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352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352A
KR20180021352A KR1020160105812A KR20160105812A KR20180021352A KR 20180021352 A KR20180021352 A KR 20180021352A KR 1020160105812 A KR1020160105812 A KR 1020160105812A KR 20160105812 A KR20160105812 A KR 20160105812A KR 20180021352 A KR20180021352 A KR 2018002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display device
video sig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960B1 (ko
Inventor
김태형
두화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960B1/ko
Priority to PCT/KR2017/008868 priority patent/WO2018034479A1/en
Priority to CN201780046974.5A priority patent/CN109496428B/zh
Priority to EP17841661.6A priority patent/EP3459240B1/en
Priority to US15/680,392 priority patent/US10191712B2/en
Publication of KR2018002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445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09G5/39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o the screen simultaneously, e.g. for mixing or over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09G2340/125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wherein one of the images is motion vide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04N2005/445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OSD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제1프레임의 영상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제1OSD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신호의 제2프레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직렬로 접속된 시스템 내에서, 전단에 접속된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후단에 접속된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수신 및 처리하는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OSD 영상이 제2디스플레이장치에서 원본 컨텐츠 영상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며, 콘텐츠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진 영상처리장치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단일 장치의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고, 복수 장치의 예시로는 비디오 월(video wall)이 있다. 비디오 월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특정한 기능이 요구되는 비디오 월에서는, 예를 들어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처리한 컨텐츠 영상신호를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신 및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자체적으로 생성 및 표시한 OSD 영상이 영상신호에 반영됨으로써,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 영상 이외에도 상기한 OSD 영상이 표시된다. 이러한 OSD 영상은 시리얼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들에 계속 입력되므로, 만일 모든 디스플레이장치가 각각 OSD 영상을 표시하게 되면, N번째로 시리얼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에는 N개의 OSD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시스템에서,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OSD 영상이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 또는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OSD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1프레임의 영상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OSD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2프레임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영상프레임 단위로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을 때, 해당 OSD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프레임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순서에 대응하는 제3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제1프레임 대신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OSD 메뉴가 포함된 제1프레임의 스킵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위시간당 영상프레임의 수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신호출력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OSD 메뉴를 제거시킨 영상신호를 하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OSD 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OSD 메뉴가 상기 제3프레임에 부가되도록 하여 상기 제2OSD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자체 생성한 OSD 메뉴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OSD 메뉴와 겹쳐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OSD 메뉴가 상기 제2프레임에 부가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하단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신호 내에서 해당 OSD 메뉴를 스킵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영상신호의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에서 제1OSD 메뉴가 부가되도록 사전 지정된 주기의 순서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식별정보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구별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프레임 내의 스캐닝 및 분석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OSD 메뉴가 포함된 영상프레임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OSD 메뉴를 생성하였음을 알리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게 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신호출력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OSD 메뉴의 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생성한 상기 OSD 메뉴를 상기 영상신호의 제1프레임에 부가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제2프레임에 부가하지 않음으로써 보정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보정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신호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정된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외부의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OSD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1프레임의 영상은 표시하지 않고, 상기 제1OSD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2프레임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영상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프레임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순서에 대응하는 제3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 대신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제2OSD 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OSD 메뉴를 상기 제3프레임에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2OSD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OSD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OSD 메뉴가 상기 제2프레임에 부가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영상신호의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에서 제1OSD 메뉴가 부가되도록 사전 지정된 주기의 순서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식별정보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OSD 메뉴를 생성하였음을 알리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외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전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4는 관련 기술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각각 컨텐츠 영상 상에 OSD 메뉴 영상을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컨텐츠소스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OSD 메뉴를 믹싱하기 위한 영상프레임들을 선택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을 보간하는 한 가지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외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비디오 월로 구현된다. 본 시스템(1)은 9개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3*3의 형태로 배치된 구조이지만, 이러한 구현 형태는 한 가지 예시에 불과할 뿐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시스템(1)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개수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반드시 비디오 월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매트릭스 형태를 취하지 않고 각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특정한 규칙 없이 배치될 수도 있다.
