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289A - 스크롤 유체 기계 - Google Patents

스크롤 유체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289A
KR20180018289A KR1020170061365A KR20170061365A KR20180018289A KR 20180018289 A KR20180018289 A KR 20180018289A KR 1020170061365 A KR1020170061365 A KR 1020170061365A KR 20170061365 A KR20170061365 A KR 20170061365A KR 20180018289 A KR20180018289 A KR 20180018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biting scroll
scroll
fixed
base
or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008B1 (ko
Inventor
토모히로 사사오
유스케 오카모토
유스케 츠유구치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8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2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1C1/0207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1C1/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1C1/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2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1C1/0207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1C1/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1C1/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28/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과제] 선회 랩보다 외주측에 복수의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스크롤 유체 기계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터넌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스크롤 유체 기계(1)는 고정측 기판부(20)의 판면에 나선 형상의 고정 랩(50)이 설치되는 고정 스크롤(5)과, 선회측 기판부(16)의 판면에 고정 랩(50)에 맞물리는 나선 형상의 선회 랩(6)이 설치됨과 아울러,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70)의 끝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노치부(71)가 복수 형성되는 선회 스크롤 본체(17)와, 외주부(70)를 삽입통과하는 볼트(28)를 통해서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고정함과 아울러, 선회 스크롤 본체(17)가 고정된 상태에서 노치부(71)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베어링부(80)가 노치부(71)에 따라서 복수 설치되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와, 베어링부(80)에 삽입되는 편심축부(8)가 설치되는 복수의 크랭크축(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크롤 유체 기계{SCROLL FLUID MACHINE}
본 발명은 압축기, 팽창기 또는 블로어 등으로서 사용되는 스크롤 유체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크롤 유체 기계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에 있어서의 선회 랩이 설치되는 부분보다 외측의 외주부에 복수의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스크롤 유체 기계를 개시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선회 스크롤의 외주부의 일측과 타측에 2개의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에서는 선회 스크롤의 외주부에 둘레 방향으로 3개의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4-365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120552호 공보
선회 랩보다 외주측에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구조는 크랭크축을 연결하는 스페이스를 선회 랩의 외주측에서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선회 스크롤 전체의 외경이 커지고 중량도 증가해 버린다. 선회 스크롤이 크면 그만큼 스크롤 유체 기계의 외장(하우징)도 대형화되어 버린다. 제조 비용 저감이나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라고 하는 점에서 스크롤 유체 기계의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선회 스크롤의 선회 랩의 메인터넌스(예를 들면, 팁 시일의 교환 등)를 행하기 위해서는 크랭크축과 선회 스크롤 전체의 연결을 해제하는 작업이 필요해져서 메인터넌스 작업의 효율화라고 하는 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선회 랩보다 외주측에 복수의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스크롤 유체 기계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측 기판부의 판면에 나선 형상의 고정 랩이 설치되는 고정 스크롤과, 선회측 기판부의 판면에 상기 고정 랩에 맞물리는 나선 형상의 선회 랩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선회측 기판부의 외주부의 끝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노치부가 복수 형성되는 선회 스크롤 본체와, 상기 외주부를 삽입통과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베어링부가 상기 노치부에 따라서 복수 설치되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되는 편심축부가 설치되는 복수의 크랭크축을 구비하는 스크롤 유체 기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회측 기판부에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통과되는 연장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 베이스에는 상기 연장편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는 인접하는 상기 연장편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는 상기 선회측 기판부의 양면에 상기 선회 랩이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 스크롤이 상기 선회측 기판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 베이스는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편면으로부터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 랩보다 외주측에 복수의 크랭크축이 연결되는 스크롤 유체 기계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롤 유체 기계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크롤 유체 기계의 선회 스크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에 고정된 선회 스크롤 본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스크롤 유체 기계의 일측면(예를 들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저면도 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II 단면도이며, 도 3은 선회 스크롤(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좌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고정된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스크롤 유체 기계의 두께 방향이며 크랭크축(3)이 향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이 축 방향은 도 2(엄밀하게는 II-II 단면도이기 때문에 그 좌측 절반 또는 우측 절반)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다. 설명을 위해서 축 방향의 일측을 상측, 축 방향의 타측을 하측 등으로 해서 상하를 표현할 수 있지만, 스크롤 유체 기계(1)의 자세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사용시에 있어서 크랭크축(3)이 상하 방향 이외의 방향, 예를 들면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스크롤 유체 기계(1)를 배치할 수 있다.
<스크롤 유체 기계의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는 하우징(4)과, 이 하우징(4)에 선회 가능하게 유지되는 선회 스크롤(2)과, 선회 스크롤(2)를 끼우도록 하우징(4)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스크롤(5)과, 선회 스크롤(2)을 선회시키는 복수의 크랭크축(3)과, 복수의 크랭크축(3)의 회전을 동기시키는 회전 동기 기구(45)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하우징>
하우징(4)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으로 보아 중앙부에는 선회 스크롤(2)의 선회 랩(6)을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구멍(7)이 축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에는 수용 구멍(7)을 둘러싸는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크랭크축(3)이 수용 구멍(7)의 축선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크랭크축(3)의 편심축부(8)의 수용 공간(9)이 수용 구멍(7)으로 개구부(10)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4)은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의 제 1 외판(11)과 제 2 외판(12)을 구비하고, 이것들은 서로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판(11)과 제 2 외판(12)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대면하여 배치되고, 외단변끼리가 적절한 접속판(13)에 의해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3)의 축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해서 스크롤 유체 기계(1)를 배치한 경우, 제 1 외판(11)은 상판이 되고, 제 2 외판(12)은 하판이 된다. 또한, 크랭크축(3)의 축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스크롤 유체 기계(1)를 배치한 경우, 제 1 외판(11) 및 제 2 외판(12)은 측판이 된다. 마찬가지로, 접속판(13)은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 유체 기계(1)를 둔 경우에는 측판이 되고, 좌우 방향으로 둔 경우에는 상판 또는 하판 등으로 된다.
