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484A -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484A
KR20180022484A KR1020160107970A KR20160107970A KR20180022484A KR 20180022484 A KR20180022484 A KR 20180022484A KR 1020160107970 A KR1020160107970 A KR 1020160107970A KR 20160107970 A KR20160107970 A KR 20160107970A KR 20180022484 A KR20180022484 A KR 2018002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old
pressure
press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수
주황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진
Priority to KR102016010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484A/ko
Publication of KR2018002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0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29C2043/02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29C2043/04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travelling between different stations, e.g. feeding, moulding, cur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압력을 가압대상물의 전부분에 인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가압대상물의 일부분에 개별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PRESSING APPARATUS AND RELIEF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압대상물을 두께 방향으로 가압할 때, 두께 편차로 인해 가압대상물의 각 부분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장치에 특정 값의 목표압력을 설정한 후 가압대상물을 가압하면, 가압대상물 중 두꺼운 부분에는 목표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인가되고 얇은 부분에는 목표압력보다 낮은 압력이 인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가압대상물이 고무 등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이라면, 가압대상물을 가공할 때 두께 편차가 생길 가능성이 더 큰 것은 물론이고, 가압대상물의 각 부분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향도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양각 패턴의 형성을 위해 음각 패턴이 형성된 몰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의 음각 패턴에 패턴 형성용 물질을 충진시키고, 상기 패턴 형성용 물질을 경화시킨 후 몰드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음각 패턴에 대응되는 양각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패턴 형성용 물질을 음각 패턴에 충진시킬 때, 패턴 형성용 물질을 몰드 상에 제공한 후 몰드를 가압하는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몰드의 각 부분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패턴 형성용 물질이 음각 패턴에 원활하게 충진되지 않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8342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가압대상물의 각 부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압대상물의 상기 각 부분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양각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압력을 가압대상물의 전부분에 인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가압대상물의 일부분에 개별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대상물에 접촉되는 가압판; 및 본체와,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과 연동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기실린더로서, 상기 가압판 및 상기 로드는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가압대상물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상기 가압대상물에 인가되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압축공기 중 일부를 배기하여 상기 가압대상물에 상기 기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대상물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가압대상물을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장치로서,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제 1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압력을 제 1 가압대상물의 전부분에 제 1 방향으로 인가하는 제 1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 1 가압모듈; 및 제 2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제 2 가압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제 2 가압대상물의 전부분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인가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 2 가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유닛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제 1 가압대상물의 일부분에 개별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가압유닛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의 일부분에 개별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압대상물 및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은 대향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몰드이고, 상기 제 1 가압대상물 및 상기 제 2 가압대상물 사이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되면, 상기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제 1 가압대상물 및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을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패턴 형성용 물질이 상기 음각 패턴에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압모듈과 상기 제 2 가압모듈은, 가압 상태에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인 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압모듈과 상기 제 2 가압모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대상물과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의 대향 상태가 해제되기 시작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 2 가압유닛 중 대향 상태가 해제된 부분을 가압하던 가압유닛의 가압 작용이 해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양각 패턴 형성 방법은, 대향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 1 몰드 및 제 2 몰드 사이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를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계;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패턴 형성용 물질이 경화되는 단계; 및 상기 경화된 패턴 형성용 물질을 상기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구획되어 각 부분이 개별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는 가압 방향과 수직인 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몰드와 상기 제 2 몰드의 대향 상태가 