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300A -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300A
KR20180023300A KR1020160108382A KR20160108382A KR20180023300A KR 20180023300 A KR20180023300 A KR 20180023300A KR 1020160108382 A KR1020160108382 A KR 1020160108382A KR 20160108382 A KR20160108382 A KR 20160108382A KR 20180023300 A KR20180023300 A KR 20180023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setting
surveillance
network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996B1 (ko
Inventor
김현호
김경덕
심민정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96B1/ko
Priority to US15/446,717 priority patent/US11595376B2/en
Publication of KR2018002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06F16/84Mapping;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개체를 판독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SURVEILLANCE CAMERA SETTING METHOD, METHOD AND SYSTEM FOR SURVEILLANCE CAMERA MANAGE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자는 각 감시카메라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속 주소를 설정하고, 설정된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감시카메라에 접속 한 뒤 구체적인 설정항목에 대한 설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감시카메라의 설치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정확한 설치를 위해서는 반복하여 올바른 설치 및 설정이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38659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시카메라의 설치와 동시에 설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개체를 판독하여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하고, 외부장치의 설정값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설정값을 전송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설계 장치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 받아 감시카메라의 설정을 위한 개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전송하고, 감시카메라로 부터 설정값을 수신하여 해당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은,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개체를 판독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상기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주소,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체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은, 상기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시카메라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상태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모드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감시카메라에 전원 공급이 개시된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인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전부가 미설정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상의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를 감지하고,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 요청을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설정값의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가 전송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주소,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은, 상기 갱신된 매핑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은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판독하여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하고,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사용자의 입력 및 감시카메라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판독 가능한 개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설계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설계 장치가 생성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판독 가능한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시카메라의 설치와 동시에 설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개체를 판독하여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하고, 외부장치의 설정값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설정값을 전송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설계 장치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 받아 감시카메라의 설정을 위한 개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전송하고, 감시카메라로 부터 설정값을 수신하여 해당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계 도구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관계의 설정 화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네트워크 설계 도구가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의 예시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의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감시카메라(100), 사용자 단말(200),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 및 감시카메라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판독 가능한 개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에 의해 생성된 것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upter, PC)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 및 감시카메라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독 가능한 개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치는 제한 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감시카메라(100)에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전송하고, 감시카메라(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여 해당 감시카메라(100)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매핑데이터는 해당 감시카메라(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구조체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네트워크(500)상의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를 감지하고,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에 매핑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감시카메라로, 사용자에 의해 네트워크(500)에 새롭게 연결된 감시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 요청을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설정값의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가 전송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네트워크(500) 상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매핑데이터를 생성하고 갱신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갱신된 매핑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전술한 기능 외에, 감시카메라(100)로부터 감시카메라(100)가 획득한 영상을 수신하거나,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예컨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VMS(Video Management System),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NVR(Network Video Recorder) 및 DVR(Digital Video Recorder)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에 의한 전술한 설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 전에 수행될 수 있다. 가령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에 의한 전술한 설정은 사용자가 시스템의 설치 전에 가상으로 시스템을 미리 구성해 봄으로써 시스템의 이상유무 및 정상작동 유무 등을 사전에 확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전술한 설정에 기초하여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과 함께 감시카메라를 설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바꾸어말하면, 사용자는 시스템의 설계시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에 입력한 연결관계 및 설정 항목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제 감시카메라의 설치시 감시카메라의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500)는 감시카메라(100) 및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가 감시카메라(100)에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전송하고, 감시카메라(100)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에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네트워크(5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00)는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판독하여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100)는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외부장치는 예컨대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00)는 광학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0)는 빛(Light)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1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이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본 발명에서 영상으로 설명함)로 