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494A -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 - Google Patents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494A
KR20180018494A KR1020177032667A KR20177032667A KR20180018494A KR 20180018494 A KR20180018494 A KR 20180018494A KR 1020177032667 A KR1020177032667 A KR 1020177032667A KR 20177032667 A KR20177032667 A KR 20177032667A KR 20180018494 A KR20180018494 A KR 20180018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porous
fibers
porous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기타
준 가토
도시히코 사이와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1103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with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1143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involving an oxidation, reduction or reac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layers
    • B22F7/04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layers with one or more layers not made from powder, e.g. made from soli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8Alloys with open or closed p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10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25Copper-based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7/00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7/14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by powder metallurgy, i.e. by processing mixtures of metal powder and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삼차원 망목 구조의 골격부 (13) 를 갖는 동 다공질체 (10) 로서, 골격부 (13) 의 표면에는, 요철을 갖는 포러스층 (12) 이 형성되어 있고,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POROUS COPPER BODY, AND POROUS COPPER COMPOSITE MEMBER}
본원 발명은,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동 다공질체, 및, 이 동 다공질체가 부재 본체에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동 다공질 복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6월 1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5-11952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상기 서술한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는, 예를 들어 각종 전지에 있어서의 전극 및 집전체, 열 교환기용 부재, 소음 부재, 필터, 충격 흡수 부재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동관 표면에 동 다공질층을 형성한 열 교환 부재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삼차원 망목 구조의 금속 다공질체의 표면을 다공질 금속막으로 개질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을 원료로 하고, 이 원료 분말을 동관의 표면에 바인더로 가접합하고, 산화 처리 및 환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동 다공질층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있어서는, 삼차원 망목 구조의 금속 다공체를 산화 처리하여 산화막을 형성하고, 추가로 환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금속 다공체의 표면을 다공질 금속막으로 개질한 금속 다공질체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17680호(A) 일본 특허 제5166615호(B)
그런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을 원료로서 사용하여 동 다공질체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다공질 소결체의 밀도를 분말의 부피 밀도보다 작게 할 수 없어, 기공률이 높고, 또한, 충분한 비표면적을 갖는 동 다공질체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금속 다공질체에 있어서는, 삼차원 망목 구조의 금속 다공체를 형성한 후에 산화 처리 및 환원 처리를 실시하고 있고, 금속 다공질체 자체의 기공률이나 비표면적은, 산화 처리 및 환원 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금속 다공체의 성상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충분한 기공률 및 비표면적을 갖는 금속 다공질체를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전해 도금이나 금속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금속 다공체에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실시예로서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다공체를 사용한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다공체에 있어서, 어떠한 조건으로 산화 처리 및 환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표면을 개질 가능한지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원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분한 기공률 및 비표면적을 갖는 동 다공질체, 이 동 다공질체가 부재 본체에 접합된 동 다공질 복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일 양태의 동 다공질체 (이하, 「본원 발명의 동 다공질체」 라고 칭한다) 는, 삼차원 망목 구조의 골격부를 갖는 동 다공질체로서, 상기 골격부의 표면에는, 요철을 갖는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있고,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동 다공질체에 의하면, 삼차원 망목 구조의 골격부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있고,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다공체 골격 표면을 개재한 열 교환 효율 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원 발명의 동 다공질체에 있어서는, 상기 골격부는, 복수의 동 섬유의 소결체로 되어 있고, 상기 동 섬유는,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가 된 동 섬유끼리 소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 섬유끼리 사이에 충분한 공극이 확보됨과 함께, 소결시에 있어서의 수축률을 억제할 수 있고, 기공률을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비교적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욱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다.
