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720A -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720A
KR20180079720A KR1020170000254A KR20170000254A KR20180079720A KR 20180079720 A KR20180079720 A KR 20180079720A KR 1020170000254 A KR1020170000254 A KR 1020170000254A KR 20170000254 A KR20170000254 A KR 20170000254A KR 20180079720 A KR20180079720 A KR 20180079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ypass
air
damper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훈
송원일
태경응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0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720A/ko
Publication of KR2018007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riable-flow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풍을 방지하고,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고효율의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있어서, 벽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홀과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홀이 형성된 환기구를 갖는 본체부;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는 댐퍼부; 일측이 상기 댐퍼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도관부; 및 벽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도관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FLOOR-MOUNTED HEAT RECOVERY VENTILATION}
본 발명은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풍을 방지하고,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고효율의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병원, 교실 등과 같이 인구가 밀집된 다중이용시설, 또는 주택의 경우, 실내의 공기가 급격하게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환기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환기장치의 경우, 여름에는 실내의 냉방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고온의 공기를 그대로 실내로 유입시키며, 겨울에는 실내의 난방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저온의 공기를 그대로 실내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열회수 환기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열회수 환기장치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때, 배출되는 공기와 유입되는 공기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열교환소자가 내장된 장치를 지칭한다. 이처럼 마련되는 열회수 환기장치는 에너지 효율이 높기 때문에 점차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열회수 환기장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신축된 건물의 경우, 바닥 면적의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열회수 환기장치가 주로 천정에 설치된다. 반면에, 이미 건설이 완료되어 사용되고 있는 건물의 경우에는, 천정을 해체하고 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 주로 바닥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열회수 환기장치가 천정에 설치될 경우, 열회수 환기장치가 정지되었을 때, 실외의 후드부터 열회수 환기장치까지의 연결된 도관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외풍이 열회수 환기장치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속도가 느리고, 천정면에 공기를 분산시키는 디퓨저가 추가로 설치되어 찬 공기가 실내 전체로 분산되기 때문에 사람이 외풍에 의해 급격한 한기를 느끼지 않는다. 반면에 열회수 환기장치가 바닥에 설치된 경우, 열회수 환기장치가 정지되었을 때, 후드부터 열회수 환기장치의 거리가 벽 하나의 거리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곧바로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고,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는 디퓨저 장치를 구비할 수도 없다. 따라서, 혹한기의 경우, 열회수 환기장치가 정지되면 열회수 환기장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은 급격한 한기를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봄이나 가을과 같이 실내외 온도차가 작은 경우, 열회수 환기장치 내의 전열교환소자를 거치지 않고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교환하기 위해 바이패스 유로가 별도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바닥에 설치되는 열회수 환기장치의 경우, 별도로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할 경우, 열회수 환기장치가 실내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64096호 (2015.10.22)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풍을 방지하고,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고효율의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있어서, 벽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홀과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홀이 형성된 환기구를 갖는 본체부;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는 댐퍼부; 일측이 상기 댐퍼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도관부; 및 벽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도관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며, 상기 외기홀과 연결된 통로와 상기 배기홀과 연결된 통로가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며,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날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 사이의 공간에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며, 실내로 실외 공기를 배출하는 급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급기홀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내측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흡입홀부터 상기 배기홀까지 연통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체; 및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형성체의 상측에 마련된 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에 배치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의 공간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바이패스몸체; 상기 바이패스몸체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며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댐퍼;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열교환입구;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바이패스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댐퍼는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열교환입구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이패스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 또는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있어서, 벽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홀과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홀이 형성된 환기구를 갖는 본체부;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는 댐퍼부; 일측이 상기 댐퍼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도관부; 및 벽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도관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며, 내측이 중공 형성된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며, 상기 외기홀과 연결된 통로와 상기 배기홀과 연결된 통로가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며,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날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구동모터의 길이만큼 일측이 절단된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 상기 구동모터,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막음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상기 댐퍼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날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 사이의 