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498A - 공기방향전환기 - Google Patents

공기방향전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498A
KR20180021498A KR1020160106140A KR20160106140A KR20180021498A KR 20180021498 A KR20180021498 A KR 20180021498A KR 1020160106140 A KR1020160106140 A KR 1020160106140A KR 20160106140 A KR20160106140 A KR 20160106140A KR 20180021498 A KR20180021498 A KR 20180021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main duct
air
duct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욱 filed Critical 강현욱
Priority to KR102016010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498A/ko
Publication of KR2018002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방향전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회전구동모터와, 상기 정회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과, 일끝단이 실내공간에 연통되고 타끝단이 실외공간에 연통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내에 설치되며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메인덕트를 폐쇄하는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에 연통되고 양끝단이 상기 댐퍼부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덕트와 연통하는 우회덕트를 구비하며, 댐퍼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90°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덕트를 폐쇄하는 댐퍼날개와, 단면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댐퍼날개가 수용되며 상기 메인덕트 및 상기 우회덕트와 연통하는 4개의 개구를 가지는 댐퍼벽부를 구비하여, 정역회전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정회전모터만을 사용하여 공기의 정압을 고압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술한 댐퍼부 및 우회덕트의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공기흐름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여 공기의 흡배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방향전환기{APPARATUS FOR CHANGING DIRECTION OF AIR FLOW}
본 발명은 공기방향전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공기흐름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면서도 공기의 정압을 약화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공기방향전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건축물의 실내와 실외를 관통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흡기 또는 배기작용을 통해 실외의 찬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거나 실내의 더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환풍기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하에서 팬모터가 정회전되어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고, 또 다른 온도와 습도조건하에서 팬모터가 역회전되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흡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환기하거나, 또는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단시간에 온도구배를 낮춰서 결로가 생기지 않게 하여 결로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모터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공기의 흡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팬의 날개 형상에 따라 공기의 흡배기 효율이 크게 좌우되므로 팬의 날개형상으로 인해 효율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공기의 흡배기를 이루기 때문에, 저압에서의 공기의 흡배기는 가능하지만, 정역회전 모터의 특성상 중고압에서의 공기의 흡배기는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정역회전 모터를 이용한 환풍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회전 모터를 사용하고 복수의 댐퍼를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환풍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정회전모터 환풍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4개의 댐퍼와 우회로 덕트를 구비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자 할 때에는 정회전모터(3)를 구동시켜 팬(2)을 가동하고, 제 1 댐퍼(4)와 제 3 댐퍼(6)를 개방하고 제 2 댐퍼(5)와 제 4 댐퍼(7)은 폐쇄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정회전모터 환풍시스템에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배기시와 반대로 복수의 댐퍼들을 개방/폐쇄하여 구동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정회전모터 환풍시스템에 있어서는, 정회전 모터를 이용하여 정방향으로만 팬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저압은 물론 고압으로도 공기의 흡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복수의 댐퍼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댐퍼의 설치 및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댐퍼의 제어가 복잡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2114(환풍기의 정역회전을 이용한 환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공기흐름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면서도 정역회전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정회전모터만을 사용하여 공기의 정압을 약화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공기방향전환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방향전환기는, 정회전구동모터와, 상기 정회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과, 일끝단이 실내공간에 연통되고 타끝단이 실외공간에 연통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내에 설치되며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메인덕트를 폐쇄하는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에 연통되고 양끝단이 상기 댐퍼부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덕트와 연통하는 우회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댐퍼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90°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덕트를 폐쇄하는 댐퍼날개와, 단면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댐퍼날개가 수용되며 상기 메인덕트 및 상기 우회덕트와 연통하는 4개의 개구를 가지는 댐퍼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우회덕트는 C자 형상 또는 D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정역회전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정회전모터만을 사용하여 공기의 정압을 고압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술한 댐퍼부 및 우회덕트의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공기흐름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여 공기의 흡배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정회전모터를 이용한 환풍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방향전환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는 실내공기의 외부로의 배기를, 도 3은 실외공기의 내부로의 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방향전환기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방향전환기(1)는, 팬(2)과, 정회전 구동모터(3)와, 메인덕트(10)와, 댐퍼부(20)와, 우회덕트(30)를 구비한다.
상기 팬(2)은 상기 정회전 구동모터(3)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상기 정회전 구동모터에 의해 정회전방향으로만 회전구동되어, 예를 들면 상기 팬(2)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2)과 상기 정회전 구동모터(3)는 후술하는 우회덕트(30)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덕트(10)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덕트(10)는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일끝단이 실내공간(In)에 연통되고 타끝단이 실외공간(Out)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덕트(10)에는 댐퍼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부(20)는 댐퍼날개(21)와 댐퍼벽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댐퍼날개(2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덕트(10)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덕트내에 설치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댐퍼날개(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덕트의 공기흐름방향에 대하여 135°각도로 설치된 위치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5°각도로 설치되는 위치로, 대략 X자 모양으로 90°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덕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퍼날개(21)는 상기 댐퍼벽부(22)에 수용된다. 상기 댐퍼벽부(2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댐퍼날개를 수용한다. 상기 댐퍼날개(21)는 상기 메인덕트(10) 및 상기 우회덕트(30)와 연통하는 4개의 개구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퍼부(20)에는 우회덕트(30)가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우회덕트(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자 형상 또는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끝단이 상기 댐퍼부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댐퍼벽부 및 상기 메인덕트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우회덕트(30)의 중앙부분은 상기 메인덕트(10)에 연통하지 않고 상기 메인덕트의 상부 또는 하부로 우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방향전환기(1)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댐퍼부(20)의 댐퍼날개(21)를 상기 메인덕트(10)의 실내공간으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하여 대략 45°각도의 위치로 배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정회전 구동모터(3)를 구동하여 상기 팬(2)을 회전구동시키면,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공간(In)의 공기가 상기 메인덕트(10)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댐퍼부(20)의 상기 댐퍼날개(21)에 의해 차단된 후, 상기 우회덕트(30)측으로 흘러가서 상기 팬(2)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팬(2)측으로 흡기된 공기는 다시 상기 우회덕트(30)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흘러나간 후, 다시 상기 댐퍼부(20)로 흘러가고, 상기 댐퍼날개(21)에 의해 차단된 후 실외공간(Out)측으로 배기된다.
한편, 실외의 공기를 내부로 흡기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댐퍼부(20)의 댐퍼날개(21)를 상기 메인덕트(10)의 실내공간으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하여 대략 135°각도의 위치로 배치하고 상기 정회전 구동모터(3)를 구동하면 된다.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공간의 공기가 상기 메인덕트(10)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댐퍼부(20)의 상기 댐퍼날개(21)에 의해 차단된 후, 상기 우회덕트(30)측으로 흘러가서 상기 팬(2)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팬(2)측으로 흡기된 공기는 다시 상기 우회덕트(30)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흘러나간 후, 다시 상기 댐퍼부(20)로 흘러가고, 상기 댐퍼날개(21)에 의해 차단된 후 실내공간(In)측으로 흡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방향전환기를 이용하면, 정역회전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정회전모터만을 사용하여 공기의 정압을 고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의 댐퍼날개의 방향만 전환하면 되므로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공기흐름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여 공기의 흡배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공기방향전환기
10 : 메인덕트
20 : 댐퍼부
21 : 댐퍼날개
22 : 댐퍼벽부
30 : 우회덕트

