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318A - 굴착장치용 비트 - Google Patents

굴착장치용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318A
KR20180019318A KR1020160103523A KR20160103523A KR20180019318A KR 20180019318 A KR20180019318 A KR 20180019318A KR 1020160103523 A KR1020160103523 A KR 1020160103523A KR 20160103523 A KR20160103523 A KR 20160103523A KR 20180019318 A KR20180019318 A KR 20180019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discharge groove
air
ground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주)동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기계 filed Critical (주)동우기계
Priority to KR102016010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318A/ko
Publication of KR2018001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21B1/12Percussion drilling with a reciprocating impulse member
    • E21B1/24Percussion drilling with a reciprocating impulse member the impulse member being a piston driven directly by fluid pressure
    • E21B1/30Percussion drilling with a reciprocating impulse member the impulse member being a piston driven directly by fluid pressure by air, steam or gas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21B10/38Percussion drill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0Drill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작업시 발생하는 지반교란이나 에어가 지반을 직접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며, 굴착작업시 마모가 가장 크게 일어나는 부분의 마모 정도를 상대적으로 줄이도록 한 굴착장치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비트(100)에는 저면 배출홈(120)의 출구에서 비트(100)의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홈(130)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배출홈(130)에 의하여 고압의 에어가 지반에 직접 분사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비트(100)의 저면 중 특히 가장자리 부분에도 버튼 팁(140)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비트(10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있어 굴착작업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그 비트(100)가 암반에서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비트(100)의 외주연에는 링비트(200)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60)도 형성되어 있어, 링비트(200)의 손쉬운 교환도 가능하다.