제 1 외판(11) 및 제 2 외판(12)에는 대응하는 개소에 수용 구멍(7)의 개구부로서 개구 구멍(7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7)의 개구부는 하우징(4) 내의 중공부의 개구부라고도 할 수 있다. 제 1 외판(11)의 개구 구멍(7A)과 제 2 외판(12)의 개구 구멍(7A)은 같은 크기의 둥근 구멍으로 되어 있다. 도 2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방의 개구 구멍(7A)의 둘레벽은 제 1 외판(11)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방의 개구 구멍(7A)의 둘레벽은 제 2 외판(12)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개구 구멍(7A)의 저부에는 원환상의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 방향 일측(상방)의 개구 구멍(7A)의 둘레벽의 내측의 단부(하단부)에는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여 플랜지(15)가 설치되는 한편, 두께 방향 타측(하방)의 개구 구멍(7A)의 둘레벽의 내측의 단부(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여 플랜지(15)가 설치된다. 하우징(4) 내에는 각 플랜지(15)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환상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부가 크랭크축(3)의 편심축부(8)의 수용 공간(9)이 된다. 그리고, 이 수용 공간(9)은 한 쌍의 플랜지(15) 사이의 개구부(10)를 통해서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수용 구멍(7)(양측(상하)의 개구 구멍(7A)과 그 사이를 가상적으로 접속한 공동부)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 1 외판(11)과 제 2 외판(12)은 도 1의 전후의 끝변(즉, 도 2의 우측)과 같이 제 1 외판(11)의 하면과 제 2 외판(12)의 상면을 접속판(13)에 의해 접속해도 좋고, 도 1의 좌우의 끝변(즉, 도 2의 좌측)과 같이 제 1 외판(11)의 끝면과 제 2 외판(12)의 끝면을 접속판(13)에 의해 접속해도 좋다. 또한, 각 접속판(13)은 도 1의 우측의 접속판(13)과 같이 제 1 외판(11) 및 제 2 외판(12)의 끝변의 전역에 설치해도 좋고, 도 1의 좌측의 접속판(13)과 같이 제 1 외판(11) 및 제 2 외판(12)의 끝변의 일부에 설치해도 좋다. 각 판(11~13)은 볼트(14)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각 접속판(13)에 대해 제 1 외판(11)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볼트(14)로서는 문자 그대로의 볼트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나사를 이용해도 좋고, 이 것은 후술하는 기타 볼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선회 스크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2)은 선회측 기판부(16) 및 선회 랩(6)을 갖는 선회 스크롤 본체(17)와, 크랭크축(3)이 연결되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선회 스크롤 본체>
선회 스크롤 본체(17)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편면(도면 상측의 면)으로부터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용 구멍(1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성된다. 선회 스크롤 본체(17)는 원판 형상의 선회측 기판부(16)의 양측면(상면 및 하면)의 각각에 선회 랩(6)이 설치된다.
선회 랩(6)은 선회측 기판부(16)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이며, 선회측 기판부(16)의 중앙부로부터 외주부(70)를 향해서 인벌류트 곡선의 나선 형상으로 만곡하여 구성된다. 선회측 기판부(16)의 일측면(상면)에 설치되는 선회 랩(6)은 축 방향의 일측(상방)을 향해 있고, 타측면(하면)에 설치되는 선회 랩(6)은 축 방향의 타측(하방)을 향해 있으며, 상하(양측면)의 선회 랩(6)은 형상, 크기 및 배치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각 선회 랩(6)의 선단에는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팁 시일(21)이 설치된다. 팁 시일(21)은 선회 랩(6)의 나선을 따라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팁 시일(21)은 선회 랩(6)에 있어서의 선회측 기판부(16)로부터의 연장 선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측의 선회 랩(6)의 상단부, 하측의 선회 랩(6)의 하단부가 연장 선단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팁 시일(21)은 선회 랩(6)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서는 팁 시일(21) 및 그것에 관한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70)에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연장편(22)이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외주부(70)는 선회측 기판부(16)의 판면에 있어서의 선회 랩(6)이 설치되는 부분보다 지름 방향 외측의 끝면(가장 외주측)까지의 영역이며, 지름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의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로 한다.
연장편(22)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연장편(22)을 한 세트로 하고, 이 세트가 둘레 방향 등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연장편(22)이 3세트, 120도 간격으로 선회측 기판부(16)의 중앙부와 일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편(22)이 외주부(70)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선회측 기판부(16)는 그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연장편(22)을 생략하여 원형, 다각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외주부는 선회 랩이 설치되는 부분보다 지름 방향 외측의 끝면(가장 외주측)까지의 영역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각 연장편(22)은 두께 방향의 일측면(상면)이 선회측 기판부(16)의 중앙으로부터 연속적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편(22)은 그 두께가 선회측 기판부(16)의 중앙부보다 약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70)에는 후술하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부(80)의 외형에 따른 형상의 노치부(71)가 형성된다. 노치부(7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외측의 끝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부(7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장편(22)의 사이에 노치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연장편(22)의 판면에는 선회측 기판부(16)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각각 2개의 볼트 삽입통과 구멍(23)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측 기판부(16)의 대략 지름 방향에 대향하여 2개의 연장편(22)에는 후술하는 록 핀(24)이 끼워넣어지는 핀 구멍(25)도 형성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는 중앙부에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선회측 기판부(16)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19)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체 형상이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주부에는 크랭크축(3)을 연결하는 베어링부(80)가 둘레 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베어링부(80)에는 베어링 구멍(33)이 관통 형성된다. 각 베어링 구멍(33)은 상부에 대경 구멍(33a), 하부에 소경 구멍(33b)이 배치되는 단차가 있는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부(80)는 베어링 구멍(33)의 주위를 둘러싸는 두께의 부분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는 평면으로 보아 모서리가 둥근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3개의 모서리부에 베어링부(8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는 그 형상이 평면으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략 원 형상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수용 구멍(19)의 주위(내주부)에는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연장편(22)을 수용하는 오목부(26)가 각 베어링부(80)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다. 오목부(26)는 수용 구멍(19)의 내주벽을 두께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절개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이 수용 구멍(19)의 축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두께 방향의 일측(상방)에 개구하고 있다.
각 오목부(26)의 저면에는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연장편(22)에 형성된 볼트 삽입통과 구멍(23)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27)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 구멍(19)의 대략 지름 방향에 대향한 2개소에 있어서 오목부(26)의 저면에는 록 핀(24)이 저면으로부터 축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3개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크랭크축(3)의 편심축부(8)에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를 유지하기 위해서 선회 베어링(29)이 설치된다. 선회 베어링(29)을 보호(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의 부족의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선회 스크롤 본체(17)로부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의 전열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구멍(19)의 내경이 선회측 기판부(16)의 외경보다 설정 치수만큼 크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수용 구멍(19)에 선회 스크롤 본체(17)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면과 수용 구멍(19)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선회 스크롤 본체(17)로부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의 전열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스크롤>
고정 스크롤(5)은 선회 스크롤(2)의 축 방향의 양측(도 2에 있어서의 상하)에 배치된다. 각 고정 스크롤(5)은 원판 형상의 고정측 기판부(20)의 편면에, 그 판면과 수직으로 또는 복수의 판 형상의 고정 랩(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측의 고정 스크롤(5)은 고정측 기판부(20)의 하면에 하방을 향해서 고정 랩(50)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의 고정 스크롤(5)은 고정측 기판부(20)의 상면에 상방을 향해서 고정 랩(50)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랩(50)은 선회 랩(6)과 대응한 개수, 형상 및 크기로 설치되고, 고정측 기판부(20)의 중앙부로부터 외주부로 향해서 인벌류트 곡선의 나선 형상으로 만곡하여 구성된다.
