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01A -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401A
KR20180024401A KR1020160110534A KR20160110534A KR20180024401A KR 20180024401 A KR20180024401 A KR 20180024401A KR 1020160110534 A KR1020160110534 A KR 1020160110534A KR 20160110534 A KR20160110534 A KR 20160110534A KR 20180024401 A KR20180024401 A KR 2018002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resent
continuous phase
cationic
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713B1 (ko
Inventor
조영석
신지식
박승한
최동원
김선영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1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713B1/ko
Priority to PCT/KR2017/009422 priority patent/WO2018044035A1/ko
Publication of KR2018002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오일 캡슐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오일 캡슐은 분산상을 세라믹 분리막을 통하여 연속상 내로 투과시켜 얻어지는 것 이고, 상기 분산상은 양이온성 오일 및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상은 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OIL IN 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은 계면중합법, 상분리법, 기중현탁피복법, 정전합체법, 분무건조법 등이 있으며, 보통 알부민, 젤라틴, 전분 등의 천연고분자와 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의 합성고분자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활성물질을 코팅, 캡슐화(encapsulation) 등의 방법으로 포집하여 외부환경과 격리 및 서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다중유화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진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은 미세유체공정 또는 이를 이용한 기기의 복잡하고 조작을 필요로 하였으며, 그에 따라 마이크로캡슐의 수율도 높지 않았다.
또한, 다중유화법 등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경우, 캡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어려워 단분산도가 떨어지고, 일반 유화 제형과 외관 상 큰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은 간편한 공정으로 높은 수율로 단분산도가 우수하면서도,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오일 캡슐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오일 캡슐은 분산상을 세라믹 분리막을 통하여 연속상 내로 투과시켜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분산상은 양이온성 오일 및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상은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이온성 오일 및 비극성 오일을 분산상을 이용하여 오일 캡슐을 연속상 내에 분산시킴으로써, 단분산도가 우수한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미세유체공정 또는 이를 이용한 기기의 복잡하고 정교한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높은 수율로 미세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첨가 없이도 오일을 안정화할 수 있으며, 수상에 분산 또는 용해하는 경우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기능성 원료에 대하여도, 오일 캡슐로 오일상에 분산함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오일 캡슐 내에 펄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수중유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시 화사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의 제형 내 오일 캡슐 분산 상태를 확대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제형 내 오일 캡슐 분산 상태를 실측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의 명칭은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미국화장품협회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서 발행한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에 등재된 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Name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해당 명칭이 INCI Name 중 존재하지 않으면,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제정한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하며,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화합물의 명칭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중유" (O/W, Oil in Water)는 내상이 오일상이고, 외상이 수상인 화장료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캡슐 및 연속상을 포함한다.
오일 캡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상을 세라믹 분리막을 통하여 연속상 내로 투과시켜 얻어지는 오일 캡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캡슐" (capsule)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격벽 (barrier)으로 인하여, 격벽 내부와 격벽 외부의 물질 전달 (mass transfer)을 차단하거나 억제하는 구조의 담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일"(oil)은 상온 및 상압의 상태에서 물과 혼합시 오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물을 포함하는 수상과 상이 분리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일 캡슐"은 오일이 격벽 구조를 이루는 담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의 평균 입경은 50 내지 200 μm이다. 상기 오입 캡슐의 평균 입경이 50 μm 미만이면, 제형 내에서 오입 캡슐의 육안 식별이 어려우며, 200 μm 초과이면, 제형 내 오일 캡슐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분산상을 세라믹 분리막을 통하여 연속상 내로 투과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리막은 산화알루미늄-산화규소 유리 다공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리막의 평균 기공 직경은 10 내지 50 μm이다. 상기 세라믹 분리막의 평균 기공 직경이 10 μm 미만이면, 제형 내에서 오입 캡슐의 육안 식별이 어려우며, 50 μm 이상이면 제형 내 오일 캡슐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산화규소 유리 다공체는 시라스 화산재 및 붕산의 혼합물을 가열 및 산처리 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라스 화산재"(Shirasu volcanic ash)는 일본 큐슈 남부 지방에서 산출되는 산화알루미늄-산화규소 유리 다공체인 화산재 석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캡슐은 상기 분산상을 상기 세라믹 분리막에 대하여 0.02 내지 0.05 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연속상 내로 투과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분산상을 연속상으로 액적 분사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산상