본원 발명의 다른 양태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이하, 「본원 발명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라고 칭한다) 는, 부재 본체와, 상기 서술한 동 다공질체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기공률이 높고, 비표면적이 크고, 또한, 치수 정밀도가 우수함과 함께 강도가 우수한 동 다공질체가 부재 본체와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표면적이 크고 열 교환 효율 등이 우수한 동 다공질체 단체의 특성에 더하여, 동 다공질 복합 부재로서, 우수한 전열 특성 및 도전성 등의 각종 특성을 발휘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부재 본체 중 상기 동 다공질체와의 접합면이 동 또는 동 합금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 다공질체와 상기 부재 본체가 소결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동 다공질체와 상기 부재 본체가, 소결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동 다공질체와 상기 부재 본체가 강고하게 접합되게 되어, 동 다공질 복합 부재로서 우수한 강도, 전열 특성 및 도전성 등의 각종 특성을 발휘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기공률 및 비표면적을 갖는 동 다공질체, 이 동 다공질체가 부재 본체에 접합된 동 다공질 복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동 다공질체의 일부 확대 관찰 사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동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동 다공질체를 제조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외관 설명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7 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8 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9 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0 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1 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2 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3 은 본원 발명예 1 인 동 다공질체의 결합부의 확대 관찰 사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동 섬유 (11) 가 소결된 골격부 (13) 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동 섬유 (11) 는,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 (11) 는, 예를 들어 C1100 (터프 피치 동)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 (11) 에는, 비틀림이나 굽힘 등의 형상 부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에 있어서는, 그 겉보기 밀도 (DA)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1 % 이하로 되어 있다. 동 섬유 (11) 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겉보기 밀도 (DA)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1 % 이하가 되는 한에 있어서, 직선상, 곡선상 등 임의이지만, 동 섬유 (11) 의 적어도 일부에, 비틀림 가공이나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 부여 가공이 된 것을 사용하면, 섬유끼리 사이의 공극 형상을 입체적 그리고 등방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동 다공질체 (10) 의 전열 특성 및 도전성 등의 각종 특성의 등방성 향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격부 (13) (동 섬유 (11)) 의 표면에는, 인편 (鱗片) 상의 요철을 갖는 포러스층 (12)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 섬유 (11, 11) 끼리의 결합부에 있어서는, 서로의 표면에 형성된 포러스층 (12, 12) 끼리 일체로 결합하고 있다.
이 포러스층 (12)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편상의 요철을 가지고 있고, 동 다공질체 (10) 전체의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동 다공질체 (10) 전체의 비표면적의 상한치는 0.50 ㎡/g 이다.
또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동 다공질체 (10) 전체의 비표면적의 범위는 0.03 ㎡/g ∼ 0.4 ㎡/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g ∼ 0.30 ㎡/g 이다. 동일하게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기공률의 범위는 60 % ∼ (9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 90 % 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3 의 플로우도 및 도 4 의 공정도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의 원료가 되는 동 섬유 (11) 를, 산포기 (31) 로부터 스테인리스제 용기 (32) 내를 향하여 산포하여 부피 충전하여, 동 섬유 (11) 를 적층한다 (동 섬유 적층 공정 S01).
여기서, 이 동 섬유 적층 공정 S01 에서는, 충전 후의 부피 밀도 (DP)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0 % 이하가 되도록 복수의 동 섬유 (11) 를 적층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 (11) 에 비틀림 가공이나 굽힘 가공 등의 형상 부여 가공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시에 동 섬유 (11) 끼리 사이에 입체적 그리고 등방적인 공극이 확보되게 된다.
다음으로, 스테인리스제 용기 (32) 내에 부피 충전된 동 섬유 (11) 를 산화 환원 처리한다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02).
