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745A -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745A
KR20180018745A KR1020187001299A KR20187001299A KR20180018745A KR 20180018745 A KR20180018745 A KR 20180018745A KR 1020187001299 A KR1020187001299 A KR 1020187001299A KR 20187001299 A KR20187001299 A KR 20187001299A KR 20180018745 A KR20180018745 A KR 2018001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resource unit
allocated
frequency do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747B1 (ko
Inventor
밍 간
메이루 린
러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5447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1874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를 지원할 수 있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한다. 상기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송신단이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다.

Description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전송 기술 및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 User-MIMO, MU-MIMO) 전송 기술과 같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 통신 시스템은 다중사용자 전송을 지원할 수 있으며, 즉 다중 스테이션이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 OFDMA 모드, MU-MIMO 모드, 또는 OFDMA 및 MU-MIMO 하이브리드 전송 모드를 포함하는) 전술한 다중 사용자 전송에서, 다중 사용자에게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솔루션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현재 알려진 자원 스케줄링 솔루션에 따르면, 비트 시퀀스는 할당될 대역폭의 자원 유닛을 나타내는데, 즉 비트 시퀀스의 1 비트는 하나의 자원 서브유닛의 할당을 지시하며(하나의 자원 서브유닛은 1×26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비트 시퀀스에서 0과 1 사이의 스위칭은 스위칭 전의 비트에 의해 지시된 자원 유닛과 스위칭 후의 비트에 의해 지시된 자원 유닛이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할당될 대역폭이 20 메가헤르츠(MHz)이면, 9개의 자원 서브유닛이 포함되고, 9 비트의 비트 시퀀스가 자원 할당을 지시하는 데 필요하다. 또한, 대역폭이 증가하므로 비트 시퀀스의 길이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즉, 종래기술의 자원 할당 솔루션에서는 비트 시퀀스를 전송하는 데 대량의 전송 자원을 점유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기를 희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를 지원할 수 있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관점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송신단이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1 실시 방식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2 실시 방식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3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4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5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6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7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8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9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9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는: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비트 시퀀스를 싣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비트 시퀀스를 싣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11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이다.
제2 관점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 주파수 도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 의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1 실시 방식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2 실시 방식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3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4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5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6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7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8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9 실시 방식에서,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수신하는 단계는: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10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이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11 실시 방식에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3 관점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구성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1 실시 방식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2 실시 방식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3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4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5 실시 방식에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6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7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8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9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10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11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이다.
제4 관점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구성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는: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유닛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 의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에서,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 자원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고,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에 기초하여 그리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유연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가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WLAN 시스템의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3은 20 MHz 대역폭을 가진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20 MHz 대역폭의 자원 유닛의 할당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40 MHz 대역폭의 자원 유닛의 할당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80 MHz 대역폭의 자원 유닛의 할당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비트 시퀀스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비트 시퀀스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다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비트 시퀀스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또 다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비트 시퀀스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또 다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비트 시퀀스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또 다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비트 시퀀스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또 다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3은 비트 시퀀스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또 다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5는 802.11ax 패킷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다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이 솔루션의 비트 시퀀스가 표 1에서의 비트 시퀀스와 일치하는 비트 시퀀스 생성 또는 파싱 프로세스의 간단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이 솔루션의 비트 시퀀스가 표 3에서의 비트 시퀀스와 일치하는 다른 비트 시퀀스 생성 또는 파싱 프로세스의 간단한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100)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상기 방법은 송신단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방법(10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0)은:
S110. 송신단은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S120.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한다.
방법(100)은 자원 할당에 의해 다중사용자 전송을 실시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OFDMA 모드, MU-MIMO 모드 등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방법(10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예를 들어, 무선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 Wi-Fi)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WLAN 시스템의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LAN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21)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22)을 더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간에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프리앰블에 따라, 기지국에 대해 스케줄링되는 자원을 결정하고 그 자원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이다.
구체적으로, 송신단 디바이스로서,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도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LAN 내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AP는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브리지, 핫스팟 등이라고도 하며, AP는 서버 또는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수신단 디바이스로서,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 디바이스가 도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LAN 내의 스테이션(STA)일 수 있다. STA는 사용자라고도 할 수 있으며, 무선 센서, 무선 통신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전화("셀룰러" 폰이라고도 함) 및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 데이터와 같은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용, 포켓 크기,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 웨어러블 또는 차량 탑재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방법(100)이 적용될 수 있는 전술한 도해된 시스템은 단지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 추가로 도해될 수 있다: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 WCDMA), 범용 패킷 라디오 서비스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및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이에 상응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일 수도 있고, LTE에서의 진화된 기지국 (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소형셀 기지국일 수도 있고, 이것은 마이크로 기지국(Micro)일 수도 있고 피코 기지국(Pico)일 수도 있고, 펨토 셀 기지국(femto)으로 지칭되는 홈 기지국일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사용자 기기, 예를 들어 이동 전화(또는"셀룰러" 전화라고 함)일 수 있다.
WLAN 시스템에 할당될 자원 유닛의 크기에 관한 규칙은: 자원 유닛으로 26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 메가헤르츠(MHz) 대역폭을 예로 들면, WLAN 시스템에서 데이터 심벌 부분의 이산 푸리에 변환 또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DFT/IDFT) 포인트의 수는 256이며, 즉 256개의 부반송파가 존재한다. 부반송파 -1, 0 및 1은 직류(Direct current, DC) 성분이고, 좌측 측대역 부반송파 -122 내지 부반송파 -2 및 우측 측대역 부반송파 2 내지 부반송파 122는 데이터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것이며, 즉 242개의 부반송파는 데이터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부반송파 -128 내지 부반송파 -123 및 부반송파 123 내지 부반송파 128은 가드 밴드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데이터 정보를 반송하는 242개의 부반송파는 9개의 자원 서브유닛으로 그룹화되며, 각 자원 서브유닛은 2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나머지 8개의 부반송파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cross-DC(즉, 부반송파 -1, 0, 및 1을 포함) 자원 서브유닛은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100)은 주로 데이터 정보를 반송하기 위해 242개의 부반송파를 할당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역폭이 다른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될 수 있는 자원 유닛(자원 블록이라고도 함)의 유형은 다르다. 구체적으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20 MHz, 40 MHz, 80 MHz 또는 160 MHz)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자원 할당 맵)를 미리 정의한다. 송신단은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to-be-assigned resource units)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수신단은 비트 시퀀스를 판독함으로써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분할에 의해 어떤 자원 유닛이 획득되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할당된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스케줄링된 수신단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수신단은 수신단에 할당된 자원 유닛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의 송신을 구현한다.
다음은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먼저 상세히 설명한다(도 4,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자원 할당 맵을 참조).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폴트 위치에 있는 자원 유닛이 사용을 위해 사용자에게 할당되는지를 지시하는 데 하나의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중심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디폴트 자원 유닛은 1×26 톤 자원 유닛(1×26-tone resource unit), 즉, 2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교차-DC(즉, 부반송파 -1, 0 및 1) 자원 유닛일 수 있다. 디폴트 자원 유닛은 디폴트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 존재하며 독립적으로 할당되는데, 즉, 20 MHz 대역폭의 각 할당될 자원에서 디폴트 1×26 톤 자원 유닛이 자원의 중심 위치로부터 할당된다. 디폴트 자원 유닛은 수신단에 독립적으로 할당된다. 디폴트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은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인접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20 MHz 대역폭에 대해, 디폴트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이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인접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과 동일한 경우, 그것은 20 MHz 대역폭이 단 한 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으면, 디폴트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은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인접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과 상이하다.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에 더하여,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또한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 내의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다음의 4가지 유형의 자원 유닛을 더 포함하며, 즉:
하나의 자원 유닛이 하나의 자원 서브유닛(즉, 26개의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0 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소 자원 유닛인 1×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2×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4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4×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4×26 톤 자원 유닛; 및
자원 유닛이 24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0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인 242 톤 자원 유닛.
4×26 톤 자원 유닛은 106개의 부반송파, 즉 10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 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20 MHz 대역폭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을 4개의 계층으로 도시하거나 서술한다.
제1 계층은 1×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중심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4개의 1×26 톤 자원 유닛이 있으며, 즉 자원 유닛이 도 4에 도시된 자원 유닛 위치(이하, 간단히 말해서 위치라고 함) #7 내지 위치 #10 및 위치 #11 내지 위치 #14에 위치한다.
제2 계층은 2×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중심에 위치한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2×26 톤 자원 유닛이 있으며, 즉 자원 유닛이 도 4에 도시된 위치 #1 내지 위치 #4에 위치한다
제3 계층은 4×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중심에 위치한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4×26 톤 자원 유닛이 있으며, 즉 자원 유닛이 도 4에 도시된 위치 #5 및 위치 #6에 위치한다.
제4 계층은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2 톤 자원 유닛은 전술한 대칭 중심이 위치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일 24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도 4의 제1 계층 내지 제3 계층에서 임의의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할당된 자원 유닛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할당된 하나의 자원 유닛만이 각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예에서,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4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2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한 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며, 자원 할당은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와 단일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4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MU-MIMO를 위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며, 자원 할당은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 및 다중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주로 2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제1 계층 내지 제3 계층에서의 임의의 자원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은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자원(도 7에서 좌에서 우로 순차적으로)은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과 자원 유닛 #2),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디폴트의 자원 유닛인 자원 유닛 #0) 및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으로 분할된다.
다른 예로서, 도 8은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자원(도 8에서 좌에서 우로 순차적으로)은 하나의 2×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3개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 및 자원 유닛 #0', 여기서, 자원 유닛 #0'은 디폴트 자원 유닛이다) 및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4')으로 분할된다.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 MHz 대역폭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중심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의 자원 유닛)을 포함하고, 중심에 위치한 자원 유닛의 양측에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대칭으로 분포되는데, 즉 중심에 위치한 자원 유닛은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2.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서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2개의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도 20 MHz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40 MHz 대역폭에서의 디폴트 자원 유닛의 구성 요소 및 할당 모드는 20 MHz 대역폭에서의 디폴트 자원 유닛의 구성 요소 및 할당 모드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2 비트는 대역폭 내의 2개의 디폴트 위치에 있는 자원 유닛이 사용을 위해 사용자에게 할당되는지를 각각 지시할 수 있다.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에 더하여,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 주파수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다음의 5가지 유형의 자원 유닛을 더 포함하며, 즉:
하나의 자원 유닛이 하나의 자원 서브유닛(즉, 26개의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40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소 자원 유닛인 1×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2×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4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4×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4×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4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42 톤 자원 유닛; 및
자원 유닛이 2×242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40 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인 2×242 톤 자원 유닛.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40 MHz 대역폭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을 5개의 계층으로 도시하거나 서술한다.
제1 계층은 1×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어느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도 각각 4개의 1×26 톤 자원 유닛이 있다. 어느 하나의 20MHz 대역폭에서 8개의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1 계층에 도시된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계층은 2×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어느 하나의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도 각각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이 있다(예를 들어, 도 5의 위치 #E 및 위치 #F). 어느 20MHz 대역폭에서의 4개의 2×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2 계층에 도시된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계층은 4×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어느 하나의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 있다(예를 들어, 도 5의 위치 #C 및 위치 #D). 20 MHz 대역폭에서의 4×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3 계층에 도시된 4×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계층은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40MHz의 중심 주파수(즉, 부반송파 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242 톤 자원 유닛이 있으며, 즉 자원 유닛이 위치 #A 및 위치 #B에 위치한다.
제5 계층은 4×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일 예에서,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일 484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도 5의 제1 계층 내지 제4 계층의 임의의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할당된 자원 유닛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할당된 자원 유닛은 각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예에서,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5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한 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자원 할당은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 및 단일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5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4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MU-MIMO를 위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며, 자원 할당은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 및 다중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4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제1 층 내지 제4 층에서의 임의의 자원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경우에 주로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은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자원(도 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은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디폴트 자원 유닛인 자원 유닛 #0"),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 및 하나의 242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4")으로 분할된다.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 주파수의 양측에 있는 다양한 자원 유닛의 위치는 대칭으로 분포된다. 즉, 중심 주파수는 4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으로 사용될 수 있다.
3.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들)를 포함하고,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들)은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5 비트는 대역폭에서 5개의 디폴트 위치에 있는 자원 유닛이 사용자에게 사용을 위해 할당되는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중심에 위치한 디폴트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디폴트 자원 유닛은 1×26 톤 자원 유닛, 즉, 2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교차-DC(즉, 부반송파 -1, 0 및 1) 자원 유닛일 수 있다. 디폴트 자원 유닛은 디폴트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 존재하며 독립적으로 할당되는데, 즉, 80 MHz 대역폭의 각 할당 자원에서 디폴트 1×26 톤 자원 유닛이 자원의 중심 위치로부터 할당된다. 디폴트 자원 유닛은 수신단에 독립적으로 할당된다. 디폴트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은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인접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80 MHz 대역폭에 대해, 디폴트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이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인접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과 동일한 경우, 80 MHz 대역폭은 단 한 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된다. 그렇지 않으면, 디폴트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은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인접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수신단과 다르다.
또한, 80 MHz 대역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2개의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 및 대칭 중심에 위치한 디폴트 자원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 중 어느 것도 2개의 20 MHz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20 MHz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한 디폴트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 외에,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에 있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상에 각각 위치하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유형의 자원 유닛을 더 포함하며, 즉:
자원 유닛이 하나의 자원 서브유닛(즉, 26개의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80 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소 자원 유닛인 1×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2×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26 톤 자원 유닛;
유닛이 4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4×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4×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4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42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24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242 톤 자원 유닛;
80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이 99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996 톤 자원 유닛.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간단하게 서술하기 위해, 40 MHz 대역폭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을 6개 계층으로서 도시하거나 서술한다.
