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749A -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749A
KR20180020749A KR1020160105594A KR20160105594A KR20180020749A KR 20180020749 A KR20180020749 A KR 20180020749A KR 1020160105594 A KR1020160105594 A KR 1020160105594A KR 20160105594 A KR20160105594 A KR 20160105594A KR 20180020749 A KR20180020749 A KR 20180020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ost
inclined post
photographing
endoscop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호
홍한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6010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0749A/ko
Priority to PCT/KR2017/008996 priority patent/WO2018034527A1/ko
Publication of KR2018002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경사 기둥, 상기 제1 경사면과 접하고 제2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경사 기둥, 상기 제1 경사 기둥에 부착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경사 기둥 및 상기 제2 경사 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촬영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경사 기둥과 결합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 기둥 및 상기 제2 경사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 기둥이 회전하면, 상기 제1 경사 기둥은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Description

내시경 장치{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검사는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의 장기 내부를 관찰하고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내시경 검사는 개복 수술 또는 절개 수술 등과 같은 시술 없이도 신체의 내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의료 분야에서 질병의 진단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내시경 장치는 수술을 하거나 절개를 하지 않고서는 직접 환부(병변)를 볼 수 없는 신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기나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 기구이다. 이를 위해, 내시경 장치는 촬영 장치와 결합하여 체내의 환부를 촬영한다.
내시경 장치는 촬영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내시경을 구비하고 관찰하고자 하는 환부의 위치에 적합한 촬영 각도를 갖는 내시경을 선택하여 특정 위치의 환부를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촬영 각도가 상이한 다양한 내시경을 중복하여 구비해야 되고 미리 환부의 위치를 예측하여 적합한 촬영 각도를 갖는 내시경 장치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예상과 다르게 환부를 찾지 못한 경우, 사용자는 다른 촬영 각도를 갖는 내시경 장치를 다시 선택하는 불편함과 비효율성이 있다.
한편, 내시경 장치는 촬영 장치에 포함된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내시경 장치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신체 내부에 삽입되기 위해 넓은 부위를 절개해야 하는 문제 및 내시경의 비용을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폭이 5mm 내외일 필요가 있는 관절 내시경의 경우, 내시경 장치에 촬영 각도가 조정되는 구동 장치를 포함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시경 장치의 몸체의 일부인 제2 경사 기둥을 회전시켜 촬영 장치의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제1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경사 기둥, 상기 제1 경사면과 접하고 제2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경사 기둥, 상기 제1 경사 기둥에 부착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경사 기둥 및 상기 제2 경사 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촬영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경사 기둥과 결합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 기둥 및 상기 제2 경사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 기둥이 회전하면, 상기 제1 경사 기둥은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내시경 장치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1 면과 결합한다.
내시경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제2 경사 기둥의 회전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한다.
내시경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면은 미리 설정된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다.
내시경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시경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상응하는 각도를 갖는다.
내시경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시경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경사 기둥과 결합되고, 상기 제2 경사 기둥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내시경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경사면을 갖는 원통형 제2 경사 기둥이 회전하면 제1 경사 기둥에 부착된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가 변경된다.
또한, 제2 경사 기둥의 회전으로 쉽게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촬영 각도의 조정으로 신체 내부의 환부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별도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제1 경사 기둥과 제2 경사 기둥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경사 기둥의 회전 각도에 따른 제1 경사 기둥의 기울기 변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100)는 직선의 긴 몸체(110, 120)와 촬영 장치(140)를 포함한다. 내시경 장치(100)의 몸체(110, 120)는 신체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의 형상을 갖는다. 내시경 장치(100)의 몸체(110,120)는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 내부에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굴절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질 수도 있다.