고정 랩(50)의 선단에는 선회 스크롤(2)의 선회측 기판부(16)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팁 시일(51)이 설치된다. 팁 시일(51)은 고정 랩(50)의 나선을 따라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팁 시일(51)은 고정 랩(50)에 있어서의 고정측 기판부(20)로부터의 연장 선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측의 고정 스크롤(5)의 고정 랩(50)의 하단부, 하측의 고정 스크롤(5)의 고정 랩(50)의 상단부가 연장 선단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팁 시일(51)은 고정 랩(5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고정 스크롤(5)에는 고정 랩(50)을 둘러싸도록 원통 형상의 외주 랩(52)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의 도면에 있어서, 상측의 고정 스크롤(5)은 고정측 기판부(20)의 하면에 하방으로 향해서 외주 랩(52)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의 고정 스크롤(5)은 고정측 기판부(20)의 상면에 상방으로 향해서 외주 랩(52)이 설치되어 있다. 외주 랩(52)의 높이(고정측 기판부(20)로부터의 연장 치수)는 고정 랩(50)의 높이(고정측 기판부(20)로부터의 연장 치수)에 대략 대응하고 있다.
외주 랩(52)의 선단에는 선회 스크롤(2)의 선회측 기판부(16)와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더스트 시일로서 외주 시일(52A)이 설치된다. 1개 또는 복수의 외주 시일(52A)이 외주 랩(52)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외주 시일(52A)은 외주 랩(52)에 있어서의 고정측 기판부(20)로부터의 연장 선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측의 고정 스크롤(5)의 외주 랩(52)의 하단부, 하측의 고정 스크롤(5)의 외주 랩(52)의 상단부가 연장 선단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시일(52A)은 외주 랩(5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각 고정 스크롤(5)은 고정 랩(50)을 선회 랩(6)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하우징(4)의 상하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고정 스크롤(5)은 하우징(4)의 상측의 플랜지(15)의 상면에 고정측 기판부(20)의 외주부가 겹쳐져서 볼트(5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하측의 고정 스크롤(5)은 하우징(4)의 하측의 플랜지(15)의 하면에 고정측 기판부(20)의 외주부가 겹쳐져서 볼트(5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4)의 플랜지(15)에는 둘레 방향 복수 개소에 록 핀(5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록 핀(55)이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에 형성된 핀 구멍에 끼워넣어져서 하우징(4)에 대한 고정 스크롤(5)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쌍의 고정 스크롤(5)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외주측에 제 1 개구(60)가 형성되는 한편, 중앙부에 제 2 개구(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개구(60) 및 제 2 개구(61)에는 파이프 형상의 개구재(62, 63)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상하로 나타내어지는 제 2 개구(61)는 경우에 따라 선회 스크롤(2)의 선회측 기판부(16)의 중앙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서로 연통시켜도 좋다.
<크랭크축>
크랭크축(3)은 선회 스크롤(2)(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주부에 있어서 적어도 2개소, 바람직하게는 3개소 이상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랭크축(3)은 선회 스크롤(2)의 외주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 등간격의 3개소에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3)은 하우징(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소 설치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구조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크랭크축(3)은 그 축선을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각 크랭크축(3)은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4)의 중공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도 2(특히 좌측)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크랭크축(3)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 주축부(34, 35) 사이에 편심축부(8)가 편심해서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의 주축부(35)는 하방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축경하여 대경부(35a), 중경부(35b) 및 소경부(35c)로 나눠진다. 또한, 편심축부(8)의 하단부에는 확경부(8a)가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3)에는 선회 스크롤(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와이드 밸런서(49)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의 주축부(34)의 하단부와 하측의 주축부(35)의 대경부(35a)의 상단부에 각각 와이드 밸런서(49)가 설치된다.
각 크랭크축(3)은 편심축부(8)를 끼운 양측의 주축부(34, 35)에 있어서, 하우징(4)의 제 1 외판(11) 및 제 2 외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방의 주축부(34)는 제 1 베어링(36)을 통해서 하우징(4)의 제 1 외판(1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하방의 주축부(35)의 중경부(35b)는 제 2 베어링(37)을 통해서 하우징(4)의 제 2 외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각 크랭크축(3)에는 편심축부(8)를 끼운 양측의 주축부(34, 35) 중, 한쪽의 주축부(도 2에 있어서 하방의 주축부)(35)의 축 방향 중도부에 제 1 단차부(3a)가 형성된다. 도면에 있어서의 하방의 주축부(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가 있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경부(35a)와 중경부(35b)의 단차부(대경부(35a)의 하면)가 제 1 단차부(3a)가 된다. 이 제 1 단차부(3a)에는 제 2 베어링(37)의 내륜의 상단면이 접촉된다.
각 크랭크축(3)에는 편심축부(8) 중, 축 방향의 일측 단부(도 2에 있어서 하단부)에 제 2 단차부(3b)가 형성된다. 편심축부(8)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확경부(8a)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확경부(8a)와의 사이의 단차부(확경부(8a)의 상면)가 제 2 단차부(3b)로 된다. 이 제 2 단차부(3b)에는 선회 베어링(29)의 내륜의 하단면이 접촉된다. 또한, 편심축부(8)에 설치되는 선회 베어링(29)은 단수여도 좋고 복수여도 좋고, 복수의 경우 가장 하방에 배치되는 선회 베어링(29)의 내륜의 하단면이 제 2 단차부(3b)에 접촉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편심축부(8)에는 2개의 선회 베어링(29)이 상하로 겹쳐져서 설치된다.
하우징(4)의 제 1 외판(11) 및 제 2 외판(12)에는 크랭크축(3)의 설치 위치와 대응한 둘레 방향 3개소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하여 축 장착 구멍(38, 39)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의 제 1 외판(11)의 축 장착 구멍(38)은 단차가 있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방에 소경 구멍(38a), 상방에 대경 구멍(38b)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의 제 2 외판(12)의 축 장착 구멍(39)도 단차가 있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에 소경 구멍(39a), 하방에 대경 구멍(39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베어링(36) 및 제 2 베어링(37)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롤링 베어링에 의해 구성된다. 롤링 베어링은 주지와 같이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내륜과 외륜의 사이에 그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전동체가 유지되어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롤링 베어링은 내륜과 외륜이 전동체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편심축부(8)에 설치되는 각 선회 베어링(29)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베어링(36) 및 제 2 베어링(37)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된다.