제1 계층은 1×26 톤 자원 유닛 및 디폴트 자원 유닛(즉, 각각의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 및 80 MHz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4개의 1×26 톤 자원 장치가 있다. 각각의 20 MHz 대역폭에서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1 계층에 도시된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계층은 2×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 및 8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2개의 2×26 톤 자원 장치가 있다. 각각의 20 MHz 대역폭에서 2×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2 계층에 도시된 2×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계층은 4×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 및 8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각각의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 있다(예를 들어, 도 6의 위치 #e 및 위치 #f). 각각의 20 MHz 대역폭에서 4×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3 계층에 도시된 4×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계층은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8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40MHz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242 톤 자원 유닛이 있으며, 즉 자원 유닛은 도 6에 도시된 위치 #c 및 위치 #d에 위치한다. 40MHz 대역폭에서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5의 제4 계층에 도시된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계층은 2×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 및 디폴트 자원 유닛(즉, 8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80 MHz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242 톤 자원 유닛이 있으며, 즉 자원 유닛이 도 6에 도시된 위치 #a 및 위치 #b에 위치한다. 40 MHz 대역폭에서의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5의 제5 계층에 도시된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 층은 99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일 예에서, 8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일 99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도 5의 제1 계층 내지 제5 계층에서 임의의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할당된 자원 유닛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며, 할당된 하나의 자원 유닛만이 각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예에서,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6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8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한 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자원 할당은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와 단일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6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8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MU-MIMO를 위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할당되며, 자원 할당은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 및 다중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80MHz의 대역 외 주파수 영역의 자원이 제1 층 내지 제5 층의 자원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경우에 주로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은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의 자원(도 11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은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디폴트 자원 유닛인 자원 유닛 #2'''),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2'''), 하나의 242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디폴트 자원 유닛인 자원 유닛 #00''') 및 하나의 2×242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4''')으로 분할된다.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 MHz 대역폭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중심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의 자원 유닛)을 포함하고, 중심에 위치한 자원 유닛의 양측에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대칭으로 분포되며, 즉 중심에 위치한 자원 유닛은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4. 16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서
16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2개의 80 MHz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여, 8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도 80 MHz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한 디폴트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160 MHz 주파수의 각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20 MHz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한 디폴트 자원 유닛(즉,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10 비트는 대역폭에서 10개의 디폴트 위치에 있는 자원 유닛이 사용자에게 사용을 위해 할당되는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디폴트 위치에 위치하는 디폴트 자원 유닛에 더하여, 16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16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 주파수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다음의 7가지 유형의 자원 유닛을 더 포함하며, 즉:
하나의 자원 유닛이 하나의 자원 서브유닛(즉, 26개의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80 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소 자원 유닛인 1×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2×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4개의 자원 서브유닛(즉, 4×26 부반송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4×26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4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42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2×242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2×242 톤 자원 유닛;
자원 유닛이 99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996 톤 자원 유닛; 및
자원 유닛이 2×996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160MHz 대역폭에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인 2×996 톤 자원 유닛.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간단히 서술하기 위해, 160MHz 대역폭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을 7개의 계층으로 도시하거나 서술한다.
제1 계층은 1×26 톤 자원 유닛 및 디폴트 자원 유닛(즉, 각각의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 및 8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도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4개의 1×26 톤 자원 장치가 있다. 각각의 20 MHz 대역폭에서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1 계층에 도시된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계층은 2×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 및 8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2개의 2×26 톤 자원 장치가 있다. 각각의 20 MHz 대역폭에서 2×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2 계층에 도시된 2×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계층은 4×26 톤 자원 유닛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과 8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각 2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 있다. 각각의 20 MHz 대역폭에서 4×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4의 제3 계층에 도시된 4×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계층은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8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40 MHz의 중심 주파수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242 톤 자원 유닛이 있다. 40 MHz 대역폭에서의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5의 제4 계층에 도시된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계층은 2×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과 디폴트 자원 유닛(즉, 80 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80 MHz의 중심 위치에 있는 디폴트 자원 유닛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242 톤 자원 장치가 있다. 각각의 40 MHz 대역폭에서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5의 제5 계층에 도시된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 층은 99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 및 디폴트 자원 유닛(즉, 각 8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1×2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160 MHz의 중심 주파수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하나의 996 톤 자원 유닛이 있다. 80 MHz 대역폭에서의 242 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도 6의 제6 계층에 도시된 996 톤 자원 유닛의 할당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 층은 2×996 톤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이다.
일 예에서, 16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일 2×99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제1 계층 내지 제6 계층에서 임의의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할당된 자원 유닛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며, 할당된 하나의 자원 유닛만이 각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예에서, 16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7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16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한 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자원 할당은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 및 단일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16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제7 계층에서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MU-MIMO를 위한 160MHz 대역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후술하는 대역폭 지시 정보와 다중 사용자 전송 지시 비트를 이용하여 자원 할당을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16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제1 층 내지 제6 층에서의 임의의 자원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경우에 주로 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0MHz 대역 주파수 자원의 중심 주파수의 좌측 및 우측의 다양한 자원 유닛의 위치는 대칭으로 분포되는데, 즉, 중심 주파수는 16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수신단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을 수신단(수신단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에 통지하며, 이에 따라 수신단은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한다.
송신단은 비트 시퀀스 또는 비트 맵 (비트 맵)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각 수신단에 다음 정보를 알릴 수 있다.
현재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 자원 유닛의 할당은: 한편으로, 할당된 각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 즉 할당된 각 자원 유닛의 크기를 포함한다. 자원 유닛의 할당은 또한: 다른 한편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각 할당된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각 대역폭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프로토콜 - 미리 정의된 자원 유닛들에 기초하여, 자원 유닛의 할당에 대한 단순화된 지시가 제공되며, 예를 들어, 각각의 대역폭에서 각각의 크기를 갖는 각각의 자원 유닛의 미리 정의된 수량 및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응하여, 수신단은 전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단에 의해 할당된 각각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예정된 수신단에 관한 정보와 결합하여, 수신단은 대응하는 스케줄링된 자원 유닛에 대한 후속 정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각 실시예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대역폭)에서 자원 유닛들의 할당을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실시예 1
선택적으로,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타입-1 비트는 일대일 기준으로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대응하고,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 및 도 8은 자원 유닛 할당 결과의 개략도 및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을 지시하는 대응 비트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다양한 대역폭의 경우(20 MHz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40 MHz, 80 MHz 및 160 MHz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비트 시퀀스에 적어도 복수의 (2개 이상의) 타입-1 비트가 포함된다. 타입-1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디폴트 위치의 일측에 할당되어 위치할 수 있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1×26)의 위치 즉, 디폴트 자원 유닛이 위치하는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된다.
여기에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대역폭의 제1 계층에서, 각 20MHz 대역폭에서 디폴트 위치의 일측에 4개의 1×26 자원 유닛 위치가 있다. 디폴트 위치의 일측에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2개의 인접하는 1×26 자원 유닛 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1×26 자원 유닛 위치는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속하고 오직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속한다.
전술한 설명에 따르면, 상이한 대역폭에서 복수의 디폴트 위치가 있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디폴트 위치가 여러 개인 경우 디폴트 위치 중 일측은 2개의 디폴트 위치 사이의 대역 자원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이 방법은: 2개의 연속적인 타입-1 비트가 모두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서의 할당을 지시할 때,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타입-4 비트를 더 포함하고, 타입-4 비트는 2개의 인접한 제2 최소 자원 유닛(2×26 톤 자원 유닛의 위치)이 동일한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다른 대역폭에서는 타입-1 비트만 포함될 수 있다. 타입-1 비트 지시를 제외하고, 다른 방식들은 모든 자원 유닛들의 할당이 지시될 때까지 전술한 지시 원리에 따라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낼 수 있다. 더 큰 대역폭의 경우, 모든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더 많은 비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나타내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방식을 예로 사용하여,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20 MHz임을 나타내며, 비트 시퀀스는 적어도 4개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한다. 각 비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2개의 1×26 자원 유닛 위치에 대응하고, 2개의 1×26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 내에 분포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솔루션은 타입-4 비트를 더 포함한다.
4 비트 중 비트 #1 및 비트 #2 모두가 2개의 1×26 자원 유닛이 동일하게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비트 시퀀스는 비트 #5를 더 포함하여, 비트 #1 및 비트 #2에 대응하는 2×26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4 비트 중 비트 #3 및 비트 #4 모두가 2개의 1×26 자원 유닛이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비트 시퀀스는 비트 #6을 더 포함하여, 비트 #3 및 비트 #4에 대응하는 2×26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 것을 지시한다.
또한, 4 비트 중 2개의 연속적인 비트(예를 들면, 비트 #1 및 비트 #2 또는 비트 #3 및 비트 #4)가 2개의 1×26 자원 유닛이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지 않음을 지시하면, 타입-4 비트는 필요하지 않다.
상이한 대역폭들에서, 타입-1 비트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타입-1 비트 지시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지시 원리에 따라 다른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는 다른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른 비트들은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모든 자원 유닛들의 할당이 지시될 때까지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제2 최소 자원 유닛들의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40 MHz, 80 MHz 및 160 MHz 대역폭의 경우 선호되는 방식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디폴트 위치의 일측에 할당되어 위치할 수 있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1×26)의 위치(즉, 디폴트 자원 유닛이 위치하는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 내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거나,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2개의 연속적인 제2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더 큰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른 가능한 구현 방법이 지시를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 2
선택적으로,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타입-2 비트는 대칭 중심의 일측면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9, 도 10 및 도 11은 자원 유닛 할당 결과의 단순 개략도 및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을 나타내는 대응 비트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다양한 대역폭의 경우(20MHz, 40MHz 및 80MHz의 경우가 개별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또한 160MHz도 포함하고 적용 가능하다), 비트 시퀀스에 적어도 복수의 (2개 이상의) 타입-2 비트가 포함된다. 타입-2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될 때,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대칭 중심의 일측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다양한 대역폭에서, 대칭 중심의 일측에 위치하는 최대 자원 유닛의 상이한 위치가 있다. 예를 들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20 MHz인 경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는 4×26 톤 자원 유닛의 위치이고; 다른 예로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40 MHz인 경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는 242 톤 자원 유닛의 위치이고; 다른 예로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80 MHz인 경우, 할당될 가능성이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는 2×242 톤 자원 유닛의 위치이고; 다른 예로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160 MHz인 경우, 할당될 가능성이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는 996 톤 자원 유닛의 위치이다.
선택적으로, 이 방법은: 특정 타입-2 비트가 할당될 가능성이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 내에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타입-5 비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입-2 비트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 유닛 위치의 범위에서, 타입-5 비트는 대칭 중심의 일측에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제2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다른 대역폭에서는 타입-2 비트만 포함할 수 있다. 타입-2 비트 지시를 제외하고, 다른 방식들은 다른 자원 유닛들의 할당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지시 원리에 따라, 모든 자원 유닛의 할당이 지시될 때까지 제3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해 다른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40 MHz, 80 MHz 및 160 MHz에 대해 선호되는 방식은: 대칭 중심의 일측에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된 자원 유닛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이거나, 또는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 및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제2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더 작은 자원 유닛(들)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이 지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40 MHz, 80 MHz 및 160 MHz에 대해 선호되는 방식은: 대칭 중심의 일측에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이거나, 또는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 및 할당될 가능성이 제2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이며; 더 작은 자원 유닛(들)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이 지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나타내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방식을 예로 사용하여,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20MHz인 것을 지시한다. 비트 시퀀스는 적어도 2 비트(즉, 타입-2 비트의 예)를 포함하고, 적어도 2 비트 중 비트 #A 및 비트 #B는 20 MHz 대역폭의 대칭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4×26 톤 자원 유닛 위치(즉, 20 MHz 대역폭의 디폴트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는지를 각각 지시한다. 물론, 비트 #A는 우측을 나타낼 수 있고 비트 #B는 좌측을 나타낼 수 있다. 그것의 원리는 일관되므로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서의 예는:
타입-2 비트의 비트 #A가 4×26 톤 자원 유닛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비트 시퀀스는 비트 #C 및 비트 #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 #C는 비트 #A에 대응하는 프론트엔드 2×26 톤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비트 #D는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비트 #A에 대응하는 백엔드 2×26 톤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타입-2 비트의 비트 #B가 실제로 4×26 톤 자원 유닛 위치가 할당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비트 시퀀스는 비트 #E 및 비트 #F를 더 포함한다. 비트 #E는 비트 #B에 대응하는 프론트엔드 2×26 톤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비트 #F는 비트 #B에 대응하는 백엔드 2×2d 톤 자원 유닛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
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방식을 예로 사용하여, 제1 지시 정보는 할당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40MHz인 것을 지시한다. 비트 시퀀스는 적어도 2 비트(즉, 타입-2 비트의 다른 예)를 포함하고, 적어도 2 비트 중 비트 #A' 및 비트 #B'는 40 MHz 대역폭의 대칭 중심(즉, 40 MHz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242 톤 자원 유닛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는지를 각각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비트 #A'는 우측을 나타낼 수 있고 비트 #B'는 좌측을 나타낼 수 있다. 그것의 원리는 일관되므로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242 톤 자원 유닛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지 않은 경우, 이 구현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지시를 계속 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방식을 예로 사용하여, 제1 지시 정보는 할당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80 MHz인 것을 지시한다. 비트 시퀀스는 적어도 2 비트(즉, 타입-2 비트의 또 다른 예)를 포함하고, 적어도 2 비트 중 비트 #A" 및 비트 #B"는 80 MHz 대역폭의 대칭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2×242 톤 자원 유닛 위치(즉, 80 MHz 대역폭의 중심에 있는 디폴트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는지를 각각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비트 #A"는 우측을 나타낼 수 있고 비트 #B"는 좌측을 나타낼 수 있다. 그것의 원리는 일관되므로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2×242 자원 유닛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지 않으면, 이 구현 방식은 2×242 자원 유닛 위치의 범위 내의 242 자원 유닛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는지를 계속 지시할 수 있다. 후속 자원 유닛에 대해서는, 이 구현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계속 사용하여 지시할 수 있다.
160 MHz 또는 기타 대역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위의 해결 방법을 참조한다.
실시예 3
선택적으로,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2개의 타입-3 비트는 대칭 중심의 2개의 양측에 위치한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타입-3 비트는 대응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은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 및 도 13은 자원 유닛 할당 결과의 단순 개략도 및 할당된 할당된 자원 유닛을 나타내는 대응 비트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다양한 대역폭의 경우(20 MHz, 40 MHz 및 80 MHz의 경우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 또한 160 MHz를 포함하며 적용할 수 있다), 비트 시퀀스에 적어도 여러 타입-3 비트가 포함된다. 일부의 타입-3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대칭 중심(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의 디폴트 위치, 40MHz의 중심 주파수, 80MHz 대역폭의 중심에서의 디폴트 위치, 또는 160MHz 대역폭에서의 중심 주파수)의 일측에 할당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에 있는 모든 자원 유닛이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다른 타입-3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디폴트 위치의 타측에 할당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에 있는 모든 자원 유닛이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각각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대역폭에서 최소 자원 유닛의 크기는 1×26이다.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해서는 위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대칭 중심의 일측은 자원 유닛 위치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각 자원 유닛 위치 그룹은 대칭 중심의 일측의 디폴트 위치를 제외한 모든 1×26 자원 유닛 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1×26 자원 유닛 위치는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만 속하고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만 속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임의의 타입-3 비트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에 있는 모든 자원 유닛이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아닌 경우, 타입 6 비트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타입-3 비트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 유닛 위치의 범위에서, 타입-6 비트는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제2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에 있는 모든 자원 유닛이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대역폭에서는 유형 3 비트만 포함될 수 있다. 타입-3 비트 지시를 제외하고, 다른 방식은 전술한 지시 원리에 따라 다른 자원 유닛의 할당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비트는 모든 자원 유닛의 할당이 지시될 때까지 제3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로 자원 유닛으로 할당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40 MHz, 80 MHz 및 160 MHz에 대해, 선호되는 방식은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가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거나,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 및 제2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는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더 큰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른 가능한 구현 방법이 지시를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 4
선택적으로, 자원 유닛 할당을 지시하는 전술한 비트 시퀀스는 타입-0 비트를 포함하고, 비트는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가 실제로 할당되는지를 나타낸다. 특정 대역폭에 대응하는, 즉 비트는 최대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을 위해 사용됨을 나타낸다. 이어서, 다른 자원 지시 정보는 대응 스테이션에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다. 할당될 가능성이 있고 특정 대역폭에 대응하는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에 대해서는 도 4의 제4 계층이고, 40MHz 대역폭에 대해서는 도 5의 제5 계층이고, 80MHz 대역폭에 대해서는 도 6의 제6 계층이며, 160MHz에 대해서는 제7 계층이다.