본 발명에 따른 분산상은 양이온성 오일 및 비극성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은 아민기를 가지는 분자량 1000 이하의 오일,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양이온성 실리콘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아민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6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를 가지는 분자량 1000 이하의 오일은 아마이드기가 아닌 아민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실리콘계 오일은 아모디메치콘,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디에스터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카보네이트계 오일, 알코올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스쿠알렌,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수소화 폴리(C6-14올레핀), 수소화 폴리데센, 파라핀, 세레신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호호바씨 오일, 디카프릴릭 카보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디에스터계 오일은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디카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디-C12-13 알킬 말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트리데실 스테아레이트, 네어펜틸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디카프리릴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네이트계 오일은 디알킬 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스테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틸옥타노인 및 트리카프릴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오일은 옥틸도데칸올, 2-부틸옥탄올, 2-헥실데칸올, 2-운데실펜타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릴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및 옥타메틸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를 포함한다. 상기 점증제가 카보머인 경우, 상기 분상상의 오일을 분산시키며 코아세르베이션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산상이 액적 계면에서 얇은 피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제형 내 오일 캡슐의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 : 비극성 오일의 중량비는 1 : 1 이상이고, 1 : 4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2 이상이고 1 : 3 이하이다. 상기 중량비가 1 : 1 미만이면 세라막 분리막을 통과 시 엉킴 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여, 형성되는 액정 캡슐의 단분상도가 크게 낮아지며, 1 : 4 초과이면,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형성된 오일 캡슐의 안정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은 포집 물질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포집 물질은 오일 캡슐 내에 담지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집 물질은 친유성 화합물이다. 상기 친유성 화합물은 오일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집 물질은 펄 성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펄 성분은 백운모 파우더, 합성운모 파우더, 견운도 파우더, 카올린 파우더, 이산화티탄 파우더, 산화티탄 피복 운모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파우더, 흑산화철 파우더 및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집 물질은 피그먼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그먼트는 산화티탄(titanium dioxide, TiO2),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철(iron oxide, FeO(), Fe2O3() 또는 Fe3O4()), 산화알루미늄(alumina, Al2O3), 황산바륨(barium sulfate, BaSO3), 이산화규소(silica, SiO2),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sericite)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연속상
본 발명에 따른 연속상은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은 점증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 구아검, 잔탄검,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소듐 히아루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점증제와 함께 분산상에 포함되어, 분산도를 증가시키며, 오일 캡슐이 부유하거나 오일 캡슐들이 서로 응집되는 현상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보존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수중유형 화장료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른 분산상을 혼합한 후, 혼합된 분상상을 가압하여 세라믹 분리막에 하기 표 2의 공정 조건 하에서 연속상으로 통과시켜 압출하여 수중유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 (phase) 성분 성분명 함량 ( 중량%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분산상 양이온성 오일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6 4 2.4 12
비극성 오일 스쿠알렌 6 8 9.6 -
포집 물질 녹차 효소(난용성 파우더) 0.005 0.005 0.005 0.005
연속상 색소 스쿠알렌*자근 추출물(SQUALANE*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 0.8 0.8 0.8 0.8
보존제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보존제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증점제 카보머 0.2 0.2 0.2 0.2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2 0.2 0.2 0.2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공정 항목 해당 항목의 공정 조건
가압압출기기 MCTech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IMK-20
가압압출기기에 설치된 세라믹 분리막 제조사/상품명 SPG Technology Co., Ltd.에서 제조된 상품명 SPG membrane
평균 기공 직경 50 ㎛
분리막의 두께 0.7±0.3 mm
분산상의 압출 압력 0.02 bar
분상상의 가압 기체 질소
연속상의 흐름 조건 연속상에 침지된 패들을 150rpm의 속도로 회전
압출 시 온도 조건 25 ℃
<시험예 1> 수중유형 화장료의 제형 안정도 관찰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제형 안전도를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은 제조 시 분리막에 일부 오일 캡슐이 엉킴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제형 내 오일 캡슐의 단분산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제형 내 오일 캡슐 분산 상태를 나타낸 도 1 (확대 사진: 우측 하단의 스케일바 길이 - 100 ㎛) 및 도 2 (실측 촬영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실시예 2는 제조 시 분리막에 오일 캡슐의 엉킴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제형 내 오일 캡슐의 단분산도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45 ℃의 고온에 노출 시에도 오일 캡슐의 변형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3은 상기 실시예 2와 제조 시 분리막에 오일 캡슐의 엉킴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제형 내 오일 캡슐의 단분산도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나, 45 ℃의 고온에 노출 시 일부 오일 캡슐의 손상이 발생하여 오일 캡슐의 안정도가 상기 실시예 2보다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은 제조 시 분리막에 대부분의 오일 캡슐이 엉킴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제형 내 오일 캡슐의 단분산도가 크게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후, 제형의 안정도를 관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제조 후 제형 안정도 ×