Description

굴착장치용 비트{Bit for excavating}
본 발명은 굴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장치용 비트 내부에 슬라임 배출을 위한 배출홈을 형성하여, 비트의 마모 정도 및 굴착작업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굴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굴착장치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굴착장치는 압축된 공기의 힘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며 충격을 가하는 에어햄머와, 상기 에어햄머의 하부에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지반을 타격하며 굴착을 행하는 비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에어햄머 및 비트에 의하여 지중으로 일정한 직경의 구멍이 형성되면서 원하는 크기와 깊이의 굴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이러한 종래 굴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같이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서 그 힘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지반을 타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에어햄머(미도시)와, 상기 에어햄머의 상하운동에 연동하면서 실질적으로 지반을 타격하도록 상기 에어햄머의 하부에 장착되는 비트(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비트(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버튼 팁이 구비되고, 이러한 버튼 팁에 의하여 암반이 깨지면서 토사와 같이 굴착이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비트(10)의 내부에는 에어공급통로(14)가 형성된다. 에어공급통로(14)는 상기 에어햄머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12)와 연결되고 비트(10)의 저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비트(1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출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공급통로(14)의 출구와 상기 배출홈(16)을 연결하도록 비트(10)의 저면에는 저면 배출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에어공급통로(14)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저면에서 발생한 슬라임은 저면 배출홈(15)을 통해 상기 배출홈(16)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굴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굴착장치에서는 비트(10)의 외주면에 개방된 상태의 배출홈(16)이 형성된다. 그래서 에어공급통로(14)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저면 배출홈(15)을 통해 안내되면서 비트(10)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놓인 지반을 향해 직접 분사하게 되고(도 2의 화살표), 이에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지반교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지반교란 현상은 실질적으로 지반의 안전성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종래 굴착장치에서는 고압의 에어가 지반을 직접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다. 굴착장치를 이용한 굴착작업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긴 하지만, 그 중 에어가 지반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작업자 및 주위 환경에 직/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소음으로 인한 피해는 굴착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계속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또한, 종래 굴착장치는 배출홈(16)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임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즉, 에어공급통로(14)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는 지반에 맞고 다시 되돌아오므로 새로 분사되는 에어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와류 현상으로 슬라임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비트(10)에 형성된 배출홈(16)으로 인해 비트(10)의 저면 외측면 일부 영역('A')에는 버튼 팁을 형성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비트(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즉, 굴착장치를 이용한 작업시 지반을 직접 타격하는 주된 부분(즉 마모가 최대로 일어나는 부분)이 비트(10)의 저면 외측면이 되는데, 상기 부분에 버튼 팁(20)이 형성되지 않으면 비트(1)가 직접 지반을 타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충격의 직접 전달 등의 이유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은 실질적으로 굴착작업의 성능을 저하하는 요인들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를 공급받아 슬라임을 배출하는 배출홈을 비트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고압의 에어 공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반교란 현상이 억제되게 하여 지반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굴착장치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압의 에어가 지반을 직접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굴착작업시 마모가 최대로 발생하는 부분의 마모 정도를 상대적으로 최소화하여 비트의 손상을 작게 하면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길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입구; 상기 입구와 연결되고 저면에 출구를 가지는 다수 개의 에어공급통로; 상기 에어공급통로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에어공급통로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슬라임을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저면 중앙에서 외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저면 배출홈; 그리고 상기 저면 배출홈을 통해 이동하는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출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장치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홈은 상기 저면 배출홈의 출구에서 상기 비트의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트는 저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버튼 팁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면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저면 배출홈의 출구에서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홈 및 하부 외주연에 결합부가 형성된 제1 비트; 그리고 상기 결합부와 나사 결합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비트와의 결합시 상기 제1 비트의 저면 일부가 접촉하도록 지지턱이 형성되는 제2 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굴착장치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비트는 상기 1 비트의 저면보다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버튼 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트의 내부에 저면 배출홈을 통해 이동하는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배출홈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임의 이동을 위해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직접 지반을 향해 분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지반교란 현상을 억제하면서 굴착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에어가 상향 경사진 배출홈을 통해 분사되기 때문에 에어가 지반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트의 저면 외측면, 즉 굴착 작업시 마모가 크게 발생하는 부분에도 버튼 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어, 그 비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트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굴착작업을 할 때 센터비트가 암반 등에 지지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굴착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비트가 암반에서 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기대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트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굴착장치용 비트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굴착장치용 비트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착장치용 비트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1 비트에 장착되는 제2 비트의 단면도