이 경우, Type-0 비트가 현재의 대역폭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이후에 전술한 타입-1 비트, 타입-2 비트, 또는 타입-3 비트, 또는 다른 타입의 비트가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포함될 필요가 있다. 타입-0 비트가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현재 대역폭에 대응하는 최대 자원 유닛의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이어서 다른 비트 시퀀스가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포함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이한 대역폭에 대한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원리에서 유사한 방식이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40MHz, 80MHz 및 160MHz의 대역폭에 대해서는, 상기 지시 방법을 전체적으로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2, 3 또는 4에 기초하여 비트 시퀀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단은 N개의 매핑 규칙을 얻는데, 여기서 N개의 매핑 규칙은 일대일로 N개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일대일 대응하고, 매핑 규칙은 결정 결과와 지시 식별자 사이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결정 결과는 매핑 규칙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결정 대상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획득되고, 여기서 N≥1이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된 M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M개의 수신단에 할당할 때, 송신단은 각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을 결정 대상으로 사용하고, N개의 매핑 규칙에 따라, 각각의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여기서 M개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은 일대일 기반으로 M개의 수신단에 대응하며;
송신단은 지시 식별자에 따라 비트 시퀀스를 결정하고, 여기서 비트 시퀀스는 각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 및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내의 각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
송신단은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수신단은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단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은 자원 유닛의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은 WLAN 시스템에서 자원 유닛 유형의 가능한 수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단이 N개의 매핑 규칙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 상기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의 최솟값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의 최댓값에 따라 상기 N개의 매핑 규칙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역폭(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 여기서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되는 부반송파는 직류 부반송파 및 측 대역 가드 부반송파를 포함하지 않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원 서브유닛의 크기(즉,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의 최솟값) 및 대역폭 내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의 최대 값(즉,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의 최대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사용될 때,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도 4에 도시된 3가지 타입의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26, 2×26 및 4×26.
다른 예로서, 4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사용될 때,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도 5에 도시된 4개 타입의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은 다음곽 같을 수 있다:
1×26, 2×26, 4×26 및 242.
다른 예로서, 8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사용될 때,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도 6에 도시된 5가지 타입의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26, 2×26, 4×26, 242 및 2×242.
다른 예로서, 160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사용될 때,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6가지 타입의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26, 2×26, 4×26, 242, 2×242 및 996.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수신단은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을 결정하기 위해 유사한 방법 및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방법(100)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송신단 및 수신단에 의해 결정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이 동일하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은 상위 계층 관리 장치에 의해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지시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의해 결정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증할 수 있는 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역폭에 따라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의해 직접 결정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임의의 자원 유닛의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는 임의의 매핑 규칙에 대해 획득될 수 있다. 즉,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또는 자원 유닛의 타입)과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또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의 타입)과의 관계(예를 들면, 대소 관계(magnitude relationship))가 결정될 수 있고, 상이한 관계가 상이한 지시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매핑 규칙의 내용과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다.
선택적으로, N개의 매핑 규칙에 따라, 각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각 매핑 규칙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기초해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그리고 N개의 매핑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트리 방법은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의 순서(예를 들어,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에 따라 각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자원 유닛의 지시 식별자를 순서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된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한 매핑 규칙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예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매핑 규칙에 기초한 다양한 매핑 규칙 및 처리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α. 타입-1 매핑 규칙(실시예 1에 대응)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의 오름차순으로 각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자원 유닛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입-1 매핑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매핑 규칙 #A라고 함)은 특정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의 크기(즉, 부반송파에 포함된 수량)가 매핑 규칙 #A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예가 결정되면, 매핑 규칙 #A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아니오가 결정되면, 매핑 규칙 #A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바꾸어 말하면,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의 상기 순서는 그에 따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계층들의 순서일 수 있으며, 즉, 송신단은 전술한 자원 유닛 할당 맵에서 하향 순서(즉,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의 오름차순)로 각 계층에 대응하는 매핑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즉, X번째 계층에서의 매핑 규칙 #A는: 특정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 X-1번째 계층(즉, X번째 계층의 상위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집성에 의해 형성되면, 매핑 규칙 #A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1이거나; 또는 특정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 X-1번째 계층(즉, X번째 계층의 상위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집성에 의해 형성되지 않으면, 매핑 규칙 #A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본 명세서에서 "집성(aggregation)"은 단지 하나의 상위 계층에서의 인접한 자원 유닛들의 집성일 수 있으며, 2개의 상위 계층들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집성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 솔루션에서 비트가 더 압축될 수 있으며, 즉, 상위 계층 집성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2×26 자원 유닛과 2개의 1×26 자원 유닛은 20MHz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있는 1×26 톤 자원 유닛(즉, 20MHz 대역폭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있다. 이 경우, 상위 계층의 자원 유닛은 4×26 자원 유닛으로 집성될 수 없으므로 대응 표시 비트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타입-1 매핑 규칙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의 일 예의 트리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20 MHz 대역폭을 갖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예로 사용하면, 할당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로 표기),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0으로 표기) 및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3으로 표기)을 포함한다.
20 MHz 대역폭에서, 대역폭의 중간 위치에 있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100)은 자원 유닛 #0을 제외한 임의의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주로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다른 예에서, 하나의 비트는 자원 유닛 #0이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1이라고 함)이 결정되고,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2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도 4의 제2 계층에서의 위치 #1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이고,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2×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며, 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 하에서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1은 2개 또는 2개 이상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1하에서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2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2×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며, 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하에서 위치 #2(또는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2는 2개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1하에서 위치 #2(또는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3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즉, 자원 유닛 #3의 일부)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4×26이고,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고, 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3은 2개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의 위치 #3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또한,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4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즉, 자원 유닛 #3의 일부)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4×26이고,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고, 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3은 2개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 하에서 위치 #4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의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11이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2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3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4의 제3 계층의 위치 #5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2×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적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 하의 위치 #5(또는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는 2개의 2×26 자원 유닛의 집성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의한 위치 #5(또는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0이며, 즉, 미리 설정된 규칙 2# 하에서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로서 비트"0"이 사용된다.
도 4의 제3 층의 위치 #6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며, 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의한 위치 #6(또는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3은 2개의 2×26 자원 유닛의 집성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의한 위치 #6(또는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타입-1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도 7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111101이며, 종래 기술에서의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3 비트의 오버헤드가 절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비트 시퀀스의 처음 4 비트는 도 4의 위치 #1 내지 위치 #4에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낸다.
제1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에서 위치 #1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1의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예를 들어, 2×26)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위치 #1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2개 또는 2개 이상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지시 식별자는 1이다. 그러므로 수신단에서는 도 4의 제2 계층에서 위치 #2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2의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예를 들어, 2×26)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위치 #2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2개 또는 2개 이상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제3 지시 식별자는 1이다. 그러므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3 위치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3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위치 #3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2개 또는 2개 이상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제4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4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4의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위치 #4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2개 또는 2개 이상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비트 시퀀스의 제5 비트 및 제6 비트는 도 4의 제3 계층에서의 위치 #5 및 위치 #6에서의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낸다.
제5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따라서, 수신단: 도 4의 제3 계층의 위치 #5에서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5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4×26)보다 작다. 환언하면, 위치 #5에 위치한 자원 유닛은 2개의 2×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지시 식별자, 제2 지시 식별자 및 제5 지시 식별자를 참조하면, 수신단은 위치 #1 및 위치 #2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이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6 지시 식별자는 1이다. 그러므로 수신단은: 도 4의 제3 계층 위치 #6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5의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4×26)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위치 #5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2개의 2×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지시 식별자, 제4 지시 식별자 및 제6 지시 식별자를 참조하면, 수신단에서는 위치 #3 및 위치 #4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이 4×26 톤 자원 유닛이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자원 유닛 #3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1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이 2×26 톤 자원 유닛이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2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2)은 2×26 톤 자원 유닛이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3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은 4×26 톤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단의 결정 프로세스는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와는 역의 프로세스이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의 반대인 수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임의의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위해, 먼저 현재 20MHz 대역폭에 대응해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에 따라 결정이 수행되며, 즉 242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에서는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22로 표기)을 결정하고,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4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한 결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도 7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은: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3(도 4의 제4 계층의 전체 자원 유닛)이고,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2×26, 2×26, 1×26,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유닛 #0,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부반송파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42)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도 4의 미리 설정된 규칙 #22하에서 제4 계층의 지시 식별자는 0이고, 지시 식별자는 선택 사항이다. 즉, 타입-0 비트의 값은 0이다. 타입-0 비트의 값을 얻은 후에는, 전술한 타입-1 비트의 값이 도 7에 도시된 방식에 따라 계속 획득된다.
도 8은 타입-1 매핑 규칙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트리 다이어그램이다. 20 MHz 대역폭을 갖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예로 사용하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좌에서 우로 순차적으로 하나의 2×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1'으로 표기됨), 3개의 1×26 톤 자원 유닛들(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 및 자원 유닛 #0'으로 표기됨) 및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4'로 표기함)을 포함한다. 순회한다.
20 MHz 대역폭에서,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100)은 자원 유닛 #0'을 제외한 임의의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주로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다음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 2×2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즉, 미리 설정된 규칙 #1)이 결정되고, 순차적으로 결정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2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1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이고,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2×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며, 즉 위치 #1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1하에서의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1은 2개의 1×26 자원 유닛을 집성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하에서의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4의 제2 계층에서 위치 #2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1×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적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하에서의 위치 #2(또는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은 2개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하에서의 위치 #2(또는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며, 즉, 미리 설정된 규칙 #1하에서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3')의 지시 식별자로서 비트"0"이 사용된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3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4'(즉, 자원 유닛 #4'의 일부)이고, 자원 유닛 #4'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며, 즉 자원 유닛 #4'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4'는 2개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의 위치 #3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또한,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4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4'(즉, 자원 유닛 #4'의 일부)이고, 자원 유닛 #4'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며, 즉, 자원 유닛 #4'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같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4'는 2개의 1×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 하에서 위치 #4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 하에서 위치 #3 및 위치 #4'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 와 #4'의 지시 식별자는 11이다.
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2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결정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행된다.
즉, 도 4의 제3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 맵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4의 제3 계층의 위치 #5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자원 유닛 #3' 중 어느 것도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모두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적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하에서의 위치 #5(또는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은 2개의 2×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하에서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즉, 미리 설정된 규칙 #2하에서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로 비트 "0"을 사용한다.
또한, 규칙 1에 의해, 도 4의 제3 계층의 위치 #5의 자원 유닛이 하나의 2×26 자원 유닛 및 2개의 2×1×26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되므로, 도 4의 제3 계층에서 위치 #5의 할당은 이미 완료되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하에서의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의 제3 층의 위치 #6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4'이고, 자원 유닛 #4'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며, 즉, 자원 유닛 #4'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하에서의 위치 #6(또는 자원 유닛 #4')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환언하면, 자원 유닛 #4'는 2개의 2×26 자원 유닛의 집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에서의 자원 유닛 #4'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즉, 타입-1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도 8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101101 또는 10111이다. 즉, 종래 기술에서의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3 또는 4 비트의 오버헤드가 절약될 수 있다.
물론, 마찬가지로, 전술한 실시예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임의의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에 대해서, 현재 20MHz 대역폭에 대응해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에 따라 결정이 수행되며, 즉 242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에서는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22로 표기함)을 결정하고, 타입-0 비트의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4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타입-0 비트의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결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도 8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은: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4'이고,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각각 2×26, 1×26, 1×26, 1×26 및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4' 중 어느 것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42)과 같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2하에서의 지시 식별자는 0이고, 지시 식별자는 선택 사항이다. 즉, 타입-0 비트의 값은 0이다. 타입-0 비트의 값을 얻은 후에는, 전술한 타입-1 비트의 값이 도 8에 도시된 방식에 따라 계속 획득된다. 즉,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의한 선택적 지시 식별자가 포함되면, 타입-1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도 8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01101 또는 010111이고, 종래 기술에서의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면 2 비트 또는 3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폴트 자원 유닛 위치가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하나의 비트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타입-1 매핑 규칙 및 타입-1 매핑 규칙에 기반을 둔 처리 절차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타입-2 매핑 규칙 및 타입-3 매핑 규칙 및 타입-2 매핑 규칙 및 타입-3 매핑 규칙에 기초한 처리 절차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가진다.
상기 지시 식별자에 따라 비트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에 대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각 자원 유닛의 위치에 따라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열 순서 및 상기 지시 식별자에 기초하여,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계층에서 20 MHz 대역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자원 유닛(또는 자원 유닛 위치)의 할당은 중심 위치(즉, 대칭 중심의 일 예)에 위치한 1×26 톤 자원 서브유닛에 대해 대칭이며; 각 계층에서의 40 MHz 대역 주파수 자원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중심점(즉, 대칭 중심의 다른 예)에 대해 대칭이며; 각 층에서의 80 MHz 대역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중심 위치(즉, 대칭 중심의 또 다른 예)에 위치하는 1×26 톤의 자원 서브유닛에 대해 대칭이며; 그리고 각 계층에서의 160 MHz 대역 주파수 자원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중심점(즉, 대칭 중심의 또 다른 예)에 대해 대칭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전술한 대칭성을 이용하여 각각의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자원 유닛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β. 타입-2 매핑 규칙(실시예 2에 대응)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의 내림차순으로 각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자원 유닛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입-2 매핑 규칙(이하에서는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매핑 규칙 #B로 표기함)은 대칭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 상의 특정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의 크기(즉,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가 매핑 규칙 #B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가 결정되면, 매핑 규칙 #B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아니오가 결정되면, 매핑 규칙 #B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바꾸어 말하면,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의 상기 순서는 그에 따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계층들의 순서일 수 있으며, 즉, 송신단은 전술한 자원 유닛 할당 맵에서 상향식(즉,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의 내림차순)으로 각 계층에 대응하는 매핑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의 일 예의 트리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예를 들어 20 MHz 대역폭을 갖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사용하여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 및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20 MHz 대역폭에서는, 대역폭의 중간 위치에 있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100)은 주로 자원 유닛 #0을 제외한 임의의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이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MHz 대역폭의 디폴트 위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에 따라 결정이 수행되는데, 즉 4×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3이라 표기함)된다 및 구별)을 결정하고, 좌에서 우로 순차적으로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3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처리에서는, 도 4의 제3 층의 #5 위치(20MHz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이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2×26이고, 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4×26)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3의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도 4의 제3 층의 위치 #6(즉, 20MHz의 대칭 중심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 #2는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의한 위치 #3(또는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여기서, 20 MHz 대역폭에서, 대칭 중심의 일측에 있는 최대 자원 유닛의 타입이 4×26 RU이기 때문에(단, 단일 사용자 전송을 위해 한 사용자에게 242 RU가 할당된다는 것을 제외함), 대칭 중심의 우측 상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 즉 위치 #6(또는 위치 #3 및 위치 #4)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완료된다.