내시경 장치(100)는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환부(또는 병변)를 관찰하는 장치이다. 내시경 장치(100)는 선단에 촬영 장치(1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촬영 장치(140)로 병변을 관찰하여 환자의 질병의 원인이나, 질병의 경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내시경 장치(100)는 촬영 장치(140)에 별도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복잡한 구동 장치 대신에 제1 경사 기둥(110)과 제2 경사 기둥(120)으로 대체하였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1 경사 기둥(110) 또는 제2 경사 기둥(120)을 회전시켜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1 경사 기둥(110) 또는 제2 경사 기둥(120)이 회전하면 절곡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2 경사 기둥(120)이 회전하면, 제1 경사 기둥(110)은 제2 경사 기둥(120)의 제2 경사면을 타고 움직인다. 제1 경사 기둥(110)은 제2 경사면에 의해 제2 경사 기둥(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여지게 된다. 내시경 장치(100)는 이를 이용하여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 정도를 제어하여 제1 경사 기둥(1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내시경 장치의 제1 경사 기둥과 제2 경사 기둥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100)는 제1 경사 기둥(110), 제2 경사 기둥(120), 촬영 장치(140) 및 연결 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경사 기둥(110)은 제1 각도(θ1)의 경사면인 제1 경사면이 일면에 형성된 기둥 형태이다. 제1 경사 기둥(110)은 상기 제1 경사면 쪽이 개구되어 있다. 제1 경사 기둥(110)은 내시경 장치(100)의 몸체 중 일부분으로 신체 내부로 진입할 때 촬영 장치(14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경사 기둥(110)은 체내에 진입할 때 제2 경사 기둥(120)보다 먼저 진입하는 내시경 장치(100)의 상단에 해당한다. 제1 경사 기둥(110)의 일면은 촬영 장치(140)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1 경사 기둥(110)은 원기둥, 타원기둥, 다각형 기둥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경사 기둥(120)은 제2 각도(θ2)의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 기둥(120)의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하여 접해 있다. 제2 경사 기둥(120)은 제1 경사 기둥(110)과 접하고 있을 뿐, 제1 경사 기둥(110)과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경사 기둥(120)은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 기둥(120)은 내시경의 몸체 중 일부분으로 촬영 장치(140)가 신체 내부로 진입할 때 촬영 장치(14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경사 기둥(120)은 제1 경사 기둥(110)이 체내로 진입한 후에 체내로 진입한다. 한편, 제1 경사 기둥(110)은 원기둥, 타원기둥, 다각형 기둥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2 경사 기둥(120)은 제1 경사 기둥(110)의 길이 보다 길이가 길다.
상기 제1 각도(θ1) 및 상기 제2 각도(θ2)는 제조시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θ1) 및 상기 제2 각도(θ2)는 촬영 각도가 조정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내시경 장치(100)의 촬영 장치(140)가 0도 내지 40도의 촬영 각도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제1 각도(θ1)가 10도이면 제2 각도(θ2)는 30도로, 제1 각도(θ1)가 20도이면 제2 각도(θ2)는 20도로, 제2 각도(θ2)가 15도이면 제2 각도(θ2)는 25도가 될 수 있다. 즉,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의 합이 조정하려는 촬영 각도의 범위 값과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촬영 장치(140)는 제1 경사 기둥(110)의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촬영 장치(140)는 신체 내부의 장기 등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장치(140)는 가시광 영역의 파장을 감지하여 영상 형태로 외부의 표시 장치에 전달하는 가시광 촬영 장치(140)이거나, 가시광 영역 이외의 영역의 파장을 감지하여 영상 형태로 외부의 표시 장치에 전달하는 비가시광 촬영 장치(140)일 수 있다. 여기서 비가시광 촬영 장치(140)는 열화상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또는 UV 카메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가시광이 아닌 광을 감지하여 영상 형태로 외부의 표시 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장치(140)는 피사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빛을 발산하여 촬영 장치(140)가 피사체의 관찰을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광원은 LED나 형광 램프일 수 있으며, 피사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램프이면 되고,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 부재(130)는 일정한 내구성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긴 기둥 형태이다. 연결 부재(130)는 제1 경사 기둥(110) 및 제2 경사 기둥(120)의 유연성을 간섭하지 않도록 유연성을 갖는다. 즉, 연결 부재(13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굴절될 수 있다. 연결 부재(130)는 제2 경사 기둥(120)의 통공을 관통하고, 제1 경사 기둥(110)의 개구된 부분과 결합하면서 촬영 장치(140)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30)는 제1 경사 기둥(110)과 결합하여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에 따라 제1 경사 기둥(11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30)는 제1 경사 기둥(11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연결 부재(130)는 제2 경사 기둥(1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이격하여 제2 경사 기둥(120)의 통공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30)의 직경보다 제2 경사 기둥(120)의 통공의 직경이 더 크다.
