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7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472A
KR20180024472A KR1020160110744A KR20160110744A KR20180024472A KR 20180024472 A KR20180024472 A KR 20180024472A KR 1020160110744 A KR1020160110744 A KR 1020160110744A KR 20160110744 A KR20160110744 A KR 20160110744A KR 20180024472 A KR20180024472 A KR 20180024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er
housing
air conditioner
plana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11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472A/ko
Publication of KR2018002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2003/1614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구 또는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면상히터를 포함하여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조가 단순하게 유지되며 장치도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구 또는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면상히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 중에 하나인 공기청정가습기는 공기 청정(정화)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흔히 '에어 워셔(Air washer)' 또는 '습식 공기정화기'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공기청정가습기는 수조에 약간 잠겨 회전하는 디스크 조립체에 송풍팬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불어넣으면, 흡인된 공기가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황사,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꽃가루 등이 디스크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에 포획된 다음 수조 안의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도록 하는 한편,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은 물은 송풍에 의해 자연 증발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기존의 공기청정가습기는 복수의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 모양이 원 기둥 형태를 이루는 디스크 조립체와, 이 디스크 조립체의 상부에 송풍팬을 배치한 형태로서, 이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300)의 흡입그릴(330)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여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 사이로 통과 유도함으로써,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막에 포획되어 수조(100)에 고인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고, 이렇게 하여 깨끗해진 공기는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으로부터 증발하는 공기와 함께 케이스(300)의 토출그릴(350)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미설명부호 340은 변형방지돌기이다.
종래의 공기청정가습기에는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히터부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히터장착패널과 히터하우징 등이 구비되어야 하여 히터부가 차지하는 부피가 크며 구조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3552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258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피가 작으며 구조가 단순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부와,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면상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면상히터와 마주하는 면에는 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흡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터지지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히터지지체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지지체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 중 하나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상히터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면상히터는 은나노 면상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가습을 위한 초음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공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흡입구의 둘레에 배치되는 면상히터를 포함하여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조가 단순하게 유지되며 장치도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면상히터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소용돌이 모양의 유로에 상기 면상히터를 연속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어서 설치도 용이하다.
상기 면상히터와 마주하는 면에는 핀이 설치되어, 열전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흡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터지지체에 설치되어,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히터지지체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지지체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 중 하나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상기 히터지지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면상히터는 은나노 면상히터로 구비되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가습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부와,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미도시)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면상히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조화부가 하우징(1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조립체(9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우징(10)은 디스크조립체(9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조 역할을 하는 하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12)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2)의 양측 하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는 전후방향 길이가 길게 하나 형성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 길이가 짧게 여러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크조립체(90)는 하부 하우징(1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은 디스크조립체(9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부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디스크조립체(90)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크조립체(90)와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동부는 종래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면상히터(33)는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상부 하우징(1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면상히터(33)는 상기 흡입구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면상히터(33)는 면상히터 조립체(30)를 통해 상부 하우징(12)에 설치된다.
면상히터 조립체(30)는 면상히터(33)보다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는 히터지지체(31)와, 히터지지체(31)에 설치되는 면상히터(33)를 포함한다.
히터지지체(31)의 내측면을 따라 면상히터(33)가 설치된다. 플렉서블한 띠형상의 면상히터(33)는 양면테이프 등을 통해 히터지지체(31)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히터지지체(31)의 외측면과 상부 하우징(12) 중 하나에는 체결돌기(32)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32)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히터지지체(31)는 상부 하우징(12)의 상기 흡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면상히터 조립체(30)의 교체나 청소 등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돌기(32)는 히터지지체(31)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부 하우징(12)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흡입구에 연통된다.
체결돌기(32)는 히터지지체(31)의 전방과 후방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나아가, 히터지지체(31) 또는 상부 하우징(12) 중 하나에 스토퍼부재가 구비되어 면상히터 조립체(30)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면상히터 조립체(30)가 상부 하우징(12)에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히터지지체(3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소용돌이 모양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히터지지체(31)에는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35)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된다. 소용돌이는 원형 또는 각진형태가 될 수 있다. 원형 소용돌이는 중심(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곡선으로 굴곡진 모양을 의미한다. 각진형태 소용돌이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할수록 변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다각형(사각형 등) 모양으로 직선을 절곡시킨 모양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35)는 각진형태 소용돌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35)는 흡입구 역할을 한다.
또한, 면상히터(33)는 유로(35)를 형성하는 면에 유로(35) 모양으로 설치되어, 면상히터(33)도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된다. 즉, 면상히터(33)는 중심부부터 감아서 형성된다. 흡입되는 공기는 면상히터(33)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열된다.
히터지지체(31)에서 면상히터(33)와 마주하는 면인 외측면에는 핀(34)이 다수개 설치된다. 유로(35)에는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형성되는 핀(34)이 배치된다.
이러한 핀(34)으로 인해 열전달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면상히터(33)는 표면에 은나노 코팅된 은나노 면상히터로 구비된다.
면상히터(33)의 전원연결단자부(36)는 외측 끝단에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12)에는 전원연결단자부(36)와 공기조화기의 전원부를 연결하는 하우징 단자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 단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12)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면상히터 조립체(30)를 상기 흡입구에 끼워넣으면, 면상히터(33)의 전원연결단자부(36)와 상기 하우징 단자가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면상히터(33)에 전원이 공급되면 면상히터(33)가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35)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가열되어 공기의 흡입량이 증대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공기조화부는 가습을 위한 초음파 장치를 포함하거나 공기필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초음파 장치나 공기필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8317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99145호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하부 하우징 12 : 상부 하우징
30 : 면상히터 조립체 31 : 히터지지체
32 : 체결돌기 33 : 면상히터
34 : 핀 35 : 유로

Claims (10)

  1.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부;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면상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히터와 마주하는 면에는 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흡입구 또는 토출구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히터지지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히터는 상기 히터지지체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지지체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 중 하나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히터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히터는 은나노 면상히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부는 가습을 위한 초음파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부는 공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110744A 2016-08-30 2016-08-30 공기조화기 KR20180024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44A KR20180024472A (ko) 2016-08-30 2016-08-30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44A KR20180024472A (ko) 2016-08-30 2016-08-3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72A true KR20180024472A (ko) 2018-03-08

Family

ID=6172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744A KR20180024472A (ko) 2016-08-30 2016-08-3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4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828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空気調和機
JP4399469B2 (ja) 空気調和機
JP6328321B2 (ja) 空気調和機
CN108105881B (zh) 柜机
JP6351825B2 (ja) 空気調和機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80046797A (ko) 공기 조화기
KR20180024472A (ko) 공기조화기
KR20100128772A (ko) 공기조화기
JP2003021356A (ja) 空気調和機
JP2007021352A (ja) 空気清浄機
JP2012154556A (ja) 空気調和機
KR101886026B1 (ko) 공기조화기
JP5040866B2 (ja) 空調機
JP271407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ユニット
JP6008083B2 (ja) クロスフローファン
WO2016143004A1 (ja) 空気清浄装置及び機器
CN107345689B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4565969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006589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0311860B1 (ko) 공기조화기
JP4867953B2 (ja) 空気調和機
JP2007183074A (ja) フィルター清掃装置
KR20030000418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장착구조
CN112833463A (zh) 空气调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