이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02 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섬유 (11) 의 산화 처리를 실시하는 산화 처리 공정 S21 과, 산화 처리된 동 섬유 (11) 를 환원하여 소결하는 환원 처리 공정 S22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섬유 (11) 가 충전된 스테인리스제 용기 (32) 를 가열노 (33) 내에 장입하고, 대기 분위기에서 가열하여 동 섬유 (11) 를 산화 처리한다 (산화 처리 공정 S21). 이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의해, 동 섬유 (11) 의 표면에, 예를 들어 두께 1 ㎛ 이상, 100 ㎛ 이하의 산화물층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화 처리 공정 S21 의 조건은, 유지 온도가 520 ℃ 이상, 1050 ℃ 이하, 유지 시간이 5 분 이상, 3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여기서,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가 520 ℃ 미만인 경우에는, 동 섬유 (11) 의 표면에 산화물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가 105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화에 의해 형성된 산화동 (II) 가 분해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를 520 ℃ 이상, 1050 ℃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동 섬유 (11) 의 표면에 산화물층을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의 하한을 600 ℃ 이상, 유지 온도의 상한을 10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이 5 분 미만인 경우에는, 동 섬유 (11) 의 표면에 산화물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이 300 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 섬유 (11) 의 내부까지 산화가 진행되어, 동 섬유 (11) 가 취화하여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을 5 분 이상, 3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동 섬유 (11) 의 표면에 산화물층을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의 하한을 10 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 섬유 (11) 의 산화에 의한 취화를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의 상한을 100 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 처리 공정 S21 을 실시한 후, 동 섬유 (11) 가 충전된 스테인리스제 용기 (32) 를 가열노 (34) 내에 장입하고, 환원 분위기에서 가열하여, 산화된 동 섬유 (11) 를 환원 처리함과 함께 동 섬유 (11) 끼리를 결합한다 (환원 처리 공정 S22). 이에 의해, 상기 서술한 포러스층 (12) 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환원 처리 공정 S22 의 조건은, 분위기가 질소와 수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 유지 온도가 600 ℃ 이상, 1080 ℃ 이하, 유지 시간이 5 분 이상, 3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여기서,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가 600 ℃ 미만인 경우에는, 동 섬유 (11) 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충분히 환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가 108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의 융점 근방까지 가열되게 되어, 포러스층 (12) 의 요철이 작아져 비표면적이 낮아질 우려가 있음과 함께, 강도 및 기공률의 저하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를 600 ℃ 이상, 1080 ℃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동 섬유 (11) 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확실하게 환원하기 위해서는,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의 하한을 65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표면적, 강도 및 기공률의 저하를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의 상한을 10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이 5 분 미만인 경우에는, 동 섬유 (11) 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충분히 환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이 300 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러스층 (12) 의 요철이 작아져, 비표면적이 작아질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을 5 분 이상, 3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동 섬유 (11) 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확실하게 환원하기 위해서는,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의 하한을 10 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러스층 (12) 의 요철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의 상한을 100 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산화 처리 공정 S21 에 의해 동 섬유 (11) 의 표면에 산화물층이 형성되고, 이 산화물층에 의해 복수의 동 섬유 (11) 끼리 가교된다. 그 후, 환원 처리 S22 를 실시함으로써, 동 섬유 (11) 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층이 환원되어 상기 서술한 포러스층 (12) 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02 에 의해 포러스층 (12) 을 형성한 후, 동 섬유 (11) 가 충전된 스테인리스제 용기 (32) 를 소성노 (35) 내에 장입하고, 동 섬유 (11) 끼리의 소결을 실시한다 (소결 공정 S0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결 공정 S03 의 조건은, 분위기가 Ar, N2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 (본 실시형태에서는 Ar 가스 분위기) 에서, 유지 온도가 600 ℃ 이상, 1080 ℃ 이하, 유지 시간이 5 분 이상, 3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이 소결 공정 S03 에 의해, 동 섬유 (11) 끼리의 소결을 진행시킨다. 또한,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 폐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체적 확산에 의해 폐기공을 제거한다.