하우징(4)의 제 2 외판(12)으로의 제 2 베어링(37)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제 2 외판(12)의 축 장착 구멍(39)의 소경 구멍(39a)과 대경 구멍(39b)의 단차부(대경 구멍(39b)의 상면)에 외륜의 상단면이 접촉할 때까지 대경 구멍(39b)에 제 2 베어링(37)의 외륜을 압입한다. 그리고, 원환상의 멈춤 링(40)을 제 2 외판(12)의 하면에 겹쳐서 볼트(41)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베어링(37)은 외륜이 축 장착 구멍(39)의 단차부와 멈춤 링(40)의 사이에 끼워넣어져서 고정된다.
제 2 베어링(37)의 내륜에는 하방의 주축부(35)의 중경부(35b)가 압입된다. 즉, 제 1 단차부(3a)에 제 2 베어링(37)의 내륜의 상단면이 접촉할 때까지 제 2 베어링(37)의 내륜에 주축부(35)의 중경부(35b)를 압입한다. 그리고, 중경부(35b)의 하단부는 나사부로 되어 있으므로, 그 나사부에 제 1 멈춤 너트(42)를 비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제 2 베어링(37)은 내륜이 제 1 단차부(3a)와 멈춤 너트(42)의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고정된다.
하우징(4)의 제 1 외판(11)으로의 제 1 베어링(36)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제 1 베어링(36)은 외륜이 베어링 케이스(43)에 유지되고, 제 1 외판(11)의 상면에 베어링 케이스(43)의 플랜지 하단면이 접촉할 때까지 대경 구멍(38b)에 베어링 케이스(43)가 끼워넣어진다. 그리고, 베어링 케이스(43)의 플랜지를 제 1 외판(11)의 상면에 볼트(44)로 고정한다. 한편, 제 1 베어링(36)의 내륜에는 상방의 주축부(34)가 압입된다.
<회전 동기 기구>
3개의 크랭크축(3)은 편심축부(8)의 위치를 맞춰서(즉, 위상을 맞춰서), 회전 동기 기구(45)에 의해 동기 회전한다. 회전 동기 기구(45)는 기어를 사용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밍 벨트(46)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동기 기구(45)는 각 크랭크축(3)의 하방의 주축부(35)(소경부(35c))에는 톱니 부착 풀리(47)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톱니 부착 풀리(47) 사이를 타이밍 벨트(46)가 감겨져 있다. 이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46)는 텐션 롤러(48)에도 걸려 있으며, 텐션 롤러(48)의 위치(수용 구멍(7)의 지름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타이밍 벨트(46)의 장력을 조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3개의 크랭크축(3) 중,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오른쪽 아래의 크랭크축)는 외부로부터 공급 전력이 입력되는(또는 외부로 회수 동력을 출력하는) 구동 크랭크축(3A)이 되고, 나머지 2개는 그와 같은 입력(또는 출력)을 직접적으로는 행하지 않는 종동 크랭크축(3B)이 된다.
<스크롤 유체 기계의 조립>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의 조립 작업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와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오목부(26)에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연장편(22)을 끼워넣으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수용 구멍(19)에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선회측 기판부(16)을 끼워넣는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오목부(26)의 록 핀(24)에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연장편(22)의 핀 구멍(25)을 끼워넣음으로써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한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와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부(80)가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노치부(7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2점 쇄선은 한 쌍의 연장편(22)의 끝면을 연결하는 가상적인 원호이지만, 베어링부(80)의 일부가 이 원호에 관계되는 위치 관계가 된다. 이 상태에서, 베어링부(80)를 끼워넣은 양측의 연장편(22)의 볼트 삽입통과 구멍(23)에 볼트(28)를 삽입통과하여 오목부(26)의 나사 구멍(27)에 나사결합시킨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연장편(22)과 같은 볼트(28)를 체결하는 스페이스를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70)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부(80) 를 끼워넣은 스페이스로서 한 쌍의 연장편(22)의 사이에 노치부(71)를 형성함으로써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연결하는 스페이스를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70)에 형성하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부(80)를 지름 방향의 내측에 배치하는 레이아웃을 실현하고 있다. 환언하면,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70)에 있어서, 둘레 방향의 체결 개소를 통과하는 가상 원의 궤적을 통과하도록 베어링부(80)가 배치되어 있고, 외주부(70)의 체결 개소를 피해서 노치부(71)가 배치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볼트(28)를 분리하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와 선회 스크롤 본체(17)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록 핀(24) 및 핀 구멍(25)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어서, 크랭크축(3)을 통해서 하우징(4)에 선회 스크롤(2)을 선회 가능하게 장착하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2 외판(12)에 제 2 베어링(37)을 장착한다. 한편, 선회 스크롤(2)에는 각 크랭크축(3)을 선회 베어링(29) 및 후술하는 바이어싱재(57)를 통해서 장착한다. 베어링 구멍(33)에 장착되는 선회 베어링(29)을 통해서 선회 스크롤(2)은 크랭크축(3)에 유지된다. 선회 스크롤(2)은 하우징(4)의 수용 구멍(7)에 선회 랩(6)을 배치한 상태에서 수용 구멍(7)의 축선과 수직으로 선회측 기판부(16) 및 선회 스크롤 베이스(18)가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는 하우징(4)의 플랜지(15) 사이의 개구부(10)를 통해서 수용 구멍(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각 베어링 구멍(33)은 하우징(4)의 플랜지(15)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외판(12)의 제 2 베어링(37)에 선회 스크롤(2)의 각 크랭크축(3)을 끼워넣어서 장착한다. 이 때, 각 크랭크축(3)은 소정의 자세로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심축부(8)의 위치를 맞춘 위상차가 없는 상태에서 장착된다. 그 후, 제 1 외판(11)을 장착할 때에 제 1 외판(11)과 크랭크축(3)의 사이에 제 1 베어링(36)을 배치한다. 제 1 외판(11) 및 제 2 외판(12)의 개구 구멍(7A)에 고정 스크롤(5)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에서는 선회 스크롤(2)은 선회 랩(6)을 하우징(4)의 수용 구멍(7) 내에 배치하여 수용 구멍(7)보다 외측에 있어서 하우징(4)에 선회 가능하게 유지된다. 한편, 고정 스크롤(5)은 고정 랩(50)을 하우징(4)의 수용 구멍(7) 내에 배치하여 하우징(4)의 수용 구멍(7)를 폐쇄하도록 수용 구멍(7)의 플랜지(1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때,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도 수용 구멍(7) 내에 수용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를 압축기 또는 블로어로서 이용하는 경우와, 팽창기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축기 또는 블로어로서의 스크롤 유체 기계>
스크롤 유체 기계(1)가 압축기 또는 블로어인 경우, 구동 크랭크축(3A)을 회전시키면 된다(즉, 동력을 입력한다). 구동 크랭크축(3A)에 외부로부터 공급 동력이 부여되고(즉, 동력이 입력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회전 동기 기구(45)를 통해서 종동 크랭크축(3B)도 회전시키면서 선회 스크롤(2)을 선회시킨다. 예를 들면, 구동 크랭크축(3A)의 한쪽의 주축부(35)에는 모터(도시 생략)의 출력축이 직결, 즉 커플링을 통해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 스크롤(5)에 대해 선회 스크롤(2)을 선회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동 크랭크축(3A)으로의 공급 동력은 회전 동기 기구(45)를 통해서 종동 크랭크축(3B)에 전달되고, 3개의 크랭크축(3)이 동기 회전한다. 고정 스크롤(5)에 대해 선회 스크롤(2)을 선회시키면, 제 1 개구(60)로부터 유체를 흡입하고, 그 유체를 선회 랩(6)과 고정 랩(50)의 사이에서 압축하면서 그 나선의 외단측으로부터 내단측으로 이동시켜 제 2 개구(61)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팽창기로서의 스크롤 유체 기계>
스크롤 유체 기계(1)가 팽창기인 경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선회 스크롤(2)을 선회(회전)시키고, 회전 동기 기구(45)를 통해서 각 크랭크축(3)을 회전시켜서 구동 크랭크축(3A)에 회수 동력이 부여된다(즉, 동력이 출력된다). 구동 크랭크축(3A)에 회전 구동력이 부여된다(즉, 동력이 출력된다). 예를 들면, 구동 크랭크축(3A)에는 피동기(팽창기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의 입력축이 직결, 즉 커플링을 통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유체를 제 2 개구(61)로부터 유입시키면 유체의 힘으로 선회 스크롤(2)이 선회하고, 유체가 팽창하면서 제 1 개구(60)로부터 토출한다. 이것에 의해, 선회 스크롤(2)의 회전 구동력을 회수 동력으로 해서 구동 크랭크축(3A)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도 종동 크랭크축(3B)은 회전 동기 기구(45)를 통해서 구동 크랭크축(3A)과 동기 회전한다.