도 8은 제1 비트와 제2 비트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굴착장치의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장치에는 모터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에어햄머(미도시)의 하부와 결합하여 실제 굴착을 수행하는 비트(1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비트(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 중앙에는 고압의 압축된 에어를 공급받도록 입구(101)가 형성된다. 입구(10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햄머를 통해 공급받는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입구(101)와 연결되고 비트(100)의 저면을 향하는 다수 개의 에어공급통로(110)가 구비된다. 에어공급통로(110)는 비트(100)의 저면 중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앙부분에 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굴착이 진행되면 에어공급통로(11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비트(100)의 저면과 지반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라임을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에어공급통로(110)는 센터비트(100)의 저면 중앙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저면 배출홈(120)과 연결된다. 이러한 저면 배출홈(120)은 실질적으로 에어공급통로(11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슬라임을 저면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저면 배출홈(120)은 배출홈(130)과 연결된다. 배출홈(130)은 센터비트(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특히 저면 배출홈(120)의 출구에서 센터비트(100)의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다. 즉 상향 배출홈(130)의 입구는 저면 배출홈(120)과 연결되고 출구는 비트(100)의 외측면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향 배출홈(130)이 비트(100)의 내부에 형성되면, 고압의 에어가 지반을 향해 직접 분사되는 것이 방지되고, 비트(100)의 저면 부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버튼 팁을 최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굴착작업시 지반의 안전성 향상, 고압의 에어가 지반을 직접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의 최소화 및 버튼 팁의 형성으로 인해 그 부분의 마모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상향 배출홈(130)의 출구는 에어햄머와 그 에어햄머의 외측면에 구비된 원통상의 케이싱 사이에 슬라임을 지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미도시)와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에어공급통로(110)의 출구는 저면 배출홈(1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에어를 불어내게 되고, 이에 센터비트(100)의 저면에서 발생하는 슬라임은 에어의 분사 방향에 따라 저면 배출홈(120) 및 상향 배출홈(1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의 화살표는 에어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트를 가지는 굴착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굴착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에어햄머는 상부에 설치된 모터의 힘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햄머의 운동은 비트(100)에 전달되고, 따라서 비트(100)는 지반에 대하여 타격을 수행하면서 지반을 굴착하게 된다.
이러한 지반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면 비트(100)의 저면에는 슬라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임이 비트(100)의 아래에 그대로 있을 경우 굴착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이를 외부로 배출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고압의 에어가 공급된다.
상기 에어는 입구(101) 및 그 입구(101)와 연결된 다수 개의 에어공급통로(110)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에어는 다시 에어공급통로(110)와 연결된 저면 배출홈(120)으로 공급되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저면 배출홈(120)으로 에어가 공급되면 그 에어에 의하여 비트(100)의 저면과 지반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라임이 센터비트(100)의 측면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렇게 센터비트(100)의 측면으로 밀려나는 슬라임은 에어의 흐름 방향에 따라 저면 배출홈(120)과 연결되는 상향 배출홈(130)쪽으로 이동하며, 상향 배출홈(130)에서 빠져나온 슬라임은 케이싱과 에어햄머 사이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통하여 지상으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향 배출홈(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100)의 저면에서 외측면의 상부를 향하여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에어공급통로(110)로 공급되는 압축된 고압의 에어는 저면 배출홈(120) 및 상향 배출홈(130)을 통해 배출될 때 비트(100)의 상방을 향하여 분사된다. 이는 에어가 비트(100)의 측벽을 향해 직접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 지반을 직접 타격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압축된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반교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향 배출홈(130)의 각도는 배출되는 에어에 의하여 지반이 무너지지 않고 또한 슬라임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가 직접 지반을 타격하는 것이 배제되기 때문에, 종래 압축된 고압의 에어가 지반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에 저면 배출홈(120)과 수직방향인 지반을 향하여 에어가 바로 배출되는 것과 비교하면, 에어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 배출홈(130)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그만큼 지반을 직접 타격할 때의 소음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비트(100)의 저면에는 버튼 팁(140)이 구비된다. 즉 저면 배출홈(12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버튼 팁(1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버튼 팁(140)은 비트(1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에도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은 굴착작업시 비트(100)의 마모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부분이 된다. 이처럼 마모가 크게 발생하는 영역에 많은 수의 버튼 팁(140)을 형성할 수 있어, 굴착작업시 비트(100)가 직접 지반을 타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비트(10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3의 굴착장치용 비트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비트는 도 3의 센터비트와 비교하면, 센터비트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기 때문에, 도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굴착장치용 비트(100)의 변형 예는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보면, 비트(100)의 중앙에는 압축된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는 입구(101)가 형성되고, 입구(101)에는 비트(100)의 저면을 향하는 다수 개의 에어공급통로(110)가 연결된다. 또한 에어공급통로(110)는 비트(100)의 저면에 형성된 저면 배출홈(120)과 연결되고, 이러한 저면 배출홈(120)은 다시 상향 배출홈(130)과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상향 배출홈(130)은 도 3에 도시한 비트와 마찬가지로 비트(100)의 저면에서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서 형성된다.