공간에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며, 실내로 실외 공기를 배출하는 급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급기홀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내측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흡입홀부터 상기 배기홀까지 연통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체; 및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형성체의 상측에 마련된 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에 배치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의 공간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바이패스몸체; 상기 바이패스몸체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며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댐퍼;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열교환입구;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바이패스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댐퍼는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열교환입구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이패스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 또는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가 적용된 건축물 열 유출 방지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도관의 길이가 짧아도 외풍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내와 실외의 공기 온도를 비교하여 열교환소자 또는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를 더욱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를 위한 배기유로가 별도의 관 형태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날개를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실외 공기가 유입량과 실내 공기의 유출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는 벽에 구멍을 뚫고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의 천정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비해 설치가 간편하고, 이미 완공되어 사용중인 건물에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는 벽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측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댐퍼부와 도관부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내부에 전열교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내부에 바이패스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측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댐퍼부와 도관부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측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댐퍼부와 도관부의 결합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측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댐퍼부와 도관부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본체부(110), 댐퍼부(120), 도관부(130) 및 후드부(140)를 포함하며, 유출입되는 공기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벽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홀(112)과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홀(113)이 형성된 환기구를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111)을 갖고, 상기 외기홀과 상기 배기홀(113)은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벽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는 급기홀(114) 및 흡입홀(1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급기홀(114)은 상기 프레임(111)의 상측에 형성되며, 실내로 실외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115)은 상기 프레임(111)의 측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홀(113)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급기홀(115)은 상기 외기홀(112)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120)는 일측이 상기 외기홀(112)과 상기 배기홀(113)이 형성된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플랜지(121), 회전축(122) 및 날개(123)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121)는 상기 댐퍼부(12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이 중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21)의 내부는 상기 외기홀(112)과 연결된 통로와 상기 배기홀(113)과 연결된 통로가 분리벽(W)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21)의 형상은 원형의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상기 플랜지(121)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플랜지(121)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W)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123)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122)에 각각 결합되며,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123)의 형상은 상기 플랜지(1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1)가 원형인 경우, 상기 날개(123)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21)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123) 사이의 공간에 기밀부재(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124)는 상기 날개(123)가 상기 플랜지(121)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였을 때, 상기 플랜지(121)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123) 사이의 공간의 틈으로 외풍이 유입되거나, 실내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120)는, 상기 플랜지(121)의 외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125)는 상기 날개(123)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25)는 상기 날개(123)의 회동 각도를 제어하여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125)는, 상기 한 쌍의 날개(123)에 각각 동력을 제공하여 개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125)는 상기 외기홀(112)측에 위치한 회전축(122a)에 결합된 날개(123a)와 상기 배기홀(113)측에 위치한 회전축(122b)에 결합된 날개(123b)를 개별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양과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양이 동일하도록 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125)는 상기 날개(123a, 123b)가 동일한 각도만큼 회동하여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의 유입량은 적게 하고, 공기의 배출량을 상대적으로 늘리고자 할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125)는 외기홀(112)측에 위치한 상기 날개(123a)보다 상기 배기홀(113)측에 위치한 상기 날개(123b)가 더 많이 개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날개(123a, 123b)를 각각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관부(130)는 일측이 상기 댐퍼부(120)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관부(130)는 상기 댐퍼부(120)와 상기 후드부(140)의 사이에 마련되며, 내측이 중공되어 공기 유로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부(130)의 내부에는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각가 분리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분리벽(W)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부(140)는 상기 벽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도관부(13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부(140)에는 유입홀(141)과 배출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드부(140)는 상기 도관부(130)에 형성된 상기 분리벽(W)과 대응되는 위치에 분리벽(W)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부(140)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41)과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142)이 각각 분리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W)에 