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016A -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016A
KR20180020016A KR1020160104445A KR20160104445A KR20180020016A KR 20180020016 A KR20180020016 A KR 20180020016A KR 1020160104445 A KR1020160104445 A KR 1020160104445A KR 20160104445 A KR20160104445 A KR 20160104445A KR 20180020016 A KR20180020016 A KR 20180020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plate
jig
metal thin
moto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558B1 (ko
Inventor
김원석
이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아정공
Priority to KR102016010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는 냉각 대상체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공기 유입홀과 연통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공기 공급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대상체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구비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COOLING DEVICE FOR MANUFACTURING MOTOR CORE}
본 발명은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MOTOR)는 스테이터(STATOR)와 로터(RO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는 각각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 및 로터 코어(이하, '모터 코어'라 함)를 적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코어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을 적층하여 제작될 수 있다.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을 모터 코어 제조용 다이에서 성형한 후 겹겹이 쌓아 프레스로 압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프레스로 압착하는 과정에서 금속 박막에는 금속 박막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엠보(embow) 및 엠보에 대응하는 상면에 엠보 걸림홈이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금속 박막은 이웃한 금속 박막의 엠보 및 엠보 걸림홈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금속 박막은 인터락킹(interlocking)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프레스로 압착하여 기구적인 방식으로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경우, 금속 박막의 엠보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이 이웃한 금속 박막끼리 이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금속 박막의 적층 시 금속 박막이 이격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 코어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모터 코어를 구성하는 금속 박막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는 냉각 대상체가 안착되고 상기 냉각 대상체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공기 유입홀과 연통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공기 공급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대상체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구비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는 벨로우즈관과 상기 벨로우즈관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관을 포함하는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1 배관부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서 외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1 배관부의 단부에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배관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 부재를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냉각 대상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 대상체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구비된 후드부, 상기 후드부에 상기 공기 배출홀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서 상기 냉각 대상체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 및 복수 개의 상기 금속 박막이 고정되는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서 상기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하부 지그,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삽입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의 둘레를 따라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상부 지그 및 상기 하부 지그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지그가 결합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서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냉각 대상체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후드부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에 의해 제작된 모터 코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 코어를 구성하는 금속 박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모터 코어 제조공정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용 냉각 장치에 공급되는 금속 박막 및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를 구성하는 하부 지그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를 구성하는 상부 지그의 개략 저면 사시도 이다.
도 9는 도 5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장치의 개략 동작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에 의해 제작된 모터 코어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터 코어를 구성하는 금속 박막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모터 코어 제조공정의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터 코어는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코어(stator core) 및 로터 코어(rotor core)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스테이터 코어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500, 도 6 참조)에 의해 제작되는 모터 코어(1)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1a)이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금속 박막(1a)은 소정의 금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금속 박막(1a)의 양면에는 접착층(1b)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b)은 고온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 용융되어 접착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금속 박막(1a)을 적층하여 가열하는 경우, 복수 개의 금속 박막(1a)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1b)은 금속 박막(1a)의 양측 전면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층된 금속 박막(1a)에 대한 가열공정이 종료된 후에 복 수개의 금속 박막(1a)은 전체 면적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박막(1a)과 접착층(1b) 사이에는 모터 코어(1)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층(1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코어(1)는 일련의 제조공정을 거쳐서 제작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모터 코어(1)의 제조공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금속 박막 제조공정(S1)이 수행될 수 있다. 