연결 부재(130)는 데이터 신호나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130)는 촬영 장치(140)와 연결되어 촬영 장치(140)가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를 내시경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내시경 장치(100)는 제1 경사 기둥(110)과 제2 경사 기둥(120) 사이를 차폐하는 가림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우레탄, 고무 등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은 제1 경사 기둥(110)과 제2 경사 기둥(120) 사이에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되는 걸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은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 운동에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경사 기둥(110) 또는 제2 경사 기둥(120) 어느 한 경사 기둥과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경사 기둥의 회전 운동에 따른 제1 경사 기둥의 기울기 변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제2 경사 기둥(120)은 제1 축(z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으로 제1 경사 기둥(110)이 기울여짐에 따라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 기둥(110)은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으로 제1 축(z1)에 대해 기울여진다. 제1 경사 기둥(110)이 기울여짐에 따라, 제1 경사 기둥(110)의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면인 제1 면에 결합한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도 변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경사 기둥(120)이 회전하여 내시경 장치(100)의 촬영 각도가 변하는 과정을 위주로 상술한다.
촬영 장치(140)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면인 제1 면에 결합되어 있다. 촬영 장치(140)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시선 벡터(z2)라 한다면, 상기 시선 벡터(z2)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면인 제1면의 법선 벡터와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의 경우 상기 시선 벡터(z2)와 상기 법선 벡터가 평행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경사 기둥(110)과 제2 경사 기둥(120)은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 기둥(120)의 제2 경사면이 대응되게 접해 있다. 이 경우, 촬영 장치(140)는 내시경 장치(100)가 신체의 내부로 진입할 때, 진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촬영 장치(140)가 목적하는 신체의 내부에 도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제1 경사 기둥(110) 또는 제2 경사 기둥(120)을 회전시켜,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조정하여 문제가 되는 환부를 촬영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2 경사 기둥(120)이 회전할수록 더 크게 절곡된다(도 4b 내지 4e 참조). 구체적으로, 제2 경사 기둥(120)이 제1 축(z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제1 경사 기둥(110)은 제2 경사 기둥(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여진다.
즉, 제1 축(z1)과 촬영 장치의 시선 벡터(z2) 사이의 각도인 촬영 각도는 점차 커지며, 제3 각도(θ3), 제4 각도(θ4), 제5 각도(θ5), 제6 각도(θ6) 순으로 큰 값을 갖는다.
즉, 사용자는 제2 경사 기둥(120)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변경 가능하다. 사용자는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촬영 장치(140)의 각도를 원하는 신체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경사 기둥(1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 경사 기둥(120)을 회전시켜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촬영 장치(140)는 제1 경사 기둥(110)의 제1 면에 결합되어 제1 면의 법선 방향과 상응하는 시선 벡터(z2)를 갖고 시선 벡터(z2)가 향하는 신체 내부의 환부를 촬영할 수 있다. 제2 경사 기둥(120)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촬영 장치(140)는 제2 경사 기둥(120)의 제2 경사면에 의해 제2 경사 기둥(12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기울여진 정도가 달라진다. 사용자는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으로 쉽게 원하는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관찰하고자 하는 신체의 내부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처럼, 소형화할 필요 있는 내시경 장치(100)에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별도의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는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만으로 촬영 장치(140)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가 20도인 경우, 내시경 장치(100)는 제2 경사 기둥(120)을 회전시켜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0도에서 40도까지 조정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대응하여 접해 있는 경우에 촬영 각도는 0도이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2 경사 기둥(120)을 회전시켜 상기 촬영 각도를 40도 까지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 방향을 바꿔 가면서 0~40도 사이에서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100)는 제1 경사 기둥(110), 제2 경사 기둥(120), 연결 부재(130), 촬영 장치(140)를 포함한다.