변환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통신부(120)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3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instructions),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4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3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에 외에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감시카메라(100)가 획득한 영상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감시카메라(100)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감시카메라(100)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후술하는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조건'은 감시카메라(100)가 전원 공급이 개시된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인 상태일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감시카메라(100)에 전원 공급이 개시된 시간으로부터 1000초 이내인 경우에만 감시카메라(10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조건'은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전부가 미설정 상태인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시카메라(100)에 구비된 초기화 버튼(미도시)에 의하여 감시카메라(100)의 모든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전부가 미설정 상태로 초기화된 경우, 제어부(130)는 감시카메라(10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시카메라(100)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후술하는 개체 인식을 수행하므로, 감시카메라(100)의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감시카메라(1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감시카메라(100)가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하는 객체일 수 있다. 예컨대 개체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및 바코드(Bar c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체는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는 객체이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객체는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문자로 기입한 문자열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포트(Port) 및 감시카메라(100)의 설치 정보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항목 일 수도 있다. 이 때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는 감시카메라(100)의 설치 위치에 관한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정보, 감시카메라(100)의 설치 위치에 관한 GPS 정보, 감시카메라(100)의 별칭 정보 및 기타 사용자가 감시카메라(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감시카메라(100)의 모델명 및 맥 어드레스(Mac Address)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없는 항목 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감시카메라(100)의 속성을 나타내는 항목이면 본 발명의 설정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하는 것은, 제어부(130)가 해당 영상에 인식 가능한 개체가 포함되어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개체가 QR 코드인 경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하는 것은 제어부(130)가 영상 내에 QR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인식된 개체를 판독하여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체'는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하는 객체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개체에 대한 소정의 판독 과정을 거쳐 설정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개체가 QR 코드이고, 설정 항목이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및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인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QR 코드를 판독하여 '192.168.10.10'과 같은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admin'과 같은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등과 같은 설정값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개채가 QR 코드이고, 설정 항목이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포트(Port)인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QR 코드를 판독하여 '80'과 같은 감시카메라(100)의 포트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을 위한 포트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100)가 개체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감시카메라(100)의 복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빠르고 간편하게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설정값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외부장치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로부터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감시카메라(100)의 설치 정보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가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사용자는 각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주소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각 감시카메라가 송출하는 영상을 확인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각 감시카메라의 복수의 설정항목을 개별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동일한 모델의 감시카메라가 복수개 사용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모델명만으로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식별하기 어려운 난점이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구별하기 위해 수 차례의 확인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설치될 감시카메라를 미리 지정하고, 각 위치 별 감시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개별적인 설정을 모두 마친 뒤, 지정된 감시카메라를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러한 방식은 특정 위치에 미리 지정된 카메라만을 설치해야 해서 감시카메를 배열하고 색출하는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감시카메라의 설치 시 감시카메라가 개체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각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와 같은 외부 장치에서 각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을 정확하게 확인할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카메라의 설치 시 설정항목을 바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모델이기만 하면 설치 위치에 상관 없이 임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비약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다.나아가 본 발명은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에 각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을 한 번만 입력하면 이후 각 감시카메라에 대한 설정 항목의 개별적인 입력이 불필요하므로,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S3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 연결관계 및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전술한 설정에 기초하여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S32) 이 때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전술한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할 수도 있고, 별도의 네트워크(미도시) 또는 기타 통신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100)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3) 이후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100)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S36)를 수행하도록 결정 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조건'은 감시카메라(100)가 전원 공급이 개시된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인 상태일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100)에 전원 공급이 개시된 시간으로부터 1000초 이내인 경우 감시카메라(10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조건'은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전부가 미설정 상태인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시카메라(100)에 구비된 초기화 버튼(미도시)에 의하여 감시카메라(100)의 모든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전부가 미설정 상태로 초기화된 경우,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10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100)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후술하는 개체 인식을 수행하므로, 감시카메라(100)의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감시카메라(1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네트워크(500)상의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를 감지하고,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4) 이 때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에 매핑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감시카메라로, 사용자에 의해 네트워크(500)에 새롭게 연결된 감시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 요청을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판독 가능한 개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35)