여기서,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가 600 ℃ 미만인 경우에는, 체적 확산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소결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가 108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의 융점 근방까지 가열되게 되어, 형상을 유지할 수 없음과 함께, 강도 및 기공률의 저하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를 600 ℃ 이상, 1080 ℃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동 섬유 (11) 의 소결을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의 하한을 7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도 및 기공률의 저하를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의 상한을 10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결 공정 S03 은,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이어서 실시하는 경우,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와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를 동일한 온도로 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이 5 분 미만인 경우에는, 체적 확산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소결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이 300 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결에 의한 열 수축이 커져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비표면적 및 기공률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을 5 분 이상, 3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동 섬유 (11) 의 소결을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온도의 하한을 10 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결에 의한 열 수축을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소결 공정 S03 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의 상한을 100 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동 섬유 (11, 11) 끼리 소결되어 골격부 (13) 가 형성됨과 함께, 골격부 (13) 의 표면에 포러스층 (12) 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가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에 의하면, 골격부 (13) (동 섬유 (11)) 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포러스층 (12) 이 형성되어 있고,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다공체 골격 표면을 개재한 열 교환 효율 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가 된 동 섬유 (11) 가 소결됨으로써 골격부 (13)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 섬유 (11) 끼리 사이에 충분한 공극이 확보됨과 함께, 소결시에 있어서의 수축률을 억제할 수 있어, 기공률이 높고, 또한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0) 에 있어서는, 동 섬유 (11, 11) 끼리, 서로의 표면에 형성된 포러스층 (12, 12) 끼리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결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가 된 동 섬유 (11) 를, 부피 밀도 (DP)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0 % 이하가 되도록 적층 배치하는 동 섬유 적층 공정 S01 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결 공정 S02 에 있어서도, 동 섬유 (11) 끼리 사이의 공극을 확보할 수 있고, 수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기공률이 높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동 다공질체 (10) 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피 밀도 (DP)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0 % 이하가 되도록 적층 배치하여 소결함으로써 제조된 동 다공질체 (10) 의 겉보기 밀도 (DA)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1 %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결시의 수축이 억제되어 있고, 높은 기공률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동 섬유 (11) 의 직경 (R) 이 0.02 ㎜ 미만인 경우에는, 동 섬유 (11) 끼리의 접합 면적이 작아, 소결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한편, 동 섬유 (11) 의 직경 (R) 이 1.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 섬유 (11) 끼리 접촉하는 접점의 수가 부족하여, 역시, 소결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 (11) 의 직경 (R) 을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추가적인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동 섬유 (11) 의 직경 (R) 의 하한을 0.0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 섬유 (11) 의 직경 (R) 의 상한을 0.5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 섬유 (11) 의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미만인 경우에는, 적층 배치했을 때에 부피 밀도 (DP)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0 % 이하로 하는 것이 어렵고, 기공률이 높은 동 다공질체 (10) 를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동 섬유 (11) 의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250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 섬유 (11) 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없게 되어, 균일한 기공률을 갖는 동 다공질체 (10) 를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 (11) 의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를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추가적인 기공률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동 섬유 (11) 의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의 하한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실하게 기공률이 균일한 동 다공질체 (10) 를 얻기 위해서는, 동 섬유 (11) 의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상한을 5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02 에서는, 동 섬유 (11) 를 산화시키는 산화 처리 공정 S21 과, 산화된 동 섬유 (11) 를 환원하는 환원 처리 공정 S22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섬유 (11) 의 표면에 포러스층 (12) 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가 된 동 다공질체 (10) 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02 후에, 소결 공정 S03 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결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환원 처리 공정 S22 에 폐기공이 형성된 경우에도, 이 폐기공을 제거할 수 있고,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00) 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에,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00) 를 나타낸다. 이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00) 는,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동판 (120) (부재 본체) 과, 이 동판 (120) 의 표면에 접합된 동 다공질체 (110)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10)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복수의 동 섬유가 소결됨으로써 삼차원 망목 구조의 골격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동 섬유는, 동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는, 예를 들어 C1100 (터프 피치 동)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에는, 비틀림이나 굽힘 등의 형상 부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체 (110) 에 있어서는, 그 겉보기 밀도 (DA) 가 동 섬유의 진밀도 (DT) 의 51 %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 다공질체 (110) 의 골격부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산화 환원 처리 (산화 처리 및 환원 처리) 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골격부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발생해 있다.