금속 박막 제조공정(S1)은 소정의 금속 박막 제조용 금형(die)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금속판 모재는 금속 박막 제조용 금형을 거쳐 금속 박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금속 박막의 모재로서 절연층 및 접착층이 도포된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금속 박막을 제작 중에 절연층 및 접착층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박막 제조공정(S1)에서 제작된 금속 박막은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 도 4 참조)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금속 박막을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에 결합시킨 상태로 가열 단계(S2)가 수행될 수 있다.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가열 단계(S2)에서는 금속 박막에 열을 가하여, 금속 박막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를 용융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금속 박막은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에 고정된 채로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500)에 유입될 수 있다.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5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가열 단계(S2)가 수행된 이후에는 접착 및 냉각 단계(S3)가 수행될 수 있다.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는 별도의 냉각 장치(600, 도 12 참조)에 의해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에 공기를 통하게 하여 가열된 금속 박막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과정에서 복수 개의 금속 박막 사이에 용융되었던 접착제는 응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복수 개의 금속 박막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단계(S2)와 접착 및 냉각 단계(S3)는 하나의 장치에서 일련의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열 단계(S2)와 상기 접착 및 냉각 단계(S3)를 각각 별도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여,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의 상세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용 가열장치에 공급되는 금속 박막 및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를 구성하는 하부 지그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은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를 구성하는 상부 지그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는 가이드 샤프트(230) 및 가이드 샤프트(230)의 둘레를 따라 공기 유입구(220a)가 구비된 하부 지그(200), 가이드 샤프트(230)가 삽입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310) 및 가이 샤프트 결합홀(310)의 둘레를 따라 공기 배출구(320)가 구비된 상부 지그(300) 및 상기 하부 지그(2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 지그(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는 가열 단계(S2)에서의 변형/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의 전체적인 형상 및 소재는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 장치(500) 또는 냉각 장치(600) 등에 안착 및 이동이 유리하고, 가열 단계에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소재라면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하부 지그(200)는 플레이트(210), 공기 유입부(210a), 금속 박막 안착부(220) 및 가이드 샤프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 장치(500) 또는 냉각 장치(600)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평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에는 외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210a)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유입부(210a)는 플레이트(210)의 저면이 소정 깊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외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불어온 바람은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구비되는 공기 유입부(210a)를 향해 흐르게 되고, 이어서 공기 유입부(210a)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공기 유입구(220a)를 통해 하부 지그(200)에 결합된 금속 박막(1a)을 향해 흐르게 된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금속 박막 안착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박막 안착부(220)는 공기 유입부(210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부(210a)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금속 박막 안착부(220)는 이에 대응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금속 박막 안착부(220)의 형상이 공기 유입부(210a)에 대응한다는 의미는 플레이트(210)의 저면에서 인입된 부분의 형상과 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돌출된 부분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유사함을 의미하며 그 크기가 반드시 일치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금속 박막 안착부(220)에는 금속 박막(1a)이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금속 박막 안착부(220)에는 가열 단계(S2)와 접착 및 냉각 단계(S3)가 수행된 후 모터 코어(1)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1a)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박막(1a)이 금속 박막 안착부(220)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열되는 경우, 금속 박막 안착부(220)와 접하는 금속 박막(1a)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에 의해 금속 박막이 금속 박막 안착부(2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 박막 안착부(220)의 상면에는 제1 수지 코팅층(2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코팅층(221)은 금속 박막(1a)의 접착제에 의해 금속 박막(1a)이 금속 박막 안착부(220)에 결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지화합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금속 박막 안착부(220)에는 가이드 샤프트(23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공기 유입부(210a)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22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생성된 바람은 공기 유입부(210a) 및 공기 유입구(220a)를 