단계 S33에서 감시카메라(100)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로 판단된 경우,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100)가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 할 수 있다.(S36)
본 발명에서 '개체'는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는 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감시카메라(100)의 설치 정보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항목 일 수도 있다. 물론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감시카메라(100)의 모델명 및 맥 어드레스(Mac Address)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없는 항목 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감시카메라(100)의 속성 정보이면 본 발명의 설정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하는 것은, 제어부(130)가 해당 영상에 인식 가능한 개체가 포함되어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개체가 QR 코드인 경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하는 것은 제어부(130)가 영상 내에 QR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00)는 인식된 개체를 판독하여 감시카메라(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S37)
가령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개체가 QR 코드이고, 설정 항목이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인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QR 코드를 판독하여 '192.168.10.10'과 같은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admin'과 같은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등과 같은 설정값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100)가 개체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감시카메라(100)의 복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빠르고 간편하게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8)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설정값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S39)
가령 감시카메라(100)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로부터 감시카메라(100)의 네트워크(500)상에서의 주소,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100)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감시카메라(100)의 설치 정보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감시카메라(100)가 전송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에 기초하여 감시카메라(100)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S40)
이후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갱신된 매핑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시카메라(100)의 설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1)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일련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든 감시카메라(41 내지 47)를 각 공간에 설치한 이후에,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48)와 각 감시카메라(41 내지 47) 사이를 수 차례 왕복하며 각 감시카메라(41 내지 47)를 식별하고, 식별된 감시카메라(41 내지 47)에 각각의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완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은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48)를 조작하는 한 명의 사용자와 각 감시카메라(41 내지 47)를 조작하는 또 다른 한 명의 사용자가 음성통신 등을 이용하여 어떤 감시카메라가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48)를 설치하고, 각 감시카메라(41 내지 47)를 각 공간에 설치함과 동시에 감시카메라(41 내지 47)가 QR코드와 같은 개체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감시카메라의 설치와 설정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공간의 경우 사용자는 도시된 경로(40)와 같은 단 한번의 이동으로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정확하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관계의 설정 화면(50)의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50)은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작업창(51)과 작업창(51)에 추가 할 구성요소들이 표시되는 창(5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설치 전에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시스템을 미리 구성해 봄으로써 시스템의 이상유무,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 및 정상작동 유무 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작업창(51)에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포함시키고, 각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감시카메라와 같은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해당 구성요소의 설정 항목을 확인하고 각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는 사용자가 작업창(51)에 생성한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에 기초하여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가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의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주소,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항목 외에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 항목(6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 항목(61)과 나머지 항목들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QR코드와 같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어 감시카메라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술한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시스템을 미리 구성해 보고, 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에서 각 감시카메라별 정보를 QR코드와 같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감시카메라에 각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 화면(71, 72)의 예시이다.
먼저 첫 번째 화면(7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 설계 장치(400)가 생성한 데이터베이스(71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71)에 표시되는 데이터베이스(711)를 참조하여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71)의 설치시작 버튼(712)을 눌러 시스템의 설치를 시작할 수 있다.
설치가 시작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두 번째 화면(72)과 같이 데이터베이스(71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설정값을 참조하여 QR코드(721)와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72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72)에 표시된 감시카메라의 물리적 설치를 완료한 뒤, 곧바로 해당 감시카메라가 화면(72)의 QR코드(721)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감시카메라의 설정까지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 버튼(723)을 이용하여 이전 순서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화면으로 돌아가거나, 다음 순서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화면으로 넘어가거나 첫 번째 화면(71)과 같이 목록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면(80)의 예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80)은 네트워크 상의 감시카메라들이 표시되는 창(81), 선택된 감시카메라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창(82) 및 선택된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보여주는 창(8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감시카메라의 물리적 설치를 완료한 뒤, 해당 감시카메라가 화면의 QR코드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감시카메라의 설정까지 완료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에서 별도의 설정 없이 설치 된 감시카메라들을 확인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감시카메라들이 표시되는 창(81)에서 '안방 첫 번째 카메라(811)를 선택한 경우,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300)는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창(82)에 해당 카메라(811)의 상세 정보 및 해당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821)을 표시할 수 있고,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보여주는 창(83)에 해당 카메라(831)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감시카메라
200: 사용자 단말
300: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400: 네트워크 설계 장치

Claims (20)

  1.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개체를 판독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상기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주소,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시카메라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상태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개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모드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감시카메라에 전원 공급이 개시된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인 상태인,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전부가 미설정 상태인,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