시스템(1)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개별 스크린이 조합된 하나의 큰 전체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서, 시스템(1)은 전체 스크린에 하나의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하거나, 또는 각 개별 스크린에 개별적인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전체 스크린에 하나의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컨텐츠 영상은 각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하게 분할되고, 각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분할된 컨텐츠 영상을 각기 표시한다.
컨텐츠 영상신호는, 시스템(1)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시스템(1) 밖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컨텐츠소스(1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된다. 영상신호가 컨텐츠소스(10)로부터 각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방식의 한 가지 예시로는, 컨텐츠소스(10)로부터 각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개별적으로 케이블을 통한 접속 연결이 되고, 각 케이블을 통해 영상신호가 각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소스(1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중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와 제1케이블로 접속되고,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는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와 제2케이블로 접속되고, 제2디스플레이장치(120)는 제3디스플레이장치(130)와 제3케이블로 접속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즉, 컨텐츠소스(10)는 영상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로 전송하며,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는 영상신호를 다시 제2디스플레이장치(120)로 전송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장치들 간의 연결 구조를 통칭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이라고 지칭하지만, 데이지 체인이라는 용어는 상기한 연결 구조를 간략하게 지칭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용어 자체가 구조의 기술적 의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데이지 체인 구조에서,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로부터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전송하는 영상신호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의해 처리된 것일 수도 있고,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는 컨텐츠소스(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자체적으로 영상으로 표시되게 처리하고, 이와 같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다시 제2디스플레이장치(120)로 출력한다. 즉,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 의한 처리 결과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컨텐츠소스(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동일한 상태가 아니다.
후자의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110)는 컨텐츠소스(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두 개의 신호로 분기 또는 복사하여, 하나의 신호를 처리하여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를 제2디스플레이장치(120)로 출력한다. 즉, 제2디스플레이장치(120)에 출력되는 신호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10)에서 처리되지 않은 상태인 바, 컨텐츠소스(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동일한 상태이다.
전자의 방식 및 후자의 방식 각각은, 시스템(1)에 요구되는 기능 또는 특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각 장치들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하고 또한 설정을 조정함으로써, 시스템(1)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전자의 경우, 즉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이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출력이 되는 경우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전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소스로부터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원본인 제1영상(210)의 컨텐츠가 전송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츠를 처리함으로써 새로운 제2영상(2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영상(220)은 제1영상(210)의 배경에 별도의 제3영상(230)이 합성되는 것과 같이, 제1영상(210) 및 제3영상(230)이 합성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상(220)을 생성하면, 제2영상(220)의 각 분할영역 중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역을 표시하고, 제2영상(220)의 컨텐츠를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1영상(210)에 합성하는 제3영상(230)은 제1영상(210)의 컨텐츠소스와 상이한 별도의 컨텐츠소스에서 제공되는, 제1영상(210)과 상이한 별도의 컨텐츠 영상일 수도 있다. 또는, 제3영상(230)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생성하는 그래픽 OSD 영상이 될 수도 있다.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영상(220)의 컨텐츠를 수신하면, 제2영상(220)의 각 분할영역 중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영역을 표시하고, 제2영상(220)의 컨텐츠를 제3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스템 내의 모든 디스플레이장치가 동작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전체 스크린 상에 제2영상(220)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수신되는 컨텐츠가 최초 컨텐츠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와 동일하다면, 상기와 같은 동작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생성된 제2영상(220)의 컨텐츠가 이후의 디스플레이장치들에게 전달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적으로 제2영상(220)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이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출력이 되는 방식은,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원본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 측에서 원본 영상이 포함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에 이와 같은 방식이 적용되는 케이스는 상기한 한 가지 예시만이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원본 영상(260)의 영상신호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영상(270)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원본 영상(260)에 대해 기 설정된 영상 이펙트를 반영함으로써 원본 영상(260)을 제1영상(27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만일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하게 영상 이펙트를 원본 영상(260)에 부여할 수 있다면,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원본 영상(260)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제1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영상 이펙트가 반영된 제2영상(28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해당 영상 이펙트를 영상에 반영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면,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소스로부터의 원본 영상(260)이 아닌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처리된 제1영상(270)의 영상신호를 수신해야만 한다. 