거쳐 가열된 금속 박막(1a)에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입구(220a)는 공기 유입부(210a)를 형성하는 플레이트(210)의 내측면을 통해 공기 유입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유입구(220a)의 일측 단부는 공기 유입부(210a)를 형성하는 플레이트(210)의 인입된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 유입구(220a)의 타측 단부는 금속 박막 안착부(2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20a)는 가이드 샤프트(230)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원주방향이란 도 5를 기준으로 가이드 샤프트의(2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생성된 바람은 가열된 금속 박막에 전체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220a)는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금속 박막 안착부(220)의 내측에는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샤프트(2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축방향 상측이란 도 5를 기준으로 하부 지그(200)에서 상부 지그(30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230)에는 금속 박막(1a) 및 상부 지그(3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지그(300)는 가이드 샤프트(230)에 결합되어 금속 박막(1a)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지그(300)에는 가이드 샤프트(230)가 삽입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31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310)은 상부 지그(300) 내측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샤프트(23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샤프트(230)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310)은 원형의 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310)의 형상은 가이드 샤프트(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부 지그(300)의 저면에는 제2 수지 코팅층(323)이 구비될 수 있다. 금속 박막(1a)이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열되는 경우 상부 지그(300)의 저면과 접하는 금속 박막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에 의해 금속 박막(1a)이 상부 지그(30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 지그(300)의 저면에는 제2 수지 코팅층(3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 코팅층(323)은 금속 박막의 접착제에 의해 금속 박막(1a)이 상부 지그(300)의 저면에 결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지화합물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부 지그(300)에는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310)의 둘레를 따라 공기 배출구(32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320)는 상부 지그(30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 금속 박막(1a)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 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320)는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310)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배출구(320)의 상부는 상부 지그(300)의 상면이 소정 깊이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배출구(320)는 상부 지그(300)의 상면이 소정 깊이 인입된 후 인입된 바닥면에서부터 상부 지그(300)의 저면까지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320)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구(3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된 공기 배출구(320)는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한 공기 배출구(320)의 개방된 상측 부분이 연결되어 연결통로(3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지그(300)의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공기 배출구(320)는 전체적으로 'ㅠ'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구(320)는 하부 지그(200)에 구비되는 공기 유입구(2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210a)를 통과한 공기는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금속 박막과 열교환하여 금속 박막을 냉각시킨 후, 공기 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지그(300)는 하부 지그(200)와 분리/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지그(300)를 하부 지그(200)에 결합시킬 때, 공기 배출구(320)와 공기 유입구(210a)의 위치를 대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부 지그(3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가이드 슬릿(322)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322)에는 가이드 바(400)의 가이드 돌기(410)가 삽입되어 상부 지그(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슬릿을 가이드 바(400)에 구비하고, 가이드 돌기를 상부 지그(300)의 외주면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가이드 바(400)의 상부 지그(300)와 대향하는 일면 또는 상부 지그(300)의 가이드 바(400)와 대향하는 일면 중 어느 한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구비되고,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지 않은 어느 일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지그(200)의 일측에는 상부 지그(300)가 결합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4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바(400)의 일면에는 상부 지그(300)를 향해 돌출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4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지그(300)에는 가이드 돌기(410)가 삽입결합되는 가이드 슬릿(322)이 구비되어 상부 지그(300)가 하부 지그(200)에 결합하는 경우 가이드 바(400)는 상부 지그(300)의 결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400)에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고 상부 지그(300)에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500)의 세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 장치(500)는 가열 단계(S2)에서 가열 대상체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열 대상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510), 가열 대상체의 이송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된 가열 대상체를 축방향 상측 및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승부(520) 및 상승부(5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승부(520)에 의해 축방향 상측으로 상승된 가열 대상체(P)를 가열시키는 가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대상체는 예를 들어,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 및 상기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1a)을 의미할 수 있다.