상기 표 3에서, ○는 조성물 내 오일 캡슐의 분산도가 일정함을 의미하고,△는 조성물 내 일부 오일 캡슐의 분산도가 일정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는 모든 오일 캡슐의 분산도가 일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Claims (6)

  1. 오일 캡슐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오일 캡슐은 분산상을 세라믹 분리막을 통하여 연속상 내로 투과시켜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분산상은 양이온성 오일 및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상은 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 : 비극성 오일의 중량비는 1 : 1 이상이고, 1 : 4 이하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은 아민기를 가지는 분자량 1000 이하의 오일,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양이온성 실리콘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아민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600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디에스터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카보네이트계 오일, 알코올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리막은 산화알루미늄-산화규소 유리 다공체로 이루어진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산화규소 유리 다공체는 시라스 화산재 및 붕산의 혼합물을 가열 및 산처리한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0534A 2016-08-30 2016-08-30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0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34A KR102506713B1 (ko) 2016-08-30 2016-08-30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9422 WO2018044035A1 (ko) 2016-08-30 2017-08-29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34A KR102506713B1 (ko) 2016-08-30 2016-08-30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01A true KR20180024401A (ko) 2018-03-08
KR102506713B1 KR102506713B1 (ko) 2023-03-07

Family

ID=6130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534A KR102506713B1 (ko) 2016-08-30 2016-08-30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6713B1 (ko)
WO (1) WO201804403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884A (ko) * 2018-11-22 2020-05-29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5554A (ko) 2020-05-25 2021-12-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오일 입자 및 파우더 과립을 포함하는 수분산타입 화장료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9129B1 (ko) * 2023-03-15 2023-07-25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 또는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8632A1 (en) * 2004-06-29 2007-10-25 Caroline Goget Highly Concentrated Self- Emulsifying Emulsion Bases Used for the Production of Oil-in-Water Emulsions
WO2009087199A1 (en) * 2008-01-09 2009-07-16 Akzo Nobel N.V. Stable emuls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60056843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8632A1 (en) * 2004-06-29 2007-10-25 Caroline Goget Highly Concentrated Self- Emulsifying Emulsion Bases Used for the Production of Oil-in-Water Emulsions
WO2009087199A1 (en) * 2008-01-09 2009-07-16 Akzo Nobel N.V. Stable emuls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60056843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ngwook Kim et al, "Technology Trend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Particles by SPG Technique", Elastomers and Composites, 2009, Vol.44, No.3, pp.222-231 *
VLADISAVLJEVIĆ, GORAN T. et al,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003, Vol.225, pp.15-23 *
염경호, "막유화법을 이용한 단분산 미립자의 제조와 응용", 한국과학재단, 2004.10.2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884A (ko) * 2018-11-22 2020-05-29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5554A (ko) 2020-05-25 2021-12-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오일 입자 및 파우더 과립을 포함하는 수분산타입 화장료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9129B1 (ko) * 2023-03-15 2023-07-25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 또는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713B1 (ko) 2023-03-07
WO2018044035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US6391288B1 (en) Microcapsu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993934B2 (ja) フィルム形成ポリマーを含む新規な化粧品組成物
WO2017164429A1 (ko) 에멀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527548A (ja) 粒子安定化組成物
WO2017003130A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1359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2506713B1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07613950A (zh) 皮脂吸附剂以及含有该皮脂吸附剂的化妆料
KR20090069370A (ko)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차단제가 포집된 지질 캡슐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JP6879670B2 (ja) シワ及び/又は毛穴の隠蔽用の外用組成物
CN105658195B (zh) 具有提高的不透明度的化妆品组合物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935B1 (ko)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4142B1 (ko) 폴리실세스퀴옥산과 에몰리언트를 함유한 피부보습과 주름완화에 효과적인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4307A (ko) 기능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젤 화장료 조성물
EP3777817A1 (en) Cosmetic agent comprising insoluble sub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081576B2 (ja) 化粧料
KR20190064212A (ko) 고형 지질 입자를 포함하는 립틴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3889B1 (ko)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048710B1 (ko) 생분해가 가능한 프럭토스 1,6-비스포스페이트 안정화 캡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09055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visible beads
JP7421290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