그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 2×2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4으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2의 제2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4의 제2 층의 위치 #1(즉, 10MHz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이고,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4에서의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4의 제2 층의 위치 #2(즉, 10MHz의 대칭 중심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4에서의 위치 #2(또는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대칭 중심의 좌측 상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즉 위치 #5(또는 위치 #1 및 위치 #2)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이 완료된다.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도 9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11이므로 종래의 비트 시퀀스 생성 방법과 비교하여 5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단의 결정 과정에서, 비트 시퀀스의 처음 2 비트는 도 4의 위치 #5 및 위치 #3에서의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낸다.
제1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3 계층의 위치 #5에서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5 위치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4×26)과 같지 않다. 환언하면, 위치 #5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4×26 톤 자원 유닛이 아니다.
제2 지시 식별자는 1이므로, 수신단은: 도 4의 제3 계층 위치 #6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6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3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4×26)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지시 식별자를 참조하면, 수신단은 위치 #6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이 4×26 톤 자원 유닛이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수신단은 중심 대칭의 우측의 자원 유닛이 4×26 톤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칭 중심의 우측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 #3(위치 #3, 위치 #4 또는 위치 #6)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은 비트 시퀀스 내의 제3 비트 및 제4 비트가 도 4의 위치 #1 및 제2 위치의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3 지시 식별자는 1이다. 그러므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1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1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과 동일하다. 환언하면, 위치 #1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2×26 톤 자원 유닛이다.
제4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2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2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4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과 동일하다. 환언하면, 위치 #2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은 2×26 톤 자원 유닛이다.
따라서, 제1 지시 식별자, 제3 지시 식별자 및 제4 지시 식별자를 참조하면, 수신단은 위치 #1 및 위치 #2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이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제1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이 2×26 톤 자원 유닛이고, 제2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2)은 2×26 톤 자원 유닛이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제3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은 4×26 톤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단의 결정 프로세스는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와는 역의 프로세스이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의 반대인 수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임의의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먼저 20MHz 대역폭에 대응해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에 따라 결정이 수행되며, 즉 242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22로 표기함)이 결정되며,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4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한 결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도 9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은: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각각 2×26, 1×26, 1×26, 1×26 및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3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42)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2하에서의 지시 식별자는 0이고, 지시 식별자는 선택 사항이다. 즉, 타입-0 비트의 값은 0이다. 타입-0 비트의 값을 얻은 후에는, 전술한 타입-2 비트의 값이 도 9에 도시된 방식에 따라 계속 획득된다.
환언하면,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의한 선택적 지시 식별자가 포함되면,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도 9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0111이며, 종래 기술에서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4 비트의 오버헤드가 절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폴트 자원 유닛 위치가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하나의 비트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트리 다이어그램이다.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예를 들어 40 MHz 대역폭을 갖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사용하여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로 표기함),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0"으로 표기됨),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3"로 표기함) 및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4"로 표기함)을 좌측에서 우측 순으로 포함한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MHz 대역폭에서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결정되는데, 즉 242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7로 표기함)이 결정되고,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4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 순으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처리에서는, 도 5의 제4 층의 #A 위치(즉, 40MHz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이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242가 아니며,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7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42)과 같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7하에서의 위치 #A(또는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도 5의 제4 층의 위치 #B(즉, 40MHz의 대칭 중심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4"이고, 자원 유닛(4")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7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42이며, 즉 자원 유닛 #4"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7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7하에서 위치 #B(또는 자원 유닛 #4")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여기서, 40 MHz 대역폭에서 최대 자원 유닛의 타입이 242이기 때문에, 대칭 중심의 우측 상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즉 위치 #B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할당이 완료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중심의 좌측에 완전히 할당되지 않은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20 MHz 대역폭에서 대칭 중심의 일측의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결정되고, 즉 4×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8이라고 함)이 결정되고, 결정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5의 제3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 순으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처리에서는, 도 5의 제3 층의 위치 #C(20MHz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이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8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8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4×26)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8에서의 위치 #C(또는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또한, 20 MHz 대역폭에서, 대역폭의 중간 위치에 있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도 5의 제3 층의 위치 #D(즉, 20MHz의 대칭 중심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8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8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8 하에서 위치 #D(또는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여기서, 20 MHz 대역폭에서 최대 자원 유닛의 타입이 4×26이기 때문에, 대칭 중심의 우측 상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즉 위치 #D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은 완료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9으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2의 제2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 순으로 수행된다.
도 5의 제2 층의 #E 위치(즉, 10MHz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이고,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9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9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9 하에서 위치 #E(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5의 제2 계층의 위치 #F(즉, 10MHz의 대칭 중심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9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9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9 하에서 위치 #F(또는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다른 대역폭에서의 처리에 대응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3 및 미리 설정된 규칙 #8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규칙 #4 및 미리 설정된 규칙 #9를 구별하는 데 다른 마크가 사용되며; 그렇지만, 미리 설정된 규칙들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은 동일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타입-1 매핑 규칙에 기반을 두어 도 10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0111이며, 종래의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12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임의의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먼저 40MHz 대역폭에 대응해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결정되며, 484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23으로 표기)이 결정되고,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5의 제5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한 판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도 10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은: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3" 및 자원 유닛 #4"이고,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각각 2×26, 2×26, 1×26, 4×26이며,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3" 및 자원 유닛 #4"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3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3에서의 지시 식별자는 0이고, 지시 식별자는 선택 사항이다. 즉, 타입-0 비트의 값은 0이다. 타입-0 비트의 값을 얻은 후에는, 전술한 타입-2 비트의 값이 도 10에 도시된 방식에 따라 계속 획득된다.
환언하면, 미리 설정된 규칙 #23에 의한 선택적 지시 식별자가 포함되는 경우, 타입-2 매핑 규칙에 기반을 두어 도 10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010111이고, 종래의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11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2개의 디폴트 자원 유닛 위치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2개의 비트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트리 구조도이다. 80 MHz 대역폭을 갖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예로 사용하여,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1'''으로 표기됨),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0'''으로 표기함),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2'''로 표기함), 하나의 242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3'''으로 표기함), 하나의 1×242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와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00'''으로 표기함) 및 하나의 2×242 톤 자원 유닛(이해와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4'''로 표기됨)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포함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 MHz 대역폭에서 대칭 중심의 일측에 위치하는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결정되며, 즉 2×242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구별되는 규칙 #10으로 표기함)이 결정되며, 결정은 좌에서 우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의 제5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하고,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처리에서는, 도 6의 제5 층의 위치 #a(즉, 80㎒의 대칭 중심의 자원 유닛 #00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이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2×242가 아니며, 미리 설정된 규칙 #10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10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42)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0하에서의 위치 #A(또는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또한, 80 MHz 대역폭에서, 대역폭의 중간 위치에 있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도 6의 제5 층의 위치 #b(즉, 80MHz의 대칭 중심의 자원 유닛 #00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4""이고, 자원 유닛 #4"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0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42이고, 즉 자원 유닛 #4"'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0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같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0의 위치 #b(또는 자원 유닛 #4"')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여기서, 80㎒ 대역에서 최대 자원 유닛의 타입이 2×242이기 때문에, 대칭 중심의 우측 상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즉 위치 #b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이 완료된다.
그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중심의 좌측에 완전히 할당되지 않은 40MHz 대역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40MHz 대역폭에서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결정되며, 즉 242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즉,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11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의 제4 계층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하고,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처리에서는, 도 6의 제4 층의 위치 #c(즉, 40MHz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이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는 242가 아니며,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42)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11에 의한 위치 #c(또는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및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도 6의 제4 층의 위치 #d(즉, 40MHz의 대칭 중심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1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42이며, 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1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같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11에 대응하는 위치 #d(또는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여기서, 40 MHz 대역폭에서는, 최대 자원 유닛의 타입이 242이기 때문에, 대칭 중심의 우측, 즉, 위치 #d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이 완료된다.
그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12으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의 제3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고,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수행된다.
도 6의 제3 층의 위치 #e(즉, 20MHz의 대칭 중심의 좌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이고,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규칙 #1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같다. 그러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12하에서 위치 #e(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또한, 20 MHz 대역폭에서, 대역폭의 중간 위치에 있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도 6의 제3 층의 위치 #f(즉, 20MHz의 대칭 중심의 우측)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2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12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같다. 그러므로 위치 #f(또는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여기서, 20 MHz 대역폭에서 최대 자원 유닛의 유형이 4×26이기 때문에, 대칭 중심의 좌측 및 우측 상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즉 위치 #e와 위치 #f에 대응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할당이 완료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다른 대역폭에서의 처리에 대응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3 및 미리 설정된 규칙 #8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규칙 #4 및 미리 설정된 규칙 #9를 구분하는 데 다른 마크가 사용되며; 그렇지만, 미리 설정된 규칙들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은 동일하다.
타입-1 매핑 규칙에 기반을 두어 도 11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0111이며, 종래의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31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임의의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먼저 80MHz 대역폭에 대응해서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에 따라 결정이 수행되며, 즉 99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에서는 이해 및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24로 표기됨)이 결정되며,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해 결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의 제6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타입-0 비트의 값을 얻기 위한 결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서, 도 11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은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 자원 유닛 #00" 및 자원 유닛 #4"이며, 상기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각각 4×26, 1×26, 4×26, 242, 1×26 및 2×242이고, 미리 설정된 규칙 #24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즉,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 자원 유닛 #00" 및 자원 유닛 #4"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24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996)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24에서의 지시 식별자는 0이고, 지시 식별자는 선택 사항이다. 즉, 타입-0 비트의 값은 0이다. 타입-0 비트의 값을 얻은 후에는, 전술한 타입-2 비트의 값이 도 11에 도시된 방식에 따라 계속 획득된다.
환언하면, 미리 설정된 규칙 #24에 의한 선택적인 지시 식별자가 포함되면, 도 11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010111이며, 종래 기술에서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30 비트의 오버헤드가 절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개의 디폴트 자원 유닛 위치가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5 비트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20 MHz보다 큰) 넓은 대역폭에 대해, 도 10 및 도 11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방법 역시 20M 대역폭의 최소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를 나타내기 위해서만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들은 20M 대역폭 내에서 자원 할당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서의 대응하는 파선 상자는 제거될 수 있으며, 타입-1 매핑 규칙에 기반을 두어 도 10의 할당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이다. 타입-1 매핑 규칙에 기반을 두어 도 11의 할당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01이다.
γ. 타입-3 매핑 규칙(실시예 3에 대응)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의 오름차순으로 각 매핑 규칙 하에서 각 자원 유닛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입-3 매핑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매핑 규칙 #C로 표기함)은 대칭 중심의 좌측 및 우측 상의 특정 주파수 도메인 위치에 위치하는 자원 유닛의 크기(즉,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가 매핑 규칙 #C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가 결정되면, 매핑 규칙 #C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아니오가 결정되면, 매핑 규칙 #C하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바꾸어 말하면,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들의 상기 순서는 대응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계층들의 순서일 수 있으며, 즉, 송신단은 전술한 자원 유닛 할당 맵에서 상향식(즉,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의 오름차순)으로 각 계층에 대응하는 매핑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타입-3 매핑 규칙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의 일 예의 트리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20 MHz 대역폭을 갖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예로 사용하여 2개의 2×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 및 하나의 4×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20 MHz 대역폭에서, 대역폭의 중간 위치에 있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100)은 주로 자원 유닛 #0을 제외한 임의의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5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1 계층에서 자원 유닛들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처리에서는, 우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즉, 도 4의 위치 #7 내지 위치 #10에 대응)의 대칭 중심의 좌측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의 크기가 모두 1×26인지가 판정된다.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2×26이므로, 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모두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규칙 #5하에서 도 4의 위치 #7 내지 위치 #10(또는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그 후,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우측(즉, 도 4의 위치 #11 내지 위치 #14에 대응)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의 크기가 모두 1×26인지가 판정된다.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판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4×26이므로, 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규칙 #5에서 도 4의 위치 #11 내지 위치 #14(또는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그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규칙 #6으로 표기됨)이 결정되고, 결정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2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1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이고,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에서의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2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이고, 자원 유닛 #2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 유닛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의한 위치 #2(또는 자원 유닛 #2)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3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 자원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의 위치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4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 #4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의 위치 #4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즉, 미리 설정된 규칙 #6하에서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0이다.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양측에 자원 유닛의 할당에 도 4에 도시된 경우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치 #11 내지 위치 #14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가 0이고, 위치 #4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가 0인 경우, 위치 #6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은 4×26 톤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타입-3 매핑 규칙에 기초해서 도 12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01100이며, 종래 기술에서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3 비트의 오버헤드가 절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단의 결정 과정에서, 비트 시퀀스의 제1 비트는 도 4의 위치 #7 내지 위치 #10에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낸다.
제1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1 층에서 위치 #7 내지 위치 #10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및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7 내지 위치 #10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모두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1×26)과 동일하지 않다.
제2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1 층에서 위치 #11 내지 위치 #14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11 내지 위치 #14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모두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1×26)과 동일하지 않다.
제3 지시 식별자는 1이다. 그러므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1 위치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1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지시 식별자 및 제3 지시 식별자를 참조하여, 수신단은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좌측으로부터의 제1 자원 유닛의 크기 또는 위치 #1(즉, 자원 유닛 #1)의 자원 유닛의 크기가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2×26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4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2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2)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2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지시 식별자 및 제4 지시 식별자를 참조하여, 수신단은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좌측으로부터 제2 자원 유닛의 크기 또는 제2 위치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의 크기가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2×26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5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3에서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3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과 동일하지 않다.
제6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도 4의 제2 계층의 #3 위치에 있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위치 #3의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즉, 2×26)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제1 지시 식별자, 제5 지시 식별자 및 제6 지시 식별자를 참조하면, 수신단은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좌측으로부터 제4 자원 유닛의 크기 또는 위치 #3 및 위치 #4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는 4×26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단의 결정 프로세스는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와는 역의 프로세스이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송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의 반대인 수신단의 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타입-3 매핑 규칙에 기초한 결정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트리 다이어그램이다. 20 MHz 대역폭을 갖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예로 사용하여,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하나의 2×26 톤 자원 유닛(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1'으로 표기됨), 3개의 1×26 톤 자원 유닛들(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 및 자원 유닛 #0'으로 표기됨) 및 하나의 4×26-tone resource unit(이하, 이해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원 유닛 #4'로 표기함)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20 MHz 대역폭에서, 대역폭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는 하나의 1×26 톤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0')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유닛은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100)은 주로 자원 유닛 #0'을 제외한 임의의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즉, 미리 설정된 규칙 #5)이 결정되고, 결정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1 계층에서 자원 유닛들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송신단의 결정 처리에서는, 우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즉, 도 4의 위치 #7 내지 위치 #10에 대응)의 대칭 중심의 좌측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의 크기가 모두 1×26인지가 판정된다.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2×26이므로, 대칭 중심의 좌측에 위치한 자원 유닛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5하에서 도 4의 위치 #7 내지 위치 #10(또는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4는 0이다.
그 후,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우측(즉, 도 4에서의 위치 #11 내지 #14에 대응)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의 크기가 모두 1×26인지가 판정된다.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규칙 #5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4×26이므로, 미리 설정된 규칙 #5하에서 위치 #11 내지 위치 #14(또는 자원 유닛 #3')의 위치 식별자는 0이다.