그리고, 동 다공질체 (110) 를 구성하는 골격부 (동 섬유) 와 동판 (120) 의 표면의 결합부에 있어서는, 골격부 (동 섬유) 의 표면에 형성된 포러스층과 동판의 표면에 형성된 포러스층이 일체로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포러스층은, 인편상의 요철을 가지고 있고, 동 다공질체 (110) 전체의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00) 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 의 플로우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부재 본체인 동판 (120) 을 준비한다 (동판 배치 공정 S100). 다음으로, 이 동판 (120) 의 표면에 동 섬유를 분산시켜 적층 배치한다 (동 섬유 적층 공정 S101). 여기서, 이 동 섬유 적층 공정 S101 에서는, 부피 밀도 (DP) 가 동 섬유의 진밀도 (DT) 의 50 % 이하가 되도록 복수의 동 섬유를 적층 배치한다.
다음으로, 동판 (120) 의 표면에 적층 배치된 동 섬유의 표면 및 동판 (120) 의 표면을 산화 환원 처리한다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102). 이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102 에 있어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산화 처리를 실시하는 산화 처리 공정 S121 과, 산화 처리된 동 섬유 및 동판 (120) 을 환원하여 소결하는 환원 처리 공정 S122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가 적층 배치된 동판 (120) 을 가열노 내에 장입하고, 대기 분위기에서 가열하여 동 섬유를 산화 처리한다 (산화 처리 공정 S121). 이 산화 처리 공정 S121 에 의해,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에, 예를 들어 두께 1 ㎛ 이상, 100 ㎛ 이하의 산화물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화 처리 공정 S121 의 조건은, 유지 온도가 520 ℃ 이상, 10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600 ℃ 이상, 1000 ℃ 이하, 유지 시간이 5 분 이상, 300 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상, 1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화 처리 공정 S121 을 실시한 후, 동 섬유가 적층 배치된 동판 (120) 을 소성노 내에 장입하고, 환원 분위기에서 가열하여, 산화된 동 섬유 및 동판 (120) 을 환원 처리한다 (환원 처리 공정 S122).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환원 처리 공정 S121 의 조건은, 분위기가 질소와 수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 유지 온도가 600 ℃ 이상, 10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650 ℃ 이상, 1050 ℃ 이하, 유지 시간이 5 분 이상, 300 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상, 1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이 산화 처리 공정 S121 및 환원 처리 공정 S122 에 의해,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에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미세한 요철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102 (산화 처리 공정 S121 및 환원 처리 공정 S122) 에 의해 포러스층을 형성한 후, 동 섬유끼리를 소결하여 동 다공질체 (110) 를 형성함과 함께 동 다공질체 (110) (동 섬유) 와 동판 (120) 을 결합한다 (소결 및 접합 공정 S103).
이 소결 및 접합 공정 S103 에 의해, 포러스층을 개재하여 동 섬유끼리 소결됨과 함께 동 섬유와 동판 (120) 이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결 및 접합 공정 S103 의 조건은, Ar 가스 분위기에서, 유지 온도가 600 ℃ 이상, 10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700 ℃ 이상, 1000 ℃ 이하, 유지 시간이 5 분 이상, 300 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상, 100 분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00) 가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인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00) 에 의하면, 동판 (120) 의 표면에,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가 된 동 섬유가 소결되어 이루어지는 기공률이 높고, 강도나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동 다공질체 (110) 가 접합되어 있고, 전열 특성 및 도전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 다공질체 (110) 의 골격부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에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 다공질체 (110) 전체의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다공체 골격 표면을 개재한 열 교환 효율 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 다공질체 (110) 의 골격부 (동 섬유) 와 동판 (120) 의 표면의 결합부에 있어서는, 골격부 (동 섬유) 의 표면에 형성된 포러스층과 동판 (120) 의 표면에 형성된 포러스층이 일체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동 다공질체 (110) 와 동판 (120) 이 강고하게 접합되게 되어, 접합 계면의 강도, 전열 특성 및 도전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판 (120) 의 표면에,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가 된 동 섬유 (11) 를, 부피 밀도 (DP) 가 동 섬유 (11) 의 진밀도 (DT) 의 50 % 이하가 되도록 적층 배치하는 동 섬유 적층 공정 S101 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결 및 접합 공정 S103 에 있어서도, 동 섬유끼리 사이의 공극을 확보할 수 있고, 수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기공률이 높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동 다공질체 (110) 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도성이나 도전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우수한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00) 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 및 동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동판 (120) 의 표면에 동 섬유를 적층 배치하고, 소결 및 접합 공정 S103 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프로세스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화 환원 처리 공정 S102 에서는,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을 산화시킨 후, 산화된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을 환원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 섬유 및 동판 (120) 의 표면에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미세한 요철이 발생해 있는 것으로부터, 접합 면적이 확보되어, 동 섬유끼리 및 동 섬유와 동판 (120) 을 강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동 다공질체를 제조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동 다공질체를 제조해도 된다.