해제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1 몰드와 상기 제 2 몰드에서 대향 상태가 해제된 부분에 대한 가압 작용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압대상물의 각 부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압대상물의 상기 각 부분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양각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가압장치에서 가압모듈 및 가압대상물이 분리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양각 패턴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1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10)는, 가압대상물(1)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가압대상물(1)의 각 부분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가압대상물(1)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구획하고 각 부분을 개별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대상물(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10)는 다양한 목적, 용도에 의해 가압대상물(1)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가압대상물(1)은 압력이 인가되는 면이 평평하게 설계되었다고 하더라도 가공 과정에서 수반되는 각종 기계 오차/공차 등으로 인해 그 두께가 균일하기 않을 수 있다. 만약, 일반적인 가압장치와 같이 가압대상물(1)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일거에 가압한다면, 두께의 편차로 인해 가압대상물(1)의 두꺼운 부분에는 예상보다 큰 압력이 인가되고 얇은 부분에는 예상보다 작은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후술할 가압부(200)가 제공되는 일종의 프레임일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 내지는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그 구체적인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부(200)는 상술한 베이스부(100)에 제공될 수 있고, 가압대상물(1)의 일면에 기설정된 압력을 전체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가압장치와는 달리, 가압부(200)는 복수의 가압유닛(210, 220, 23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210, 220, 230) 각각이 가압대상물(1)을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유닛(210, 220, 230)이 세 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가압대상물(1)의 크기, 가압대상물(1)의 두께 편차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가압유닛(210, 220, 230)은 기설정된 압력을 가압대상물(1)에 개별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닛(210, 220, 230)은 가압대상물(1)의 전부분을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만을 가압할 수 있다. 각각의 가압유닛(210, 220, 230)이 가압대상물(1)의 일부분을 가압하면서도, 복수의 가압유닛(210, 220, 230)은 전체적으로는 가압대상물(1)의 전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대상물(1)은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구획되고, 각 부분이 각각의 가압유닛(210, 220, 23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것이다.
가압유닛(210, 220, 230)의 세부 구성을 도면 기준 좌측에 위치한 가압유닛(2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나머지 두 가압유닛(220, 230)의 세부 구성은 상기 좌측의 가압유닛(210)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가압판(211)은 가압대상물(1)에 직접 접촉하여 가압대상물(1)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212)는 상기 가압판(211)을 가압대상물(1)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212)는 본체(215), 그리고 상기 본체(215)로부터 인출되거나 본체(215)에 인입되는 로드(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216)의 일단부는 가압판(211)에 연결되고, 따라서 로드(216)의 이동에 의해 가압판(211)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체(215)에 기설정된 압력이 입력되면, 로드(216)가 가압대상물(1) 측으로 이동하고, 로드(216)와 연동하는 가압판(211) 역시 가압대상물(1)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이어 가압대상물(1)을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212)는 다양한 원리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212)는 공기실린더인 것으로 예시한다. 예를 들어, 본체(215)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로드(216)와 가압판(211)이 가압대상물(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215)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미도시) 등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압유닛(210)은 레귤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두께 편차 등의 이유로 가압대상물(1)에 기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레귤레이터는 압축공기의 일부가 본체(215)로부터 배기되도록 하여 가압대상물(1)에는 기설정된 압력만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레귤레이터는 예를 들어 본체(21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가압유닛(210)은 가이드바(29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290)는 그 일단부가 베이스부(100)를 관통하면서 베이스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그 타단부가 가압판(2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단부는 베이스부(100)에 고정되지는 않기 때문에 로드(216)와 가압판(211)이 이동하면 가이드바(290)는 이들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바(290)는 로드(216) 및 가압판(211)의 안정적인 이동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도시된 세 개의 가압유닛(210, 220, 23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10)의 구체적인 작동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쇄선에서 알 수 있듯이, 가압대상물(1)에서 압력이 인가되는 면은 반드시 평평하게 가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두께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1의 쇄선은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좌측의 가압유닛(210)이 가압하는 가압대상물(1)의 일부분은 중간 두께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210)은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가압대상물(1)의 중간 두께 부분에 인가할 수 있다. 