그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6의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규칙(즉, 미리 설정된 규칙 #6)이 결정되고,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제2 계층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은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결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1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1'이고,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는 2×26이며, 즉, 자원 유닛 #1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에서의 위치 #1(또는 자원 유닛 #1)의 지시 식별자는 1이다.
도 4의 제2 계층에서 위치 #2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1×26이며, 즉, 자원 유닛 #2' 및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하에서의 위치 #2(또는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3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의 위치 #3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도 4의 제2 계층의 위치 #4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3이고, 자원 유닛 #3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4×26이며, 즉 자원 유닛 #4에 포함된 부반송파의 수량은 미리 설정된 규칙 #6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규칙 #6의 위치 #4의 지시 식별자는 0이다.
즉, #6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른 자원 유닛 #3의 지시 식별자는 00이다.
20 MHz 대역폭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양측에 자원 유닛의 할당에 도 4에 도시된 경우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치 #11 내지 위치 #14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가 0이고, 위치 #4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가 0인 경우, 위치 #6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이 4×26 톤 자원 유닛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01000이고, 종래 기술에서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3 비트의 오버헤드가 절약될 수 있다.
각각의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각각의 지시 식별자 및 비트 시퀀스를 결정하는 전술한 프로세스는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내용이 좌우 순서로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지만, 수신단과 송신단이 대응하는 순서를 사용하는 한, 결정은 우좌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역폭은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3가지 유형의 매핑 규칙은 더 큰 대역폭, 예를 들어 40MHz, 80MHz 또는 160MHz를 갖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결정 프로세스는 타입-2 매핑 규칙에서 40MHz 또는 80MHz에 대한 결정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3가지 유형의 매핑 규칙은 더 큰 대역폭, 예를 들어, 40 MHz, 80 MHz 또는 160 MHz을 갖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할당을 지시하고 (20 MHz 대역폭 내에서, 다른 방법이 지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20 MHz의 최소 그래뉼래리티를 지시하는 데 추가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특정 판정 프로세스는 타입-2 매핑 규칙에서 40 MHz 또는 80 MHz에 대한 결정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2, 3 또는 4에서, 40 MHz, 80 MHz 및 160 MHz 대역폭에 대해, 유사한 방식은 전체적으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5에서, 40MHz, 80MHz 및 160MHz 대역폭에서 20MHz 대역폭 각각에 대해, 상기 실시예 1, 2, 3 또는 4의 방법 또는 이들의 가능한 조합은 지시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환언하면, 큰 대역폭에 대해서는, 대역폭의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는: 각각의 기본 대역(대역폭 할당의 최소 유닛, 예를 들면, 20㎒)에서의 자원 유닛의 할당을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 및 하나의 할당될 자원 유닛 내에 2개의 인접한 기본 대역폭이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집성 지시 비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40 MHz이면, 20 MHz 대역폭 지시 방법이 2회 반복하여 사용되는데, 즉,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1의 20 MHz 대역폭 및 제2의 20 MHz 대역폭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을 각각 나타내기 위해 2개의 비트 시퀀스가 포함된다. 다른 예로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80 MHz인 경우, 20 MHz 대역폭 지시 방법을 4회 반복하여 사용하는데, 즉,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1의 20MHz 대역폭, 제2의 20MHz 대역폭, 제3의 20MHz 대역폭, 및 제4의 20MHz 대역폭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지시하기 위해 4개 세그먼트의 시퀀스가 포함된다.
특정 예에서, 20M 대역폭 각각을 지시하는 방법에서, 타입-0 비트가 20MHz 대역폭에 대응하는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즉 242 톤 자원 유닛이 할당되는 경우, 각각의 20M 대역폭을 지시하기 위한 비트 시퀀스는 집성이 수행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하나의 비트를 더 포함하며, 이 비트는 특히 인접한 20M이 하나의 자원 유닛 내에 분포될 수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40 MHz인 경우, 2개의 20 MHz 대역폭을 나타내는 2개의 세그먼트의 타입-0 비트가 모두 242 톤 자원 유닛이 할당되었음을 나타내고, 집성 비트가 모두 인접한 20M이 하나의 자원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이는 2개의 20 MHz가 484 톤 자원 유닛에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다른 예로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80 MHz인 경우, 마지막 2개의 20 MHz 대역폭을 나타내는 마지막 2개의 세그먼트 내의 타입-0 비트가 4 비트 세그먼트에서 모두 242 톤 자원 유닛이 할당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집성 비트가 모두 인접한 20M이 하나의 자원 유닛에 분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이는 마지막 2개의 20MHz가 484 톤 자원 유닛에 분배됨을 나타내고; 4개의 20 MHz 대역폭을 표시하기 위한 4개 세그먼트 내의 타입-0 비트 모두가 242 톤 자원 유닛이 할당되었음을 나타내고, 집성 비트가 모두 인접한 20M이 하나의 자원 유닛에 분배될 수 있음을 나타낼 때, 4개의 20 MHz가 996 톤 자원 유닛에 분배되는 것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5 실시예에서, 특정 결정 프로세스는 타입-0 비트, 타입-1 비트, 타입-2 비트, 타입-2 비트 또는 타입- 3 비트와 같은 대응 비트를 생성하기 위한 전술한 각각의 결정 방법을 또한 참조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할당될 40 MHz 대역폭에 대해, 20MHz 지시 방법(도 9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방법)은 지시를 위해 2회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따른 선택적 지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제1의 20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0111이다.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한 제2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1이다. 소정의 20 MHz 대역폭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 #22하에서의 임의의 지시 식별자가 1이면, 그것은 20 MHz 대역폭이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또는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20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집성 비트를 더 포함하고, 이 비트는 20MHz 대역폭이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는지 또는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변환되는지를 지시한다. 제2의 20 MHz 대역폭은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지 않으므로 집성 비트는 0이다. 따라서 타입-2 매핑 규칙을 기반으로 제2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로 구성된 비트 시퀀스는 10이다. 20 MHz 인접성은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2개의 연속적인 20 MHz 또는 4개의 연속적인 20 MHz 또는 8개의 연속적인 20 MHz를 지칭하며, 이것들은 484 톤 자원 유닛 또는 996 톤 자원 유닛 또는 996×2 톤 자원 유닛으로 함께 분할된다.
따라서,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해서 도 10에 도시된 할당될 40MHz 대역폭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011110이다. 선택적으로, 디폴트 자원 유닛 위치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2개의 비트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2개의 연속적인 20 MHz 중 하나의 20 MHz가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지 않거나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지만, 다른 하나는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때, 타입-1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제2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집성 비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도 10에 도시된 할당될 40MHz 대역폭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 역시 001111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할당될 80 MHz 대역폭에 대해, 20 MHz 표시 방법(도 9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방법)은 4회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따른 선택적 지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제1의 20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1이다.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한 제2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1이다.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제3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1이다.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한 제4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1이다. 소정의 20 MHz 대역폭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 #22에 따른 선택적 지시 식별자가 1이면, 그것은 20 MHz 대역폭이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또는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20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집성 비트를 더 포함하고, 이 비트는 20MHz 대역폭이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는지 또는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의 20 MHz 대역폭은 인접한 20 MHz에서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지 않으므로 집성 비트는 0이다. 따라서 타입-2 매핑 규칙을 기반으로 제2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로 구성된 비트 시퀀스는 10이다. 제3의 20 MHz 대역폭은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집성 비트는 1이다. 따라서, 타입-2 규칙에 기초하여 제3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11이다. 제4의 20 MHz 대역폭은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집성 비트는 1이다. 따라서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제4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로 구성된 비트 시퀀스는 11이다. 20 MHz 인접성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2개의 연속적인 20 MHz 또는 4개의 연속적인 20 MHz 또는 8개의 연속적인 20 MHz를 말하며, 이것들은 484 톤 자원 유닛 또는 996 톤 자원 유닛 또는 996×2 톤 자원 유닛으로 함께 분할된다.
인접한 20 MHz를 나타내는 하나의 집성 비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2개의 연속적인 20 MHz가 484 톤 자원 유닛을 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인접한 20 MHz를 나타내는 2개의 집성 비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4개의 연속적인 20 MHz가 996 톤 자원 유닛을 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인접한 20 MHz를 나타내는 3개의 집성 비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4개의 연속적인 20 MHz가 996×2 톤 자원 유닛을 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해서 도 11에 도시된 할당될 80MHz 대역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들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011101111이다. 선택적으로, 5개의 디폴트 자원 유닛 위치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5 비트가 추가로 포함된다.
2개의 연속적인 20 MHz 중 하나의 20 MHz가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지 않거나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지만, 다른 하나는 242 톤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인접한 20 MHz와 함께 더 큰 자원 유닛으로 분할될 대,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제2의 20 MHz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는 집성 비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에 기초하여 도 10에 도시된 할당될 40MHz 대역폭에 대해 생성된 다양한 지시 식별자에 의해 형성된 비트 시퀀스 역시 01111111일 수 있다.
실시예 6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2, 3, 4 또는 5에서, 20 MHz, 40 MHz, 80 MHz 및 160 MHz 대역폭에 대해,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된 자원 유닛은 OFDMA에서 단일 사용자(single user, SU) 전송에 사용될 수 있거나 OFDMA에서 MU-MIMO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MU-MIMO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자는 SU 전송으로 간주될 수 있다. 후자 2개는 모두 MU 전송으로 간주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자원 유닛(들)에서 통신하는 스테이션(들)의 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SU 또는 MU-MIMO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나타내기 위해 2 비트 또는 3 비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00"은 스테이션의 수가 1임을 나타내고, 즉, 자원 유닛이 SU 통신에 사용된다. 다른 예로, "11"은 스테이션의 수가 4임을 나타내며, 자원 유닛은 MU 통신에 사용된다.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2×26 톤 또는 4×26 톤과 같이 MU-MIMO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최소 크기의 자원 유닛을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서, 4×26 톤 자원 유닛은 MU-MIMO 전송에 허용되는 최소 디폴트 자원 유닛이다. 이 예에서, 4×26 크기의 자원 유닛은 MU-MIMO 전송에서 최대 4명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고, 242 크기 이상의 자원 유닛은 MU-MIMO 전송에서 최대 8명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MU-MIMO의 최소 크기보다 작은 할당의 자원 유닛에 대해서는, 디폴트로 SU 전송 모드가 실행되고, 자원 유닛에서 통신을 행하는 스테이션(들)의 수를 나타낼 비트는 필요 없다.
도 11에 도시된 80MHz의 자원 유닛의 할당 예에서, MU-MIMO 통신을 위해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1"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유닛 #3"이 사용되며, 각각 3개의 스테이션 및 7개의 스테이션이 할당된다. 비트 시퀀스(들)는 타입-2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생성된 지시 식별자, 즉 011101111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의 20 MHz에 대응하는 비트 시퀀스는 011이고, 제2의 20 MHz에 대응하는 비트 시퀀스는 10이고, 제3의 20 MHz에 대응하는 비트 시퀀스는 11이고, 제4의 20 MHz에 대응하는 비트 시퀀스는 11이다. 제1의 20 MHz 자원 유닛의 스테이션 수를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는 1000이고, 제2의 20㎒ 자원 유닛의 스테이션 수를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는 111이고, 제3의 20㎒ 자원 유닛의 스테이션 수를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는 000이고, 제4의 20㎒ 자원 유닛의 스테이션 수를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는 000이다.
실시예 7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특정 예에서, 적어도 8 비트의 길이를 갖는 자원 할당의 비트 시퀀스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적어도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 및 자원 유닛(특히, MU-MIMO 전송에 참여하는 스테이션 수를 포함함)에 대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의 수와 관련된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8개의 지시 비트, 지시 비트에 의해 실제로 할당되고 지시되는 자원 유닛 및 자원 유닛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는 표를 사용하여 간단히 표현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이 표는 AP 및/또는 STA에 저장될 수 있어, AP 및/또는 STA는 이 표에 따라 자원 할당의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거나 파싱할 수 있다. 표 질문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전술한 타입-1 매핑 규칙, 타입-2 매핑 규칙 또는 타입-3 매핑 규칙은 또한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거나 파싱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의 표 1에 도시된 예에서, 8 비트는 총 256개의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를 나타낸다. 표 1의 8 비트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는 실시예 4의 타입-0 비트, 실시예 2의 타입-2 비트, 실시예 6의 자원 유닛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들) 및 일부 보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표 저장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도 23a, 도 23b, 23b에 도시된 특정 구현 방식은 또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할당된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 및 자원 유닛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1은 기본 대역폭(대역폭 할당의 최소 유닛, 예를 들어, 20 MHz),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 의해 실제로 할당되고 지시되는 자원 유닛 및 자원 유닛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에 대한 자원 할당의 비트 시퀀스를 나타낸다. 실시예 5를 참조하면, 40 MHz, 80 MHz 및 160 MHz 대역폭에서 각각 20 MHz 대역폭에 대해, 상기 실시예 1, 2, 3 또는 4의 방법 또는 이들의 가능한 조합이 반복적으로 지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환언하면, 더 큰 대역폭에 대해, 표 1 또는 그 변형은 모든 대역폭에 대한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를 반복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표 1은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와 이에 상응하는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을 나열하다. 표 1에서 26은 1×26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52는 2×26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106은 4×26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242 (n)은 242개의 자원 유닛을 나타내며, 상기 자원을 통해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의 수는 n이고, n이 1보다 클 때, 상기 자원 유닛에 대해 MU-MIMO 전송이 수행되고; 484 (n)은 2×242 자원 유닛을 나타내며, 자원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의 수는 n이고; 996 (n)은 996개의 자원 유닛에 대응하며, 자원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의 수는 n이고; 2×996 (n)은 2×996 자원 유닛에 대응하고, 자원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는 n이다.
이 예에서, MU-MIMO 전송에 허용되는 최소 자원 유닛은 106 자원 유닛으로 제한된다. 또한, 20MHz 스펙트럼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2개의 106 자원 유닛을 포함하면, 106 자원 유닛에서 송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최대량은 4이다. 다른 경우에, MU-MIMO 전송을 위해 자원 유닛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최대 수는 8이다.
구체적으로, 표 1에서의 모든 8 비트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의 제1의 비트는 실시예 4에서의 타입-0 비트이며, 프로토콜에서 20 MHz에 대응하여 할당될 가능성이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되는지를 지시하며, 즉 스테이션에 실제로 할당되고 할당될 현재 자원 유닛이 242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한다. 당업자라면 현재의 대역폭이 20MHz이면 타입-0 비트는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242 자원 유닛보다 작은지 또는 242 자원 유닛과 동일한지를 구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현재 대역폭이 더 큰 대역폭(예를 들어, 40 MHz, 80 MHz 또는 160 MHz)인 경우 타입-0 비트는 실제 할당된 자원 유닛이 242 자원 유닛보다 작은지 아니면 242 자원 유닛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구별하는 것일 수 있다 .