산화 처리 공정 S21, S121 의 분위기에 대해서는, 소정 온도에서 동 혹은 동 합금이 산화하는 산화성 분위기이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대기 중에 한정하지 않고, 불활성 가스 (예를 들어, 질소) 에 10 vol% 이상의 산소를 함유하는 분위기이면 된다. 또한, 환원 처리 공정 S22, S122 의 분위기에 대해서도, 소정 온도에서 동 산화물이 금속 동으로 환원 혹은 산화동이 분해하는 환원성 분위기이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수 vol% 이상의 수소를 함유하는 질소-수소 혼합 가스, 아르곤-수소 혼합 가스, 순수소 가스, 혹은 공업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암모니아 분해 가스, 프로판 분해 가스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터프 피치 동 (JIS C1100) 또는 무산소동 (JIS C1020) 으로 이루어지는 동 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 섬유 (11) 의 재질로는, 인 탈산 동 (JIS C1201, C1220), 은 함유 동 (예를 들어 Cu-0.02 ∼ 0.5 mass% Ag), 크롬 동 (예를 들어 Cu-0.02 ∼ 1.0 mass% Cr), 지르콘 동 (예를 들어 Cu-0.02 ∼ 1.0 mass% Zr), 주석 함유 동 (예를 들어 Cu-0.1 ∼ 1.0 mass% Sn)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200 ℃ 이상의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온 강도가 우수한 은 함유 동, 크롬 동, 주석 함유 동, 지르콘 동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 섬유를 소결함으로써 동 다공질체의 골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섬유 부직포나 금속 필터 등의 동 다공질체를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표면 개질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내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다공질체 (210) 중에, 부재 본체로서 복수의 동관 (220) 이 삽입된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200) 여도 된다.
혹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다공질체 (310) 중에, 부재 본체로서 U 자상으로 만곡된 동관 (320) 이 삽입된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300) 여도 된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본체인 동관 (420) 의 내주면에 동 다공질체 (410) 를 접합한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400) 여도 된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본체인 동관 (520) 의 외주면에 동 다공질체 (510) 를 접합한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500) 여도 된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본체인 동관 (620) 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동 다공질체 (610) 를 접합한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600) 여도 된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 본체인 동판 (720) 의 양면에 동 다공질체 (710) 를 접합한 구조의 동 다공질 복합 부재 (700) 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원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확인 실험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1 에 나타내는 소결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로 나타낸 제조 방법에 의해, 폭 30 ㎜ × 길이 200 ㎜ × 두께 5 ㎜ 의 동 다공질체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성형 형에 대한 원료의 충전은, 압력을 가하지 않고 실시하였다.