이로써,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영상(270)과 동일한 영상 이펙트가 반영된 제2영상(280)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이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출력이 되는 방식은,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특정 영상처리를 반영한 영상을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도 동일하게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관련 기술(related art)에 따른 데이지 체인 구조의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이와 같이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때에,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자체적으로 OSD 메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관련 기술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각각 컨텐츠 영상 상에 OSD 메뉴 영상을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기술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소스로부터 원본 영상인 컨텐츠 영상(310)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입력과 같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응답하여 OSD 메뉴 영상(320)을 생성하고, 컨텐츠 영상(310) 및 OSD 메뉴 영상(320)을 믹싱한 제1영상(330)을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제1영상(330)을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330)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영상(330)은 이미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컨텐츠 영상(310) 및 OSD 메뉴 영상(320)이 믹싱된 상태이므로,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330)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OSD 메뉴 영상(320)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만일 제2디스플레이장치 또한 독자적으로 OSD 메뉴 영상(340)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소스로부터의 컨텐츠 영상(310)이 아닌,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제1영상(330)과 자체 생성한 OSD 메뉴 영상(340)을 믹싱하여 제2영상(350)을 생성 및 표시한다. 이 경우에, 제2영상(350)에는 컨텐츠 영상(310), OSD 메뉴 영상(320), OSD 메뉴 영상(340)이 중첩되어 표시된다.
즉, 관련 기술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처리된 제1영상(330)을 수신하는 구조로 인해, 불필요한 OSD 메뉴 영상(320)까지 표시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독자적으로 OSD 메뉴 영상(340)을 표시하는 경우에, OSD 메뉴 영상(320) 위에 OSD 메뉴 영상(340)이 겹쳐서 표시되는 문제점도 있다. 만일 OSD 메뉴 영상(320) 및 OSD 메뉴 영상(340)가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는 영상이라면, OSD 메뉴 영상(340)이 영상 중 제일 상측에 있더라도 OSD 메뉴 영상(340)의 내용을 사용자가 인지하기에 곤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00)는 다양한 컨텐츠소스(4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제공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400)가 TV의 경우를 고려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유일한 예시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태블릿(tasblet), PC, 모바일 폰(mobile 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컨텐츠소스(4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410)와, 신호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420)와, 신호처리부(420)에 의해 처리되는 컨텐츠 신호에 의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30)와, 신호처리부(420)에 의해 처리되는 컨텐츠 신호에 의한 컨텐츠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4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45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460)와, 신호처리부(420)의 처리를 위한 연산 및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제반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신호송수신부(410)는 컨텐츠소스(40) 또는 타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신호송수신부(410)는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신호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방향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신호송수신부(410)는 예를 들면 RF 방송신호를 지정된 주파수로 튜닝하게 마련된 튜닝 칩(tuning chip), 인터넷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이더넷(Ethernet) 모듈, 패킷 데이터를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다양한 규격에 따라서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는 접속포트 등의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신호송수신부(41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각기 대응하는 통신모듈 또는 포트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송수신부(410)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장치와 접속된다. 신호송수신부(410)는 신호가 입력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신호수신부와, 신호가 출력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즉, 타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영상신호가 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며, 신호처리부(420)에 의해 처리되는 컨텐츠 영상신호가 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신호처리부(420)는 신호송수신부(410)에 수신되는 컨텐츠 신호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컨텐츠를 재생한다. 신호처리부(42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신호처리부(420)는 컨텐츠 영상이 디스플레이부(430)에 표시되고 컨텐츠 오디오가 스피커(440)로부터 출력되도록 컨텐츠 신호를 처리한다.