또한, 시퀀스 번호 193으로부터 시퀀스 번호 256까지의 8 비트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서의 제3 비트 및 제4 비트는 또한 실시예 4에서의 타입-0 비트이며, 여기서 제3 비트는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996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한다. 다음 표는 구체적인 예이다. 제3 비트 "0"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996 자원 유닛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 제4 비트는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2×242 자원 유닛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10"은 실제 할당된 자원 유닛이 996 자원 유닛임을 나타내고, "01"은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2×242 자원 유닛임을 나타내며, "00"은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242 자원임을 나타내고, 다른 특수 비트 시퀀스 "11"은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이 2×996 자원 유닛임을 나타낸다. 두 비트는 또한 다음 작은 표를 사용하여 간단히 표현될 수도 있다. 제3 및 제4 비트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비트의 값 설정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0 및 1의 의미가 교체되는 경우), 대응하는 표의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표의 변화는 모두 이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다.
0475 비트 시퀀스 0476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
0477 00 0478 242 자원 유닛
0479 01 0480 2x242 자원 유닛
0481 10 0482 996 자원 유닛
0483 11 0484 2x996 자원 유닛
표 1의 시퀀스 번호 1에서 시퀀스 번호 32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제2 비트 내지 제7 비트는 실시예 2에서의 타입-2 비트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리 다이어그램의 원리에 따라,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을 지시하기 위한 비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8 비트는 보류 비트이다.
또한, 표 1의 시퀀스 번호 33에서 시퀀스 번호 96까지의 비트 시퀀스의 제2 내지 제5 비트는 제2 실시예에서의 타입-2 비트이다. 시퀀스 번호 97로부터 시퀀스 번호 128까지의 비트 시퀀스의 제2 비트 및 제3 비트는 또한 실시예 2에서의 타입-2 비트이다. 시퀀스 번호 129에서 시퀀스 번호 192까지의 비트 시퀀스는 보류 시퀀스이다.
표 1의 시퀀스 번호 33으로부터 시퀀스 번호 96까지의 8 비트의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서 제6 내지 제8 비트는 실시예 6에서의 자원 유닛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시퀀스 번호 97에서 시퀀스 번호 128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제4 내지 제7 비트는 실시예 6에서의 자원 유닛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이고, 여기서 최초의 2 비트는 제1의 106 자원 유닛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나타내며, 마지막 2 비트는 제2의 106 자원 유닛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시퀀스 번호 193 내지 시퀀스 번호 256의 비트 시퀀스에서 제5 내지 제7 비트는 또한 실시예 6에서의 자원 유닛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또한, 보류 비트는 대응하는 비트 시퀀스가 보류되거나 사용되지 않는지를 나타낸다. 표 1의 시퀀스 번호 1에서 시퀀스 번호 32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제8 비트는 보류 비트이고, 시퀀스 번호 1에서 시퀀스 번호 16까지의 자원 할당 시퀀스의 처음 7 비트는 제1 시퀀스 번호 17에서 시퀀스 번호 32까지의 자원 할당 시퀀스에서 처음 7 비트와 각각 일치하고, 제8 비트는 대응하는 비트 시퀀스가 보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시퀀스 번호 97부터 시퀀스 번호 128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제8 비트는 보류 비트이고, 시퀀스 번호 97에서 시퀀스 번호 112까지의 자원 할당 시퀀스의 처음 7 비트는 시퀀스 번호 129에서 시퀀스 번호 256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처음 7 비트와 각각 일치하며, 제2 비트는 보류 비트이고, 따라서, 시퀀스 번호 129 내지 시퀀스 번호 192의 자원 할당 시퀀스에서 다른 7 비트는 시퀀스 번호 193으로부터 시퀀스 번호 256까지의 자원 할당 시퀀스의 다른 7 비트와 각각 일치한다. 시퀀스 번호 193으로부터 시퀀스 번호 208까지의 8 비트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서 제8 비트는 보류 비트이므로, 시퀀스 번호 193으로부터 시퀀스 번호 200까지의 비트 시퀀스의 나머지 7 비트는 시퀀스 번호 201에서 시퀀스 번호 208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다른 7 비트와 일치한다. 시퀀스 번호 209에서 시퀀스 번호 224까지의 8 비트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서 제8 비트는 보류 비트이므로, 시퀀스 번호 209에서 시퀀스 번호 216까지의 비트 시퀀스의 다른 7 비트는 시퀀스 번호 217에서 시퀀스 번호 224까지의 비트 시퀀스의 다른 7 비트와 각각 일치한다. 시퀀스 번호 225로부터 시퀀스 번호 240까지의 8 비트 자원 할당 비트에서, 제8 비트는 보류 비트이므로, 시퀀스 번호 225로부터 시퀀스 번호 232까지의 비트 시퀀스의 다른 7 비트는 시퀀스 번호 233부터 시퀀스 번호 240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다른 7 비트와 각각 일치한다. 시퀀스 번호 241에서 시퀀스 번호 256까지의 8 비트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서, 제8 비트는 보류 비트이므로, 시퀀스 번호 241에서 시퀀스 번호 248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의 다른 7 비트는 시퀀스 번호 249에서 시퀀스 번호 256까지의 비트 시퀀스에서 다른 7개의 비트와 각각 일치한다.
상기 복수 유형의 비트는 상이한 값 설정 방식(예를 들어, 0 및 1의 의미가 교체됨)을 가질 수 있고, 비트의 위치가 또한 변경되어 새로운 표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만, 비트의 기능 및 기술적 의미는 동일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 1의 타입-0 비트는 시퀀스의 마지막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 1의 타입-2 비트 내의 몇몇 비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표 1의 자원 할당을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에 포함되어, 자원 유닛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나타내는 지시 비트는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자원 할당 시퀀스가 위치하는 20MHz 채널의 HE-SIGB 필드 내의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의 수를 나타내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는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된 자원 유닛 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의 번호). 242보다 큰 자원 유닛에 대해, 각 20 MHz 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의 비트 시퀀스에서의 이 유형의 비트(들)는 대응하는 20 MHz 채널 상에서, HE-SIGB 필드 내의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의 수를 나타내며, 여기서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각각의 사용자 필드는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된 이 자원 유닛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각 스테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소정의 20 MHz의 HE-SIGB 내의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의 수는 0일 수 있으며, 이것은 각 20 MHz의 HE-SIGB가 스테이션 정보에 대해 대략 동일한 수의 사용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217로 자원 할당을 나타내는 시퀀스는 처음 20 MHz에 대해 484 (0)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484 (0)는 이 최초의 20 MHz 및 제2 인접한 20 MHz가 실제로 484 톤 자원 유닛으로서 할당되고, 이 최초의 20 MHz (242)에서 HE-SIGB 필드 내의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의 수가 0이라는 것을 지시하고;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는 484 톤 자원 유닛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시퀀스 번호 233을 갖는 자원 할당을 나타내는 시퀀스는 996 (0)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HE-SIGB 필드는 HE-SIGB1과 HE-SIGB2로 구성되며 이것들은 각각 서로 다른 20M 채널로 반송되며, 특정 HE-SIGB 필드에 포함된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는 대응 대역폭(채널)에서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간단한 예에서, 80 MHz 대역폭에서, HE-SIGB1은 제1 및 제3의 20 MHz 채널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에 관한,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를 포함하고, HE-SIGB2는 제2 및 제4의 20 MHz 채널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에 관한,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80 MHz 대역폭 내에서, 제1의 40 MHz에서 MU-MIMO가 수행되고, 4개의 스테이션이 전체적으로 통신에 참여하며(즉, 총 제1의 2개의 20 MHz 채널 중 4개의 스테이션), 제3의 20 MHz 채널은 9개의 26 자원 유닛으로서 할당되고, 9개의 국은 OFDMA 전송에 참여하며; 제4의 20 MHz 채널은 106 자원 유닛, 26 자원 유닛 및 106 자원 유닛으로 할당되며, 106 자원 유닛 중 하나에 대해 단일 스테이션 전송이 수행되며, 즉, 3개의 스테이션이 OFDMA 전송에 참여한다. 2개의 HE-SIGB 내의 사용자 필드의 수를 대략 동일하게 하기 위해, 처음 20 MHz의 비트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 217과 함께, 484 (0)를 나타내는 시퀀스 "11,01,000,1"이고; 제2의 20 MHz의 비트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 212와 함께, 484 (4)를 나타내는 시퀀스 "11,01,011,0"이고; 제3의 20 MHz의 비트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 1과 함께, 시퀀스 "000,0000,0"이고; 제4의 20 MHz의 비트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 97과 함께, 시퀀스 "011,0000,0"이다. 그러므로 HE-SIGB1은: 제1의 20 MHz 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필드 0개를 포함하고, 제3의 20 MHz 채널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9개의 사용자 필드를 포함한다. HE-SIGB2는: 제2의 20㎒ 채널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4개의 사용자 필드; 및 제4의 20 MHz 채널상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정보에 대한 3개의 사용자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표 1의 일부 보류 비트는, 할당된 자원 유닛이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한 26 톤 자원 유닛을 포함할 때, 중심 26 톤 자원 유닛이 사용되어야 하는지(예를 들어, 스테이션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17 내지 32로부터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 의해 실제로 할당되고 지시되는 자원 유닛은 시퀀스 번호 1 내지 16의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 유닛과 각각 일치하며; 그렇지만, 시퀀스 번호 1 내지 16의 비트 시퀀스에 의해 각각 지시된 중심 26 톤 자원 유닛은 스테이션에 할당되지만, 시퀀스 번호 17 내지 32로부터의 비트 시퀀스에 의해 각각 지시되는 중심 26 톤 자원 유닛은 스테이션에 할당되지 않는다.
표 1에서, 시퀀스 번호 241에서 시퀀스 번호 248까지의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 의해 실제로 할당되고 지시되는 자원 유닛은 현재 이용 가능한 최대 대역폭 160M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이다. 그렇지만, 스펙트럼 자원의 할당은 HE-SIGA 필드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HE-SIGB에 위치하는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는 더 이상 어떠한 지시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 1의 시퀀스 번호 241에서 시퀀스 번호 248까지의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는 또한 보류 시퀀스일 수 있다.
표 3은 표 1의 변형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시퀀스 번호 129로부터 192까지의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에서, 106보다 크거나 같은 각각의 자원 유닛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최대 8개의 스테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처음 2 비트는 실제로 20 MHz에서 할당된 106 자원 유닛, 26 자원 유닛 및 106 자원 유닛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마지막 6 비트의 모든 3 비트는 각각 106 자원 유닛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지만, 표 1의 20㎒로부터 실제로 할당되는 106 자원 유닛, 26 자원 유닛 및 106 자원 유닛을 나타내는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시퀀스 번호 97 내지 112)는 표 3의 보류 시퀀스로 변경되고;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을 나타내는 다른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의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표 1에 언급된 특수 또는 확장된 경우도 표 3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구체적으로, 표 1 또는 표 3과 같은 변형 예는 AP 또는 STA에 직접 저장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구현 방식은 또한 시퀀스의 생성 또는 파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3a, 도 23b, 도 23c는 표 1의 자원 할당의 비트 시퀀스의 8 비트 및 이러한 8비트에 의해 실제로 할당되고 표시되는 자원 유닛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생성 또는 파싱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의 생성 동안, 비트에 대한 소정의 규칙(예를 들어, 표 1의 전술한 제1 비트, 제2 비트 및 제3 비트의 지시 함수)에 따라, 대응하는 지시 값들이 획득된다. 그에 상응하여,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의 파싱 동안, 비트가 파싱될 때마다, 현재 할당된 자원 유닛의 특정 상태가 알려져 있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23a, 도 23b, 도 23c에서, 26은 1×26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52는 2×26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106은 4×26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242는 242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484는 2×242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996은 996 자원 유닛에 대응하고, 2×996은 2×996 자원 유닛에 대응한다. 또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242보다 작은 자원 유닛으로 실제로 분할되는 경우, 디폴트 중간 위치에 포함된 26 자원 유닛은 흐름도에 반영되지 않는다.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의 위치는 도 23a, 도 23b 및 도 23c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유닛의 위치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영향을 받는 것은 단지 비트 시퀀스의 위치뿐이지만 비트의 실제 기능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23c의 흐름도는 106보다 작은 자원 유닛을 표시하는 방법을 더 설명하고도 23a 및 도 23b에서의 3개의 회색 박스에서 "xx"가 발생할 때 추가의 분할에 의해 획득되며, 여기서 제3 회색 블랙 박스에 4개의 "x"가 있으며, 도 23c의 흐름도는 중간 26 자원 유닛 및 20 MHz의 양측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26보다 작은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는 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매 2개의 "x"에 대해 사용된다. 최대 대역 160MHz에 대응하는 2×996 자원 유닛(예를 들면, 2×996 자원 유닛으로 표시됨)이 HE-SIGA 필드에는 지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3a 및 도 23b에서의 "11,11,yyy,b'→2×996 자원 유닛"은 2×996 자원 유닛을 나타낸다. HE-SIGA 필드에 최대 대역폭 160 MHz에 대응하는 2×996 자원 유닛(2×996 자원 유닛으로 표현됨)이 지시되면, 도 23a 및 도 23b에서의 "11,11, yyy, b'→2×996 자원 유닛"은 또한 보류 시퀀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도 23a, 도 23b, 도 23c에서의 흐름도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자원 할당 시퀀스 내의 각 비트의 위치 또는 각 비트의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가 다른 경우, 흐름도에서 결정되는 대응하는 값도 대응하여 변경된다. 이는 표의 변형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기초하여, 표 3의 자원 할당의 비트 시퀀스의 8 비트 및 이러한 비트들에 의해 실제로 할당되고 표시되는 자원 유닛에 대해, 도 24a, 24b, 23b에서의 흐름도는 또한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거나 자원 할당 비트 시퀀스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것들은 표 1의 순서도와 같다.
표 1 및 표 3은 단지 예이며, 표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 실시예에서 다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요약된 8 비트 자원 할당 순서는 명세서의 슬라이드 11(부록 2)의 페이지에 언급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11은 20MHz 기본 대역폭에서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의 4가지 경우(즉, 1.242 또는 더 큰 자원 유닛, 2. 2개의 106 자원 유닛 포함, 3. 하나의 자원 유닛만을 포함, 4. 106 자원 유닛을 포함하지 않으나 242 자원 유닛보다 더 작음)를 나타내기 위한 8 비트 자원 할당 시퀀스에 포함된 비트 타입을 나열하며, "20MHz 내의 RA"는 하나의 타입-0 비트와 다른 수량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Num의 STA"는 실시예 6에서 자원 유닛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의 수를 나타내는 비트라는 것을 언급한다. 그렇지만, 중심 26 자원 유닛(사용 중심 26-RU)을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비트와 슬라이드 11의 집성 비트(aggregate)는 표 1 및 표 3에 나열되어 있지 않다. 표 1 및 표 3은 실시예 1 내지 6에서의 지시 비트 및 슬라이드 11에서의 요약의 추가 표 형식이지만, 본 실시예의 이 실시예는 표 1 및 표 3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수신단의 식별자는 실제 할당의 자원 유닛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포함한다: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스케줄링 순서를 표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수신단의 스케줄링 순서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제1 수신단에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송신단에서는 비트 시퀀스 또는 비트 맵(bitmap)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각 수신단에 다음 정보를 알릴 수 있다:
현재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구성 요소(즉, 할당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즉, 각 자원 유닛에 의해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 즉,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포함되는 각 자원 유닛의 크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서 각 자원 유닛의 위치.