가운데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된 가압유닛(220)이 가압하는 가압대상물(1)의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220)은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가압대상물(1)의 얇은 두께 부분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유닛(220)의 가압판(211)은 좌측의 가압유닛(210)의 가압판(211)보다 베이스부(100)로부터 더 먼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된 가압유닛(230)이 가압하는 가압대상물(1)의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230)은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가압대상물(1)의 두꺼운 두께 부분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유닛(230)의 가압판(211)은 좌측의 가압유닛(210)의 가압판(211)보다 베이스부(100)로부터 더 가까운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가압대상물(1)의 전부분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구획하고, 각 부분을 복수의 가압유닛(210, 220, 230)으로 개별적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가압대상물(1)의 두께 편차에 따른 인가 압력의 불균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가압대상물(1)은 고무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에 의해 가압대상물(1)이 플렉서블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가압대상물(1)이 리지드(rigid)한 경우보다 압력의 불균일 문제가 더 심각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대상물(1)의 가공 시 두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 및 두께 편차의 정도가 더 클 수 있다. 이처럼 가압대상물(1)이 플렉서블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10)와 일반적인 가압장치와의 가압 효과 상의 차이는 더욱 더 커질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2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20)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압대상물, 즉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을 서로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가압대상물(1)의 일측에는 제 1 가압대상물(1)을 가압하는 제 1 가압모듈(1000)이, 제 2 가압대상물(2)의 일측에는 제 2 가압대상물(2)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모듈(200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20)를 이용하여 양각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서 도 2를 참조하여 비교예에 따른 가압장치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압장치(10, 20)와는 달리, 비교예에 따른 가압장치는 제 1 가압대상물(1) 및 제 2 가압대상물(2)의 전부분을 일체형 가압판(35, 45)으로 일거에 가압할 수 있다.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의 대향면에는 음각 패턴(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전,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 사이의 공간(4)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되고,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패턴 형성용 물질은 상기 음각 패턴(3)에 충진될 수 있다. 이후,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을 분리하고, 경화된 패턴 형성용 물질을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로부터 분리하면 양각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2에서 A 부분은 가압대상물(1, 2)에서 중간 두께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고, B 부분은 얇은 두께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으며, C 부분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가압장치로 가압대상물(1, 2)을 가압하면, A 부분에서는 패턴 형성용 물질이 음각 패턴(3)에 잘 충진될 수 있으나, B 부분에서는 얇은 두께로 인해 가압장치가 가하는 압력이 가압대상물(1, 2)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관계로 패턴 형성용 물질이 음각 패턴(3)에 잘 충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C 부분에서는 두꺼운 두께로 인해 가압장치가 가하는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압대상물(1, 2)에 인가되는 관계로 가압대상물(1, 2) 사이의 공간(4)에 제공된 패턴 형성용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2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20)는 도 2의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가압대상물(1, 2)을 서로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고, 가압대상물(1, 2)의 대향면에는 음각 패턴(3)이 형성되어 양각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 1 가압대상물(1)의 일측에는 제 1 가압모듈(10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압모듈(1000)은 제 1 베이스부(300)와 제 1 가압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가압부(400)는 복수의 제 1 가압유닛(410, 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가압대상물(2)의 일측에는 제 2 가압모듈(20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압모듈(2000)은 제 2 베이스부(500)와 제 2 가압부(6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가압부(600)는 복수의 제 2 가압유닛(610, 620, 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압부(400)는 제 1 가압대상물(1)을 제 2 가압대상물(2) 방향, 즉 도면에서 -x 방향으로 가압하고, 제 2 가압부(600)는 제 2 가압대상물(2)을 제 1 가압대상물(1) 방향, 즉 도면에서 x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은 서로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 제 1 가압유닛(410, 420, 430)과 제 2 가압유닛(610, 620, 630)의 구체적인 구성, 구조, 작용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 사이의 공간(4)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되는 경우,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의 분할 구획된 각 부분이 기설정된 압력을 개별적으로 인가 받기 때문에,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형성용 물질의 음각 패턴(3)에의 충진과 관련하여 도 2의 비교예에서와 같은 문제는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가압장치(20)에서 가압모듈(1000, 2000) 및 가압대상물(1, 2)이 분리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 사이의 공간(4)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되고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을 서로에 대하여 가압한 이후에는,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모듈(1000)과 제 2 가압모듈(2000)은 가압 방향(x축)과 수직인 축(y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도 도면 기준 y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동 내지는 분리는 제 1 베이스부(300) 및 제 2 베이스부(500)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이동 내지는 분리는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에 대한 가압 작용이 여전히 존재할 때에 시작될 수 있다. 단순히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을 가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분리시킨다면, 패턴 형성용 물질이 일정 기준 이상의 점도를 가질 경우 음각 패턴(3)에 충진된 패턴 형성용 물질이 가압대상물(1, 2)의 분리 과정에서 음각 패턴(3)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압대상물(1, 2)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가압대상물(1, 2)을 슬라이딩시켜 분리하면, 음각 패턴(3)에 충진된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미처 음각 패턴(3)에 충진되지 않았던 패턴 형성용 물질이 가압대상물(1, 2)의 분리 과정에서 추가로 음각 패턴(3)에 충진될 수 있다.
