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578A -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578A
KR20180024578A KR1020160111035A KR20160111035A KR20180024578A KR 20180024578 A KR20180024578 A KR 20180024578A KR 1020160111035 A KR1020160111035 A KR 1020160111035A KR 20160111035 A KR20160111035 A KR 20160111035A KR 20180024578 A KR20180024578 A KR 20180024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emg
posture
emergency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진
임채현
최종석
김현덕
김호중
오수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1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578A/ko
Publication of KR2018002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또는 EMG 정보를 통해 추정한 사용자의 상태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제공하는 응급상황 관리부를 포함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DEVICE FOR MANAGING EMERGENCY BASED ON LOCATION, POSE, MOTION INFORMATION AND EM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응급상황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간질이나, 산모의 조기진통(수축)과 같은 근육 관련 질병의 경우 사람의 실제 이상 상황 발생 몇 분전이라도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 상황 발생 몇 분이라도 사전에 감지를 할 경우,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국공개특허 제10- 2015-0115524호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특히 간질이나 산모의 조기진통과 같은 근육계 이상 상황에 대한 사전 검지가 매우 중요하다. 문제는 근육계 이상 상황을 측정할 수 있는 근전도센서(EMG센서)의 경우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때문에 활동에 따라 매우 큰 노이즈를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응급상황이라는 것이 1분 1초의 신속성이 생명임을 감안할 때, 효과적으로 응급상황임을 감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또는 EMG 정보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상태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제공하는 응급상황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의 이동경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EMG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응급상황 안내정보는 경고음 또는 응급상황 발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련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응급구조대, 지역 보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응급상황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승인기관에 전송하고, 승인기관의 승인 후,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 있다.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EMG 정보를 통해 확인한 사용자의 상태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의 이동경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EMG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응급상황 안내정보는 경고음 또는 응급상황 발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련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응급구조대, 지역 보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응급상황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승인기관에 전송하고, 승인기관의 승인 후,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신속한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 감지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실시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100)는 모니터링부(110),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 및 응급상황 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500)는 장치(1000)와 타 장치간의 통신 또는 장치(1000) 내 구성요소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 방식의 경우 WLAN, Wibro, Wi-Fi, WIMAX, HSDPA 등이 이용할 수 있으며, 추가로 블루투스, 지그비, UWBm, RFID,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10)는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GPS, RFID, WIFI 등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서 획득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부(110)는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다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EMG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EMG 값이 정상인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니터링부(110)는 EMG 정보를 구간별로 사용자의 EMG 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10)는 다른 센서(예컨대 카메라와 같은 비접촉 센서, 지자기, 가속도 센서와 같은 웨어러블 센서 등)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 및 행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모니터링부(110)는 획득한 센서정보(위치, 자세, 행동 및 EMG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확인된 사용자의 상태는, 평온, 거실에 있음, 거실에 누워있음, 침대에 누워있음, 욕실에 엎드려 있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 사용자가 욕실에 엎드려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EMG(Electromyography)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EMG 센서에의해 획득될 수 있다. EMG 센서는 복수의 센서전극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의 블록도이다.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EMG 정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는 EMG 정보 처리부(121) 또는 위치정보 처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의 이동경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11)에 대한 소정의 지역(A)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소정의 지역(A)를 벗어나게 되면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정보 처리부(122))는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행동 패턴이 일정한 노약자나 어린이가 특별한 사정없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특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소정의 지역(A)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근거로 설정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는 관리자에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EMG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 값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EMG정보가 소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징후가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EMG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소정 범위를 모두 벗어난 경우에만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응급상황 안내정보는 경고음 또는 응급상황 발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응급상황 발생 정보는 현재 획득된 EMG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위치 이탈" 또는 "EMG 신호가 미약함"과 같은 정보가 응급상황 발생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응급상황 관리부(130)는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위치 및 EMG 정보의 획득 대상이 되는 당사자이다. 관련자는 사용자의 보호자, 응급구조대, 지역 보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응급상황 관리부(130)는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사용자(11) 또는 관련자(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1)에 대한 응급상황 안내정보 제공은 사용자(11)의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가정내 통신기기)를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10)는 응급상황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는 응급상황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함이다. 카메라는 사용자의 가정내 설치된 홈 카메라이거나, 특정 지역에 설치된 CCTV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쓰러진 경우 이를 확인하고 신속히 구조를 시작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카메라 구동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소지가 크기 때문에 소정의 절차를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부는,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승인기관에 전송하고, 승인기관의 승인 후,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승인기관은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분석하여 카메라 구동이 필요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은 상술한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의 구성요소도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00),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EMG 정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는, 사용자가 소정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의 이동경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사용자의 EMG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상황 안내정보는 경고음 또는 응급상황 발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상술한 관련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응급구조대, 지역 보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은 응급상황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승인기관에 전송하고, 승인기관의 승인 후,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또는 EMG 정보를 통해 확인한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제공하는 응급상황 관리부를 포함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의 이동경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EMG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응급상황 안내정보는 경고음 또는 응급상황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응급구조대, 지역 보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응급상황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승인기관에 전송하고, 승인기관의 승인 후,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8.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또는 EMG 정보를 통해 확인한 사용자의 상태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소정의 지역은 사용자의 이동경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EMG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응급상황 안내정보는 경고음 또는 응급상황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응급구조대, 지역 보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응급상황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응급상황 안내정보를 승인기관에 전송하고, 승인기관의 승인 후,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방법.
KR1020160111035A 2016-08-30 2016-08-30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24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35A KR20180024578A (ko) 2016-08-30 2016-08-30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35A KR20180024578A (ko) 2016-08-30 2016-08-30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78A true KR20180024578A (ko) 2018-03-08

Family

ID=6172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035A KR20180024578A (ko) 2016-08-30 2016-08-30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99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99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kherjee et al. Patient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e-health monitoring architecture
US201702315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a medical condition in patients
US85387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lift usage
WO2017105692A1 (en) Patient care systems employing control devices to identify and configure sensor devices for patients
CN105408903A (zh) 处理医学设备的警报信号
CN105007463A (zh) 一种老年公寓的综合管理系统及管理方法
JP2015154920A (ja) 体調管理プログラム及び体調管理システム
JP2016091309A (ja) 警告通知システム及び警告通知方法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20190326020A1 (en) Video Conferencing and Virtual Appointments
CN106448055B (zh) 一种监控报警的方法及装置
KR20210080829A (ko) Ict기반 감염병 자가격리자 원격 감시시스템
KR20180024578A (ko) 위치, 자세, 행동 정보 및 emg 정보를 기초로 한 응급상황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58468B1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실시간 응급 구조 시스템
JP6854630B2 (ja) 解析装置、通知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87389B1 (ko)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1617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JP2019144730A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
Bocicor et al. Cyber-physical system for assisted living and home monitoring
JP2009061221A (ja) 健康監視システム、健康監視方法および健康監視プログラム
Rajwade et al. Wearable sensors based pilgrim tracking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JP4901674B2 (ja) 滞在状況監視システム、滞在状況監視サーバ及び滞在状況監視方法
KR20160117934A (ko) 뇌파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관리 시스템
Shanmugam et al. Arduino Based IOT Platform for Remote Monitoring of Heart Attacks and Patients Falls.
JP6509172B2 (ja) ストレスモニ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