의해 공기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내부에 전열교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내부에 바이패스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열교환부(150)와 바이패스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열교환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유로형성체(151) 및 열교환소자(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체(151)는 내측이 상기 프레임(111)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흡입홀(115)부터 상기 배기홀(113)까지 연통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형성체(151)는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111)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면의 내측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흡입홀(115)부터 유입된 실내 공기가 배기홀(113)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소자(152)는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상기 외기홀(112)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형성체(15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교환소자(152)는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홀(113)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외기홀(112)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급기홀(114)을 통해 실내로 배출될 때,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여름의 경우, 실내 공기는 저온이며, 실외 공기는 실내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상기 열교환소자(152)를 거치면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고온의 실외 공기는 실내로 유입될 때, 온도가 저하된 상태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겨울의 경우, 실내 공기는 고온이며, 실외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일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상기 열교환소자(152)를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저온의 실외 공기는 실내로 유입될 때, 온도가 저하된 상태로 유입되게 된다. 이철머 마련된 상기 열교환소자(152)는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이용하여 냉난방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부(160)는 상기 열교환부(150)와 상기 흡입홀(115)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이패스몸체(161), 바이패스댐퍼(162), 열교환입구(163) 및 바이패스입구(164)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몸체(161)는 상기 열교환부(150)와 상기 흡입홀(115) 사이의 공간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로형성체(151)는 상기 프레임(111)에 설치될 때, 45°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몸체(161)는 상기 유로형성체(151)와 상기 흡입홀(115) 사이의 공간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몸체(161)는 상기 유로형성체(151)와 상기 흡입홀(115)을 구분하는 벽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몸체(161)는 상기 유로형성체(151)와 상기 흡입홀(115) 사이의 공간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후술할 열교환입구(163)가 형성되는 영역을 지칭하며, 상기 제2 영역은 후술할 바이패스입구(164)가 형성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몸체(161)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구분하는 벽체에는 중간부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장된 상기 바이패스입구(1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댐퍼(162)는 상기 바이패스몸체(161)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 구획하며,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패스댐퍼(162)는 상기 바이패스몸체(161)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구분하는 벽체에 결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을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입구(163)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161)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152)를 통과하도록 통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입구(164)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161)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통공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바이패스 입구(1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몸체(161) 중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된 벽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댐퍼(162)는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열교환입구(163)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이패스입구(164)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152) 또는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이패스댐퍼(162)가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열교환입구(163)를 폐쇄하면, 상기 바이패스입구(164)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바이패스입구(164)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고, 상기 배기홀(113)을 거쳐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소자(152)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봄 및 가을의 경우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52)를 이용한 환기에 따른 냉방 및 난방 부하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는 바이패스 환기 대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봄 및 가을에는 상기 열교환소자(152)를 이용한 환기보다 상기 배기유로를 이용한 바이패스 환기를 이용함으로써, 냉방 및 난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바이패스댐퍼(162)가 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바이패스입구(164)를 폐쇄하면, 상기 열교환입구(163)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홀(115)을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입구(163)와 상기 열교환소자(152)를 통과하고, 배기홀(113)을 거쳐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실내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소자(152)를 통과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습도 및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계절에 따라,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바이패스댐퍼(162)가 자동으로 상기 열교환입구(163) 및 상기 바이패스입구(164)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바이패스를 위한 배기유로가 별도의 관 형태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벽에 구멍을 뚫고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의 천정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비해 설치가 간편하고, 이미 완공되어 사용중인 건물에 적용이 용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측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댐퍼부와 도관부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200)는 본체부(210), 댐퍼부(220), 도관부(230), 후드부(240), 열교환부 및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200)는 상기 본체부(210), 상기 후드부(240), 상기 열교환부 및 상기 바이패스부의 구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와 차이가 있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200)의 구성인 상기 댐퍼부(220) 및 상기 도관부(2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댐퍼부(220)는 상기 본체부(210)에 마련된 환기구에 일측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환기구는 상기 외기홀(212)과 상기 배기홀(213)을 갖고, 상기 환기구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220)는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며, 내측이 중공 형성된 플랜지일 수 있다.