그 외에,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는 구동 크랭크축(3A)을 모터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유체를 제 2 개구(61)로부터 흡입해서 제 1 개구(60)로 토출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는 압축기, 팽창기, 블로어, 진공 펌프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또는 팽창시키거나 하는 유체는 특별히 상관하지 않고, 공기, 증기, 냉매 등 각종 유체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스크롤 유체 기계(1)는 고정측 기판부(20)의 판면에 나선 형상의 고정 랩(50)이 설치되는 고정 스크롤(5)과, 선회측 기판부(16)의 판면에 고정 랩(50)에 맞물리는 나선 형상의 선회 랩(6)이 설치됨과 아울러,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70)의 끝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노치부(71)가 복수 형성되는 선회 스크롤 본체(17)와, 외주부(70)를 삽입통과하는 볼트(28)를 통해서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고정함과 아울러, 선회 스크롤 본체(17)가 고정된 상태에서 노치부(71)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베어링부(80)가 노치부(71)에 따라서 복수 설치되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와, 베어링부(80)에 삽입되는 편심축부(8)가 설치되는 복수의 크랭크축(3)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노치부(71)에 의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부(80)를 지름 방향의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지름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설계할 수 있고,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를 내장하는 하우징(4)의 다운사이징화도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4)에 대한 선회 스크롤(2)의 베어링부(80)와 크랭크축(3)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하우징(4)으로부터 고정 스크롤(5)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표면 처리나 소재에 기인한 부품의 교환이나 재처리, 이물의 끼임의 해소, 내부의 청소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회 랩(6)의 팁 시일(21), 고정 랩(50)의 팁 시일(51), 및 외주 랩(52)의 외주 시일(52A)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측 기판부(16)에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볼트(28)가 삽입통과되는 연장편(22)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는 연장편(22)을 수용하는 오목부(26)가 형성되고, 노치부(71)는 인접하는 연장편(22)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연장편(22)에 의해서 볼트(28)를 체결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베어링부(80)를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지름 방향의 내측에 들어가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면과 수용 구멍(19)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선회 스크롤 본체(17)로부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의 전열을 방지하는 구성도 실현할 수 있다. 간극을 형성하는 이 구성에 있어서, 베어링부(80)를 그 간극만큼, 노치부(71)를 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절개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경우에 따라서는 가능하다. 즉, 선회 스크롤(2) 전체의 지름 방향의 다운사이징화를 실현하면서 선회 베어링(29)을 보호하는 구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스크롤 본체(17)는 선회측 기판부(16)의 양면에 선회 랩(6)이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 스크롤(5)이 선회측 기판부(16)의 양측에 설치되고,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는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용 구멍(19)에 편면으로부터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양면에 선회 랩(6)이 설치된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편면으로부터 한번에 착탈 가능하므로 메인터넌스시의 착탈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4)의 제 1 베어링(36)에서의 다소의 분해가 필요해지지만, 선회 베어링(29)에서의 분해를 요구하는 일 없이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부터 상방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5)과 마찬가지로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메인터넌스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는 이와 같이도 구성된다.
<선회 랩이 양면에 설치되는 구조>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는 선회측 기판부(16)의 양면에 나선 형상의 선회 랩(6)이 설치된 선회 스크롤 본체(17)가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편면으로부터 중앙부의 수용 구멍(1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구성되는 선회 스크롤(2)과, 고정측 기판부(20)의 편면에 나선 형상의 고정 랩(50)이 설치되고, 이 고정 랩(50)을 선회 랩(6)과 맞물리게 해서 선회 스크롤(2)을 끼우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스크롤(5)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둘레 방향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선회 스크롤 베이스(18)가 선회 베어링(29)을 통해서 유지되는 편심축부(8)를 동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스크롤(5)에 대해 선회 스크롤(2)을 선회시키는 복수의 크랭크축(3)을 구비한다.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해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착탈 가능하게 할 때, 하우징(4)의 수용 구멍(7)을 통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해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착탈 가능하게 하면 한층 바람직하다. 그 경우,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선회측 기판부(16)의 외경은 하우징(4)의 수용 구멍(7)의 내경, 또한 수용 구멍(7)의 플랜지(15)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4)으로부터 고정 스크롤(5)을 분리한 후,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부터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그 작업을 하우징(4)의 수용 구멍(7)을 통해서 행할 수 있고, 어느 베어링부(80)에서의 착탈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한층 향상된다.