신호처리부(420)는 컨텐츠 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로 분리하는 디먹스(DEMUX)(421)와, 디먹스(42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430)에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영상처리부(423)와, 디먹스(421)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신호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함으로써 스피커(440)로부터 컨텐츠 오디오가 출력되게 하는 음향처리부(425)를 포함한다.
디먹스(421)는 멀티플렉싱된 상태의 컨텐츠 신호 내의 각 패킷들을 PID에 따라서 구분함으로써, 컨텐츠 신호를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부가데이터신호 등의 하위 신호들로 분류시킨다. 디먹스(421)는 분류된 하위 신호들 중에서, 영상신호는 영상처리부(423)로 출력하고, 오디오신호는 음향처리부(425)로 출력한다. 다만, 모든 컨텐츠 신호가 디먹스(421)에 의해 분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신호가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로 각기 구분되어 디스플레이장치(400)에 제공되는 경우라면 디먹스(421)에 의한 디멀티플렉싱 처리가 불필요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423)는 하드웨어 프로세서 칩으로 구현되며, 영상신호에 대해 디코딩, 영상강화, 스케일링 등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430)에 출력한다. 영상처리부(423)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복수의 프로세서 칩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423)는 컨텐츠 신호의 영상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430) 상에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또는, 영상처리부(423)는 사용자입력부(4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OSD 메뉴를 생성하여 컨텐츠 영상에 믹싱 처리할 수 있는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OSD 메뉴의 생성을 위한 그래픽 처리부(미도시)가 신호처리부(420)에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음향처리부(425)는 하드웨어 DSP로 구현되며, 오디오신호에 대해 채널 별 구분, 증폭, 볼륨 조정 등의 오디오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스피커(440)에 출력한다. 스피커(440)가 복수 개의 단위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에, 음향처리부(425)는 오디오신호를 채널 별로 구분 및 처리하고, 처리된 채널 별 신호들을 개별 단위 스피커에 각기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30)는 영상처리부(423)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30)는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43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430)는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을 포함한다.
스피커(440)는 신호처리부(420)에 의해 처리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스피커(440)는 어느 한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대응하게 마련된 단위 스피커를 포함하며, 복수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각기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45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470)에 전달한다. 즉, 사용자입력부(45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신호처리부(42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470)가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사용자입력부(450)는 정보의 입력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450)는 디스플레이장치(400) 외측에 설치된 키, 디스플레이부(430)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는 마이크로폰, 사용자의 제스쳐 등을 촬영 또는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40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러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의 한 가지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리모트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장치(400)의 본체와 분리된 구성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400) 본체에 마련된 별도의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4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저장부(460)는 신호처리부(420) 및 제어부(47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460)는 신호처리부(420) 및 제어부(470)에 의해 억세스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460)는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신호처리부(42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470)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됨으로써, 신호처리부(420)를 비롯한 디스플레이장치(400)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OSD 메뉴를 포함하면, 영상신호의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에서 해당 OSD 메뉴를 포함하는 제1영상프레임을 표시하지 않고, 해당 OSD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제2영상프레임을 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상프레임에 영상보간법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신호 내에서 제1영상프레임의 순서에 대응하는 제3영상프레임을 생성하고, 제1영상프레임 대신 제2영상프레임 및 제3영상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이로써,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이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출력이 되는 방식이 적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에 있어서,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생성된 OSD 메뉴를 제외시키고 컨텐츠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컨텐츠소스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소스로부터 컨텐츠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S1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S1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음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하는 컨텐츠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된 신호이다.
S1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OSD 메뉴의 표시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S1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OSD 메뉴를 생성하고, 컨텐츠 영상프레임들 중에서 기 설정된 주기의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프레임들에 OSD 메뉴를 믹싱함으로써, 컨텐츠 영상신호를 수정 처리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프레임들 중에서 홀수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프레임들에 OSD 메뉴를 믹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프레임들 중에서 짝수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프레임들에 OSD 메뉴를 믹싱하지 않는다.