한편,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이 위와 같이 분리되면, 제 1 가압대상물(1)과 제 2 가압대상물(2)에 대향 상태가 해제되는 부분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대향 상태가 해제되는 부분을 가압하던 가압유닛의 가압 작용은 해제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1 가압대상물(1)의 좌측단부와 제 2 가압대상물(2)의 우측단부의 대향 상태가 해제되는바, 상기 부분들을 가압하던 제 1 가압부(400)의 좌측의 제 1 가압유닛(410)과 제 2 가압부(600)의 우측의 제 2 가압유닛(610)은 더 이상 가압 작용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제 2 가압유닛(610)이 계속 제 2 가압대상물(2)의 우측단부를 x방향으로 가압한다면, 그 압력과 제 1 가압대상물(1)의 우측단부 하단 모서리에 의해 제 2 가압대상물(2)의 음각 패턴(3)에 충진된 패턴 형성용 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양각 패턴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양각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 1 가압대상물(1)은 이하에서는 제 1 몰드일 수 있고, 상술한 제 2 가압대상물(2)은 이하에서는 제 2 몰드일 수 있다.
우선, 제 1 몰드(1)와 제 2 몰드(2) 사이의 공간(4)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S100). 이후, 제 1 가압부(400)와 제 2 가압부(600)에 의하여 제 1 몰드(1)와 제 2 몰드(2)는 서로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S200). 이때, 제 1 몰드(1)와 제 2 몰드(2)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구획되고, 각 부분이 기설정된 압력으로 개별적으로 가압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가압 작용에 의해 패턴 형성용 물질은 제 1 몰드(1) 및 제 2 몰드(2)의 대향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3)에 충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몰드(1)와 제 2 몰드(2)를 분리할 수 있다(S300).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몰드(1)와 제 2 몰드(2)는 가압을 받는 상태에서 가압 방향에 수직인 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 1 몰드(1)와 제 2 몰드(2)에서 대향 상태가 해제되는 부분에 대한 가압 작용은 해제될 수 있다.
제 1 몰드(1)와 제 2 몰드(2)의 분리가 완료되면, 각 몰드(1, 2)의 음각 패턴(3)에 충진된 패턴 형성용 물질이 경화될 수 있다(S400). 경화가 완료되면, 패턴 형성용 물질은 몰드(1, 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최종적인 양각 패턴이 얻어질 수 있다(S500).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가압대상물 10: 가압장치
100: 베이스부 200: 가압부
210: 가압유닛 211: 가압판
212: 액추에이터 215: 본체
216: 로드

Claims (11)

  1.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압력을 가압대상물의 전부분에 인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유닛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가압대상물의 일부분에 개별적으로 인가하는 가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대상물에 접촉되는 가압판; 및
    본체와, 상기 가압판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과 연동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가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기실린더로서, 상기 가압판 및 상기 로드는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가압대상물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상기 가압대상물에 인가되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압축공기 중 일부를 배기하여 상기 가압대상물에 상기 기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가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대상물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가압장치.