이송부(510)는 가열 대상체를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복수 개의 이송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는 이송부(510)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가열 대상체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되는 가열 대상체의 이송경로 상에는 상승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승부(520)는 가열 대상체를 축방향 상측으로 상승시키거나, 가열된 대상체를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열 단계(S2)에서 가열 대상체가 이송되는 중에, 가열 대상체는 가열부(530)에 유입되어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가열부(530)는 이송부(510)의 상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승부(520)는 가열 대상체를 가열부(530) 내측으로 이송시키거나, 가열부(530)에 의해 가열된 가열 대상체를 다시 이송부(510)로 복귀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승부(520)는 일 예로서, 가열 대상체의 이송경로에 구비되어 가열 대상체가 안착되는 승강 플레이트(521) 및 승강 플레이트(5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 플레이트(5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22)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구동부(522)의 구성은 승강 플레이트(521)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는 한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가열부(530)는 가열 대상체를 가열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이송부(510)의 일측에서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포스트(531), 포스트(531)의 연장된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532) 및 지지 플레이트(532)의 하측에 지지 플레이트(53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열 플레이트(5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가열부(530)가 이송부(510)의 축방향 상측에 구비되는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열부(530)가 구비되는 위치는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가열부(530)를 이송부(510)의 하측에 구비하거나 이송부(510)의 측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가열부(530)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상승부(520)가 가열 대상체를 이동시키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열부(530)가 이송부(510)의 상측에 구비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가열 플레이트(533)는 지지 플레이트(532)의 하측에 지지 플레이트(53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플레이트(533)는 가열 대상체가 유입되어 가열될 수 있는 내측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플레이트(533)는 고주파 가열방식으로 가열 대상체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플레이트(533)에는 고주파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히팅 코일(533a)이 매립될 수 있으며, 가열 플레이트(533) 내측에 가열 대상체가 배치되는 경우, 히팅 코일(533a)에는 고주파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팅 코일(533a)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경우 자계가 발생하게 되며, 가열 대상체에는 히팅 코일(533a)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상쇄하는 방향의 자계를 유도하는 와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 대상체는 가열될 수 있다.
한편, 가열 단계(S2)에서 가열 대상체(P)는 상승부(520)에 의해 가열부(530) 내측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때, 가열 대상체의 상부 지그(300)는 지지 플레이트(532)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승부(520)에 의해 가열 대상체가 상승하는 경우, 상부 지그(300)의 상면과 지지 플레이트(532)의 저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 지그(300)가 금속 박막(1a)을 압착하는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부 지그(300)가 보다 강한 압력으로 금속 박막(1a)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가열 공정이 진행되므로, 금속 박막(1a)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열 대상체의 가열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상승부(520)는 가열 대상체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이송부(510)로 복귀시킬 수 있고, 가열 대상체는 냉각 장치(600)로 유입되어 냉각될 수 있다. 즉, 가열 단계(S2)에서의 가열 대상체(P)는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의 냉각 대상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여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600)의 세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600)는 가열 단계(S2)를 거친 가열 대상체를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가열 단계(S2)에서의 가열 대상체는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의 냉각 대상체(P)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대상체(P)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1a) 및 상기 금속 박막(1a)이 고정된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600)는 예를 들어, 냉각 대상체(P)가 안착되고, 냉각 대상체(P)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홀(611)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610), 상기 공기 유입홀(611)과 연통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611)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저면에 결합되는 공기 공급부(620),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630) 및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각 대상체(P)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641a)이 구비된 공기 배출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에는 냉각 대상체(P)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별개의 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 장치(500)의 이송부(510)의 연장선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가열 장치(500)와 냉각 장치(600)를 일체로 구비하는 경우 가열 장치(500)의 이송부(510)와 냉각 장치(600)의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서로 연결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에는 냉각 대상체(P)로의 공기분사를 위한 공기 유입홀(611)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유입홀(611)은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 대상체(P)의 공기 유입부(210a)와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홀(611)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 유입부(210a)로 공급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저면에는 공기 공급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62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공기 유입홀(611)에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저면에 결합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벨로우즈관(621a)과 상기 벨로우즈관(621a)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관(621b)을 포함하는 제1 배관부(621) 및 제1 배관부(621)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 팬(first fan, 62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62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벨로우즈관(621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부(620)는 후술할 승강부(63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61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여도 베이스 플레이트(610)와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배관부(621)의 일측에는 제1 팬(62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팬(622)은 접착 및 냉각 단계(S3)가 진행되는 경우 외기를 제1 배관부(621) 내측으로 흐르게 할 수 있으며, 제1 배관부(621)에 유입된 공기는 종국적으로 냉각 대상체(P)에 분사될 수 있다.