S1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정 처리된 컨텐츠 영상신호에 따라서, OSD 메뉴가 오버레이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S1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음 디스플레이장치에 수정 처리된 컨텐츠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컨텐츠소스로부터 최초로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전체 영상프레임 모두에 OSD 메뉴를 믹싱하는 것이 아닌, 전체 영상프레임 중 기 설정된 주기의 순서의 영상프레임에만 OSD 메뉴를 믹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컨텐츠 영상프레임 중에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에 OSD 메뉴를 믹싱하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체 영상프레임 중에서 기 설정된 주기의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프레임들에 OSD 메뉴를 믹싱할 수 있으며, 해당 주기의 순서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OSD 메뉴를 믹싱하기 위한 영상프레임들을 선택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간 t의 순서에 따른 복수의 영상프레임(510)을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OSD 메뉴(520)를 생성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체 영상프레임들(510) 중에서 기 설정된 주기의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프레임들을 선택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주기의 순서는 사전 설정에 따라서 여러 가지 수치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홀수번째 영상프레임을 선택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 각각에 OSD 메뉴(520)를 믹싱하는 반면, 짝수번째 영상프레임 각각에 OSD 메뉴(520)를 믹싱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OSD 메뉴(520)는 전체 영상프레임(510) 중에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에만 나타나고 짝수번째 영상프레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는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뿐만 아니라, n개 주기로 영상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n의 수치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OSD 메뉴(520)가 믹싱된 컨텐츠 영상신호를 출력하면,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S2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신호의 영상프레임들 중에서 처리할 대상의 영상프레임들 및 스킵할 대상의 영상프레임들을 구분한다. 여기서, 구분의 기준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전 저장된 설정정보에 의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의할 수도 있다.
S2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신호로부터 처리 대상의 영상프레임들만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신호로부터 스킵할 대상으로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들을 추출하지 않고, 처리할 대상으로서 짝수번째 영상프레임들만을 추출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수번째 영상프레임들에는 앞서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믹싱된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으며, 짝수번째 영상프레임들에는 상기한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이와 같은 추출 동작으로 인해, 컨텐츠 영상신호에는 스킵 대상의 영상프레임들이 누락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적으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스킵 대상의 영상프레임을 복구시킴으로써 컨텐츠 영상신호를 복구시켜야 한다.
S2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추출된 영상프레임들로부터 영상보간법을 사용하여, 스킵된 영상프레임들을 복구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짝수번째 영상프레임에 기초하여 영상보간법에 의해 새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을 생성한다.
S2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추출된 영상프레임에 복구된 영상프레임을 조합시켜 컨텐츠 영상신호를 복구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짝수번째 영상프레임에 새로 생성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들을 순서에 맞게 조합함으로써 컨텐츠 영상신호를 복구한다.
S2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구된 컨텐츠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S2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와 같이 처리된 컨텐츠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OSD 메뉴의 표시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S29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OSD 메뉴를 생성하고, 생성된 OSD 메뉴를 영상보간법에 의해 복구된 영상프레임들에 믹싱함으로써, 컨텐츠 영상신호를 수정 처리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복구된 홀수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프레임들에 OSD 메뉴를 믹싱하고, 짝수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프레임들에 OSD 메뉴를 믹싱하지 않는다.