또한, 얻어진 동 다공질체에 대하여, 겉보기 밀도, 기공률, 비표면적, 상대 인장 강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섬유 직경 (R))
동 섬유의 섬유 직경 (R) 은, 말번사 제조 입자 해석 장치 「Morphologi G3」 을 사용하여, JIS Z 8827-1 에 기초하여, 화상 해석에 의해 산출된 환산 섬유 직경 (Heywood 직경) R = (A/π)0.5 × 2 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섬유 길이 (L))
동 섬유의 섬유 길이 (L) 는, 말번사 제조 입자 해석 장치 「Morphologi G3」 을 사용하여, 화상 해석에 의해 산출된 단순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겉보기 밀도비 (DA/DT) 및 기공률 (P))
얻어진 동 다공질체의 질량 (M) (g), 체적 (V) (㎤), 동 다공질체를 구성하는 동 섬유의 진밀도 (DT) (g/㎤) 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으로 겉보기 밀도비 (DA/DT) 및 기공률 (P) (%) 를 산출하였다. 또한, 진밀도 (DT) 는, 정밀 천칭을 사용하여, 수중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DA/DT = M/(V × DT)
P = (1 - (M/(V × DT))) × 100
(비표면적 (AS))
동 다공질체의 비표면적 (AS) (㎡/g) 는, JIS Z8830 에 준거하여, 크립톤 가스를 사용한 BET 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사용하였다.
(상대 인장 강도 (SR))
얻어진 동 다공질체를 폭 10 ㎜ × 길이 100 ㎜ × 두께 5 ㎜ 의 시험편으로 가공한 후, 인스트론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최대 인장 하중 (Smax) (N) 을 겉보기 상의 시료 단면적 50 ㎟ 로 제산하여 최대 인장 강도 (S) (N/㎟) 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에 의해 얻어진 최대 인장 강도 (S) 는 겉보기 밀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최대 인장 강도 (S) (N/㎟) 를 상기 겉보기 밀도비 (DA/DT) 로 규격화한 값 S/(DA/DT) 를 상대 인장 강도 (SR) (N/㎟) 로서 정의하고, 비교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된 동 다공질체의 결합부의 단면 관찰을 실시한 결과, 도 13 에 나타내는 본 발명예 1 의 동 다공질체에 있어서는, 동 섬유의 표면에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포러스층끼리 결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 포러스층에 의해 동 섬유의 표면에 미소한 요철이 형성되어,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으로 커져 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에 반하여, 원료로서, 평균 입경 0.06 ㎜ 의 전해 동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한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높은 기공률 및 비표면적을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섬유의 직경 (R) 이 0.01 ㎜ 가 된 비교예 2 및 동 섬유의 직경 (R) 이 1.2 ㎜ 가 된 비교예 3 에 있어서는, 동 다공질체의 상대 인장 강도가 낮아져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동 섬유의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2 가 된 비교예 4 에 있어서는, 높은 기공률을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동 섬유의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3000 이 된 비교예 5 에 있어서는, 강도가 낮아져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공극이 큰 지점이 존재하여, 국소적으로 강도가 대폭 저하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예의 동 다공질체에 있어서는, 비표면적이 크고, 기공률도 높아졌다. 또한, 상대 인장 강도도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이상으로부터, 본원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기공률 및 비표면적을 갖는 동 다공질체를 제공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충분한 기공률 및 비표면적을 갖는 동 다공질체, 이 동 다공질체가 부재 본체에 접합된 동 다공질 복합 부재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전지에 있어서의 전극 및 집전체, 열 교환기용 부재, 소음 부재, 필터, 충격 흡수 부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0, 110 ; 동 다공질체
11 ; 동 섬유
12 ; 포러스층
13 ; 골격부
100 ; 동 다공질 복합 부재
120 ; 동판 (부재 본체)

Claims (4)

  1. 삼차원 망목 구조의 골격부를 갖는 동 다공질체로서,
    상기 골격부의 표면에는, 요철을 갖는 포러스층이 형성되어 있고,
    비표면적이 0.01 ㎡/g 이상이 되고, 기공률이 5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다공질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는, 복수의 동 섬유의 소결체로 되어 있고, 상기 동 섬유는, 직경 (R) 이 0.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가 되고, 길이 (L) 와 직경 (R) 의 비 (L/R) 가 4 이상 2500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다공질체.