또한, 송신단은 복수의 수신단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즉, 제4 지시 정보의 일 예) 또는 복수의 수신단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식별자 리스트(STA ID 리스트)를 이용하여, 시스템 내의 각 수신단이 스케줄링되는지, 그리고 스케줄링된 사용자의 위치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은 전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단에 의해 수신단에 할당된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즉, 비트 시퀀스가 생성된 후에, 송신단은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표시 정보를 각각의 수신단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따라서, 수신단 디바이스는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단이 수신단 디바이스에 할당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할당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지시 정보는 주로 현재 대역폭에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수신단은 자원 할당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비트 시퀀스를 이용하여 현재 전송 중인 자원 할당 모드 또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된 자원 유닛의 크기 및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런 다음,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서 STA ID 목록 부분을 읽음으로써 수신단은 수신단 자체가 일정을 잡았는지 그리고 자신이 속해 있는 스케줄링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스케줄링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을 알 수 있다. 2 부분의 콘텐츠(자원 할당 표시 정보 및 STA ID 목록, 즉 자원 스케줄링 정보의 일 예)를 참조하면, 수신단은 대응하는 스케줄링된 위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2, 자원 유닛 #0, 자원 유닛 #3을 포함한다.
4개의 자원 유닛은 4개의 수신단(이하, 이해 및 구별을 쉽게 하기 위해 STA 1, STA 2, STA 3, STA 4로 표기됨)에 할당되며, STA ID 리스트 내의 STA의 수량은 송신단(예컨대, AP)에 의해 할당된 가용 자원 유닛의 총량과 같고, STA ID 리스트 내의 STA들의 정렬 순서는 STA 1, STA 2, STA 3 및 STA 4이다.
도 9에 도시된 할당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획득된 비트 시퀀스는 "0111"이다. 비트 시퀀스 및 STA ID 리스트를 파싱함으로써, 수신단은 AP에 의해 수신단에 할당된 자원을 알게 된다.
즉, STA1은 STA1 리스트의 최초의 STA1이므로, STA1은 할당된 자원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최초의 자원 유닛, 즉 자원 유닛 #1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TA2는 STA ID 리스트의 2번째 것이므로, STA2는 할당된 자원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2 자원 유닛, 즉 자원 유닛 #2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STA3은 STA ID 리스트의 3번째 것이므로 STA3은 할당된 자원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3 자원 유닛, 즉 자원 유닛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STA4는 STA ID 리스트의 4번째 것이므로 STA4는 할당된 자원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4 자원 유닛, 즉 자원 유닛 #3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비트 시퀀스의 자원 표시 정보 및 STA ID 리스트에 기초하여 수행된 자원 스케줄링의 예시된 방식은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STA들이 고정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시나리오에서, STA들의 순서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AP는 자원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각 자원 유닛의 크기 및 위치만을 각 STA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TA ID 리스트의 송신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그룹 정보는 스테이션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하고 개별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 그룹 정보는 사용자 특정 정보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즉, 각 STA ID는 대응하는 사용자 특정 정보에 배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목표 주파수 도메인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역폭이 결정된 후에, 수신단은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자원 유닛의 할당에 따라,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되는 최대 자원 유닛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각 매핑 규칙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단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대역폭 지시 정보(제1 지시 정보의 일 예)를 수신단에 더 전송할 수 있다.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전술한 자원 스케줄링의 방법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이 특정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만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매핑 규칙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부반송파 수량을 디폴트 값으로 사용하여 송신단 및 수신단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각 자원 유닛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단은 할당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된 각 자원 유닛의 크기 및 위치를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단은 MIMO 지시 정보(즉, 제2 지시 정보의 일 예)를 이용하여 각 자원 유닛이 MU-MIMO를 수행할지를 더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U-MIMO 전송을 위해 허용된 자원 유닛의 최소 그래뉼래리티가 242인 것으로 가정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원 유닛(2×242 톤 자원 유닛)에 대해 MU-MIMO 전송이 수행되고, 다른 자원 유닛(즉, 음영 부분의 자원 유닛)에 대해서는 MU-MIMO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여기서, 매핑 규칙 #B가 일 예로서 사용된다. 유추법은 매핑 규칙 #A와 #C를 만들 수 있다.
한 방식에서, MIMO 표시 정보는 4 비트 지시 정보, 즉 "10 00"으로 표기될 수 있다. 제1 비트 "1"은 MU-MIMO 전송을 위해 대칭 중심의 좌측에 있는 2×242 톤 자원 유닛이 사용됨을 나타낸다. 제2 비트 "0"은 대칭 중심의 우측에 2×242 톤 자원 유닛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우측의 2×242 자원 유닛에 대해 수행되는 MU-MIMO 전송의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3 비트 "0"은 대칭 중심의 우측 상의 제1 자원 유닛(242)이 MU-MIMO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제4 비트 "0"은 대칭 중심의 우측 상의 제2 242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중간 1×26 자원 유닛은 중간 1×26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에 사용될 수 없음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 수신단은 전술한 자원 할당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자원 유닛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지 않은 경우, 수신단은 MU-MIMO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방식에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표시 정보(예를 들어, 전술한 매핑 규칙 #A, 매핑 규칙 #B 및 매핑 규칙 #C)를 참조하여,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분할되는 자원 유닛의 수량이 알려질 수 있다. MU-MIMO 지시 정보는 3 비트의 지시 정보, 즉 "100"으로 지시될 수 있다. 제1 비트 "1"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1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을 위해 사용됨을 나타낸다.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2 자원 유닛의 크기가 242보다 작기 때문에, 제2 자원 유닛은 디폴트로 MU-MIMO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2번째 비트 "0"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제3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3번째 "0"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제4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에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수신단이 각 자원 유닛이 MU-MIMO 전송에 사용되는지를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전송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각 자원 유닛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단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포함된 각 자원 유닛의 크기 및 위치를 자원 할당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단은 각 자원 유닛이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즉, 제3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자원 유닛이 이용 가능한지를 더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각 자원 유닛의 할당을 도 14에 도시하는 것으로 하면, 간섭 요인 등으로 인해 음영 부분의 자원 유닛은 이용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타입-2 매핑 규칙(즉, 매핑 규칙 #B)이 사용되는 경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응하는 자원 할당 지시 정보는 "1011"이다. 중간 자원 유닛이 디폴트로 존재하기 때문에, 수신단은 비트 시퀀스에 따라,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4개의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3 및 제4 자원 유닛은 이용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음의 방식으로 수신단에 통지 할 수 있다.
방식 1: 4 비트는 4개의 자원 유닛이 이용 가능한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0"은 자원 장치를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며, "1"은 자원 장치를 나타낸다. 비트는 일대일로 자원 유닛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제1 비트는 제1 자원 유닛에 대응하고, 제2 비트는 제2 자원 유닛에 대응하고, 제3 비트는 제3 자원 유닛에 대응하고, 제4 비트는 제4 자원 유닛에 대응한다. 이 경우, 4 비트의 지시 정보는 "1000"이다.
방식 2: 색인 번호는 어떤 자원 유닛을 사용할 수 없는지를 지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4개의 자원 유닛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인덱스 번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2 비트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00"은 제1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01"은 제2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10"은 제3 자원 유닛을 나타내고, "11"은 제4 자원 유닛을 나타낸다. 이 경우, 송신단은 이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인덱스 번호 "00"을 제3 지시 정보로서 수신단에 송신할 수 있거나, 송신단은 이용 불가능한 자원 유닛의 인덱스 번호 "011011"을 제3 지시 정보로서 수신단에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수신단이 각각의 자원 유닛이 이용 가능한지를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전송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시스템에 적용되고,
수신단에 비트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는:
비트 시퀀스를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비트 시퀀스를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WLAN 시스템 내의 패킷 구조(예를 들어, 802.11ax)가 도 15에 도시된다. 프리앰블 부분은 레거시 프리앰블(Legacy preamble, L-프리앰블) 및 레거시 프리앰블 바로 다음의 고효율(High Efficient, HE)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레거시 프리앰블은 짧은 트레이닝 필드(Legacy Shorting Training Field, L-STF), 롱 트레이닝 필드(Legacy Long Training Field, L-LTF), 시그널링 필드(Legacy Signal Field, L-SIG) 및 반복 시그널링 필드(Repeated Legacy Signal Field, RL-SIG)를 포함한다. 고효율 프리앰블은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High Efficient Signal Field A, HE-SIGA),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High Efficient Signal Field B, HE-SIGB), 고효율 짧은 트레이닝 필드(High Efficient Short-Training Training Field, HE-STF), 고효율 롱 트레이닝 필드(High Efficient Long Training Field, HE-LTF)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고효율 프리앰블은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C(High Efficient Signal Field C, HE-SIGC)를 포함한다. 또한, WLAN 시스템의 패킷 구조는 데이터 필드(DATA)를 더 포함한다.
HE-SIGA 및 HE-SIGB는 모든 사용자에게 브로드캐스팅되며, 802.11ax 패킷 구조로 신호 정보를 반송한다. HE-SIG-B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정보 파라미터(Common Parameters), 자원 할당 표시(Resource Allocation), 스테이션 식별자 리스트(STA ID list) 및 각 스케줄링된 사용자 스테이션(STA Parameters)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스테이션 식별자는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사용자 스테이션 정보에 배치될 수 있다. 공용 정보 파라미터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GI), OFMDA/MU-MIMO 지시, HE-LTF 수량 및 모드를 포함하며, 업링크/다운링크 지시, 그리고 기존의 HE-SIGB가 존재하는지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스테이션 정보는 사용자의 공간 스트림의 수량,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코딩 유형, 시공간 블록 부호(STBC)의 사용 여부에 대한 지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의 사용 여부에 대한 지시가 포함된다. 또한, 공통 정보 파라미터는 HE-SIGA에서 반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HE-SIGA(예를 들어, HE-SIGA가 대역폭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또는 HE-SIGB(예를 들어, HE-SIG B 전술한 비트 시퀀스, 사용자 그룹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을 수신하고, 수신단에 전송한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서 반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의 매체 액세스 제어 헤더(MAC HEADER) 또는 MAC 계층의 다른 필드에서 반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에서,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에 기초하여 그리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유연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가 지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N개의 매핑 규칙을 획득하고, 각 매핑 규칙에 따른 각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지시 식별자를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각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에 따라 결정하며; 상기 지시 식별자에 기초하여 각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 및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 내의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각 자원 유닛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에 따라, 길이가 상이한 비트 시퀀스의 유연한 생성을 실현할 수 있고, 자원 스케줄링에서의 송신 자원의 오버헤드의 감소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200)의 개략적 인 흐름도로서, 이 방법은 수신단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방법(20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200):
S210. 수신단은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S220.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송신단에 의해 수신단에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타입-1 비트는 일대일 기준으로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대응하고,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타입-2 비트는 대칭 중심의 일측면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2개의 타입-3 비트는 대칭 중심의 2개의 양측에 위치한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타입-3 비트는 대응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은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수신단의 식별자는 실제 할당의 자원 유닛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나타내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수신하는 것은: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이다.
방법(200)에서 수신단의 동작은 방법(100)에서의 수신단(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과 유사하고, 방법(200)에서 송신단의 동작은 방법(100)에서의 송신단(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동작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에서,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에 기초하여 그리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유연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가 지원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300)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300)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고,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0)는:
송신단이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310)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320)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은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송신단(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할 수 있고, 자원 스케줄링 장치(300) 내의 각각의 유닛, 즉 각각의 모듈 및 전술한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1의 방법(100)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각각 의도되어 있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에서,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에 기초하여 그리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유연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가 지원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4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장치(400)는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400)는: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유닛(410)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 의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420)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단은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수신단은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송신단(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할 수 있고, 자원 스케줄링 장치(400) 내의 각각의 유닛, 즉 각각의 모듈 및 전술한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18의 방법(200)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각각 의도되어 있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에서,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에 기초하여 그리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유연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가 지원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딸느 자원 스케줄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500)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디바이스(500)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한다.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500)는:
버스(510);
상기 버스에 연결된 프로세서(520);
상기 버스에 연결된 메모리(530); 및
상기 버스에 연결된 전송기(540)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며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그리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상기 전송기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5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장치(500)의 전송기는 전송기 회로, 전력 제어기, 인코더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500)는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는 수신기 회로, 전력 제어기, 디코더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CPU로 지칭 될 수 있다.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디바이스(500)는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500) 자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전송기 회로 및 수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 및 장치(500)와 원격 위치 사이의 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전송기 회로 및 수신기 회로는 안테나에 결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500) 내의 컴포넌트들은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함께 결합되며, 버스는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렇지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다양한 버스가 도면에서 버스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상이한 제품에서, 디코더는 프로세싱 유닛과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에 개시된 단계들 및 논리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디코더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당 업계의 많이 보급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ㅍ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장치 유형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 다양한 버스가 버스 시스템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의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당 업계의 많이 보급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5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의 송신단(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자원 내의 각 모듈, 스케줄링 장치(500) 및 전술한 다른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각각 도 1의 방법(100)의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간략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서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에서,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에 기초하여 그리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유연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가 지원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따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600)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600)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구성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600)는:
버스(610);
상기 버스에 연결된 프로세서(620);
상기 버스에 연결된 메모리(630); 및
상기 버스에 연결된 전송기(640)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수신기를 제어하며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그리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 의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600)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장치(600)의 수신기는 수신기 회로, 전력 제어기, 디코더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600)는 전송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는 전송기 회로, 전력 제어기, 인코더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CPU로 지칭 될 수 있다.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디바이스(600)는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600) 자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전송기 회로 및 수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 및 장치(600)와 원격 위치 사이의 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전송기 회로 및 수신기 회로는 안테나에 결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600) 내의 컴포넌트들은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함께 결합되며, 버스는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렇지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다양한 버스가 도면에서 버스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상이한 제품에서, 디코더는 프로세싱 유닛과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에 개시된 단계들 및 논리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디코더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당 업계의 많이 보급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ㅍ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장치 유형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 다양한 버스가 버스 시스템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의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당 업계의 많이 보급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6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의 송신단(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자원 내의 각 모듈, 스케줄링 장치(600) 및 전술한 다른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각각 도 18의 방법(200)의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간략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다시 서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장치에서,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 비트는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이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 중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위치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할당에서의 자원 유닛(들)의 할당에 기초하여 그리고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유연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스케줄링에서 전송 자원 오버헤드의 감소가 지원될 수 있다.