따라서 입구(101)로 공급되는 에어는 에어공급통로(110)를 통해 저면 배출홈(120)으로 분사되고, 이러한 에어는 굴착작업시 발생한 슬라임을 저면 배출홈(120)에서 상향 배출홈(130)을 따라 지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비트(10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돌출부(150)는 비트(1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싸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렇게 되면 비트(100)의 저면 부분은 상대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돌출부(150)는 저면 배출홈(120)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로 비트(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있다.
돌출부(150)는 굴착작업시 일부가 지반을 파고들어 비트(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착작업이 진행될 때 비트(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굴착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질적으로 굴착작업이 진행되면 비트(100)에는 상당한 세기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이나 충격은 비트(100)가 정해진 작업 위치를 유지하면서 굴착할 수 없게 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굴착 작업지의 일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 비트(10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비트(100)는 하방향으로 밀리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돌출부(150)가 비트(100)를 지지하게 되면 경사지에서도 밀리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굴착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비트(100)의 돌출부(150)에는 버튼 팁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면 그 돌출부(150)에 구비된 버튼 팁은 암반 등을 타격할 때 비트(100)을 지지하면서 타격을 하기 때문에 암반에 의한 밀림현상이 최소화되고 이에 더 안정적인 굴착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착장치용 비트 구조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에 도시된 비트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했던 비트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다만, 상기 비트는 다른 구조의 비트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제1 비트(즉, 센터비트)라 칭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센터비트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비트는 제2 비트(즉, 링비트)라 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트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트(100)의 중앙에는 압축된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는 입구(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입구(101)에는 제1 비트(100)의 저면을 향하는 다수 개의 에어공급통로(110)가 연결되어 있다. 에어공급통로(110)에는 제1 비트(100)의 저면에 형성된 저면 배출홈(120)이 연결되고, 이러한 저면 배출홈(120)은 다시 상향 배출홈(130)과 연결되고 있다.
상향 배출홈(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트(100)의 내부에서 외측면의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향 배출홈(130)으로 인하여 에어가 직접 지반에 분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지반교란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에어가 지반을 직접 타격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비트(100)의 하부 외주연에는 제2 비트(도 7 참조)가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부(160)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160)의 예로 실시 예는 나사결합방식을 제공하는바, 상기 결합부(160)에는 나사(162)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162)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가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60)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비트(20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비트(200)는 제1 비트(100)의 외주연에 끼워져서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 결합을 위하여 제2 비트(200)의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부(160)의 나사와 대응하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 또는 암나사는 도면부호 210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제1 비트(100)에 제2 비트(200)를 끼우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비트(100)와 제2 비트(200)는 서로 결합되며,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다시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제2 비트(200)의 내주연에는 지지턱(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220)의 단면은 제1 비트(100)의 저면이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즉 제1 비트(100)에 제2 비트(200)를 끼우고 회전시켜 완전하게 결합할 경우 제2 비트(200)의 지지턱(220)이 제1 비트(100)의 저면과 접촉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 비트(200)의 저면에도 버튼 팁(2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비트와 제2 비트의 결합상태는 이를 도시한 도 8 및 도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제1 비트(100)의 외주연에 마련된 결합부(16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제2 비트(200)가 결합되는데, 결합에 따라 제2 비트(200)의 지지턱(220)에 제1 비트(100)의 저면이 안착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1 비트(100)보다 제2 비트(200)가 더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형상은 앞서 설명한 센터비트(100)의 저면 가장자리에 돌출부(150)가 형성된 형상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결합부(160)의 구성에 따라 제1 비트(100)와 제2 비트(200)는 서로 결합 및 분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굴착작업시 제2 비트(200)가 손상되거나 제2 비트(200)의 버튼 팁에 마모가 발생하여 굴착이 어려운 경우에 쉽게 제2 비트(200)를 교환하여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 팁(140)(230)은 제1 비트(100) 및 제2 비트(200)의 저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제1 비트(20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굴착작업시 그 제2 비트(200)의 버튼 팁(230)이 지반을 직접 타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마모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비트(200)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제2 비트(200)의 손상이나 버튼 팁(230)의 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센터비트 101: 입구
110: 에어공급통로 120: 저면 배출홈
130: 상향 배출홈 140: 센터비트용 버튼 팁
150: 돌출부 160: 결합부
200: 링비트(제2 비트) 220: 지지턱
230: 링비트용 버튼팁