  8. 네트워크상의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를 감지하고,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 요청을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설정값의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가 전송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주소,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갱신된 매핑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새롭게 감지된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10. 획득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개체를 판독하여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갱신하고,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사용자의 입력 및 감시카메라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판독 가능한 개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제공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의 매핑데이터를 갱신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각각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주소, 상기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상기 외부장치에서 감시카메라로의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 및 감시카메라의 설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상태가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개체를 인식하여 판독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에 전원 공급이 개시된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인 상태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 전부가 미설정 상태인,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7. 제10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설계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설계 장치가 생성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판독 가능한 개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08382A 2016-08-25 2016-08-25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68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82A KR102568996B1 (ko) 2016-08-25 2016-08-25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5/446,717 US11595376B2 (en) 2016-08-25 2017-03-01 Surveillance camera setting method, method of controlling an installation of a surveillance camera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82A KR102568996B1 (ko) 2016-08-25 2016-08-25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00A true KR20180023300A (ko) 2018-03-07
KR102568996B1 KR102568996B1 (ko) 2023-08-21

Family

ID=6124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82A KR102568996B1 (ko) 2016-08-25 2016-08-25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95376B2 (ko)
KR (1) KR102568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855B1 (ko) * 2019-07-09 2019-10-08 주형진 카메라 운용 환경의 최적화를 지원하는 영상 감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2631A (zh) * 2018-04-27 2018-10-26 宁夏佳圣工贸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监控系统
CN111600732B (zh) * 2019-02-20 2023-06-20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前端管理设备自动激活添加前端设备的方法及装置
US11190737B2 (en) 2020-04-30 2021-11-30 Genetec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video camera of a video surveillance environment
WO2023178046A1 (en) * 2022-03-18 2023-09-2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camera configu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4584A (ja) * 2008-11-05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装置
KR101386591B1 (ko) 2012-09-13 2014-04-28 서울특별시 성동구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US20140211018A1 (en) * 2013-01-29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configuration with machine-readable identifi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8159A1 (en) * 2007-02-16 2008-08-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and flexible surveillance visualization with context sensitive privacy preserving and power lens data mining
JP5269002B2 (ja) * 2010-06-28 2013-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メラ配置決定支援装置
KR101291780B1 (ko) * 2011-11-14 2013-07-31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시큐리티 보안용 카메라 및 그 오토 포커싱 제어방법
US9432633B2 (en) * 2011-12-28 2016-08-30 Pelco, Inc. Visual command processing
KR101443228B1 (ko) 2013-03-05 2014-09-23 유넷시스템주식회사 큐알코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자동 접속 방법
KR102053945B1 (ko) 2013-04-16 2019-12-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20150074309A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케이티 관리 서버, 등록 단말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 등록 방법
KR101460112B1 (ko) * 2014-06-11 2014-11-11 김산 동영상 출력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는 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KR102239012B1 (ko) 2014-11-07 2021-04-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패턴인식 에이브이엠 시스템
EP3096290B1 (en) * 2015-05-19 2018-07-18 Axis AB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amera pose
KR102454918B1 (ko) * 2016-01-11 2022-10-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475315B2 (en) * 2016-03-22 2019-11-12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surveillance cameras using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192414B2 (en) * 2016-03-22 2019-01-29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overlap detection in surveillance camera network
EP3487342A2 (en) * 2016-07-21 2019-05-29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layers, retention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4584A (ja) * 2008-11-05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装置
KR101386591B1 (ko) 2012-09-13 2014-04-28 서울특별시 성동구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US20140211018A1 (en) * 2013-01-29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configuration with machine-readable identifi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855B1 (ko) * 2019-07-09 2019-10-08 주형진 카메라 운용 환경의 최적화를 지원하는 영상 감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95376B2 (en) 2023-02-28
KR102568996B1 (ko) 2023-08-21
US20180063120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996B1 (ko)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44493B1 (ko) 타겟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20030B2 (en) Trace data recording system, trace data recording server, trace data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90134922A (ko) 허브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를 서버에 연결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40266639A1 (en) Automated mobile device configuration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CN109672720B (zh) 用于控制IoT装置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10200631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camera
JP2015115839A5 (ko)
US9900404B2 (en) Smart device-assisted diagnosis of operating statuses of consumer devices
US2014013369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ing watermark
CN103167258A (zh) 用于选择图像捕获装置上捕获的图像的方法、系统和设备
CN104349047A (zh) 图像拍摄设备及其拍摄方法
CN107817987B (zh) 一种硬件配置方法、系统、终端及服务器
US201400647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6034639B2 (ja) 機器情報表示装置、機器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機器情報表示方法
CN110505438B (zh) 一种排队数据的获取方法和摄像机
JP6249990B2 (ja) カメラ計画および位置決めのための統合された方法
KR101988639B1 (ko) 음식점 예약 시스템 및 방법
CN111294552A (zh) 图像采集设备确定方法及装置
KR20130109777A (ko) 얼굴 인식 기반의 근태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002264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o obtain and manage images of a property
CN109219044A (zh) 无线网络的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97156B2 (en) Electronic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52883B2 (en) Dynamic determination of hardware
KR101984070B1 (ko) 지능형 스테레오 영상 기반 시설물 진동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