  3. 부재 본체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동 다공질체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다공질 복합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본체 중 상기 동 다공질체와의 접합면이 동 또는 동 합금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 다공질체와 상기 부재 본체가 소결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다공질 복합 부재.
KR1020177032667A 2015-06-12 2016-05-24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 KR201800184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9522A JP6065058B2 (ja) 2015-06-12 2015-06-12 銅多孔質体、及び、銅多孔質複合部材
JPJP-P-2015-119522 2015-06-12
PCT/JP2016/065283 WO2016199571A1 (ja) 2015-06-12 2016-05-24 銅多孔質体、及び、銅多孔質複合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494A true KR20180018494A (ko) 2018-02-21

Family

ID=5750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67A KR20180018494A (ko) 2015-06-12 2016-05-24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97118A1 (ko)
EP (1) EP3308884A4 (ko)
JP (1) JP6065058B2 (ko)
KR (1) KR20180018494A (ko)
CN (1) CN107530777A (ko)
WO (1) WO2016199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3286B2 (ja) * 2016-04-27 2020-07-2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銅多孔質体の製造方法、及び、銅多孔質複合部材の製造方法
JP2019086259A (ja) * 2017-11-09 2019-06-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気化部材用銅多孔質体、沸騰冷却器、及び、ヒートパイプ
KR102387629B1 (ko) * 2018-06-29 2022-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005B2 (ja) * 1993-03-19 1998-11-18 日本重化学工業株式会社 多孔金属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多孔金属
IL108860A (en) * 1994-03-04 1998-10-30 Elisra Gan Ltd Heat radiating element
JP2000192107A (ja) * 1998-12-25 2000-07-11 Kogi Corp 多孔質金属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2823B2 (ja) * 2008-10-27 2011-11-09 Ntn株式会社 複層軸受の製造方法
CN102305564A (zh) * 2011-08-26 2012-01-04 华南理工大学 一种纤维烧结式微热管及其制造方法
JP5825598B2 (ja) * 2012-03-13 2015-12-02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金属多孔体及び金属多孔体の製造方法。
CN103465543B (zh) * 2013-09-29 2015-07-29 西北有色金属研究院 强化沸腾传热用双重孔结构多孔铜材料的制备方法
JP6011593B2 (ja) * 2014-10-22 2016-10-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銅多孔質焼結体の製造方法及び銅多孔質複合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9571A1 (ja) 2016-12-15
CN107530777A (zh) 2018-01-02
JP6065058B2 (ja) 2017-01-25
JP2017002374A (ja) 2017-01-05
EP3308884A4 (en) 2018-11-14
US20180297118A1 (en) 2018-10-18
EP3308884A1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4162B (zh) 铜多孔体、铜多孔复合部件、铜多孔体的制造方法及铜多孔复合部件的制造方法
KR20170074870A (ko) 구리 다공질 소결체, 구리 다공질 복합 부재, 구리 다공질 소결체의 제조 방법 및 구리 다공질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
CN107530776B (zh) 铜多孔体、铜多孔复合部件、铜多孔体的制造方法及铜多孔复合部件的制造方法
KR20140037104A (ko) 알루미늄 전해 커패시터용 전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18494A (ko) 동 다공질체, 및, 동 다공질 복합 부재
JP6589402B2 (ja) 銅多孔質体、銅多孔質複合部材、銅多孔質体の製造方法、及び、銅多孔質複合部材の製造方法
JP6724801B2 (ja) 銅多孔質体、銅多孔質複合部材、銅多孔質体の製造方法、及び、銅多孔質複合部材の製造方法
KR20190002422A (ko) 구리 다공질체, 구리 다공질 복합 부재, 구리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및 구리 다공질 복합 부재의 제조 방법
JP6249060B2 (ja) 銅多孔質複合部材
WO2018212039A1 (ja) 銅多孔質体、銅多孔質複合部材、銅多孔質体の製造方法、及び、銅多孔質複合部材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