<무두렌치볼트에 의한 위치 결정>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수용 구멍(19)에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선회측 기판부(16)를 간극을 두고 끼워넣은 경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한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지름 방향의 위치 결정을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 구멍(19)의 둘레 측벽에는 바람직하게는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둘레 방향 3개소 이상에 수용 구멍(19) 내로 선단부를 돌출시켜 지지재(31)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삼각 형상의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는 3개의 끝변의 각 중앙부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 구멍(32)이 형성되고, 그 나사 구멍(32)에 지지재로서의 무두렌치볼트(31)(예를 들면, 육각구멍붙이볼트)가 비틀어넣어진다. 그리고, 무두렌치볼트(31)의 선단부는 수용 구멍(19)의 둘레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다. 무두렌치볼트(31)의 선단부를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부에 접촉하여 선회측 기판부(16)를 유지(척킹)함으로써 수용 구멍(19)에 대한 선회측 기판부(16)의 지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나사 구멍(32)에 대하여 무두렌치볼트(31)를 진퇴시킴으로써 수용 구멍(19)에 대한 선회측 기판부(1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소망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해 무두렌치볼트(31)를 고정해도 된다. 수용 구멍(19)에 대한 선회측 기판부(16)의 위치를 무두렌치볼트(31)에 의해 확정 후에는 무두렌치볼트(31)의 위치는 고정하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해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축 방향(선회측 기판부(16)의 판면과 수직 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다. 선회 스크롤 본체(17)로부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의 전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두렌치볼트(31)도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보다 열 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상술한 록 핀(24)과 핀 구멍(25)은 간극 끼움에 의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이어싱 부재>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에 의하면, 모든 크랭크축(3)의 편심축부(8)에 있어서, 선회 베어링(29)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2)의 베어링 구멍(33)의 간극에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선회 스크롤(2)의 선회시에 크랭크축(3)에 대해 선회 스크롤(2)이 원심력에 의해 진동해도, 선회 베어링(29)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2)의 베어링 구멍(33)의 간극이 메워지는 것을 억제하여 고정 랩(50)과 선회 랩(6)의 측면 사이의 간극(Y)을 소망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좌측 절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3)의 편심축부(8)가 가장 좌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선회 스크롤(2)은 원심력에 의해 좌측으로 진동하고, 편심축부(8)의 우측 둘레 측면에서는 선회 베어링(29)의 끼워맞춤 간극(X)이 메워지도록 하중이 가해져 고정 랩(50)과 선회 랩(6)이 근접하려고 한다. 그런데, 그 하중을 바이어싱재(57)가 지지함으로써 선회 베어링(29)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2)의 베어링 구멍(33)의 간극(X)이 메워지는 것을 억제하여 고정 랩(50)과 선회 랩(6)의 측면 사이의 간극(Y)을 소망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선회 베어링(29)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2)의 베어링 구멍(33)의 간극(X)이 완전하게 메워진다고 해도, 바이어싱재(57)의 작용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여 각 랩(50, 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선회 스크롤(2)의 선회에 따라 크랭크축(3)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연결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랩(50, 6) 사이의 간극(Y)을 자동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각 부품의 기계 가공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를 종전보다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랩(50, 6) 사이의 간극(Y)이 자동 조정될 수 있으므로, 스크롤 유체 기계(1)의 성능을 안정시킬 수도 있다.
<크랭크축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 구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1)에 의하면, 크랭크축(3)에 제 1 단차부(3a)와 제 2 단차부(3b)를 형성하고, 제 1 단차부(3a)를 고정 스크롤(5)측으로의 위치 결정에 이용하고, 제 2 단차부(3b)를 선회 스크롤(2)측으로의 위치 결정에 이용함으로써, 각 크랭크축(3)의 축 방향에 대한 각 스크롤(2, 5)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환언하면, 고정 스크롤(5)을 유지하는 하우징(4)의 제 2 외판(12)의 베어링 접촉면(제 2 베어링(37)의 상단면을 접촉하는 단차부)을 기준으로 해서 각 부재를 조립해 감으로써 기계적으로 선회 스크롤(2)의 축 방향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또한, 편심축부(8)에 설치되는 선회 베어링(29)은 내륜은 편심축부(8)에 고정되지만, 외륜은 베어링 구멍(33)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랩(50, 6) 사이의 지름 방향의 간극(Y)의 조정 기능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크랭크축의 선회 스크롤의 유지 구조>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3)의 편심축부(8)에는 선회 베어링(29)의 내륜이 압입되어서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선회 베어링(29)이 상하로 겹쳐져서 편심축부(8)에 압입된다. 그 때, 하방의 선회 베어링(29)의 내륜의 하단면을 제 2 단차부(3b)에 접촉한다. 그리고, 편심축부(8)의 상단부는 나사부로 되어 있으므로, 그 나사부에 제 2 멈춤 너트(56)를 비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선회 베어링(29)은 내륜이 제 2 단차부(3b)와 멈춤 너트(56)의 사이에 끼워넣어져 고정된다.
한편, 선회 베어링(29)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2)의 베어링 구멍(33)(대경 구멍(33a))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을 둠과 아울러, 그 간극에는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가 설치된다. 이 바이어싱재(57)는 탄성을 갖는 링(예를 들면, O링)이어도 좋고, 비탄성의 링(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수지 링)이어도 좋다. 또한, 바이어싱재(57)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 하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부터 선회 베어링(29)으로의 전열의 방지에도 기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 구멍(33)의 대경 구멍(33a)은 선회 베어링(29)의 외륜보다 설정 치수만큼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베어링(29)의 외륜의 외주면에는 바이어싱재(57)의 내 주부가 끼워넣어지는 장착 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는 내주부가 외륜의 장착 홈에 끼워넣어지는 한편, 외주부가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 구멍(33)에 끼워넣어진다. 단,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베어링 구멍(33)의 내주면에 장착 홈을 형성하여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는 외주부가 베어링 구멍(33)의 장착 홈에 끼워넣어지는 한편, 내주부가 선회 베어링(29)의 외륜에 끼워넣어져도 좋다. 어느 쪽이든,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는 선회 베어링(29)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 구멍(33)의 간극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선회 베어링(29)은 외륜의 외주면의 상하 2개소에 있어서,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를 통해서 베어링 구멍(33)에 유지된다.
그리고,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는 베어링 구멍(33)의 둘레 측벽 상면에 멈춤 링(58)이 볼트(59)에 의해 고정된다. 이 멈춤 링(58)은 외륜에 대한 선회 스크롤(2)의 지름 방향의 이동은 허용하면서 축 방향의 이동은 규제하는 것이 좋다.