여기서, OSD 메뉴를 믹싱하는 대상이 반드시 영상보간법에 의해 복구된 영상프레임일 필요는 없으며, 앞선 S230 단계에서 추출된 영상프레임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최초 컨텐츠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영상프레임이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보간법에 의해 복구된 영상프레임보다 미세하게나마 화질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OSD 메뉴는 복구된 영상프레임에 믹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된다면, OSD 메뉴는 복구된 영상프레임에 믹싱하면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들 사이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정 처리된 컨텐츠 영상신호에 따라서, OSD 메뉴가 오버레이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S3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음 디스플레이장치에 수정 처리된 컨텐츠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함으로써,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OSD 메뉴를 제외한 컨텐츠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신호(600)를 수신한다. 수신되는 컨텐츠 영상신호(600)는 시간 t의 순서대로 배치된 복수의 영상프레임(610, 620)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예를 들면 홀수번째 영상프레임(610)에는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믹싱된 OSD 메뉴(611)가 포함되며, 짝수번째 영상프레임(620)에는 OSD 메뉴(611) 없이 원본 컨텐츠만 포함된다.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와 같은 컨텐츠 영상신호(600)로부터, OSD 메뉴(611)를 포함하는 홀수번째 영상프레임(610)은 스킵하고, 원본 컨텐츠만 포함하는 짝수번째 영상프레임(620)을 추출한다. 만일 컨텐츠 영상신호(600)가 60Hz라면, 이로부터 추출된 짝수번째 영상프레임(620)은 30Hz가 된다. 이 상태로는 정상적인 영상 표시가 곤란하므로,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OSD 메뉴(611) 때문에 추출하지 않고 스킵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610)을 복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60Hz의 컨텐츠 영상신호(600)가 복구되도록 한다.
이에,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짝수번째 영상프레임(620)을 기반으로 하여 영상보간법을 사용함으로써 새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630)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어느 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630)은 시간적으로 앞뒤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짝수번째 영상프레임(620)들의 내부 오브젝트의 존재 및 이동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와 같이 생성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630)을 시간 순서에 맞도록 짝수번째 영상프레임(620)에 조합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60Hz로 복구된 컨텐츠 영상신호(601)를 생성한다. 본 컨텐츠 영상신호(601)는 컨텐츠 영상신호(600)과 달리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믹싱된 OSD 메뉴(611)를 포함하지 않고, 원본 컨텐츠만을 포함한다.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신호(601)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한편,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 영상신호(601)를 출력한다.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컨텐츠 영상신호(601)에 대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에 따라서 동작하며, 이로써 시스템 내 전체 디스플레이장치들이 적절히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만일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자체적으로 OSD 메뉴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OSD 메뉴를 컨텐츠 영상신호(601) 내에서 복구된 홀수번째 영상프레임(630)에 믹싱한다.
한편,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프레임들 중에서 어떻게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OSD 메뉴가 믹싱된 영상프레임들을 판별하는가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신되는 컨텐츠 영상신호의 각 영상프레임을 스캐닝하여 픽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영상프레임에 OSD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스캐닝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스템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 가지 방법은, 시스템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공통적으로 영상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디스플레이장치는 설정 정보를 호출하고, 설정 정보가 지정하는 순서의 영상프레임을 OSD 메뉴가 믹싱된 영상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정보는 제조 단계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 영상신호를 출력할 때, 해당 영상신호 내에 OSD 메뉴를 믹싱한 영상프레임을 판별하기 위한 판별 정보를 메타데이터 등의 형식으로 영상신호에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판별 정보는 영상프레임에 OSD 메뉴가 믹싱되었음을 알리는 통지정보, 전체 영상프레임들 중에서 어느 영상프레임에 OSD 메뉴가 믹싱되었는지 나타내는 영상프레임의 식별정보와, OSD 메뉴가 믹싱된 영상프레임의 주기를 나타내는 순서정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경우에 특정 디스플레이장치의 매트릭스 내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다.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디멀티플렉싱 처리함으로써 이러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된 제어라인을 통해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판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들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규격에 따라서 이와 같은 제어라인이 규정되어 있는 바, 케이블의 규격이 DisplayPort인 경우에 AUX 라인, 케이블의 규격이 HDMI인 경우에 HDMI-CEC 라인 등이 이러한 제어라인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라인을 통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는 컨텐츠 영상신호에 정보를 포함시키는 경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컨텐츠 영상신호에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신호 전송 규격이 지정하는 데이터 필드 중에서 현재 사용되지 않는 필드, 예를 들면 reserved field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전송 규격의 업데이트로 인해 이러한 reserved field가 업데이트된 전송 규격의 새로운 사용처로 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전송 규격에서 새로운 필드를 찾아야 한다. 제어라인을 통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라인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동작의 구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항상 활성화되지 않고, 평상시에는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는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신호에 OSD 메뉴가 믹싱되어 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제어라인을 통해 수신하면, 해당 알고리즘을 활성화시켜 적용함으로써 OSD 메뉴가 없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이하, 앞서 언급된 영상보간법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보간법은 사전에 주어진 데이터 지점들을 모두 지나는 다항식을 도출하고, 주어지지 않은 지점을 이 다항식을 사용하여 산출 또는 추정하는 기법이다. 즉, 보간법은 주변의 이미 알려진 값들로부터 보간 함수를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값들을 추정하는 바, 일종의 근사 계산법 이론에 해당한다. 보간법은 Lagrange 보간법, Newton 보간법, Hermite 보간법과 같이, 전 구간에서 모든 데이터 지점을 지나는 유일한 다항식을 구하는 방법인 다항식 보간법(Polynomial Interpolation)이 있고, 3차 스플라인 보간법, B-스플라인 보간법과 같이, 구간별 다항식 보간법인 스플라인(Spline) 보간법 등이 있다.