상기 도관부(230)는 일측이 상기 댐퍼부(22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부(230)는 슬리브(231), 회전축(232), 날개(233)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231)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어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외기홀(212)과 연결된 통로 및 상기 배기홀(213)과 연결된 통로가 분리벽(W)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슬리브(231)는, 상기 분리벽(W)의 일측에서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분리벽(W)의 타측에서는 실내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2)은 상기 슬리브(231)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W)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날개(233)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232)에 각각 결합되며,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32) 및 상기 날개(233)는 상기 분리벽(W)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외기홀(212)과 상기 배기홀(213)과 연통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기홀(2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축(232a) 및 날개(233a)는 실외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배기홀(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축(232b) 및 날개(233b)는 실내 공기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관부(230)는, 상기 슬리브(231)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23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기밀부재(2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밀부재(234)는 상기 날개(23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231)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233) 사이의 공간으로 외풍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관부(230)는, 상기 슬리브(231)의 내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23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235)는 상기 날개(233)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235)는 상기 한 쌍의 날개(233)를 개별적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35)가 상기 날개(233)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날개(123) 및 구동모터(125)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날개(233)는 상기 구동모터(235)의 길이만큼 일측이 절단된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부(230)는 상기 날개(233), 상기 구동모터(235) 및 상기 슬리브(231)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막음판(236)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235)는 상기 슬리브(231)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233)는 상기 구동모터(235)의 설치 공간을 확복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235)의 길이만큼 일측이 절단된 반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마련된 상기 도관부(230)는 상기 날개(233), 상기 구동모터(235) 및 상기 슬리브(231)의 내측면 사이의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풍의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막음판(236)이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200)는 상기 도관부(230)가 상기 댐퍼부(2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10)가 벽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200)는 실내에 설치되었을 때, 실내의 여유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특히, 상기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200)는, 상기 구동모터(235)가 상기 슬리브(231)의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10)를 더욱 벽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측면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댐퍼부와 도관부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300)는 본체부(310), 댐퍼부(320), 도관부(330), 후드부(340), 열교환부 및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300)는 상기 본체부(310), 상기 후드부(340), 상기 열교환부 및 상기 바이패스부의 구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와 차이가 있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300)의 구성인 상기 댐퍼부(320) 및 상기 도관부(3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댐퍼부(320)는 상기 본체부(310)에 마련된 환기구에 일측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환기구는 상기 외기홀(312)과 상기 배기홀(313)을 갖고, 상기 환기구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320)는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며, 내측이 중공 형성된 플랜지일 수 있다.
상기 도관부(330)는 일측이 상기 댐퍼부(32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부(330)는 슬리브(331), 회전축(332), 날개(333)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331)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어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외기홀(312)과 연결된 통로 및 상기 배기홀(313)과 연결된 통로가 분리벽(W)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슬리브(331)는, 상기 분리벽(W)의 일측에서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분리벽(W)의 타측에서는 실내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2)은 상기 슬리브(331)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W)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날개(333)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332)에 각각 결합되며,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333)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332) 및 상기 날개(333)는 상기 분리벽(W)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외기홀(312)과 상기 배기홀(313)과 연통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기홀(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축(332a) 및 날개(333a)는 실외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배기홀(3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축(332b) 및 날개(333b)는 실내 공기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관부(330)는, 상기 슬리브(331)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23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기밀부재(3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밀부재(334)는 상기 날개(33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331)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333) 사이의 공간으로 외풍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관부(330)는, 상기 댐퍼부(320)의 외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33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335)는 상기 날개(333)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335)는 상기 한 쌍의 날개(333)를 개별적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35)가 상기 날개(333)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날개(123) 및 구동모터(125)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300)는 상기 도관부(330)가 상기 댐퍼부(3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310)가 벽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300)는 실내에 설치되었을 때, 실내의 여유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100,200,300)는 건축물 열 유출 방지 환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10, 210, 310: 본체부 111, 211, 311: 프레임
112, 212, 312: 외기홀 113, 213, 313: 배기홀
114: 급기홀 115: 흡입홀
120, 220, 320: 댐퍼부 121: 플랜지
122: 회전축 123: 날개
124: 기밀부재 125: 구동모터
130, 230, 330: 도관부 231, 331: 슬리브