  5. 서로 대향하는 가압대상물을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장치로서,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제 1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압력을 제 1 가압대상물의 전부분에 제 1 방향으로 인가하는 제 1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 1 가압모듈; 및
    제 2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제 2 가압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제 2 가압대상물의 전부분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인가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 2 가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유닛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제 1 가압대상물의 일부분에 개별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가압유닛 각각은 상기 기설정된 압력을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의 일부분에 개별적으로 인가하는 가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대상물 및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은 대향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몰드이고,
    상기 제 1 가압대상물 및 상기 제 2 가압대상물 사이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되면, 상기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제 1 가압대상물 및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을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패턴 형성용 물질이 상기 음각 패턴에 충진되도록 하는 가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모듈과 상기 제 2 가압모듈은, 가압 상태에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인 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되는 가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모듈과 상기 제 2 가압모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대상물과 상기 제 2 가압대상물의 대향 상태가 해제되기 시작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 2 가압유닛 중 대향 상태가 해제된 부분을 가압하던 가압유닛의 가압 작용이 해제되는 가압장치.
  9. 대향면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 1 몰드 및 제 2 몰드 사이에 패턴 형성용 물질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를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계;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패턴 형성용 물질이 경화되는 단계; 및
    상기 경화된 패턴 형성용 물질을 상기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구획되어 각 부분이 개별적으로 가압되는 양각 패턴 형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는 가압 방향과 수직인 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되는 양각 패턴 형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및 상기 제 2 몰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몰드와 상기 제 2 몰드의 대향 상태가 해제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1 몰드와 상기 제 2 몰드에서 대향 상태가 해제된 부분에 대한 가압 작용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각 패턴 형성 방법.
KR1020160107970A 2016-08-24 2016-08-24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 KR20180022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70A KR20180022484A (ko) 2016-08-24 2016-08-24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970A KR20180022484A (ko) 2016-08-24 2016-08-24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484A true KR20180022484A (ko) 2018-03-06

Family

ID=6172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970A KR20180022484A (ko) 2016-08-24 2016-08-24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590A1 (ko) * 2019-07-24 2021-01-28 정종홍 이차전지 실링공정용 가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590A1 (ko) * 2019-07-24 2021-01-28 정종홍 이차전지 실링공정용 가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288B1 (ko) 무금형 성형장치
KR102025904B1 (ko) 장착 및 디몰딩 디바이스
KR102125829B1 (ko) 정밀 인압 제어부를 갖는 롤투롤 인쇄 장치
SG155142A1 (en) Molding apparatus incorporating pressure uniformity adjustment
KR20180022484A (ko)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각 패턴 형성 방법
KR101175103B1 (ko)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실린더들 사이의 압력조절방법과 그 장치
CN109597277A (zh) 压印设备
KR101419383B1 (ko) 다중 핀 및 액압 결합형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684914B1 (ko) 이중 인압 제어 장치를 이용한 롤 인쇄기
JP6306890B2 (ja) 油圧プレス
GB2057340A (en) Press mould for ceramic mouldings
TWI629163B (zh) 沖壓機構、沖壓方法、壓縮成形裝置以及壓縮成形方法
CN103998225A (zh) 冲压装置以及冲压装置的压力源
KR101575213B1 (ko) 프레스 금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WO2013107792A1 (en) A cylinder bending machine with a flatness decreasing mechanism and corresponding bending flatness decreasing method
JP2009286028A (ja) ダイヤフラムを押圧機構とするホットエンボス装置およびホットエンボス加工法
JP2005178152A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21035688A (ja) 金属板の増肉加工方法
KR101568877B1 (ko) 판재 가변성형장치
JP3057259U (ja) 柔軟性ダイス
KR20100132117A (ko) 가진 성형이 가능한 프레스 장치
JPH10192981A (ja) 板材の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金型
MX2009013713A (es) Metodo de fabricacion de tarjetas que incluye por lo menos una unidad electronica.
EP2897772B1 (en) Mold for forming tiles and the like
JP2008114229A (ja) プレス加工方法及びプレス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