영상보간법은 이러한 보간법이 영상처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가장 인접한 픽셀값을 새 픽셀값으로 간주하는 Nearest neighbor interpolation, 두 픽셀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비례에 의해 새 픽셀값을 계산하는 Bilinear interpolation, 3차함수 이상의 고차 함수를 이용하여 새 픽셀값을 계산하는 High-order interpolation 등의 방법이 영상 처리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킵된 영상프레임을 복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한 영상보간법을 응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을 보간하는 한 가지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n-1)번째 영상프레임 및 (n+1)번째 영상프레임이 주어졌을 때, 시간적으로 이들 두 영상프레임 사이에 있는 n번째 영상프레임을 추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번째 영상프레임 및 (n+1)번째 영상프레임 각각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오브젝트(710)가 있다고 하면, (n-1)번째 영상프레임에서 오브젝트(710)의 위치 및 (n+1)번째 영상프레임에서 오브젝트(710)의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710)의 이동 벡터 v를 구할 수 있다.
오브젝트(710)는 이동 벡터 v가 지시하는 방향 및 이동량으로 (n-1)번째 영상프레임부터 (n+1)번째 영상프레임까지 이동한 것이므로, n번째 영상프레임에서 오브젝트(720)의 위치는 이동 벡터 v에 따라서 추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710)의 이동 벡터 v가 (n-1)번째 영상프레임 및 (n+1)번째 영상프레임의 두 개의 영상프레임만을 가지고 도출된 것으로 나타내지만, 이들 영상프레임에 시간적으로 인접한 복수의 영상프레임이 추가로 참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프레임 내의 특정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기준은 픽셀 단위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n번째 영상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보간법 중 다양한 방식이 중첩 적용됨으로써 픽셀값이 도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영상보간법에 의해 영상프레임을 복구하는 한 가지 예시로서, 실제로는 여러 가지의 방식이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시스템
10 : 컨텐츠소스
100. 400 : 디스플레이장치
410 : 신호송수신부
420 : 신호처리부
421 : 디먹스
423 : 영상처리부
425 : 음향처리부
430 : 디스플레이부
440 : 스피커
450 : 사용자입력부
460 : 저장부
470 : 제어부

Claims (19)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OSD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1프레임의 영상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OSD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2프레임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프레임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순서에 대응하는 제3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제1프레임 대신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신호출력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OSD 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OSD 메뉴가 상기 제3프레임에 부가되도록 하여 상기 제2OSD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OSD 메뉴가 상기 제2프레임에 부가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신호의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에서 제1OSD 메뉴가 부가되도록 사전 지정된 주기의 순서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식별정보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OSD 메뉴를 생성하였음을 알리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게 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신호출력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OSD 메뉴의 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생성한 상기 OSD 메뉴를 상기 영상신호의 제1프레임에 부가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제2프레임에 부가하지 않음으로써 보정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보정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신호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정된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외부의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1OSD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1프레임의 영상은 표시하지 않고, 상기 제1OSD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2프레임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영상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프레임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순서에 대응하는 제3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 대신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이 조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제2OSD 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OSD 메뉴를 상기 제3프레임에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2OSD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OSD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OSD 메뉴가 상기 제2프레임에 부가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영상신호의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에서 제1OSD 메뉴가 부가되도록 사전 지정된 주기의 순서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식별정보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 내에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OSD 메뉴를 생성하였음을 알리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60105812A 2016-08-19 2016-08-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KR10251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12A KR102518960B1 (ko) 2016-08-19 2016-08-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PCT/KR2017/008868 WO2018034479A1 (en) 2016-08-19 2017-08-16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201780046974.5A CN109496428B (zh) 2016-08-19 2017-08-16 显示装置和记录介质