제1 팬(622)에 의해 외기가 제1 배관부(621)에 유입되는 경우 외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함께 유입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1 배관부(621)의 외기가 유입되는 단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부재(623)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630)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부(63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승강을 위해 구비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링크 부재(631) 및 링크 부재(631)에 연결되어 링크 부재(631)를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6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승강부(630)의 구성은 베이스 플레이트(61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한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승강부는 모터와 기어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상측에는 공기 배출부(64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640)는 냉각 대상체(P)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냉각 대상체(P)의 상측에 배치되어 냉각 대상체(P)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641a)이 구비된 후드부(641), 상기 후드부(641)에 상기 공기 배출홀(641a)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홀(641a)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배관부(642) 및 제2 배관부(642)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 팬(second fan, 643)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대상체(P)를 통과한 공기는 후드부(641)의 공기 배출홀(641a), 제2 배관부(64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착 및 냉각 단계(S3)에서 냉각 대상체(P)가 냉각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가열 단계(S2)를 거친 냉각 대상체(P)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냉각 대상체(P)의 공기 유입부(210a, 도 6참조)와 베이트 플레이트(610)의 공기 유입홀(611)은 서로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3b를 참조하면, 냉각 대상체(P)가 베이스 플레이트(610)에 안착된 후, 승강부(630)가 작동하여 베이스 플레이(610)를 축방향 상측으로 상승시키게 되며, 냉각 대상체(P)의 상부 지그(300)는 후드부(641)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지그(300)가 후드부(641)에 접촉하는 경우 상부 지그(300)의 공기 배출구(320)와 후드부(641)의 공기 배출홀(641a)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 공기를 유입시키기 전에 냉각 대상체(P)를 후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냉각 대상체(P)를 통과한 공기가 작업현장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는 공기 배출부(64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60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610)가 상승하여 냉각 대상체(P)의 하부 지그(200)와 상부 지그(300)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610)와 후드부(641)에 접촉하게 되면, 제1 팬(622)이 구동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외부 공기는 제1 배관(621), 공기 유입홀(6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a1), 냉각 대상체(P)에 공급될 수 있으며(a2), 냉각 대상체(P)와 열교환을 하여 냉각 대상체(P)를 냉각 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공기는 공기 배출구(320), 공기 배출홀(641a) 및 제2 배관부(6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3).
도 13c를 참조하면, 냉각 공정이 완료된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610)은 하강될 수 있으며, 냉각 대상체(P)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어 모터 코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모터 코어 1a: 금속 박막
100: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 200: 하부 지그
210: 플레이트 210a: 공기 유입부
220: 금속 박막 안착부 220: 공기 유입구
221: 제1 수지 코팅층 230: 가이드 샤프트
300: 상부 지그 310: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
320: 공기 배출구 322: 가이드 슬릿
323: 제2 수지 코팅층 400: 가이드 바
410: 가이드 돌기 500: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장치
510: 이송부 520: 상승부
521: 승강 플레이트 522: 구동부
530: 가열부 531: 포스트
532: 지지 플레이트 533: 가열 플레이트
600: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610: 베이스 플레이트 611: 공기 유입홀
620: 공기 공급부 621: 제1 배관부
622: 제1 팬 623: 필터부재
630: 승강부 640: 공기 배출부
641: 후드부 642: 제2 배관부
643: 제2 팬

Claims (8)

  1. 냉각 대상체가 안착되고 상기 냉각 대상체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공기 유입홀과 연통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공기 공급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대상체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구비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는 벨로우즈관과 상기 벨로우즈관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관을 포함하는 제1 배관부 및
    상기 제1 배관부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 팬을 포함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외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1 배관부의 단부에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배관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 부재를 축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냉각 대상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 대상체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구비된 후드부,