편심축부(8)와 베어링 구멍(33)이 동심으로 배치되어 회전됨으로써 선회 베어링(29)의 외륜의 외주면과, 베어링 구멍(33)의 대경 구멍(33a)의 내주면의 간극(편측)(X)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랩(50)과 선회 랩(6)의 측면 사이의 간극(랩의 지름 방향의 간극)(Y)의 최소 설정값(가장 근접한 상태에 있어서의 양 랩(50, 6) 사이의 설계 간극)보다 작고, 예를 들면 상기 최소 설정값의 대략 절반(예를 들면, 20~30㎛)으로 된다. 이 경우, 만약 편심축부(8)에 대해 선회 스크롤(2)이 원심력에 의해 진동하여 상기 간극(X)이 메워지고, 고정 랩(50)에 선회 랩(6)이 충돌하려고 해도 선회 베어링(29)의 외륜의 외주면에 베어링 구멍(33)의 대경 구멍(33a)의 내주면이 먼저 접촉하므로, 양 랩(50, 6)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싱재(57)에 의해 상기 간극(X)이 메워지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간극(X)이 메워진다고 해도 완만하게 메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선회 베어링(29)의 외주면과 대경 구멍(33a)의 내주면의 간극을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선회 베어링(29)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2)의 베어링 구멍(33)의 간극이 바이어싱재(57)에 의해 메워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경우에는 간극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중간재에 의한 선회 스크롤 본체와 선회 스크롤 베이스의 단열>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본체(17)와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는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중간재(30)를 개재해서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편(22)의 하면과 오목부(26)의 저면 사이에 와셔 형상의 중간재(30)를 개재시키고 있다. 즉,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28)는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연장편(22)의 볼트 삽입통과 구멍(23)과, 중간재(30)의 구멍을 통한 후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나사 구멍(27)에 비틀어넣어진다.
선회 스크롤 본체(17)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해 12개의 볼트(28)에 의해 고정되지만, 그 중 반수의 개소에서 중간재(30)는 단열재(30A)가 되고, 나머지 절반의 개소에서 중간재(30)는 스페이서(30B)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삼각 형상의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각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오목부(26)와, 이것에 장착되는 한 쌍의 연장편(22)의 사이에는 수용 구멍(19)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예를 들면 스페이서(30B), 단열재(30A), 단열재(30A) 및 스페이서(30B)의 순서로 중간재(30)가 설치된다.
단열재(30A)도 스페이서(30B)도 서로 대략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되지만, 경우에 따라 달라져도 좋다. 단열재(30A)의 두께나 경도에 따른 스페이서(30B)를 이용함으로써 단열재(30A)의 재료 선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30B)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면, 두께 정밀도를 내기 쉽고, 볼트(28)에 의한 체결 하중에 의한 변형도 억제된다. 오목부(26)와 연장편(22) 사이에 단열재(30A)뿐만 아니라 금속제의 스페이서(30B)도 끼워넣음으로써,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한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설치 높이를 소정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선회 스크롤(2)과 고정 스크롤(5)의 상하 방향의 배치가 소정으로 정해지고, 조립 후의 팁 시일(21, 51)의 개소에서 클리어런스 변동이 억제되어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어느 쪽이든, 중간재(30)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그 점에서 말하면, 중간재(30)가 상술한 스페이서(30B)인 경우라도, 그 스페이서(30B)는 1종의 단열재로서도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스크롤 본체(17) 및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지만, 중간재(30)는 예를 들면 세라믹 또는 합성 수지제의 단열재(30A), 또는 스테인리스제의 스페이서(30B)로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수용 구멍(19)에는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선회측 기판부(16)가 수용 구멍(19)의 내주면과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끼워넣어진다.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오목부(26)와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연장편(22)은 오목부(26)의 저면과 연장편(22)의 하면이 중간재(30)를 통해서 직접 접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장편(22)보다 한 사이즈 큰 오목부(26)가 형성됨으로써 오목부(26)의 측면과 연장편(22)의 바깥 가장자리도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볼트(28) 외에, 바람직하게는 록 핀(24)도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알루미늄 합금)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여기에서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선회 스크롤 본체(17)로부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의 전열을 방지하여 선회 베어링(29)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간재(30)에 의한 단열에 추가하여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수용 구멍(19)에 선회 스크롤 본체(17)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는, 선회측 기판부(16)의 외주면과 수용 구멍(19)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선회 스크롤 본체(17)로부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로의 전열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중간재에 의한 고정 스크롤과 하우징의 단열>
선회 스크롤(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스크롤(5)에 대해서도 하우징(4)에 설치된 제 1 베어링(36) 및 제 2 베어링(37)의 보호(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 부족의 방지)를 위해, 고정 스크롤(5)로부터 하우징(4)의 전열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을 위해서,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5)과 하우징(4)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중간재(54)를 개재해서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4)의 플랜지(15)와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를 중간재(54)를 개재해서 겹치게 하면 된다. 이 중간재(54)는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를 하우징(4)의 플랜지(1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53)가 통과되는 와셔 형상이어도 좋고, 하우징(4)의 플랜지(15)의 둘레 방향 전체에 겹쳐지는 원환상이어도 좋다. 또한, 선회 스크롤(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간재(54)로서 단열재와 스페이서를 조합해도 좋다. 어느 쪽이든 중간재(54)는 하우징(4)보다 열 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4)의 개구 구멍(7A)에는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가 개구 구멍(7A)의 내주면과 고정측 기판부(20)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끼워넣어진다. 또는, 하우징(4)의 플랜지(15)의 개소에서도 고정 스크롤(5)의 외주 랩(52)이 플랜지(15)의 내주면과 외주 랩(52)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끼워넣어진다. 또한, 하우징(4)에 고정 스크롤(5)을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볼트(53) 외에, 바람직하게는 록 핀(55)도 하우징(4)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여기에서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고정 스크롤(5)로부터 하우징(4)으로의 전열을 방지하여 제 1 베어링(36) 및 제 2 베어링(37)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 의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5)과 하우징(4)을 일체 형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외판(11)과 상측의 고정 스크롤(5)을 일체 형성하고, 제 2 외판(12)과 하측의 고정 스크롤(5)을 일체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주부에 냉각용 의 핀을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 등간격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핀을 설치해도 좋다. 이 때, 핀은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일체 형성해도 좋고,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주부에 겹쳐서 일체화되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와 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자의 사이에 방열 시트를 개재시켜도 좋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핀을 설치해 둠으로써 선회 스크롤(2)이 선회했을 때에는 선회 운동에 의해 외기와의 강제 대류 열전달이 발생하여 선회 스크롤(2)의 냉각이 촉진된다.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주부에 적절한 홈(예를 들면,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함과 아울러 각각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여 직사각 형상 홈)을 형성함으로써 핀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져도 좋다.