전 한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실행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프로세스에 대한 임의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설명된 예, 유닛 및 알고리즘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식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수행되느냐 하는 것은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에 달려 있다. 당업자라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행이 본 발명의 범주를 넘는 것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에 대한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면 된다는 것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수 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지 일종의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의 실행 동안 다른 분할 방식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식, 기계식 또는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어 독립 제품으로 시판되거나 사용되면, 이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기술적 솔루션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행 방식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설명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현하는 모든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단순화된 언어로 표현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Claims (85)

  1.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송신단이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는,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비트 시퀀스를 싣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비트 시퀀스를 싣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13.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적용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방법은,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 의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수신하는 단계는,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24.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25.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구성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1.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2. 제25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3. 제25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4. 제2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5. 제25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6. 제25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7.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구성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는,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유닛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 의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3.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4.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5.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6. 제3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7.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수신단은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8. 제37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49.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구성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는,
    버스;
    상기 버스에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버스에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버스에 연결된 전송기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며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그리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상기 전송기를 제어하는, 자원 스케줄리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실제로 할당된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대칭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5. 제49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6. 제49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7. 제49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8. 제49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59. 제49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비트 시퀀스를 부가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를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0. 제49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수신단은 단말 디바이스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1.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구성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후속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은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미리 정의하며, 상기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는,
    버스;
    상기 버스에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버스에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버스에 연결된 전송기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수신기를 제어하며 -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자원 유닛(들)의 실제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의 적어도 일부의 비트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자원 유닛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그리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단에 의해 실제로 할당된 자원 유닛(들)을 결정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대칭 중심을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3.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 유닛의 위치는 디폴트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폴트 위치에 대응하는 자원 유닛은 상기 차세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자원 유닛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1 비트는 복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상기 타입-1 비트 중 하나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페어 내의 자원 유닛 위치가 동일한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자원 유닛 위치 페어는 디폴트 위치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연속적인 최소 자원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5.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2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2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일측 상의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6.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2개의 타입-3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타입-3 비트는 상기 대칭 중심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자원 유닛 위치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상기 타입-3 비트는 대응하는 자원 유닛 위치 그룹 내의 자원 유닛 위치의 모든 자원 유닛이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자원 유닛 위치 그룹 중 하나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중심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7.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스케줄링된 수신단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의 식별자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복수의 수신단에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8. 제6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69. 제61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70. 제6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이 이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71. 제61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내의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A 또는 고효율 시그널링 필드 B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실려 송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 시퀀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72. 제6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자원 스케줄링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인, 자원 스케줄링 디바이스.
  73.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0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0 비트는 상기 표준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방법.
  74.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복수의 기본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는: 각각의 기본 대역폭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 및 2개의 인접하는 기본 대역폭이 하나의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집성 지시 비트(aggregation indication bit)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7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된 스테이션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76.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 중 디폴트 자원 유닛이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지시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
  77. 제2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0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0 비트는 상기 표준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장치.
  78. 제2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복수의 기본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는: 각각의 기본 대역폭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 및 2개의 인접하는 기본 대역폭이 하나의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집성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
  79. 제2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된 스테이션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
  80. 제2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 중 디폴트 자원 유닛이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지시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
  81. 제49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시퀀스는 복수의 타입-0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0 비트는 상기 표준에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한 최대 자원 유닛이 실제 할당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자원 스케줄링 장치.
  82. 제49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복수의 기본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시퀀스는: 각각의 기본 대역폭에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지시하는 비트 시퀀스, 및 2개의 인접하는 기본 대역폭이 하나의 할당될 자원 유닛에 분포되는지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집성 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
  83. 제2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된 스테이션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
  84. 제49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할당될 주파수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실제로 할당된 상기 할당될 자원 유닛에 할당된 스테이션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
  85. 제49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실제 할당 내의 자원 유닛(들) 중 디폴트 자원 유닛이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지시를 더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
KR1020187001299A 2015-06-16 2015-10-14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KR102040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081589 2015-06-16
CNPCT/CN2015/081589 2015-06-16
CNPCT/CN2015/083284 2015-07-03
PCT/CN2015/083284 WO2016201739A1 (zh) 2015-06-16 2015-07-03 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设备
PCT/CN2015/091953 WO2016201832A1 (zh) 2015-06-16 2015-10-14 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137A Division KR102190224B1 (ko) 2015-06-16 2015-10-14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745A true KR20180018745A (ko) 2018-02-21
KR102040747B1 KR102040747B1 (ko) 2019-11-05

Family

ID=575447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299A KR102040747B1 (ko) 2015-06-16 2015-10-14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KR1020197032137A KR102190224B1 (ko) 2015-06-16 2015-10-14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137A KR102190224B1 (ko) 2015-06-16 2015-10-14 자원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5) US10939435B2 (ko)
EP (4) EP3310105B1 (ko)
JP (3) JP2018524898A (ko)
KR (2) KR102040747B1 (ko)
CN (6) CN115190623A (ko)
AU (1) AU2015399265B2 (ko)
CA (1) CA2989686A1 (ko)
ES (1) ES2910143T7 (ko)
RU (1) RU2669579C1 (ko)
SG (1) SG11201710537UA (ko)
WO (2) WO20162017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551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multi-ru에서 ldpc 톤 매핑이 수행된 ppdu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24205A (ko) * 2018-07-25 2021-03-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원 단위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8743B2 (en) * 2017-04-21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resource unit utilization
CN110731109B (zh) * 2017-09-13 2023-03-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资源指示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1258555B1 (en) * 2018-10-25 2022-02-22 Marvell Asia Pte, Ltd. Flexible scheme for high efficiency SIGB processing
CN109769306A (zh) * 2019-03-20 2019-05-17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适用于电力无线专网的共享信道资源调度分配方法及系统
US11728942B2 (en) * 2019-03-22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Data parsing to support resource unit aggregation
CN110087259B (zh) * 2019-05-05 2020-07-28 华中科技大学 一种6g调度信息保护方法及系统
WO2021091334A1 (ko) * 2019-11-08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광대역을 통해 ppdu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946250A (zh) * 2019-11-21 2022-08-26 Lg 电子株式会社 无线lan系统中通过多个ru接收ppdu的方法及装置
CN114930764A (zh) * 2019-11-25 2022-08-19 Lg 电子株式会社 无线lan系统中经由多个ru接收ppdu的方法及装置
EP4068883A4 (en) * 2019-11-29 2023-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PPDUs BY MULTIPLE RUs IN A WIRELESS LAN SYSTEM
WO2021112532A1 (ko) * 2019-12-02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ru를 통해 ppdu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12531A1 (ko) * 2019-12-03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ru를 통해 ppdu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133115A (zh) * 2020-01-10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示多资源单元Multi-RU合并的方法和装置
US11515987B2 (en) * 2020-03-09 2022-11-29 Mediatek Singapore Pte. Ltd. Leftover bits processing for proportional round-robin resource unit parsing in extreme high-throughput systems
CN113543331A (zh) * 2020-04-22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装置
CN114071725A (zh) * 2020-07-30 2022-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调度方法及相关装置
CN112333834B (zh) * 2020-11-27 2023-05-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载波资源调度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369A (ko) * 2007-05-02 2010-01-0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제어 채널상에 있는 리소스들의 유연한 시그널링
WO2014172198A1 (en) * 2013-04-15 2014-10-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using backwards-compatible preamble formats for multiple access wlan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69276A1 (en) * 2013-06-13 2014-12-18 Broadcom Corporation Flexible OFDMA packet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60130944A (ko) * 2015-05-05 201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021A (ja) * 2006-04-10 2007-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送信機、受信機、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221821B1 (ko) * 2006-04-21 2013-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시그널링 방법
CN101064709A (zh) * 2006-04-28 2007-10-3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减少指示信道资源的比特开销的设备和方法
CN101076139B (zh) * 2006-05-18 201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系统资源指示方法、系统及发送装置和接收装置
CN101809929B (zh) 2007-01-04 2016-11-2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对控制信道的时间频率资源的分配
CN101296508A (zh) * 2007-04-29 2008-10-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te tdd系统中调度授权资源的指示方法
CN101399800A (zh) * 2007-09-27 2009-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正交频分复用系统的资源分配信息表示方法
KR101272772B1 (ko) * 2007-12-17 2013-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8611261B2 (en) * 2008-06-24 2013-1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 channel signaling for multiple ACK/NACK assignments
US9112651B2 (en) 2009-02-18 2015-08-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cheduling apparatus and scheduling method
CN102118798A (zh) * 2009-12-31 2011-07-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生成/解析资源分配指示消息的方法和装置
WO2011105809A2 (ko) 2010-02-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EP2579489B1 (en) * 2010-05-26 2019-03-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
CN102291826B (zh) * 2010-06-18 2014-01-08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竞争的上行传输方法、配置方法和相关设备
KR20120099568A (ko) * 2011-01-18 2012-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간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RU2573393C2 (ru) 2011-11-04 2016-01-20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Определение пространства поиска
US9241327B2 (en) * 2012-01-23 2016-01-19 Intel Corporation LTE enhancements for small packet transmissions
GB2498767A (en) * 2012-01-27 2013-07-31 Renesas Mobile Corp Identifying a specific antenna port using a CRC masking encoding scheme
US20130294359A1 (en) * 2012-05-02 2013-11-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Resource Allocation in TDD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10365382B (zh) * 2012-05-10 2022-06-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si反馈信令的指示配置方法及基站
EP3000199B1 (en) * 2013-05-21 2019-09-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devices for use in ofdm-based communication network
EP3051873A4 (en) * 2013-10-25 2016-09-28 Huawei Tech Co Ltd DATA PLANNING PROCESS, DEVICE, BASE STATION AND END DEVICE
US20160249381A1 (en) * 2013-10-29 2016-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16011619A1 (zh) 2014-07-23 2016-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传输方法及传输设备
US10412744B2 (en) 2014-08-2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036188A1 (ko) * 2014-09-04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193549B1 (en) * 2014-09-13 2020-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 units in wireless lan
US9967827B2 (en) * 2014-10-02 2018-05-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US10411853B2 (en) 2014-10-1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60504A1 (ko) * 2014-10-16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대역폭 상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EP3217588B1 (en) 2014-11-05 2020-0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 unit on basis of container in wireless lan
ES2717957T3 (es) * 2014-11-07 2019-06-26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transmisión de canal de control de enlace descendente físico, dispositivo de estación base y equipo de usuario
US9756626B2 (en) * 2014-11-13 2017-09-05 Intel IP Corporation High-efficiency Wi-Fi (HEW) station and access point (AP) and method for signaling of channel resource allocations
US10958391B2 (en) 2014-11-18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Tone pl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0334571B2 (en) 2014-12-05 2019-06-25 Marvell World Trade Ltd. Trigger frame format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communication
US10135593B2 (en) * 2014-12-23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Allocation signa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60204915A1 (en) 2015-01-14 2016-07-14 Xiaogang Chen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signal field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US10149296B1 (en) 2015-02-03 2018-12-04 Newracom, Inc. Signal field encoding and decoding
KR101989898B1 (ko) * 2015-03-04 201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49884A1 (zh) 2015-03-20 2016-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及设备
US10341999B2 (en) 2015-04-03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CN107750437B (zh) * 2015-04-10 2021-03-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定位的定位参考信号样式的发送方法及装置
US9992000B2 (en) 2015-04-10 2018-06-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uplicating preamble information
US10224987B2 (en) 2015-04-14 2019-03-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ignal field used for multiple resource units in wireless LAN system
US10182442B2 (en) 2015-04-26 2019-0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using plurality of resource arrangement techniques in wireless LAN system
WO2016187854A1 (zh) 2015-05-27 2016-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接入点和站点
US9930660B2 (en) 2015-05-28 2018-03-27 Intel IP Corporation Scheduling trigger frame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US10116361B2 (en) 2015-06-02 2018-10-30 Newracom, Inc. Methods for uplink multiuser signaling and transmission
US9912452B2 (en) 2015-07-07 2018-03-06 Intel IP Corporation High efficiency signal field encoding structure
WO2017026784A1 (ko) 2015-08-10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048034A1 (en) 2015-08-10 2017-02-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e-sigb encoding
US20170064718A1 (en) 2015-08-25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signal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eamble
EP3148276B1 (en) * 2015-09-28 2018-09-05 MediaTek Inc. Structured resource allocation signa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369A (ko) * 2007-05-02 2010-01-0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제어 채널상에 있는 리소스들의 유연한 시그널링
WO2014172198A1 (en) * 2013-04-15 2014-10-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using backwards-compatible preamble formats for multiple access wlan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69276A1 (en) * 2013-06-13 2014-12-18 Broadcom Corporation Flexible OFDMA packet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60130944A (ko) * 2015-05-05 201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802.11-15/0344r2,"SIG Field Design Principle for 11ax", 2015.03.04. *
IEEE 802.11-15/0380-00-00ax,"Discussion on OFDMA Scheduling for 802.11ax", 2015.03. *
IEEE 802.11-15/0584r1,"Considerations on LTF Sequence Design", 2015.05.10.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205A (ko) * 2018-07-25 2021-03-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원 단위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626958B2 (en) 2018-07-25 2023-04-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source unit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1029551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multi-ru에서 ldpc 톤 매핑이 수행된 ppdu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365435A (zh) * 2019-08-12 2022-04-15 Lg 电子株式会社 无线lan系统中多ru接收ldpc音调映射的ppdu的方法及装置
CN114365435B (zh) * 2019-08-12 2024-01-23 Lg 电子株式会社 无线lan系统中多ru接收ldpc音调映射的ppdu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1739A1 (zh) 2016-12-22
US20190289604A1 (en) 2019-09-19
US20180184429A1 (en) 2018-06-28
BR112017027119A2 (pt) 2018-08-14
SG11201710537UA (en) 2018-01-30
CN109120391A (zh) 2019-01-01
CN115150954A (zh) 2022-10-04
KR20190125538A (ko) 2019-11-06
EP4336787A2 (en) 2024-03-13
ES2910143T3 (es) 2022-05-11
EP3310105A4 (en) 2018-05-23
US20190246399A1 (en) 2019-08-08
JP2018524898A (ja) 2018-08-30
US11425716B2 (en) 2022-08-23
US10616895B2 (en) 2020-04-07
RU2669579C1 (ru) 2018-10-12
US20200404659A1 (en) 2020-12-24
KR102190224B1 (ko) 2020-12-11
JP2020184799A (ja) 2020-11-12
CN109120391B (zh) 2020-03-10
CN115190623A (zh) 2022-10-14
CN108683483B (zh) 2020-03-10
EP3678321A1 (en) 2020-07-08
AU2015399265B2 (en) 2019-01-24
WO2016201832A1 (zh) 2016-12-22
KR102040747B1 (ko) 2019-11-05
CN109698740B (zh) 2020-02-14
CN107113810B (zh) 2021-11-26
US10645697B2 (en) 2020-05-05
EP3681083A1 (en) 2020-07-15
EP3678321B3 (en) 2023-11-22
US20230116985A1 (en) 2023-04-20
CN109698740A (zh) 2019-04-30
CA2989686A1 (en) 2016-12-22
CN108683483A (zh) 2018-10-19
ES2910143T7 (es) 2024-04-23
EP3678321B1 (en) 2022-02-23
AU2015399265A1 (en) 2018-01-25
EP3310105B1 (en) 2023-11-29
EP3310105A1 (en) 2018-04-18
JP7237893B2 (ja) 2023-03-13
JP6740442B2 (ja) 2020-08-12
JP2020074538A (ja) 2020-05-14
US10939435B2 (en) 2021-03-02
CN107113810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0442B2 (ja) 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装置、およびデバイス
US10219274B2 (en) Channel bonding oper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13990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KR20190029648A (ko) 차세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6722959A (zh) 信号的传输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6390250B (zh) 一种ppdu的传输方法及相关装置
WO2016201627A1 (zh) 资源分配的方法、发送端设备和接收端设备
KR20170046684A (ko) 무선랜에서 자원 단위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615852B (zh) 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设备
BR112017027119B1 (pt) Método, aparelho e dispositivo de agendamento de recur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