    상기 후드부에 상기 공기 배출홀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배관부 및
    상기 제2 배관부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2 팬을 포함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대상체는,
    복수 개의 금속 박막 및
    복수 개의 상기 금속 박막이 고정되는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를 포함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하부 지그,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삽입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 결합홀의 둘레를 따라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상부 지그 및
    상기 하부 지그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지그가 결합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냉각 대상체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상부 지그는 상기 후드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KR1020160104445A 2016-08-17 2016-08-17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KR101894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45A KR101894558B1 (ko) 2016-08-17 2016-08-17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45A KR101894558B1 (ko) 2016-08-17 2016-08-17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16A true KR20180020016A (ko) 2018-02-27
KR101894558B1 KR101894558B1 (ko) 2018-09-03

Family

ID=6139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445A KR101894558B1 (ko) 2016-08-17 2016-08-17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779A (ko) * 2021-11-03 2021-12-2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코어 연속 본딩장치
WO2023214709A1 (en) * 2022-05-02 2023-11-09 Daeyo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 apparatus for laminated motor core manufacturing proce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991A (en) 1998-02-01 1999-08-10 Fortrend Engineering Corporation Pod loader interface improved clean air system
JP3583925B2 (ja) 1998-06-10 2004-11-04 三洋電機株式会社 溶接作業用排煙設備
JP2007059819A (ja) * 2005-08-26 2007-03-08 Kuroda Precision Ind Ltd 金属薄板積層体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991A (en) 1998-02-01 1999-08-10 Fortrend Engineering Corporation Pod loader interface improved clean air system
JP3583925B2 (ja) 1998-06-10 2004-11-04 三洋電機株式会社 溶接作業用排煙設備
JP2007059819A (ja) * 2005-08-26 2007-03-08 Kuroda Precision Ind Ltd 金属薄板積層体の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779A (ko) * 2021-11-03 2021-12-2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코어 연속 본딩장치
WO2023214709A1 (en) * 2022-05-02 2023-11-09 Daeyo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 apparatus for laminated motor core manufactur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558B1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123B2 (ja)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101830218B1 (ko) 모터 코어 제조용 가열 장치
WO2012108341A1 (ja) 電動機用ロータの製造方法
KR101894558B1 (ko) 모터 코어 제조용 냉각 장치
KR101861007B1 (ko) 적층 코어의 자동 분리가 가능한 회전 가열 접착식 회전자 코어 및 고정자 코어 동시 제조 장치
WO2019168022A1 (ja) 接着剤塗布装置及び接着剤塗布方法
CN105365153A (zh) 电机磁芯的树脂密封方法和用于电机磁芯的树脂密封方法的设备
KR101659238B1 (ko) 코어 자동 분리형 접착식 적층 코어 제조장치
KR20160028678A (ko) 접착식 적층 코어부재 제조장치 및 온도제어방법
KR20190135281A (ko) 적층 코어 제조 장치
KR20180021495A (ko) 적층 코어의 자동 분리가 가능한 가열 접착식 회전 적층 코어 제조 장치
KR101735246B1 (ko) 가열 접착식 회전 적층 코어 제조 장치
KR102377641B1 (ko) 적층코어의 제조방법
JP5720834B2 (ja) 電動機用ロータの製造方法
KR102466336B1 (ko) 접착제 도포장치 및 이 접착제 도포장치를 가지는 적층 철심의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20180023758A (ko) 적층 코어의 자동 분리가 가능한 회전 가열 접착식 회전자 코어 및 고정자 코어 동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6960746B2 (en) Device for instantly pre-heating dies
KR101839534B1 (ko) 모터 코어 제조용 지그
US20240146159A1 (en) Stamping progressive die for stator and rotor core of motor using adhesive dispensing lamination, and adhesive dispensing process
KR101879041B1 (ko) 회전자 코어와 고정자 코어의 동시 타발이 가능한 가열 접착식 회전 적층 코어 제조 장치
KR101532015B1 (ko) 열 융착형 모터 코어 본딩장치
KR102575532B1 (ko) 코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796663B2 (ja) 電動機用ロータの製造方法
CN114629308B (zh) 电机芯制造装置
KR101622840B1 (ko) 회전자, 이를 구비한 전동기 및 그 회전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