Claims (3)

  1. 정회전구동모터와,
    상기 정회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팬과,
    일끝단이 실내공간에 연통되고 타끝단이 실외공간에 연통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내에 설치되며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메인덕트를 폐쇄하는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에 연통되고 양끝단이 상기 댐퍼부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덕트와 연통하는 우회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향전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90°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덕트를 폐쇄하는 댐퍼날개와,
    단면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댐퍼날개가 수용되며 상기 메인덕트 및 상기 우회덕트와 연통하는 4개의 개구를 가지는 댐퍼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향전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덕트는 C자 형상 또는 D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향전환기.

KR1020160106140A 2016-08-22 2016-08-22 공기방향전환기 KR20180021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40A KR20180021498A (ko) 2016-08-22 2016-08-22 공기방향전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40A KR20180021498A (ko) 2016-08-22 2016-08-22 공기방향전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498A true KR20180021498A (ko) 2018-03-05

Family

ID=6172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140A KR20180021498A (ko) 2016-08-22 2016-08-22 공기방향전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4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4512A (zh) * 2020-10-27 2021-02-09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的新风控制方法
KR102230856B1 (ko) * 2019-11-01 2021-03-23 (주)한국필터시험원 지하철 승강장 공기정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856B1 (ko) * 2019-11-01 2021-03-23 (주)한국필터시험원 지하철 승강장 공기정화시스템
CN112344512A (zh) * 2020-10-27 2021-02-09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的新风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1446B2 (ja) 気密性の向上したダンパー一体型ブロワー装置
KR101598890B1 (ko) 선택형 댐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 공조시스템
KR100640824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101503857B1 (ko) 도어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160000735A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805619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1193222B1 (ko) 환기 시스템
KR20180021498A (ko) 공기방향전환기
CN104197489A (zh) 空调器
KR20170099392A (ko) 외장 덮개형 배관과 선택형 댐퍼 유닛을 갖는 바이패스 공조시스템
JP2011220639A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16099071A (ja) 通気装置
KR20140011644A (ko) 풍압에 의해 구동되는 셔터를 구비하는 송풍기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KR20180079720A (ko)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US9285131B2 (en) Venting and cooling system for a house
KR102186760B1 (ko)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KR102086773B1 (ko) 창호형 환기장치
KR20050111145A (ko) 환기용 창틀
CN204756009U (zh) 一种折流换向阀
KR102555313B1 (ko) 흡배기 전환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1892872B1 (ko)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이물질 유입 차단으로 오동작을 예방하는 고효율 천장설치형 환기장치
JP2019168155A (ja) 空調システム、建築物及び空調方法
JP2022122214A (ja) 換気構造
JP2017075762A (ja) パーソナル空調システムと空調用空気吹出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