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주부에 다수의 홈을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함으로써 전열 면적을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공랭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 형상 홈으로 함으로써 강도 저하도 적고, 냉각 공기의 흐름이 축 방향 이 아닌 축과 직각 방향의 흐름으로 되므로, 홈에 대한 공기의 흐름을 저해하는 일 없이 선회 스크롤(2)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5)을 특히 고정측 기판부(20)에 있어서 공랭 또는 수냉해도 좋다. 예를 들면,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에는 고정 랩(50)과는 반대측의 면 또는 이것에 겹쳐지는 부재와의 사이에서, 통수부를 형성하는 재킷재를 설치하고, 그 통수부에 물을 유통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선회 스크롤 본체(17)를 장착한 선회 스크롤(2)을 평면으로 본 경우, 선회 스크롤(2)의 이상 무게중심 위치와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선회 랩(6)의 무게중심 위치가 약간 다른 경우,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적절한 밸런스 조정용의 여분을 설치하여 선회 스크롤(2)의 무게중심 위치를 조정해도 좋다. 즉,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측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외형을 확대하는 일 없이 선회 스크롤(2) 전체의 밸런스 취함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설치된 여분부에 부품 코드를 표시하면 부품 관리도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회 랩(6)의 팁 시일(21), 고정 랩(50)의 팁 시일(51), 및 외주 랩(52)의 외주 시일(52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시일은 그 설치를 생략해도 된다. 그 경우에도, 하우징(4)에 대한 고정 스크롤(5)의 착탈이나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에 대한 선회 스크롤 본체(17)의 착탈이 용이하기 때문에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표면 처리나 소재에의 대응, 이물의 끼어넣어짐의 해소, 내부의 청소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4)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상, 삼각 형상, 기타 다각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4)의 수용 구멍(7)에 플랜지(15)를 설치하고, 그 플랜지(15)에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의 외주부를 겹쳐서 장착했지만, 플랜지(15)의 설치를 생략하고, 하우징(4)의 상하면(제 1 외판(11)의 상면, 제 2 외판(12)의 하면)에 고정 스크롤(5)의 고정측 기판부(20)의 외주부를 겹쳐서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도, 볼트(53)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4)에 대해 고정 스크롤(5)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 두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크랭크축(3)의 개수를 3개로 했지만, 4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그 중 1개를 구동 크랭크축(3A)으로 하고, 나머지를 종동 크랭크축(3B)으로 하여 회전 동기 기구(45)를 통해서 동기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 구멍(33)에 원통 형상의 가이드링을 끼워넣어도 좋다. 그 경우, 원환상의 바이어싱재(57)는 편심축부(8)의 외륜과 선회 스크롤 베이스(18)의 베어링 구멍(33)의 간극에 설치되는 것 대신에, 편심축부(8)의 외륜과 가이드링의 내측 구멍의 간극에 설치된다. 이렇게 해서, 선회 스크롤(2)과 크랭크축(3)의 지름 방향의 위치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심축부(8)를 유지하는 베어링으로서 복수의 선회 베어링(29)을 구비했지만, 이 선회 베어링(29)끼리는 끝면끼리를 겹치는 것 이외에, 끝면 사이에 어저스터를 개재해서 겹쳐도 좋다. 어저스터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륜에 배치된다. 이렇게 해서, 선회 스크롤(2)과 크랭크축(3)의 축 방향의 위치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회 베어링(29)이 1개인 경우라도 어저스터를 이용하여 선회 스크롤(2)과 크랭크축(3)의 축 방향의 위치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1: 스크롤 유체 기계 3: 크랭크축
5: 고정 스크롤 6: 선회 랩
8: 편심축부 16: 선회측 기판부
17: 선회 스크롤 본체 18: 선회 스크롤 베이스
19: 수용 구멍(구멍) 20: 고정측 기판부
22: 연장편 26: 오목부
28: 볼트(체결 부재) 50: 고정 랩
70: 외주부 71: 노치부
80: 베어링부

Claims (3)

  1. 고정측 기판부의 판면에 나선 형상의 고정 랩이 설치되는 고정 스크롤과,
    선회측 기판부의 판면에 상기 고정 랩에 맞물리는 나선 형상의 선회 랩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선회측 기판부의 외주부의 끝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노치부가 복수 형성되는 선회 스크롤 본체와,
    상기 외주부를 삽입통과하는 체결 부재를 통해서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베어링부가 상기 노치부에 따라서 복수 설치되는 선회 스크롤 베이스와,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되는 편심축부가 설치되는 복수의 크랭크축을 구비하는 스크롤 유체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측 기판부에는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통과되는 연장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 베이스에는 상기 연장편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는 인접하는 상기 연장편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크롤 유체 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는 상기 선회측 기판부의 양면에 상기 선회 랩이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 스크롤이 상기 선회측 기판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 베이스는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편면으로부터 상기 선회 스크롤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크롤 유체 기계.
KR1020170061365A 2016-08-10 2017-05-18 스크롤 유체 기계 KR101909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7486 2016-08-10
JP2016157486A JP6729158B2 (ja) 2016-08-10 2016-08-10 スクロール流体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89A true KR20180018289A (ko) 2018-02-21
KR101909008B1 KR101909008B1 (ko) 2018-10-17

Family

ID=6119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365A KR101909008B1 (ko) 2016-08-10 2017-05-18 스크롤 유체 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9158B2 (ko)
KR (1) KR101909008B1 (ko)
CN (1) CN107725361B (ko)
TW (1) TWI6263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7106B2 (ja) * 2018-03-30 2021-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110360106B (zh) * 2019-07-25 2021-11-0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涡旋压缩机、空调室外机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6940B (ko) * 1994-09-16 1997-10-01 Hitachi Ltd
JP2003120552A (ja) * 2002-10-11 2003-04-23 Tokico Ltd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TWI251641B (en) * 2004-12-31 2006-03-21 Ind Tech Res Inst A volute apparatus with an axial gap control function
KR20130057895A (ko) * 2011-11-24 2013-06-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JP6154711B2 (ja) * 2013-09-30 2017-06-2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JP5958769B2 (ja) * 2013-12-26 2016-08-02 三浦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6378B (zh) 2018-06-11
KR101909008B1 (ko) 2018-10-17
TW201805532A (zh) 2018-02-16
CN107725361B (zh) 2019-03-26
JP6729158B2 (ja) 2020-07-22
CN107725361A (zh) 2018-02-23
JP2018025146A (ja)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3116B2 (en) Scroll type fluid machine
US7357627B2 (en) Scroll fluid machine
JP550622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909008B1 (ko) 스크롤 유체 기계
KR20130138170A (ko) 스크롤 유체 기계
JP5958769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KR20180123433A (ko) 스크롤 압축기
JP4844489B2 (ja) 流体機械
KR101609612B1 (ko) 스크롤식 유체 기계
JPH0621317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5983972B1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08290219A (ja) 主軸装置
KR102163921B1 (ko) 유체압축기
JP6130763B2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00265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110125372A (ko) 밸런스 샤프트 모듈
JP2006002649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における振動防止装置
JP2003269101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11047415A (ja) 内燃機関におけるバランス装置
KR20120090304A (ko) 스크롤 압축기
JP2010174826A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WO2017037778A1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およ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17122461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17141838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H09242682A (ja) モータ直結型スクロール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