, 효모, 이스트, 설탕, 과일향 액상, 식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형 해충트랩.
KR1020160112560A 2016-09-01 2016-09-01 비행형 해충 트랩 KR20180025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60A KR20180025636A (ko) 2016-09-01 2016-09-01 비행형 해충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60A KR20180025636A (ko) 2016-09-01 2016-09-01 비행형 해충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636A true KR20180025636A (ko) 2018-03-09

Family

ID=6172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560A KR20180025636A (ko) 2016-09-01 2016-09-01 비행형 해충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5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318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티아이씨 포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318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티아이씨 포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0727B2 (ja) 害虫駆除
US9089121B2 (en) Fly attractant system with toxicant-treated cords
JP4602549B2 (ja) 害虫を抑制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60270393A1 (e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H0286725A (ja) 飛ぶ昆虫、特に、食料品に被害を与える蛾の捕獲器
AU3985700A (en) Insect killer
US20140007488A1 (en) Passive Flycatcher
CN110024786B (zh) 一种诱蚊组合物及其应用
US20210076654A1 (en) Insect Trapping Instrument
KR20160008284A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US20190110460A1 (en) Pillar device for adhesive insect capture with bird guards
KR20180025636A (ko) 비행형 해충 트랩
JP6073760B2 (ja) 捕虫装置
JP2006311802A (ja) 虫取り器
KR20110099941A (ko) 꽃매미 방제를 위한 유인제 및 기피제
US20230270096A1 (en) An automated mosquito host bio-mimicking device
JP2002153192A (ja) 飛来昆虫捕獲器
CN103621516B (zh) 一种引诱德国小蠊的活性组分及其制备方法
KR200495811Y1 (ko) 해충 유인형 포충시트
WO2018078638A1 (en) An improved delta trap for insects
CA2758344A1 (en) Fly attractant system with toxicant-treated cords
US20200154690A1 (en) An insect trap
KR20140039566A (ko) 해충 퇴치용 끈끈이
WO2014040720A1 (en) Insecticidal aerosol
WO2000003594A1 (en) Combination mosquito killing system and insect attr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