Claims (5)

  1. 상단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길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입구(101);
    상기 입구(101)와 연결되고 저면에 출구를 가지는 다수 개의 에어공급통로(110);
    상기 에어공급통로(110)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에어공급통로(110)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슬라임을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저면 중앙에서 외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저면 배출홈(120); 그리고
    상기 저면 배출홈(120)을 통해 이동하는 슬라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출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장치용 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130)은 상기 저면 배출홈(120)의 출구에서 상기 비트(100)의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굴착장치용 비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100)는 저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0)의 저면에 버튼 팁(140)이 구비되는 굴착장치용 비트.
  4. 저면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저면 배출홈(120)의 출구에서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외측면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홈(130) 및 하부 외주연에 결합부(160)가 형성된 제1 비트(100); 그리고
    상기 결합부(160)와 나사 결합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비트(100)와의 결합시 상기 제1 비트(100)의 저면 일부가 접촉하도록 지지턱(220)이 형성되는 제2 비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굴착장치용 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트(200)는 상기 1 비트(100)의 저면보다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버튼 팁(230)이 형성되는 굴착장치용 비트.





KR1020160103523A 2016-08-16 2016-08-16 굴착장치용 비트 KR20180019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523A KR20180019318A (ko) 2016-08-16 2016-08-16 굴착장치용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523A KR20180019318A (ko) 2016-08-16 2016-08-16 굴착장치용 비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65A Division KR102055482B1 (ko) 2017-09-07 2017-09-07 굴착장치용 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18A true KR20180019318A (ko) 2018-02-26

Family

ID=6153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523A KR20180019318A (ko) 2016-08-16 2016-08-16 굴착장치용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3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136B1 (ko) * 2020-02-11 2020-09-25 최왕조 역순환 에어해머 굴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순환 싱글 해머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136B1 (ko) * 2020-02-11 2020-09-25 최왕조 역순환 에어해머 굴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순환 싱글 해머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4380A (ko) 지중 굴삭용 굴삭 장치, 회전식 굴삭기 및 지중 굴삭 공법
KR101592238B1 (ko) 천공기용 해머 비트
KR100683909B1 (ko) 역순환 에어해머구조를 갖는 굴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굴착공법
KR20120094714A (ko) 지반 천공용 해머의 비트
KR20180019496A (ko) 굴착장치용 비트
KR101081176B1 (ko) 말뚝공 천공용 햄머 장치, 햄머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햄머 물 공급 장치, 말뚝공 천공용 소음장치, 이들을 구비한 햄머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공 시공 방법
KR20180019318A (ko) 굴착장치용 비트
KR102352420B1 (ko) 저소음 착암기
KR20150000245A (ko) 굴착장치
KR20210102876A (ko) 타격식 드릴링용 암석 드릴 비트
KR200387965Y1 (ko) 역순환 에어해머구조를 갖는 굴착장치
KR101081174B1 (ko) 햄머 물 공급 장치
KR100372049B1 (ko) 크레인을 이용한 천공기
KR101258506B1 (ko) 지반 천공장치의 해머비트 구조
KR20180026817A (ko) 굴착기용 비트
KR20100093462A (ko) 말뚝공 천공용 소음장치
KR100858865B1 (ko) 천공비트.
KR101778459B1 (ko) 저소음형 굴착용 에어햄머
CN210918868U (zh) 气动潜孔锤外套管防护结构
KR101596714B1 (ko) Rcd 공법을 개선한 공압해머 굴착기
CN220081325U (zh) 一种钻头及钻具
KR20180023920A (ko) 굴착기용 비트
KR102081063B1 (ko) 조합형 드릴링 해머
CN215999936U (zh) 一种轻便深孔磨削机
KR200204877Y1 (ko) 타격식 착암기의 방음장치 분리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4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10

Effective date: 2019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