EP17841661.6A EP3459240B1 (en) 2016-08-19 2017-08-16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5/680,392 US10191712B2 (en) 2016-08-19 2017-08-18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12A KR102518960B1 (ko) 2016-08-19 2016-08-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352A true KR20180021352A (ko) 2018-03-02
KR102518960B1 KR102518960B1 (ko) 2023-04-10

Family

ID=6119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812A KR102518960B1 (ko) 2016-08-19 2016-08-19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1712B2 (ko)
EP (1) EP3459240B1 (ko)
KR (1) KR102518960B1 (ko)
CN (1) CN109496428B (ko)
WO (1) WO2018034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9539B (zh) * 2018-03-15 2020-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及显示装置
US10372402B1 (en) 2018-03-27 2019-08-06 Panoscape Holdings, LLC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f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11886766B2 (en) 2018-08-28 2024-01-30 Panoscape Holdings, LLC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JP7129347B2 (ja) * 2019-01-11 2022-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CN114880052A (zh) * 2021-02-05 2022-08-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13590066A (zh) * 2021-07-28 2021-11-0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全自动实现多屏拼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259A1 (en) * 2000-08-11 2002-02-21 Nec Viewtechnology, Ltd. Image display device
US20150363154A1 (en) * 2013-01-30 2015-1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for multi-monitor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423B1 (en) * 2000-05-12 2012-01-03 Harris Scott C Automatic configuration of multiple monitor systems
EP1326436B1 (en) * 2001-12-28 2013-02-13 Sony Corporation Displaying information
JP5570300B2 (ja) * 2010-05-26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87611B1 (ko) * 2010-06-01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101845386B1 (ko) * 2011-11-22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스크린 구성 방법
US9741316B2 (en) * 2012-06-22 2017-08-22 Universität des Saarlandes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ixels on display devices
KR20140055486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12005B1 (ko) * 2013-04-02 202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19464A (ja) 2013-11-12 2015-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259A1 (en) * 2000-08-11 2002-02-21 Nec Viewtechnology, Ltd. Image display device
US20150363154A1 (en) * 2013-01-30 2015-1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for multi-monitor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96428B (zh) 2021-05-14
US10191712B2 (en) 2019-01-29
KR102518960B1 (ko) 2023-04-10
US20180052652A1 (en) 2018-02-22
CN109496428A (zh) 2019-03-19
WO2018034479A1 (en) 2018-02-22
EP3459240A4 (en) 2019-03-27
EP3459240A1 (en) 2019-03-27
EP3459240B1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135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KR10146612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멀티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875522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11194993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S10033969B2 (en) Semiconductor device, video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signal
US9892524B2 (en) Image displaying methods, devices, and storage media
JP6362116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150195514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driv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KR2005002832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03938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2015165617A (ja) 映像表示装置
KR2007001033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섬네일 이미지 표시 방법
JP680346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039387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11282483B2 (en) Full-screen displays
CN109791755B (zh) 图像处理装置、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60055624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603938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10212316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KR10242335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KR10059811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7425B1 (ko) 영상표시방법 및 기기
JP200620861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10243745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6229813A (ja)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