제1 경사 기둥(110)은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일면이 미리 설정된 각도(θs)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촬영 장치(140)는 상기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경사 기둥(110)의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 기둥(120)의 제2 경사면이 서로 대응하여 접하여 내시경 장치(100)가 절곡되지 않아도 촬영 장치(140)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θs)의 촬영 각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가 30도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θs)가 30도인 경우, 내시경 장치(100)는 30도 내지 90도의 촬영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0)는 절곡되지 않은 상태에서 30도의 촬영 각도를 갖는다(도 5 (b) 참조).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으로 제1 경사 기둥(110)이 기울여지기 시작하면, 내시경 장치(100)는 30도 이상의 촬영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0)는 제2 경사 기둥(120)이 180도 회전하면 90도의 촬영 각도를 갖는다(도 5 (a) 참조).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100)는 내시경 본체부(160), 제2 경사 기둥(120) 및 각도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각도 표시부(150)는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에 따른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표시할 수 있다. 각도 표시부(150)가 기준점을 갖는 다이얼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에게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즉, 각도 표시부(150)의 표시 방법 및 형상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각도 표시부(150)는 외면에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에 따른 촬영 각도를 직접 표시하거나, 센서를 이용하여 제2 경사 기둥의 회전 각도를 센싱하고 상기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촬영 각도를 연산하여 내시경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각도 표시부(150)는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 도 5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각도를 기초하여 상기 촬영 각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가 20도 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가 30도인 경우, 각도 표시부(150)는 제1 각도(θ1), 제2 각도(θ2)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30도 내지 70도 사이의 각도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경사 기둥(12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2 경사 기둥(120)이 180도 회전할 때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는 30도에서 70도 변하므로, 각도 표시부(150)는 제2 경사 기둥(120)의 1도 변화를 감지하면 2/9도의 촬영 장치(140)의 촬영 각도가 변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내시경 장치
110: 제1 경사 기둥
120: 제2 경사 기둥
130: 연결 부재
140: 촬영 장치
150: 각도 표시부
160: 내시경 본체부

Claims (9)

  1.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제1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인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경사 기둥;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여 접하고 제2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인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경사 기둥;
    상기 제1 경사 기둥에 부착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경사 기둥 및 상기 제2 경사 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촬영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경사 기둥과 결합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 기둥 및 상기 제2 경사 기둥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 기둥이 회전하면, 상기 제1 경사 기둥은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내시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1 면과 결합한 내시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제2 경사 기둥의 회전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하는 내시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미리 설정된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인 내시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상응하는 각도를 갖는 내시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 기둥과 결합되고, 상기 제2 경사 기둥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20160105594A 2016-08-19 2016-08-19 내시경 장치 KR20180020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594A KR20180020749A (ko) 2016-08-19 2016-08-19 내시경 장치
PCT/KR2017/008996 WO2018034527A1 (ko) 2016-08-19 2017-08-18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594A KR20180020749A (ko) 2016-08-19 2016-08-19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49A true KR20180020749A (ko) 2018-02-28

Family

ID=6119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594A KR20180020749A (ko) 2016-08-19 2016-08-19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20749A (ko)
WO (1) WO20180345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9291B2 (ja) * 2005-02-09 2011-05-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装置用プログラム
JP4970070B2 (ja) * 2007-02-01 2012-07-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節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内視鏡
KR101211353B1 (ko) * 2010-12-27 2012-12-13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경사 회전축을 구비한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내시경
WO2015141483A1 (ja) * 2014-03-17 2015-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6382541B2 (ja) * 2014-03-18 2018-08-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ワイヤ接合方法、調整部材、及び内視鏡用操作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527A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9652B2 (ja) 耳鏡装置
EP2299894B1 (en) Transparent endoscope head defining a focal length
US10357145B2 (en) Wire driver for wire line and endoscope
US11058286B2 (en) Ear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ubject's ear
JP6493921B2 (ja) 耳鏡装置
US8928746B1 (en) Endoscope having disposable illumination and camera module
JP5702028B2 (ja) 内視鏡
JP5203958B2 (ja) 生体内画像化装置
JP4782900B2 (ja) 内視鏡
US201102514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A Body Cavity
JP2019115679A (ja) 耳鏡装置の作動方法
KR20200094797A (ko) 패닝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내시경
JP2005168770A (ja) 内視鏡
JP2009061185A (ja) 内視鏡
US8702593B2 (en) Capsule endoscope
JP6018295B2 (ja) 医療器具案内装置
KR20180020749A (ko) 내시경 장치
JP2003290119A (ja) 内視鏡撮像装置
JP2004147981A (ja) 撮像装置
EP2787333B1 (en) Ear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ubject's ear
KR101575953B1 (ko) 내시경 장치
KR20160137133A (ko) 내시경 장치
JPS63294510A (ja) 立体視内視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