232, 332: 회전축 233, 333: 날개
234, 334: 기밀부재 235, 335: 구동모터
236: 막음판 140, 240, 340: 후드부
141, 241, 341: 유입홀 142, 242, 342: 배출홀
150: 열교환부 151: 유로형성체
152: 열교환소자 160: 바이패스부
161: 바이패스몸체 162: 바이패스댐퍼
163: 열교환입구 164: 바이패스입구

Claims (20)

  1.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있어서,
    벽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홀과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홀이 형성된 환기구를 갖는 본체부;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는 댐퍼부;
    일측이 상기 댐퍼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도관부; 및
    벽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도관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며, 상기 외기홀과 연결된 통로와 상기 배기홀과 연결된 통로가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며,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날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 사이의 공간에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며, 실내로 실외 공기를 배출하는 급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급기홀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내측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흡입홀부터 상기 배기홀까지 연통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체; 및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형성체의 상측에 마련된 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에 배치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의 공간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바이패스몸체;
    상기 바이패스몸체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며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댐퍼;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열교환입구;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바이패스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댐퍼는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열교환입구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이패스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 또는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8.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에 있어서,
    벽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홀과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홀이 형성된 환기구를 갖는 본체부;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는 댐퍼부;
    일측이 상기 댐퍼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도관부; 및
    벽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도관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일측이 상기 환기구에 결합되며, 내측이 중공 형성된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며, 상기 외기홀과 연결된 통로와 상기 배기홀과 연결된 통로가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며,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날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구동모터의 길이만큼 일측이 절단된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상기 구동모터,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막음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상기 댐퍼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날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과 상기 날개 사이의 공간에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홀;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며, 실내로 실외 공기를 배출하는 급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급기홀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내측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흡입홀부터 상기 배기홀까지 연통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체; 및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상기 외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형성체의 상측에 마련된 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에 배치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홀 사이의 공간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바이패스몸체;
    상기 바이패스몸체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며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이패스댐퍼;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열교환입구;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바이패스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통공된 바이패스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댐퍼는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열교환입구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이패스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소자 또는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가 적용된 건축물 열 유출 방지 환기 시스템.
  20. 제 8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가 적용된 건축물 열 유출 방지 환기 시스템.
KR1020170000254A 2017-01-02 2017-01-02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KR20180079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54A KR20180079720A (ko) 2017-01-02 2017-01-02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54A KR20180079720A (ko) 2017-01-02 2017-01-02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20A true KR20180079720A (ko) 2018-07-11

Family

ID=6291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254A KR20180079720A (ko) 2017-01-02 2017-01-02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7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377A (ko)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22869A (ko) * 2019-04-19 2020-10-28 임만순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377A (ko)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22869A (ko) * 2019-04-19 2020-10-28 임만순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5030A (ja) 換気装置
KR101146332B1 (ko) 환기 및 열 회수기능을 갖는 창호
JP2005249328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160000735A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1193979A (ja) 室内空気再循環装置
KR20160141990A (ko) 댐퍼 부착형 송풍기
KR101193222B1 (ko) 환기 시스템
KR20180079720A (ko) 바닥설치형 열회수 환기장치
GB2450317A (en) Ventilation heat recovery device
KR20190078003A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20070019195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CN110805959A (zh) 可控制引风量和风向的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H11132496A (ja) 空気調和装置
JP3820799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80021498A (ko) 공기방향전환기
KR20000030555A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JP2002277034A (ja) 空気調和装置
KR102186760B1 (ko)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JP2897873B1 (ja) 換気構造
KR10144363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JP2825119B2 (ja) 外気処理用空調設備
KR20080062890A (ko) 공기 조화기
KR20040061689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조절장치
KR20200068409A (ko) 열교환 환기 장치
KR101904481B1 (ko) 바이패스 배기가 가능한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